KR101205001B1 -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 Google Patents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001B1
KR101205001B1 KR1020100050941A KR20100050941A KR101205001B1 KR 101205001 B1 KR101205001 B1 KR 101205001B1 KR 1020100050941 A KR1020100050941 A KR 1020100050941A KR 20100050941 A KR20100050941 A KR 20100050941A KR 101205001 B1 KR101205001 B1 KR 101205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ctomy
air
vest
compression
affecte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483A (ko
Inventor
김성원
강은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50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0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3Thorax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3Thorax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61F13/145Thorax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female anatom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68Plasters use haemostatic applying local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는,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 후 착용하고 환부에 압박을 가해 배액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를 시술받은 환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짧은 길이의 소매가 형성되는 조끼; 및 상기 조끼의 전면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에 구획 배치되며 공기 주입에 따른 팽창력으로 상기 환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환부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PRESSURE HEMOSTASIS VEST FOR MASTECTOMY}
본 발명은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 후 환부에 압박을 가하여 배액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에 관한 것이다.
유방암은 모든 암 중에서 가장 연구가 많이 된 암 중의 하나인데도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 두 가지에 의해 발생한다는 명확하지 않은 지식만이 있으며, 아직 확실하게 유방암의 원인으로 밝혀진 것은 없다. 즉, 지금까지 유방암 발생의 원인에 관해서는 아직 확립된 정설은 없다. 다만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몇 가지 요인들이 가능성을 보이고 있고 그 중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발암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데 의견 일치를 보고 있다.
유방 세포는 에스트로겐의 자극에 의하여 증식-분화하므로 결국 한 개인에게 있어서 유방암 발생위험은 일생동안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총 기간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즉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유방암의 발생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과도한 영양 및 지방 섭취, 유전적 요인, 비만, 장기간의 피임약 복용, 여성호르몬제의 장기간 투여 등도 원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유방암은 특히 유전적 요인이 잘 밝혀진 암의 하나로 전체 유방암환자의 5~10%는 가족성 유방암이다. BRCA1, BRCA2,p53 유전자의 변이는 유방암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방암이 진단되면 유방암에 대한 치료를 시작해야 하며 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고 중요한 치료는 수술이다.
유방암의 현대적 수술은 1894년 윌리암 할스테드가 시도한 근치적 유방절제술(radical mastectomy)이 효시가 되고 있다. 그는 유방암이 림프관을 따라 국소적으로 전이된다고 생각하고, 유방, 유방 위의 피부, 흉근 및 액와 내용물의 전부를 절제해냈다. 이 수술식은 대다수 유방암, 특히 20세기 초에 볼 수 있는 진행된 유방암 환자들에게 표준 시술법으로서 효과적인 국소치료 방법이 되었다.
그러나 1940년에서 1943년까지 미국 뉴욕 메모리얼 병원에서 유방암 환자 1,640명 중 89%에서 근치적 유방절제술을 시행한 연구결과는 수술을 시행한 1,458명의 환자 중 단지 13%의 환자만이 30년간 무병 생존율을 기록하였고, 57%의 환자가 유방암으로 사망하였다. 이러한 근치적 유방절제술의 실패 원인으로 당시에는 유방에서 배액되는 모든 림프절을 절제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생각했고 유방의 25% 정도는 내유림프절(internal mammarynode)로 배액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확장 근치적 유방절제술(extended radical mastectomy)이 고안되었다. 하지만 이런 근치적인 수술방식으로도 생존기간이 연장되지 못하였던 점에서 근치적 유방절제술의 효율성 및 효용성에 대한 의구심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래서 유방암의 근치수술 후 재발하는 이유가 외과적으로 불충분하게 절제했다기보다는, 수술 당시 이미 암세포가 전신적으로 퍼져 있었기 때문이라는 이론이 확립되었고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modified radical mastectomy)이 각광받게 되었다.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은 현재 유방암 환자에게 가장 많이 시행되는 술식이다.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이라는 용어는 여러 술식을 포함하나, 공통적으로 유방, 흉근의 근막 및 액와림프절을 절제해내므로, 일견 근치적 유방절제술과 흡사해 보이나 Halsted식의 대흉근 절제를 시행하지 않는 점이 다르다.
1970년대 이후에는 근치적 유방절제술이 필요한 흉근 및 흉근의 근막을 침윤하는 진행성 암의 빈도가 줄어들어 대부분의 환자에서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이 가능해졌다. 이 술식의 효용성은 전향적인 연구 결과에서도 밝혀졌다. 맨체스터 연구에 의하면 534명의 1기 및 2기 유방암 환자에서 임의 추출방식으로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또는 근치적 유방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5년 후 생존기간, 무병 생존기간 및 국소 재발률에 양 수술방식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는 변형 근치적 유방 절제술이 근치적 유방절제술보다 적은 범위의 수술을 시행하고도 동일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는 근치적 유방절제술은 거의 시행하지 않고 있다. 흉근 근막이 조직 생검시 손상을 받았거나 암종이 흉근 근막이나 흉근을 침범하였다면, 절제연에 암세포가 남아 있지 않게 흉근의 일부를 절제해내며, 또한 흉근의 상당 부분을 침범하는 큰 암종은 일차 치료로 근치적 유방절제술보다는 항암요법이나 방사선치료를 먼저 시행하기도 한다.
일차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에 효과가 있으면 대부분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로 치료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에 의한 유방절제(유방 전절제 또는 부분 절제) 후 생길 수 있는 합병증 중 가장 치명적인 합병증은 출혈이다.
기존에는 유방절제술 직후에 생길 수 있는 출혈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 유방절제 부위에 배액관을 삽입하고 압박 붕대를 사용하여 유방절제 부위를 압박하였다.
그러나, 환자의 유방절제 부위를 압박 붕대로 감아서 압박하는 작업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압박 붕대를 감는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효율적인 압박 여부가 결정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통상적으로 압박 붕대를 사용하여 유방절제 부위를 압박시 2~3인의 숙련된 시술자가 협조하여 작업할 때 상처부위에 대한 지혈이 이루어지는 효율적인 압박이 가능하였으며, 유방절제 부위에 대한 효율적인 압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지속적인 출혈에 따라 상처부위를 재절개하고 지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에는 유방절제술 후 유방절제 부위를 수술용 브래지어(Surgibra)로 압박하는 방식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술용 브래지어는 환자의 흉부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유방절제 부위의 출혈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역할이 미흡하였으며, 또한 유방절제 부위에 대한 지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자의 흉부를 충분한 압력으로 압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 후 환부를 간편하게 압박하여 원활한 배액, 출혈 방지 등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 후 착용하고 환부에 압박을 가해 배액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를 시술받은 환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짧은 길이의 소매가 형성되는 조끼; 및상기 조끼의 전면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에 구획 배치되며 공기 주입에 따른 팽창력으로 상기 환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환부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환부 압박부는 상기 조끼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부 압박부는 상기 환자의 유방절제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압박부; 상기 유방절제 부위의 상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압박부; 및 상기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압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박부, 제2 압박부 및 제3 압박부는 상기 환부를 균일하게 압박하기 위해, 상기 제1 압박부, 제2 압박부 및 제3 압박부의 각 영역에 상하좌우로 상호 인접되도록 구획 배치되며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다수의 공기 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압박부는 상기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압박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수의 공기 셀이 상기 제1 압박부 및 제2 압박부에 마련되어 있는 공기 셀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공기 셀은 상기 제3 압박부의 영역 내에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배치되며 공기 주입시 타원형으로 팽창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공기 셀은 상기 제1 압박부, 제2 압박부, 제3 압박부의 각 영역 내에서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끼는 전면영역에 상기 환부 압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획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환부 압박부는 상기 조끼와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상호 인접 배치되어 구획되는 다수의 공기 셀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는 상기 환자의 유방절제 부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유방절제 부위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팩은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공기 팩;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공기 팩; 및 상기 제3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공기 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공기 팩은 상기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압박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수의 공기 셀이 상기 제1 공기 팩 및 제2 공기 팩에 마련되어 있는 공기 셀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공기 셀은 상기 제3 공기 팩의 영역 내에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배치되며 공기 주입시 타원형으로 팽창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공기 셀은 상기 제1 공기 팩, 제2 공기 팩 및 제3 공기 팩의 각 영역 내에서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부 압박부는 상기 환부에 인접하지 않는 외측부가 팽창력이 작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환부를 압박하도록 상기 환부에 인접하는 내측부는 팽창력이 높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부 압박부는 공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부 압박부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기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펌프는 수동펌프 또는 자동펌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부 압박부는 상기 자동펌프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내부의 공기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환부 압박부 내의 공기 압력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압력계; 상기 공기펌프의 공급부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밸브; 및 상기 압력계로부터 측정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환부 압박부 내의 공기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끼는 전면 중앙부에 연직 방향으로 절단되어 개폐되는 전면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 개폐부는 절단면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지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스냅단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부 압박부의 외측부는 합성 섬유 계열의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환부 압박부의 내측부는 스판텍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를 시술받은 환자 등이 조끼를 간편하게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되는 환부 압박부에 의해 환부(유방절제 부위)를 일정한 압력으로 압박하여 줌으로써 환부의 출혈에 따른 원활한 배액과 이차 출혈을 예방하여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유방절체술용 압박지혈 조끼에 마련된 압력 조절부의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작용을 보인 도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유방절체술용 압박지혈 조끼에 마련된 압력 조절부의 구성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를 시술받은 환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끼(100)와, 조끼(100)의 전면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에 구획 배치되어 공기 주입에 의한 팽창력으로 환자의 환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환부 압박부(200)를 포함한다.
조끼(100)는,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를 시술받은 환자가 착용하기 위해, 환자의 가슴과 배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면판(100A)과, 환자의 등을 덮을 수 있도록 전면판(100A)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후면판(100B)으로 구성된다. 전면판(100A)과 후면판(100B)은 상호 재봉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조끼(100)의 양 측면부에는 짧은 길이의 소매(100C)가 형성되어 있다.
조끼(100)는, 전면 중앙부에 연직방향으로 절단되어 개폐되는 전면 개폐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면 개폐부(102)는 환자가 기립하지 않고서도 누운 상태로 조끼(100)를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면 개폐부(102)는, 조끼(100)의 착용에 따른 개폐를 위해, 전면 개폐부(102)의 절단면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호 체결되는 체결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체결부(104)는 지퍼, 벨크로테이프, 다수의 스냅 단추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를 시술받은 환자가 환부의 압박을 위해 조끼(100)를 착용시 전면 개폐부(102)에 의해 누워 있는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으므로, 조끼(100)의 착용을 위해 누운 자세에서 앉은 자세로 기립시 발생할 수 있는 기립성 저혈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유방절제술 후 400~500cc 이상의 출혈이 있는 환자가 환부의 압박을 위해 앉은 자세로 기립하는 경우 기립성 저혈압에 의한 쇼크에 빠질 수 있다.
환부 압박부(200)는,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를 시술받은 환자의 환부를 압박하여 배액, 지혈 등과 같은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환부 압박부(200)는 조끼(100)의 전면판(100A)에 구획 배치되어 공기의 주입에 따른 팽창력으로 환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환부 압박부(200)는,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 후 환자의 환부를 효율적으로 압박하기 위해, 유방절제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압박부(202)와, 유방절제 부위의 상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압박부(204) 및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압박부(206)로 구성된다.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는, 조끼(100)의 전면판(100A)에 상호 인접되도록 구획 배치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환부 압박부(200)를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로 구성하는 이유는,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 후 환부는 물론 그 주변 부위를 균일하게 압박하여 출혈에 따른 원활한 배액을 유도하고 지혈에 의한 환부의 2차 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즉, 환부만을 집중적으로 압박하게 되는 경우에는 원활한 배액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봉합한 환부를 재절개하여 배액하고 그에 따른 지혈 과정을 거쳐야 한다.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는, 환부를 균일하게 압박하기 위해,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의 각 영역에 상하좌우로 상호 인접되도록 구획 배치되며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다수의 공기 셀(202A, 204A, 206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제3 압박부(206)에 마련되는 다수의 공기 셀(206A)은, 제1 압박부(202) 및 제2 압박부(204)에 마련되어 있는 공기 셀(202A, 204A)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3 압박부(206)의 영역 내에서 다양하게 배치되며, 공기 주입시 타원형으로 팽창되어 환부를 압박한다.
즉, 제3 압박부(206)에 마련되는 공기 셀(206A)이 제1 압박부(202) 및 제2 압박부(204)의 공기 셀(202A, 204A)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치되는 이유는, 제1 압박부(202)와 제2 압박부(204)는 굴곡 부위가 적은 유방절제 부위와 유방절제 부위의 상부를 압박하는 반면에, 제3 압박부(206)는 굴곡 부위가 많은 겨드랑이 부위를 압박해야 하므로, 제3 압박부(206)의 공기 셀(206A)이 제1 압박부(202) 및 제2 압박부(204)의 공기 셀(202A, 204A)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 굴곡 부위가 많은 겨드랑이 부위의 신체적 구조에 의해 환부를 원활하게 압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3 압박부(206)에 마련되는 공기 셀(206A)은 굴곡 부위가 많은 겨드랑이 부위를 원활하게 압박하기 위해 제1 압박부(202) 및 제2 압박부(204)의 공기 셀(202A, 204A)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치되며, 겨드랑이 부위를 보다 균일하게 압박하도록 공기 주입시 타원형으로 팽창되는 것이다.
다수의 공기 셀(202A, 204A, 206A)은,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의 각 영역 내에서 격자형상의 구조로 구획 배치되며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 내에 형성되는 각 공기 셀(202A, 204A, 206A)의 구획부에는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통기공(208)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 후 조끼(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되는 환부 압박부(200)에 의해 환자의 환부를 일정한 압력으로 압박함으로써 환부에 대한 원활한 배액 및 2차 출혈에 따른 지혈 등의 치료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환부 압박부(200)는,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펌프(220)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공기펌프(220)는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에 각각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의 표면에는 공기펌프(220)와 연결될 수 있는 공기 주입구(209)가 형성된다. 이때, 공기펌프(220)는 수동펌프 또는 자동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주입구(209)는 공기 주입에 따라 공기펌프(220)와 연결되는 경우에 열리고 공기 주입 완료 후 공기펌프(220)와 분리되는 경우에 닫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며, 이러한 공기 주입구(209)는 튜브 등에 공기를 주입시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환부 압박부(200)는,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230)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압력계(230)는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에 각각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압력계(230)는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로 주입되는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기능을 것이다. 이러한 압력계(230)는 아날로그 압력계 또는 디지털 압력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환부 압박부(200)는, 상기한 공기펌프(220)를 이루는 자동펌프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내부의 공기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 조절부(240)가 마련되어 있다.
압력 조절부(240)는, 환부 압박부(200) 내의 공기 압력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압력계(242)와, 공기펌프(220)의 공급부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밸브(244) 및 압력계(242)로부터 측정되는 신호에 따라 전자밸브(244)의 개폐를 제어하여 환부 압박부(200) 내의 공기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246)로 구성된다.
즉, 압력 조절부(240)는, 공기펌프(220)에 의해 환부 압박부(200) 내로 공기를 주입시 공기 압력의 미달 또는 초과 여부를 압력계(242)로 실시간 측정하고 압력계(242)의 신호에 따라 전자밸브(244)의 개폐를 제어부(246)로 제어하여 환부 압박부(200) 내의 공기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여기서, 압력 조절부(240)는 환부 압박부(200) 내의 공기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해, 압력계(242)는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고 전자밸브(244)는 제1 압박부(202), 제2 압박부(204) 및 제3 압박부(206)와 공기펌프(220)를 연결하는 호스 등과 같은 공급부에 마련되며 제어부(246)는 압력계(242) 및 전자밸브(2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별도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구성들은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당업자가 공기 압력의 조절을 위해 널리 실시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환부 압박부(200)는 공기펌프(220)에 의해 주입된 공기 압력을 압력계(230)로 측정하여 환부의 출혈 정도와 출혈된 혈액의 배액 정도에 따라서 환부 압박부(200)로 걸리는 압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압력 조절부(240)에 의해 환부 압박부(200) 내의 공기 압력을 항상 일정한 압력이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의 과도한 주입에 의한 압박으로 발생하는 호흡 곤란 또는 심한 통증 등을 방지하여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환부 압박부(200)는, 공기 주입에 의한 팽창시 환부와 인접하지 않는 외측은 팽창이 잘 되지않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환부를 압착하도록 환부에 인접하는 내측은 팽창이 잘 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즉, 환부 압박부(200)는 외측부가 팽창력이 작은 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서 합성 섬유 계열의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환부를 직접 압박하는 내측부는 팽창력이 높은 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서 스판텍스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부 압박부(200)는 공기 주입시 내측부가 환부와 밀착되도록 팽창됨으로써 환부에 대한 효율적인 압박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환부 압박부(200)는 내,외측부가 전술한 재질 이외에도 공기 주입에 따른 팽창시 외측부의 팽창력이 작고 내측부의 팽창력이 높은 탄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공지된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 압박부(200)가 조끼(100)와 분리형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조끼(100)는, 전면판(100A)에 환부 압박부(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획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10)는, 환자의 유방절제 부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부(110A)와, 유방절제 부위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수용부(110B) 및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수용부(110C)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용부(110)를 제1 수용부(110A), 제2 수용부(110B) 및 제3 수용부(110C)로 구성하는 이유는,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 후 조끼의 착용시 환부 압박부(200)에 의해 환부 및 그 주변 부위를 균일하게 압박하여 출혈에 따른 원활한 배액을 유도하고 환부의 2차 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즉, 환부만을 집중적으로 압박하게 되는 경우에는 원활한 배액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봉합한 환부를 재절개하여 배액하고 그에 따른 지혈 과정을 거쳐야 한다.
제1 수용부(110A), 제2 수용부(110B) 및 제3 수용부(110C)는, 일측부에 환부 압박부(200)의 출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출입부(112)가 형성된다. 출입부(112)는 지퍼, 벨크로테이프, 스냅단추 등과 같은 공지된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환부 압박부(200)는, 조끼(100)와 분리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며,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팩(210)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기 팩(210)은, 제1 수용부(110A)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공기 팩(212)과, 제2 수용부(110B)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공기 팩(214) 및 제3 수용부(110C)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공기 팩(216)으로 구성된다.
제1 공기 팩(212), 제2 공기 팩(214) 및 제3 공기 팩(216)은, 제1 수용부(110A), 제2 수용부(110B) 및 제3 수용부(110C)에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이들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공기 팩(212), 제2 공기 팩(214) 및 제3 공기 팩(216)은, 환부를 균일하게 압박하기 위해, 각 영역에 상하좌우로 상호 인접되도록 구획 배치되며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다수의 공기 셀(212A, 214A, 216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3 공기 팩(216)에 마련되는 다수의 공기 셀(216A)은, 제1 공기 팩(212) 및 제2 공기 팩(214)에 마련되어 있는 공기 셀(212A, 214A)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3 공기 팩(216) 영역 내에서 다양하게 배치되며, 공기 주입시 타원형으로 팽창된다.
즉, 제3 공기 팩(216)에 마련되는 공기 셀(216A)이 제1 공기 팩(212) 및 제2 공기 팩(214)의 공기 셀(212A, 214A)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치되는 이유는, 제1 공기 팩(212)과 제2 공기 팩(214)은 굴곡 부위가 적은 유방절제 부위와 유방절제 부위의 상부를 압박하도록 제1 수용부(110A) 및 제2 수용부(110B)에 수용되는 반면에, 제3 공기 팩(216)은 굴곡 부위가 많은 겨드랑이 부위를 압박하도록 제3 수용부(110C)에 수용되므로, 제3 공기 팩(216)의 공기 셀(216A)이 제1 공기 팩(212) 및 제2 공기 팩(214)의 공기 셀(212A, 214A)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 굴곡 부위가 많은 겨드랑이 부위의 신체적 구조에 의해 환부를 원활하게 압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3 공기 팩(216)에 마련되는 공기 셀(216A)은 굴곡 부위가 많은 겨드랑이 부위를 원활하게 압박하기 위해 제1 공기 팩(212) 및 제2 공기 팩(214)의 공기 셀(212A, 214A)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치되며, 겨드랑이 부위를 보다 균일하게 압박하도록 공기 주입시 타원형으로 팽창되는 것이다.
다수의 공기 셀(212A, 214A, 216A)은, 제1 공기 팩(212), 제2 공기 팩(214) 및 제3 공기 팩(216)의 각 영역 내에서 격자형상의 구조로 구획 배치되며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제1 공기 팩(212), 제2 공기 팩(214) 및 제3 공기 팩(216) 내에 형성되는 공기 셀(212A, 214A, 216A)의 각 구획부에는 통기공(218)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공기 팩(212), 제2 공기 팩(214) 및 제3 공기 팩(216)은 공기펌프(220)에 의해 미리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된 후 수용부(210)에 수용되거나 또는 수용부(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어 환부를 압박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공기 팩(212), 제2 공기 팩(214) 및 제3 공기 팩(216)에는, 공기 주입에 따른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230)가 일체로 연결된다.
미설명 부호 ‘219’는 제1 공기 팩(212), 제2 공기 팩(214) 및 제3 공기 팩(216) 내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기 주입구를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공기 주입구(219)는 공기펌프(220)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방절제용 압박지혈 조끼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달리 조끼(100)와 환부 압박부(200)가 상호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조끼(100)에 마련되는 수용부(110)에 공기 팩(210)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환부 압박부(200)의 손상에 따른 교체가 용이할 수 있고, 조끼(100)의 세척시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조끼(100)와 환부 압박부(20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환부 압박부(2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조끼(100)의 조심스런 세척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방절제용 압박지혈 조끼의 작용 및 효과 이외의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조끼
102: 전면 개폐부
104: 체결부
110: 수용부
110A: 제1 수용부
110B: 제2 수용부
110C: 제3 수용부
112: 출입부
200: 환부 압박부
202: 제1 압박부
204: 제2 압박부
206: 제3 압박부
208: 통기공
210: 공기 팩
212: 제1 공기 팩
214: 제2 공기 팩
216: 제3 공기 팩
218: 통기공
220: 공기펌프
230: 압력계
240: 압력 조절부
242: 압력계
244: 전자밸브
246: 제어부

Claims (21)

  1.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 후 착용하고 환부에 압박을 가해 배액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방절제술 또는 조직검사를 시술받은 환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짧은 길이의 소매가 형성되는 조끼; 및
    상기 조끼의 전면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에 구획 배치되며 공기 주입에 따른 팽창력으로 상기 환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환부 압박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부 압박부는, 상기 환부에 인접하지 않는 외측부가 팽창력이 작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환부를 압박하도록 상기 환부에 인접하는 내측부는 팽창력이 높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부 압박부는, 상기 조끼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부 압박부는,
    상기 환자의 유방절제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압박부;
    상기 유방절제 부위의 상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압박부; 및
    상기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부, 제2 압박부 및 제3 압박부는,
    상기 환부를 균일하게 압박하기 위해, 상기 제1 압박부, 제2 압박부 및 제3 압박부의 각 영역에 상하좌우로 상호 인접되도록 구획 배치되며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다수의 공기 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압박부는,
    상기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압박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수의 공기 셀이 상기 제1 압박부 및 제2 압박부에 마련되어 있는 공기 셀 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공기 셀은 상기 제3 압박부의 영역 내에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배치되며 공기 주입시 타원형으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공기 셀은,
    상기 제1 압박부, 제2 압박부, 제3 압박부의 각 영역 내에서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는,
    전면영역에 상기 환부 압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획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환부 압박부는,
    상기 조끼와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상호 인접 배치되어 구획되는 다수의 공기 셀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는,
    상기 환자의 유방절제 부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유방절제 부위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팩은,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공기 팩;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공기 팩; 및
    상기 제3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공기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기 팩은,
    상기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압박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수의 공기 셀이 상기 제1 공기 팩 및 제2 공기 팩에 마련되어 있는 공기 셀 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공기 셀은 상기 제3 공기 팩의 영역 내에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배치되며 공기 주입시 타원형으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공기 셀은,
    상기 제1 공기 팩, 제2 공기 팩 및 제3 공기 팩의 각 영역 내에서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부 압박부는,
    공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부 압박부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기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펌프는,
    수동펌프 또는 자동펌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환부 압박부는, 상기 자동펌프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내부의 공기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환부 압박부 내의 공기 압력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압력계;
    상기 공기펌프의 공급부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밸브; 및
    상기 압력계로부터 측정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환부 압박부 내의 공기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는,
    전면 중앙부에 연직 방향으로 절단되어 개폐되는 전면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 개폐부는,
    절단면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지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스냅단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부 압박부의 외측부는, 합성 섬유 계열의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환부 압박부의 내측부는, 스판텍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KR1020100050941A 2010-05-31 2010-05-31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KR101205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941A KR101205001B1 (ko) 2010-05-31 2010-05-31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941A KR101205001B1 (ko) 2010-05-31 2010-05-31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483A KR20110131483A (ko) 2011-12-07
KR101205001B1 true KR101205001B1 (ko) 2012-11-28

Family

ID=4549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941A KR101205001B1 (ko) 2010-05-31 2010-05-31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0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279B1 (ko) 2013-06-13 2015-01-22 (주)대성마리프 상하지 지혈대
KR20200126038A (ko) 2019-04-29 2020-11-06 김재홍 유방용 부분 지혈장치
KR20230155879A (ko) * 2022-05-04 2023-11-13 서울대학교병원 유방 마사지 브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200B1 (ko) * 2015-08-19 2016-02-12 나우 주식회사 램파형 비파괴 검사시스템용 센서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램파형 비파괴 검사시스템
KR102033133B1 (ko) * 2018-03-22 2019-10-16 (주)대성마리프 림프 순환용 압박커프
RU2715616C1 (ru) * 2019-07-12 2020-03-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ая 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непрерывно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ОУ ДПО РМАНПО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остмастэктомического синдрома в ранний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ый период
IT201900012843A1 (it) * 2019-07-25 2021-01-25 Ciro Angeloro Apparato sanitario per il contenimento di ematomi migliorato.
CN116869599B (zh) * 2023-09-06 2023-12-08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心脏周边伤口压迫止血的控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402Y1 (ko) * 2002-02-04 2002-05-21 박기봉 조끼형 공기지압(압박) 및 진동 마사지 커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402Y1 (ko) * 2002-02-04 2002-05-21 박기봉 조끼형 공기지압(압박) 및 진동 마사지 커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279B1 (ko) 2013-06-13 2015-01-22 (주)대성마리프 상하지 지혈대
KR20200126038A (ko) 2019-04-29 2020-11-06 김재홍 유방용 부분 지혈장치
KR20230155879A (ko) * 2022-05-04 2023-11-13 서울대학교병원 유방 마사지 브라
KR102670842B1 (ko) * 2022-05-04 2024-05-31 서울대학교병원 유방 둘레 마사지 브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483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001B1 (ko) 유방절제술용 압박지혈 조끼
Sugarbaker Peritonectomy procedures
CA2267958C (en) Inflatable devices for tumor treatment
US808005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breast reconstruction
EP1079765B1 (en) Radiation protective device
CN106108979A (zh) 三镜联合微创保胆取石术
WO2004101024A3 (en) Method for treating glandular diseases and malignancies
Little et al. The finishing touches in nipple-areolar reconstruction
US20210068865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mproving recovery from minimally invasive surgery
CN209019106U (zh) 功能性疝气带
CN216222020U (zh) 一种乳腺外科术后胸带
CN115444977B (zh) 微创乳腺癌术后切除空槽恢复用聚氨酯填充胶团
CN210494397U (zh) 一种乳腺癌术后固定器具
RU2355328C2 (ru) Вариант "ненатяжной" герниопластики при средних и больших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ых грыжах
KR20190114278A (ko)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
CN209933159U (zh) 一种颈部用冰敷结构
CN215685041U (zh) 一种适用于人工肝治疗股静脉置管期间的医用裤
CN210809332U (zh) ***环切术后***保护内裤
CN208838062U (zh) 一种起搏器术后护理用的改良式防滑沙袋
CN210988361U (zh) 一种病号裤
US20220087330A1 (en) A bra reducing secondary cancer risk
CN208490935U (zh) 骨折病员裤
Bier et al. Radical surgery of bovine ocular squamous cell carcinoma (Cancer Eye): A new procedure
Spitalny et al. Reconstruction of the breast by advancement of abdominal skin
RU164526U1 (ru) Бандаж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ый онкологический "онко-бюсть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