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329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329B1
KR101204329B1 KR1020100063925A KR20100063925A KR101204329B1 KR 101204329 B1 KR101204329 B1 KR 101204329B1 KR 1020100063925 A KR1020100063925 A KR 1020100063925A KR 20100063925 A KR20100063925 A KR 20100063925A KR 101204329 B1 KR101204329 B1 KR 101204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bracket
reinforcing
rigidity
incr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196A (ko
Inventor
김상효
안진희
정치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329B1/ko
Priority to US12/887,670 priority patent/US8240096B2/en
Publication of KR20120003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에 앵커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보강부재와 연결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보강브라켓을 도입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부 상태나, 또는 앵커볼트와 강판의 설치 시 공차에 상관없이 보강부재의 설치 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에서 채널을 형성하여 단면을 확대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2차 모멘트의 증대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에 앵커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증대시키기 위한 채널(channel)을 형성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보강브라켓과, 상기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STRUCTURE OF BRACKET}
본 발명은 종래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는 강판을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과 강판을 앵커볼트에 의하여 일체로 체결 고정시키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에 장애물이 있거나, 또는 시공 상의 앵커볼트가 강판에 직접 저항하는 형태인 경우 앵커볼트는 물론 강판에도 변형이 생겨 프리스트레싱 효과가 경감되고, 아울러 이러한 앵커볼트의 변형으로 인하여 앵커볼트와 강판의 설치 작업 시 허용 공차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시공 정밀도가 떨어지고, 또한 강판의 설치 작업이 쉽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에 앵커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보강부재와 연결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보강브라켓을 도입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부 상태나, 또는 앵커볼트와 강판의 설치 시 공차에 상관없이 보강부재의 설치 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에서 채널을 형성하여 단면을 확대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증대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건축물의 보나, 슬래브 또는 교량의 콘크리트 거더 등과 같은 구조물은 건축물이나 교량 등의 하중에 대한 내하력을 담당하는 부분이며,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에는 상부에서 인가되는 사하중(고정하중)이나 또는 활하중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부에는 압축에 의한 변형 및/또는 응력이 안가되고,
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부에는 인장에 의한 변형 및/또는 응력이 인가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 재질상의 특성에 기인하여 압축에 대한 저항력은 우수하나, 인장에 대한 저항력은 취약하다는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종래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시에 내하력 및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에 강판 또는 강형의 부재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함으로써 내하력 및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CC)에 강판이나 강형의 보강부재(20)를 설치하기 위해 종래에는 구조물의 저면부 양측 단부 부분에는 앵커볼트(1)가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0)의 각 단부 부분에는 상기 앵커볼트(1)를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20)의 체결공에 앵커볼트(1)를 삽입한 후 앵커볼트(1)에 너트(5)를 체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C)과 보강부재(20)를 일체로 연결하게 된다.
더 나아가 콘크리트 구조물(CC)과 상기 보강부재(20) 사이에는 마찰판(7)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개입시켜 콘크리트 구조물(CC)과 보강부재(20)의 원활한 거동을 보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보강부재(20)를 콘크리트 구조물(CC)에 직접 고정시켜 일체화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CC)에 저면부에 돌출부가 존재하거나 또는 수평도가 불규칙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CC)에 보강부재(20)를 직접 고정시키는 것이 어려워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CC)의 저면부에 가해지는 압축에 대한 변형 및/또는 응력에 대한 보강부재(20)의 저항력을 앵커볼트(1)가 직접 받고 저항하는 형태가 되어 앵커볼트(1)는 물론 보강부재(20) 역시도 변형이 생겨 보강부재(20)에 의한 프리스트레싱 효과가 경감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앵커볼트(1)의 변형으로 인하여 앵커볼트(1)와 보강부재(20)의 설치 작업 시 허용 공차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시공 정밀도가 떨어지고,
또 앵커볼트(1)와 보강부재(20)의 설치 작업이 쉽지 않아 시공성이 떨어짐으로써 상용화하는 데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에 앵커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보강부재와 연결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보강브라켓을 도입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부 상태나, 또는 앵커볼트와 강판의 설치 시 공차에 상관없이 보강부재의 설치 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에서 채널을 형성하여 단면을 확대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증대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강브라켓과 보강부재의 형상 및 연결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변경하여 공급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상이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공에 따른 다양한 변수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시공 편의성을 더 한층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에 앵커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증대시키기 위한 채널(channel)을 형성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보강브라켓; 및 상기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는 용접 방식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는 고장력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앵커볼트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강브라켓에서 상기 고정부재와 지지부재는 용접 방식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에 앵커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보강부재와 연결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보강브라켓을 도입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부 상태나, 또는 앵커볼트와 강판의 설치 시 공차에 상관없이 보강부재의 설치 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에서 채널을 형성하여 단면을 확대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증대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강브라켓과 보강부재의 형상 및 연결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변경하여 공급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상이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공에 따른 다양한 변수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시공 편의성을 더 한층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프리스트레싱 강판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구조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구조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콘크리트 거더에 보강브라켓과 보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CC) 저면에 앵커볼트(1)에 의하여 연결되는 고정부재(11)와, 상기 고정부재(11)와 연결되고, 콘크리트 구조물(CC)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증대시키기 위한 채널(channel)을 형성하는 지지부재(13)로 이루어진 보강브라켓(10); 및 상기 보강브라켓(10)의 지지부재(13)와 연결되고, 콘크리트 구조물(CC)에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보강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CC)은 건축물의 보나, 슬래브 또는 교량의 콘크리트 거더 등과 같은 구조물은 건축물이나 교량 등의 하중에 대한 내하력을 담당하는 부분이며,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CC)의 경우에는 상부에서 인가되는 사하중(고정하중)이나 또는 활하중(이하 '작용하중'이라 함.)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C)의 상면부에는 압축에 의한 변형 및/또는 응력이 안가되고,
반면 콘크리트 구조물(CC)의 저면부에는 인장에 의한 변형 및/또는 응력이 인가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물(CC)은 그 재질상의 특성에 기인하여 압축에 대한 저항력은 우수하나, 인장에 대한 저항력은 취약하다는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종래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CC)이나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CC)의 시공 시에 내하력 및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CC)의 저면에 강판 또는 강형의 부재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함으로써 내하력 및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CC)에 강판이나 강형의 보강부재(20)를 설치하기 위해 종래에는 구조물의 저면부 양측 단부 부분에는 앵커볼트(1)가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0)의 각 단부 부분에는 상기 앵커볼트(1)를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20)의 체결공에 앵커볼트(1)를 삽입한 후 앵커볼트(1)에 너트(5)를 체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C)과 보강부재(20)를 일체로 연결하게 된다.
더 나아가 콘크리트 구조물(CC)과 상기 보강부재(20) 사이에는 마찰판(7)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개입시켜 콘크리트 구조물(CC)과 보강부재(20)의 원활한 거동을 보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보강부재(20)를 콘크리트 구조물(CC)에 직접 고정시켜 일체화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CC)에 저면부에 돌출부가 존재하거나 또는 수평도가 불규칙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CC)에 보강부재(20)를 직접 고정시키는 것이 어려워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CC)의 저면부에 가해지는 압축에 대한 변형 및/또는 응력에 대한 보강부재(20)의 저항력을 앵커볼트(1)가 직접 받고 저항하는 형태가 되어 앵커볼트(1)는 물론 보강부재(20) 역시도 변형이 생겨 보강부재(20)에 의한 프리스트레싱 효과가 경감되고,
아울러 앵커볼트(1)의 변형으로 인하여 앵커볼트(1)와 보강부재(20)의 설치 작업 시 허용 공차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시공 정밀도가 떨어지고, 또 앵커볼트(1)와 보강부재(20)의 설치 작업이 쉽지 않아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CC)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브라켓 구조를 도입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브라켓(10)의 각 구성의 유기적 결합관계와 그 기능별 특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에서, 상기 보강브라켓(10)은
콘크리트 구조물(CC) 저면에 앵커볼트(1)에 의하여 연결되는 고정부재(11)와, 상기 고정부재(11)와 연결되고, 콘크리트 구조물(CC)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증대시키기 위한 채널(channel)을 형성하는 지지부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브라켓(10)에서 상기 고정부재(11)는 판상의 부재로 콘크리트 구조물(CC) 저면의 양측 단부 부분에 설치된 앵커볼트(1)를 위한 복수의 결합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1)의 결합공(11a)에 상기 앵커볼트(1)를 삽입한 후, 상기 앵커볼트(1)에 너트(5)를 체결하여 고정부재(11)와 콘크리트 구조물(CC)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강브라켓(10)에서 상기 지지부재(13)는 판상의 부재 양측을 상부 방향으로 구부려진 형태인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3)는 그 상단부를 상기 고정부재(11)의 하면부에 맞댄 후, 지지부재(13)와 고정부재(11)의 연결 부분을 외측에서 용접 방식에 의하여 웰딩부(WA)(첨부된 도 4는 제외)를 형성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13)는 상기 고정부재(11)의 하부에 일정한 높이를 갖는 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브라켓(10)은 종래에 콘크리트 구조물(CC) 저면에 앵커볼트(1)에 의하여 보강부재(20)가 직접 연결되어 일체화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보강브라켓(10)이 후술할 보강부재(20)와 콘크리트 구조물(CC)의 저면 사이에 배열되어 콘크리트 구조물(CC)과 보강부재(20)가 직접 연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현된다.
즉 상기 보강브라켓(10)은 콘크리트 구조물(CC)에서 보강부재(20)를 일정 간격 이격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CC) 저면에 장애물들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보강부재(20)를 설치하는 것이 쉽고 용이하여 시공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부재(20)와 앵커볼트(1)가 상기 보강브라켓(10)에 의하여 직접 연결되지 않아 콘크리트 구조물(CC) 상부에서 인가되는 작용하중에 의한 영향으로 앵커볼트(1)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종래와 달리 보강부재(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보강부재(20)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효과가 경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CC)에서 인가되는 작용하중에 의한 영향으로 앵커볼트(1)가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보강부재(20)는 앵커볼트(1)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강브라켓(10)을 매개(媒介)하여 연결됨으로 앵커볼트(1)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시공 상의 허용 공차에 따른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보강부재(20)의 설치 작업이 쉽고 편리해져 시공 편의성을 한층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지지부재(13)에 의하여 고정부재(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채널은 콘크리트 구조물(CC)과의 합성단면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렇게 증대된 합성단면은 콘크리트 구조물(CC)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증대시켜 종국적으로는 상기 지지부재(13)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C)의 강성이 증대되고, 보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구조의 다양한 변형례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각 변형례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의 도시는 보강브라켓(10)의 고정부재(11)에는 상기 지지부재(13)의 외측에 위치하는 연장부(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12)에는 체결공(12a)이 형성되어, 상기 앵커볼트(1)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11)가 콘크리트 구조물(CC)에 고정되는 형태로
이는 상기 지지부재(13)의 외부 양측으로 연장부(12)가 노출되어 각 연장부(12)의 체결공(12a)에 앵커볼트(1)를 삽입한 후 너트(5)를 앵커볼트(1)에 체결하여 고정부재(11)와 콘크리트 구조물(CC)을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의 도시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보강브라켓(10)의 고정부재(11)에 연장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3)에는 그 상부 부분을 구부려 상기 고정부재(11)의 연장부(12)에 대응하는 굽힘부(15)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굽힘부(15)에는 상기 연장부(12)의 체결공(12a)에 상응하는 대응체결공(15a)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12)의 각 체결공(12a)과 굽힘부(15)의 각 대응체결공(15a)에 앵커볼트(1)를 삽입하고 앵커볼트(1)에 너트(5)를 체결하여 보강브라켓(10)과 콘크리트 구조물(CC)을 고정시키게 된다.
즉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변형례들은 도 2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CC)에 보강브라켓(10)을 고정시키는 작업 시 앵커볼트(1)가 상기 지지부재(13)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앵커볼트(1)에 너트(5)를 체결하는 것이 쉽지 않아 시공이 불편하고 어려울 수 있다는 점에서 착안된 것이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변형례들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CC)에 보강브라켓(10)을 고정시키는 작업 시
앵커볼트(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앵커볼트(1)에 너트(5)를 체결하는 작업에 아무런 불편함이 없어 보강브라켓(10)의 설치 작업이 한결 쉽고 용이해져 시공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에서, 상기 보강부재(20)는
상기 보강브라켓(10)의 지지부재(13)와 연결되고, 콘크리트 구조물(CC)에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C)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20)는 강판이나 강형을 온도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향변위(또는 캠버(camber))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CC)에 인가된 프리스트레스로 콘크리트 구조물(CC)의 상부에서 인가되는 작용하중에 의한 변형 및/또는 응력,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CC)의 저면부에 작용하는 인장에 의한 변형 및/응력에 저항하여 상쇄함으로써 구조물의 내하력 및 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보강부재(20)는 상기 보강브라켓(10)에서 상기 지지부재(13)의 하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보강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13)의 고정 방식은 용접 방식이나, 또는 볼트체결 방식에 의하여 연결된다.
우선 도 2 내지 도 4의 각 (A)의 도시에는 상기 보강부재(20)와 지지부재(13)를 용접 방식에 의하여 체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13)의 하면부와 상기 보강부재(20)의 상단 부분을 맞댄 후,
상기 지지부재(13)의 하면부와 맞닿는 보강부재(20)의 상단 부분 양측부를 용접 방식을 통하여 웰딩부(WA)를 형성하여 보강브라켓(10)에 보강부재(20)를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의 각 (B)의 도시는 상기 보강부재(20)와 지지부재(13)를 볼트체결 방식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13)에 복수의 삽입공(13a)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재(20)에는 상기 지지부재(13)의 각 삽입공(13a)에 상응하는 대응삽입공(20a)을 형성한 후,
상기 각 삽입공(13a)과 대응삽입공(20a)에 고장력 볼트(3)를 삽입하여 너트(5)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보강브라켓(10)에 보강부재(20)를 고정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중에서 교량(B)의 상부 구조인 콘크리트 거더(CG)(또는 콘크리트 구조물(CC))에 보강브라켓(10)과 보강부재(2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 교각 또는 교대(A) 상부에 콘크리트 거더(CG)의 양단부가 얹히고, 콘크리트 거더(CG)의 저면 양측부에는 보강브라켓(10)이 연결되고,
상기 각 보강브라켓(10)에는 보강부재(20)가 연결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및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C : 콘크리트 구조물 B : 교량
CG : 콘크리트 거더 A : 교각 또는 교대
WA : 웰딩부
1 : 앵커볼트 3 : 고장력 볼트
5 : 너트 7 : 마찰판
10 : 보강브라켓 11 : 고정부재
11a : 결합공 12 : 연장부
12a : 체결공
13 : 지지부재 13a : 삽입공
15 : 굽힘부 15a : 대응체결공
20 : 보강부재 20a : 대응삽입공

Claims (5)

  1.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에 앵커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증대시키기 위한 채널(channel)을 형성하며 판상의 부재 양측을 상부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인 ‘U' 형상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보강브라켓; 및
    상기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이격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보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장력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U' 형상의 지지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채널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재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앵커볼트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라켓에서
    상기 지재부재에 상기 고정부재의 연장부에 대응하는 굽힘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지지부재는 용접 방식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KR1020100063925A 2010-07-02 2010-07-02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KR101204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925A KR101204329B1 (ko) 2010-07-02 2010-07-02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US12/887,670 US8240096B2 (en) 2010-07-02 2010-09-22 Bracket structure for increasing load-carrying capacity of concrete structure and enabling easy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925A KR101204329B1 (ko) 2010-07-02 2010-07-02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196A KR20120003196A (ko) 2012-01-10
KR101204329B1 true KR101204329B1 (ko) 2012-11-26

Family

ID=4539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925A KR101204329B1 (ko) 2010-07-02 2010-07-02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40096B2 (ko)
KR (1) KR1012043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062B1 (ko) 2017-04-18 2018-08-07 김재은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을 이용한 구조물의 단면강성 증대 방법
CN108843039A (zh) * 2018-06-22 2018-11-20 北京建筑大学 预应力碳纤维板加固梁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4721B2 (en) * 2008-06-12 2014-12-09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Anchoring, splicing and tensioning elongated reinforcement members
JP2011524952A (ja) * 2008-06-12 2011-09-08 ユニバーシティ・オブ・ユタ・リサーチ・ファウンデイション 細長い補強部材の定着、添接、および張力付与
CA2793733A1 (en) 2010-04-13 2011-10-20 The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Sheet and rod attachment apparatus and system
KR101011220B1 (ko) * 2010-07-02 2011-0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하성능 및 사용성능이 개선된 강거더
US8584430B2 (en) * 2011-06-30 2013-11-19 Jesse Tarr Anchor bolt tensioning process
US8898993B2 (en) * 2012-07-14 2014-12-02 Richard Bradley Rodgers Bracket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JP6144032B2 (ja) * 2012-10-29 2017-06-07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
CN113863708A (zh) * 2021-10-15 2021-12-31 河北雄安荣乌高速公路有限公司 一种混凝土梁跨的加固方法
KR102436332B1 (ko) * 2022-05-11 2022-08-25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704B1 (ko) * 2002-04-12 2004-08-02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인장재 보강 방법 및 그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5695A (en) * 1954-04-20 Composite structure of metal and concrete
US2315634A (en) * 1941-06-23 1943-04-06 Harold C Mccall Expansible core mold
US2952061A (en) * 1957-01-18 1960-09-13 Douglas K Warner Concrete beams
US3216162A (en) * 1960-05-26 1965-11-09 Prescon Corp Bearing members for prestressed concrete anchorages
US3225499A (en) * 1962-07-02 1965-12-28 Jack P Kourkene Post tensioning concrete reinforcing wires
US3283456A (en) * 1963-01-25 1966-11-08 John R Carlton Building structure
US3282017A (en) * 1963-05-14 1966-11-01 Frank C Rothermel Method of providing increased strength to composite beam construction
US3283461A (en) * 1964-02-17 1966-11-08 Homer M Hadley Integrated concrete slab and supporting plate box structure
US3387417A (en) * 1964-06-08 1968-06-11 Howlett Machine Works Prestressing apparatus
US3398491A (en) * 1965-05-13 1968-08-27 Henry N. Babcock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
BE789655R (fr) * 1965-05-21 1973-04-04 Birguer Alexandre Rue Lincoln Poutres composites et precontraintes en acier-beton et leur procede de
US3343320A (en) * 1965-06-23 1967-09-26 Krajcinovic Peter Construction of channeled steel beams
GB1367645A (en) * 1970-11-27 1974-09-18 Rice E K Demountable plural level building structure
US5016338A (en) * 1988-09-21 1991-05-21 Rowan Jr Robert L Method fo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a frame on a foundation
US5289626A (en) * 1989-03-27 1994-03-01 Kajima Corporation Foundation anchor and method for securing same to a foundation
DE3942945A1 (de) * 1989-12-23 1991-06-27 Hilti Ag Verfahren zur verstaerkung von bauteilen
MX9200051A (es) * 1992-01-07 1993-07-01 Jose Luis Siller Franco Concector por friccion mejorado para anclar acero de refuerzo a tension en elementos de concreto preesforzado o reforzado.
CH687399A5 (de) * 1992-04-06 1996-11-29 Eidgenoessische Materialpruef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ubverstaerkung an einem Bauwerkteil.
US5379563A (en) * 1993-09-13 1995-01-10 Eastman Chemical Company Anchoring assembly
US5671572A (en) * 1994-02-11 1997-09-30 Siller-Franco; Jose Luis Method for externally reinforcing girders
US5467569A (en) * 1994-07-01 1995-11-21 Chiodo; Daniel J. Anchor device
US5836132A (en) * 1996-04-10 1998-11-17 E-Z Anchor Bolt Template, Inc. Anchor template
US20020095892A1 (en) * 2001-01-09 2002-07-25 Johnson Charles O. Cantilevered structural support
DE502004009257D1 (de) * 2003-06-27 2009-05-14 Alstom Technology Ltd Befestigungsvorrichtung eines Maschinenfusses einer Maschine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desselben
US7305802B1 (en) * 2004-01-08 2007-12-11 Plavidal Richard W Floor squeak eliminator and floor joist stiffening apparatus
US8161698B2 (en) * 2007-02-08 2012-04-24 Anemergonics, Llc Foundation for monopole wind turbine tower
US7677522B2 (en) * 2008-05-07 2010-03-16 Bakos Stephen M Support bracket for a column
US8904721B2 (en) * 2008-06-12 2014-12-09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Anchoring, splicing and tensioning elongated reinforcement memb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704B1 (ko) * 2002-04-12 2004-08-02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인장재 보강 방법 및 그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062B1 (ko) 2017-04-18 2018-08-07 김재은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을 이용한 구조물의 단면강성 증대 방법
CN108843039A (zh) * 2018-06-22 2018-11-20 北京建筑大学 预应力碳纤维板加固梁的方法
CN108843039B (zh) * 2018-06-22 2020-09-11 北京建筑大学 预应力碳纤维板加固梁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00153A1 (en) 2012-01-05
KR20120003196A (ko) 2012-01-10
US8240096B2 (en) 201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3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KR101134460B1 (ko) 래티스 철근을 이용한 강재빔 및 그 시공방법
KR100888941B1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0889273B1 (ko) 라멘교 시공방법
US20100071315A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909839B1 (ko) 곡선강재틀의 곡선강재에 보강재를 설치하고, 프리플렉션을 도입한 곡선형프리플렉션강재빔틀의 제작방법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1084736B1 (ko) 위치고정수단을 가진 전단연결재와 이를 구비한 거더 및, 이들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0693872B1 (ko) 모서리부에 단차부가 형성된 합성바닥판 및 교량용 거더의시공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100882341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빔의 제작방법 및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빔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20090058101A (ko) 콘크리트 전단연결부를 갖는 합성형 교량 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0722809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을 이용한교량 설치구조 및 교량시공방법
KR100941726B1 (ko) 파형웨브가 구비된 비대칭 합성보
KR101677668B1 (ko) 래티스보강재 볼트조립 강재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
KR100758994B1 (ko) 형강인 수직보강부재로 보강된 빔과 그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100042448A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347555B1 (ko)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교량에서의 연속지점부의 시공방법
KR200386508Y1 (ko) 상하부 거더의 하부거더에 압축력을 도입하면서 상부거더에도 인장력이 도입되도록 하면서 상하부거더를강결연결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 강재보
KR101001905B1 (ko) 강재 플레이트 거더의 단부 고정화에 의한 강재 플레이트 거더교 시공방법
KR100840190B1 (ko) 연속교용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콘크리트 상부플랜지를가지는 아이빔 세그멘트 연결방법
KR100719957B1 (ko) 스페이서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교량용 거더의 시공방법및 그 연결구조
KR100559764B1 (ko) 아치리브가 부착된 스틸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769222B1 (ko) 중공 에프알피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101342894B1 (ko) 트러스형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그 제작 방법 및 연속화 교량의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