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964B1 -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964B1
KR101202964B1 KR1020110040831A KR20110040831A KR101202964B1 KR 101202964 B1 KR101202964 B1 KR 101202964B1 KR 1020110040831 A KR1020110040831 A KR 1020110040831A KR 20110040831 A KR20110040831 A KR 20110040831A KR 101202964 B1 KR101202964 B1 KR 101202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composite
composite material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591A (ko
Inventor
박철현
차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지
Priority to KR102011004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964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2Composit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는, 복합소재 테이프의 이송을 강제하는 이송강제부와, 상기 이송강제부에 의해 이송 강제된 복합소재 테이프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복합소재 테이프가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이격부재와, 상기 이격부재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이송된 열가소성 복합재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이송강제부, 스토퍼, 이격부재 및 절단부를 동시에 상방향으로 지지하고,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와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의 교차 각도를 가변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A continuous supply device for sheet type fiber composite having multi-directions}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를 다양한 방향으로 연속 안내할 수 있도록 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합소재(Composite material)란 두 가지 이상 구성물질의 혼합체로써 서로 화학적으로 구분되는 구성물질들이 각각의 특성을 유지한 채로 결합되어 있으면서 각 구성물질의 독특한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서로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개개의 구성물질이 분리되어 있을 때보다 좋은 특성을 얻고자 인위적으로 구성된 물질을 일컫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 재료용 복합의 구성물질은 기지와 강화재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기지는 강화재를 서로 결합시키고 강화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복합재료의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복합재료 내에서 연속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강화재는 외부응력을 지탱하여 복합재료가 기지에 비해 좋은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게 하며 기지 내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 휘스커 또는 섬유 형태의 구성물질이다.
이중 섬유 강화재를 포함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는 기존 금속재료에 비해 뛰어난 비강성, 비강도 및 높은 감쇠 특성으로 가진다.
특히 직물(fabric) 복합소재나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복합소재는 3차원 곡면과 같은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금형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자동차 산업, 항공기 등 많은 산업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직물 복합소재는 단순한 형상에서부터 3차원 곡면을 가지는 복합한 형상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기계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평면상에 복합소재를 다수 층으로 적층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근래에는 다수의 섬유를 다수 구멍을 통해 평행하게 이송시켜 적층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다수의 섬유를 동시에 이송하여 적층하기 위해서는 모든 섬유가 모두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세팅해야 하는데, 이러한 세팅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섬유의 끊어짐이 발생하게 되면 직물의 불량을 야기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복합소재의 기계적 특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 섬유들을 다양한 방향으로 교차되게 적층 시에, 다수 섬유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설비 투자비용이 급증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를 연속적으로 안내하고, 열가소송 복합재의 이송 방향의 조절이 선택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는, 열가소성 복합재의 이송을 강제하는 이송강제부와, 상기 이송강제부에 의해 이송 강제된 열가소성 복합재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가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이격부재와, 상기 이격부재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이송된 열가소성 복합재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이송강제부, 스토퍼, 이격부재 및 절단부를 동시에 상방향으로 지지하고,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와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의 교차 각도를 가변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양단부 하측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벌어져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 상측에 열가소성 복합재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 일측에는,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 상측에 열가소성 복합재가 안착시에 가압 및 가열하여 서로 융착되도록 하는 제1융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부 일측에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되어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 상측에 안착된 열가소성 복합재를 가압 및 가열하여 서로 융착되도록 하는 제2융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열가소성 복합재의 양단부를 잇는 수직선 길이는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의 폭과 대응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융착부와 제2융착부는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양단부가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의 폭 방향 단부에 각각 융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융착부와 제2융착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 열가소성 복합재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부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융착부와 근접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를 절단함과 동시에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에서는, 열가소성 복합재를 연속적으로 안내하고, 복합소재 테이프의 이송 방향의 조절이 선택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적인 적층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가소성 복합재의 공급 방향을 선택적으로 가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켜 생산 원가 절감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이하 '연속 공급장치(100)'라 칭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과 같이, 연속 공급장치(100)는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이하 '열가소성 복합재(C)'라 칭함)를 이송하고,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상측에 안착시켜 융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즉, 상기 연속 공급장치(100)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다양한 설비(1) 일측에 구비되고,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이송에 간섭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C)를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속 공급장치(100)는 직조장치(1) 일측에 구비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직조장치(1)의 좌측부에는 다수의 섬유를 직조하기 위한 직조수단(2)이 구비되고, 상기 직조수단(2)에 의해 직조된 직물 형태의 섬유는 함침수단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가 함침되어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트 형상의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는 우측 방향으로 이송된 후 연속 공급장치(100)에 의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급받은 열가소성 복합재(C)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상면에 안착시키게 되는데, 절단된 열가소성 복합재(C)의 양단부에 대한 수직선의 길이는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폭과 대응되도록 하고, 상기 설비는 열가소성 복합재(C)의 단부 길이만큼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를 이송한 한 후 정지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공급장치(100)에 의해 공급되는 열가소성 복합재(C)는 열가소성 수지 내부에 섬유가 포함된 판상의 복합소재(W)이다.
그리고, 상기 연속 공급장치(100)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 열가소성 복합재(C)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연속 공급장치(100)는 선단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열가소성 복합재(C)의 공급 방향을 변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것은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에 다양한 물성을 부여하기 위한 연속 공급장치(100)의 작용이다.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연속 공급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기 연속 공급장치(100)는, 열가소성 복합재(C)의 이송을 강제하는 이송강제부(110)와, 상기 이송강제부(110)에 의해 이송 강제된 열가소성 복합재(C)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20)와,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C)가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이격부재(130)와, 상기 이격부재(130)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이송된 열가소성 복합재(C)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부(140)와, 상기 이송강제부(110), 스토퍼(120), 이격부재(130) 및 절단부(140)를 동시에 상방향으로 지지하고,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C)와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교차 각도를 가변하는 회전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강제부(110)는 전방에 위치한 열가소성 복합재(C)를 후방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으로 회전하고, 이때 열가소성 복합재(C)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후방으로 이송될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강제부(110)는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이송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다수 개로 설치해도 무방하다.
상기 스토퍼(120)는 이송강제부(11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 열가소성 복합재(C)의 후단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C)의 이송 범위를 제한하는 구성으로, 대략 "ㄱ"형상을 갖도록 절곡되며, 하부 전면은 열가소성 복합재(C)의 후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120)와 이송강제부(110) 사이에는 이격부재(130)가 구비된다. 상기 이격부재(130)는 열가소성 복합재(C))의 좌/우측 하부를 상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로부터 열가소성 복합재(C)가 이격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이격부재(130)는 열가소성 복합재(C)가 후방으로 이송할 때 좌/우 방향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격부재(13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배치되며, 좌측은 열가소성 복합재(C)의 좌측 방향 움직임 범위를 제한함과 동시에 상방향 지지를 위해 대략 "
Figure 112011032088186-pat00001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우측은 열가소성 복합재(C)의 우측 방향 움직임 범위를 제한함과 동시에 상방향 지지를 위해 대략 "
Figure 112011032088186-pat00002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이격부재(130)는 열가소성 복합재(C)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격부재(130)는 열가소성 복합재(C)의 양측 하면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되, 상기 절단부(140)에 의해 열가소성 복합재(C)가 일정 길이만큼 절단된 경우에는 서로 벌어져 열가소성 복합재(C)를 낙하시켜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격부재(130) 일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축하여 이격부재(130)가 서로 이격 또는 근접할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 등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부재(130) 전방에는 절단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절단부(140)는 이송강제부(11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 강제된 후 스토퍼(120)에 의해 움직임이 정지된 열가소성 복합재(C)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C)는 도 2와 같이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급되어 최종 만들어질 복합소재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재료의 낭비를 막기 위해 상기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만큼 열가소성 복합재(C)를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단날(142)의 후면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제2융착부(160)의 전면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절단부(140)는 도 3과 같이 날카롭게 형성된 절단날(142)이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절단날(142)의 후방에는 단차진 가압부(144)가 구비된다.
상기 절단날(142)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제2융착부(160)의 선단과 선택적으로 교차하여 열가소성 복합재(C)를 절단하는 구성이며, 상기 가압부(144)는 제2융착부(160)의 상면에 안착된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와 열가소성 복합재(C)를 동시에 가열 및 가압하여 융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스토퍼(120)의 하측에는 제1융착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융착부(150)는 스토퍼(120)와 선택적으로 근접하여 열가소성 복합재(C)를 융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토퍼(120)의 단차진 하면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가열되어 열가소성 복합재(C)가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와 융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융착부(150)의 상면은 가압부(144)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절단날(142)이 제1융착부(150)의 전방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부(144)의 하면은 제1융착부(150)의 상면과 근접하게 되며, 상기 제1융착부(150)와 절단부(140)의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발열하는 발열체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융착부(150)의 상면과 가압부(144)의 하면은 열가소성 복합재(C)와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를 동시에 가열 및 가압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함으로써 융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C)의 후단부는 제2융착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융착부(160)는 스토퍼(120)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고 절단부(140)에 의해 일정 길이만큼 잘라지며, 이격부재(130)의 좌/우 방향 벌어짐으로 인하여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 상면에 안착된 열가소성 복합재(C)를 동시에 가열 및 가압하여 융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제2융착부(160)는 대략 가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스토퍼(120)의 하면 선단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융착부(160)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우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 상면에 열가소성 복합재(C)를 안착한 후 가열 및 가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120)와 제2융착부(160)는 선택적으로 근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120)와 제2융착부(160)의 일측에는 발열체가 구비되어 열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한 모든 구성 즉 이송강제부(110), 스토퍼(120), 이격부재(130), 절단부(140), 제1융착부(150) 및 제2융착부(160)는 회전부에 의해 지지되어 동시에 회전 가능하다.
이것은 상기 연속 공급장치(100)를 이용하여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 상면에 열가소성 복합재(C)를 공급시에 다양한 각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회전부는 다양하게 실시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설비가 설치된 공간의 상측 천장에 회전 가능한 회전부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부는 이송강제부(110), 스토퍼(120), 이격부재(130), 절단부(140), 제1융착부(150) 및 제2융착부(16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열가소성 복합재(C)의 공급 각도를 선택적으로 가변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공급장치(100)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복합재(C)를 공급 및 융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연속 공급장치(100)는 설비(1) 일측에 결합되고, 회전부에 의해 각도가 조정되어 열가소성 복합재(C)의 이송 방향이 결정된 상태이며, 상기 제1융착부(150)와 제2융착부(160)의 상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폭방향 단부 하면이 얹어진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연속 공급장치(100)의 전방에는 열가소성 복합재(C)가 공급되며, 상기 이송강제부(110)는 회전하여 열가소성 복합재(C)를 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이송강제부(110)에 의해 강제 이송된 열가소성 복합재(C)는 상기 스토퍼(120)의 전면과 접촉하여 더 이상 움직임이 제한되며, 이후 상기 절단부(140)와 제2융착부(160)는 서로 근접하여 열가소성 복합재(C)를 절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절단날(142)의 하단부와 제2융착부(160)의 상면 선단부가 서로 교차하면서 전단력을 발생하여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C)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13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절단된 열가소성 복합재(C)가 설비(1)의 동작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2융착부(160)와 제1융착부(150)의 발열체는 제공받은 전원으로 발열하는 상태이며, 상기 가압부(144)와 제2융착부(160)가 근접하고, 상기 스토퍼(120)와 제2융착부(160)가 근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C)와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는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후 융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속 공급장치(100)의 작용에 따라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상면에는 열가소성 복합재(C)가 부착되며, 이후 상기 설비는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를 우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이송하게 된다.
즉, 상기 설비는 열가소성 복합재(C)의 선단 또는 후단의 길이만큼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를 우측 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속 공급장치(100)에 의해 일정 폭만큼 공급되는 열가소성 복합재(C)는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W)의 상면에 빈 곳 없이 전체적으로 적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연속 공급장치 110. 이송강제부
120. 스토퍼 130. 이격부재
140. 절단부 142. 절단날
144. 가압부 150. 제1융착부
160. 제2융착부 C . 열가소성 복합재
W .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

Claims (8)

  1. 열가소성 복합재의 이송을 강제하는 이송강제부와,
    상기 이송강제부에 의해 이송 강제된 열가소성 복합재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가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이격부재와,
    상기 이격부재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이송된 열가소성 복합재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이송강제부, 스토퍼, 이격부재 및 절단부를 동시에 상방향으로 지지하고,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와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의 교차 각도를 가변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양단부 하측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벌어져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 상측에 열가소성 복합재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일측에는,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 상측에 열가소성 복합재가 안착시에 가압 및 가열하여 서로 융착되도록 하는 제1융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 일측에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되어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 상측에 안착된 열가소성 복합재를 가압 및 가열하여 서로 융착되도록 하는 제2융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열가소성 복합재의 양단부를 잇는 수직선 길이는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의 폭과 대응됨을 특징으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융착부와 제2융착부는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양단부가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의 폭 방향 단부에 각각 융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융착부와 제2융착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 복합소재 테이프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복합소재 테이프 다방향 연속 공급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융착부와 근접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를 절단함과 동시에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KR1020110040831A 2011-04-29 2011-04-29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KR101202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831A KR101202964B1 (ko) 2011-04-29 2011-04-29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831A KR101202964B1 (ko) 2011-04-29 2011-04-29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91A KR20120122591A (ko) 2012-11-07
KR101202964B1 true KR101202964B1 (ko) 2012-11-20

Family

ID=4750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831A KR101202964B1 (ko) 2011-04-29 2011-04-29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40B1 (ko) * 2017-05-11 2020-04-29 (주)엘지하우시스 연속섬유 복합재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008Y1 (ko) 2001-04-14 2001-10-11 손재영 포장망 제조장치용 포장망펼침안내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008Y1 (ko) 2001-04-14 2001-10-11 손재영 포장망 제조장치용 포장망펼침안내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91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4674B2 (ja) 高度複合材のテーラードブランクの高速かつ自動化された製造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940119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eam member
KR20190049808A (ko) 선회 절단 장치를 사용하는 테이프 적층 장치 및 테이프 적층 방법
JP2008521656A (ja) 航空宇宙応用分野のテープ材料を敷設するための装置
CN106687268B (zh) 增强纤维片材制造装置
CN109906195B (zh) 带敷设设备和带敷设方法
CN109922946B (zh) 预浸片材制造装置
CA2720205A1 (en) Process for producing fibre preforms
JP6411677B1 (ja) 複合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材部品製造装置
CN110139742B (zh) 纤维材料的赋形装置和纤维材料的赋形方法
KR101202964B1 (ko)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US20200047435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ibre placement for the formation of fibre preforms
CN112026185A (zh) 超声波热塑性材料焊接方法、导能构件及其应用
JP4873879B2 (ja) 多軸多層補強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050156B1 (ko) 대형 프리폼의 제조 시스템
RU2632300C2 (ru) Уклад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яемой укладки пучков упрочняющих волокон
CN110191788B (zh) 纤维增强塑料的制造方法
KR102119772B1 (ko)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KR101348943B1 (ko) 판형 복합섬유용 절단기가 구비된 제직장치
KR101295048B1 (ko) 판형 복합섬유용 장력조절장치
JP6935620B2 (ja) 薄層プリプレグテープの自動積層方法及び装置
JP7300698B2 (ja) 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TW201313464A (zh) 強化纖維薄片、纖維強化複合材、強化纖維薄片之製造方法及纖維強化複合材之製造方法
US201903516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rmoplastic low porosity composite laminate
JP2017124570A (ja) 湾曲形状繊維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