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643B1 - headlamp of subway train - Google Patents

headlamp of subway tr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643B1
KR101202643B1 KR1020120012467A KR20120012467A KR101202643B1 KR 101202643 B1 KR101202643 B1 KR 101202643B1 KR 1020120012467 A KR1020120012467 A KR 1020120012467A KR 20120012467 A KR20120012467 A KR 20120012467A KR 101202643 B1 KR101202643 B1 KR 101202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convex surface
heat sink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Priority to KR102012001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6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6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PURPOSE: A headlight for an electric train is provide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headlamp by installing a window in front of a lens module to block wind and rainwater. CONSTITUTION: A heat sink(10) fixes a plurality of heat sinks(41). An LED board(D) is located in front of the heat sink. A lens module(K) is composed of a lens housing(20) and a lens(30). A window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lens module and blocks wind and rainwater. A converter(50) discharges heat by forming an additional heat radiation fin(51) outside.

Description

고효율의 전동차 전조등{headlamp of subway train}Headlamp of subway train

본 발명은 전동차의 전방을 밝히는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 빛의 밝기를 최대화시킨 고효율의 전동차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파워 LED전구에서 발생한 빛이 전동차의 전방으로 좁은 각도로만 직진할 수 있도록 볼록렌즈를 가진 랜즈를 통해서 빛을 모아 발산할 수 있도록 하고, 렌즈모듈을 포함한 렌즈브라켓이 각도조절구를 통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전동차의 전조등이 소망하는 시야 각도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한 고효율의 전동차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ight that illuminates the front of an electric vehicle, and relates to a high-efficiency electric vehicle headlight that maximizes the brightness of ligh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ight emitted from the power LED bulb to collect light through the lens with a convex lens so that it can go straight to the front of the electric vehicle only at a narrow angle, and the lens bracket including the lens module through the angle adjustment open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efficiency headlight of a high-efficiency vehicle, which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so that the headlight of the electric vehicle can easily obtain a desired viewing angle.

일반적으로 전동차의 경우 항상 어두운 지하터널을 지나야만 하기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높은 빛의 밝기를 가진 전조등이 필요하다. 전조등을 통해서 불을 밝히며 어두운 터널을 지나야 하기에 그러하다.
In general, electric cars always have to pass through a dark underground tunnel, so a high-light headlight is needed to secure the driver's vision. That's because you have to go through a dark tunnel with your headlights lit up.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전조등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류의 세기를 조절함으로 램프에서 발생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빛의 세기(=칸델라)가 높은 전구를 사용했던 것이다. 이는 전류의 낭비가 심하고 그 빛의 세기가 높지 못하여 먼거리까지 불을 비추기 힘들었다. 전동차의 경우 지하터널을 지나는 경우가 많기에 먼 거리까지 불을 비추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힘들었던 것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headlamps have many problems. In other words, by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lamp or to use a light bulb with a high intensity (= candela). This was a waste of current and the intensity of the light was not high, it was difficult to ignite a long distance. In the case of electric cars, they often pass underground tunnels, so it is important to ignite the fire over a long distance.

또한 요즘의 전조등은 램프를 사용함에 있어서, LED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LED전구를 채택한 전조등도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LED전구의 경우 LED기판에 고정되고 전류가 통전되면 빛이 발생되게 된다. 이때 발산되어 직진하는 LED전구의 빛은 사방으로 방사형으로 방출된다. 어느 일 방향으로만 직진을 하는 것이 아니다. 기판의 후방으로 빛이 방출될 수는 없지만 측면과 전방으로는 그 빛이 모두 동일하게 방출된다. 이 빛 중 측방으로 발산되는 빛은 사실상 전동차의 전방을 밝히는 빛이 되지 못하고 소진되는 것이다. 모든 빛이 전방으로 발산되어 전동차 운전자의 시야를 밝히지 못하여 전력의 낭비가 심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headlamps of today have many uses of LED bulbs, but the same problem occurs with the headlamps employing such LED bulbs. In the case of LED bulb, it is fixed to LED board and light is generated when current is applied. At this time, the light of the LED bulb which is emitted and goes straight is emitted radially in all directions. It's not just going straight in either direction. Although light cannot be emitted to the rear of the substrate, the light is emitted equally to both the side and the front. The light emitted to the side of the light is virtually exhausted rather than a light that illuminates the front of the train. All of the light is diverted forward and the electric vehicle driver's field of view can't be seen.

또한 기존의 전조등은 시야각도의 조절에 용이하지 못하였고, 간혹 물이 들어와 컨버터가 못쓰게 되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eadlights were not easy to adjust the viewing angle, and sometimes the water came in and the converter could not be used.

본 발명은 전동차의 전방을 밝히는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 빛의 밝기를 최대화시킨 고효율의 전동차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파워 LED전구에서 발생한 빛이 전동차의 전방으로 좁은 각도로만 직진할 수 있도록 볼록렌즈를 가진 랜즈를 통해서 빛을 모아 발산할 수 있도록 하고, 렌즈모듈을 포함한 렌즈브라켓이 각도조절구를 통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전동차의 전조등이 소망하는 시야 각도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한 고효율의 전동차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ight that illuminates the front of an electric vehicle, and relates to a high-efficiency electric vehicle headlight that maximizes the brightness of ligh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ight emitted from the power LED bulb to collect light through the lens with a convex lens so that it can go straight to the front of the electric vehicle only at a narrow angle, and the lens bracket including the lens module through the angle adjustment open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efficiency headlight of a high-efficiency vehicle, which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so that the headlight of the electric vehicle can easily obtain a desired viewing angle.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의 전동차 전조등은, 후방으로 다수의 방열판(41)을 고정한 원형의 히트싱크(10); 히트싱크(10)의 전방에 위치하되, 다수의 LED전구(77)가 고정되는 LED기판(D); LED기판(D)에 고정된 LED전구(77)에 포개어져, 볼록렌즈(L)를 통해서 LED전구(77)의 빛을 모아 수평방향으로 투사시키는 렌즈모듈(K); 렌즈모듈(K)의 전방에 고정되어 빛을 통과시키고 바람과 빗물의 침투를 차단하는 투시창(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좁은 사각으로 먼 거리까지 빛을 밝힌다.
The high-efficiency electric vehicle head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lar heat sink 10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sinks 41 are fixed to the rear; Located in front of the heat sink 10, the LED substrate (D) to which a plurality of LED bulbs 77 are fixed; A lens module (K) superimposed on an LED bulb (77) fixed to the LED substrate (D) to collect light of the LED bulb (77) through a convex lens (L) and project it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lens module (K) through a window 22 for passing the light and blocking the penetration of wind and rain wat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d the light to a long distance in a narrow square.

또한 본 발명 고효율의 전동차 전조등에 따른, 렌즈모듈(K)은, LED기판(D)의 전면에 끼워지는 다수의 렌즈하우징(20); 렌즈하우징(20)의 내측에 삽입되는 볼록렌즈(L)를 가진 렌즈(30);로 이루어지고 : 렌즈모듈(K)은, 몸체(21a)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광하협의 렌즈삽입공(22a)을 가진 원형 단면의 몸체(21a)와, 몸체(21a)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지지레그(23a) 및 지지레그(23a)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몸체(21a)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LED기판(D)에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관(24a)을 가진 렌즈하우징(20); 렌즈하우징(20)의 렌즈삽입공(22a)에 대응되게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외주면을 가진 렌즈바디(31a)와, 렌즈바디(31a) 전면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진 투사홈(32a)의 밑면은 볼록하게 중심부가 돌출되는 볼록면(35a)을 형성하고 렌즈바디(31a) 후면 중심부에서 상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진 LED전구안착홈(33a)의 상면은 중심부가 하단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대응볼록면(34a)을 형성하여 볼록면(35a)과 대응볼록면(34a)으로 인해 형성되는 볼록렌즈(L)를 가진 렌즈(30);로 이루어지며 : 렌즈모듈(K)에는, 렌즈하우징(20)의 렌즈삽입공(22a) 상단 내주면을 둘레로 일정깊이의 끼움홈(25a)을 형성하고, 일정한 각도를 두고 탄성핀부(26a)가 형성되도록 절개부를 형성하여; 삽입되는 렌즈(30)의 상단 외주면을 둘레로 돌출되는 끼움돌기(36a)가 상기 끼움홈(25a)에 끼워져 렌즈(30)가 렌즈하우징(20)에서 정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고, 탄성핀부(26a)가 끼움홈(25a)이 벌어지며 렌즈(30)의 삽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ens module (K) according to the high-efficiency electric vehicle head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lens housings (20) fit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ED substrate (D); Lens 30 having a convex lens (L)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ens housing 20; consisting of: the lens module (K), the lens insertion hole (22a) of the image light narrow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21a) LED board (D)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body (21a)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body (21a) and the support leg (23a) and the support leg (23a) protruding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21a) A lens housing 20 having an insertion tube 24a fixed to the lens housing; The lens body 31a having a taper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sides corresponding to the lens insertion hole 22a of the lens housing 20, and the projection groove 32a that is dug downward to a certain depth from the front center of the lens body 31a. The bottom surface forms a convex surface 35a with a convex center portion protrud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ED bulb seating groove 33a that is dug to a certain depth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rear center of the lens body 31a corresponds to the center convexly protruding downward. A lens 30 having a convex lens L formed by the convex surface 35a and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by forming the convex surface 34a; and consisting of: the lens module K, the lens housing ( A fitting groove 25a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ens insertion hole 22a of 20), and an incision is formed so that the elastic pin portion 26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itting protrusion 36a protruding arou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30 to be inserted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5a to allow the lens 30 to be positioned in the lens housing 20 and the elastic pin portion ( 26a) the insertion groove 25a is opened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lens 30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 고효율의 전동차 전조등에 따른, 볼록렌즈(L)를 형성하는 볼록면(35a)과 대응볼록면(34a)은, 볼록면(35a)이 대응볼록면(34a)에 비하여 그 지름이 크고 구배각도가 작도록 형성하여 LED전구(77)의 빛을 대부분 볼록면(35a)을 통과시키도록 유도하고 : 렌즈(30)의 렌즈바디(31a)에는 외주면에 거울면을 코팅하여 측방으로 투사되는 빛의 분산을 볼록면(35a)으로 반사시키도록 하며 : 투시창(22)은, 투시공(24)이 형성된 렌즈브라켓(23)의 상부로 고무패킹으로 면접시켜 밀착시키고, 이들을 수용하는 투시공(21b)을 가진 렌즈커버(21)를 씌워 고정시킨다.
In addition, the convex surface 35a and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forming the convex lens 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igh-efficiency electric vehicle headlamp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nvex surface 35a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The gradient angle is formed to be small to induce most of the light of the LED bulb 77 to pass through the convex surface (35a): the lens body (31a) of the lens 30 is projected to the side by coating a mirror surfac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reflection of light is reflected to the convex surface 35a: The see-through window 22 contacts the upper part of the lens bracket 23 on which the see-through hole 24 is formed by interviewing with rubber packing, and a see-through hole accommodating them. Cover the lens cover 21 with 21b) and fix it.

또한 본 발명 고효율의 전동차 전조등에 따른, 렌즈브라켓(23)에는, 일정한 각도를 두고 체결되는 볼트(31)가 렌즈커버(21)를 관통하고 돌출하여, 전동차의 전조등패널에 내측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 히트싱크(10)에는 외주면을 둘레로 플렌지부(11)를 형성하되, 히트싱크(10) 후방에 위치시키는 너트(36), 렌즈커버(21)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스크류볼트(35), 상기 스크류볼트(35)의 외주면에 감긴 탄성스프링(37)으로 이루어진 각도조절구(P)를 일정한 각도를 두고 다수 개 형성하여, 스크류볼트(35)를 회전시켜 렌즈모듈(K)의 빛 방사 각도를 조절할 수 이도록 하며 : 히트싱크(10)의 후방으로는 측면에 다수의 통풍공(42)이 형성된 바디캡(43)을 씌우고, 바디캡(43)의 상단으로 컨버터(50)를 체결하여 컨버터(50)에 열이나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in the lens bracket 23 according to the high efficiency electric head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lt 31 fast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penetrates and protrudes through the lens cover 21 to be coupled to the headlight panel of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inside. The heat sink 10 has a flange portion 11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the nut 36 positioned behind the heat sink 10 and a screw bolt penetrating rearward from the front of the lens cover 21 ( 35) by forming a plurality of angle adjusting holes (P) made of an elastic spring (37)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bolt 35 at a predetermined angle, by rotating the screw bolt 35 of the lens module (K) To adjust the light emission angle: to the rear of the heat sink (10) to cover the body cap 4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42 on the side, fastening the converter 50 to the top of the body cap 43 This prevents heat or moisture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converter 50.

또한 본 발명 고효율의 전동차 전조등에 따른, 컨버터(50)는, 그 외부로 별도의 방열핀(51)을 형성하여 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 히트싱크(10)에 후방에 씌워지는 바디캡(43)은 히트싱크(10)에 형성되는 단턱부(53)에 단열리테이너(52)를 끼워 면접하도록 하여 단열은 물론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In addition, the converter 50 according to the high-efficiency electric vehicle head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eparate heat dissipation fin 51 to the outside to facilitate heat dissipation: a body cap 43 that is covered behind the heat sink 10. The thermal insulation retainer 52 is fitted to the stepped portion 53 formed on the heat sink 10 to be interviewed to improve heat insulation as well as watertightness.

본 발명에 따라, 전동차의 전조들을 통해서 보다 멀리 좁은 범위로 빛을 모아 수평으로 발산시켜 보다 환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brighter field of view can be secured by collecting light in a narrower range farther through the precursors of the electric vehicle and radiating it horizontally.

본 발명에 따라, 겨울철이나 여름 우빙기에도 전조등의 내부로 침부하는 수분이나 습기를 차단할 수 있기에 전조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urability of the headlamp can be improved because it can block moisture or moisture settling into the headlamp even in the winter or summer raining season.

본 발명에 따라, 전조등이 비치는 빛의 각도를 각도조절구의 스크류볼트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을 이용하여 달성하였기에 각도조절의 용이성과 그 내구성을 향상시켰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gle of the light shining of the headlight is achieved using only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the screw bolt of the angle adjusting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ease of angle adjustment and its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전조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조등이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전조등의 내부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조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전조등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전조등에 내장되는 렌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조등에 내장되는 렌즈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전조등에 내장되는 렌즈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조등에 내장되는 렌즈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전조등이 빛을 발산하는 영역을 촬영한 사신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렌즈모듈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렌즈가 LED전구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how the head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angl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upling structure of the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lens built in the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ens built in the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ens housing built in the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ens housing built in the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reaper drawing photographing the area in which the head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emits light,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LED bulb.

본 발명은 전동차의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amp of an electric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의 설명을 도시된 도 1 내지 도 12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cription of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도시된 것처럼, 후방으로 다수의 방열판(41)을 고정한 원형의 히트싱크(10);As shown, a circular heat sink 10 fixed to the plurality of heat sink 41 in the rear;

히트싱크(10)의 전방에 위치하되, 다수의 LED전구(77)가 고정되는 LED기판(D)이 있고, LED기판(D)에 고정된 LED전구(77)에 포개어져, 볼록렌즈(L)를 통해서 LED전구(77)의 빛을 모아 수평방향으로 투사시키는 렌즈모듈(K)이 있으며, 렌즈모듈(K)의 전방에 고정되어 빛을 통과시키고 바람과 빗물의 침투를 차단하는 투시창(22)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좁은 사각으로 먼 거리까지 빛을 밝힐 수 있다.
Located in front of the heat sink 10, there is an LED substrate (D) to which a plurality of LED bulbs 77 are fixed, and is superimposed on the LED bulb 77 fixed to the LED substrate (D), convex lens (L) There is a lens module (K) for collecting the light of the LED bulb 77 and projec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and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lens module (K) to pass the light and block the penetration of wind and rain water (22) There i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light up to a long distance in a narrow square.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전동차의 차량 전방에 장착되어 차량이 이동 중에서 운전자에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조등(100)에 관한 것이다. 전동차의 경우 그 속도가 빠르고 항상 지하의 터널을 이동하는 경우가 많기에 전조등(100)이 밝아야 하는 것은 기본적인 사항이다. 더군다나 어두운 터널을 지나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시야를 보다 먼 범위까지 확보시켜야만 한다. 지나치는 터널의 넓이는 항상 한정된 상태이기에 넓은 범위의 시야각도 확보는 사실상 큰 필요가 없다. 터널 내부에서 전동차가 선로의 상부로만 달릴 수 있기에 좌우 폭의 넓은 시야각도 확보는 현실적으로 큰 필요가 없는 것이다. 결국 이렇게 전동차의 쓰임에 따라 전조등(100)을 제작함에 있어서, 전동차 전조등(100)은 보다 멀리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높은 칸델라의 전구를 필요로 하고, 이 빛을 정확하게 모아 좁은 범위로 발산시키는 것이 주요한 핵심사항이다.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amp 100 that is mounted in front of a vehicle of an electric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 secure a field of view to the driver while moving. In the case of the electric car is fast, the headlight 100 should be bright because the speed is often to move the tunnel of the underground always. Furthermore, to get through a dark tunnel, the driver's field of vision must be further extended. Since the width of the tunnel that is passed is always limited, securing a wide range of viewing angles is not really necessary. Since the electric car can run only on the upper part of the track inside the tunnel, securing a wide viewing angle of right and left widths does not have to be practically necessary. As a result, in manufacturing the headlight 100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lectric vehicle, the electric headlight 100 requires a high-candela bulb that can emit light farther, and accurately collects the light and emits it in a narrow range. It is a key point.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렌즈모듈(K)을 이용한다. 고효율의 파워 LED전구(77)의 전방에 렌즈모듈(K)을 설치하고, 이 렌즈모듈(K)에서 빛을 모아 전방으로만 빛을 발산시키는 것이다. 가장 간단한 구조는 도시된 도 1과 2에서와 같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ens module (K) as shown. The lens module K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high-efficiency power LED bulb 77, and the light is collected from the lens module K to emit light only to the front. The simplest structure is as in FIGS. 1 and 2 shown.

LED전구(77)란 많은 량의 열을 발생시키기에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히트싱크(10)가 결합된다. 즉, 원판형의 형태를 한 히트싱크(10)의 전방에 LED기판(D)을 체결한다. 상기 히트싱크(10)의 경우 열을 발생시키는 LED기판(D)과 면접하는 면 타측으로 다수의 방열판(41)을 일체로 성형하여 열의 배출을 돕는다. 상기 LED기판(D)에는 다수의 LED전구(77)가 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LED전구(77)의 전방으로 도시된 렌즈모듈(K)이 장착된다. 슈퍼 LED전구(77)가 밝은 빛을 발산시키면, 상기 빛을 모아 렌즈모듈(K)이 전방으로만 방사시키는 것이다. 방사시에도 넓은 범위로 방사시키는 것이 아니고, 좁은 범위 내로 빛을 모아 빛을 방사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렌즈모듈(K)을 형성함에 있어서 볼록렌즈(L)를 활용하였다. 빛을 모아서 좁은 점의 형태로 방사시켜 방사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사용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전조등(100)은 보다 멀리 전조등(100)의 빛을 보낼 수 있다. 높은 칸델라의 빛을 이용하여 전동차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렌즈모듈(K)의 전방에는 투시창을 형성하여 빗물의 침투나 바람의 침투를 차단한다.
LED bulb 77 generates a large amount of heat is coupled to the heat sink 10 for releasing heat. That is, the LED substrate D is fastened in front of the heat sink 10 having a disk shape. In the case of the heat sink 10, a plurality of heat sinks 41 are integrally mold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the LED substrate D generating heat to help discharge heat. A plurality of LED bulbs 77 are fastened to the LED substrate D, and the lens module K shown in front of the LED bulbs 77 is mounted. When the super LED bulb 77 emits bright light, the light is collected and the lens module K radiates only forward. When radiating, it does not radiate in a wide range, but collects light in a narrow range to emit ligh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convex lens (L) in forming the lens module (K). It collects and radiates light in the form of narrow dots. Due to the use of this method, the headlam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nd the light of the headlamp 100 farther. By using the high light of Candela, you can secure the view of the electric car driver.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lens module (K) forms a see-through window to block rainwater penetration or wind penetration.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세밀한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Then, a more detail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drawings shown.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렌즈모듈(K)은, LED기판(D)의 전면에 끼워지는 다수의 렌즈하우징(20)이 있고, 렌즈하우징(20)의 내측에 삽입되는 볼록렌즈(L)를 가진 렌즈(30)로 이루어진 것다.The lens module 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lens housings 20 fit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ED substrate D, and has a convex lens L inserted into the lens housing 20. It is made of a lens (30).

렌즈모듈(K)을 2개의 구성요소로 실시한 것이다. 전류 공급을 위한 LED기판(D)에 다수의 LED전구(77)를 결합시키고, 이 슈퍼 LED전구(77)에서 발생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렌즈를 밀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렌즈가 LED기판(D)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한번 위치가 고정되면 이동이 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렌즈하우징(20)을 형성한다. 렌즈하우징(20)의 내부에 렌즈(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렌즈하우징(20)을 LED기판(D)에 끼워 결합하여 하나의 렌즈(30)가 항상 하나의 LED전구(77)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lens module K is implemented by two components. The plurality of LED bulbs 77 are coupled to the LED substrate D for supplying current, and the lenses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generated by the super LED bulbs 77 are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lens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LED substrate (D), and once the position is fixed to form a lens housing 20 for coupling so as not to move. The lens housing 20 is fitted to the LED substrate D while the lens 3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ens housing 20 so that one lens 30 is always in front of one LED bulb 77. Is to be located in.

이러한 상기 렌즈모듈(K)은, 몸체(21a)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광하협의 렌즈삽입공(22a)을 가진 원형 단면의 몸체(21a)와, 몸체(21a)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지지레그(23a) 및 지지레그(23a)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몸체(21a)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LED기판(D)에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관(24a)을 가진 렌즈하우징(20)으로 실시되고, 렌즈하우징(20)의 렌즈삽입공(22a)에 대응되게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외주면을 가진 렌즈바디(31a)와, 렌즈바디(31a) 전면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진 투사홈(32a)의 밑면은 볼록하게 중심부가 돌출되는 볼록면(35a)을 형성하고 렌즈바디(31a) 후면 중심부에서 상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진 LED전구안착홈(33a)의 상면은 중심부가 하단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대응볼록면(34a)을 형성하여 볼록면(35a)과 대응볼록면(34a)으로 인해 형성되는 볼록렌즈(L)를 가진 렌즈(30)로 실시된다.
The lens module (K), the body 21a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having a lens insertion hole 22a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21a), and the support leg (23a) protruding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21a) ) And a lens housing 20 having an insertion tube 24a which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21a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support leg 23a a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LED substrate D. The lens housing 20 The lens body 31a having a taper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sides corresponding to the lens insertion hole 22a of the < RTI ID = 0.0 >),< / RTI > and the underside of the projection groove 32a that is recessed to a certain depth downward from the front center of the lens body 31a are convex. The upper surface of the LED bulb seating groove 33a which forms a convex surface 35a through which the center portion protrudes and is dug to a certain depth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lens body 31a has a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with the center protruding convexly to the bottom. Is formed by the convex surface 35a and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It is implemented with the lens 30 with the convex lens L.

도시된 도 6 내지 12에서처럼, 렌즈모듈(K)은 렌즈(30)와 렌즈하우징(20)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결합되는 형태는 다음과 같다. 6 to 12, the lens module K is composed of a lens 30 and the lens housing 20, the combined form is as follows.

렌즈하우징(20)은 원통형의 형태이되 내부에 렌즈삽입공(22a)이 형성된다. 이 렌즈삽입공(22a)은 상광하협의 형태로 상부는 넓고 하부는 그 지름이 좁다. 원뿔형은 아니지만 테이퍼진 형태이다. 이러한 렌즈하우징(20)은 하단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레그(23a)와 삽입관(24a)이 형성된다. 삽입관(24a)은 LED기판(D)에 형성된 삽입공에 대응되기에 상기 삽입관(24a)이 삽입공에 끼워져 위치를 확보한다. 삽입관(24a)이 삽입공에 끼워지게 되면 렌즈하우징(20)은 LED기판(D)에서 흔들리지 않고 정 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일정한 깊이까지 삽입관(24a)이 끼워지게 되면 지지레그(23a)가 LED기판(D)에 면접하여 정확한 위치를 가진다.
The lens housing 20 has a cylindrical shape but a lens insertion hole 22a is formed therein. The lens insertion hole 22a has a wide upper portion and a lower narrow diameter in the form of a light receiving narrow. It is not conical but tapered. The lens housing 20 is formed with a support leg 23a and the insertion tube 24a as shown at the bottom. The insertion tube 24a corresponds 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LED substrate D, so that the insertion tube 24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o secure a position. When the insertion tube 24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e lens housing 20 is secured in the LED substrate D without being shaken. When the insertion tube 24a is inserted to a certain depth, the support leg 23a is interviewed with the LED substrate D to have an accurate position.

상기 렌즈하우징(20)의 렌즈삽입공(22a)에는 렌즈(30)가 끼워진다. 이 렌즈(30)도 도시된 것처럼 렌즈삽입공(22a)의 형태와 동일하다. 렌즈(30)의 외주면 형상도 상광하협의 형상이기에 상기 렌즈삽입공(22a)에 끼워 넣으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중요한 사항이 있다.
The lens 30 is fitted into the lens insertion hole 22a of the lens housing 20. This lens 30 also has the same shape as the lens insertion hole 22a as shown.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30 is also a shape of an image light lower narrow, it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lens insertion hole 22a. There is an important point here.

본 발명의 렌즈(30)는 도시된 도 6, 7, 11 및 12에 도시된 것처럼, 투사홈(32a)과 LED전구안착홈(33a)이다. 투사홈(32a)은 렌즈(30)의 상부 즉, 지름이 넓은 광폭의 상단부에서 하단으로 파진 홈이고, LED전구안착홈(33a)은 렌즈(30)의 하부 즉, 지름이 좁은 협폭의 하단부에서 상단으로 파진 홈이다. 상부의 투사홈(32a)의 저면은 상부로 볼록한 형태의 볼록면(35a)이 형성된다. 하부의 LED전구안착홈(33a)도 상면은 하단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대응볼럭면(34a)이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봐서는 마치 볼록렌즈(L)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렌즈(3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단면에서만 나타날 수 있는 볼록렌즈(L)가 형성되는 것이다. 대응볼록면(34a)과 볼록면(35a)으로 형성되는 볼록렌즈(L)이다.
The lens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jection groove 32a and an LED bulb seating groove 33a, as shown in FIGS. 6, 7, 11 and 12 shown. The projection groove 32a is an upper portion of the lens 30, that is, a groove which is recessed from the upper end of the wider diameter to the lower end, and the LED bulb seating recess 33a is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30, that is, at the lower end of the narrow diameter. It is a groove to the top.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rojection groove 32a is formed with a convex surface 35a having a convex shape. The upper surface of the LED bulb seating groove (33a) of the lower surface is formed with a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protruding convexly to the bottom. As a whole, it is formed like a convex lens (L).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ns 30, the convex lens (L) that can appear only in the cross-section is formed. It is a convex lens L formed of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and the convex surface 35a.

이 렌즈(30)가 렌즈하우징(20)에 장착된 상태에서 LED기판(D)에 결합하게 되면, 도시된 도 11과 12와 같은 형상이 된다. 도 12의 단면도에서처럼 기판의 상단에 고정되는 LED전구(77)의 상단에 올려지는 렌즈(30)는 그 하단에 형성되는 LED전구안착홈(33a)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수용되어 불을 밝히게 되면 상기 렌즈(30)의 불빛은 LED기판(D)의 배면이 아닌 전방과 측방으로 그 불빛을 밝히게 된다. 이때 이 불빛 중 전방으로 방사되는 빛은 대응볼록면(34a)을 거치고 볼록면(35a)을 지나 볼록렌즈(L)의 투사형태에서처럼 하나의 점으로 빛을 모으게 되는 것이다. 대응볼록면(34a)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빛도 볼록렌즈(L)의 두꺼운 부분으로 방향이 꺾이어 촛 점을 맞추는 것이다.
When the lens 30 is coupled to the LED substrate D in a state in which the lens 30 is mounted on the lens housing 20, the lens 30 has a shape as shown in FIGS. 11 and 12.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 the lens 30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LED bulb 77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bstrate is accommodated inside the LED bulb seating groove 33a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When the light is received and the light is illuminated, the light of the lens 30 illuminates the light toward the front and the side rather than the back of the LED substrate D.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d to the front of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and passes through the convex surface (35a) to collect the light as a single point as in the projection form of the convex lens (L). The light deviating from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is also turned to focus on the thick portion of the convex lens L.

이러한 방식의 렌즈(30)에 따라 본 발명의 전조등(100)은 비록 넓은 시야를 확보하지는 않지만 빛을 집중하여 먼 거리까지 불을 밝힐 수 있도록 한다. 다수의 LED전구(77)가 본 발명의 LED기판(D)에 결합되기에 사실상 터널의 내부를 달리는 전동차의 시야 폭도 작지는 않다. 비교적 넓은 범위의 폭으로 빛을 방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lens 30 in this manner, the headlam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righten the light to a far distance by concentrating light, although it does not secure a wide field of view. Since the plurality of LED bulbs 77 are coupled to the LED substrate 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 width of the electric vehicle running inside the tunnel is not small. The driver's vision is obtained by emitting light in a relatively wide range.

또한 본 발명의 볼록렌즈(L)는 더욱 세밀하게 실시하여 그 효과를 증폭시킨다. 즉, 볼록렌즈(L)를 형성하는 볼록면(35a)과 대응볼록면(34a)은, 볼록면(35a)이 대응볼록면(34a)에 비하여 그 지름이 크고 구배각도가 작도록 형성하여 LED전구(77)의 빛을 대부분 볼록면(35a)을 통과시키도록 유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vex lens (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more detail to amplify the effect. That is, the convex surface 35a and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forming the convex lens L are formed so that the convex surface 35a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and the gradient angle is smaller. Most of the light of the bulb 77 is guided to pass through the convex surface (35a).

볼록면(35a)은 대응볼록면(34a)에 비하여 큰 지름을 형성하기에 투사홈(32a)의 지름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구배각도는 볼록면(35a)이 대응볼록면(34a)에 비하여 넓은 지름인 만큼 작게 형성하여 굴절을 조절한다. 볼록면(35a) 외측으로 진입한 즉, 렌즈(30)의 몸체 부위로 진입되는 빛도 볼록면(35a)을 거치며 촛 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러한 배려를 한 것이다. 이러한 렌즈(30)의 구조적인 형태에 의해서 본 발명의 LED전구(77)의 빛은 방사하는 LED전구(77)의 빛을 모아 수평된 일 방향으로 길게 분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convex surface 35a forms a larger diameter of the projection groove 32a to form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In addition, the gradient angle is formed so that the convex surface (35a)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to control the refraction. This consideration has been taken to ensure that light entering the convex surface 35a, ie, entering the body portion of the lens 30, can also be focused through the convex surface 35a. By the structural form of the lens 30, the light of the LED bulb 77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light of the emitting LED bulb 77 and serves to eject in a long horizontal direction.

나아가 본 발명의 렌즈는 렌즈(30)의 렌즈바디(31a)에는 외주면에 거울면을 코팅하여 측방으로 투사되는 빛의 분산을 볼록면(35a)으로 반사시키도록 한다.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는 렌즈바디(31a)의 외주면에 거울면을 코팅하는 것이다. 이는 방사형으로 분출되는 LED전구(77)의 빛 중 전방으로 분출되어 대응볼록면(34a)을 지나는 빛을 배려한 사항이 아니다. 측방으로 분출되어 렌즈바디(31a)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빛을 위한 것이다. 렌즈바디(31a)를 타고 측방으로 배출되어 나가던 빛은 외주면에 형성된 거울면에 의해서 반사되어 다시 렌즈(30)의 중심부분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넓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대응볼록면(34a)을 거치며 촛 점이 조절되어 수평으로 방사하게 된다.
Furthermore,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ats a mirror surfa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body 31a of the lens 30 to reflect the dispersion of light projected laterally to the convex surface 35a. The mirror surface is co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body 31a formed in the form of an image light lower narrow. This is not a matter of considering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is emitted to the fron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bulb 77 radially. The light is emitted to the side and exits to the outside of the lens body 31a. The light emitted to the side through the lens body 31a is reflected by the mirror surfa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enters the central portion of the lens 30 again. At this time, it passes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formed with a wide diameter. The focus is adjusted to radiate horizontally.

이러한 본 발명의 빛의 방사 형태를 실험한 자료가 도시된 도 11의 (c)에서처럼 방사되는 빛의 범위가 좁다. 렌즈(30)를 통해서 방사형으로 방사되는 LED전구(77)의 빛을 볼록렌즈(L)의 촛 점으로 모은 것이다. 이렇게 모아진 빛은 보다 멀리 빛을 방사시키고 높은 빛의 세기(칸델라)를 가지게 된다.
As shown in (c) of FIG. 11, in which the data of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sted, the range of light emitted is narrow. The light of the LED bulb 77 radiated radially through the lens 30 is collected by the focus of the convex lens (L). The collected light emits light farther and has a higher intensity (candela).

또한 본 발명의 렌즈모듈(K)은 그들의 결합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다. 서로 견고히 결합되어 고속으로 달리는 전동차의 전조등(100)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렌즈모듈(K)에는, 렌즈하우징(20)의 렌즈삽입공(22a) 상단 내주면을 둘레로 일정깊이의 끼움홈(25a)을 형성하고, 일정한 각도를 두고 탄성핀부(26a)가 형성되도록 절개부를 형성하여, 삽입되는 렌즈(30)의 상단 외주면을 둘레로 돌출되는 끼움돌기(36a)가 상기 끼움홈(25a)에 끼워져 렌즈(30)가 렌즈하우징(20)에서 정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고, 탄성핀부(26a)가 끼움홈(25a)이 벌어지며 렌즈(30)의 삽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lens module (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upling structure as follows for their coupling. This is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headlight 100 of the electric vehicle running at high speed is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in the lens module K, a fitting groove 25a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ens insertion hole 22a of the lens housing 20, and the elastic pin portion 26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forming an incision, the fitting protrusion 36a projecting arou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30 to be inserted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5a so that the lens 30 can be fixed in the lens housing 20. And, the elastic pin portion (26a) is the fitting groove (25a) is opened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lens 30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렌즈모듈(K)은 전술한 것처럼 렌즈하우징(20)과 렌즈(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렌즈하우징(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렌즈삽입공(22a)에 렌즈(30)를 밀어 넣는 형태로 결합시킨다. 렌즈(30)는 렌즈삽입공(22a)에 끼워져 빠지지 않고 이리저리 이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바로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렌즈(30)의 외주면을 둘레로 돌출되는 돌기라인인 끼움돌기(36a)를 형성한다. 렌즈(30)의 최상단 외주면에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대응되는 렌즈하우징(20)에는 끼움홈(25a)을 형성한다. 이 끼움홈(25a)은 렌즈하우징(20)의 렌즈삽입공(22a) 상단 내주면을 둘레로 하나의 라인으로 파진다. 상기 렌즈(30)가 렌즈삽입공(22a)에 끼워지게 되면 렌즈(3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끼움돌기(36a)가 렌즈삽입공(22a)의 끼움홈(25a)에 끼워져 밀착되는 구조이다. 이때 렌즈(30)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렌즈하우징(20)의 최상단에는 탄성핀부(26a)를 형성한다. 렌즈하우징(20)의 렌즈삽입공(22a) 최상단에 형성되는 끼움홈(25a)을 수직방향으로 절개하는 절개부를 다수 개 형성하는 것이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시켜 렌즈(30)의 외주면이 렌즈삽입공(22a)에 끼워질 때, 그 외주면으로 렌즈삽입공(22a)의 내주면을 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탄성핀부(26a)에 의해서 렌즈삽입공(22a)의 내주면이 넓어지면서 렌즈(30)의 외주면이 용이하게 삽입되면 탄성핀부(26a)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렌즈(30)의 끼움돌기(36a)가 끼움홈(25a)에 클릭 감을 가지고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은 보다 용이하게 렌즈(30)를 끼울 수 있으면서, 그 체결의 견고함과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Lens module (K) is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lens housing 20 and the lens 30 as described above, the form of pushing the lens 30 into the lens insertion hole 22a formed inside the lens housing 20 Combine with It is important that the lens 30 is not inserted into the lens insertion hole 22a and does not move around. For this very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itting protrusion 36a which is a protrusion line projecting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30. A proj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most end of the lens 30. A corresponding fitting groove 25a is formed in the lens housing 20 corresponding thereto. The fitting groove 25a is excavated in one line arou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ens insertion hole 22a of the lens housing 20. When the lens 30 is fitted into the lens insertion hole 22a, the fitting protrusion 36a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30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5a of the lens insertion hole 22a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after the lens 30 is more easily inserted and inserted, an elastic pin portion 26a is formed at the top of the lens housing 20 in order to maintain a firmly coupled state. A plurality of cutouts for vertically cutting the fitting groove 25a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ens insertion hole 22a of the lens housing 20 are formed. It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wh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30 is fitted into the lens insertion hole 22a,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insertion hole 22a can be widen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Wh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insertion hole 22a is widened by the elastic pin portion 26a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30 is easily inserted,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in portion 26a is applied to the fitting protrusion 36a of the lens 30. The fitting groove 25a is fitted with a click feeling.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asily fit the lens 30, while improving the firmness and durability of its fastening.

한편 본 발명의 투시창(22)은, 투시공(24)이 형성된 렌즈브라켓(23)의 상부로 고무패킹으로 면접시켜 밀착시키고, 이들을 수용하는 투시공(21b)을 가진 렌즈커버(21)를 씌워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시된 도 1 내지 5에서처럼 렌즈브라켓(23)은 평판의 도넛 형태이다. 가운데가 구멍이 뚫려 렌즈모듈(K)에서 나오는 빛을 통과시킨다. 그런데 이렇게 완전히 렌즈모듈(K)이 공기에 노출된 상태라면 비, 바람에 의해서 수분을 먹고 컨버터나 기타 전자기기에 이상이 생길 소지가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 상기 렌즈브라켓(23)의 상부에 투시창(22)을 밀착시키게 되는데, 이 렌즈브라켓(23)과 투시창(22)의 면접부위에 고무패킹을 내장시켜 견고하게 밀착시킨다. 투시창 면을 흘러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그 상단으로 렌즈커버(21)를 씌워 미감과 견고함을 향상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see-through window 2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ns cover 21 having a see-through hole 21b for contacting and contacting the rubber bracke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ens bracket 23 on which the see-through hole 24 is formed. It is fixed. 1 to 5, the lens bracket 23 is in the form of a donut in a flat plate. A hole in the center passes through the light from the lens module (K). However, if the lens module (K) is completely exposed to air, it may cause moisture by rain and wind, and may cause abnormalities in convert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In order to prepare for this, the viewing window 2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lens bracket 23, and the rubber bracket is built in the interview portion of the lens bracket 23 and the viewing window 2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is is to prevent the water from penetrating the side of the viewing window. And the lens cover 21 is covered with the upper end to improve the aesthetics and firmness.

렌즈커버(21)의 경우도 중심부에 투시공(21b)을 가지고 있기에 투시창(22)을 통과한 빛이 전동차의 전방을 효과적으로 비출 수 있도록 한다.
In the case of the lens cover 21 also has a see-through hole 21b in the center so tha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 22 can effectively shed the front of the electric vehicle.

한편 렌즈브라켓(23)에는, 일정한 각도를 두고 체결되는 볼트(31)가 렌즈커버(21)를 관통하고 돌출하여, 전동차의 전조등패널(미도시)에 내측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렌즈브라켓(23)의 내측 즉, 렌즈모듈(K)측에서 렌즈커버(21)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트가 장착된다. 일정한 각도를 두고 다수 개가 장착되는데, 이 볼트는 끝단이 스크류가 형성된다. 전동차의 전조등(100)은 전동차의 전조등패널 내측에 수용되는데, 수용되어 내측에서 돌출되는 상기 볼트에 전조등패널이 장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고 수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ens bracket 23, the bolt 31 which is fast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penetrates and protrudes through the lens cover 21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eadlamp panel (not shown) of the electric vehicle. A bolt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lens bracket 23, that is, from the lens module K side toward the lens cover 21 is mounted. Multiple pieces are mounted at an angle, and these bolts are screwed at the ends. The headlamp 100 of the electric vehicle is accommodated inside the headlight pane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headlamp panel is firmly coupled and accommodated to the bolt that is received and protrudes from the inside.

외측에서 볼트로 조여 결합시키는 방식도 실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내측에 수용된 전조등(100)을 내부에서 외부의 전조등패널에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하였다.
The method of tightening by bolts from the outside can also be carried out, but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hown a method of fastening the headlamp 100 accommodated in the inner side to the external headlamp panel.

한편 본 발명의 전조등(100)은 전술된 것처럼, 수평의 광선으로 빛을 발산시켜 칸델라를 높이는 발명이고, 내측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수밀성도 보장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전조등(100)은 빛을 발산시키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즉, 히트싱크(10)에는 외주면을 둘레로 플렌지부(11)를 형성하되, 히트싱크(10) 후방에 위치시키는 너트(36), 렌즈커버(21)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스크류볼트(35), 상기 스크류볼트(35)의 외주면에 감긴 탄성스프링(37)으로 이루어진 각도조절구(P)를 일정한 각도를 두고 다수 개 형성하여, 스크류볼트(35)를 회전시켜 렌즈모듈(K)의 빛 방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headlam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n invention to increase the candela by radiating light with a horizontal light beam, and also ensures the watertightness to prevent water penetrating inward. In addition, the headlam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function to adjust the angle to emit light. That is, the heat sink 10 has a flange portion 11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the nut 36 positioned behind the heat sink 10, and the screw bolt penetrating rearward from the front of the lens cover 21 ( 35) by forming a plurality of angle adjusting holes (P) made of an elastic spring (37)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bolt 35 at a predetermined angle, by rotating the screw bolt 35 of the lens module (K) The angle of light emission can be adjusted.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전동차의 경우 환경에 따라서 전조등(100)에서 빛을 발산될 때, 그 투사되는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전조등(100)은 간단하게 스크류볼트(35)를 회전시키는 작동만으로 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히트싱크(10)의 외곽부로는 그 지름을 연장하는 플렌지부(11)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스크류볼트(35)의 끝단이 바로 이 히트싱크(10)의 플렌지부(11)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 스크류볼트(35)는 상기 플렌지부(11)를 돌면서 일정한 각도를 두고 다수 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시된 도면에서는 3개의 스크류볼트(35)를 결합시키고 있는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스크류볼트(35)는 머리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나오게 된다. 랜즈커버(21)의 외부로 나올 수도 있고, 랜즈커버(21)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 스크류볼트(35)의 외주면에는 도시된 탄성스프링(37)이 감겨진 상태인데, 이 탄성스프링(37)은 복원력을 위해서 필요하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headlamp 100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rojected angle. At this time, the headlam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simply by the operation of simply rotating the screw bolt (35). As shown, the outer portion of the heat sink 10 is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11 extending its diameter, the end of the screw bolt 3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lange portion 11 of this heat sink 10 Installed through. A plurality of screw bolts 35 are formed at predetermined angles while rotating the flange portion 11. In the illustrated fig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screw bolts 35 are coupled, but not limited thereto. The screw bolt 35 has a head protrudes forward. It may come out of the lens cover 21, or may be maintained in the interior of the lens cover 21. The elastic spring 37 shown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bolt 35, and this elastic spring 37 is required for the restoring force.

만일 작업자가 일정한 각도를 벌려 고정된 스크류볼트(35)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스크류볼트(35)는 회전하면서 플렌지부(11)의 후방에 위치하는 너트(36)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주게 된다. 잡아당기게 되면 플렌지부(11)도 같은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밀어주게 되면 탄성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플렌지부(11)도 동일한 방향으로 밀어진다.
If the worker rotates the fixed screw bolt 35 by opening a predetermined angle, the screw bolt 35 is to rotate or pull or push the nut 36 located behind the flange portion (11). When pulled out, the flange 11 is also pulled in the same direction, and when pushed, the flange 11 is pushed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37.

이때 만일 당겨지는 방향으로 힘이 주어지면 스크류볼트(35)에 의해서 상기 렌즈모듈(K)을 포함한 LED기판(D)이 같이 당겨져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일정한 각도를 두고 다수 개의 스크류볼트(35)가 체결된 상태이기에 이들을 조절하여 정확한 각도를 잡을 수 있다.
At this time, if a force is applied in the pulling direction, the LED board (D) including the lens module (K) is pulled together by the screw bolt 35 to adjust the angle. Since a plurality of screw bolts 35 are fast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y can be adjusted to obtain an accurate angle.

또한 히트싱크(10)의 후방으로는 측면에 다수의 통풍공(42)이 형성된 바디캡(43)을 씌우고, 바디캡(43)의 상단으로 컨버터(50)를 체결하여 컨버터(50)에 열이나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과 같은 LED전구(77)를 사용하는 전조등(100)은 그 전구에서 발생되는 빛의 세기가 크기에 열이 많이 발생된다. 열이 발생되면 전류를 공급하는 컨버터(50)에 무리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컨버터(50)는 열원에서 보다 먼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열의 방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LED기판(D)의 후방에 히트싱크(10)를 장착하고, 히트싱크(10)에 형성된 방열판(41)을 통해서 전구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시킨다. 그리고 방출되는 열이 컨버터(50)에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방열판(41)의 외부를 수용하는 별도의 바디캡(43)을 씌운 것이다. 바디캡(43)의 측면에서 열의 분산을 위해서 다수의 통풍공(42)을 형성한 상태이기에 열의 분산에 도움을 준다.
In addition, the rear side of the heat sink 10 covers the body cap 43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42 formed on the side, and fastens the converter 50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cap 43 to heat the converter 50. Prevents the transfer of moisture That is, the headlamp 100 using the LED bulb 77 as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lot of heat in the intensity of light generated from the bulb. When heat is genera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verter 50 for supplying current may be genera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vert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t a position farther from the heat source.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the heat sink 10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LED substrate D, and heat generated from the bulb is released through the heat sink 41 formed on the heat sink 10. And to cover the body cap 43 to accommodate the outside of the heat sink 41 so that the heat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verter (50). Since a plurality of vent holes 42 are formed to disperse heat at the side of the body cap 43, it helps to disperse heat.

이 바디캡(43)의 후방에는 도시된 본 발명의 컨버터(50)가 체결되는데, 이러한 배려는 모두 LED전구(77)에서 발생된 열이 컨버터(5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구에서 발생된 열이 컨버터(50)로 전달되면 컨버터(50)의 기능에 이상이 생길 소지가 있고, 내구성이 약화될 소지가 높다.
The convert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rear of the body cap 43 is fastened, all of these concerns to preven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ED bulb 77 is transmitted to the converter 50. When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bulb is transferred to the converter 5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unction of the converter 50 may be abnormal, and durability may be weakened.

그리고 그 컨버터(50)는, 그 외부로 별도의 방열핀(51)을 형성하여 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본 발명의 컨버터(50)도 별도의 방열핀(51)이 결합된다. 열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컨버터(50)에서도 자체적으로 열이 발생되고, 전구에서 전달된 열이 보다 빨리 발산하여 전자기기의 작동에 무리를 제공할 여지를 없앤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verter 50 forms a separate heat dissipation fin 51 outside thereof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heat. As shown in the figure, a separate heat dissipation fin 51 is also coupled to the convert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disperse heat. In the converter 50 itself, heat is generated, and heat transmitted from the bulb is dissipated faster, thus eliminating room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한편, 히트싱크(10)에 후방에 씌워지는 바디캡(43)은 히트싱크(10)에 형성되는 단턱부(53)에 단열리테이너(52)를 끼워 면접하도록 하여 단열은 물론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즉, 본 발명의 전조등(100)은, 빛의 세기를 높이고, 그 빛이 일측 방향으로 먼 거리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수밀성을 향상시켜 전조등의(100) 내구성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열이 많이 발생하는 LED전구(77)에 의해서 컨버터(50)나 다른 전자부품이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열구조를 갖춘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body cap 43 to be covered on the back of the heat sink 10 is to be interviewed by inserting the heat insulating retainer 52 to the stepped portion 53 formed in the heat sink 10 to improve heat insulation and watertightness. That is, the headlam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n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 that the light can be transmitted to a long distance in one direction, while improving the watertightnes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headlamp (100).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henomenon in which the converter 50 or other electronic components are damaged by the LED bulb 77 which generates a lot of heat,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provided.

이 구성은 도시된 도 3과 4에서처럼, 바디캡(43)을 방열판(41)에 씌울 때, 사용된다. 방열판(41)과 면접하게 될 바디캡(43)을 보다 견고히 체결하기 위해서 히트싱크(10)에 단턱부(53)를 형성한다. 이 단턱부(53)를 돌면서 끼워지는 링 형태의 단열리테이너(52)도 결합시킨다. 이 단열리테이너(52)는 열전도를 막으면서도 내부로 스며드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 단열리테이터(52)와 바디캡(43)이 견고히 결합되어 열의 전도를 차단한다. 열이 전도된 히트싱크(10)에서 그 열이 다시 바디캡(43)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열리테이터(52)를 사이에 끼운 후, 바디캡(43)을 체결한 것이다. 이 결합방식에 따라 바디캡(43)과 히트싱크(10) 사이에는 열의 전도가 없다. 또한 이 단열리네이너(52)는 수밀성도 갖는다. 따라서 혹시 수분이 침투해도 내부로 전달되는 현상이 차단된다.
This configuration is used when the body cap 43 is covered on the heat sink 41, as shown in FIGS. 3 and 4. In order to more firmly fasten the body cap 43 to be interviewed with the heat sink 41, the step portion 53 is formed on the heat sink 10. A ring-shaped insulating retainer 52 fitted while turning the stepped portion 53 is also coupled. The insulating retainer 52 is a structure that can block the moisture permeating inside while preventing heat conduction. And the thermal insulation receptor 52 and the body cap 43 is firmly coupled to block the conduction of heat. In order to prevent the heat from being conducted back to the body cap 43 in the heat sink 10 in which heat is conducted, the insulation cap 52 i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n the body cap 43 is fastened. According to this coupling method, there is no conduction of heat between the body cap 43 and the heat sink 10. Moreover, this heat insulation liner 52 also has water tightness. Therefore, even if water penetrates, the phenomenon of passing inside is blocked.

10; 히트싱크 11; 플렌지부
20; 렌즈하우징 21; 렌즈커버
22; 투시창 23; 렌즈브라켓
24; 투시공 30; 렌즈
31; 볼트 35; 볼트
36; 너트 37; 탄성스프링
42; 통풍공 43; 바디캡
50; 컨버터 51; 방열핀
52; 단열리테이너
10; Heatsink 11; Flange part
20; Lens housing 21; Lens cover
22; Viewing window 23; Lens Bracket
24; Clairvoyance 30; lens
31; Bolt 35; volt
36; Nut 37; Elastic spring
42; Vent 43; Body cap
50; Converter 51; Heat sink fin
52; Insulation retainer

Claims (12)

전동차의 전조등에 있어서,
후방으로 다수의 방열판(41)을 고정한 원형의 히트싱크(10);
히트싱크(10)의 전방에 위치하되, 다수의 LED전구(77)가 고정되는 LED기판(D);
몸체(21a)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광하협의 렌즈삽입공(22a)을 가진 원형 단면의 몸체(21a)와, 몸체(21a)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지지레그(23a) 및 지지레그(23a)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몸체(21a)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LED기판(D)에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관(24a)을 가진 렌즈하우징(20)과, 렌즈하우징(20)의 렌즈삽입공(22a)에 대응되게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외주면을 가진 렌즈바디(31a)와, 렌즈바디(31a) 전면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진 투사홈(32a)의 밑면은 볼록하게 중심부가 돌출되는 볼록면(35a)을 형성하고 렌즈바디(31a) 후면 중심부에서 상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진 LED전구안착홈(33a)의 상면은 중심부가 하단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대응볼록면(34a)을 형성하여 볼록면(35a)과 대응볼록면(34a)으로 인해 형성되는 볼록렌즈(L)를 가진 렌즈(30)로 이루어진 렌즈모듈(K);
렌즈모듈(K)의 전방에 고정되어 빛을 통과시키고 바람과 빗물의 침투를 차단하는 투시창(22);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렌즈모듈(K)에는, 렌즈하우징(20)의 렌즈삽입공(22a) 상단 내주면을 둘레로 일정깊이의 끼움홈(25a)을 형성하고, 일정한 각도를 두고 탄성핀부(26a)가 형성되도록 절개부를 형성하여, 삽입되는 렌즈(30)의 상단 외주면을 둘레로 돌출되는 끼움돌기(36a)가 상기 끼움홈(25a)에 끼워져 렌즈(30)가 렌즈하우징(20)에서 정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고, 탄성핀부(26a) 끼움홈(25a)이 벌어지며 렌즈(30)의 삽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볼록렌즈(L)를 형성하는 볼록면(35a)과 대응볼록면(34a)은, 볼록면(35a)이 대응볼록면(34a)에 비하여 그 지름이 크고 구배각도가 작도록 형성하여 LED전구(77)의 빛이 볼록면(35a)을 통과시키도록 유도하고;
렌즈(30)의 렌즈바디(31a)에는 외주면에 거울면을 코팅하여 측방으로 투사되는 빛의 분산을 볼록면(35a)으로 반사시키도록 하며;
상기 투시창(22)은, 투시공(24)이 형성된 렌즈브라켓(23)의 상부로 고무패킹으로 면접시켜 밀착시키고, 이들을 수용하는 투시공(21b)을 가진 렌즈커버(21)를 씌워 고정시키고;
상기 렌즈브라켓(23)에는, 일정한 각도를 두고 체결되는 볼트(31)가 렌즈커버(21)를 관통하고 돌출하여, 전동차 전조등패널의 내측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히트싱크(10)에는 외주면을 둘레로 플렌지부(11)를 형성하되, 히트싱크(10) 후방에 위치시키는 너트(36), 렌즈커버(21)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스크류볼트(35), 상기 스크류볼트(35)의 외주면에 감긴 탄성스프링(37)으로 이루어진 각도조절구(P)를 일정한 각도를 두고 다수 개 형성하여, 스크류볼트(35)를 회전시켜 렌즈모듈(K)의 빛 방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히트싱크(10)의 후방으로는 측면에 다수의 통풍공(42)이 형성된 바디캡(43)을 씌우고, 바디캡(43)의 상단으로 컨버터(50)를 체결하여 컨버터(50)에 열이나 수분이 전달되며;
상기 컨버터(50)는, 그 외부로 별도의 방열핀(51)을 형성하여 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히트싱크(10)에 후방에 씌워지는 바디캡(43)은 히트싱크(10)에 형성되는 단턱부(53)에 단열리테이너(52)를 끼워 면접하도록 하여 단열은 물론 수밀성을 향상시켜, 좁은 사각으로 먼 거리까지 빛을 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의 전동차 전조등.

In the headlights of electric cars,
A circular heat sink 10 having a plurality of heat sinks 41 fixed to the rear;
Located in front of the heat sink 10, the LED substrate (D) to which a plurality of LED bulbs 77 are fixed;
The body 21a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having the lens insertion hole 22a of the light beam narrow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21a, and the support leg 23a and the support leg 23a protruding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21a are fixed. The lens housing 20 has an insertion tube 24a which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21a at intervals a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LED substrate D , and corresponding to the lens insertion hole 22a of the lens housing 20. A lens body 31a having a taper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light beam is formed, and a bottom surface of the projection groove 32a that is projected downward to a certain depth downward from the front center of the lens body 31a forms a convex surface 35a which protrudes centr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LED bulb seating groove 33a, which is dug to a certain depth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rear center of the lens body 31a, forms a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protrudes convexly to the bottom to correspond to the convex surface 35a. Consisting of a lens 30 having a convex lens L formed by the convex surface 34a Lens module K ;
It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lens module (K) through the viewing window 22 for passing light and blocking the penetration of wind and rain;
In the lens module K, a fitting groove 25a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ens insertion hole 22a of the lens housing 20, and the elastic pin portion 26a is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By forming a portion, the fitting projection 36a projecting arou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30 to be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5a so that the lens 30 can be positioned in the lens housing 20. The elastic pin portion 26a allows the insertion groove 25a to be opened to effectively perform the insertion of the lens 30;
The convex surface 35a and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forming the convex lens L are formed such that the convex surface 35a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corresponding convex surface 34a and has a smaller gradient angle. Induces light of 77 to pass through the convex surface 35a ;
The lens body 31a of the lens 30 is coated with a mirror surfa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reflect the dispersion of light projected laterally to the convex surface 35a;
The see-through window 22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lens bracket 23 on which the see-through hole 24 is formed by contacting with rubber packing, and is fixed by covering the lens cover 21 having the see-through hole 21b for receiving them;
In the lens bracket 23, the bolt 31 which is fast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penetrates and protrudes through the lens cover 21, so that the lens bracket 23 can be coupled inside the headlight panel of the electric vehicle ;
The heat sink 10 has a flange portion 11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the nut 36 positioned behind the heat sink 10, and the screw bolt 35 penetrating rearward from the front of the lens cover 21. ), A plurality of angle adjusting holes (P) made of an elastic spring (37)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bolt (35)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a plurality, by rotating the screw bolt (35) the light of the lens module (K) To control the angle of radiation;
Cover the body cap 43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42 on the side of the heat sink 10, and fasten the converter 50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cap 43 to heat the converter 50 Moisture is delivered;
The converter 50, by forming a separate radiating fin 51 to the outsid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heat;
The body cap 43 to be covered on the rear side of the heat sink 10 has an insulation retainer 52 fitted to the stepped portion 53 formed on the heat sink 10 to be interviewed to improve heat insulation and watertightness. High-efficiency electric vehicle headlights that light up to long distanc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12467A 2012-02-07 2012-02-07 headlamp of subway train KR1012026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67A KR101202643B1 (en) 2012-02-07 2012-02-07 headlamp of subway t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67A KR101202643B1 (en) 2012-02-07 2012-02-07 headlamp of subway tr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643B1 true KR101202643B1 (en) 2012-11-19

Family

ID=4756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467A KR101202643B1 (en) 2012-02-07 2012-02-07 headlamp of subway tr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643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10B1 (en) 2012-05-03 2013-08-07 제디아 주식회사 Light-emitting diode light unit for adjust to light distribution
KR101734145B1 (en) * 2015-06-17 2017-05-24 송채인 Apparatus for Adjusting Beam Vertical Angle and Flight Obstacle Lamp which has the apparatus
WO2017109711A1 (en) 2015-12-22 2017-06-29 Khosla Sanjeev Improved led light systems and device for locomotives and narrow beam and multi beam applications
CN107891878A (en) * 2017-11-03 2018-04-10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Car light installation frame body and there is its train
KR20230045722A (en) * 2021-09-28 2023-04-05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Head light of tra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872B1 (en) 2008-12-05 2009-06-16 주식회사 우강테크 Bar-shaped led lighting device
KR101095868B1 (en) 2011-09-08 2011-12-21 이슬기 Led module for ligh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872B1 (en) 2008-12-05 2009-06-16 주식회사 우강테크 Bar-shaped led lighting device
KR101095868B1 (en) 2011-09-08 2011-12-21 이슬기 Led module for light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10B1 (en) 2012-05-03 2013-08-07 제디아 주식회사 Light-emitting diode light unit for adjust to light distribution
KR101734145B1 (en) * 2015-06-17 2017-05-24 송채인 Apparatus for Adjusting Beam Vertical Angle and Flight Obstacle Lamp which has the apparatus
WO2017109711A1 (en) 2015-12-22 2017-06-29 Khosla Sanjeev Improved led light systems and device for locomotives and narrow beam and multi beam applications
US10851966B2 (en) 2015-12-22 2020-12-01 Sanjeev KHOSLA LED light systems and device for locomotives and narrow beam and multi beam applications
CN107891878A (en) * 2017-11-03 2018-04-10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Car light installation frame body and there is its train
CN107891878B (en) * 2017-11-03 2019-11-22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Car light installation frame body and train with it
KR20230045722A (en) * 2021-09-28 2023-04-05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Head light of train
KR102606965B1 (en) * 2021-09-28 2023-11-30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Head light of tr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643B1 (en) headlamp of subway train
US10414329B2 (en) LED fog lamp
RU2459142C1 (en) Street lamp based on light diodes
US8936381B2 (en) LED light module
JP2005150041A (en) Lighting fixture
TW200930591A (en) Projection-type head lamp capable of compensating for light of dark area
KR101174492B1 (en) Fog-lamp for vehicles of one body LED type
US8556458B2 (en) Power source unit and illumination device
KR101578039B1 (en) LED flood light of light tower
JP2011034856A (en) Lighting device
JP2015130293A (en) Vehicular lighting fixture
KR101498046B1 (en) Headlights for vehicle
JP2000322902A (en) Led foot lamp
KR20160077724A (en) A lamp module for vehicles
US10829244B2 (en) LED lighting devices with high extraction efficiencies
KR101643290B1 (en) LED lamp for preventing ligt pollution
KR20180099365A (en) Street LED light with angle-adjustment
KR20180078011A (en) Lamp for vehicle
KR101968093B1 (en) Lamp for vehicle
KR200473120Y1 (en) Streetlight apparatus with safeguard cover
US20190003680A1 (en) Led lamp
KR101731779B1 (en) Lamp for vehicle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058987A (en) Lamp Apparatus Of Vehicle
KR102076543B1 (en) Automotive headlamps with adjustable light distribution
TWM519084U (en) Vehicle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