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101B1 - 냉수탱크 - Google Patents

냉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101B1
KR101201101B1 KR1020100063111A KR20100063111A KR101201101B1 KR 101201101 B1 KR101201101 B1 KR 101201101B1 KR 1020100063111 A KR1020100063111 A KR 1020100063111A KR 20100063111 A KR20100063111 A KR 20100063111A KR 101201101 B1 KR101201101 B1 KR 101201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cooled
cold water
fl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218A (ko
Inventor
김현영
정웅
이현희
최환석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EP11759694.0A priority Critical patent/EP2553360B1/en
Priority to ES11759694.0T priority patent/ES2681534T3/es
Priority to US13/634,132 priority patent/US9897374B2/en
Priority to JP2013502452A priority patent/JP5931049B2/ja
Priority to CN201180015843.3A priority patent/CN102822610B/zh
Priority to TR2018/09761T priority patent/TR201809761T4/tr
Priority to PCT/KR2011/001929 priority patent/WO2011118945A2/en
Publication of KR2011010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물이 그 유입 압력이 유지되면서 냉각될 수 있는 냉수탱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수탱크는 냉각될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210)이 연결된 제1탱크(200); 및 상기 제1탱크(200)의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제1탱크(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된 물이 냉각되도록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증발기(400)가 내부에 구비되고 냉각된 물이 유출되는 유출관(310)이 연결된 제2탱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물이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어도 유입된 물이 냉각에 필요한 시간 만큼 냉수탱크에 머무를 수 있고, 물이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어도 유입된 물이 냉각을 위해서 냉수탱크에 안정된 상태로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이 유입 압력이 유지되면서 냉각될 수 있고, 냉각된 물이 유출되는 파우셋 또는 콕크 등의 높이가 자유롭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수탱크{COLD WATER TANK}
본 발명은 물이 그 유입 압력이 유지되면서 냉각될 수 있는 냉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냉수탱크는 유입된 물이 냉각되고 냉각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수탱크는 정수기 등에 구비되며 정수기에 구비된 복수개의 정수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된 물은 냉수탱크에 유입되어 냉각될 수 있다. 냉수탱크에 유입된 물이 냉각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냉수탱크에서는 물이 안정된 상태로 있어야만 냉각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냉수탱크에서 물이 유출되는 출수시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속도가 유입압력에 의해서 빠르게 되기 때문에, 물이 냉수탱크에 머무르는 시간이 얼마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이 제대로 냉각되지 못하고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냉수탱크에 빠르게 유입되는 물이 냉수탱크에서 냉각되어 저장된 물과 혼합되어 냉각된 물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는, 특히 냉수탱크의 유출구측의 물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냉수가 공급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냉수탱크에 유입된 물의 냉각을 위해서 냉수탱크에 유입된 물이 냉수탱크에 일정시간 머무르게 하기 위해서, 또는 물이 냉수탱크에 안정된 상태로 있도도록 하기 위해서, 냉수탱크에 연결되어 냉수탱크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원의 아래에 냉수탱크가 위치되도록 한다. 예컨대 물의 압력이 비교적 높은 직수형 정수기의 경우에도 냉수탱크는 물을 여과시키는 정수필터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으로부터 냉수탱크로는 물의 유입 압력보다는 물공급원과 냉수탱크의 높이차에 의해서 물이 공급되며, 물공급원으로부터 냉수탱크로 물이 높은 압력으로 공급된다고 하더라도, 냉수탱크에서는 물의 압력이 대기압 정도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냉수탱크에 연결되어 냉수탱크로부터 외부로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파우셋(faucet)이나 콕크(cock) 또한, 냉수탱크보다 아래에 위치되도록 해야만, 냉수탱크와 파우셋이나 콕크 등의 높이차에 의해서 냉수탱크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고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냉수탱크 전의 물공급원, 예컨대 직수형 정수기에 물이 고압으로 공급된다고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공급원과 냉수탱크 사이에서는 물의 유입 압력보다는 물공급원과 냉수탱크의 높이차에 의해서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냉수탱크에서는 물의 유입 압력이 유지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라 파우셋이나 콕크 등이 냉수탱크의 아래에 위치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파우셋이나 콕크 등의 높이가 자유롭게 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수탱크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물이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어도 유입된 물이 냉각에 필요한 시간 만큼 냉수탱크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물이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어도 유입된 물이 냉각을 위해서 냉수탱크에 안정된 상태로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물이 유입 압력이 유지되면서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냉각된 물이 유출되는 파우셋 또는 콕크 등의 높이가 자유롭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냉수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물이 그 유입 압력이 유지되면서 냉각될 수 있도록 냉각될 물이 유입되는 제1탱크와 제1탱크에 연결되도록 제1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된 물이 냉각되도록 증발기가 내부에 구비되고 냉각된 물이 유출되는 제2탱크로 이루어진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냉수탱크는 냉각될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연결된 제1탱크; 및 제1탱크의 물이 유입되도록 제1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된 물이 냉각되도록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증발기가 내부에 구비되고 냉각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관이 연결된 제2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될 물이 제1탱크의 하부에서 유입되어 상부로 유동되도록 유입관은 제1탱크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탱크의 물이 제2탱크의 상부에 유입되어 제2탱크의 하부로 유동되도록 제2탱크의 상부에는 유입구멍이 형성되고, 냉각된 물이 제2탱크의 하부로부터 유출되도록 유출관은 제2탱크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탱크 또는 제2탱크의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1탱크의 상부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공기유동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탱크에는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관은 제1탱크를 관통하여 제2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된 물이 상기 제2탱크의 하부로부터 유출되도록 유출관의 일측 단부는 제2탱크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탱크 또는 제2탱크의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출관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멍에 인접한 제2탱크의 부분에는 유입구멍을 통해 제2탱크에 유입되는 물이 회전되면서 유입되도록 유동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에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를 감지하는 얼음크기감지센서가 제2탱크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어도 유입된 물이 냉각에 필요한 시간 만큼 냉수탱크에 머무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어도 유입된 물이 냉각을 위해서 냉수탱크에 안정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유입 압력이 유지되면서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된 물이 유출되는 파우셋 또는 콕크 등의 높이가 자유롭게 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다른 실시예의 제2탱크덮개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실시예와 관련된 냉수탱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물이 그 유입 압력이 유지되면서 냉각될 수 있도록 냉각될 물이 유입되는 제1탱크와 제1탱크에 연결되도록 제1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된 물이 냉각되도록 증발기가 내부에 구비되고 냉각된 물이 유출되는 제2탱크로 이루어진 것을 기초로 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는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탱크(200)에는 냉각될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탱크(2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관(21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관(210)은 예컨대 복수개의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될 물이 유입관(210)을 통해 제1탱크(2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관(21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탱크(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냉각될 물은 유입관(210)을 통해 제1탱크(200)의 하부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탱크(200)의 하부에 유입된 냉각될 물은 제1탱크(200)에 채워지면서 상부로 유동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10)에 유입되는 냉각될 물은 제1탱크(200)의 하부에서 상부로 나선형으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탱크(200)의 상부로 갈수록 냉각될 물의 유속이 저하되어 물의 유동이 안정될 수 있다. 또한, 물의 압력은 유입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탱크(200)에 유입된 물은 제1탱크(200)를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면서 그 유입 압력이 유지되면서 유동이 안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탱크(200)는 유입관(210) 또는 후술할 공기유동관(220)을 제외하고는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탱크(200)에 유입된 물은 그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탱크(2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부가 열려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제1탱크바디(200a)와, 제1탱크바디(200a)의 열린 상부를 덮는 제1탱크덮개(2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1탱크(2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각될 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물의 유입 압력이 유지되면서 유동이 안정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탱크(200)의 상부에는 공기유동관(2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유동관(22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체크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될 물이 유입관(210)을 통해 제1탱크(200)에 유입되면, 제1탱크(200) 또는 제2탱크(300)의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공기유동관(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유동관(220)에 구비된 체크밸브(V)에 의해서, 제1탱크(200) 또는 제2탱크(300)의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공기유동관(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가능하나,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동관(220)을 통해 제1탱크(200) 또는 제2탱크(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탱크(200) 또는 제2탱크(300)에 물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제2탱크(3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탱크(200)의 물이 유입되도록 제1탱크(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탱크(200)에 유입되며 유입 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유동이 안정된 물이 제2탱크(3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탱크(300)의 상부에는 유입구멍(32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탱크(200)에 유입되며 유입 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유동이 안정된 물은 유입구멍(320)을 통해 제2탱크(300)에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구멍(320)이 제2탱크(3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 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유동이 안정된 물은 유입구멍(320)을 통해 제2탱크(300)의 상부로 유입된 후 제2탱크(300)의 하부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구멍(320)은 제2탱크(300)의 상부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구멍(320)에 인접한 제2탱크(300), 즉 후술할 제2탱크덮개(300b)의 부분에는 유동가이드(3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가이드(321)에 의해서 제1탱크(200)를 유동하면서 유입 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유동이 안정된 물은 유입구멍(320)을 통해 제2탱크(300)에 유입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탱크(300) 내의 증발기(400) 부근의 물과 이외의 부분의 물이 섞이면서 증발기(400) 부근의 물이 다른 부분보다 더 냉각되지 않아서 제2탱크(300) 내의 물이 고르게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탱크(300)의 내부에는 증발기(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400)는 냉동사이클(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400) 내에는 냉매가 유동된다. 그리고, 증발기(400) 내에서 유동되는 냉매와 제2탱크(300)에 유입되어 유동되는 물과의 열교환, 즉 제2탱크(300)에 유입되어 유동되는 물로부터 증발기(400) 내에서 유동되는 냉매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제2탱크(300)에 유입되어 유동되는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탱크(200)에 유입되는 물의 유동이 안정된 상태에서 제2탱크(300)에 물이 유입되기 때문에, 제2탱크(300)에서의 물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물의 유입 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물이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2탱크(300)에 유입되어 유동되는 물로부터 증발기(400) 내에서 유동되는 냉매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증발기(40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탱크(300)에 유입되어 유동되는 물은 이러한 증발기(400)에 생성된 얼음(I)에 의해서도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탱크(300)에 유입되는 물이 비교적 빨리 냉각될 수 있고, 냉각효율이 좋아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탱크(3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출관(31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관(310)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된 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유출관(310)은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탱크(3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탱크(3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되면서 증발기(400) 또는 증발기(400)에 생성된 얼음(I)에 의해서 냉각된 물은 유출관(310)을 통해 제2탱크(300)의 하부로 유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교적 온도가 낮은 제2탱크(300)의 하부에 있는 물부터 제2탱크(30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탱크(3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되면서 증발기(400)에 의해서 냉각된 물이 제2탱크(300)의 하부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유출관(310)은 제1탱크(200)를 관통하여 제2탱크(3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유출관(310)의 일측 단부는 제2탱크(3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된 물이 제2탱크(300)의 하부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유출관(310)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구멍(3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구멍(310a)의 형성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될 물이 유입관(210)을 통해 제1탱크(200)에 유입되면, 제1탱크(200) 또는 제2탱크(300)의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공기유동구멍(310a)과 유출관(3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하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유동관(220)과 체크밸브(V)가 없어도 제1탱크(200) 또는 제2탱크(300)의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탱크(200) 또는 제2탱크(300)에 물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관(310)은 파우셋(도시되지 않음)이나 콕크(도시되지 않음) 등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탱크(300)의 유출관(310)을 통해 유출된 냉각된 물은 파우셋이나 콕크 등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2탱크(300)는 유입구멍(320) 또는 유출관(310) 이외에는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에 유입된 물은 그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탱크(300)는 상부가 열려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제2탱크바디(300a)와, 제2탱크바디(300a)의 열린 상부를 덮는 제2탱크덮개(3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하고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탱크덮개(300b)에는 유입구멍(3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출관(310)이 통과되는 유출관 통과구멍(H1)과 후술할 얼음크기감지센서(SI1,SI2)가 통과되는 얼음크기감지센서 통과구멍(H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유동가이드(321)도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2탱크(3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탱크(200)로부터 냉각될 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물이 냉각되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의 구성에 의해서 물이 높은 압력으로 냉수탱크(100)에 유입되어도 유입된 물이 냉각에 필요한 시간 만큼 냉수탱크(100)에 머무를 수 있다. 또한, 물이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어도 유입된 물이 냉각을 위해서 냉수탱크(100)에 안정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2탱크(300)에서 증발기(400)에 의해서 냉각되는 물은 유입 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냉각된다. 따라서, 냉각된 물이 파우셋이나 콕크 등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에도 유입 압력이 유지된다. 이에 따라, 파우셋이나 콕크 등이 냉수탱크(100)의 아래에 위치되지 않더라도, 파우셋이나 코크 등을 통해 냉각된 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파우셋이나 콕크 등의 높이가 자유롭게 될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탱크(300)에는 온도감지센서(S)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탱크(300)에서 냉각되는 물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외에,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탱크(300)에는 증발기(400)에 생성되는 얼음(I)의 크기를 감지하는 얼음크기감지센서(SI1,SI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400)에 생성된 얼음(I)에 의해서 제2탱크(300)에 유입되어 유동하는 물이 냉각될 때 얼음(I)의 크기를 감지하여 물의 냉각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증발기(400)에 유입된 차가운 냉매는 증발기(400)의 상부로 유동한 후 나선형으로 증발기(400)의 하부로 유동하기 때문에, 증발기(400) 상부의 냉매가 증발기(400) 하부의 냉매보다 더 온도가 낮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은 증발기(400)의 상부부터 생성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400)에 생성되는 얼음(I)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얼음크기감지센서(SI2)에 의해서 얼음(I)의 크기가 감지되고, 얼음(I)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얼음크기감지센서(SI1)에 의해서 얼음(I)의 크기가 감지된다. 따라서, 얼음크기감지센서(SI2)에서 얼음(I)의 크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증발기(400)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의 유량을 증가시킨다던가 또는 온도를 낮추다던가 하여 물의 냉각정도를 더 크게 하고, 얼음크기감지센서(SI1)에서 얼음(I)의 크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증발기(400)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의 유량을 감소시킨다던가 또는 온도를 높인다던가 하여 물의 냉각정도를 작게 하여서 물의 냉각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탱크(200)의 유입관(210)이 직수형 정수기(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탱크(300)의 유출관(310)이 파우셋이나 콕크 등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직수형 정수기 등이 작동되면, 제1탱크(200)의 유입관(210)을 통해 직수형 정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에서 여과된 냉각될 물이 제1탱크(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관(210)을 통해 제1탱크(200)의 내부로 유입된 냉각될 물은 유입 압력에 의해서 비교적 빠른 속도로 제1탱크(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함께, 제1탱크(200) 또는 제2탱크(300)에 포함된 공기는 제1탱크(200)의 공기유동관(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유입관(210)을 통해 제1탱크(200)에 유입된 물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20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된다. 즉, 제1탱크(200)의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유동된다. 이와 같이, 제1탱크(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나선형으로 유동되는 물은 제1탱크(2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되면서 그 속도가 저하된다. 이에 따라, 그 유동이 안정되게 된다. 그러나, 유입 압력은 저하되지 않고 유지된다.
이와 같이, 유입 압력은 유지되면서 속도가 저하되어 유동이 안정된 물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200)에 연결된 제2탱크(300)의 유입구멍(320)을 통해 제2탱크(300)에 유입된다. 그리고, 제2탱크(300)에 유입된 물은 제2탱크(3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되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탱크(300)의 내부에 구비된 증발기(400)에 의해서 냉각된다. 증발기(40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냉매가 유동된다. 따라서, 증발기(4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냉매와 제2탱크(3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물과의 열교환, 즉 제2탱크(3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물로부터 증발기(4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냉매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제2탱크(3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물이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400)의 주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열교환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탱크(300)에 유입되는 물은 이러한 얼음(I)과의 열교환, 즉 제2탱크(300)에 유입된 물로부터 얼음(I)으로의 열전달에 의해서도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탱크(300)에 유입된 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탱크(3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되면서 증발기(400) 또는 증발기(400)에 형성된 얼음(I)에 의해서 냉각된 물은 제2탱크(300)의 유출관(31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유출관(310)을 통해 유출되는 냉각된 물은 파우셋(도시되지 않음) 또는 콕크(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우셋 또는 콕크 등을 통해 유출되는 물은 유입 압력이 유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유입 압력에 의해서 물이 도달할 수 있는 높이라면, 파우셋 또는 콕크 등의 높이는 어떠한 높이라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파우셋 또는 콕크 등의 높이가 자유롭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를 사용하면, 물이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어도 유입된 물이 냉각에 필요한 시간 만큼 냉수탱크(100)에 머무를 수 있고, 물이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어도 유입된 물이 냉각을 위해서 냉수탱크(100)에 안정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유입 압력이 유지되면서 냉각될 수 있고, 냉각된 물이 유출되는 파우셋 또는 콕크 등의 높이가 자유롭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냉수탱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냉수탱크 200 : 제1탱크
200a : 제1탱크바디 200b : 제1탱크덮개
210 : 유입관 220 : 공기유동관
300 : 제2탱크 300a : 제2탱크바디
300b : 제2탱크덮개 310 : 유출관
310a : 공기구멍 320 : 유입구멍
321 : 유동가이드 400 : 증발기
S : 온도감지센서 SI1, SI2 : 얼음크기감지센서
V : 체크밸브 H1 : 유출관 통과구멍
H2 : 얼음크기감지센서 통과구멍 I : 얼음

Claims (9)

  1. 냉각될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210)이 연결된 제1탱크(200); 및
    상기 제1탱크(200)의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제1탱크(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된 물이 냉각되도록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증발기(400)가 내부에 구비되고 냉각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관(310)이 연결된 제2탱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수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될 물이 상기 제1탱크(200)의 하부에서 유입되어 상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유입관(210)은 상기 제1탱크(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탱크(200)의 물이 상기 제2탱크(300)의 상부에 유입되어 상기 제2탱크(300)의 하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제2탱크(300)의 상부에는 유입구멍(320)이 형성되고,
    냉각된 물이 상기 제2탱크(300)의 하부로부터 유출되도록 상기 유출관(310)은 상기 제2탱크(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탱크(200) 또는 상기 제2탱크(300)의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탱크(200)의 상부에는 체크밸브(V)가 구비된 공기유동관(2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탱크(300)에는 온도감지센서(S)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310)은 상기 제1탱크(200)를 관통하여 상기 제2탱크(3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냉각된 물이 상기 제2탱크(300)의 하부로부터 유출되도록 상기 유출관(31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탱크(30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냉수탱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탱크(200) 또는 상기 제2탱크(300)의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출관(310)에는 공기구멍(3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멍(320)에 인접한 상기 제2탱크(300)의 부분에는 상기 유입구멍(320)을 통해 상기 제2탱크(300)에 유입되는 물이 회전되면서 유입되도록 유동가이드(3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400)에 생성되는 얼음(I)의 크기를 감지하는 얼음크기감지센서(SI1,SI2)가 상기 제2탱크(3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KR1020100063111A 2010-03-26 2010-06-30 냉수탱크 KR101201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759694.0A EP2553360B1 (en) 2010-03-26 2011-03-21 Cold water tank
ES11759694.0T ES2681534T3 (es) 2010-03-26 2011-03-21 Depósito de agua fría
US13/634,132 US9897374B2 (en) 2010-03-26 2011-03-21 Cold water tank
JP2013502452A JP5931049B2 (ja) 2010-03-26 2011-03-21 冷水タンク
CN201180015843.3A CN102822610B (zh) 2010-03-26 2011-03-21 冷水箱
TR2018/09761T TR201809761T4 (tr) 2010-03-26 2011-03-21 Soğuk su haznesi.
PCT/KR2011/001929 WO2011118945A2 (en) 2010-03-26 2011-03-21 Cold water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249 2010-03-26
KR20100027249 2010-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18A KR20110108218A (ko) 2011-10-05
KR101201101B1 true KR101201101B1 (ko) 2012-11-13

Family

ID=4502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111A KR101201101B1 (ko) 2010-03-26 2010-06-30 냉수탱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97374B2 (ko)
EP (1) EP2553360B1 (ko)
JP (1) JP5931049B2 (ko)
KR (1) KR101201101B1 (ko)
CN (1) CN102822610B (ko)
ES (1) ES2681534T3 (ko)
TR (1) TR201809761T4 (ko)
WO (1) WO201111894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653A (ko) * 2013-12-23 2015-07-01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P2014007819A0 (en) * 2012-01-27 2014-07-31 Sure Chill Company Ltd Refrigeration apparatus
EP2972565A4 (en) * 2013-03-15 2016-11-23 Olive Medical Corp SYSTEM AND METHOD FOR SPECKLE REMOVAL FROM A SCENE ILLUMINATED BY A COHERENT LIGHT SOURCE
CN104131263B (zh) * 2014-07-30 2016-08-24 浙江长海包装集团有限公司 镀铝设备的冷却装置
CN108351146B (zh) 2015-09-11 2021-04-20 确保冷藏有限公司 便携式制冷设备
CN107157318A (zh) * 2016-03-08 2017-09-1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热水壶的控制方法和热水壶
CN107894130A (zh) * 2017-12-12 2018-04-10 无锡市飞天油脂有限公司 一种用于润滑脂生产的冷却釜
KR102432134B1 (ko) * 2021-09-16 2022-08-11 이종용 냉수와 온수의 선택 출수가 가능한 저수조
CN118119812A (zh) * 2021-11-25 2024-05-31 Gsi株式会社 用于瞬时冷却的冷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37B1 (ko) 1997-11-26 2005-07-0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온수기의 냉수통 누설방지구조
KR200437839Y1 (ko) 2007-10-09 2008-01-02 김병택 냉온수기용 냉수통
KR100924420B1 (ko) 2003-03-22 2009-10-29 동양매직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냉수통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6791A (en) 1929-03-05 1931-10-13 Liquid Cooler Corp Liquid cooling apparatus
US2495878A (en) 1946-08-27 1950-01-31 Westinghouse Electric Corp Beverage cooling apparatus having a quick cooling reservoir
US2720085A (en) * 1950-03-30 1955-10-11 Edward A Mertes Thermal reserve water cooling systems and apparatus
FR1218774A (fr) 1959-03-11 1960-05-12 Separator Ab Réfrigérateur à immersion
US3263442A (en) * 1964-07-02 1966-08-02 David J W Timmersman Under the sink water cooler
JPS4323790Y1 (ko) * 1965-03-01 1968-10-07
JPS4826996Y1 (ko) * 1968-06-07 1973-08-08
JPS4826996B1 (ko) 1970-04-21 1973-08-17
GB1397000A (en) * 1972-10-06 1975-06-11 Mk Refrigeration Ltd Chilling of water
JPS527263A (en) * 1975-06-16 1977-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dicator
JPS5733768A (en) 1980-08-06 1982-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ccumulator
JPS6160078A (ja) 1984-08-31 1986-03-27 Nec Home Electronics Ltd 輪郭補正装置
JPS6160078U (ko) * 1984-09-25 1986-04-23
JPS62167075A (ja) 1986-01-18 1987-07-23 Ricoh Co Ltd 感熱記録材料
JPS62167075U (ko) * 1986-04-11 1987-10-23
JPH028673A (ja) * 1988-06-23 1990-01-12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JPH07109338B2 (ja) * 1988-11-29 1995-11-22 東芝機械株式会社 飲料液体冷却装置
JPH0397172A (ja) 1989-09-08 1991-04-23 Canon Inc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397172U (ko) 1990-01-19 1991-10-04
JPH04125177A (ja) 1990-09-14 1992-04-24 Nec Eng Ltd プリンタ設定装置
JP2551870B2 (ja) * 1991-02-22 1996-11-06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製氷機のための電気制御装置
JP2563617Y2 (ja) * 1991-04-25 1998-02-25 東芝機械株式会社 冷水機
JPH04353367A (ja) * 1991-05-30 1992-12-08 Toshiba Corp 冷水供給用容器
JP2733195B2 (ja) 1993-11-25 1998-03-30 オリオン機械株式会社 液体冷却装置における冷凍サイクル制御方法及び液体冷却装置
JPH0933152A (ja) 1995-07-21 1997-02-07 F I C:Kk 飲料冷却装置
KR19980053406A (ko) * 1996-12-26 1998-09-25 김동주 정수냉각장치
JPH11270945A (ja) * 1998-03-20 1999-10-05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
JP2000018787A (ja) * 1998-06-25 2000-01-18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冷却注出装置
JP2000025897A (ja) 1998-07-13 2000-01-25 Toshiba Mach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US6237359B1 (en) * 1998-10-08 2001-05-29 Thomas H. Hebert Utilization of harvest and/or melt water from an ice machine for a refrigerant subcool/preco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6328631B1 (en) * 1999-04-28 2001-12-11 Mayekawa Mf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ce processing using ice slurry
WO2000077462A1 (en) * 1999-06-11 2000-12-21 Schieder Hans B Pressure responsive valve for use in a self-contained cooling device
US6230513B1 (en) * 2000-03-14 2001-05-15 Jonathan E. Reinmuth Water cooler and dispenser
JP4324932B2 (ja) * 2000-07-19 2009-09-02 Smc株式会社 恒温冷却液循環装置
US6554200B1 (en) * 2000-11-01 2003-04-29 Kabushiki Kaisha Piste Snow Industries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artificial snow maker of ice crushing type
JP3567251B2 (ja) * 2001-03-12 2004-09-22 東京工業大学長 ダイナミック型氷蓄熱装置
KR100556304B1 (ko) 2001-05-21 2006-03-0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파일 시스템 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복제 방지 방법 및 시스템
JP2002350028A (ja) 2001-05-25 2002-12-04 Hoshizaki Electric Co Ltd 蓄氷式飲料冷却装置
US6523498B1 (en) * 2002-04-10 2003-02-25 Shin-Fa Shyu Aquarium having a powerless air pumping device
KR200288737Y1 (ko) * 2002-06-25 2002-09-10 주식회사 마루아트 수중대류 촉진형 냉각장치
US7707847B2 (en) * 2005-11-30 2010-05-04 General Electric Company Ice-dispensing assembly mounted within a refrigerator compartment
JP4898250B2 (ja) * 2006-03-10 2012-03-14 株式会社 エスト 冷水生成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冷温水サーバー
CN2912463Y (zh) * 2006-06-02 2007-06-20 车修武 用于交通工具的饮水机
BRPI0700975A (pt) * 2007-02-05 2008-09-23 Whirlpool Sa máquina de produzir gelo
US8156748B2 (en) * 2007-04-27 2012-04-17 Whirlpool Corporation Ice quality sensing system employing digital imaging
JP5097459B2 (ja) * 2007-06-22 2012-12-1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製氷機の運転方法
KR101232414B1 (ko) * 2007-08-21 2013-02-12 코웨이 주식회사 이중 냉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JP2009097846A (ja) 2007-09-28 2009-05-07 Noritz Corp 飲料用ディスペンサ
KR101452762B1 (ko) * 2007-12-18 201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2060742A1 (en) * 2010-11-01 2012-05-10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 method for controlling a hydraulic system of a work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37B1 (ko) 1997-11-26 2005-07-0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온수기의 냉수통 누설방지구조
KR100924420B1 (ko) 2003-03-22 2009-10-29 동양매직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냉수통의 구조
KR200437839Y1 (ko) 2007-10-09 2008-01-02 김병택 냉온수기용 냉수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653A (ko) * 2013-12-23 2015-07-01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KR102184696B1 (ko) * 2013-12-23 2020-12-01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24146A (ja) 2013-06-17
WO2011118945A3 (en) 2012-01-26
US20130000334A1 (en) 2013-01-03
US9897374B2 (en) 2018-02-20
WO2011118945A2 (en) 2011-09-29
JP5931049B2 (ja) 2016-06-08
EP2553360B1 (en) 2018-05-09
TR201809761T4 (tr) 2018-07-23
EP2553360A2 (en) 2013-02-06
CN102822610B (zh) 2014-12-03
KR20110108218A (ko) 2011-10-05
CN102822610A (zh) 2012-12-12
ES2681534T3 (es) 2018-09-13
EP2553360A4 (en)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101B1 (ko) 냉수탱크
US10464802B2 (en) Cold water generat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0900647B1 (ko) 이중냉각구조의 다면균일 순환급속 냉각장치
JP5933040B2 (ja) 飲料冷却装置およびこの冷却装置を用いた飲料供給システム
US10472221B2 (en) Liquid dispenser
KR100993891B1 (ko) 정수기
KR101602236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EP3141849A1 (en) Apparatus for supplying functional water
KR101285438B1 (ko) 정수기
KR100716469B1 (ko)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KR101323891B1 (ko) 정수기
KR101177499B1 (ko) 냉온수기
KR102670628B1 (ko) 냉수기
US7207182B1 (en) Swamp cooler cooling system
KR20130001910A (ko) 냉수제조장치
KR102541071B1 (ko) 냉수기
US20170240410A1 (en) Drinking liquid cooling system
KR101332259B1 (ko)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KR20210143041A (ko) 제빙기
KR101352697B1 (ko) 정수기
KR20150115707A (ko) 냉수탱크
KR20170131324A (ko) 냉수탱크
KR101957687B1 (ko) 제빙기
KR101296411B1 (ko) 정수조 및 정수기
KR102303481B1 (ko) 물저장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