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281B1 - toilet - Google Patents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281B1
KR101200281B1 KR1020100011585A KR20100011585A KR101200281B1 KR 101200281 B1 KR101200281 B1 KR 101200281B1 KR 1020100011585 A KR1020100011585 A KR 1020100011585A KR 20100011585 A KR20100011585 A KR 20100011585A KR 101200281 B1 KR101200281 B1 KR 101200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parator
manure
cleaning fluid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2115A (en
Inventor
이성범
Original Assignee
이길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산 filed Critical 이길산
Priority to KR102010001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281B1/en
Publication of KR2011009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1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2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2Sludge treatment using liquids immiscible wit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03D5/01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with devices for separate removal of liquids and soli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6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with recirculation of bowl-cleaning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와 세척수를 원심 분리한 상태로 저장 및 재사용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화장실을 개시한다.
그러한 화장실은, 배출구를 구비한 변기와, 상기 변기의 배출구를 향하여 세척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체공급부와, 상기 변기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분뇨와 세척용 유체가 담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 분리통과, 상기 분리통을 움직이면서 분뇨와 세척용 유체를 원심력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원심구동부와, 상기 분리통 측에서 원심 분리된 세척용 유체를 상기 유체공급부 측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수부 그리고, 상기 분리통 측에서 원심 분리된 분뇨만 담겨지는 저장조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oilet that can be easily treated to be stored and reused in a state in which manure and washing water are centrifuged.
The toilet includes a toilet provided with an outlet, a fluid supply configured to supply a cleaning fluid toward the outlet of the toilet, and a separator formed to contain the manure discharged to the outlet of the toilet and the cleaning fluid; A centrifugal drive unit configured to separate the manure and the washing fluid with a centrifugal force while moving the separator, a recovery unit formed to recover the centrifuged washing fluid to the fluid supply side, and the separator side In the reservoir containing only the centrifuged manure.

Description

화장실{toilet}Toilet {toilet}

본 발명은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that is easy to manage and maintain.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용변을 볼 때 발생하는 분뇨(糞尿)는 세척수와 함께 변기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면서 저장조 측에 담겨진다.In general, the manure that occurs when looking at the toilet in the toilet (糞尿) flows down the toilet with the wash water is stored in the reservoir side.

상기 세척수는 변기 내부에 담겨진 분뇨를 아래로 흘러내려 보내는 동시에 변기 내부면을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The washing water flows down the manure contained in the toilet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clean the toilet inner surface.

이러한 화장실의 구조 및 작용에 의하면, 특히 야외에 주로 설치되는 이동식(조립식) 화장실은 세척수를 충분하게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세척수의 사용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such a toilet,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he use of the wash water as efficiently as possible, sinc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amount of washing water, especially in a mobile (assembly type) bathroom mainly installed outdoors.

하지만, 상기 종래의 이동식 화장실들은 세척수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toilets are difficult to efficiently manage the use of the wash water.

즉, 용변 후 변기 측에 공급된 세척수는 분뇨와 함께 그대로 저장조 측에 담겨지므로 한 번 사용한 세척수는 다시 재 사용할 수 없게 된다.In other words, since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side after the toilet is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as it is with the manure, once used wash water can not be reused.

그러므로, 세척수가 조기에 소진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세척수의 확보에 과다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Therefore, the wash water may be exhausted early, and thus, excessive time and cost may be required to secure the wash water.

그리고, 한 번 사용한 세척수가 저장조에 그대로 담겨지면 저장조의 용량 대비 저장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once the used washing water is contained in the reservoir, it may be a factor that greatly reduces the storage efficiency compared to the capacity of the reservoir.

특히, 대부분의 이동식 화장실들은 야외 공원이나 행사장, 등산로와 같은 곳에 주로 설치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들은 화장실의 관리 및 유지보수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In particular, since most mobile toilets are mainly installed in outdoor parks, event halls, hiking trails, and the lik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e a major factor that greatly degrades the management and maintainability of the toilet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분뇨와 세척수의 처리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manure and wash wat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배출구를 구비한 변기;A toilet with an outlet;

상기 변기의 배출구를 향하여 세척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체공급부;A fluid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a cleaning fluid toward an outlet of the toilet bowl;

상기 변기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분뇨와 세척용 유체가 담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 분리통;Separation container formed so that the manure discharged to the outlet of the toilet and the cleaning fluid is contained;

상기 분리통을 움직이면서 분뇨와 세척용 유체를 원심력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원심구동부;A centrifugal drive unit configured to separate the manure and the washing fluid with a centrifugal force while moving the separator;

상기 분리통 측에서 원심 분리된 세척용 유체를 상기 유체공급부 측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수부;A recovery part formed to recover the cleaning fluid centrifuged at the separation container side to the fluid supply part;

상기 분리통 측에서 원심 분리된 분뇨만 담겨지는 저장조;A reservoir containing only the manure centrifuged at the separator side;

를 포함하는 화장실을 제공한다.Providing a toilet containing a.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변기 측에서 함께 배출되는 분뇨와 세척용 유체가 저장조 측에 담겨지기 전에 원심력으로 각각 분리하여 분뇨만 저장조 측에 담겨지고, 세척용 유체는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다.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by each centrifugal force before the manure and the wash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toilet side is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side, and only the manure is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side, the cleaning fluid can be easily recovered to be reused.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야외 행사장이나 공원, 등산로 등에 설치될 때 분뇨의 폐기 및 세척용 유체의 확보 등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reduce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he disposal of the manure and the securing of the cleaning fluid, for example, when installed in an outdoor event venue, park, hiking trail,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의 주요 부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의 바람직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bath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6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main parts of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eferred operation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변기를 지칭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6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Refers to a toilet bowl.

본 실시 예에서는 주로 야외에 설치되는 이동식(또는 조립식) 화장실 본체(H) 측에 상기 변기(2)가 설치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toilet (2) is installed on the mobile (or prefabricated) toilet main body (H) side that is mainly installed outdoors.

상기 화장실 본체(H)는 용변공간(H1)을 구비하고, 외부에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측면 상에 도어(H2)를 구비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oilet body (H) may have a toilet space (H1), it may be made of a conventional structure having a door (H2) on the side to allow access from the outside.

상기 변기(2)는 윗면이 개방된 홈부(2a)를 구비하고, 이 홈부(2a)의 바닥면 일측에 배출구(2b)가 형성된 통상의 좌변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oilet 2 may have a groove portion 2a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may be formed in a conventional toilet bowl in which an outlet 2b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2a.

상기 변기(2)는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화장실 본체(H) 내측에서 상기 홈부(2a)의 개방면이 위쪽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용변공간(H1) 바닥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ilet 2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ilet space H1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surface of the groove 2a faces upward in the toilet main body H, as shown in FIG. 2. have.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은, 유체공급부(4)와 저장조(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toil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uid supply part 4 and a reservoir 6.

상기 유체공급부(4)는 상기 변기(2) 내부로 세척용 유체(W, 이하 "세척수"라고 함.)를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된다.The fluid supply part 4 is provided in a state capable of supplying a cleaning fluid (W,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sh water") into the toilet bowl 2.

상기 유체공급부(4)는 세척수(W)가 담겨지는 저장통(4a)으로 구성되며, 상기 변기(2)와 떨어져서 상기 화장실 본체(H) 측에 배치된다.The fluid supply part 4 is composed of a reservoir 4a in which the washing water W is contained, and is disposed on the toilet main body H side away from the toilet bowl 2.

상기 저장통(4a)은 상기 변기(2) 일측과 공급관(4b)으로 연결되어 홈부(2a) 측에 배출구(2b)를 향하여 세척수(W)를 흘러보낼 수 있도록 셋팅된다.The reservoir 4a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oilet bowl 2 and the supply pipe 4b and is set to allow the washing water W to flow toward the outlet 2b toward the groove portion 2a.

즉, 상기한 공급관(4b) 일측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밸브(예: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어, 이 밸브로 관로를 열거나 닫는 동작에 의해 세척수가 상기 변기(2)의 홈부(2a) 일측에서 배출구(2b)를 향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That is, although one side of the supply pipe 4b is not shown in the figure, an ordinary valve (for example, a solenoid valve) is installed, and the washing water is operated by opening or closing the pipeline with the valve, so that the groove 2a of the toilet bowl 2 is provided. It is set to be supplied toward the outlet (2b) from one side.

상기 세척수(W)는 일반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변기(2)의 홈부(2a) 내부면을 세척함과 아울러 배출구(2b) 측으로 분뇨(W1)를 흘러보내는 역할을 한다.The wash water (W) may use general tap water or ground water, and serves to flush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2a) of the toilet bowl (2) and to flow the manure (W1) to the outlet (2b) side.

상기 저장조(6)는 저장공간(6a)을 구비하고, 상기 화장실 본체(H)의 용변공간(H1) 아래쪽에 제공된다.The storage tank 6 has a storage space 6a and is provided below the toilet space H1 of the toilet body H.

상기 저장조(6)는 예를 들어, 상기 변기(2) 측에 담겨진 분뇨(W1)와 세척수(W)가 배출구(2b)를 통해 아래쪽으로 흘러내릴 때 상기 저장공간(6a) 측에 담겨질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The reservoir 6 may be contained in the storage space 6a when, for example, the manure W1 and washing water W contained in the toilet bowl 2 flow down through the outlet 2b. Are placed in a state.

즉, 상기 저장조(6)는 상기 변기(2) 아래쪽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화장실 본체(H)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태로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조립식) 화장실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at is, the reservoir 6 may be installed or integrally formed under the toilet 2 while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main body H as shown in FIG. 1. Since this removable (prefabricated) toilet structure is already widel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은, 분리통(8)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or (8).

상기 분리통(8)은 일면이 개방된 분리공간(8a)을 구비하고, 상기 변기(2) 측에서 흘러내리는 분뇨(W1)와 세척수(W)가 담겨질 수 있도록 상기 저장조(6) 내측에 배치된다.The separator (8)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space (8a) is open on one side, disposed inside the reservoir (6) so that the manure (W1) and washing water (W) flowing down from the toilet (2) side can be contained. do.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통(8)은 상기 저장조(6) 내측에서 상기 분리공간(8a)의 개방면이 위쪽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변기(2)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2, the separating cylinder 8 may be disposed below the toilet 2 in a state in which an open surface of the separating space 8a faces upward in the reservoir 6.

그리고, 상기 분리통(8)의 분리공간(8a) 바닥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폐판(8b)으로 개폐된다.In addition, an opening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on space 8a of the separation tube 8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8b.

상기 개폐판(8b)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모터(또는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움직이거나 회전되면서 개폐 동작이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8b may receive power from a driving source such as a motor (or a cylinder)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may be operated to open and close while moving or rotating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상기한 분리통(8)은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외부면 둘레가 작고, 길이가 긴 타입으로 형성하면 좋다. 그러면, 후술하는 원심구동부(12)로 상기 분리통(8)을 움직이는 방식으로 분뇨(W1)와 세척수(W)를 원심 분리할 때 이들의 원심 분리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분리공간(8a)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cylinder 8 is based on FIG. 2, the outer cylinder may have a small outer circumference and a long length. Then, when the centrifugal separation of the manure (W1) and the washing water (W) by moving the separator (8) to the centrifugal drive unit 12 to be described later separation space of the form that can be made more smoothly ( 8a).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은, 수위감지부(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toil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detecting unit 10.

상기 수위감지부(10)는 상기 분리통(8) 측에 담겨진 세척수(W)의 수위(水位)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0 is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水 세척) of the washing water (W) contained in the separator (8) side.

상기 수위감지부(10)는 부력(浮力)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통(8) 내부의 수위감지가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0 may be provided to enable the water level detection inside the separation cylinder 8 using buoyancy.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위감지부(10)는, 부구(G)와, 이 부구(G)의 이동을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G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10 may include a ball sphere G and a guide sphere G1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all sphere G.

상기 부구(G)는 예를 들어, 볼(ball)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통(8)의 분리공간(8a) 안쪽에 위치된다.The float G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ball type, and is located inside the separation space 8a of the separation cylinder 8.

그리고, 상기 가이드구(G1)는 상기 부구(G)의 이동 방향(상,하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uide sphere (G1) is formed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up, down direction) of the sub-ball (G).

즉, 상기 가이드구(G1)는 가이드홈(G2)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통(8)의 분리공간(8a) 내부면에서 일단은 아래쪽을 향하고 타단은 위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That is, the guide sphere (G1)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G2) and disposed so that one end is downward and the other end is up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on space (8a) of the separation cylinder (8). have.

그리고, 상기 부구(G)는 상기 가이드홈(G2) 측에 일측이 끼워져서 이 가이드홈(G2)의 연장 구간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셋팅된다.And, the one side (G) is set so as to move along the extension section of the guide groove (G2) one side is fitted to the guide groove (G2) side.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부구(G)가 상기 분리통(8) 내측에서 부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세척수(W)의 수위와 대응하는 지점에 항상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buckle (G) can be always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W)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buoyancy force inside the separator (8).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은, 원심구동부(12)를 포함한다.The toil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ifugal driving unit 12.

상기 원심구동부(12)는 상기 수위감지부(1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면서 분뇨(W1)와 세척수(W)의 원심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분리통(8)을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entrifugal driving unit 12 may be formed to move the separator (8) to enable the centrifugal separation of the manure (W1) and the washing water (W) while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water level sensor (10).

상기 원심분리부(12)는, 상기 분리통(8)들을 잡아주는 회전축(M)과, 이 회전축(M)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M1)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entrifugal separator 12 may be composed of a rotation shaft M for holding the separation cylinders 8 and a drive source M1 for generating power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M about an axis. .

상기 회전축(M)의 일단은 상기 저장조(6)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화장실 본체(H)의 용변공간(H1) 하부 측에 고정되어 상기 저정조(6) 내측에서 세워진 상태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M) is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6),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toilet space (H1) of the toilet main body (H) axis in a state standing up inside the storage tank (6) It can be installed rotatably around.

그리고, 상기 회전축(M)의 양쪽 단부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베어링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Although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M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the ends of the rotation shaft M may be inserted into a bearing and rotatably supported.

상기 회전축(M) 상에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분리통(8)이 연결 고정된다. On the rotating shaft (M),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eparator (8) is connected and fixed.

상기 분리통(8)은 예를 들어, 분리공간(8a)의 개방면이 위쪽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회전축(M)의 상부와 줄부재(M2, 예: 와이어)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parating cylinder 8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M and the string member M2 (eg, a wire) in an open face of the separating space 8a.

이와 같은 연결 구조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M)이 회전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저정조(6) 내측에서 상기 분리통(8)이 세워진 상태가 되고, 상기 회전축(M)이 회전할 때에는 원심력에 의해 대략 수평한 상태가 된다.(도 3참조)According to such a connection structure, when the said rotating shaft M does not rotate, the said separation cylinder 8 will stand in the inside of the said low tank 6, and when the rotating shaft M rotates, it will be approximately by centrifugal force. It becomes a horizontal state (refer FIG. 3).

그리고, 상기 회전축(M)이 회전하지 않을 때 상기 분리통(8)은 변기(2)와 대응하는 지점에서 항상 대기 상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And, when the rotary shaft (M) is not rotated, the separating cylinder (8) is set to be always in the standby state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toilet (2).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M)을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저장조(6) 내측에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변기(2) 아래쪽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축(M)의 양단을 고정할 때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M)의 일단(하단)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진 지점에 고정되어 축선이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분리통(8)은 상기 회전축(M) 상에서 자중(自重)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변기(2)와 대응하는 지점에 항상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rotary shaft M may be installed in an inclined state to one side of the reservoir 6. That is, when fixing both ends of the rotary shaft (M) to be arranged in a standing state below the toilet (2), as shown in the drawing, one end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M) is fixed to a point biased to either side This can be installed in an inclined state. Then, the separating cylinder 8 may always be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toilet bowl 2 while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in FIG. 4 by its own weight on the rotation shaft M. As shown in FIG.

상기 구동원(M1)은,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어 물림 방식의 동력전달부재(M3)로 동력을 전달하면서 상기 회전축(M)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source M1 may use a motor, and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M while transmitting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M3 of a gear biting method.

예를 들어, 상기 동력전달부재(M3)는 피니언 기어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구동원(M1)의 모터 축과 상기 회전축(M) 사이에서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M1)의 구동시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회전축(M)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M3 may use pinion gears, and as shown in FIG. 2, power transmission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motor shaft of the driving source M1 and the rotation shaft M. FIG. The rotation shaft M may be rotated about an axis by receiving a rotation force when the driving source M1 is driven.

이러한 동력 전달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uch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구동원(M1)은 상기 분리통(8)에 분뇨(W1)와 세척수(W)가 채워진 상태에서 세척수(W)의 수위에 따라 상기 수위감지부(1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도록 셋팅된다.And, the driving source (M1) is set so that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10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W) in the state in which the manure (W1) and the washing water (W) is filled in the separator (8). do.

예를 들어, 상기 수위감지부(10)의 가이드구(G1) 측에 상기 부구(G)의 높낮이 위치 즉, 고수위 지점과 저수위 지점을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센서(S1)와 제2 센서(S2)를 설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ensor S1 and the second sensor so as to detect the height position of the float G, that is, the high water level and the low water level, on the side of the guide sphere G1 of 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10, respectively. (S2) can be installed.

특히, 상기 분리통(8) 측에 담겨진 세척수(W)는 대부분 비중(比重)의 차이에 의해 분뇨(W1) 위에 뜬 상태로 담겨지므로, 이와 같이 담겨지는 세척수(W)의 고수위와 저수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지점에 상기 제1 및 제2 센서(S1, S2)들을 설치하면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washing water (W) contained in the separator (8) side is mostly contained in the state floating on the manure (W1) by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gravity), the high water level and the low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W) contained in this way,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S1 and S2 may be installed at a detectable point.

상기 제1 센서(S1) 및 제2 센서(S2)는 통상의 리미트 스위치나 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S1 and the second sensor S2 may use a conventional limit switch or an optical sensor.

그리고, 상기 제1 센서(S1) 및 제2 센서(S2)는 세척수(W)의 수위에 따라 상기 부구(G)의 높낮이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원(M1)의 작동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first sensor S1 and the second sensor S2 detect the height position of the mouth ball G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W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ource M1 can be turned on and off. Electrically connected.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변기(2) 측에서 배출된 분뇨(W1)와 세척수(W)가 상기 분리통(8) 측에 채워져서 상기 제1 센서(S1)에 의해 상기 세척수(W)의 고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원(M1)이 작동되도록 셋팅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manure W1 discharged from the toilet bowl 2 side and the washing water W are filled on the separation container 8 side, and the washing water W is provided by the first sensor S1. When the high water level is detected, the driving source M1 is set to operate.

그러면, 상기 구동원(M1)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M)에 전달되고, 이 회전축(M)의 회전에 의해 분뇨(W1)와 세척수(W)의 원심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분리통(8)을 움직일 수 있다.T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ource (M1) is transmitted to the rotary shaft (M),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M) to the centrifugal separation of the manure (W1) and washing water (W) to enable the separation cylinder (8). I can move it.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센서(S2)에 의해 세척수(W)의 저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원(M1)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셋팅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축(M)은 멈추고 상기 분리통(8)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And,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low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W) is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S2), it is set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e source (M1). Then, the rotating shaft M is stopped and the separation cylinder 8 is in a state of not moving.

이와 같이 제어 구조에 의하면, 상기 분리통(8) 측에 담겨진 세척수(W)의 수위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원심분리부(10)의 작동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contro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10 by detecting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W) contained in the separator (8) side.

상기에서는 구동원(M1)으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the use of a motor as the driving source M1 is shown i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전기나 유압을 공급받아서 작동하는 여러 가지 타입의 구동장치들을 사용하거나, 이외에도 인력(人力)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M)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the rotating shaft M by using various types of driving devices that operate by being supplied with electricity or hydraulic pressure, or by using manpower. .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은, 회수부(14)를 포함한다.The toil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overy unit 14.

상기 회수부(14)는 상기 분리통(8) 측에 담겨진 세척수(W)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유체공급부(4) 측으로 회수될 수 있는 관로를 제공한다.The recovery unit 14 provides a conduit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W contained in the separation tube 8 can be recovered to the fluid supply unit 4 by centrifugal forc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회수부(14)는 상기 분리통(8)과 상기 유체공급부(4) 사이를 연결하는 회수관(14a)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recovery unit 14 may be configured as a recovery tube 14a connecting between the separator 8 and the fluid supply unit 4.

상기 회수관(14a)의 일단은 상기 분리통(8)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체공급부(4)의 저장통(4a) 일측과 연결된다.One end of the recovery tube 14a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paration tube 8,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servoir 4a of the fluid supply unit 4.

상기 회수관(14a)은 예를 들어, 신축성을 갖는 플렉시블관을 사용하면 좋다. 그러면, 상기 회전축(M)의 회전 운동시 상기 분리통(8)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회수관(14a)의 연결 상태가 적절하게 변화될 수 있다.The recovery pipe 14a may be, for example, a flexible pipe having elasticity. T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recovery pipe (14a)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parating cylinder (8)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shaft (M).

그리고, 상기 회수관(14a)은 상기 분리통(8)이 상기 회전축(M)에 의해 움직일 때 꼬임(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하면 좋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각종 관체들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연결부재(예: 커플링)로 상기 회수관(14a)의 연결 구간 일측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overy pipe 14a may be connected to prevent the twist (twist) when the separation cylinder 8 is moved by the rotation shaft M.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one side of the connection section of the recovery pipe 14a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member (for example, a coupling) used to connect various pipe bodies in a state where free rotation is possible.

상기한 회수관(14a)의 연결 구조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M)으로 상기 분리통(8)을 움직이면서 원심 분리 작업을 진행할 때 세척수(W)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분리통(8)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유체공급부(4) 측으로 회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recovery pipe 14a, the washing water W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ion tube 8 by centrifugal force when the separation tube 8 is moved while the separation shaft 8 is moved to the rotation shaft M. While being recovered to the fluid supply (4) side.

그러므로, 변기(2)측에서 배출되는 세척수(W)를 상기와 같이 회수하는 방식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유체공급부(4) 측에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다.Therefore, the washing water (W) discharged from the toilet bowl (2) side can be simply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4) side to be reused in such a manner as to recover.

다음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의 바람직한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preferred operation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의 바람직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eferred operation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세척수(W)를 이용하여 변기(2) 측에 담겨진 분뇨(W1)를 배출구(2b)로 흘러보내면, 분뇨(W1)와 세척수(W)는 상기 저장조(6) 측에 담겨지기 전에 상기 분리통(8) 측에 담겨진다.First, when the manure (W1) contained in the toilet bowl (2) side using the washing water (W) as shown in Figure 7 flows to the discharge port (2b), the manure (W1) and washing water (W) is the storage tank (6) side It is immersed in the separator (8) side before being immersed in.

그리고, 상기 분리통(8) 측에 설치된 수위감지부(10)의 제1 센서(S1)에 의해 세척수(W)의 고수위가 감지되면, 원심구동부(12)를 작동시킨다.Then, when the high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W) is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S1) of 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10 installed on the separation tube 8 side, the centrifugal driving unit 12 is operated.

상기 분리통(8)은 상기 원심구동부(12)의 구동시 회전축(M)의 회전 방향을 따라 움직이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된다.The separating cylinder 8 moves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M when the centrifugal driving unit 12 is driven, and centrifugal force is generated by this operation.

그러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분리통(8) 내측에 담겨진 분뇨(W1)와 세척수(W) 중에서 상기 분뇨(W1)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공간(8a)의 바닥면 측에 침전되고, 세척수(W)는 분뇨(W1) 위에 뜬 상태로 원심 분리가 이루어진다.Then, the manure (W1) of the manure (W1) and washing water (W) contained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 (8) as shown in Figure 8 is precipitat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separation space (8a) by centrifugal force, washing water ( W) is centrifuged in a state floating on the manure (W1).

이때, 상기 세척수(W)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수부(14)의 회수관(14a)을 통해 상기 분리통(8)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유체공급부(4) 측에 회수된다.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W) is discharged to the fluid supply unit 4 side while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ion cylinder 8 through the recovery pipe 14a of the recovery unit 14 by centrifugal force.

그리고, 상기 분리통(8) 측에 담겨진 세척수(W)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수위감지부(10)의 제2 센서(S2)에 의해 저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원심구동부(12)는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분리통(8)은 멈춘 상태가 된다.When the low water level is sensed by the second sensor S2 of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10 while the washing water W contained in the separation tube 8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centrifugal driving unit 12 is operated. It stops and the said separating cylinder 8 is stopped.

그러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분리통(8)측에 담겨진 분뇨(W)는 개폐판(8b)의 개방 동작에 의해 아래로 낙하하면서 저장조(6) 측에 담겨진다.Then, as shown in FIG. 9, the manure W contained in the separation tube 8 side is contained in the reservoir 6 side while falling down by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8b.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에 의하면, 상기 변기(2) 측에서 함께 배출되는 분뇨(W1)와 세척수(W) 중에서 상기 저장조(6) 측에는 분뇨(W1)만 담겨지므로 화장실의 저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tank (6) of the manure (W1) and the washing water (W) discharged together at the toilet (2) side is contained only the manure (W1) can increase the storage efficiency of the toilet. .

특히, 분뇨(W1)와 원심 분리된 세척수(W)는 상기 유체공급부(4) 측으로 다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야외에 주로 설치되어 세척수(W)의 확보가 어려운 종래의 이동식 화장실들이 갖는 문제들을 간편하게 개선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anure (W1) and centrifuged wash water (W) can be recovered and reused back to the fluid supply (4) side, for example, it is mainly installed in the open air,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wash water (W) in the conventional mobile toilet Problems can be easily solved.

2: 변기 4: 유체공급부 6: 저장조
8: 분리통 10: 수위감지부 12: 원심구동부
14: 회수부
2: toilet bowl 4: fluid supply unit 6: reservoir
8: Separation Container 10: Water Level Detection Unit 12: Centrifugal Driving Unit
14: recovery unit

Claims (11)

분뇨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변기;
상기 변기의 배출구를 향하여 세척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체공급부;
상기 변기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분뇨와 세척용 유체가 담겨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변기 아래쪽에 배치되는 분리통;
상기 분리통이 연결 고정되며 상기 변기 아래쪽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분리통 내부에 담겨진 분뇨와 세척용 유체를 원심력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한 원심구동부;
상기 원심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분리통 측에서 원심 분리된 세척용 유체만 상기 유체공급부 측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수부;
상기 회수부에 의해 세척용 유체가 회수된 상태로 상기 분리통 내측에 남아있는 분뇨가 담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저장조;
를 포함하는 화장실.
A toilet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manure is discharged;
A fluid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a cleaning fluid toward an outlet of the toilet bowl;
A separation container formed to contain the manure discharged to the outlet of the toilet and a cleaning fluid and disposed below the toilet;
The separation cylinder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rotary shaft disposed in the standing state below the toilet, and rotates the rotation axis around the axis to drive the rotary shaft to separate the manure and the cleaning fluid contained in the separation container by centrifugal force A centrifugal driving unit having a driving source to be formed;
A recovery unit configured to recover only the cleaning fluid centrifuged at the separation cylinder side to the fluid supply unit by the centrifugal driving unit;
A storage tank configured to contain the manure remaining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 while the cleaning fluid is recovered by the recovery unit;
Toilet contain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은,
일면이 개방된 분리공간을 구비하고, 이 분리공간의 개방면이 위쪽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변기 아래쪽에 배치되는 화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or is,
One side having a separation space open, the toilet is disposed under the toilet with the open surface of the separation space facing upwards.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분리통이 줄부재로 연결 고정되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분리통을 세워진 상태로 잡아주고,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에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분리통을 수평한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셋팅되는 화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 shaft
When the separator is connected and fixed by a string member, the separator can be held upright when it is not rotated about an axis, and the separator can be held horizontally by centrifugal force when it is rotated about an axis. The toilet is set to b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변기 아래쪽에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도록 양단이 고정될 때에 일단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진 지점에 위치되어 축선이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 shaft
Restroo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located at a point biased to either side is installed in an inclined state when both ends are fixed so as to be placed in a standing state under the toil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모터를 사용하고,
모터 축의 회전력으로 상기 회전축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셋팅되는 화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 source,
Using a motor,
The toilet is set to rotate the rotation axis about the axis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회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수관의 일단은 상기 분리통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체공급부와 연결되는 화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overy unit,
Consists of a return pipe,
One end of the recovery pipe is connected to the separato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수관은,
플렉시블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recovery pipe,
The toilet characterized by using a flexible tub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은, 상기 분리통 측에 담겨진 세척용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분리통 내측에 배치되며 부력에 의해 세척용 유체의 수면 위로 뜰 수 있도록 형성된 부구;
상기 세척용 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기 부구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통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구;
상기 부구의 높낮이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센서들;
을 포함하는 화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ilet further includes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cleaning fluid contained in the separation container side,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A float arranged inside the separator and formed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fluid by buoyancy;
A guide tool installed on the separator to guide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loa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leaning fluid;
Sensors installed to detect the height of the ball;
Toilet containing.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리미트 스위치나 광센서를 사용하고,
상기 분리통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nsors,
Using a limit switch or an optical sensor,
Toilet is installed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separator.
KR1020100011585A 2010-02-08 2010-02-08 toilet KR1012002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585A KR101200281B1 (en) 2010-02-08 2010-02-08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585A KR101200281B1 (en) 2010-02-08 2010-02-08 toi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115A KR20110092115A (en) 2011-08-17
KR101200281B1 true KR101200281B1 (en) 2012-11-09

Family

ID=4492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585A KR101200281B1 (en) 2010-02-08 2010-02-08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28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3893A1 (en) 2001-02-28 2004-07-29 Hao Wu Flushing lavatory
KR200447584Y1 (en) 2009-08-14 2010-02-10 김남순 Movable Sewage Treatment Toil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3893A1 (en) 2001-02-28 2004-07-29 Hao Wu Flushing lavatory
KR200447584Y1 (en) 2009-08-14 2010-02-10 김남순 Movable Sewage Treatment Toi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115A (en)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137233A (en) Sphere circulating apparatus
CN103850345B (en) Eccentric water tank type hydraulic self flushing intercepting and accumulating door
RU2008117405A (en) DEVICE FOR RE-USE OF CONTAMINATED WATER AND METHOD OF APPLICATION
CN104168762A (en) Modularly connected device for cleaning a pet toilet
CN103291017A (en) Rotation-type automatic flow-abandon-type rainwater collecting and utilizing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N207791464U (en) A kind of bucket that self-cleaning easily drains
KR101200281B1 (en) toilet
CN107902204B (en) Self-cleaning bucket easy to drain
CN113176388A (en) Reservoir water source detects with water source detection device of being convenient for sampling
CN202202379U (en) Flushing mechanism of flushing toilet
JP2016003451A (en) Disaster prevention flush toilet system
US7753622B2 (en) Method for maintaining the water balance in a property and a waste water container
CN108060706A (en) A kind of indoor suction formula underground water leakage plug-removing device
CN109187903A (en) A kind of remote control type sewage detection equipment with sludge crawl function
CN102418371A (en) Scouring mechanism for water-flushing closestool
JP5505545B1 (en) Disaster prevention toilet system
CN101464066A (en) Solar water heater
KR101833926B1 (en) Apparatus for washing sewage pipe
CN208088445U (en) A kind of public toilet cistern
JP2005113403A (en) Urinal equipment
CN218521898U (en) Liquid feeding device of toilet water tank
CN212248572U (en) Flushing device
CN211113997U (en) Sunken type toilet bottom layer backfilling structure
CN215000195U (en) Automatic water draining device for heat supply pipeline
JP3847721B2 (en) Emergency water storage device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or other dis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