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110B1 -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110B1
KR101200110B1 KR1020100049900A KR20100049900A KR101200110B1 KR 101200110 B1 KR101200110 B1 KR 101200110B1 KR 1020100049900 A KR1020100049900 A KR 1020100049900A KR 20100049900 A KR20100049900 A KR 20100049900A KR 101200110 B1 KR101200110 B1 KR 101200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nformation
virtual camera
view
dir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315A (ko
Inventor
김승경
정용욱
김한철
이정선
김무항
김동환
권연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11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은, 3차원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광고 컨텐츠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view)를 정의하는 단계,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에 노출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과를 나타내는 광고 효과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정확한 광고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measuring advertisement effec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ed application for the measuring advertisement effect}
본 발명은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기준으로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고전적인 광고 방식으로는 간판, 전단지, 현수막과 같은 실체적인 형체가 있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고전적인 광고 방식에서는 광고 대상을 특정할 수 없고, 광고물이 광고 대상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소 및 인력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이 확대되고,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이 발전함에 따라, 고전적인 광고 방식에 비하여 온라인 광고 방식 혹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광고 방식이 보다 효율적인 광고 방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광고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특정 정보를 검색했을 때 해당 광고가 노출되거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광고 방식의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해당 광고가 노출되는 것이므로, 광고 대상이 특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광고 컨텐츠를 전달하는 고전적인 광고 방식에 비하여 큰 광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광고 방식 및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광고 방식은 별도의 광고물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그에 따른 장소 및 인력이 불필요하다.
온라인 광고 방식 및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광고 방식이 고전적인 광고 방식에 비하여 효율적인 광고 방식이기는 하지만, 비용을 지불하고 광고를 게재하는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광고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광고 대상에게 전달이 되었는지를 알고자 한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온라인 광고 방식 및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광고 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배너(banner)를 이용한 광고 방식이다. 배너를 이용한 광고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배너를 클릭(click)하면 해당 광고가 사용자에게 노출이 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광고를 봤다는 확인으로 클릭과 같은 인위적인 행위를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줄 수 있고, 사용자가 광고를 봤더라도 배너를 클릭하지 않을 경우 배너에 의한 광고 효과를 정확히 알 수 없다.
기존의 온라인 광고 방식 및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광고 방식의 다른 예로, 센서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한 방식도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광고 컨텐츠를 봤다는 별도의 확인을 할 필요가 없으나, 사용자측의 컴퓨터에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구현이 용이하지 않다.
상술한 광고 방식 이외에도 온라인 및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광고 컨텐츠를 광고 대상에게 전달하고, 광고 효과를 알기 위한 여러 방안들이 안출되었지만, 대부분 2차원 평면상에서 광고 컨텐츠가 일정 공간을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강제적인 광고 컨텐츠의 노출로 인해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으로 인해 어플리케이션의 실질적인 영역이 좁아져 어플리케이션 본래의 동작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3차원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상 카메라의 시야를 기준으로 광고 컨텐츠의 노출 정도에 따라 광고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광고 효과지수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 카메라의 시야를 기준으로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은, 3차원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광고 컨텐츠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view)를 정의하는 단계;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에 노출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과를 나타내는 광고 효과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에 노출되는 정도는,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에 진입하는 시점과 이탈하는 시점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에 노출되는 정도는, 적어도 상기 광고 객체의 광고 벡터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방향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에 노출되는 정도는, 적어도 상기 광고 객체의 광고 벡터 및 위치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방향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는,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컨텐츠를 시청자가 바라보는 시선 벡터와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여 가상 카메라의 뷰(view)를 정의하는 단계,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가 가상 카메라의 뷰에 진입하면,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진입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가 가상 카메라의 뷰로부터 이탈하면,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이탈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추출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진입 시점으로부터 이탈 시점까지의 광고 컨텐츠의 노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은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제1 가중치 및 산출된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의 효과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은 광원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광원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광고의 효과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산출된 제2 가중치를 더 이용하여 광고의 효과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카메라와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가상 카메라의 방향 정보 및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카메라와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 간의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거리 및 산출된 각도를 이용하여 제1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광원의 위치 정보 및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광원과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광원의 방향 정보 및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광원과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 간의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거리 및 산출된 각도를 이용하여 제2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은 표시 화면 내에 존재하는 2차원 또는 3차원 객체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객체의 리스트 중에서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여 가상 카메라의 뷰를 정의하는 뷰 정의부,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가 가상 카메라의 뷰에 진입하면,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진입 시점을 판단하고,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가 가상 카메라의 뷰로부터 이탈하면,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이탈 시점을 판단하는 뷰 모니터링부, 및 추출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진입 시점으로부터 이탈 시점까지의 광고 컨텐츠의 노출 시간을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연산부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가중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1 가중치 및 산출된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의 효과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객체 추출부는, 광원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고, 연산부는, 추출된 광원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가중치를 산출하며, 산출된 제2 가중치를 더 이용하여 광고의 효과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연산부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카메라와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가상 카메라의 방향 정보 및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카메라와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 간의 각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거리 및 산출된 각도를 이용하여 제1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연산부는, 광원의 위치 정보 및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광원과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광원의 방향 정보 및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광원과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 간의 각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거리 및 산출된 각도를 이용하여 제2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객체 추출부는 2차원 또는 3차원 객체의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의 리스트 중에서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단말장치는 3차원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광고 컨텐츠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view)를 정의하는 뷰 정의부;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 및 상기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에 노출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과를 나타내는 광고 효과지수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를 정의하는 단계,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가 가상 카메라의 뷰에 진입하면,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진입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가 가상 카메라의 뷰로부터 이탈하면,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이탈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추출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진입 시점으로부터 이탈 시점까지의 광고 컨텐츠의 노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관찰자의 시점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내의 가상 카메라의 뷰를 기준으로,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노출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광고의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실제로 관찰자에게 광고 컨텐츠가 보여지는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찰자가 광고 컨텐츠를 보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강제적인 동작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광고 컨텐츠를 보는 관찰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으며, 3차원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시선의 흐름 및 시간에 따라 자연스러운 광고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큰 광고 효과를 기대하는 광고주 및 강제적인 동작에 거부감을 느끼는 관찰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광고 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단말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단말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의 정의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이하, "도 4"라고 함)는 본원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도면으로서, 도 4를 참조하여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할 주요 용어들에 대하여 정의하기로 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시선 벡터"는 도 4a에 표시된 방향을 가진 벡터(3)를 의미한다. 즉, 시선 벡터는 외부에서 시청자가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를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4a에서 도면 번호 9로 표시한 영역은 컨텐츠가 표시되는 가상 공간(2D 또는 3D)을 의미하며, 가상 공간에는 좌표계가 부여된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가상 공간에서 객체 또는 가상 카메라 등의 위치를 일의적으로 정의할 수 있으면 어떤 좌표계라도 사용가능하다. 전형적인 예를 들면, 직교 좌표계, 원통형 좌표계, 및/또는 구 좌표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 좌표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좌표는 절대 좌표 또는 상대 좌표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은 직교 좌표계 또는 구 좌표계 및 절대 좌표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그러한 좌표계나 좌표에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가상 공간(9)에 고정된 직교 좌표계가 부여된다. 도 4a의 경우, 가상 공간(9)에서의 시선 벡터의 방향은 +x축 방향이다. 하지만 시간에 따라서 가상 공간(9)에서의 컨텐츠가 변화되는 경우, 가상 공간(9)에서의 시선 벡터의 방향은 바뀐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가상 공간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 된 후의 가상 공간(9)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4a의 가상공간이 시청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90도 회전하였다고 가정하였다. 이렇게 된 경우, 시선 벡터의 방향은 음의 z축(이하, "-z축")방향이 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가상 카메라"는 가상공간에 존재하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는 시청자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가상 공간의 소정 위치에서 소정의 방향을 볼 수 있는 카메라이다.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가상 카메라(5a, 5b, 5c, 5d)가 가상공간(9) 내에 위치될 수 있으나, 본원 발명에서는 "가상 카메라"의 개수는 반드시 복수일 필요가 없으며 1개만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가상 카메라들은 소정의 위치에서 소정 방향을 바라볼 수 있는 뷰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의 뷰의 위치와 방향은 가상공간(9)내에서 고정 또는 변화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공간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카메라"가 위치될 수 있고, 그 가상 카메라가 가지는 뷰의 위치와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가상 카메라는 시청자가 바라보는 컨텐츠가 시간에 따라 변화(주로, 방향이나 위치)되는 정도에 대응하여 그 가상 카메라의 뷰의 위치와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가상 카메라의 방향이나 위치는 그 가상 카메라의 뷰의 범위를 정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용어 "가상 카메라의 방향이나 위치"와 "뷰의 방향이나 위치"는 이들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로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는 시청자가 바라보는 시선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위치도 시청자가 위치한 곳과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가상 카메라의 방향은 시선 벡터와 동일하게 되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시간에 따라 변화됨에 따라서 가상 카메라의 방향도 변화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상 카메라의 방향은 시선 벡터와 항상 동일하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는 시청자가 바라보는 시선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c에서 가상 카메라 5a, 5c, 5d의 경우는 가상 카메라의 방향과 시선의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상태이다.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공간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카메라"가 위치될 수 있고, 그 가상 카메라는 위치와 방향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컨텐츠의 가상 공간(9)을 모두 볼 수 있어야 하므로 한 개의 가상 카메라가 아닌 수없이 많은 가상 카메라가 있어야 한다. 그러한 가상 카메라들은 모두 고정된 위치와 방향을 가지고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가상 공간에서 외부로 표시되는 컨텐츠가 실시간으로 변화되더라도, 가상 카메라들의 위치와 방향은 변화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가상 카메라들 중에서 시선 벡터와 동일한 방향을 가지고 있는 가상 카메라들을 선별하고, 선별한 가상 카메라들 중에서 시청자의 위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위치를 가진 가상 카메라를 선정하며, 최종 선정된 가상 카메라(들)의 방향과 위치를 이용하여 광고 객체의 노출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가상 카메라가 고정된 위치와 방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이 달라질 마다 시선 벡터와 동일한 방향을 가진 가상 카메라를 선정해야 하므로 다소 번거로울 수 있다. 하지만 본원 발명을 그렇게(즉,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시키는 것) 구현하더라도 본원 발명의 목적은 달성될 수 있다.
도 5는 광고 객체와 가상 카메라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실시예는 특정 시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직교 좌표계가 가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예에서, 가상 카메라가 직교 좌표계의 원점에 있고 그 방향이 시선 벡터와 동일하다고 하면, 그 가상 카메라에는 광고 객체(11)가 노출된다.
삭제
여기서, 광고 객체(11)는 다수의 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고, 각 면들에 대하여 광고용 텍스쳐가 입혀져 있으며, 각 면들(A, B, C)에 있는 광고용 텍스쳐들의 노출 방향은 서로 상이하다. 즉, A 면은 가상 카메라에 노출이 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나머지 B나 C 면은 가상 카메라에 노출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객체(11)는 각각의 면들에 대하여 법선 벡터가 정의되고, 이러한 법선 벡터들 각각과 가상 카메라의 뷰(방향)를 고려하여 광고 노출의 정도를 결정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단말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 및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atabese : DB)(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는 컨텐츠 재생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며, 여기에 본 발명의 광고 효과 측정과 관련된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단말장치(10)는 본 실시예에 도시한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 및 광고 컨텐츠 DB(200) 이외에도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광고 효과 측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는 단말장치(10)에 탑재된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 재생 기능을 갖는 통상의 어플리케이션에 광고 효과 측정 기능이 더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는 객체 추출부(110), 뷰 정의부(120), 뷰 모니터링부(130), 연산부(140), 및 컨텐츠 재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추출부(110)는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객체를 추출하거나 혹은 표시 화면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객체 추출부(110)는 객체를 추출한 후, 추출된 객체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객체는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존재하는 2차원 혹은 3차원의 형상을 가진 것이며, 객체 자체로 육안에 노출되지는 않고 주로 객체에 텍스쳐(texture)가 덧붙여지게 된다. 이때, 텍스쳐는 단순하게는 객체의 면을 채우는 색상의 이미지일 수 있고, 사진, 메모지, 동영상과 같은 형태의 컨텐츠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텍스쳐는 광고 컨텐츠를 포함한다. 또한, 광고 컨텐츠는 정지 영상 혹은 동영상일 수 있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객체는 2차원 혹은 3차원의 형상을 가진 것이므로,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해당 객체가 존재하는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가진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좌표값으로 나타낼 수 있고, 방향 정보는 법선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객체가 가진 복수의 면에 대하여 각각의 법선 벡터가 존재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면에 대하여 존재하는 복수의 법선 벡터 중 광고 컨텐츠가 덧붙여진 면에 대하여 존재하는 법선 벡터를 광고 벡터라 칭한다.
객체 추출부(110)는 기추출된 객체로부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이하, '광고 객체'라 한다)는 텍스쳐가 덧붙여진 객체들 중에서도 특정 객체에 덧붙여진 텍스쳐가 광고 컨텐츠에 해당하는 것일 경우의 객체를 의미한다.
객체 추출부(110)에서 광고 객체를 추출한다는 의미는 광고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과 함께 해당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 즉, 좌표 값과 법선 벡터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객체 추출부(110)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 즉, 좌표 값과 법선 벡터를 더 추출할 수 있다.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카메라가 존재하며, 객체 추출부(110)에서는 가상 카메라도 하나의 객체로 취급하여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추출부(110)는 광원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 즉, 좌표 값과 법선 벡터를 더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은 점광원(Point light source), 스포트라이트(Spot light), 및 방향광원(Directional ligh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광원도 가상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객체 추출부(110)에 의해 하나의 객체로 취급되어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뷰 정의부(120)는 객체 추출부(110)로부터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제공받아 가상 카메라의 뷰(view)를 정의한다. 여기서, 뷰는 가상 카메라가 바라보는 시야에 해당하는 것으로, 뷰의 범위 안에 광고 컨텐츠가 포함되어야 단말장치(10)의 사용자가 광고 컨텐츠를 보는 상태가 된다. 뷰 정의부(120)는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가상 카메라가 존재한다면, 뷰 정의부(120)에서는 복수의 가상 카메라에 대한 뷰를 정의한다.
뷰 모니터링부(130)는 뷰 정의부(120)에 의해 정의된 뷰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가상 카메라의 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뷰 정의부(120)에 의해 정의된 가상 카메라의 뷰가 복수개일 경우, 뷰 모니터링부(130)의 복수의 가상 카메라의 뷰를 모두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뷰 모니터링부(130)는 가상 카메라의 뷰를 모니터링하는 상태에서 뷰에 광고 객체가 진입하였을 경우 혹은 기진입한 광고 객체가 뷰를 이탈하였을 경우를 판단하여 각각 그 진입 시점 및 이탈 시점을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모니터링부(130)는 뷰에 진입한 광고 객체의 광고 벡터와 위치를 관리한다. 뷰의 중심에 광고 객체가 있는지, 아니면 뷰에 포함되어 있지만 뷰의 중심이 아닌 가장자리에 있는지, 또한 뷰에 포함되어 있지만 가상 카메라로부터 먼 위치 또는 가까운 위치에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와 이들 위치에 있었던 시간을 모두 관리한다. 여기서, "관리"라고 하면 정보의 삭제, 유지, 갱신, 및/또는 저장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1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는 RAM과 같은 일시적인 데이터 저장부 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영구적인 데이터 저장부를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뷰 모니터링부(130)는, 연산부(140)가 광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자료를 수집하여 연산부(14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뷰 모니터링부(130)는 시간별 광고 객체의 위치와 광고 벡터, 가상 카메라의 벡터와 위치 등의 정보를 연산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르게는, 뷰 모니터링부(150)는 광고 객체의 위치와 광고 벡터, 가상 카메라의 벡터와 위치간의 관계로부터 광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 후에 연산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연산부(140)는 본 단말장치(10)에서 광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모든 수학적 연산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연산부(140)는 제1 가중치, 제2 가중치, 광고 컨텐츠의 노출 시간, 및 광고의 효과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연산부(140)는 객체 추출부(110)로부터 광고 객체 및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제공받아 제1 가중치를 산출한다. 이때, 광고 객체의 방향 정보에는 광고 벡터도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산부(140)는 광고 객체와 가상 카메라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객체와 가상 카메라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광고 객체와 가상 카메라의 법선 벡터를 이용하여 광고 객체와 가상 카메라 간의 각도를 산출한다. 이후, 연산부(140)는 수학식 1에 의해 제1 가중치(Wei1)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4187705-pat00001
여기서, Gapoc는 광고 객체와 가상 카메라 간의 거리이고, Angoc는 광고 객체와 가상 카메라 간의 각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Gapoc와 Angoc를 곱한 수식으로 제1 가중치를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보다 종합적으로 광고 객체와 가상 카메라 간의 거리와, Angoc는 광고 객체와 가상 카메라 간의 각도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이들 거리와 각도의 함수(즉, f( Gapoc, Angoc))로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연산부(140)는 객체 추출부(110)로부터 광고 객체 및 광원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제공받아 제2 가중치를 산출한다. 이때,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는 제1 가중치 산출시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연산부(140)는 제1 가중치 산출시와 유사하게 제2 가중치를 산출한다. 연산부(140)는 광고 객체와 광원 각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객체와 광원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광고 객체와 광원의 법선 벡터를 이용하여 광고 객체와 광원의 각도를 산출한다. 이후, 연산부(140)는 수학식 2에 의해 제2 가중치(Wei2)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4187705-pat00002
여기서, GapoL는 광고 객체와 광원 간의 거리이고, AngoL는 광고 객체와 광원 간의 각도이다.
제2 가중치 역시, GapoL와 AngoL를 곱한 수식으로 가중치를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보다 종합적으로 광고 객체와 광원 간의 거리와, 광고 객체와 광원 간의 각도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이들 거리와 각도의 함수(즉, f( GapoL, AngoL))로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산부(140)는 광고 객체가 가상 카메라의 뷰에 노출되는 정도가 반영된 광고의 효과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뷰의 중심에 광고 객체가 있는지, 아니면 뷰에 포함되어 있지만 뷰의 중심이 아닌 가장자리에 있는지, 또한 뷰에 포함되어 있지만 가상 카메라로부터 먼 위치 또는 가까운 위치에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와 이들 위치에 있었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서 광고의 효과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의 효과가 클수록 광고의 효과 지수의 값이 높다. 이러한 경우, 연산부(140)가 광고의 효과 지수를 산출할 때 사용하는 수식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a) 광고 벡터와 가상 카메라 벡터의 방향이 서로 180도 차이가 나면, 광고의 효과 지수가 높아진다.
b) 광고 벡터와 가상 카메라 벡터의 방향이 서로 동일하면 광고의 효과 지수는 거의 영에 가까워진다.
c) 광고 벡터와 가상 카메라 벡터의 방향이 서로 90 또는 270도 차이 나면 광고의 효과 지수가 낮아진다.
d) 광고 벡터와 가상 카메라 벡터의 방향이 서로 180도 ± │θ1│의 차이가 나고(여기서, │θ1│는 절대값), 여기서 │θ1│이 커질수록 광고 효과 지수는 낮아진다.
e) 광고 벡터와 가상 카메라 벡터의 방향이 서로 0 도 ~ ±90도 범위에 있으면 광고의 효과 지수는 거의 영에 가까워진다.
f)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광고 벡터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광고의 효과 지수는 낮아진다.
g) 광고 벡터와 가상 카메라 벡터의 방향이 서로 180도 차이가 나더라도, 가상 카메라와 광고 객체 간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시청자가 광고 객체를 육안으로 보기 힘들 정도이면 광고의 효과 지수는 거의 영에 가까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산부(140)는 뷰 모니터링부(130)로부터 광고 객체에 대한 가상 카메라의 뷰로의 진입 시점 및 이탈 시점을 제공받으면, 진입 시점과 이탈 시점에 의해 해당 광고 객체에 덧붙여있는 광고 컨텐츠의 노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연산부(140)는 광고 컨텐츠의 노출 시간을 산출한 후,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를 기산출된 광고 컨텐츠의 노출 시간에 반영하여 광고의 효과 지수를 산출한다. 연산부(140)는 수학식 3에 의해 광고의 효과 지수(EFF)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4187705-pat00003
여기서, EXt는 해당 광고 컨텐츠의 노출시간이다.
연산부(140)는 뷰 모니터링부(130)가 관리하는 모든 정보를 제공받아서 광고 효과 지수를 산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부(150)는 광고 컨텐츠 DB(200)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독출하여 광고 컨텐츠가 기지정된 객체에 덧붙여진 상태에서 해당 광고 컨텐츠를 재생시킨다.
광고 컨텐츠 DB(200)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광고 컨텐츠 DB(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 혹은 광고주 서버(미도시)로부터 최신의 광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즉, 광고 컨텐츠 DB(200)는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단말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 제2 어플리케이션부(300), 및 광고 컨텐츠 DB(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일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는 객체 추출부(110), 뷰 정의부(120), 뷰 모니터링부(130), 및 연산부(140)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의 구성은 도 1에서 예시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에는 컨텐츠 재생부(150)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객체 추출부(110), 뷰 정의부(120), 뷰 모니터링부(130), 및 연산부(140)의 동작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차이가 없으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어플리케이션부(300)는 일반적으로 컨텐츠 재생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것으로, 광고 컨텐츠 DB(200)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제공받아 해당 광고 컨텐츠를 재생시킨다. 제2 어플리케이션부(300)의 동작은 도 1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의 컨텐츠 재생부(150)의 동작과 동일하다. 컨텐츠 재생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라면, 현재 개시되어 있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제2 어플리케이션부(300)에 해당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및 도 2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추출부(110), 뷰 정의부(120), 뷰 모니터링부(130), 연산부(140), 및 컨텐츠 재생부(150)는 하나의 기능 블록 안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하나의 장치에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만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이들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별도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별도라고 함은 논리적으로 구분되거나, 위치적으로 구분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1과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 내에 객체 추출부(110), 뷰 정의부(120), 뷰 모니터링부(130), 및 연산부(140)와 함께 컨텐츠 재생부(15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및 도 2와 같이 객체 추출부(110), 뷰 정의부(120), 뷰 모니터링부(130), 및 연산부(140)는 제1 어플리케이션부(100) 내에 포함되어 있고 컨텐츠 재생을 위한 별도의 제2 어플리케이션부(300)가 존재하는 경우 모두 도 3의 각 단계를 처리하는 것은 동일하다.
객체 추출부(110)는 3차원의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를 추출한다. 이때, 객체 추출부(110)에 의해 추출되는 객체는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객체 혹은 현재 표시 화면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일 수 있다(S401).
객체 추출부(110)는 기추출된 객체들 중 광고 객체를 추출한다. 이때, 객체 추출부(110)는 광고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 즉, 좌표값과 광고 벡터를 포함하는 법선 벡터도 추출한다(S403).
또한, 객체 추출부(110)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도 추출한다. 이때, 가상 카메라가 복수 개이면, 객체 추출부(110)는 복수의 가상 카메라 모두에 대하여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추출한다(S405).
객체 추출부(110)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가 추출되면, 추출된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뷰 정의부(120)로 제공한다(S407).
뷰 정의부(120)는 객체 추출부(110)로부터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상 카메라의 뷰를 정의한다(S409). S405 단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상 카메라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뷰 정의부(120)는 복수의 가상 카메라 각각에 대한 뷰를 모두 정의한다.
뷰 정의부(120)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가상 카메라에 대한 뷰를 정의한 후, 정의된 뷰 관련 정보를 뷰 모니터링부(130)에 제공하고(S411), 뷰 모니터링부(130)에서는 뷰 정의부(120)로부터 제공받은 뷰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기정의된 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S415).
연산부(140)는 객체 추출부(110)로부터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 및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제공받고(S417 및 S419), 수학식 1에 의해 제1 가중치를 산출한다(S421).
객체 추출부(110)는 광원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추출하고(S423), 광원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가 추출되면, 연산부(140)로 추출된 광원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제공한다(S425).
연산부(140)는 객체 추출부(110)로부터 제공받은 광원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 2에 의해 제2 가중치를 산출한다(S427).
S417 내지 S427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에도 뷰 모니터링부(130)는 지속적으로 가상 카메라의 뷰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뷰 모니터링부(130)에서 가상 카메라의 뷰를 모니터링하고 있는 상태에서, 특정 뷰에 광고 객체가 진입하였음이 판단되면(S429-Y), 뷰 모니터링부(130)에서는 진입 시점을 저장하고, 뷰에 진입한 광고 객체에 대한 정보와 함께 진입 시점을 연산부(140)에 제공한다(S431).
이후, 뷰 모니터링부(130)에 의해 특정 뷰에 기진입한 광고 객체가 해당 뷰를 이탈하였음이 판단되면(S433-Y), 뷰 모니터링부(130)는 이탈 시점을 저장하고, 뷰를 이탈한 광고 객체에 대한 정보와 함께 이탈 시점을 연산부(140)에 제공한다(S435).
연산부(140)는 기제공받은 진입 시점에 관한 정보와 이탈 시점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광고 객체에 덧붙어있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노출 시간을 산출한다(S437).
광고 컨텐츠에 대한 노출 시간을 산출한 후, 연산부(140)는 수학식 3에 의해 광고의 효과지수를 산출한다(S439). S439 단계에서 산출되는 광고의 효과지수는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해 가상 카메라 및 광원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제1 및 제2 가중치를 반영한 것임에 따라, 광고의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단계를 시간의 흐름상으로 설명하였다. 도 3에서의 각 단계는 대부분 그 순서에 따라 수행되나, 일부의 단계는 도 3에 예시한 순서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401 및 S403 단계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하지만, S401 및 S403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S405 단계는 S401 단계 이전 혹은 S403 단계 이전에 수행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S417 단계는 S403 단계 직후에 수행될 수 있고, S419 단계는 S405 단계 직후 혹은 S409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뷰 모니터링부(130)에서는 광고 객체가 뷰에 진입하였음이 판단되면 그 진입 시점을 연산부(140)로 제공하고, 해당 광고 객체가 해당 뷰를 이탈하였음이 판단되면 그 이탈 시점을 연산부(140)로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연산부(140)에서 이탈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때까지 진입 시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S431 단계를 S435 단계와 통합하여 광고 객체가 해당 뷰를 이탈하면, 그 이탈 시점에 해당 광고 객체의 진입 시점 및 이탈 시점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연산부(140)로 제공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입 시점 및 이탈 시점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연산부(140)로 제공할 경우, 연산부(140)에서 광고 객체가 뷰를 이탈할 때까지 이전에 제공받은 진입 시점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연산부(14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단말장치 100 : 제1 어플리케이션부
110 : 객체 추출부 120 : 뷰 정의부
130 : 뷰 모니터링부 140 : 연산부
150 : 컨텐츠 재생부 200 : 광고 컨텐츠 DB
300 : 제2 어플리케이션부

Claims (19)

  1. 광고를 표시하는 단말장치에서의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에 있어서,
    객체 추출부가, 상기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하는 광고 화면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와 가상 카메라들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뷰 정의부가, 상기 가상 카메라들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들 각각에 대한 뷰를 정의하는 단계;
    뷰 모니터링부가, 상기 객체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들의 뷰의 범위에 광고 객체가 진입하였는지 여부와 상기 가상 카메라들의 뷰의 범위에 진입한 광고 객체의 방향과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및
    연산부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의 범위에 진입한 광고 객체의 방향 및 위치와 그 광고 객체가 진입한 뷰를 가진 가상 카메라의 방향 및 위치에 기초하여 제1 가중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제1 가중치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과를 나타내는 광고 효과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추출부는, 또한,
    상기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되는 광고 화면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광원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과지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산부는, 또한, 상기 광고 객체의 방향 및 위치와 상기 광원의 위치 및 방향에 기초하여 제2 가중치를 산출하며, 상기 광고 효과지수를 산출할 때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뷰 모니터링부는,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에 진입하는 시점과 이탈하는 시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과지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산부는, 또한,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에 진입하는 시점과 이탈하는 시점을 이용하여 노출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광고 효과지수를 산출할때 상기 노출시간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
  6. 광고를 표시하는 단말장치에서의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에 있어서,
    객체 추출부가, 상기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하는 광고 화면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고, 뷰 정의부가 상기 객체 추출부가 추출한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view)를 정의하는 단계;
    상기 객체 추출부가, 상기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하는 광고 화면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뷰 모니터링부가,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에 진입하면,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진입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뷰 모니터링부가,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이탈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연산부가,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입 시점으로부터 상기 이탈 시점까지의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부가, 상기 제1 가중치 및 상기 산출된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의 효과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추출부가, 상기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되는 광고 화면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광원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부가, 상기 추출된 광원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고의 효과지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광고의 효과지수를 산출할 때 상기 제2 가중치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와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방향 정보 및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와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 간의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거리 및 상기 산출된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원과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광원의 방향 정보 및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원과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 간의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거리 및 상기 산출된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 방법.
  11. 삭제
  12. 3차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어플리케이션에서 의해 표시되는 광고 화면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가상 카메라들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며, 또한 상기 객체들 중에서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
    상기 가상 카메라들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들 각각에 대한 뷰(view)를 정의하는 뷰 정의부;
    상기 객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광고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들의 뷰에 진입하면,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뷰에 진입한 진입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뷰를 이탈한 이탈 시점을 판단하는 뷰 모니터링부; 및
    상기 객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입 시점으로부터 상기 이탈 시점까지의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시간을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단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 상기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가중치 및 상기 산출된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의 효과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단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추출부는, 상기 3차원 어플리케이션에서 의해 표시되는 광고 화면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광원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추출된 광원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 상기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가중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제2 가중치를 더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과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단말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와 상기 광고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방향 정보 및 상기 광고 객체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와 상기 광고 객체 간의 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거리 및 상기 산출된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단말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추출부는, 상기 3차원 어플리케이션에서 의해 표시되는 광고 화면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광원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광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광고 객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원과 상기 광고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광원의 방향 정보 및 상기 광고 객체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원과 상기 광고 객체 간의 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거리 및 상기 산출된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단말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컴퓨터에,
    상기 컴퓨터가 표시하는 광고 화면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view)를 정의하는 단계;
    상기 광고 화면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에 진입하면,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진입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뷰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이탈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객체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입 시점으로부터 상기 이탈 시점까지의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49900A 2010-05-27 2010-05-27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20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900A KR101200110B1 (ko) 2010-05-27 2010-05-27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900A KR101200110B1 (ko) 2010-05-27 2010-05-27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315A KR20110130315A (ko) 2011-12-05
KR101200110B1 true KR101200110B1 (ko) 2012-11-12

Family

ID=4549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900A KR101200110B1 (ko) 2010-05-27 2010-05-27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33192A1 (en) * 2013-07-23 2015-0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creating effective interactive advertising content
US10406440B2 (en) 2016-08-26 2019-09-10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collecting advertisement exposure data of 360 VR game replay video
CN113822690A (zh) * 2020-10-19 2021-12-21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广告转化量确定方法、装置及相关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336A (ko) * 2000-07-10 2002-01-17 이성열 가상현실 모델링을 통한 인터넷상에서의 광고방법 및 그장치
JP2002253847A (ja) * 2001-02-28 2002-09-10 Konami Co Ltd 家庭用ゲーム等のゲーム広告課金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67005A (ko) * 2004-03-08 2007-06-27 매시브 인코포레이티드 다수의 비디오 게임에 광고를 전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44109A (ko) * 2006-11-15 2008-05-20 (주)디지털오션 온라인 게임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32550A (ko)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지온텍코리아 3d 맵 상에서 광고를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336A (ko) * 2000-07-10 2002-01-17 이성열 가상현실 모델링을 통한 인터넷상에서의 광고방법 및 그장치
JP2002253847A (ja) * 2001-02-28 2002-09-10 Konami Co Ltd 家庭用ゲーム等のゲーム広告課金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67005A (ko) * 2004-03-08 2007-06-27 매시브 인코포레이티드 다수의 비디오 게임에 광고를 전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44109A (ko) * 2006-11-15 2008-05-20 (주)디지털오션 온라인 게임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32550A (ko)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지온텍코리아 3d 맵 상에서 광고를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315A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8064B (zh) 用于在真实环境的视图中描绘虚拟信息的方法
US9761054B2 (en) Augmented reality computing with inertial sensors
US8593453B2 (en) Monitoring user attention in a computer-simulated environment
US7596536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ynamically measuring properties of objects rendered and/or referenced by an application executing on a computing device
US20100257252A1 (en) Augmented Reality Cloud Computing
CN101911128B (zh) 用于提供使用增强现实的三维网络地图服务的方法和***
JP5295416B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EP24771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perceived through a window
KR20160003788A (ko) 미디어 콘텐츠에 광고 콘텐츠의 적응적 삽입
US201303391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Exposure Value of Out of Home Advertising Assets
US9589385B1 (en) Method of annotation across different locations
KR101200110B1 (ko) 광고 효과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그리고 광고 효과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50010206A1 (en) Gaze position estimation system, control method for gaze position estimation system, gaze position estimation device, control method for gaze position estimation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150310495A1 (en) Technology and process for digital, mobile advertising at scale
CN110709879A (zh) 广告信息处理***、广告显示区域评价方法以及广告信息处理用程序
JP7130771B2 (ja) 注目情報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記憶媒体ならびに電子機器
Köppel et al. Context-responsive labeling in augmented reality
US1097087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e locating relative to the global structure
KR102517919B1 (ko) 3차원 공간에서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 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04256A (ko) 아트 아카이브 시스템
Tang et al. The implementation of an AR (augmented reality) approach to support mammographic interpretation training: an initial feasibility study
US10229522B2 (en) Fixed size scope overlay for digital images
CN110910482A (zh) 视频数据组织调度的方法、***及可读存储介质
Hou et al. A blind area information perception and AR assembly guidance method based on RGBD data for dynamic environments and user study
KR101817870B1 (ko) 게임 영상의 광고 노출 데이터 수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