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606B1 -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606B1
KR101193606B1 KR1020100062180A KR20100062180A KR101193606B1 KR 101193606 B1 KR101193606 B1 KR 101193606B1 KR 1020100062180 A KR1020100062180 A KR 1020100062180A KR 20100062180 A KR20100062180 A KR 20100062180A KR 101193606 B1 KR101193606 B1 KR 101193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skin
sensitive nanoparticles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418A (ko
Inventor
김규식
추귀석
김범상
Original Assignee
네비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비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비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6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활성 유효성분이 탑재된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활성성분이 pH 감응성 나노입자에 담지되어 있어, 피부활성성분이 외부환경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피부활성 성분이 피부에서 방출되었을 때 높은 투과율로 피부 속에 침투하여 피부활성성분의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Penetration Containing pH Responsive Nano Particles and Biomimetic Surfactant}
본 발명은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활성 유효성분이 탑재된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면활성제는 1817년 독일의 BASF에서 알킬나프탈린설폰산을 처음으로 공업화했으며, 이후 각광을 받게 되었다. 계면활성이란 1분자 속에 소수성기와 친수성기의 원자단을 가지고 있으며, 물이나 기름에 녹아서 수용액의 계면 에너지를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화합물을 말한다. 하지만 환경문제가 심각한 요즈음 환경 친화적인 생체계면활성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생체 계면활성제는 당지질(glycolipids), 인지질(phospholipids), 지방산(fatty acid), 리포펩타이드 (lipopeptide)와 지단백(lipoprotein), 지다당(lipopolysaccharides), 당에스테르(sugar esters), 지질(lipids) 등과 같이 구조에 따른 여러 종류가 존재하여서 이들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생체계면활성제의 예로서 인지질은 당지질, 콜레스테롤, 단백질과 함께 생체막의 주요 성분으로 인을 포함하는 지질의 일종이다. 인지질은 지방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지만, 글리세롤에 3개의 지방산이 결합하는 지방과 달리 2개의 지방산과 1개의 인산기가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인산기는 다른 유기물과 결합되어 있으며, 결합된 유기물의 종류에 따라 인지질의 종류가 달라진다.
인지질은 지방과는 달리 극성을 띠는데, 지방산이 있는 부위는 물과 잘 섞이지 않고 비극성 물질들과 쉽게 섞이는 소수성이고, 인산기가 있는 부위는 물 분자 또는 다른 극성분자들과 쉽게 섞이는 친수성이다.
이러한 인지질의 특성 때문에 의약품, 화장품 산업에서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많이 사용되는 물질로는 알부틴, 아데노신, 니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등 다수의 소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화장품 소재로의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정작 피부 흡수가 미비하여 피부에서의 효능을 발휘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들의 피부투과 효능을 증대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마이크로플루다이져, 인지질등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나노(Nano)사이즈로 안정화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나노기술로 기능성 화장품 소재들의 피부투과 효율은 현저히 증가하고 있지만 화장품 제형 내에서 계면활성제, 오일, 점증제 등 여러가지 변수에 의해 피부투과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낮은 pH 환경에서는 외부환경으로 인한 안정성 저하를 방지하며 피부에 적용 시 주변의 pH가 상승함에 따라 기능성 화장품 소재가 방출되어 피부로 흡수되도록 하는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개발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25188호).
그러나, 상기 pH 감응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pH의 변화에 따라 피부활성분이 피부 표면에 방출되기는 하나, 방출된 피부활성 유효성분이 피부 속으로 흡수되는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들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여 피부 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화장품 제형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흡수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피부활성 유효성분을 pH 감응성 나노 입자에 탑재시키고, 여기에 피부 친화력이 우수한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경우, pH 감응성 나노입자에 담지된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부틴, 아데노신, 니아신아마이드 및 알파-비사보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피부활성성분이 탑재된 (메타)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인지질, 당지질, 지방산, 리포펩타이드, 지단백, 지다당, 당에스테르 및 지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알부틴, 아데노신, 니아신아마이드 및 알파-비사보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피부활성성분이 탑재된 (메타)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인지질, 당지질, 지방산, 리포펩타이드, 지단백, 지다당, 당에스테르 및 지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활성성분이 pH 감응성 나노입자에 담지되어 있어, 피부활성성분이 외부환경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피부활성 성분이 피부에서 방출되었을 때 높은 투과율로 피부 속에 침투하여 피부활성성분의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알부틴, 아데노신, 니아신아마이드 및 알파-비사보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피부활성성분이 탑재된 (메타)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인지질, 당지질, 지방산, 리포펩타이드, 지단백, 지다당, 당에스테르 및 지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H 감응성 나노입자는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는 당지질(glycolipids), 인지질(phospholipids), 지방산(fatty acid), 리포펩타이드(lipopeptide)와 지단백(lipoprotein), 지다당(lipopolysaccharides), 당에스테르(sugar esters) 및 지질(lipid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활성성분은 알부틴, 아데노신, 니아신아마이드 및 알파-비사보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pH 조정을 위하여 산 용액 또는 염기 용액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메타)아크릴산(MAA) 및 (메타)아크릴레이트(MA)계 화합물의 공중합 수화겔(P(MAA-co-MA)수화겔)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pH 5 이하에서는 수축하고, pH 5 이상에서는 팽윤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pH 감응성 나노 입자에 포함되어 있는 (메타)아크릴산에 의해 pH 감응성 나노 입자가 약 pH 5를 전후로 급격한 평형 질량팽윤비의 차이를 보이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 약 pH 4.66은 (메타)아크릴산의 pKa에 해당하는 것으로 (메타)아크릴산의 pKa 이상의 pH에서는 (메타)아크릴산의 카르복실기가 이온화 되어 음전하를 띄게 되고,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약 pH 5 이상의 pH 환경에서 이온화에 의해 음전하를 띠는 그룹들 사이의 정전기적 반발력 때문에 급격하게 팽창한다. 이러한 수화겔의 특성을 이용하여 pH 감응성 나노입자에 탑재된 여러 가지 기능성 화장품원료들이 pH 5 이상의 피부 환경에서 방출된다.
여기서 상기 평형 질량팽윤비(q)는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pH 감응성 및 팽윤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이다. 상기 질량팽윤비는 하기의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10042056013-pat00001
여기서, q는 평형 질량팽윤비, Wd는 팽윤전 건조된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질량(g), Ws 는 pH 2.0 내지 8.0 사이의 완충용액에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24 시간 동안 침지시켜 팽윤시킨 후, 팽윤된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표면물기를 제거한 후 팽윤된 질량(g)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광중합하여 제조된다.
(메타)아크릴산은 pH 감응성 나노 입자에 pH 감응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은 주변의 pH에 따라서 이온화가 가능한 카르복시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메타)아크릴산은 (메타)아크릴산의 pKa인 pH 4.66 이전에는 (메타)아크릴산으로 존재하지만 그 이상의 pH 에서는 (메타)아크릴산 음이온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메타)아크릴산 대신 아크릴산(acrylic acid. AA)을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메타)아크릴산의 pH 감응도를 조절해주기 위해 사용된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메타)아크릴산과의 조성비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다양한 분자량을 가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pH 감응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분자량이 클수록 pH 5 이상에서의 평형 질량팽윤비가 감소한다. 이는 pH 5이상에서 (메타)아크릴산의 카르복시기가 이온화되어 형성된 음이온들의 정전기적 반발력이 중합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에 의하여 방해를 받기 때문이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그래프트(graft) 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사슬 길이가 길어지므로 이온화된 카르복시기 사이의 정전기적 반발력을 더 많이 방해한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에틸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릴 (에틸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n-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PEGM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안전한 생체적합성 재료로 사용되며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나노 입자의 pH 감응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MA)계 화합물은 (메타)아크릴산(MAA)과 공중합 수화젤(P(MAA-co-MA) 미세 입자를 이룬다.
pH 감응성 나노 입자로 제조함에 있어서, 단량체로서 (메타)아크릴산과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량에 대하여 (메타)아크릴산이 20 내지 8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60 중량% 첨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이 60 중량%일 때 제조되는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평형 질량팽윤비가 가장 높으므로, (메타)아크릴산의 첨가량을 80 중량% 초과해서 사용해도 더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메타)아크릴 산 단량체가 20 중량% 미만이면 이온화 되는 카르복시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평형 질량팽윤비가 작아져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방출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교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단량체인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중량기준으로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 : 가교제 =100 : 1 내지 5 이다.). 가교제의 양이 5 중량%를 초과하면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가교정도가 높아져서 팽윤되기 어려워 지며, 1 중량% 미만이면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물성이 약하게 된다.
본 발명은 pH 감응성 나노 입자에 기능성 화장품 소재가 탑재되는 화장품용 pH 감응성 나노 입자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pH의 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윤하므로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pH 감응성 나노 입자 내부에 탑재시킬 수 있다. pH 5 이상의 환경에서는 pH 감응성 나노 입자가 팽윤하기 때문에 기능성 화장품 소재가 탑재된다.
여기서, 기능성 화장품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부틴,나이신아미드 등의 미백 유효소재, 아데노신, EGCG, 펩타이드류 등의 주름개선 유효소재 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아데노신, EGCG, 펩타이드류 등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화장품 소재는 기능성 소재의 pKa, 분자량 및 친수성 정도에 따라 pH 감응성 나노 입자에 탑재되는 효율이 달라진다. 초순수를 용매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포함하는 수용액에서 상기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카르복실기가 이온화 되어 음전하를 띄므로, 상기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pKa가 초순수의 pH보다 낮으면 기능성 화장품 소재는 초순수에서 음전하를 띄게 된다. 그러므로 음전하를 띄는 pH 감응성 나노 입자와 정전기적 반발력에 생겨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탑재효율이 감소된다. 반대로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pKa가 초순수의 pH보다 높으면 탑재 효율이 증가한다.
여기서 초순수는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극미량의 이온을 제거한 상태의 물을 의미하며, 초순수의 pH는 6.5이다. 기능성 화장품 소재가 탑재된 화장품용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피부와 접촉하면, 기능성 화장품 소재는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외부로 용출된다. 보통 피부의 pH 는 5.5 내지 6.0 이다. 상기 피부는 버퍼 기능을 가지므로 pH가 3.0 내지 4.5 인 pH 감응성 나노 입자, 특히 pH 감응성 나노 입자가 함유된 화장용 조성물이 피부에 접촉되면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피부의 pH인 5.5 내지 6.0으로 변하게 된다. 상기 pH 가 5.5 내지 6.0으로 변하면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메타)아크릴산은 음이온이 되고, 상기 음이온 사이의 정전기적 반발력에 의하여 팽윤하게 된다. 그러므로 기능성 화장품 소재가 외부로 용출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은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가교제를 광중합하여 제조한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로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가교제 및 광개시제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분산 용매에 분산시킨 후 광중합하여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중합하는 중합 단계; 및 상기 중합된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세척,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있다.
광개시제는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공중합 수화젤, 즉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제조반응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개시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비스 (2,6-디메톡시벤조일) -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 옥사이드(DMBAPO),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 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질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또는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는 단량체인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 %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중량기준으로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 : 광개시제 = 100 : 0.1 내지 1.5 이다.). 상기 개시제가 0.1 중량% 미만이면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제조 반응이 용이하지 않고, 중합시간도 길어지며, 1.5 중량%를 초과하면 반응이 너무 빨리 진행되어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다.
중합 단계는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가교제, 광개시제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분산용매에 분산시킨 후 광중합한다.
상기 분산 용매는 오일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 용매는 단량체인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량에 대하여 10 내지 50배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분산 용매에는 분산 안정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산 안정제는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제조 시 나타나는 입자들의 응집현상을 해결하고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분산안정제는 인체에 무해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디메틸실란,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메칠폴리실록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오닐 에테르, 2-[메톡시(폴리에틸렌옥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 또는 비스(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디메틸실란 등의 일종 또는 이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 안정제는 단량체인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량에 대하여 0.5 내지 3.0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중량기준으로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 :분산 안정제 = 100 : 0.5 내지 3.0 이다.). 상기 분산 안정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제조되는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되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유기 용매에 분산시키기 전에 질소를 주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질소는 단량체 혼합물이 포함된 분산 용매에 포함된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주입하는 것이다. 광중합 반응은 라디칼 반응으로 반응 시 산소가 존재하면 상기 산소는 라디칼을 소모하여 중합을 저해하므로, 분산 용매에 질소를 주입한다. 상기 질소는 약 2분간 주입한다.
분산 용매에 단량체 혼합물을 분산시키는 것은 초음파 균질기 내지는 호모믹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랍직 하며,호모믹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약 2분 동안 약 10,000 rpm에서 교반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분산 용매에 분산시킨다.
분산 용매에 분산된 단량체 혼합물은 광중합하여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제조한다. 상기 광중합은 UV 조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0 내지 400초간 UV를 조사하여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광중합한다.
중합된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세척하여 분산 용매로부터 분리시킨다. 여기서 세척 시 초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복적으로 세척한다. 세척은 원심 분리를 이용하여 세척한다.
세척된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건조하는데, 동결건조장치를 이용하는 건조하는 것이 좋다. pH 감응성 나노 입자의 제조단계에 의하여 생성되는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가 되고, 크기는 약 1000 나노미터(nm) 이하의 균일한 모양의 구형이다.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로 초임계 유체장지의 셀 내부에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가교제를 투입한 뒤 셀을 밀폐시킨 후 CO2를 셀 내부에 주입하는 단계; 투입된 물질들이 용해되면 개시제를 주입하면서 광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은 초임계 CO2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분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제조함으로써,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가교제 를 용해시키기 위하여 용매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합성한 후 세척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CO2는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가교제가 투입된 밀폐된 셀 내부에 주입하며, 상기 CO2를 초임계 상태로 만든다. 상기 CO2를 초임계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초임계 유체장치의 온도를 약 50 ℃, 압력을 약 5000 psi로 조절한다. 상기 CO2가 초임계 상태가 되면 액상이었던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가교제가 CO2에 용해하게 된다. 개시제를 셀 내부로 투입하는 것은 별도의 밸브를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가교제의 중합은 광중합 방법을 이용하며, UV를 조사하여 광중합한다. 광중합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교반하면 반응의 효율이 높아진다.
광중합 반응이 완료되면 혼합된 입자들을 수거하기 위하여 셀 내부로 물을 투입하고 셀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상온, 상압으로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합성된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얻는다.
본 발명의 pH 감응성 나노 입자에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탑재시키는 방법은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피부활성성분(기능성 화장품 소재)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잠기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초순수를 용매로 하는 피부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잠기도록 넣은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뒤 pH 감응성 나노 입자를 상기 피부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꺼내어 여과 장치에서 증류수로 표면세척을 한 후 동결건조를 통해 탑재를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피부활성성분의 수용액에 포함되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함량은 0.01 내지 2.5 mg/ml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활성성분의 함량이 0.01 mg/ml 미만이면 pH 감응성 나노 입자 안에 피부활성성분의 탑재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지 않으며, 2.5 mg/ml를 초과하면 이미 최대 탑재효율을 얻은 이후이므로 더 이상의 탑재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상기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피부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잠길 수 있는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H 감응성 나노 입자 및 피부활성성분의 반응은 2 내지 24 시간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이 2 시간 미만이면 최대 탑재효율을 얻을 수 없으며, 24 시간을 초과하면 이미 최대 탑재효율을 얻은 이후이므로 더 이상의 탑재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상기 피부활성성분이 탑재되는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화장용 조성물의 구성 원료로 사용된다. 상기 피부활성성분은 화장용 조성물의 다른 구성 성분인 유기, 무기 물질들(수분, 지방산, 폴리올, 계면활성제, 식물추출물, 효소, 단백질 및 각종 금속 이온 등)과 반응하여 그 효과가 감소된다. 상기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pH 감응성 나노 입자에 탑재함으로써 피부활성성분이 화장품의 다른 구성 성분과 접촉하는 것을 막아주어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안정화 시킨다.
화장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로션, 크림 등의 제형으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화장용 조성물의 pH는 4 내지 4.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 감응성 나노 입자에 피부활성성분의 탑재 시(pH 6.5) 음이온 이었던 (메타)아크릴산이 화장용 조성물의 pH인 pH 4내지 4.5에서는 (메타)아크릴 산이 되어 정전기적 반발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pH 감응성 나노 입자는 수축하고 탑재된 피부활성성분의 방출은 차단된다.
화장품의 pH가 4.5를 초과하면 pH 감응성 나노 입자 중 (메타)아크릴산의 pKa가 약 4.66 정도이므로 상기 pH 에서는 (메타)아크릴산이 이온화 되어 정전기적 반발력으로 인하여 pH 감응성 나노 입자가 팽창하여 피부활성성분이 용출되는 문제가 있다. 만약 피부활성성분이 용출되면 기능성 화장품 소재가 화장품의 다른 구성 성분들과 반응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효과가 감소하거나 상실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은 기능성 화장품 원료들(피부활성성분)이 탑재된 pH 감응성 나노 입자와 피부투과 효율을 높이기 위한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안정하게 피부에 방출한 후, 높은 효율로 피부에 투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알부틴, 아데노신, 니아신아마이드 및 알파-비사보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피부활성성분이 탑재된 (메타)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인지질, 당지질, 지방산, 리포펩타이드, 지단백, 지다당, 당에스테르 및 지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로 인지질을 사용하여 피부 화장품 제형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품 제형에 피부투과 거동 실험을 통하여 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피부투과 효율을 확인하였다.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는 알부틴, 아데노신, 니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주름 개선 기능성 원료인 아데노신을 사용하였고, 상기 피부투과 거동 실험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pH 감응성 나노 입자에 동일한 양의 아데노신을 침적시키고 아데노신이 담지된 pH 감응성 나노입자에 대하여 pH 6에서 방출된 아데노신의 피부투과 거동을 in vitro 실험인 피부투과 장치(diffusion cell)을 이용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형 제조방법은 pH 감응성 나노입자에 담지된 아데노신의 피부투과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아데노신이 탑재된 pH 감응성 나노입자의 제조
pH 감응성 나노입자를 합성하기 위하여 단량체로는 MAA와 PEGMA, 가교제로는 PEGDMA, 개시제로는 Irgacure® 184, 분산매로는 silicon oil, 그리고 입자의 양호한 분산을 위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분산 안정제를 사용하였다.
단량체는 MAA와 PEGMA를 0.6:1 mol 비로 혼합하였고, 가교제인 PEGDMA를 전체 단량체 대비 1.0 mol%, 개시제인 Irgacure® 184를 전체 단량체 대비 2 wt% 사용하였다. 분산 안정제의 첨가비율은 분산 안정제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비율로 첨가하였다. 단량체, 가교제, 개시제, 분산 안정제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분산매인 실리콘 오일 50 ml에 넣고 질소를 주입하여 용액 내 산소를 제거한 후,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하여 2분 동안 10000 rpm에서 교반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오일상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분산이 완료된 후, 300초간 UV를 조사하여 합성된 입자는 초순수를 사용하여 여러 차례 원심분리를 이용한 반복적인 세척을 통하여 실리콘 오일로부터 분리하였다. 세척이 완료된 입자는 동결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킨 후,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아데노신의 탑재는 2 mg/ml의 활성물질 수용액에 건조된 수화젤 입자 0.05 g을 넣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입자를 수용액에서 꺼내 감압 필터링 장치에서 증류수로 표면세척을 하고 동결건조시켜서 완료하였다.
실시예 2: HPC를 이용한 화장품 제형의 제조 및 안정도 측정
유사 계면활성제로 인지질을 사용하였다. 인지질은 수소첨가반응을 통해 불포화 성분을 없앤 레시틴(lecithin)으로 포스타티딜콜린 성분이 95% 이상 들어 있는 LIPOID S 100-3 N(LIPOID)를 사용하였으며 HPC(hydrogenated phosphatidyl choline)으로 명명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HPC는 불포화 지방산이 포함된 레시틴에 비해 산화안전성이 좋고 변색 및 변취를 일으키지 않는 안정한 원료로 화장품에 사용이 되고 있는 재료이다.
상기 HPC를 함유한 제형은 아데노신이 담지된 pH 감응성 나노입자가 제형 내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시트르산(citric acid)를 이용하여 pH 4.0 으로 설계하였으며 피부투과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일반적인 로션 제형인 비교제형 및 HPC 함량별 실시제형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제형 및 HPC 함량별 실시제형의 조성
성분 비교제형 실시제형
1 2 3 4 5
CETEARYL ALCOHOL 1.80 1.80 1.80 1.80 1.80 1.80
GLYCERYL STEARATE 1.20 1.20 1.20 1.20 1.20 1.20
STEARIC ACID 0.70 0.70 0.70 0.70 0.70 0.70
MANGIFERA INDICA SEED BUTTER 0.80 0.80 0.80 0.80 0.80 0.80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1.00 1.00 1.00 1.00 1.00 1.00
SORBITAN STEARATE 0.40 0.40 0.40 0.40 0.40 0.40
LIPOID S 100-3 0.00 0.10 0.50 1.00 3.00 5.00
METHYL PARABEN 0.20 0.20 0.20 0.20 0.20 0.20
PROPYL PARABEN 0.10 0.10 0.10 0.10 0.10 0.10
POLYSORBATE 60 1.20 1.20 1.20 1.20 1.20 1.20
POLYDECENE 2.00 2.00 2.00 2.00 2.00 2.00
CETYL ETHYLHEXANOATE 3.00 3.00 3.00 3.00 3.00 3.00
LIMNANTHES ALBA SEED OIL 2.00 2.00 2.00 2.00 2.00 2.00
OCTYLDODECYL MYRISTATE 2.00 2.00 2.00 2.00 2.00 2.0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2.00 2.00 2.00 2.00 2.00 2.00
TOCOPHERYL ACETATE 0.10 0.10 0.10 0.10 0.10 0.10
DIMETHICONE 0.50 0.50 0.50 0.50 0.50 0.50
CYCLOMETHICONE 2.00 2.00 2.00 2.00 2.00 2.00
nanoparticles 0.40 0.40 0.40 0.40 0.40 0.40
DISODIUM EDTA 0.02 0.02 0.02 0.02 0.02 0.02
UREA 2.00 2.00 2.00 2.00 2.00 2.00
CITRIC ACID 0.05 0.05 0.05 0.05 0.05 0.05
PEG/PPG-17/6 COPOLYMER 5.00 5.00 5.00 5.00 5.00 5.00
GLYCERIN 5.00 5.00 5.00 5.00 5.00 5.00
BUTYLENE GLYCOL 5.00 5.00 5.00 5.00 5.00 5.00
SODIUM HYALURONATE 5.00 5.00 5.00 5.00 5.00 5.00
PRUNUS AMYGDALUS DULCIS SEED EXTRACT 0.10 0.10 0.10 0.10 0.10 0.10
HYDROLYZED WHEAT PROTEIN 0.10 0.10 0.10 0.10 0.10 0.10
PHENOXYETHANOL 0.30 0.30 0.30 0.30 0.30 0.30
FRAGRANCE(MARINE 2) 0.20 0.20 0.20 0.20 0.20 0.20
POLYACRYLATE-13, POLYISOBUTENE, POLYSORBATE 20 0.80 0.80 0.80 0.80 0.80 0.8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된 각 제형을 각 4℃, 30℃, 37℃, 45℃ incubator 에 넣고, 1달간 변색, 변취, 분리 등의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비교제형 및 HPC 함량별 제형의 안정도
기간 45℃ 37℃ 30℃ 냉장

비교제형
1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7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14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28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시제형 1
1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7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14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28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시제형 2
1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7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14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28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시제형 3
1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7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14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28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시제형 4
1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7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14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28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시제형 5
1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7일 불안정 안정 안정 안정
14일 불안정 안정 안정 안정
28일 불안정 안정 안정 안정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제형은 일반적인 로션 제형으로 1달간의 온도에 대해 여러 성상의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실시제형 5에서는 과도한 계면활성제 능력으로 인해 일부 응집 현상으로 인해 제형이 분리되는 등 성상의 불안정을 보인 반면, 실시제형 1, 2, 3, 4에서는 1달간의 각 온도에 대해 안정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시제형 4를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제형으로 선택하였다.
실시예 3: HPC를 이용한 화장품 제형의 피부투과율 측정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상기 실시제형 4는 아데노신을 모델로 한 피부투과실험 결과 아데노신 수용액 대비 약 30% 이상의 피부투과 증대의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pH 감응성 나노입자에 담지된 아데노신의 피부투과를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아데노신이 담지된 pH 감응성 나노입자를 생체 유사 제형에 적용하여 피부투과시 투과된 아데노신의 양이 약 7.5%로서 아데노신용액 자체의 피부투과양인 13.2%에 비해 저조하였다. 이는 주변의 수분에 의해 팽윤되어야만 담지된 아데노신이 방출되지만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상기 실시제형은 크림 형태의 제형으로서 팽윤에 필요한 수분량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어 표 3과 같이 제형을 변경하였다.
수분함량 및 점증제 함량별 제형의 조성
성분 실험예
1 2 3 4 5 6
CETEARYL ALCOHOL 1.80 1.62 1.26 0.90 0.90 0.90
GLYCERYL STEARATE 1.20 1.08 0.84 0.60 0.60 0.60
STEARIC ACID 0.70 0.63 0.49 0.35 0.35 0.35
MANGIFERA INDICA SEED BUTTER 0.80 0.72 0.56 0.40 0.40 0.40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1.00 1.00 1.00 1.00 1.00 1.00
SORBITAN STEARATE 0.40 0.40 0.40 0.40 0.40 0.40
LIPOID S 100-3 3.00 3.00 3.00 3.00 3.00 3.00
METHYL PARABEN 0.20 0.20 0.20 0.20 0.20 0.20
PROPYL PARABEN 0.10 0.10 0.10 0.10 0.10 0.10
POLYSORBATE 60 1.20 1.20 1.20 1.20 1.20 1.20
POLYDECENE 2.00 1.80 1.40 1.00 1.00 1.00
CETYL ETHYLHEXANOATE 3.00 2.70 2.10 1.50 1.50 1.50
LIMNANTHES ALBA SEED OIL 2.00 1.80 1.40 1.00 1.00 1.00
OCTYLDODECYL MYRISTATE 2.00 1.80 1.40 1.00 1.00 1.0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2.00 1.80 1.40 1.00 1.00 1.00
TOCOPHERYL ACETATE 0.10 0.10 0.10 0.10 0.10 0.10
DIMETHICONE 0.50 0.45 0.35 0.25 0.25 0.25
CYCLOMETHICONE 2.00 1.80 1.40 1.00 1.00 1.00
정제수 52.03 55.83 63.43 71.03 71.23 71.43
nanoparticles 0.40 0.40 0.40 0.40 0.40 0.40
DISODIUM EDTA 0.02 0.02 0.02 0.02 0.02 0.02
UREA 2.00 2.00 2.00 2.00 2.00 2.00
CITRIC ACID 0.05 0.05 0.05 0.05 0.05 0.05
PEG/PPG-17/6 COPOLYMER 5.00 4.50 3.50 2.50 2.50 2.50
GLYCERIN 5.00 4.50 3.50 2.50 2.50 2.50
BUTYLENE GLYCOL 5.00 4.50 3.50 2.50 2.50 2.50
SODIUM HYALURONATE 5.00 4.50 3.50 2.50 2.50 2.50
PRUNUS AMYGDALUS DULCIS SEED EXTRACT 0.10 0.10 0.10 0.10 0.10 0.10
HYDROLYZED WHEAT PROTEIN 0.10 0.10 0.10 0.10 0.10 0.10
PHENOXYETHANOL 0.30 0.30 0.30 0.30 0.30 0.30
FRAGRANCE(MARINE 2) 0.20 0.20 0.20 0.20 0.20 0.20
POLYACRYLATE -13, POLYISOBUTENE, POLYSORBATE 20 0.80 0.80 0.80 0.80 0.60 0.4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 2, 3, 4는 제형의 구성요소 중 오일, 지방산, 폴리올의 양을 90%, 70%, 50%로 줄여 정제수의 양을 늘리고 실험예 5, 6은 점증제인 POLYACRYLATE-13, POLYISOBUTENE, POLYSORBATE 20의 양을 점차적으로 줄여서 결과적으로 크림형태의 제형에서 로션 형태의 저점도 제형을 가지는 피부투과 증진 제형으로 변경하였다.
제형은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제조의 마지막 단계에 10%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pH 4.0으로 보정한 후 아데노신이 담지된 pH 감응성 나노입자를 첨가하여 제조 후, 동일 함량의 아데노신이 담지된 pH 감응성 나노입자에 대하여 pH 6에서 방출된 아데노신의 피부투과 거동을 in vitro 실험인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피부투과 거동의 확인은 OECD guideline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TG 428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0.785cm2 크기의 diffusion cell(diffusion cell drive, FCDV-15, Labfine)을 이용하였고, 피부투과대상 시료는 0.04% 아데노신 수용액 및 실시제형 1~6에 대해 10mg/cm2 양으로 인간 표피(human epidermis)에 도포한 후 32℃, 500rpm, 24시간 동안 유지하였으며 수용액(receptor fluid)은 PBS(pH 7.4)를 사용하였다.
인간 표피는 피부조직은행을 운영하고 있는 (주)Hans biomed에서 기저층(Stratum basale), 유극층(Stratum Spinosum), 과립층(Stratum Granulosum), 각질층(Stratum Corneum)이 잘 보존되어 있는 3ㅧ3cm 크기의 인간 표피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2℃, 500rpm, 24시간 동안 진탕 후 수용액(receptor fluid)을 HPLC(Zorbax Eclipse XDB-C18 2ea, 1200 series, Agilent)를 이용하여 표피를 통과한 아데노신 투과량을 정량화 하였다. 피부투과율은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Figure 112010042056013-pat00002
그 결과, 유효성분인 아데노신 0.04% 수용액을 인간 표피에 10mg/cm2의 양으로 도포 시 13% 정도의 아데노신이 피부를 투과함을 나타내었다 (표 4).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pH 감응성 나노입자에 담지된 아데노신의 피부투과율
Test sample Skin permeation ratio (%)
1 0.04% Adenosine 13.20(±1.12)
2 실험예 1 7.50(±0.51)
3 실험예 2 22.50(±1.03)
4 실험예 3 22.50(±1.24)
5 실험예 4 27.50(±0.98)
6 실험예 5 75.00(±1.11)
7 실험예 6 80.20(±0.56)
실험예 3,4,5의 경우에는 0.04% 아데노신 수용액과 큰 차이가 없는 투과거동을 나타내었고, 이에 반해 실험예 5, 6제형의 경우에는 평균 75% 이상의 피부투과율을 보였다. 이는, 0.04% 아데노신 수용액 대비 약 50% 이상의 피부투과 증대의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pH 감응성 나노입자에 담지된 유효성분의 피부투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알부틴, 아데노신, 니아신아마이드 및 알파-비사보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피부활성성분이 탑재된 (메타)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인지질, 당지질, 지방산, 리포펩타이드, 지단백, 지다당, 당에스테르 및 지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에틸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릴 (에틸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n-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pH 조정을 위하여 산 용액 또는 염기 용액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6. 알부틴, 아데노신, 니아신아마이드 및 알파-비사보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피부활성성분이 탑재된 (메타)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인지질, 당지질, 지방산, 리포펩타이드, 지단백, 지다당, 당에스테르 및 지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에틸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릴 (에틸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n-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pH 조정을 위하여 산 용액 또는 염기 용액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00062180A 2010-06-29 2010-06-29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KR101193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180A KR101193606B1 (ko) 2010-06-29 2010-06-29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180A KR101193606B1 (ko) 2010-06-29 2010-06-29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18A KR20120001418A (ko) 2012-01-04
KR101193606B1 true KR101193606B1 (ko) 2012-10-23

Family

ID=4560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180A KR101193606B1 (ko) 2010-06-29 2010-06-29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1177A (ko) * 2022-12-23 2024-07-02 동아제약 주식회사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pH 감응형 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22B1 (ko) 2007-01-04 2008-07-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흡수율이 증가된 상변이 피부 미용 패치
KR100925188B1 (ko) 2009-03-24 2009-11-06 네비온 주식회사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안정화를 위한 pH 감응성 나노 입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22B1 (ko) 2007-01-04 2008-07-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흡수율이 증가된 상변이 피부 미용 패치
KR100925188B1 (ko) 2009-03-24 2009-11-06 네비온 주식회사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안정화를 위한 pH 감응성 나노 입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18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87149B (zh) 水凝胶组合物
JP5377812B2 (ja) 酸性の化粧用、医薬用及び皮膚用剤
EP1937204B1 (en) Cationic polymer nanoparticles encapsulating an active ingredients,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TW200902097A (en) Method of formation of viscous, shape conforming gels and their uses as medical prosthesis
EP1260531A1 (fr) Polymères hydrosolubles à squelette hydrosoluble et à unités latérales à LCST,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compositions aqueuses les contenant, et leur utilisation dans le domaine cosmétique
JP2002205915A5 (ko)
JP7152110B2 (ja) 美容活性有機物質の送達のためのミクロゲル
KR20170003955A (ko) 균질한 필름 조성물
JP2010150151A (ja) ヒアルロン酸担持ナノ粒子及びヒアルロン酸含有複合粒子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化粧料
KR101272741B1 (ko) 유용성 활성물질 안정화 양이온성 고분자 나노캡슐 및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8528225A (ja) コポリマー、無機金属酸化物粒子、及びシリコーンを含有するスキンケア製剤
Huang et al. Stimulus-responsive transport properties of nanocolloidal hydrogels
KR101262261B1 (ko) 수분산성 고분자 나노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515415B1 (ko) 실리카 함유 복합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수분 패치
KR100757043B1 (ko) 유용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양이온성 고분자나노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3606B1 (ko)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US8697136B2 (en) Transglutaminase crosslinked protein microparticle film composition
WO2015052426A1 (fr) Utilisation en cosmetique de polymeres obtenus par polymerisation en emulsion inverse basse concentration avec un faible taux de monomeres neutralises
JP2021104934A (ja) 活性成分を局所送達するための無水組成物
CA2266642A1 (fr) Matrice ionique biodegradable de polarite interne modulable a polymere greffe
KR100925188B1 (ko)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안정화를 위한 pH 감응성 나노 입자
KR20150050500A (ko) Mpc와 수용성 가교제를 이용한 구형 하이드로겔 입자
JPWO2019111415A1 (ja) カチオン化ベシクル及びその組成物
JP2005336100A (ja) カチオン性ナノ微粒子を含有する化粧料
KR102048710B1 (ko) 생분해가 가능한 프럭토스 1,6-비스포스페이트 안정화 캡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