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515B1 - Mobile repeater - Google Patents

Mobile rep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515B1
KR101193515B1 KR1020080037203A KR20080037203A KR101193515B1 KR 101193515 B1 KR101193515 B1 KR 101193515B1 KR 1020080037203 A KR1020080037203 A KR 1020080037203A KR 20080037203 A KR20080037203 A KR 20080037203A KR 101193515 B1 KR101193515 B1 KR 101193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mmunication
signal
master devic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11538A (en
Inventor
정진양
강지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515B1/en
Publication of KR20090111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5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5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04B7/15514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for shadowing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내 또는 빌딩내에 설치되어 통신 음영지역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는 중계 마스터 장치(20)와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계 마스터 장치(20)는 기지국과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도너 안테나(21)와, 단말기와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 안테나(24), 도너 안테나(21)와 서비스 안테나(24)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이를 도너 또는 서비스 안테나로 송출하는 증폭수단(25), 상기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증폭수단(2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26) 및, 중계 슬레이브 장치(30)의 제2 통신 모듈(33)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통신 모듈(27)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는 상기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서비스 안테나(24)와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1)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실행함과 더불어 수신되는 RF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검출기능을 구비하는 통신 모뎀(32), 상기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제1 통신 모듈(27)과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제2 통신 모듈(33) 및, 상기 통신 모뎀(32)을 통해 RF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 데이터를 제2 통신 모듈(33)을 통해 중계 마스터 장치로 제공하는 제2 제어수단(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stalled indoors or in a building to efficiently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for a communication shadow area. The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y master device 20 and a relay slave device 30, and the relay master device 20 includes a donor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with a base station. 21 and amplification means 25 for amplifying an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24, the donor antenna 21, and the service antenna 24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with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donor or service antenna. ), First control means 2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mplifying means 25 based on the data provided from the relay slave device 3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 of the relay slave device 30.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7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the relay slave device 30 is an antenna 3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with the service antenna 24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em 32 having a detection function for detect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RF signal, th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7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Second control means for detecting the strength of the RF sig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 and the communication modem 32 and providing the detection result data to the relay master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 ( 34)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cluding.

중계장치, 전파 환경 측정 Repeater, radio environment measurement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Mobile repeater}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음영지역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device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efficiently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for a communication shadow area.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신 서비스 지역을 셀단위로 나누고, 각 셀에 기지국을 설치하여 셀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주파수 신호가 잘 전달되지 않는 음영지역 등에는 별도의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셀내의 모든 이용자에게 양질의 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service area is divided into cell units, and a base station is provided in each cell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user located in the cell. In addition, in a shaded area where the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s hardly transmitted, a separate relay device is used to provide a high quality communication service to all users in the cell.

통상 중계장치는 기지국과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도너 안테나와, 가입자 단말기와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 안테나를 구비하고,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 단말기로의 다운링크 신호와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증폭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그 증폭이득이 설정된다.In general, a relay apparatus includes a donor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to and from a base station, and a servic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to and from a subscriber station, and includes a downlink signal from a base station to a subscriber station and an uplink signal from a subscriber station to a base station. Amplification means for amplifying the. The amplification means is set by the control means for its amplification gain.

제어수단은 도너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의 세기를 근거로 증폭수단 의 증폭이득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가입자 단말기에 대하여 원활한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게 된다.The control means appropriately adjusts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amplification means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onor antenna to provide a smooth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subscriber station.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중계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게 된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relay device,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즉, 종래의 중계장치는 해당 중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의 전파환경, 즉 도너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의 세기를 근거로 증폭수단의 증폭이득을 설정하게 되므로, 실제 가입자와 중계장치간의 전파 송수신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가입자가 중계장치를 통해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That is, the conventional repeater sets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amplification means based o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the position where the corresponding repeater is installed, that is, the strength of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onor antenna, so that the actual propagation between the subscriber and the repeater I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nvironment is not go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scriber cannot be provided with a smooth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relay devic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전파 수신 감도를 근거를 근거로 중계장치의 증폭이득을 설정함으로써 중계장치의 주파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존재하는 모든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중계장치를 통해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by setting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relay device based on the radio wav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 all the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s existing in the frequency coverage of the relay device are provid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allows a smooth communication service to be provided through a relay device.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는 중계 마스터 장치와 중계 슬레이브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계 마스터 장치는 기지국과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도너 안테나와, 단말기와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 안테나,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증폭하여 이를 도너 또는 서비스 안테나로 송출하는 증폭수단, 상기 중계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증폭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 및, 중계 슬레이브 장치의 제2 통신 모듈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계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중계 마스터 장치의 서비스 안테나와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실행함과 더불어 수신되는 RF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검출기능을 구비하는 통신 모뎀, 상기 중계 마스터 장치의 제1 통신 모듈과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제2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뎀을 통해 RF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 고 그 검출결과 데이터를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중계 마스터 장치로 제공하는 제2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relay master device and a relay slave device, the relay master device is a donor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s with a base station, a terminal and A servic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an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an RF signal received through a donor antenna and a service antenna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donor or service antenna, and operation of the amplifying means based on data provided from the relay slave device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relay slave device, wherein the relay slave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n RF signal with a service antenna of the relay master device. Antenna for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modem having a detection function for detect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RF signal,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executing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relay master device, and And second control means for detecting the strength and providing the detection result data to the relay master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상기 제1 제어수단은 외부 관리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보고 데이터를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중계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고, 제2 제어수단은 중계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보고 데이터를 통신 모뎀을 통해 외부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means transmits the report data for providing to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to the relay slave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control means externally transmits the report data received from the relay master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management device.

또한, 상기 제1 제어수단은 통신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중계 마스터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를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중계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means may transmit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em to the relay master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lay master devic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중계 마스터 장치의 RF 신호 커버리지내에서 가장 통신 환경이 열악한 위치에 중계 슬레이브 장치가 설치되고, 이 중계 슬레이브 장치의 전파 수신환경을 근거로 중계 마스터 장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이 설정된다. 따라서, 중계 마스터 장치의 신호 증폭이득을 가장 최적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relay slave device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poor in the RF signal coverage of the relay master device, and the uplink and downlink signals of the relay master device are based on the radio wave reception environment of the relay slave device. The amplification gain for is set. Therefore, the signal amplification gain of the relay master device can be set to the most optimal value.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중계 마스터 장치 외부 관리장치와의 각종 데이터 송수신이 중계 슬레이브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중계 마스터 장치의 구성이 매우 간단해지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variou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of the relay master device is performed through the relay slave device,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master device becomes very simp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 of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of such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thereof.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First,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옥내 또는 빌딩(1) 내측에 중계장치(20)를 설치하는 경우, 빌딩(1) 외측에는 기지국(도시되지 않음)과 전파 송수신 환경이 좋은 위치에 도너 안테나(21)가 설치되고, 도너 안테나(21)와 중계장치(20)는 케이블(22)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빌딩(1) 내측에는 중계장치(20)와 케이블(23)을 통해 서비스 안테나(24)가 설치된다.When the relay device 20 is installed indoors or inside the building 1, the donor antenna 21 is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a radio 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nvironment is good at a base station (not shown) outside the building 1, and the donor antenna ( 21 and the relay device 20 are connected via a cable 22. In addition, the service antenna 24 i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1 through the relay device 20 and the cable 23.

상기한 상태에서 중계장치(20)는 도너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의 세기를 근거로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와 가입자 단말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를 적절하게 증폭한다. 즉, 중계장치(20)는 자신의 전파 환경, 즉 기지국과의 전파 송수신 환경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의 증폭이득을 설정한다.In the above state, the relay device 20 transmits the down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subscriber station and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ubscriber station to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onor antenna 21. Amplify as appropriate. That is, the relay device 20 sets amplification gains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its propagation environment, that is, the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environment with the base station.

중계장치(20)는 옥내 또는 빌딩(1)내의 가입자 단말장치와 서비스 안테나(24)를 통해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중계장치(20)로부터 가입자 단말장치로 송신되는 신호의 세기는 상기 증폭이득 값에 의해 설정된다. 중계장치(20)의 서비스 안테나(24)를 통해 송출되는 RF 신호는 옥내 또는 빌딩(1)의 내부 공간으로 방출된다.The relay device 20 transmits and receives an RF signal to and from the subscriber station in the indoor or building 1 through the service antenna 24. At this time, the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20 to the subscriber station is set by the amplification gain value. The RF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24 of the relay device 20 is emitted indoors or inside the building 1.

그런데, 이와 같이 중계장치(20)를 이용하여 가입자 단말장치로 통신 서비스 를 실행함에 있어서, 옥내 또는 빌딩(1)내의 모든 단말장치는 모두 양호한 전파 환경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즉, 옥내 및 빌딩(1) 내의 모든 위치가 중계장치(20)에 대하여 동일한 전파환경에 있지 못하고, 옥내 및 빌딩(1) 내측에 놓여지게 되는 가구나 장비 등에 의해 특정한 위치의 전파 환경이 열악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executing th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subscriber station by using the relay device 20 as described above, all the terminal devices in the indoor or building 1 are not located in a good radio wave environment. That is, when all locations in the indoor and the building 1 are not in the same radio wave environment with respect to the relay device 20, the radio wave environment at a specific location is poor due to furniture or equipment placed inside the building and the building 1. May occur.

그러나, 종래의 중계장치(20)는 오로지 기지국과의 전파 송수신 환경에 의해 단말장치와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세기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양호한 중계 동작을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relay device 20 sets the strength of the RF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to / from the terminal device only by the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environment with the base st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good relay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in some cases.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중계장치(20)와 분리적으로 별도의 보조장치(30)가 구비된다. 이하, 도너 안테나(21) 및 서비스 안테나(24)를 구비하는 본래의 중계장치(20)를 중계 마스터 장치, 보조장치(30)를 중계 슬레이브 장치라 칭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auxiliary device 3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relay device 20. Hereinafter, the original relay device 20 including the donor antenna 21 and the service antenna 24 will be referred to as a relay master device and the auxiliary device 30 as a relay slave device.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는 옥내 및 빌딩(1)내에서 중계 마스터 장치(20)에 대하여 가장 통신 환경이 열악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는 고객의 단말장치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다른 가입자와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통신 모뎀, 예컨대 CDMA 모뎀을 구비함과 더불어, 중계 마스터 장치(30)와 각종 제어데이터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이때, 통신 모듈로서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예컨대 지그비(Zigbee), 바이너리(Binary) CDMA,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이 사용된다.The relay slave device 30 is installed in a location wher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poorest with respect to the relay master device 20 in the indoor and the building 1. The relay slave device 30 has a communication modem, for example, a CDMA modem, which can communicate with other external subscribers as well as a terminal device of the custom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control data with the relay master device 30. It has a communication module for. At this time, for example, Zigbee, Binary CDM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etc.,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re used as the communication module.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는 통신 모뎀을 통해서 외부의 관리 장치와 통신을 실행하여 해당 위치의 전파 환경을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증폭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통신 모듈을 통해서 중계 마스터 장치(20)로 제공한다. 또한,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는 외부 관리 장치로부터 중계 마스터 장치(30)로 전송되는 각종 제어정보를 통신 모뎀을 통해서 수신하여 이를 통신 모듈을 통해서 중계 마스터 장치(20)로 제공하고, 중계 마스터 장치(30)로부터 외부 관리 장치로 전송되는 각종 상태 정보 등을 통신 모듈을 통해서 수신하여 이를 통신 모뎀을 통해 외부 관리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The relay slave device 30 execute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management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modem to measure a radio wave environment of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based on this, control data for adjusting amplification gain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is communicated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It provides to the relay master device 20 through. In addition, the relay slave device 30 receives various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to the relay master device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em and provides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relay master device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relay relay device. Various stat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30 to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ted to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em.

도 2는 도 1에서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in FIG. 1.

중계 마스터 장치(20)는 상술한 도너 안테나(21) 및 서비스 안테나(24)와 더불어 통상의 중계장치와 마찬가지로 증폭부(25) 및 제어부(2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증폭부(25)는 도너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출신호, 즉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한 후 서비스 안테나(24)를 통해 단말장치로 송출하고, 서비스 안테나(24)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장치로부터의 송출신호, 즉 업링크 신호를 증폭한 후 도너 안테나(21)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증폭부(25)의 증폭이득은 제1 제어부(26)에 의해 설정된다.The relay master device 20 includes the donor antenna 21 and the service antenna 24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n amplifier 25 and a controller 26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ventional relay device. The amplifying unit 25 amplifies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received through the donor antenna 21, that is, the downlink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service antenna 24, an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24. The amplified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terminal device, that is, the uplink signal, is amplified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onor antenna 21. At this tim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amplifier 25 is set by the first controller 26.

또한, 제1 제어부(26)는 증폭부(25)에 대한 증폭이득의 설정동작을 실행하고, 외부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상태정보 보고 등을 실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외부 관리장치와의 통신이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를 통해서 실행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26 executes a setting operation of amplifying gain for the amplifying unit 25, and executes report of status information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etc.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n external management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with such an external management device is executed through the relay slave device 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계 마스터 장치(20)에 있어서는 중계 슬레이브 장 치(30)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제1 통신 모듈(27)이 구비된다. 이 제1 통신 모듈(2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지그비, 바이너리 CDMA,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이 제1 통신 모듈(27)은 케이블(23)을 통해 서비스 안테나(24)와 결합되어 이를 통해 중계 슬레이브 장치(30)와 통신을 실행한다.Meanwhile, in the relay master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7 for executing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slave device 3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7 is for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binary CDMA, Bluetooth, and the lik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7 is coupled to the service antenna 24 via a cable 23 to communicate with the relay slave device 30 through this.

도 3은 중계 슬레이브 장치(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slave device 30.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는 안테나(31)와 통신 모뎀(32), 제2 통신 모듈(33) 및 제2 제어부(3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테나(31)는 중계 마스터 장치(30)와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것이다. 상기 통신 모뎀(32)은 예컨대 CDMA 모뎀으로 구성된다. 이 통신 모뎀(32)은 외부 통신 단말장치와의 호접속 기능과,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레벨값을 측정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다.The relay slave device 30 includes an antenna 31, a communication modem 32,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 and a second control unit 34. The antenna 31 i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s with the relay master device 30. The communication modem 32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CDMA modem. The communication modem 32 has a call connection function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a function for measuring a level value of a received communication signal.

상기 제2 통신 모듈(33)은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제1 통신 모듈(27)과 근거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통신 모듈(33)은 제1 통신 모듈(2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 is for executing communication bas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7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 is substanti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7. Same thing.

제2 제어부(34)는 본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제2 통신 모듈(33)을 통해서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제1 제어부(26)와 통신을 실행하게 된다.The second control unit 34 controls the apparatus as a whole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ntrol unit 26 of the relay master apparatus 2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중계 마스터 장치(20)와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는 제1 및 제2 통신 모듈(27, 33)를 통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중계 마스터 장치(20)로부터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로 송출되는 데이터는 제1 통신 모듈(27)에 의해 서비 스 안테나(24)를 통해 송출되고, 이와 같이 송출된 데이터는 중계 슬레이브 장치(30)의 안테나(31)를 통해 수신된 후 제2 통신 모듈(33)을 통해 제2 제어부(34)로 제공된다. 또한,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로부터 중계 마스터 장치(20)로 송출되는 데이터는 상기와 역방향을 통해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제1 제어부(26)로 제공된다.The relay master device 20 and the relay slave device 30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necessary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27 and 33. That i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relay master device 20 to the relay slave device 30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24 by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7, and the data transmitted in this way is transmitted to the relay slave device ( After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31 of the 30 is provided to the second control unit 34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 In addi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relay slave device 30 to the relay master device 20 is provided to the first control unit 26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via the reverse direction.

중계 마스터 장치(20)는 통상적인 중계장치와 마찬가지로 옥내 또는 빌딩(1)내에 위치하는 단말장치에 대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relay master device 20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device located indoors or in the building 1 like a conventional relay device.

한편,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는 해당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의 통신 환경을 측정하게 된다. 즉, 중계 슬레이브 장치(30)에서 제2 제어부(34)는 일정 시간마다 또는 중계 마스터 장치(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통신 모뎀(32)으로 전파환경 측정명령을 제공한다. 통신 모뎀(32)은 제2 제어부(34)로부터 전파환경 측정 명령이 입력되면, 미리 정해진 통신번호로 호 접속을 실행한다. 이때, 통신 모뎀(32)이 호접속을 실행하는 통신 번호는 제2 제어부(34)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lay slave device 30 measures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at the location where the corresponding device is installed. That is, in the relay slave device 30, the second control unit 34 provides a radio wave environment measurement command to the communication modem 32 at a predetermined time or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relay master device 20. When the radio wave environment measurement command is input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34, the communication modem 32 executes a call connection wit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number.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number for the communication modem 32 to perform the call connec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34.

통신 모뎀(32)은 제2 제어부(34)로부터 전파환경 측정명령이 수신되면, 미리 정해진 또는 제2 제어부(34)로부터 인가된 통신 번호에 대하여 예컨대 셋업 메시지(SETUP) 등의 호접속을 위한 통신 신호를 송출한다. 이와 같이 통신 모뎀(32)에서 송출되는 신호는 안테나(31)를 통해서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서비스 안테나(24)로 수신되고, 이어 증폭부(25)에서 증폭된 후 도너 안테나(21)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된다.When the radio modem measurement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34, the communication modem 32 communicates for a call connection such as a setup message (SETUP) or the like with respect to a communication number which is predetermined or authorized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34. Send a signal. In this wa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em 32 is received by the service antenna 24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through the antenna 31, and then amplified by the amplifier 25 and then the donor antenna 21 It is sent to the base station through.

한편, 이동통신망의 교환기에 있어서는 통신 모뎀(32)으로부터 호접속 신호 가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여 예컨대 호진행 메시지(CALL PROCEED), 링백 정보(RING-BACK INFORMATION), 접속완료 메시지(CONNECT) 등의 메시지를 통신 모뎀(32) 측으로 전송하게 되고, 이러한 통신 신호는 기지국을 통해 RF 신호로서 송출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 conn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em 32 in the exchan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message such as a call progress message, a ring back information, a connection completion message, and the lik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em 32 side, and this commun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as an RF signal through the base station.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 신호는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도너 안테나(21)로 수신되고 증폭부(25)에서 증폭되어 서비스 안테나(24)를 통해 송출된다.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s received by the donor antenna 21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amplified by the amplifier 25, and transmitt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24.

서비스 안테나(24)로부터 송출된 RF 신호는 중계 슬레이브 장치(30)의 안테나(31)로 수신되어 통신 모뎀(32)으로 인가된다. 통신 모뎀(32)은 수신되는 RF 신호의 레벨을 판정하여 그 결과값을 제2 제어부(34)로 인가한다. 제2 제어부(34)는 이와 같이 얻어진 결과 데이터를 제2 통신 모듈(33)을 통해 중계 마스터 장치(20)로 전송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전송된 신호는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제1 통신 모듈(27)을 통해 수신되어 제1 제어부(26)로 인가된다. 그리고, 제1 제어부(26)는 이와 같이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로부터 수신된 결과 데이터를 근거로 증폭부(25)의 증폭 이득을 적절하게 설정한다.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antenna 24 is received by the antenna 31 of the relay slave device 30 and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modem 32. The communication modem 32 determines the level of the received RF signal and applies the result value to the second control unit 34. The second control unit 34 transmits the result data thus obtained to the relay master device 2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 and the signal thus transmitted i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Received through 27 and applied to the first control unit 26. Then, the first control unit 26 appropriately sets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amplifier 25 based on the result data received from the relay slave device 30.

한편, 외부 관리장치는 중계 마스터 장치(20)에 대한 상태 문의 정보 등의 제어 정보들을 해당 중계 마스터 장치(20)에 대응되는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 관리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제어 정보들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중계 슬레이브 장치(30)의 통신 모뎀(32)으로 전송되게 된다. 통신 모뎀(32)은 외부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제2 제어부(34)로 인가하게 되고, 제2 제어부(34)는 이들 제어정보들을 제2 통신 모듈(33)을 통해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제1 제어부(26)로 제공하게 된다.Meanwhile,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such as status query information for the relay master device 20 to the relay slave device 3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relay master device 20. As such,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em 32 of the relay slave device 30 through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modem 32 applies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to the second control unit 34, and the second control unit 34 transmits these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 to the relay master device ( 20 to the first control unit 26.

그리고, 중계 마스터 장치(20)로부터 외부 관리장치로 제공되는 각종 상태 보고 정보들은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제1 제어부(26)에 의해 제1 통신 모듈(27)을 통해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로 제공되고, 이들 정보 들은 중계 슬레이브 장치(30)의 제2 통신 모듈(33)에 의해 수신되어 제2 제어부(34)로 제공된다. 이어 제2 제어부(34)는 이와 같이 중계 마스터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통신 모뎀(32)을 통해 외부 관리장치로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various status repor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lay master device 20 to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may be relayed by the first control unit 26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7 through the relay slave device 30. The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3 of the relay slave device 30 and provided to the second control unit 34. Subsequently, the second control unit 34 transmits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lay master device 20 to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em 32.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RF 신호 커버리지내에서 가장 통신 환경이 열악한 위치에 중계 슬레이브 장치(30)가 설치되고, 이 중계 슬레이브 장치(30)의 전파 수신환경을 근거로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이 설정된다. 따라서,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신호 증폭이득을 가장 최적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elay slave device 30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poor in the RF signal coverage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and the relay slave device 30 is relayed based on the radio wave reception environment of the relay slave device 30. The amplification gains for the uplink and downlink signals of the master device 20 are set. Therefore, the signal amplification gain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can be set to the most optimal valu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계 마스터 장치(20)와 외부 관리장치와의 각종 데이터 송수신이 중계 슬레이브 장치(30)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구성이 매우 간단해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relay master device 20 and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is performed through the relay slave device 30,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becomes very simple. .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의 전체적인 개념도.1 is an overall conceptual diagram of a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중계 마스터 장치(2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elay master device 20 in FIG.

도 3은 도 1에서 중계 슬레이브 장치(3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elay slave device 30 in FIG.

Claims (3)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에 있어서,In the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중계 마스터 장치와 중계 슬레이브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Configured with a relay master device and a relay slave device, 상기 중계 마스터 장치는 기지국과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도너 안테나와, 단말기와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 안테나,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증폭하여 이를 도너 또는 서비스 안테나로 송출하는 증폭수단, 상기 중계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증폭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 및, 중계 슬레이브 장치의 제2 통신 모듈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되고,The relay master device amplifies an RF signal received through a donor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with a base station, a servic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with a terminal, and a donor antenna and a service antenna and transmits the RF signal to a donor or service antenna. And amplifying means, first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mplifying means based on data provided from the relay slave device,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relay slave device. , 상기 중계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중계 마스터 장치의 서비스 안테나와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실행함과 더불어 수신되는 RF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검출기능을 구비하는 통신 모뎀, 상기 중계 마스터 장치의 제1 통신 모듈과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제2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뎀을 통해 RF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 데이터를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중계 마스터 장치로 제공하는 제2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The relay slave device include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with a service antenna of the relay master device, and a detection function for detecting the strength of a received RF signal while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modem,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executing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relay master device, and a relay master device for detecting the strength of the RF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em and outputting the detection result data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Repeater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ontrol means for provid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제어수단은 외부 관리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보고 데이터를 제1 통 신 모듈을 통해 중계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고,The first control means transmits the report data for providing to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to the relay slave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제2 제어수단은 중계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보고 데이터를 통신 모뎀을 통해 외부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The second control means is a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report data received from the relay master device to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via a communication mod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제어수단은 통신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중계 마스터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를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중계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 장치.And the first control means transmi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em to the relay master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em is transmitted to the relay master device.
KR1020080037203A 2008-04-22 2008-04-22 Mobile repeater KR101193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203A KR101193515B1 (en) 2008-04-22 2008-04-22 Mobile rep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203A KR101193515B1 (en) 2008-04-22 2008-04-22 Mobile rep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538A KR20090111538A (en) 2009-10-27
KR101193515B1 true KR101193515B1 (en) 2012-10-22

Family

ID=4153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203A KR101193515B1 (en) 2008-04-22 2008-04-22 Mobile rep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5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184B1 (en) * 2013-05-21 2013-08-30 주식회사 알피원 Inbuilding type repeater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CN107196697A (en) * 2017-07-12 2017-09-22 吕福瑞 A kind of aerial unmanned plane signal relay device and its mapp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538A (en)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2928B (en) Distributed antenna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hereof
US5093923A (en) Optimization system and method
US20110151775A1 (en) Repeating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570036A1 (en) Leader-follower power control
JP2010041685A5 (en)
CN111740791B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7484237A (en) A kind of unbalanced Adaptable System of uplink downlink and its method
CN109617625B (en)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antennas
US87878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peater gain
CN202535359U (en) TD-LTE indoor-distributio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variable-frequency system with self-adaptive function
KR101193515B1 (en) Mobile repeater
GB2443231A (en) Method of configuring a base station repeater
JP3300552B2 (en) Repeater using optical cable
KR101470441B1 (en) Portable ICS Repeater for Cascade RF Connect
KR100915205B1 (en) RF Repeater including communication mod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F Repeater
KR20180080482A (en) LTE(Long Term Evolution) and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ain setting method for ensuring stable coverage of mobile communication ICS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Repeater system
KR100491088B1 (en)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system using frequency conversion method
KR100991766B1 (en)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for a plurality of mobile repeaters
JP4886595B2 (en)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device, slav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0282056B1 (e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Power Amplifier and Its Apparatus
JPS5840938A (en) Radio repeating device
KR10091858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gain of repeater and apparatus thereof
KR100897896B1 (en) Repea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verse Gai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9104698B (en) Distributed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20100002997A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wireless communication rep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916

Effective date: 2012090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