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988B1 -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988B1
KR101192988B1 KR1020060026349A KR20060026349A KR101192988B1 KR 101192988 B1 KR101192988 B1 KR 101192988B1 KR 1020060026349 A KR1020060026349 A KR 1020060026349A KR 20060026349 A KR20060026349 A KR 20060026349A KR 101192988 B1 KR101192988 B1 KR 101192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creen
user interface
submenu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274A (ko
Inventor
윤이은
황병철
정석현
김영미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9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9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된 창을 통해 다수의 메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위 메뉴 리스트에서 특정 상위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면, 화면을 분리하는 과정과, 분리되는 상위 메뉴 창에 상기 상위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분리되는 상기 하위 메뉴 창에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상응하는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60026349
이동 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 depth, 상위/하위 메뉴, 소프트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1 깊이 리스트 방식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2 깊이 탭 방식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분리형 방식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레벨 간 이동 및 선택 메뉴를 구분하는 동작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뷰 모드 변경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일 레벨 내에서의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하위메뉴 선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 창의 비율을 설정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따른 효율적인 메뉴 구성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통신 사업자들은 가입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즉,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업자들은 공간 및 시간에 구애됨이 없는 통화는 물론, 무선 인터넷,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및 이미지, 화상, 동영 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고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안을 임의로 이동하면서 기지국(BS, Base Station)을 통해 일반전화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가입자와 통화를 수행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개인 정보관리, 컴퓨터와의 정보교류 및 데이터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등의 부가적 기능을 가진다. 근래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화상이나 동영상의 송수신, 가상 3차원 음향 및 스테레오 사운드 구현, MP3 플레이어 기능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내장 등 하루가 다르게 그 성능이 향상된 이동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기능에 따라서 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 장치, 문자 전송을 위한 단말기 장치, 동영상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 장치, 사용자의 건강을 체크해 줄 수 있는 위한 단말기 장치 및 게임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TV나 주문형 영상(비디오) 서비스(VOD: Video On Demand) 등과 같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용화 되고 있다.
또한 현재 이동 단말기는 단순한 텍스트만을 이용한 게임뿐만 아니라 현재 3D까지 구현하는 게임 기능들을 수행하고 메신저 기능까지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방법뿐만 아니라 많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 기능들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들을 수용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면서 상기 이동 단말기 자체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 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때 상기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상위메뉴 및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상위메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메뉴를 동시에 표시하는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상위메뉴와 하위메뉴를 화면 분할 형태로 동시에 제공하고, 상기 각 메뉴들 간 계층적인 이동(hierarchical navigation)을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 메인메뉴에서 소정 리스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리스트에 하위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리스트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존재하면, 상기 메인메뉴와 상기 리스트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분리된 창을 통해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위 메뉴 리스트에서 특정 상위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면, 화면을 분리하는 과정과, 분리되는 상위 메뉴 창에 상기 상위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분리되는 상기 하위 메뉴 창에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상응하는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메뉴 화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 메뉴가 선택되면,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 분할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상위메뉴와 하위메뉴를 분리된 창을 통해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메뉴 화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부가기능 요청시 그에 상응하는 소정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식에 따라 소정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화면 형태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형태에 따라 기본 화면 또는 분할 화면에 상응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기본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환 및 설정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설정 신호에 상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위메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메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기술적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본 통 화 기능 이외에도 여러 가지 부가기능들을 구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부가기능들을 나타내는 메뉴 리스트의 수와 그 부가기능들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도 함께 증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메뉴 구성 역시 복잡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기능이라 함은 예컨대, 폰북에 저장되는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영상 데이터, 벨소리/멜로디, 메모장, 일정관리, 다이어리, 계산기 및 사용 환경 설정 등의 기능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에 상응하여 상기 각 기능들을 나타내는 메뉴들이 포함된다.
따라서 종래 이동 단말기에서는 텍스트(text) 형식 또는 아이콘(icon) 형식으로 상기와 같은 많은 수의 메뉴 목록들을 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른다. 즉, 종래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메뉴 목록의 항목 수가 한정된다. 이에 메뉴 트리(Menu Tree) 방식이 제안되었으며, 상기 메뉴 트리 방식을 통해 같은 등급의 메뉴들을 소정 그룹으로 매핑하고, 상기 매핑된 소정 그룹의 메뉴 예컨대, 같은 등급의 상위메뉴만을 텍스트 혹은 메뉴 아이콘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정 하위메뉴에서 검색 및 관리할 수 있는 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특정 상위메뉴에 대한 하위메뉴 목록을 파악하여 특정 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검색 및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이전에 카메라 기능이 지원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촬 영한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서, 메뉴 혹은 소정 기능 키(Key) 예컨대, 카메라 촬영키를 조절하여 카메라 촬영에 관한 상위메뉴로 진입한다. 이후, 상기 상위메뉴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하위메뉴를 선택하고, 새롭게 디스플레이 되는 하위메뉴 중 사용자가 희망하는 예컨대, 영상 데이터 검색을 위한 사진 관리 등의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사진 관리의 하위메뉴에 저장된 사진을 검색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이동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식은 해당 부가기능 선택 또는 사용자 데이터 검색 및 관리를 위해 항상 해당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된 특정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의 하위메뉴로 진입한 후, 해당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해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 개수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깊이(depth, 이하 'depth'라 칭하기로 한다) 즉, 하위메뉴의 유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메뉴 창을 통해, 소정 depth를 가지는 메뉴들을 동시에 제공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분할된 화면의 하위메뉴 창에서 표시되는 소정의 항목 선택시,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부가기능 수행 또는 사용자 데이터 검색에 있어서 하위메뉴로의 진입 경로 단축 및 사용자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일 레벨 간 이동 즉, 상위메뉴 간 이동, 하위메뉴 간 이동 및 상위(하위) 메뉴에서 하위(상위) 메뉴로의 이동 즉, 분할된 화면 내에서의 메뉴 레벨 간 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메뉴 간 이동을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의 방향키 또는 볼륨 조절키 등을 통해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이동 단말기에서 각 메뉴 간 이동을 위해 매번 수행해야 하는 선택(Select) 및 취소(Back) 등의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하위메뉴의 유무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 형태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안하고, 또한 분할된 화면에서 표시되는 항목 선택 시, 해당 부가기능을 바로 실행하거나 또는 사용자 데이터 검색을 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위메뉴 검색을 위한 진입 경로를 단축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안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메뉴 창을 하나의 화면에 분리하여 상위/하위 메뉴를 동시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 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위/하위 메뉴에서 소정 정보를 검색/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메뉴 보기, 검색 및 선택 등의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계층적인 이동(hierarchical navigation)을 가능하게 한다.
먼저,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서는 화면의 협소함으로 인해, 1 depth의 메뉴만을 리스트 방식으로 나타낸다. 또는 2 depths 메뉴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탭(tab) 방식을 사용하여 상위메뉴를 아이콘(icon)화 하거나 메뉴 명을 줄여 소정 탭(tab)에 담고, 하위메뉴를 탭 박스(tab box) 안에 리스트 방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메뉴 형식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1 depth 리스트 방식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1a 및 도 1b는 1 depth 리스트(List)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위메뉴 예컨대, <Music & Media>, <Camera>, <My Albums> 및 <Image Album>에 각각 종속되는 하위메뉴들을 1 depth의 리스트 방식으로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소정의 메뉴 예컨대, 도 1a의 <Music & Media>를 선택하면 상기 <Music & Media>에 관련된 하위메뉴를 리스트 방식으로 제공한다. 상기 리스트 되는 하위메뉴에서 사용자가 소정 항목 예컨대, <Camera>를 선택하면 상기 <Camera>에 관련된 하위메뉴를 리스트 방식으로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Camera> 메뉴에 리스트 되는 하위메뉴 항목 중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메뉴의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더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선택 절차를 종속되는 하위메뉴의 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최종 리스트 항목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메뉴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전 메뉴 또는 상기 초기 메뉴 예컨대, 상기 <Music & Media> 메뉴로 다시 이동하여 자신이 희망하는 메뉴 검색을 재차 수행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상위/하위 메뉴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각 항목별로 연계되어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위메뉴는 자신이 속한 상위메뉴의 각 항목에 상응하게 각각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하위메뉴 역시 자신의 하위에 속하는 하위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위메뉴는 종속으로 제2 하위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하위메뉴는 상기 제2 하위메뉴의 상위메뉴가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 depth 리스트 방식에서는, 그 depth가 깊은 경우 즉, 소정 메뉴에 대하여 종속되는 하위메뉴들이 많은 경우에는, 상위메뉴 만으로는 모든 하위메뉴의 내용을 인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메뉴의 항목들을 일일이 선택하여 해당 메뉴를 검색하여 살펴보거나, 하위메뉴 검색 중 상위메뉴에 관련 메뉴가 있는 경우 이를 검색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상위메뉴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서는 하위메뉴로의 이동에 상응하여 이전단계로의 이동을 반복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다시 말해, 1 depth 리스트 방식에서는 한번에 1 depth의 메뉴만을 제공하며, 메뉴 트리(Menu Tree) 구조를 제공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이전 메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소정 키 예컨대, <Back> 기능을 통해 이전단계로의 이동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하위메뉴에 포함되는 정보들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소정 키 예컨대, <Select>, <OK> 등의 기능을 통해 해당 항목에 대하여 선택한 후 다음 단계로 이동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1 depth 리스트 방식에서는 메뉴 간 이동에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상기 1 depth 리스트 방식에서는 같은 등급의 메뉴들 간 이동을 위해서는 상기 같은 등급의 메뉴 예컨대, 상기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Camera> 및 <My Albums>를 모두 포함하는 보다 상위의 메뉴 예컨대, <Music & Media>로 이동하여 다시 해당 메뉴로 이동해야 한다. 즉, 같은 등급의 메뉴들 간 이동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2 depth 탭 방식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a 및 도 2b는 2 depth 탭(Tab)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들을 2 depth 탭 방식으로 동시에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 예컨대, 스케줄러 기능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는 상기 스케줄러 기능 실행에 따른 해당 상위메뉴 및 하위메뉴를 2 depth 탭 방식으로 동시에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케줄러 기능에 따른 소정 상위메뉴를 텍스트 또는 아이콘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들을 동시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일간일정> 상위메뉴가 활성화되면 상기 <일간일정>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 즉,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시간별 스케줄 정보들이 표시되고, <기념일> 상위메뉴가 활성화되면 상기 <기념일>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 즉,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기념일에 대한 스케줄 정보들이 표시되고, <디데이(D-day)> 또는 <카운트다운(Countdown)> 상위메뉴가 활성화되면 상기 <디데이> 또는 <카운트다운>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 즉,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디데이, 카운트다운 등의 정보들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 도 2a 및 도 2b와 같은 방식에서 상기 같은 등급의 상위메뉴 예컨대, <일간일정>, <기념일> 및 <디데이> 등의 메뉴 간 이동 및 상위메뉴에서 하위메뉴로의 이동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의 방향키 또는 등록된 숫자 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같은 등급의 상위메뉴 간 이동은 상기 방향키의 좌/우(Left/Right) 동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위메뉴와 하위메뉴 간 이동은 상기 방향키의 상/하(Up/Down)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2 depth 탭 방식에서는 2 depth의 메뉴를 동시에 제공한다. 즉, 사용자에게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에 따른 해당 하위메뉴 리스트를 모두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이용하더라도 상위메뉴의 확인/인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2 depth 탭 방식에서는 소정 기능키에 소정 옵션(options)을 매핑(mapping)하여 해당 메뉴의 컨텐츠에서 동작 가능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2 depth 탭 방식에 따르면, 2 depth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2 depth의 메뉴들을 동시에 제공한다는 점에서 작은 화면에서의 효율적인 계층적인 이동(hierarchical navig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예에서와 같이, 아이콘화가 불가능한 일반 메뉴의 경우에는 아이콘 인지도가 낮아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뉴 명을 그대로 탭에 포함한다 하더라도 메뉴 명의 길이가 상기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경우 실질적인 탭의 장점을 살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2 depth 탭 방식은 제공되는 메뉴 명의 길이 또는 아이콘화가 어려운 이동 단말기에서의 적용이 무의미하며, 탭 방식의 사용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하위메뉴는 확인하지 않고, 상위메뉴만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위메뉴만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또한 상기 2 depth 탭 방식은 현재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케줄러와 같은 특정 기능에 대해서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 depth 탭 방식에 따른 메뉴 표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 명 길이의 제약 또는 아이콘화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메뉴 간 검색/이동/선택 등의 네비게이션을 주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스케줄러 등의 최하위 depth의 메뉴와 컨텐츠를 이용하는 데에 한정된다. 또한, 상기 2 depth 탭 방식에서는 메뉴 리스트만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단지 옵션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필요한 기능만을 제공한다.
도 3a 및 도 3b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분리형 방식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3a 및 도 3b는 화면 분리형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소정 상위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를 동시에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 예컨대, 전화번호부 기능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전화번호부 기능 실행에 따른 해당 상위메뉴 리스트 예컨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이름 리스트를 소정의 정렬 방식에 상응하여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등록 사용자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메뉴 항목 예컨대,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Bakery Hong>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는 설정된 방식에 상응하여, 상기 도 3a와 같이 화면 하단에 화면을 분리하는 형태로 상기 <Bakery Hong>에 대한 하위메뉴 즉, 상기 <Bakery Hong>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도 3b와 같이 선택 메뉴의 바로 하단에 2줄(line)로 화면을 확장하는 형태로 상기 <Bakery Hong>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이라 함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방향키 등에 의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검색 동작을 포함하며, 이동시마다 해당 항목의 하위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분리형 방식에서는 화면을 분리하여, 상단에 위치하는 화면은 전체 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항목을 표시하여 보여주고, 하단에 위치하는 화면은 상기 표시되는 해당 항목 리스트의 내용을 자동으로 보여준다. 이와 같이 상기 화면 분리형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선택되는 소정 상위메뉴에 대한 해당 하위메뉴의 내용을 보기 위해 별도의 동작 예컨대, 선택 등의 동작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화면 분리형 방식에서는 해당 메뉴의 컨텐츠 전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즉,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되는 소정 메뉴에 대해 설정된 특정 정보만이 선택되는 상위메뉴에 상응하여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하는 해당 메뉴의 전체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방향키 예컨대, 상/하/좌/우(Up/Down/Left/Right) 키를 이용하여 하나씩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화면 분리형 방식은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와 같은 특정 기능에 대해서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화면 분리형 방식에서는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를 각각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선택권이 없다. 즉, 분리형 화면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분리형 방식은, 메뉴 간 이동을 주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전화번호부 등의 한정된 기능에서 최하위 depth의 메뉴와 컨텐츠를 단순 확인하는 데에 적합하며, 그 사용에 한계가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중간 depth(1st depth ~ 3rd depths)의 메뉴 리스팅 방식에는 1 depth 리스트 보기(list view)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들이 depth가 깊은 이동 단말기의 메뉴 명을 모두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짧은 메뉴 명에 하위메뉴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메뉴를 검색/사용하는 데에 많은 번거로움이 따른다. 즉, 희망하는 메뉴 검색을 위해, 매번 해당 메뉴의 최상위 메뉴에서부터 최하위 메뉴까지 순차적으로 진입하고, 상기 역순으로 취소(back)하는 절차를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메인 메뉴(main menu)나 2 depths 메뉴(depths menu)의 경우 하위메뉴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메뉴 명이 사용됨으로 인해, 실제로 어떤 메뉴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Multimedia)라는 메뉴와 툴(Tools)이라는 메뉴가 있을 경우, 카메라(Camera) 메뉴를 멀티미디어로 분류하여 멀티미디어의 하위메뉴에 포함하였는지, 또는 카메라 메뉴를 툴로 분류하여 툴의 하위메뉴에 포함하였는지, 실제 선택하여 하위메뉴를 검색하지 않고서는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동작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구성에 대한 일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크게, 입력 수단, 처리 수단, 저장 수단, 출력 수단 및 통신 수단으로 구분된다.
상기 입력 수단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407), 사용자로부터 숫자/문자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입력부(409) 및 외부 소정 물체의 촬영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카메라(4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와 같은 구성 장치들을 통해, 음성 데이터, 숫자/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카메라(41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415), 상기 신호 처리부(415)에서 디지털 처리된 입력 영상 데이터의 처리를 담당하고,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형태에 따라 기본 화면 또는 분할 화면에 상응하게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417), 상기 오디오 처리부(407)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상기 키입력부(409)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문자 데이터 등의 처리를 담당하는 데이터 처리부(405), 상기 이동 단말기 내부 블록들의 일련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401)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한 부가기능 요청시 그에 상응하는 소정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식에 따라 소정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화면 형태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421)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상기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부가기능 각각에 대응하는 일련의 처리를 담당한다.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부가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메모리(411) 등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입력 또는 요청되는 사용자 데이터 및 부가기능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식에 상응하는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19)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407)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에 관련된 데이터 및 각 부가기능에 따른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 다른 사용자 등으로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웹 서버(Web Server)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의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며,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하기로 한다) 처리부(403) 및 안테나(Antenna)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RF 처리부(403)는 휴대전화 통신, SMS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 처리부(40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405)는 상기 RF 처리부(403)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하는 수단, 상기 RF 처리부(403)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복조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407)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405)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405)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입력부(409)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숫자, 문자 및/또는 기능 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411)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 및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설정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각각의 데이터 및 메뉴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모든 상위/하위 메뉴, 각 메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데이터 등이 서로 간에 매핑(mapping)되어 각각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수록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은, 사용자 입력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 등의 입력에 상응하여 분할 화면 또는 기본 화 면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각 입력에 대한 설정 정보를 인식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인식되는 정보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판단 정보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의 변환 및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등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1)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1)는 상기 키입력부(409)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을 제어한다. 예컨대,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기본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전환 및 설정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1)는 상기 입력되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각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를 제공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19)와의 연동을 통해 소정의 텍스트 형태로 제공함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 예컨대, 동화상, 이미지 및 아이콘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오디오 출력부(407)와의 연동을 통해 소정의 오디오 신호 예컨대, 경고음, 멜로디 또는 배경음악 등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4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식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각 메뉴 레벨(level) 간 이동, 화면 분리 비율, 각 메뉴들이 연 계되는 경로 및 화면 분리 형태에 따른 표시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1)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메뉴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가 화면 분리형 방식에 의한 모드 설정이 되어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결과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 방식 또는 기본 방식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화면 분리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화면 분리 형태, 예컨대, 화면 비율 또는 화면 분리 개수 등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상응하여 상위메뉴 및 하위메뉴 간 연결/이동 경로를 제어한다.
상기 카메라(413)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인코더(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 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처리부(415)는 상기 카메라(41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417)는 상기 신호 처리부(415)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415)는 상기 제어부(401)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 신호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제공 형태에 상응하여 기본 화면 또는 분할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419)의 규격에 맞추어 전송하며, 상위/하위 메뉴를 분할된 형태의 창을 통해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417)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19)는 상기 영상 처리부(417)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실행 화면들 및 상기 제어부(401)의 제어에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리되는 창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19)는 상위/하위 메뉴를 각각 분리된 창을 통해 제공하고, 또한 이에 관련된 부가정보를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421)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메뉴 형식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되는 메뉴 형식에 상응하여 상위메뉴, 하위메뉴를 각기 분할된 창을 통해 각각 제공하고, 또한 상기 상위/하위 메뉴에 관련/매핑된 사용자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분할된 창을 통해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421)는 같은 등급의 메뉴 간 이동, 메뉴 레벨 즉, 상위메뉴와 하위메뉴 간 이동 및 해당 메뉴 내의 항목별 이동 등을 소정의 소프트키, 방향키 또는 기능키에 입력에 상응하여 처리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을 위한 이동 단말기 구성에 대한 일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동작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참조부호 510의 상위메뉴 화면과,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참조부호 530의 하위메뉴 화면을 결합하여, 참조부호 5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와 하위메뉴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제공한다. 상기 도 5의 예에서는 분리 형태가 2개인 경우를 예로 하여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분리 형태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3개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이동 단말기에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설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참조부호 5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화면의 상단에 상기 참조부호 5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위메뉴가 위치하고, 화면의 하단에 상기 참조부호 53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위메뉴가 위치하는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하지만, 이러한 화면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은 상단에 하위메뉴가 위치하고, 하단에 상위메뉴가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 예컨대, <Image Album>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분리된 화면에서, 상기 상위메뉴와 하위메뉴 간 이동 즉, 메뉴 레벨(mene level) 간 이동은 소정의 소프트키(Soft Key) 예컨대, 상기 도 5의 참조부호 5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Upper> 구동을 위해 매핑된 소정키를 이용하여 이동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 5의 참조부호 550에서와 같이 상위메뉴와 하위메뉴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된 화면 즉, 2 depth의 화면 구성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화면 즉, 1 depth의 화면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도 5의 참조부호 5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depth> 구동을 위해 매핑된 소정키를 이용하여 전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메뉴 레벨 즉,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 각각에서의 항목 이동은 소정의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이동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2 depths 즉, 두 레벨의 메뉴 리스트 화면을 하나로 결합하여 이동 단말기의 좁은 화면에 수직으로 분리하는 메뉴 구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위메뉴 이동시에 해당 하위메뉴를 함께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메뉴에 대한 이해도 및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위메뉴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하위메뉴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예컨대, <Back> 키 등을 통해 상위메뉴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설정 즉, 1 depth 화면 또는 2 depths 화면을 사용자 취향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분리형을 원하지 않는 사용자들은 1 depth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2 depths로 사용하던 사용자들도 메뉴가 많아 스크롤이 불편할 경우, 전체화면으로 메뉴 전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 설정되는 기본(default) 화면을 기준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 통상적으로 7개 정도의 메뉴 리스팅이 가능하다. 또한 상위메뉴와 하위메뉴의 화면 비율 구성은 상기 도 5의 예에서는 4:3의 비율을 예로 하여 나타내었으나, 이는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다른 비율로 설정 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화면 구성에 대한 자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화면 비율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 방식은, 메뉴 명의 길이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메뉴 명을 줄이거나, 아이콘화 하지 않아도 전체 메뉴 명을 확인할 수 있으며, 메뉴 레벨 간 이동이 소프트키 등을 이용한 한번의 동작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상세 동작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레벨 간 이동 및 선택 메뉴를 구분하는 동작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6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가 활성화된 2 depths의 화면상에서, 상기 상위메뉴 내에서의 각 항목별 예컨대, <Sound Album>, <Image Album>, <Video Album> 등의 항목별 이동은 참조부호 610 및 6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방향키를 이용한 상/하(Up/Down) 명령에 의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뉴 레벨 간 이동 예컨대, 상위메뉴에서 하위메뉴로의 이동 또는 하위메뉴에서 상위메뉴로의 이동은 소정의 소프트키에 의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참조부호 610 또는 참조부호 660과 같이 상위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참조부호 630 또는 참조부호 670과 같이 하위메뉴로의 이동은 <Lower>와 같이 매핑된 소정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참조부호 630 또는 670과 같이 하위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참조부호 610 또는 660과 같이 상위메뉴로의 이동은 <Upper>와 같이 매핑된 소정 소프트키를 이용 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의 활성화 상태에 상응하여 상기 소프트키에 매핑되는 <Lower> 및 <Upper>이 토글(toggle)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참조부호 630 내지 6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위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하위메뉴 내에서의 각 항목별 즉, 동일 레벨 예컨대, <Photo Gallery>, <MMS>, <Transferred Images> 등의 동일 레벨 간 이동은 소정의 방향키를 이용한 상/하(Up/Down) 명령에 의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상기 참조부호 610 또는 참조부호 630과 같이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가 각각 활성화되는 2 depths의 화면에서 보기 모드(View Mode) 변경 예컨대, 참조부호 620과 같이 1 depth 화면으로의 변경은 <1 depth>와 같이 매핑된 소정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참조부호 620과 같이 1 depth 화면에서 참조부호 610과 같은 2 depths 화면으로의 변경은 <2 depths>에 매핑된 소정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위메뉴에 대한 보기 모드 변경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하위메뉴에 대한 보기 모드 변경도 상기와 같은 절차에 의해 이루어짐은 자명하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화면 제공 방식에 상응하여 상기 소프트키에 매핑되는 <1 depth> 및 <2 depths>가 토클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되는 메뉴 및 메뉴 레벨 간 구분은, 예를 들면 소정 칼라 톤, 배경 이미지 등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상위메뉴가 활성화되면 상위메뉴의 배경색을 기본 배경색과 다르게 표현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소정 배경 이미지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위메뉴가 활성화되면 하위메뉴의 배경색을 기본 배경색과 다르게 표현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소정 배경 이미지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활성화되지 않는 메뉴는 기본 색 예컨대, 흰색을 바탕으로 나타낸다. 또한 선택되는 메뉴는 상기와 같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적으로 소정 칼라 톤, 하이라이트 표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위메뉴 창이 선택되어 있을 경우 하위메뉴 창은 해당 상위메뉴의 하위메뉴를 보여주나, 하위메뉴 창에서는 어떤 메뉴도 선택되어 있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위메뉴 창이 선택되어 있을 경우 상위메뉴 창에서는 그 하위메뉴가 해당되는 상위메뉴의 항목이 선택되어 하이라이트 등의 표시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 구성에서, 상기 상위메뉴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최상위 메뉴 간 이동은 소정의 방향키를 이용한 좌/우(Left/Right) 명령에 의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뷰 모드 변경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a를 참조하면, 먼저 소정의 메뉴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예컨대, <Music & Media>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2 depths 화면의 상단에 표시되고, 상기 하위메뉴에서 선택되는 메뉴 예컨대, <My Albums>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2 depths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상위/하위 메뉴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각 항목별로 연계되어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위메뉴는 자신이 속한 상위메뉴의 각 항목에 상응하게 각각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하위메뉴 역시 자신의 하위에 속하는 다른 하위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위메뉴는 종속으로 제2 하위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하위메뉴는 상기 제2 하위메뉴의 상위메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부호 7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메뉴 예컨대, <My Albums> 메뉴가 소정의 키 예컨대, <Select>, <OK> 등에 의해 선택되면, 참조부호 7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My Albums>에 속한 하위메뉴들이 상위메뉴 창에 표시되고, 상기 상위메뉴 리스트에서 선택되어지는 예컨대, <Image Album> 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 리스트들이 하위메뉴 창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참조부호 7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가 활성화된 2 depths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LSK, Left Soft Key) <1 depth>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05와 같이 선택된 메뉴 창의 리스트만 1 depth로 표시한다. 또한 참조부호 7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위메뉴가 활성화된 2 depths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 <1 depth>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09와 같이 선택된 메뉴 창의 리스트만 1 depth로 표시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참조부호 705 또는 참조부호 7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depth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 <2 depths>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03 또는 707과 같이 포커스된 메뉴의 하위메뉴와 함께 2 depths로 표시한다.
이때, 하위메뉴가 depth의 최하위단으로서 리스트 메뉴로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현재 메뉴가 포커스된 상태로 그 상위메뉴와 함께 2 depths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참조부호 707 또는 709에서와 같이 최하위단의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 항목 예컨대, <Photo Gallery>이 선택되면, 참조부호 7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실행된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709 및 711에서는 최하위단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나타냄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예컨대, 상기 최하위단의 메뉴 항목이 상기 참조부호 709와 같이 이미지 관련 메뉴 또는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메뉴를 나타내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을 하위메뉴 창에 텍스트 또는 아이콘 형태로 상기 최하위 메뉴와 함께 2 depths로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7b를 참조하면, 먼저 소정의 메뉴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예컨대, <Music & Media>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2 depths 화면의 상단에 표시되고, 상기 하위메뉴에서 선택되는 메뉴 예컨대, <My Albums>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2 depths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소정 하위메뉴 역시 자신에게 종속되는 다른 하위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소정 하위메뉴는 상기 다른 하위메뉴의 상위메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부호 7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가 활성화된 2 depths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LSK, Left Soft Key) <1 depth>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33과 같이 선택된 메뉴 창의 리스트만 1 depth로 표시한다. 또한 참조부호 7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위메뉴가 활성화된 2 depths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 <1 depth>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37과 같이 선택된 메뉴 창의 리스트만 1 depth로 표시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참조부호 7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depth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 <2 depths>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31과 같이 포커스된 메뉴의 하위메뉴와 함께 2 depths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7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depth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 <2 depths>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39와 같이 포커스된 메뉴의 하위메뉴와 함께 2 depths로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일 레벨 내에서의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 메뉴 리스트 내에서 항목별 즉, 동일 레벨 간 이동은 소정의 상/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참조부호 8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활성화된 상위메뉴에서 각 동일 레벨의 메뉴 예컨대, <Sound Album>, <Image Album>, <Video Album> 및 <Online Album> 등의 메뉴 간 이동은 상/하 방향키에 의하여 참조부호 8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위메뉴 창에서 동일 레벨 간 이동에 따라 메뉴들이 변경/선택되면, 하위메뉴 창에서는 상기 변경/선택되는 해당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들 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예컨대, 참조부호 8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창에서 <Sound Album>이 선택되어지면, 그에 상응하여 하위메뉴 창에는 상기 <Sound Album>에 상응하는 하위메뉴 <Sound Gallery>, <MMS> 및 <Transferred Sounds> 등이 표시된다. 또한 참조부호 8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창에서 상/하 방향키를 통해 동일 레벨 간 이동 예컨대, <Sound Album>에서 <Image Album>으로 이동되면, 그에 상응하여 하위메뉴 창에는 상기 <Image Album>에 상응하는 하위메뉴 <Photo Gallery>, <MMS> 및 <Transferred Images> 등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820에서 하위메뉴 창으로의 이동은, 하위메뉴로의 이동을 위한 소프트키 예컨대, 라이트 소프트키 <Lower>에 의해 이동되어, 참조부호 8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위메뉴 창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참조부호 830에서 하위메뉴 리스트 내에서 항목별 즉, 동일 레벨 간 이동은 소정의 상/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참조부호 8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활성화된 하위메뉴에서 동일 레벨의 메뉴 예컨대, <Photo Gallery>, <MMS> 및 <Transferred Images>의 메뉴 간 이동은 상/하 방향키에 의하여 참조부호 840 내지 참조부호 8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항목별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며, 이동되는 항목이 하이라이트로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8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뉴 리스트가 제공되는 화면 크기를 넘어 보이지 않는 경우, 상기 상/하 방향키를 통해 이동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에 따른 리스트들이 제공되는 화면 크기보다 많은 경우, 화면상의 일측에 메뉴 리스트들이 더 포함되어 방향키 이동에 따라 더 표시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예컨대, <↕>를 각 메뉴 창에 나타냄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하위메뉴 선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9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활성화된 상위메뉴에서 각 동일 레벨의 메뉴 예컨대, <Sound Album>, <Image Album>, <Video Album> 및 <Online Album>의 메뉴 간 이동은, 상/하 방향키에 의하여 참조부호 9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위메뉴 창에서 동일 레벨 간 이동에 따라 메뉴들이 변경/선택되면, 하위메뉴 창에서는 상기 변경/선택되는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들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예컨대, 참조부호 9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창에서 <Sound Album>이 선택되어지면, 그에 상응하여 하위메뉴 창에는 상기 <Sound Album>에 상응하는 하위메뉴 <Sound Gallery>, <MMS> 및 <Transferred Sounds> 등이 표시된다.
또한 참조부호 9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창에서 상/하 방향키를 통해 동일 레벨 간 이동 예컨대, <Sound Album>에서 <Image Album>으로 이동되면, 그에 상응하여 하위메뉴 창에는 상기 <Image Album>에 상응하는 하위메뉴 <Photo Gallery>, <MMS> 및 <Transferred Images> 등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920에서 하위메뉴 창으로의 이동은, 하위메뉴로의 이동을 위한 소프트키 예컨대, 라이트 소프트키 <Lower>에 의해 이동하여 참조부호 9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위메뉴 창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참조부호 930에서 하위메뉴 리스트 내에서 항목별 즉, 동일 레벨 간 이동은 소정의 상/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9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활성화된 하위메뉴가 최하위 메뉴인 경우에, 상기 하위메뉴에서 <Select> 또는 <OK>와 같은 소정의 선택 또는 확인키를 통해 선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예컨대, 상기 참조부호 930에서 하위메뉴 중 <Photo Gallery>가 선택되어지면, 상기 <Photo Gallery>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Photo Gallery>에 포함된 이미지 리스트들을 텍스트, 아이콘 또는 이미지 등의 형태로 제공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 창의 비율을 설정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화면상에서 분할되는 창 크기의 변경은, 환경 설정 등의 메뉴를 이용하여 <2 depths Mode>와 같은 변경 메뉴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2 depths Mode>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모드를 통해 창 크기 변경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에서는 참조부호 10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미리 설정된 화면 비율 리스트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상위메뉴 창과 하위메뉴 창의 화면 비율 값들 예컨대, <1:6>, <2:5>, <3:4>, <4:3>, <5:2> 및 <6:1> 등은 사용자 임의에 의해 선택 가능하며, 이러한 값들은 초기 설정된 값 이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값들로 설정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10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 비율 리스트에서 사용자 에 의해 <4:3>의 비율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는 참조부호 10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4:3> 비율에 대한 예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1020과 같은 <4:3> 예시 화면에서, 소정의 방향키 예컨대, 좌/우 방향키의 조작을 통해 참조부호 1030 및 참조부호 10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화면 비율의 예시 화면들을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에 의한 상위메뉴 창 및 하위메뉴 창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희망하는 화면 비율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변경 모드를 통해 화면 비율의 변경뿐만 아니라, 예컨대, 분리되는 화면의 개수를 변경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도 10에서는 분리되는 창이 2개인 경우를 예로 하여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3개, 4개와 같이 사용자 설정이 가능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3개의 창으로 분리하는 경우, <상위메뉴:제1하위메뉴:제2하위메뉴>와 같은 형태로 제공 가능하며, 상기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위메뉴:제1하위메뉴:제2하위메뉴> 창의 크기 비율을 <3:2:2>와 같이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a 내지 도 11b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는 1101단계에서 사 용자에 의해 소정 메뉴가 선택되면 1103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메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 상기 1103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 분할로 활성화되어 있으면 110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1103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 분할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즉, 기본 화면으로 활성화되어 있으면 도 11c의 114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05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화면 분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상위메뉴와 하위메뉴를 각각 분리된 창을 통해 동시에 제공한 후 1107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1107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기본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청되면 상기 도 11c의 114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1105단계에서에서 제공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메뉴 이동이 요청되면 11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뉴 이동이 동일 레벨 간 메뉴 이동 예컨대, 상위메뉴 내에서의 메뉴 이동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111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동일 레벨 간 이동인 경우에는 1113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111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동일 레벨 간 이동이 아닌 경우에는 11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13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동일 레벨 간 이동인 경우 현재 활성화된 창 예컨대, 상위메뉴의 소정 항목을 하이라이트 표시하고, 상기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는 상위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를 상기 하위메뉴 창에 표시한다.
상기 1115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위메뉴에서 선택되는 소정 항목에 상응하여 표시되는 하위메뉴로의 이동이 요청되면, 이동 단말기는 도 11b의 11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되는 상위메뉴의 소정 항목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고, 상기 상위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하위메뉴 창을 활성화하여 초기 하위메뉴 항목을 하이라이트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 11b의 1117단계에서와 같이 하위메뉴 활성화 후,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1119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위메뉴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1119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하위메뉴 내의 소정 항목 선택이 없으면 1121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1119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하위메뉴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면 112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21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하위메뉴 내의 동일 레벨 간 이동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1121단계에서의 확인결과 하위메뉴 내의 동일 레벨 간 이동인 경우 이동되는 하위메뉴 항목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한다. 상기 1121단계에서의 확인결과 하위메뉴 내의 동일 레벨 간 이동이 아닌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현재 활성화된 상기 하위메뉴에서 상위메뉴로의 이동이 요청되면, 상기 상위메뉴 창을 활성화 하고, 또는 현재 활성화된 상기 하위메뉴에서 기본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청되면, 상기 하위메뉴를 기본화면 즉, 1 depth로 제공한다.
상기 1127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선택되는 하위메뉴 항목에 대한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1127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으면, 11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한 해 당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1127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면, 11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하위메뉴를 상위메뉴 창에 표시하고, 상기 하위메뉴에 상응하는 다른 하위메뉴 리스트를 하위메뉴 창에 표시한 후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1103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 분할로 활성화 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절차 수행 중 사용자에 의해 기본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청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도 11c의 1141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1141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방식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기본화면을 1 depth 형태로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1103단계에서와 같이 기본화면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메뉴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또는 하위메뉴 창에서 기본화면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청되면 상기 하위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1 depth 형태로 화면 제공 후, 1143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화면 분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2 depths 형태의 화면 요청이 발생하면, 이동 단말기는 상기 도 11a의 11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1141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공하는 기본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소정 메뉴 리스트를 제공된 화면에서 1145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소정 메뉴 항목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114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소정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1153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114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소정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지 않으면 사용자에 1147단계로 진 행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동일 레벨 즉, 상기 메뉴 항목 간 이동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1147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메뉴 이동이 요청되면 1149단계로 진행하여 이동되는 메뉴 항목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한다. 상기 1147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메뉴 이동 요청이 없으면 1151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1153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선택되는 소정 메뉴의 하위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115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하위메뉴 리스트 중 선택되는 메뉴가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115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소정 메뉴가 선택되면, 115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하위메뉴에 대한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으면 115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되는 메뉴의 해당 기능을 실행한다.
한편, 상기 도 11a 내지 도 11c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화면 또는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화면상에서 자신보다 상위의 메뉴 간 이동 예컨대,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위메뉴 창에서 좌/우 방향키 등이 입력되면, 상위메뉴 창에 표시된 메뉴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상위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 간 이동을 수행한다. 또한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하위메뉴 창에서 좌/우 방향키 등이 입력되면, 하위메뉴 창에 표시된 메뉴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상위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 간 이동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위메뉴와 그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서로 다른 창을 통해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직적인 화면 분리를 통해 좁은 화면에서 효과적으로 2 depths 메뉴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위메뉴와 하위메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어느 한 메뉴를 선택해서 다음 depth로의 이동이 보다 편리한 메뉴 이동 경로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Select> 또는 <Back> 이외에는 구체적인 기능이 없었던 소프트키 영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직관적인 소프트키 기능을 삽입함으로써 상위/하위 메뉴 간, 동일 레벨 메뉴 간 이동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1 depth list view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적응적으로 1 depth <-> 2 depths view mode 간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메뉴 창 분리 비율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성 및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25)

  1.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위 메뉴 리스트에서 특정 상위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면, 화면을 분리하는 과정과,
    분리되는 상위 메뉴 창에 상기 상위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분리되는 상기 하위 메뉴 창에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상응하는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화면을 설정된 비율 및 개수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상위 메뉴 창 및 하위 메뉴 창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메뉴 창에 표시되는 하위 메뉴에서 소정 항목 선택 시, 상기 하위 메뉴의 소정 항목에 상응하는 부가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메뉴 화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 메뉴가 선택되면,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 분할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상위메뉴와 하위메뉴를 분리된 창을 통해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창을 통한 상위 메뉴 및 하위 메뉴 제공 방법은,
    상기 상위메뉴를 분리된 상위메뉴 창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상위메뉴에서 선택되는 소정 메뉴 리스트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분리된 하위메뉴 창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창에서 동일 레벨 간 메뉴 이동이 요청되면,
    현재 활성화된 창에서 선택되는 소정 항목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는 상위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를 분리된 하위메뉴 창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창에서 메뉴 레벨 간 메뉴 이동이 요청되면,
    현재 활성화된 창에서 선택된 소정 항목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는 상위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표시하는 하위메뉴 창을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하위메뉴 창에서 초기 설정되는 위치의 하위메뉴 항목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메뉴 창 활성화 후 상기 하위메뉴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항목에 상응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메뉴 창 활성화 후 상기 하위메뉴 내의 동일 레벨 간 이동이 요청되면, 상기 이동되는 하위메뉴 항목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하위메뉴 내의 동일 레벨 간 이동이 아닌 경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은,
    현재 활성화된 상기 하위메뉴에서 상위메뉴로의 이동이 요청되면, 상기 상위메뉴 창을 활성화 하는 과정과,
    현재 활성화된 상기 하위메뉴에서 기본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청되면, 상기 하위메뉴의 메뉴 리스트들을 기본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 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메뉴 창 활성화 후 상기 하위메뉴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되는 하위메뉴 항목에 대한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한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면 상기 하위메뉴를 상위메뉴 창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하위메뉴에 상응하는 다른 하위메뉴 리스트를 하위메뉴 창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기본화면으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소정 메뉴 리스트를 기본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소정 메뉴 리스트에서 소정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되는 소정 메뉴의 하위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하위메뉴가 존재하면 상기 하위메뉴의 메뉴 리스트를 기본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되는 소정 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하위메뉴 창에서 기본화면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청되면 상기 하위메뉴 리스트를 기본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화면상에서 소정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상위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 간 이동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하위메뉴 창에서 소정 방향키가 입 력되면, 하위메뉴 창에 표시된 메뉴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상위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 간 이동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화면보다 표시되는 메뉴 리스트가 큰 경우,
    상기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에 따른 리스트들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화면 크기보다 많은 경우, 화면상의 일측에 메뉴 리스트들이 더 포함되어 방향키 이동에 따라 더 표시될 수 있음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
  18.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메뉴 화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부가기능 요청시 그에 상응하는 소정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식에 따라 소정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화면 형태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형태에 따라 기본 화면 또는 분할 화면에 상응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기본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환 및 설정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설정 신호에 상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형태에 따라 기본 화면 또는 분할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규격에 맞추어 전송하며, 상위 메뉴 및 하위 메뉴를 분할된 형태의 창을 통해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모듈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 및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설정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 입력에 상응하여 분할 화면 또는 기본 화면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입력에 대한 설정 정보를 인식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인식되는 정보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판단 정보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의 변환 및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형태에 상응하는 각 화면상에 사용자 데이터를 동화상, 이미지 및 아이콘 형태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식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각 메뉴 레벨(level) 간 이동, 화면 분리 비율, 화면 분리 수, 각 메뉴들이 연계되는 경로 및 화면 분리 형태에 따른 표시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요청되는 메뉴 형식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되는 메뉴 형식에 상응하여 상위메뉴, 하위메뉴를 각기 분할된 창을 통해 각각 제공하고, 상기 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에 매핑된 사용자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분할된 창을 통해 동시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같은 등급의 메뉴 간 이동, 상위메뉴와 하위메뉴 간 이동 및 해당 메뉴 내의 항목별 이동을 소정의 소프트키, 방향키 또는 기능키에 입력에 상응하여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
KR1020060026349A 2006-03-23 2006-03-23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19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349A KR101192988B1 (ko) 2006-03-23 2006-03-23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349A KR101192988B1 (ko) 2006-03-23 2006-03-23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274A KR20070096274A (ko) 2007-10-02
KR101192988B1 true KR101192988B1 (ko) 2012-10-22

Family

ID=3880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349A KR101192988B1 (ko) 2006-03-23 2006-03-23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560B1 (ko) 2012-02-29 2014-02-18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069322B1 (ko) 2013-06-05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274A (ko)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977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746874B1 (ko)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KR101880656B1 (ko) 모바일단말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16286B1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KR101191816B1 (ko) 확대된 검색 특성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S8799818B2 (en) Content search method and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 search function
EP134905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P2105853A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composite processing of images
KR101633824B1 (ko) 배경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070088029A (ko)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80076390A (ko)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 및방법
CN101909104B (zh) 信息处理方法和用户设备
KR20130090947A (ko)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US20050245281A1 (en) Wireless communicating terminal for providing integrated messag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CN101600021A (zh) 具有利用通话历史的直接拨号功能的移动通信终端和方法
KR101771013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737827B1 (ko) 휴대단말의 콜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JP2007310650A (ja) 情報処理装置
KR2013000471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8271030B2 (en) Method of providing preview im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92988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RU2366106C2 (ru) Обработка сообщений в портативных электронных устройствах
CN113542488B (zh) 采用终端设备控制受控终端的方法、设备和存储介质
US2014000938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toring activity thereof
KR101452700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