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686B1 -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 - Google Patents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686B1
KR101187686B1 KR1020100036795A KR20100036795A KR101187686B1 KR 101187686 B1 KR101187686 B1 KR 101187686B1 KR 1020100036795 A KR1020100036795 A KR 1020100036795A KR 20100036795 A KR20100036795 A KR 20100036795A KR 101187686 B1 KR101187686 B1 KR 10118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drip irrigation
hose body
water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377A (ko
Inventor
조흥열
Original Assignee
조흥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흥열 filed Critical 조흥열
Priority to KR102010003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68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제조가 용이하고 점적관수를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호스본체와, 호스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 {Hose for Drip Irrigation and Drip Irrigation System}
본 발명은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간격으로 심지를 설치하여 점적관수를 효과적으로 행함은 물론, 화분이나 식재상자 등에 식재된 식물로도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적관수는 가는 구멍이 뚫린 관을 땅속에 약간 묻거나 땅 위로 늘여서 작물 포기마다 물방울 형태로 물을 주는 방식으로, 과수와 포기 사이가 넓은 채소 작물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점적관수를 이용하면, 적은 수량으로 관수가 가능해 물과 인력이 절약되고, 적정한 공기를 유지해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며, 토양의 과도한 습도를 방지해 병해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점적관수를 통해 비료를 공급할 수도 있으며, 작물의 품질향상으로 수확량을 높일 수 있어 새로운 농법으로 점적농법이 주목받고 있다.
점적관수를 위하여 사용하는 점적관은 대부분 얇은 판을 겹쳐 놓고 그 사이에 수로를 형성한 1세대 점적기, 톱니형 수로가 난류를 일으켜 막힘을 방지하도록 한 2세대 점적기, 수로 막힘과 수압 손실을 방지한 3세대 점적기, 내부에 고무판막을 댄 4세대 점적기를 거쳐, 현재는 고무판막 2장을 이용해 압력 및 낙수 방지 기능을 갖춘 5세대 점적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5세대 점적기는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점적호스를 사용해 점적기가 물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물이 밀려나오지 않고, 물방울이 낱낱의 형태로 떨어지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땅 속에 묻어도 물이 뿌리에 스며들게 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종래 점적관수를 위한 점적관 또는 점적호스는 점적을 위한 수로의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므로, 제조원가가 많이 들고, 사용시에 수로의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종래 점적관 또는 점적호스는 화분이나 포트 등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운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심지를 설치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점적관수를 효과적으로 행함은 물론, 식물이 식재된 화분이나 식재상자 등에도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점적관수용 호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 간격으로 심지가 설치된 호스본체에 자동으로 물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급수장치를 연결하여 식물이 식재된 화분이나 식재상자 등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점적관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호스본체와, 상기 호스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본체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심지는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튜브체와, 상기 튜브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를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외부로 유도하는 다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점적섬유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체는 외력이 가해지면 형상의 변경되는 연질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에는 180도 서로 반대쪽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날개체를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호스본체는 2개 이상이 복수의 날개체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심지는 상기 호스본체에 1열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호스본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2~5열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심지는 상기 호스본체에 둘레를 따라 지그재그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장치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호스본체와, 상기 호스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와, 상기 호스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으롭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호스본체로 공급하며 급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주급수관과, 상기 호스본체의 물을 배수하며 배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호스본체가 설치된 지역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와, 상기 호스본체가 설치된 지역의 강우여부를 감지하는 강우감지부와, 상기 온도측정부 및 강우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개폐밸브와 배수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에 의하면, 원통형의 호스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심지를 삽입 설치하는 것으로 제조가 완료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므로,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에 의하면, 심지를 구성하는 섬유의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점적이 이루어지므로, 섬유의 밀도나 지름 또는 수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모세관력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용도에 따라 맞춤식으로 제조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에 의하면, 튜브체에 점적섬유체를 관통 삽입하여 심지를 구성하므로, 점적이 이루어지는 수로가 폐쇄될 우려가 없으며,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에 의하면,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 바닥 등에 호스본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상자를 심지가 내부로 관통되도록 호스본체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조경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실내 및 실외의 조경 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시간 및 시공비를 크게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장치에 의하면, 날씨와 온도 등에 따라서 호스본체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물의 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맞춤식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경을 행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조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선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C-C선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조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조경장치에 있어서 도 10에 대응하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조경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조경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에 있어서 커넥터를 사용하여 호스본체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에 있어서 연결블럭과 커넥터를 이용하여 호스본체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조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는 도 17의 조경장치에 있어서 도 10에 대응하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조경장치를 나타내는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하여 구성한 조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장치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다른 예를 연결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장치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또 다른 예를 연결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자가발전부의 일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본체(110)와, 심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본체(110)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호스본체(110)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호스본체(110)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내마모성이 우수(예를 들면 고무호스에 비하여 2.5~5배 정도, 연성 폴리염화비닐호스에 비하여 3~4배 정도 내마모성이 우수함)하고, 가볍고 신축성이 뛰어나며,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내용물의 흐름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호스본체(110)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탄력성과 신축성이 매우 우수하고, 복원력이 좋고 영구 압축률이 낮아 내구성이 우수하며, 잘 찢겨지지 않아 쉽게 손상되지 않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본체(110)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내약품성이 크고, 자외선과 날씨 등에 대한 내후성이 우수하고, 연화점이 높고 내열성이 커서 화재시에 다른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에 비해 안전하다. 또 상기 호스본체(110)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저온에서 신축성이 매우 커서 겨울철에 작업하는 경우에도 부러질 위험성이 낮다.
상기 심지(120)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심지(120)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심지(120)는 튜브체(122)와 점적섬유체(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체(122)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튜브체(122)는 외력이 가해지면 형상의 변경되는 연질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는 상기 튜브체(122)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를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외부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는 다수의 섬유로 구성된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는 실과 같은 섬유 여러 가닥이 일체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튜브체(122)에 삽입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다수의 섬유 가닥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묶음으로 일체화된 상태에서 튜브체(122)에 삽입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재질의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심지(120)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형성되는 심지구멍(112)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의 심지구멍(112) 내경을 상기 심지(120)의 튜브체(122) 외경보다 작게 형성한 다음, 상기 심지(120)의 점적섬유체(124)가 설치된 튜브체(122)를 심지구멍(112)에 강제로 압입하게 되면, 호스본체(110)가 탄성력에 의하여 튜브체(122) 외면을 조이면서 가압하게 되고, 튜브체(122) 및 점적섬유체(124)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호스본체(1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강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연질의 튜브체(122)가 호스본체(11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되면, 점적섬유체(124)와 튜브체(122)가 일체로 밀착되는 상태로 되고, 튜브체(122)의 외면과 호스본체(110)의 심지구멍(112) 내면이 서로 강하게 밀착되어 자연스럽게 누수가 방지되는 수밀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호스본체(11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튜브체(122)에 대한 고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두께를 1mm 이상(바람직하게는 1~10mm)으로 형성하는 것이 튜브체(1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탄성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의 두께를 너무 두껍게 형성하게 되면, 튜브체(122)를 삽입하는 작업이 어렵고, 탄성력(복원력)이 커져서 설치공간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휘면서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성과 시공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체(122)의 외면과 심지구멍(112)의 내면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거나 도포하여 상기 심지(120)를 호스본체(110)에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튜브체(122)와 호스본체(110)를 초음파나 유도가열 등을 이용하여 융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심지(1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에 1열로 배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에 설치되는 심지(120) 사이의 간격은 2~60cm 정도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cm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심지(120)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식물의 식재 간격에 비하여 너무 좁은 공간에서 점적관수가 이루어지므로, 물의 낭비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심지(120)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으면, 식물의 식재 간격에 비하여 너무 넓은 공간에서 점적관수가 이루어지므로, 식물의 생장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나아가 상기 심지(120) 사이의 간격은 식물의 식재 간격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식물을 1m 이상의 간격으로 식재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심지(120) 사이의 간격을 1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심지(120)를 상기 호스본체(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2~5열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상기에서 심지(120)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둘레를 따라 지그재그형태(서로 어긋나는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의 외주면에 180도 서로 반대쪽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날개체(130)를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한다.
상기 날개체(130)는 연속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일정 간격을 두고 단절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 2개 이상이 복수의 날개체(130)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호스본체(110)를 복수의 날개체(130)를 통하여 서로 연결하여 평판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 10개 이상을 날개체(130)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으로 이루어지는 제조공정의 특성상 제조원가의 급격한 상승으로 경제적이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2~6개의 호스본체(110)가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사용하는 가장 간단한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심지(120)를 중심으로 이끼 등의 식물(4)를 호스본체(110)를 덮도록 휘감아서 설치하게 되면, 심지(120)를 통하여 점적관수되는 수분을 흡수하여 이끼 등의 식물(4)이 생장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점적관수농법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의 각 실시예도 지하 또는 지면, 지상 등에 늘여놓고 호스본체(110)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면, 심지(120)를 통하여 식물쪽으로 생장에 필요한 수분이 점적관수 방식으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적용하여 건물의 실내나 실외, 벽면이나 천정, 바닥 등에 대한 조경을 행할 수 있는 조경장치에 적용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에 복수의 식재상자(200)를 결합하는 것으로 조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식재상자(200)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저면의 일부가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에는 상기 호스본체의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심지(120)가 관통 삽입되는 급수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탄내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의 날개체(13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구멍(132)을 형성하고,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재(230)가 상기 체결구멍(132)을 관통하여 걸리는 것에 의하여 식재상자(200)를 호스본체(110)에 설치하여 조경장치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재(230)는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멍(132)을 관통한 다음,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끝부분에 걸림턱(23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30)는 상기 체결구멍(132)에 삽입될 때에 체결구멍(132)을 자연스럽게 확장시키면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끝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 바닥 등에 상기 호스본체(110)를 고정 설치한 다음, 각 심지(120)에 대응하여 식물이 식재된 식재상자(200)를 호스본체(110)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조경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건물의 형태와 조경 디자인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대한 고정을 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어떠한 형태의 조경 디자인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효용성이 매우 크며, 최소한의 구조로 조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나아가 상기 호스본체(110)를 통하여 물을 점적관수 방식으로 식물이 식재된 상기 식재상자(200)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지속적으로 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상태로 수분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호스본체(110)의 양쪽 끝부분 또는 중간부분만을 천정에 고정시킨 상태로 설치하면, 물결형상으로 호스본체(110)가 중간 중간 늘어진 상태로 설치되므로, 상기 식재상자(200)를 호스본체(110)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공중에 늘여지는 형태로 조경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는 호스본체(110)를 커넥터(31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310)에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삽입될 때에 내면에 밀착되면서 누수가 방지되는 수밀구조를 이루도록 하나이상의 수밀돌기(312)를 양쪽에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310)는 중앙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파지돌기(314)를 형성한다.
상기 파지돌기(314)의 외주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요철이나 주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를 십자(+)형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블럭(33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블럭(330)과 호스본체(110)는 상기 커넥터(31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블럭(330)에는 상기 호스본체(110)와 연결되는 유로(332)가 중앙에 십자(+)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도 17 내지 도 19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하는 조경장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호스본체(110)를 2열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식재상자(200)에 형성된 체결구멍(238)과 상기 호스본체(110)에 형성된 체결구멍(132)을 별도로 형성된 체결부재(231)를 관통시켜 상기 식재상자(200)를 호스본체(110)에 일체로 고정하여 조경장치를 구현한다.
상기 체결구멍(132)은 상기 날개체(130)에 상기 식재상자(200)에 형성되는 체결구멍(238)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식재상자(200)는 각 호스본체(110)에 각각 1열씩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식재상자(200)를 2개 이상의 호스본체(110)에 걸쳐지는 크기로 형성하여 하나의 식재상자(200)가 2열 이상의 호스본체(1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재(231)에는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에 내부쪽에서 걸리도록 머리부(232)를 걸림턱(234) 반대쪽 끝면에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날개체(130)에 지면 또는 벽면 등과 접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받침부재(170)와 보호부재(180)를 형성한다.
상기 받침부재(170)는 각 호스본체(110)의 열마다 좌우로 평행하게 배열하여 수직으로 돌출시켜 형성한다. 즉 상기 받침부재(170)는 두께가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받침부재(170)는 각 호스본체(110)의 좌우에 각 호스본체(110)로부터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 보호부재(180)는 상기 호스본체(110)를 보호하도록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즉 상기 보호부재(180)는 모자형상 또는 컵형상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보호부재(180)는 하나의 호스본체(110)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상기 받침부재(170)의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호부재(180)와 상기 호스본체(110)는 연결부재(182)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182)를 통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호스본체(110)와 외부를 감싸는 보호부재(180)를 연결하게 되면, 상기 호스본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호부재(180)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중앙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받침부재(170) 사이의 날개체(130) 부분에는 절곡홈(17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절곡홈(174)을 형성하게 되면, 복수개의 열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호스본체(110)를 서로 연결하는 날개체(130)를 호스본체(110)의 열별로 필요에 따라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지면이나 벽면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설치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날개체(130)에는 건물의 벽면 등에 앵커볼트나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구멍(150)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2에는 상기한 제5실시예의 날개체(130)에 식재상자(200)를 결합하여 조경장치를 구현한 예를 나타낸다.
도 22에 있어서, 좌우양쪽 끝면의 경우 상하에 위치하는 호스본체(110)는 서로 "U"형상으로 연결구(350)를 이용하여 하나의 라인(line)을 이루도록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5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장치는,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에 있어서 상기 호스본체(1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600)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장치(600)는 물공급원(610)과, 주급수관(620)과, 배수관(630)과, 온도측정부(642), 강우감지부(644), 제어부(6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공급원(610)으로는 상기 호스본체(110) 주변에 식재된 식물(잔디, 풀, 꽃, 소형 관목, 교목, 채소, 과일 등)에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나 수도관, 지하수관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6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는 필요에 따라 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영양분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610)을 물탱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호스본체(110)쪽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호스본체(110)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급수관(620)에는 급수개폐밸브(624)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급수관(620)은 상기 물공급원(610)과 상기 호스본체(11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물공급원(610)의 물은 주급수관(620)을 통하여 상기 호스본체(110)로 공급된다.
상기 배수관(630)에는 배수개폐밸브(634)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개폐밸브(634)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630)은 상기 호스본체(110) 종단부(끝부분)에 연결되고 지면이나 하수구 또는 배수구쪽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630)을 통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잔류하는 물이 지면이나 하수구 쪽으로 배출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630)의 배수개폐밸브(634)가 설치되기 이전 지점에서 분기하여 드레인관(69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드레인관(690)은 호스본체(110)의 물을 다시 물공급원(610)쪽으로 환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온도측정부(642)는 상기 호스본체(110)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식물 근처 지역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온도측정부(642)는 온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660)로 측정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디지털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우감지부(644)는 식물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호스본체(110)가 설치된 지역의 강우여부(비가 내리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강우감지부(644)는 강우량계나 강우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온도측정부(642)와 강우감지부(644)는 하나의 기판에 세트로 구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온도측정부(642)와 강우감지부(644)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와 배수개폐밸브(634)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하여 물공급원(610)의 물을 상기 호스본체(110)로 공급하는 물공급상태와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634)를 개방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상태를 상기 온도측정부(642)와 강우감지부(644)로부터의 측정신호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온도(예를 들면 0℃) 미만이면,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634)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은 배수상태로 전환하여 제어부(660)에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공급되는 물은 차단된 상태에서, 호스본체(110)에 잔류하는 물은 배수관(630)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호스본체(110) 내부의 물이 얼어 파손되는 사고(동파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온도(예를 들면 0℃) 이상이면,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634)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 때 상기 물공급원(6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흘러내리는 물(예를 들면 샘물이나 냇물, 강물 등)이어서 계속하여 흘려보내는 것이 가능할 경우에는 배수개폐밸브(634)를 폐쇄상태로 변경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물공급상태로 전환하여 제어부(660)에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물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물이 어는 온도인 0℃를 기준으로 제어부(660)에서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식물이 물을 별로 필요로 하지 않는 낮은 온도(예를 들면 5℃ 또는 10℃, 15℃ 이하)에서는 물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부(66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호스본체(110) 주변에 식재되는 식물이 지속적인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식물(예를 들면 선인장 등)인 경우에는 타이머(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제어부(660)에 연결하여 일정 주기별(예를 들면 시간단위나 일단위, 주단위 등)로 물의 공급과 차단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상기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측정값에 관계없이 상기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비가 오는 날씨에서는 별도로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호스본체(110)로 물을 공급하는 주급수관(620)의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상태로 변경한다.
상기에서 강우감지부(644)로부터 입력된 강우신호에 의하여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개폐밸브(634)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비가 오는 날씨의 경우에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물이 잔류하도록 배수개폐밸브(634)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634)를 개방하여 호스본체(110)의 물을 배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것으로 측정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설정온도 미만으로 온도 측정값이 입력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수상태로 제어를 전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측정값에 따라 제어를 행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상기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다가 비가 오지 않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660)에서 강우감지부(644)의 측정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비가 올 경우에는 호스본체(110)에 물의 공급이 차단되어,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비가 내릴 경우에는 상기 호스본체(110) 주변의 식물이나 토양이 비로부터 충분하게 수분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물의 공급이 필요없다.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 측정값에 따라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30℃ 이상의 고온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최대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충분하게 유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25~30℃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중간에서 최대 사이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중간으로 유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15~25℃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최소에서 중간 사이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소량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수압을 작게 유지하면, 상기 호스본체(110)가 매설된 지역 주변의 식물이 토양으로부터 수분을 빨아들이는 정도에 따라서 호스본체(110)의 물이 소비되면서 이에 따라 물의 공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660)에 있어서 정상적인 물공급상태는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상기 호스본체(110)가 매설된 지역 주변의 식물에 의하여 소비되는 물의 양에 따라 단속적 또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는 물공급상태에서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최소에서 최대 사이에서 물의 소비량에 따라서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방과 폐쇄를 일정 주기(시간대별, 일단위별, 주단위별, 월단위별)마다 반복 행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날씨나 온도, 식물의 종류 등에 따라서 맞춤형으로 물의 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부(66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급수장치(600)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공급원(610)과 주급수관(620) 사이에 펌프(67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펌프(670)를 설치하게 되면 물공급원(610)의 높이(예를 들면 물탱크의 높이)를 상기 호스본체(110)의 높이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펌프(670)의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660)에서 작동여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 펌프(67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 펌프(670)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펌프(67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가 개방상태로 변경되어도 펌프(67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의 공급이 제한적이므로, 펌프(670)의 작동여부를 상기 제어부(660)에서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급수장치(600)는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광이나 태양열, 풍력, 수력 등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여 상기 제어부(660)와 펌프(67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65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자가발전부(650)를 설치하게 되면, 장기간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자동제어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지역이나 지점에서도 효과적으로 상기 호스본체(110)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로변에 설치되는 광고판이나 구조물의 벽면에 호스본체(11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자연력에 의한 발전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효과적으로 조경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가발전부(650)는 태양전지모듈(652)과, 상기 태양전지모듈(6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지(654)와, 상기 축전지(6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6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태양전지모듈(652)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태양광 발전을 위하여 사용되는 태양전지모듈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태양전지모듈(652)은 태양광의 조사가 용이하도록 기둥을 이용하여 소정의 높이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상기 인버터(656)는 상기 축전지(654)의 12~24V직류전압을 220V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펌프(670)가 교류전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인버터(65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버터(656)는 펌프(67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660) 등과 연결된다.
상기에서 펌프(670)를 직류펌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버터(656)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 자가발전부(650)는 필요에 따라 안정적으로 일정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안정화장치 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자가발전부(65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펌프(670)와 제어부(660) 이외에 유량제어밸브, 조명장치 등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자가발전부(650)를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태양전지모듈(652)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소형 풍력발전시스템을 적용하여 자가발전부(65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태양광 및 풍력을 함께 이용하도록 2가지 시스템을 함께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점적관수용 호스, 110 - 호스본체, 112 - 심지구멍, 120 - 심지
122- 튜브체, 124 - 점적섬유체, 130 - 날개체, 132 - 체결구멍
150 - 고정구멍, 170 - 받침부재, 174 - 절곡홈, 180 - 보호부재
182 - 연결부재, 200 - 식재상자, 210 - 결합홈, 212 - 급수구멍
214 - 걸림돌기, 222 - 통기구멍, 230 - 체결부재, 231 - 체결부재
232 - 머리부, 234 - 걸림턱, 242 - 손잡이홈, 250 - 보강돌기
252 - 뿌리지지구멍, 260 - 지지끈, 310 - 커넥터, 312 - 수밀돌기
314 - 파지돌기, 330 - 연결블럭, 332 - 유로, 600 - 급수장치
610 - 물공급원, 620 - 주급수관, 624 - 급수개폐밸브, 630 - 배수관
634 - 배수개폐밸브, 642 - 온도측정부, 644 - 강우감지부
650 - 자가발전부, 652 - 태양전지모듈, 654 - 축전지, 656 - 인버터
660 - 제어부, 670 - 펌프, 690 - 드레인관

Claims (20)

  1.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고무 중에서 선택하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호스본체와, 상기 호스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는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튜브체와, 상기 튜브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를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외부로 유도하는 다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점적섬유체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체는 외력이 가해지면 형상의 변경되는 연질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에는 180도 서로 반대쪽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날개체를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호스본체는 2개 이상이 복수의 날개체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날개체에 받침부재와 보호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각 호스본체의 열마다 각 호스본체의 좌우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하여 상기 날개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시켜 두께가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하나의 호스본체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상기 받침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호스본체를 보호하도록 감싸는 모자형상 또는 컵형상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호스본체는 연결부재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점적관수용 호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호스본체의 좌우에 형성됨에 따라 근접된 위치에 형성되는 받침부재 사이의 날개체 부분에는 절곡홈을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날개체에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상자의 체결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점적관수용 호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호스본체에 1~5열로 배열하여 설치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호스본체에 둘레를 따라 지그재그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본체에는 상기 심지가 관통 삽입되는 심지구멍이 형성되는 점적관수용 호스.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본체는 1~10mm의 두께로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본체에는 심지 사이의 간격을 2~60cm 범위에서 설정하여 설치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호스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호스본체에 삽입될 때에 내면에 밀착되면서 누수가 방지되는 수밀구조를 이루도록 하나이상의 수밀돌기를 양쪽에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호스본체를 십자(+)형상으로 연결하며 상기 호스본체와 연결되는 유로가 중앙에 십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블럭을 더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17.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고무 중에서 선택하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호스본체와, 상기 호스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와, 상기 호스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는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튜브체와, 상기 튜브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를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외부로 유도하는 다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점적섬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으롭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호스본체로 공급하며 급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주급수관과, 상기 호스본체의 물을 배수하며 배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호스본체가 설치된 지역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와, 상기 호스본체가 설치된 지역의 강우여부를 감지하는 강우감지부와, 상기 온도측정부 및 강우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개폐밸브와 배수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장치.
  18. 삭제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물공급원과 주급수관 사이에 펌프를 설치하는 점적관수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태양광이나 태양열, 풍력, 수력 중에서 선택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여 상기 제어부와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점적관수장치.
KR1020100036795A 2010-04-21 2010-04-21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 KR10118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95A KR101187686B1 (ko) 2010-04-21 2010-04-21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95A KR101187686B1 (ko) 2010-04-21 2010-04-21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377A KR20110117377A (ko) 2011-10-27
KR101187686B1 true KR101187686B1 (ko) 2012-10-05

Family

ID=4503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795A KR101187686B1 (ko) 2010-04-21 2010-04-21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836A (ko) 2020-06-11 2021-12-20 주식회사 흙지움 점적관수용 이중호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959B1 (ko) * 2012-12-18 2019-11-28 레인보우스케이프 주식회사 식물생육 증진을 위한 점적 관수장치
CN108713478A (zh) * 2018-06-07 2018-10-30 安徽国川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农业滴灌渗透装置
CN110476784A (zh) * 2019-09-03 2019-11-22 广州大学 一种防堵塞的滴灌管
CN110476783A (zh) * 2019-09-03 2019-11-22 广州大学 一种防堵塞的滴灌装置
CN115176674B (zh) * 2022-07-22 2023-09-19 三峡大学 一种磷石膏基复合材料自洗滴灌灌水器及制备和冲洗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214Y1 (ko) 2001-05-16 2001-10-15 박순학 작물의 수분공급용 급수관
JP2001286227A (ja) * 2000-04-05 2001-10-16 Aichi Pref Gov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潅水方法
JP2008503225A (ja) * 2004-06-25 2008-02-07 センシティブ フロー システム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潅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227A (ja) * 2000-04-05 2001-10-16 Aichi Pref Gov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潅水方法
KR200241214Y1 (ko) 2001-05-16 2001-10-15 박순학 작물의 수분공급용 급수관
JP2008503225A (ja) * 2004-06-25 2008-02-07 センシティブ フロー システム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潅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836A (ko) 2020-06-11 2021-12-20 주식회사 흙지움 점적관수용 이중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377A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205B2 (en)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fabricate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CN107182620B (zh) 滴灌式农业大棚***及大棚种植方法
KR101187686B1 (ko)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
AU2008282046B2 (en) Watering mat for the large-area distribution of water
US7647724B2 (en) Irrigation mat and method of use
KR101187688B1 (ko)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KR101187689B1 (ko) 지면 녹화장치
US20070062114A1 (en) Pot-in-pot growing system for plants
CN205865357U (zh) 一种用于温室大棚的雨水灌溉装置
CN106258837A (zh) 一种自动浇水***
CN205052408U (zh) 一种全程毛细管输水渗灌装置
CN209134931U (zh) 一种节水型生态屋顶绿化***
KR101187687B1 (ko)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한 조경장치
JP5970675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JP2011172522A (ja) 温室の遮光装置
CN206866199U (zh) 外镶式圆柱滴灌管及农业大棚***
WO2007106527A2 (en) An improved enclosed water absorbent synthetic plant growth medium
JP5187752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二重管ユニット
CN211322415U (zh) 一种盆栽滴灌滴头
NL2003277C2 (en) A WATER IRRIGATION SYSTEM.
CN215563521U (zh) 一种基于海绵城市建筑的绿色墙面
WO2023093600A1 (zh) 种子无土生长诱导结构和植生卷
CN208317399U (zh) 一种边坡灌溉装置
CN206776282U (zh) 外镶式滴喷双效滴灌管及农业大棚***
US20140000159A1 (en) Cascade water supply structure of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