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825B1 -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825B1
KR101186825B1 KR1020120025876A KR20120025876A KR101186825B1 KR 101186825 B1 KR101186825 B1 KR 101186825B1 KR 1020120025876 A KR1020120025876 A KR 1020120025876A KR 20120025876 A KR20120025876 A KR 20120025876A KR 101186825 B1 KR101186825 B1 KR 10118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e
concrete
present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일구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일구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일구조
Priority to KR102012002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에 수평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에 돌출되어 보의 전단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리브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에 리브가 상당한 높이로 돌출되는 구조여서 보의 바닥으로 부터 일정 높이 이상. 즉 리브 높이에 의해 구멍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리브에는 결속끈의 결속과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강화를 위해 다수 개의 통공이 천공되어 있어 미리 거푸집에 배근된 철근 위에 올려 놓고 결속선으로 묶기만 하면 고정되는 구조여서 작업이 용이하고, 결속상태가 견고하여 콘크리트 타설 이후에도 파이프의 높이와 위치변형이 거의 없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외주 면에 다수개의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보에 생기는 구멍 때문에 취약해진 보의 전단내력을 리브에 의해 보강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Reinforcement apparatus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with a hole}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존 건축물에 비해 별도의 건축비를 들이지 않고 보다 높은 층고를 얻을 수 있도록 콘크리트 보에 각종 전기, 공조, 위생설비용 배관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에 의해 보가 취약해 지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전단변형에 강한 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에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천정이 형성되며, 상기 천정, 즉 슬라브를 가로로 지탱하기 위해서는 보가 형성된다. 상기 보는 기둥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넓은 면적의 슬라브가 처지지 않고 지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A)에 전선이나 배관, 천정패널 등이 설치되어 지는데 상기 전선이나 배관(D), 천정패널(E) 등은 모두 슬라브(A)를 가로지르는 보(a)를 피해서 설치되어야 하므로 모든 설치물들이 결국 보(a)의 아래를 지나가게 되고 이로 인해 건물의 층고(H)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패널(E)이 보(a)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할 수만 있어도 건물의 층고(h)는 현저히 낮출수 있을 것이고, 이처럼 각 층마다 낮아지는 층고가 30cm만 되더라도 기존 열 개 층 높이라면 거의 한 개 층을 더 지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종래의 보(a)에 수평의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을 통해 전선이나 배관(D)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기술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구멍이 형성된 보를 유공(有孔)보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공보는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 대개 합성수지관이나 강관(鋼管) 등을 거푸집에 설치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합성수지관은 압축강도가 취약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압력에 의하여 형태가 변형되는 단점을 가지며, 원통형 강관의 경우는 표면이 매끄러워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떨어지고, 철근 위에 배설함에 있어 결속선으로 결속하여 고정시켜야 하는데 직경이 크고 결속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 강관을 결속선으로 묶어 배근된 철근에 고정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유공보의 구멍은 보의 바닥으로 부터 일정 높이 이상 형성되어 져야 하고 좌우방향도 일정 위치에 설치되어져야 하는데 일반적인 강관의 외주면에는 아무런 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결국 강관의 높이와 좌우방향의 위치를 철근의 배근에 의해 조절하여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심지어 강관은 높이와 좌우위치를 조절하여 결속선으로 묶어 강관을 고정하였다 하더라도 강관의 외주면을 결속선을 두르는 경우 강관의 표면이 매끄러워 결속력이 취약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강관의 높이와 방향이 틀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콘크리트가 타설되었다고 하더라도 강관의 표면이 매끄러워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등의 단점을 갖는다.
특히 유공보의 경우는 보(a)에 구멍이 형성된 만큼 보(a)에 가해지는 전단변형을 보강해 주어야 하는데 단순한 플라스틱관 또는 강관으로는 이와 같은 전단변형을 전혀 보강할 수 없는 구조여서 건물이 취약해지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보에 수평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에 돌출되어 보의 전단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리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이프가 원형 또는 각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브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브의 중앙에 파이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브에 결속선과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고,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향상을 위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통공(通孔)이 천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에 리브가 상당한 높이로 돌출되는 구조여서 보의 바닥으로 부터 일정 높이 이상. 즉 리브 높이에 의해 구멍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리브에는 결속끈의 결속과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강화를 위해 다수 개의 통공이 천공되어 있어 미리 거푸집에 배근된 철근 위에 올려 놓고 결속선으로 묶기만 하면 고정되는 구조여서 작업이 용이하고, 결속상태가 견고하여 콘크리트 타설 이후에도 파이프의 높이와 위치변형이 거의 없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외주 면에 다수개의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보에 생기는 구멍 때문에 취약해진 보의 전단내력을 리브에 의해 보강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사용상태 참고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공보 보강장치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공보 보강장치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공보 보강장치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공보 보강장치의 제 4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공보 보강장치의 제 5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공보 보강장치의 제 6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20)는 보(a)에 수평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20a)와, 상기 파이프(20a)의 외주 면에 돌출되어 보(a)의 전단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리브(30,31,31a)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20a)가 원형 또는 각형(角形) 어느 것이나 무방하나 상기 파이프(20a)는 리브(30,31,31a)의 중앙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브(30,31,31a)는 원형 또는 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전단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직사각형이고, 이때 상기 리브(30,31,31a)의 돌출높이, 즉 파이프(20a)에서 리브 가장자리까지의 길이는 전단변형을 감안할 때 파이프(20a) 직경의 1/3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상기 리브(30,31,31a)의 갯수는 많을수록 콘크리트 보(a)와의 부착력이 강화되고 전단내력이 보강되나, 일반적인 보의 두께와 경제성 등을 감안할 때 2~3개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브(30,31,31a)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통공(40,41)이 천공되도록 구성되어 지는데, 너무 많을 경우에는 리브의 전단변형 방지 능력이 떨어지게 되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보다 견고한 결속, 또 철근 배근 위치 등을 감안할 때 일정한 간격으로 4개에서 12개 정도 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공(40,41)은 가급적 리브(30,31,31a)의 가장자리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속선(미도시)과 배근된 철근과의 결속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결속선의 낭비도 방지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 발명 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20)는 보의 전단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합성수지관 및 기타 재질의 관을 사용하여도 전단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재질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공보 보강장치를 콘크리트 보에 설치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유공보 보강장치(20)를 거푸집에 배근된 철근 위에 얹는다. 다음 상기 유공보 보강장치(20)가 콘크리트 타설시 위치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선으로 리브(30)에 천공된 다수개의 통공(40)에 삽입하여 배근된 철근에 견고하게 결속하여 고정한다. 결속이 완료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타설된 콘크리트는 다수개의 통공(40)을 통과하면서 양생되며, 이로 인해 본 발명 유공보 보강장치(20)와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매우 견고해진다.
즉 본 발명 유공보 보강장치(20)의 외주면 양단에 형성된 리브(30)에 의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좌우 방향의 위치조절이 용이하며, 통공(40)을 통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증대되어 보(a)와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결국 리브(30)는 파이프(20a)의 휨 또는 뒤틀림 등을 방지하여 콘크리트 보(a)의 전단 내력을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양생 되면 본 발명 유공보 보강장치(20)의 파이프(20a)에 의해 보(a)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지고, 상기 구멍을 통해 보(a)를 관통하는 각종 배관 및 전선, 공조설비 등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20: 본 발명 유공보 보강장치
20a: 파이프
30: 원형 리브 31: 사각형 리브
31a: 직사각형 리브
40, 41. 통공
A: 슬라브 a: 보
B: 배관 행거(hanger) C: 천정패널 행거
D: 전선 및 배관 E: 천정패널
H: 기존 건축물의 층고 h : 본 발명이 적용된 건축물의 층고

Claims (5)

  1. 보에 수평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에 돌출되어 보의 전단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리브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파이프 외측에 파이프 직경의 1/3 높이로 돌출되되 파이프 양단부보다 안쪽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보의 안쪽에 매몰되도록 하고, 상기 리브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통공이 천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25876A 2012-03-14 2012-03-14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 KR10118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876A KR101186825B1 (ko) 2012-03-14 2012-03-14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876A KR101186825B1 (ko) 2012-03-14 2012-03-14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825B1 true KR101186825B1 (ko) 2012-09-28

Family

ID=4711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876A KR101186825B1 (ko) 2012-03-14 2012-03-14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8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599A (ko) 2018-02-14 2019-08-22 한국토지주택공사 유공보용 강성보강 장치
KR102399043B1 (ko) * 2021-12-08 2022-05-19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매립형 중공부거푸집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거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599A (ko) 2018-02-14 2019-08-22 한국토지주택공사 유공보용 강성보강 장치
KR102399043B1 (ko) * 2021-12-08 2022-05-19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매립형 중공부거푸집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468B2 (en) Insulation roof or floor panels with deformation resistant elements for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roof or floor system and such system
KR101672924B1 (ko) 고강도 강판을 이용한 내화용 보강 판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21630B1 (ko) 전단보강 하프 피씨 슬래브 구조체 및 시공방법
CA2678452C (en) Device for anchoring concrete to an insulating panel and form employing the device
KR101355926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와플형 슬래브 거푸집 어셈블리
JP2014095256A (ja) リブ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と、それを用いた合成床スラブと梁のコンクリート打ち分け方法
KR101186825B1 (ko)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
KR101614722B1 (ko) 피씨 복합화 건축물용 플랫 리브드 슬래브
KR100689963B1 (ko) 스페이서
JP2009102909A (ja) 埋込金物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100608097B1 (ko) 건축물 기둥 보강 구조
KR102148250B1 (ko) 수평형 압축 보강재 삽입형 하이브리드 단열판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
KR20210068270A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JP2023022183A (ja)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と鉄筋コンクリートスラブとの接合構造
KR20180101678A (ko)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KR20100090553A (ko) 멀티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160012670A (ko) 철근연결구 및 이의 콘크리트 매입 시공방법
KR102304567B1 (ko) 측방연결수단을 이용한 파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시공방법
JP5691050B2 (ja) クラック誘発目地材
KR20170118349A (ko) 지하층 외벽 시공의 벽체 거푸집용 데크
JP2022508577A (ja) インターロック式構造ブロック用の一体型構造フレーム、インターロック式構造ブロック、ならびにインターロック式構造ブロックのシステム
KR100859543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200390661Y1 (ko) 전기박스 주변의 슬래브 균열 방지용 보강망
KR20200098226A (ko) I형 스틸밴드 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JP6232190B2 (ja) 目地構成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