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212B1 -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 Google Patents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212B1
KR101185212B1 KR1020090009672A KR20090009672A KR101185212B1 KR 101185212 B1 KR101185212 B1 KR 101185212B1 KR 1020090009672 A KR1020090009672 A KR 1020090009672A KR 20090009672 A KR20090009672 A KR 20090009672A KR 101185212 B1 KR101185212 B1 KR 101185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washing
discharg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414A (ko
Inventor
민들레
신성용
김영진
조민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212B1/ko
Priority to PCT/KR2009/003390 priority patent/WO2010090379A1/en
Priority to EP09839746.6A priority patent/EP2393572B1/en
Priority to US13/147,702 priority patent/US9096446B2/en
Priority to CN200980156358.0A priority patent/CN102307641B/zh
Publication of KR2010009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2Directing the mixture to be filtered on to the filters in a manner to clean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01D65/027Cleaning of other parts of the apparatus than the membr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는, 수원(水原)에서 도입된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을 저장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취출하는 취출부; 및 상기 수조부의 세척 및 헹굼 동작을 순차로 제어하는 세정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정수기의 세정 및 헹굼 작업이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코디의 방문 없이도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정수기의 세정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코디의 입장에서도 정수기의 세정 작업 시간이 줄어들게 되며, 작업 강도가 약해져 업무효율성이 상승하게 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정수기, 세척유닛, 헹굼유닛

Description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WATER PURIF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기의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수기의 내부 구성에 축적된 오염물을 제거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 등 유해요소를 여과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와 유사한 물품으로 이온수기 등이 있다.
이러한 정수기의 구성은, 크게 오염물질이 포함된 원수(原水)에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지난 정수(淨水)를 저장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정수를 취출시키는 취출부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에 있어서, 사용시간 또는 사용량에 따라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며, 정수기 내부 구성품, 특히 물이 지나거나 저장되는 구성품에는 물때, 오염물질 등이 쌓이게 되어 소비자가 음용하는 물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수기의 청소는 정기적으로 정수기 구매자의 가정 또 는 업체 등을 방문하여 필터교체뿐만 아니라 정수기 구성품의 청소를 해주는 사람(소위, '코디'라 함)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종래 코디에 의한 정수기 세정 방법은, 세정 약품을 상기 수조부에 투여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수조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종료된다.
또한, 수조부에 잔류하는 약품 성분 제거는, 코디가 소비자에게 수조부의 물을 공급하여 한번 비우고 사용할 것을 고지하여 소비자에 의해 행해지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정수기 세정은 코디의 숙련도에 따라 세정 정도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비자가 의한 약품 성분 제거를 위해 수조부에 물을 공급하였다가 배출시키는 헹굼 작업 역시 소비자의 숙련도에 따라 헹굼 작업 후에도 정수된 물에서 약품 냄새가 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세정 약품이 수조부에 투여되므로 복수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필터연결부에 쌓인 오염물질, 물때 등은 제거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세정 작용 완료 여부를 일정 시간 경과 여부 또는 코디의 직관에 의해 판단하게 되는데 이 경우 코디는 시계를 항상 살펴야 하거나, 직관에 의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세정 정도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코디가 고지한 헹굼 작업을 소비자가 무시하고 바로 정수기를 사용하는 경우, 세정 약품 냄새가 나는 물을 마시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에게 서비스 불만족 및 제품 불만족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세정 약품에 의한 청소 작업 및 헹굼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청소 작업 및 헹굼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대기과정을 없애고 약품투입 과정의 불편함이 제거된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는, 수원(水原)에서 도입된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을 저장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취출하는 취출부; 및 상기 수조부의 세척 및 헹굼 동작을 순차로 제어하는 세정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유닛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잔수를 배출하고, 세척 약품의 투입을 제어하는 개시유닛; 상기 수조부에 세척수의 공급/저장/배출을 순차로 제어하는 세척유닛; 상기 수조부에 헹굼수의 공급/저장/배출을 순차로 제어하는 헹굼유닛; 및 상기 잔수, 세척수 및 헹굼수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수조부 또는 상기 취출부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외부로 잔수,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배출 가이드부; 및 상기 배출 가이드부를 선택 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취출부의 취출구 말단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배출 배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개시유닛은, 상기 수조부에 잔류하는 잔수를 배출시키는 잔수 배출 유닛; 및 상기 수조부에 세척 약품 투입을 제어하는 약품 투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잔수 배출 유닛은, 잔수의 유무를 감지하는 잔수 감지부; 잔수 배출 신호를 발생시켜 잔수 배출을 개시시키는 잔수 배출 버튼부; 및 잔수 존재시 상기 잔수 배출 버튼부를 활성화시키며, 잔수 배출 완료시 상기 약품 투입 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는 잔수 배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잔수 배출 유닛은, 소리로 잔수 배출을 지시하는 잔수 배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약품 투입 유닛은, 상기 수조부에 세척 약품 투입을 지시하는 투입 지시부; 및 세척 약품의 투입을 감지하여 상기 세척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는 약품 투입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약품 투입 제어부는, 상기 수조부에 구비된 무게 감지 센서에 의해 세척 약품 투입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약품 투입 제어부는, 세척 약품 투입 완료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투입 완료 입력부를 통해 세척 약품 투입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세척수 수위 감지부; 및 세척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시까지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며, 기설정된 수위 도달 후 기설정된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세척수를 배출시키고,세척수 배출 완료시 상기 헹굼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는 세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수위 감지부는, 리드 레벨 센서(reed level sensor), 저항센서, 압전소자, 초음파센서, 전극센서, 적외선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수위 감지부는, 상기 수조부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세척수의 공급시간을 감지하여 수위를 계산하는 수위 계산부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헹굼유닛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헹굼수 수위 감지부; 및 헹굼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시까지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며, 기설정된 수위 도달 후 기설정된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헹굼수를 배출시키는 헹굼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헹굼유닛은, 상기 헹굼수에 포함되는 세척 약품의 함유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헹굼 제어부는, 상기 농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가 될 때까지 헹굼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제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필터와 상기 필터가 결합되는 필터 결합부가 마련되는 필터 헤드와 상기 필터 헤드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공급/배출되는 물을 가이드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약품 투입은, 세척 약품이 저장된 세척 약품 용기를 필터와 대체하여 상기 필터 결합부에 결합시켜 이루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필터 결합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세척 약품 용기가 결합되는 않는 필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를 서로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 약품 용기는, 상기 수원으로부터 최초로 물이 도입되는 필터 결합부에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의하면, 정수기의 세 정 및 헹굼 작업이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코디의 방문 없이도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정수기의 세정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코디의 입장에서도 정수기의 세정 작업 시간이 줄어들게 되며, 작업 강도가 약해져 업무효율성이 상승하게 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정수기의 세정 작업이 수시로 행해질 수 있으므로, 약품의 저장된 용기의 단품 판매가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업체의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발명 사상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리 명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발명 사상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정면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수조부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필터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수배관도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3)에 구비되는 필터부(20), 수조부(30), 취출부(40) 및 세정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3)는 일반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스(13)는 내부에 필터부(20), 수조부(30) 및 세정유닛(100) 등이 구비되며, 상기 수조부(30)와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3)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취출부(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3)의 전면에는 상기 정수기(10)의 작동 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입력유닛(51)과 상기 정수기(1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유닛(5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유닛(51)은 버튼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상태표시유닛(53)은 7-세그먼트(segment)형식, LCD(liquid crystal display)형식,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3)의 내부 일 측에는 상기 정수기(10)의 내부 각 구성과 신호 전달을 통해 그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합 제어부(110)는 제어 회로가 구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0)는, 수도수, 저장통 등과 같은 수원(水原)(11)에서 도입된 물(이하, 원수(原水)라 함)를 정수(淨水)로 정화하는 장치이다.
상기 필터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21)와, 상기 필터(21)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필터 체결부(23)가 마련된 필터 헤드(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 헤드(27)에는 상기 필터(21)로 원수가 공급되게 가이드하며 상 기 필터(21)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상기 수조부(30)로 가이드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21)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유로(25)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21) 및 상기 수원(11)과 상기 수조부(30)를 직렬로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필터부(2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21)와 상기 필터(21)의 입구를 상기 수원(11)에 연결시키고 상기 필터(21)의 출구를 상기 수조부(30)에 연결시키는 배관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필터(21)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중공사막 필터(ultra filtration filter), 나노필터(nano-filtration fil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디먼트 필터는 부직포가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프리카본 필터는 계면 활성탄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 등을 여과한다.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는 0.001㎛ 정도의 미세한 입자를 여과한다.
상기 포스트 카본필터는 프리카본 필터의 계면 활성탄보다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색소와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 중공사막 필터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실 모양의 막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세균을 여과한다.
한편, 상기 수원(11)과 상기 필터부(20)를 연결하는 배관에는, 상기 필터부(20)로 공급되어 상기 필터(21)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오염물질은 미리 제거하는 프리필터(26)와 상기 필터부(20)로의 원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원수공급밸브(24)와 프리필터(26)의 상태 및 프리필터(26)의 교체시기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20)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부(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수공급밸브(24)는, 수동으로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 콕 밸브(cock valve) 등으로 마련되거나, 자동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조부(30)는, 상기 필터부(20)에 의해 정화된 정수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저장탱크(31)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31)에는 저장된 정수가 소정의 양이 되면 부력에 의해 정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플로트 밸브(float valve)(3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부(30)는 상기 저장탱크(31) 외에 상기 저장탱크(31)와 각각 연통되게 구비되는 냉수조(33)와 온수조(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3)는 상기 저장탱크(31)의 하부에 상기 저장탱크(31)와 일체로 또는 결합되어 서로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두 공간을 구획하되 상기 저장탱크(31)에 저장된 정수가 공급되도록 정수공급홀(32a)이 형성된 구획판(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5)는 상기 저장탱크(31)와 별개로 마련되며, 상기 저장탱크(31)와 연통되게 마련되며 상기 구획판(32)으로부터 연장된 정수 공급관(36)을 통해 정수를 공급받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 공급관(36)에는 상기 온수조(35)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제어하는 온수량 제어밸브(36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수조(33)에 저장되는 냉수의 양은 상기 플로트 밸브(34)플로트 밸브(34) 온수조(35)에 저장되는 온수의 양은 상기 온수량 제어밸브(36a)에 의해 조절되게 된다.
상기 냉수조(33)의 외부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냉각을 위한 열교환기(33b)(예를 들어, 증발기 등)가 감겨져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온수조(35)의 외부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가열을 위한 히터(35b)가 감겨져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열교환율의 향상을 위해 상기 열교환기(33b)와 상기 히터(35b)가 상기 냉수조(33)와 상기 온수조(35)의 내부에 마련될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냉수조(33)와 온수조(35)에는 각각 그에 저장된 냉수와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3a,35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33b) 및 히터(35b)의 동작은 상기 온도센서(33a,35a)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기준으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수조(35)를 상기 저장탱크(31) 및 냉수조(33)와 별개로 마련하는 이유는, 상기 히터(35b)에 의한 열이 상기 냉수조(33) 또는 저장탱크(31)에 영향을 주어 상기 냉수조(33)의 냉각 효율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저장탱크(31)에 저장된 정수에 오염물질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냉수조(33)의 냉각 효율 저하 방지를 위해 상기 저장탱크(31) 및 냉수조(33)와 상기 온수조(35) 사이에 대류에 의한 열교환이 방지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취출부(40)는, 상기 냉수조(33)와 온수조(35)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3)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연장되는 냉수 배관(33c)과 온수 배관(35c), 상기 냉수 배관(33c)과 온수 배관(35c)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 밸브(43,45), 상기 개폐 밸브(43,45)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버부(37)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밸브(43,45)는, 콕 등과 기구적으로 동작하는 밸브 또는 전기적인 입력을 받아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정유닛(100)은, 외부로부터 세정작업 시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조부(30)의 세척작업과 헹굼작업을 순서대로 연속하여 제어한다.
상기 세정유닛(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정수기에 적용된 세정유닛의 구성 및 기능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정유닛(100)은 세정작업을 준비하는 개시유닛(130), 세척 약품을 이용하는 세척을 수행하는 세척유닛(150), 세척 약품을 제거시키는 헹굼유닛(170) 및 세정작업 중 발생되는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유닛(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시유닛(130)은, 외부로부터 세정 작업의 개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조부(30)에 저장된 물(잔수)을 배출하여 제거시키고, 상기 수조부(30)에 세척 약품이 투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시유닛(130)은, 잔수를 유무를 감지하여 이를 배출시키는 잔수 배출 유닛(120)과 약품 투입을 외부로 지시하고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약품 투입 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유닛(150)은, 상기 수조부(30)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세척 약품이 용해된 세척수의 양 즉, 상기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물의 공급을 차단시키며,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세척수를 상기 수조부(30)에 정체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세척유닛(150)은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세척수 수위 감지부(154), 상기 수조부(30)로의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밸브부(156), 상기 수조부(30) 내에 세척수가 정체하는 시간을 감지하는 시간감지부(1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헹굼유닛(170)은, 상기 세척과정에서 미처 용해되지 않은 세척 약품 및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수조부(30)의 벽 등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조부(30)에 상기 필터부(20)를 통과한 물(헹굼수)을 공급하되, 그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되면 상기 헹굼수의 공급을 차단시키고, 상기 헹굼수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수조부(30)에 정체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헹굼유닛(170)은, 상기 세척유닛(150)과 유사하게, 헹굼수 수위 감지부(174), 밸브부(176), 시간감지부(1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개시유닛(130)의 각 구성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개시유닛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보인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시유닛(1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잔수 배출 유닛(120)과 약품 투입 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잔수 배출 유닛(120)은, 잔수의 유무를 감지하는 잔수 감지부(124), 잔수 배출 신호를 발생시켜 잔수 배출을 개시시키는 잔수 배출 버튼부(126), 잔수 존재시 상기 잔수 배출 버튼부(126)를 활성화시키며, 잔수 배출 완료시 상기 약품 투입 유닛(140)에 신호를 전달하는 잔수 배출 제어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잔수 감지부(124)는, 상기 수조부(30), 자세하게는 상기 저장탱크(31), 냉수조(33), 온수조(35)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류 또는 상기 수조부(3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면에 수분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류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 예로, 상기 수조부(30)의 내면 일 측에 구비되어 부력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으로 수위를 감지하는 리드 레벨 센서(reed level sensor), 저항의 변화량을 이용하는 저항센서, 하중에 의한 변형시 발생 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하는 압전소자, 초음파센서, 전극센서, 적외선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잔수 감지부(124)는 후술하는 세척수 수위 감지부(154)와 헹굼 수 수위 감지부(174)와 달리 수위의 감지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므로 별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비용의 절감을 위해 수위 감지가 가능한 하나의 센서만을 구비하여 상기 잔수 감지부(124), 상기 세척수 수위 감지부(154) 및 상기 헹굼수 수위 감지부(174)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잔수 배출 버튼부(126)는, 상기 잔수 감지부(124)에 의해 잔수의 존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잔수 배출 제어부(122)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상기 배출유닛(190)을 동작시키는 배출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잔수 배출 버튼부(126)는, 상기 정수기(10)의 작동 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입력유닛(51)으로 마련되는 버튼 중의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잔수 배출 유닛(120)은 잔수 배출 완료 여부를 외부로 알리는 잔수 배출 알림부(1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잔수 배출 알림부(128)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외부에 알릴 수 있게 마련되며, 시각적인 방법으로는, 상기 케이스(13)의 전면에 구비된 상기 상태표시유닛(53)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청각적인 방법으로는 상기 케이스(13)의 일 측에 스피커 등 소리 발생 장치(128a)를 구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잔수 배출 알림부(128)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상기 잔수 배출 제어부(122)에 의해 상기 약품 투입 유닛(140)이 순차적으로 동작되나, 상기 잔수 배출 알림부(128)에 의해 잔수 배출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세정작업이 정상적으로 작동됨을 코디, 소비자 등이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감성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약품 투입 유닛(140)은, 상기 수조부(30)에 세척 약품 투입을 지시하는 투입 지시부(144), 세척 약품의 투입을 감지하여 상기 세척유닛(150)에 약품 투입 완료 신호를 전달하는 약품 투입 제어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 지시부(144)는, 상기 약품 투입 제어부(142)에 의해 동작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약품 투입 제어부(142)가 상기 잔수 배출 제어부(122)로부터 잔수 배출 완료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투입 지시부(144)를 통해 상기 정수기(10)의 외부로 세척 약품의 투입을 지시하게 된다.
상기 투입 지시부(144)는 앞서 설명한 상기 잔수 배출 알림부(128)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3)에 구비된 소리 발생 장치(128a) 또는 상기 상태표시유닛(5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상기 상태표시유닛(53) 또는 상기 소리 발생 장치(128a)가 상기 잔수 배출 알림부(128) 뿐만 아니라 상기 투입 지시부(144)로도 기능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품 투입 제어부(142)는, 상기 수조부(30)의 일 측에 구비된 무게 감지 센서에 의해 약품의 투입 여부 및 투입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세척유닛(150)에 약품 투입 완료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약품 투입 제어부(142)는, 세척 약품 투입 완료를 외부(코디, 소비자 등)에서 입력받아 상기 세척유닛(150)으로 약품 투입 완료 신호를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척 약품 투입 완료를 외부에서 입력받는 투입 완료 입력부(146) 가 마련된다. 상기 투입 완료 입력부(146)는 상기 잔수 배출 버튼부(126)와 같이 상기 정수기(10)의 작동 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입력유닛(51)으로 마련되는 버튼 중의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세척유닛(150)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 세척유닛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보인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세척유닛(150)은, 세척 약품이 용해된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세척수 수위 감지부(154)와 상기 세척유닛(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세척 제어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 수위 감지부(154)는, 앞서 설명한 잔수 감지부(124)로도 기능될 수 있도록, 리드 레벨 센서(reed level sensor), 저항센서, 압전소자, 초음파센서, 전극센서, 적외선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세척수 수위 감지부(154)는, 상기 수조부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와 그 공급시간을 감지하여 수위를 계산하는 수위 계산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는 상기 수조부(30)를 구성하는 저장탱크(31), 냉수조(33), 온수조(35) 중 상기 저장탱크(31)로 물을 공급하는 배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 제어부(152)는 세척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시까지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며, 기설정된 수위 도달 후 기설정된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세척수를 배출시키고, 세척수 배출 완료시 상기 헹굼유닛(170)에 세척 완료 신호를 전달하도록 제어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물의 공급 및 차단은 상기 수조부(30)로 물을 공급하는 배관에 밸브 장치로 마련되는 밸브부(156)를 구비하여 이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며, 이와 달리, 상기 원수공급밸브(24)의 제어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세척 작용을 위한 세척수의 정체 시간은 상기 밸브부(156)가 차단된 이후 의 시간 경과를 감지하는 시간 감지부(158)를 구비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척수 배출 완료 여부는, 상기 잔수 감지부(124) 또는 상기 세척수 수위 감지부(154)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헹굼유닛(170)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5에 있어서 헹굼유닛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보인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헹굼유닛(170)은, 상기 수조부(30)에 저장되는 물(헹굼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헹굼수 수위 감지부(174), 헹굼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시까지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며, 기설정된 수위 도달 후 기설정된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헹굼수를 배출시키는 헹굼 제어부(172)를 포함한다.
상기 헹굼수 수위 감지부(174)와 상기 헹굼 제어부(172)의 구성 및 동작은 앞서 설명한 세척수 수위 감지부(154)와 세척 제어부(152)와 대동소이하므로,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헹굼유닛(170)은, 상기 헹굼수에 포함되는 세척 약품의 함유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부(1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척 약품은 염소(Cl)계 물질이므로, 상기 농도감지부(179)는, 세척 과정에서 발생되는 염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농도감지부(179)는, 상기 배출유닛(190)에 구비되며 상기 헹굼 제어부(172)가 상기농도감지부(179)에 의해 감지된 농도를 기준으로 상기 헹굼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경우 상기 헹굼 제어부(172)는, 상기 농도감지부(179)에 의해 감지된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가 될 때까지 헹굼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상기 농도감지부(179)는 상기 정수기와 분리된 농동 감지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헹굼 동작 완료 후 소비자, 코디 등에 의해 수동으로 염소의 농도를 확인하게 되며, 이에 의해 세정 동작 완료 후 소비자가 염소 냄새가 나는 물을 마시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도 9는 도 5에서 배출유닛의 일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배출유닛의 일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유닛(190)은, 상기 수조부(30) 또는 상기 취출부(40)에 연통되어 외부로 잔수,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배출 가이드부(192)와, 상기 배출 가이드부(19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194)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가이드부(192)는, 그 일 단이 상기 수조부(30), 특히 냉수조(33) 및 온수조(35)의 내부와 연통되게 마련되거나, 상기 취출부(40)의 냉수 배관(33c)과 온수 배관(35c)의 내부와 연통되게 마련되며, 타 단은 상기 케이스(13)의 외부 소정의 위치(196)(예를 들어, 가정의 싱크대, 하수구 등)로 연결되는 배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94)는 상기 배출 가이드부(192)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잔수 배출 제어부(122), 세척 제어부(152), 헹굼 제어부(172)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어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유닛(190)은, 상기 냉수 배관(33c)과 온수 배관(35c) 말단 즉, 취출부(40)의 취출구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배출배관(192a)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배관의 연결은 소비자, 코디 등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지며 세정작업의 시작 전 또는 잔수 배출 전에 이루어지게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잔수 배출 전에 소리 발생 장치(128a) 또는 상태표시유닛(53)을 통해 외부에 지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배관(192a)을 통해 잔수, 세척수, 헹굼수의 배출 제어는 상기 냉수 배관(33c)과 온수 배관(35c)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43,45)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잔수 배출 제어부(122), 약품 투입 제어부(142), 세척 제어부(152), 헹굼 제어부(172)는 상기 통합 제어부(11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기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개시유닛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보인 블럭도이고, 도 12은 도 11에서 세척 약품 용기와 바이패스 캡이 체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13 및 도 14은 도 11에서 세척 약품 용기의 다른 체결 예를 도식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10)에 있어서, 상기 세정유닛(200)은 개시유닛(230), 세척유닛(250), 헹굼유닛(270)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유닛(250) 및 상기 헹굼유닛(270)의 구성 및 동작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상기 개시유닛(230)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개시유닛(230)은, 잔수 배출 유닛(220)과 약품 투입 유닛(240)을 포함한다.
상기 잔수 배출 유닛(220)은, 잔수의 유무를 감지하는 잔수 감지부(224), 잔수 배출 신호를 발생시켜 잔수 배출을 개시시키는 잔수 배출 버튼부(226), 잔수 존재시 상기 잔수 배출 버튼부(226)를 활성화시키며, 잔수 배출 완료시 상기 약품 투입 유닛(240)에 신호를 전달하는 잔수 배출 제어부(222)를 포함한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갈음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품 투입 유닛(240)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상기 수조부(30)에 세척 약품 투입을 지시하는 투입 지시부(244), 세척 약품의 투입을 감지하여 상기 세척유닛(250)에 약품 투입 완료 신호를 전달하는 약품 투입 제어부(242) 외에 세척 약품이 저장된 세척 약품 용기(241)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 약품의 투입은 상기 세척 약품 용기(241)를 상기 필터 결합부(23)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완료된다.
이 경우, 세척 약품 투입 완료 여부는 외부(코디, 소비자 등)에서 입력받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즉, 세척 약품 투입 완료를 외부에서 입력받는 투입 완료 입력부(24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투입 완료 입력부(246)는 상기 잔수 배출 버튼부(226)와 같이 상기 정수기(10)의 작동 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입력유닛(51)으로 마련되는 버튼 중의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투입 지시부(244)에 의해 약품 투입이 지시되면 소비자, 코디 등에 의해 상기 세척 약품 용기(241)가 상기 필터(21)와 대체되며, 상기 투입 완료 입력부(246)를 통해 상기 약품 투입 제어부(242)에 투입 완료 신호가 전달된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21)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세척 약품 용기(241)가 결합되는 않는 필터 결합부(23)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25)를 서로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캡(243)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척 약품 용기(241)는 상기 수원(11)으로부터 최초로 물이 도입 되는 필터 결합부(23)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세척 약품 용기(241)에 공급된 물에 세척 약품이 용해된 세척수가 상기 필터 헤드(27)의 모든 유로(25)를 통하여 상기 수조부(30)에 공급되므로 상기 유로(25)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세척 약품 용기(241)가 상기 필터 헤드(27)에 결합되는 다른 예를 볼 수 있다.
먼저, 기존에 체결된 필터(21) 중 하나를 상기 세척 약품 용기(241)로 대체하여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척 약품이 용해된 세척수가 필터(21)로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수조부(30)로 물의 공급방향으로 가장 뒤쪽에 위치되는 필터(21)를 상기 세척 약품 용기(241)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기존에 체결된 필터(21)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필터 헤드(27)의 유로에 상기 세척 약품 용기(241)의 입구와 출구가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기존의 필터(21)를 지나 수조부(30)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세척 약품 용기(241)의 입구로 유입되게 바이패스되어 세척수가 상기 수조부(30)로 공급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발명 사상에 대한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정면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수조부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필터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수배관도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5는 도 1의 정수기에 적용된 세정유닛의 구성 및 기능을 보인 블럭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 개시유닛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보인 블럭도,
도 7은 도 5에 있어서 세척유닛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보인 블럭도,
도 8은 도 5에 있어서 헹굼유닛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보인 블럭도,
도 9는 도 5에서 배출유닛의 일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배출유닛의 일 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개시유닛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보인 블럭도,
도 12는 도 11에서 세척 약품 용기와 바이패스 캡이 체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도 11에서 세척 약품 용기의 다른 체결 예를 도식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Claims (19)

  1. 수원(水原)에서 도입된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을 저장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취출하는 취출부; 및
    상기 수조부의 세척 및 헹굼 동작을 순차로 제어하는 세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유닛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잔수를 배출하고, 세척 약품의 투입을 제어하는 개시유닛;
    상기 수조부에 세척수의 공급/저장/배출을 순차로 제어하는 세척유닛;
    상기 수조부에 헹굼수의 공급/저장/배출을 순차로 제어하는 헹굼유닛; 및
    상기 잔수, 세척수 및 헹굼수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세척수 수위 감지부; 및
    세척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시까지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며, 기설정된 수위 도달 후 기설정된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세척수를 배출시키고,세척수 배출 완료시 상기 헹굼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는 세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헹굼유닛은,
    상기 헹굼수에 포함되는 세척 약품의 함유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수조부 또는 상기 취출부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외부로 잔수,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배출 가이드부; 및
    상기 배출 가이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취출부의 취출구 말단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배출 배관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유닛은,
    상기 수조부에 잔류하는 잔수를 배출시키는 잔수 배출 유닛; 및
    상기 수조부에 세척 약품 투입을 제어하는 약품 투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배출 유닛은,
    잔수의 유무를 감지하는 잔수 감지부;
    잔수 배출 신호를 발생시켜 잔수 배출을 개시시키는 잔수 배출 버튼부; 및
    잔수 존재시 상기 잔수 배출 버튼부를 활성화시키며, 잔수 배출 완료시 상기 약품 투입 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는 잔수 배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배출 유닛은, 소리로 잔수 배출을 지시하는 잔수 배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투입 유닛은,
    상기 수조부에 세척 약품 투입을 지시하는 투입 지시부; 및
    세척 약품의 투입을 감지하여 상기 세척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는 약품 투입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투입 제어부는,
    상기 수조부에 구비된 무게 감지 센서에 의해 세척 약품 투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투입 제어부는,
    세척 약품 투입 완료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투입 완료 입력부를 통해 세척 약품 투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수위 감지부는,
    리드 레벨 센서(reed level sensor), 저항센서, 압전소자, 초음파센서, 전극센서, 적외선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수위 감지부는,
    상기 수조부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세척수의 공급시간을 감지하여 수위를 계산하는 수위 계산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14.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유닛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헹굼수 수위 감지부; 및
    헹굼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시까지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며, 기설정된 수위 도달 후 기설정된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헹굼수를 배출시키는 헹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제어부는,
    상기 농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가 될 때까지 헹굼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필터와 상기 필터가 결합되는 필터 결합부가 마련되는 필터 헤드와 상기 필터 헤드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공급/배출되는 물을 가이드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약품 투입은, 세척 약품이 저장된 세척 약품 용기를 필터와 대체하여 상기 필터 결합부에 결합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필터 결합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세척 약품 용기가 결합되는 않는 필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를 서로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약품 용기는,
    상기 수원으로부터 최초로 물이 도입되는 필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KR1020090009672A 2009-02-06 2009-02-06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KR101185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672A KR101185212B1 (ko) 2009-02-06 2009-02-06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PCT/KR2009/003390 WO2010090379A1 (en) 2009-02-06 2009-06-24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EP09839746.6A EP2393572B1 (en) 2009-02-06 2009-06-24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US13/147,702 US9096446B2 (en) 2009-02-06 2009-06-24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CN200980156358.0A CN102307641B (zh) 2009-02-06 2009-06-24 具有清洁***的净水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672A KR101185212B1 (ko) 2009-02-06 2009-02-06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130A Division KR101364024B1 (ko) 2011-08-02 2011-08-02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414A KR20100090414A (ko) 2010-08-16
KR101185212B1 true KR101185212B1 (ko) 2012-09-26

Family

ID=4254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672A KR101185212B1 (ko) 2009-02-06 2009-02-06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96446B2 (ko)
EP (1) EP2393572B1 (ko)
KR (1) KR101185212B1 (ko)
CN (1) CN102307641B (ko)
WO (1) WO2010090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1498B2 (en) * 2012-11-12 2016-08-23 Pal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ing a filter assembly
US9656197B2 (en) * 2012-11-12 2017-05-23 Pal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ing a filter assembly
DE102016005271B4 (de) 2016-04-29 2019-10-02 Mann+Hummel Gmbh Ablass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 Filtersystem sowie Filtersystem mit einer Ablasssteuerungsvorrichtung
DE102016005270B4 (de) 2016-04-29 2019-09-05 Mann+Hummel Gmbh Ablass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 Filtersystem sowie Filtersystem mit einer Ablasssteuerungsvorrichtung
CN106984093A (zh) * 2017-06-02 2017-07-28 江苏元升厨卫电器有限公司 自清洗超声波***
CN108726754B (zh) * 2018-07-23 2023-07-25 戴鹏 一种河道净水机
US20200047125A1 (en) * 2018-08-13 2020-02-13 Pani Energy Inc. Flui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643A (ja) 1999-03-05 2000-09-19 Mitsubishi Rayon Eng Co Ltd 浄水システムおよび浄水システムの洗浄方法
KR100531667B1 (ko) * 2005-05-31 2005-11-29 이근섭 저수조를 자동으로 살균할 수있는 정수기 및 그 정수기의살균방법
KR100843153B1 (ko) 2007-09-11 2008-07-03 유인수 중앙정수시스템
KR100843154B1 (ko) * 2007-09-11 2008-07-03 유인수 중앙정수시스템 및 그 청소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2447A (en) * 1994-04-29 1998-03-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ntinuous recirculation fluid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0125215Y1 (ko) * 1995-10-27 1999-02-01 이영서 정수기용 냉수탱크의 세척장치
JPH11207333A (ja) * 1998-01-23 1999-08-03 Twinbird Corp 浄水装置
JP3635934B2 (ja) * 1998-08-17 2005-04-06 松下電工株式会社 浄水装置の洗浄方法
US6267886B1 (en) * 2000-02-20 2001-07-31 Brandreth, Iii John B. Uni-directional flow chemical dispenser
TW536424B (en) * 2001-09-05 2003-06-11 Mitsubishi Rayon Co Water-clean cartridge, water-cleaner, and washing method of water-cleaner
KR20030042133A (ko) * 2001-11-21 2003-05-2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침지형 분리막의 세정방법 및 그 장치
NL1024787C2 (nl) * 2003-11-14 2005-05-18 Sara Lee De Nv Samenstel van een waterverschaffingsinrichting en een reinigingssysteem voor het reinigen van de waterverschaffingsinrichting, een dergelijk reinigingssysteem en een werkwijze voor het reinigen van een waterverschaffingsinrichting.
KR20080039356A (ko) * 2008-03-20 2008-05-07 이진국 실외에서 유지관리 가능한 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643A (ja) 1999-03-05 2000-09-19 Mitsubishi Rayon Eng Co Ltd 浄水システムおよび浄水システムの洗浄方法
KR100531667B1 (ko) * 2005-05-31 2005-11-29 이근섭 저수조를 자동으로 살균할 수있는 정수기 및 그 정수기의살균방법
KR100843153B1 (ko) 2007-09-11 2008-07-03 유인수 중앙정수시스템
KR100843154B1 (ko) * 2007-09-11 2008-07-03 유인수 중앙정수시스템 및 그 청소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414A (ko) 2010-08-16
US9096446B2 (en) 2015-08-04
CN102307641A (zh) 2012-01-04
WO2010090379A1 (en) 2010-08-12
CN102307641B (zh) 2015-01-07
EP2393572A1 (en) 2011-12-14
EP2393572B1 (en) 2016-08-31
EP2393572A4 (en) 2014-11-12
US20110290706A1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212B1 (ko)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CN102448574B (zh) 用于水处理设备的清洗装置及其清洗方法
KR20120047141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1185272B1 (ko) 정수기의 세정방법
KR20130099563A (ko) 직수식 정수장치 및 직수식 정수장치의 디스케일 방법
CN105776685B (zh) ***
KR101364024B1 (ko)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KR101358225B1 (ko) 정수기의 세정방법
KR101612815B1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KR101164160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KR101164161B1 (ko)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KR101335813B1 (ko)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647646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KR20140040455A (ko) 필터 어셈블리 및 필터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KR101576832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KR101803674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101907736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101510629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KR101510630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KR20110056160A (ko) 정수기 및 이 정수기의 자동 살균 방법
KR101164162B1 (ko)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KR20160041877A (ko)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
KR20130080111A (ko)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KR101304818B1 (ko) 정수기 살균장치
KR20130096521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