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137B1 -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137B1
KR101185137B1 KR1020100031788A KR20100031788A KR101185137B1 KR 101185137 B1 KR101185137 B1 KR 101185137B1 KR 1020100031788 A KR1020100031788 A KR 1020100031788A KR 20100031788 A KR20100031788 A KR 20100031788A KR 101185137 B1 KR101185137 B1 KR 10118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obesity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diabe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632A (ko
Inventor
임정한
이홍금
김일찬
홍순규
김덕규
이유경
이성구
한세종
이형석
이영미
오현철
조동규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11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9Liche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남극 지의류인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 및 lobaric acid 등 상기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과,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에서 분리된 lobaric acid 등의 화합물은 단백질 타이로신 포스파타제 1B의 저해활성이 뛰어나며, 동물모델에 적용시에도 우수한 항당뇨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바, 당뇨병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Containing Compounds Derived from Stereocaulon alpinum}
본 발명은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남극 지의류인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 및 lobaric acid 등 상기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과,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지의류는 고등 식물과 다른 독특한 이차대사 산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Ingolfsdottir, K., Phytochemistry, 61:729, 2002), 이들 지의류가 생산하는 이차 대사산물은 대부분 뎁시드(depside), 뎁시돈(depsidone) 및 디벤즈푸란(dibenzfurane)에 속하고, 이러한 화합물들은 지의류의 낮은 성장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Kumar, K.C.S. et al ., J. Nat . Prod., 62:817, 1999; Huneck, S., Naturwissenschaften, 86:559, 1999). 또한, 항생제, 항마이코박테리아, 항바이러스, 진통 효과 및 해열작용 등을 포함하는 지의류 대사산물의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이 스크리닝 과정에 의해 확인되었다 (Ingolfsdottir, K., Phytochemistry, 61:729, 2002; Kumar, K.C.S. et al ., J. Nat . Prod., 62:817, 1999). 따라서, 지의류의 대사산물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당뇨병은 인슐린 작용, 인슐린 분비 또는 이러한 두 가지 모두의 결함으로 발생하는 고혈당을 비롯한 대사장애 증후군으로 장래 혈관합병증 가능성이 높은 질환으로, 크게 1형 당뇨병과 2형 당뇨병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1형(인슐린 의존성)당뇨병은 면역에 의한 췌도의 베타세포 파괴와 이에 따른 인슐린의 절대적 부족이 원인이며, 제2형(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은 인슐린이 분비되기는 하지만, 양이 충분하지 않거나 우리 몸이 분비되는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몸의 세포가 효과적인 작용을 못하는 '인슐린 내성 (Insulin resistance)'이라는 상태에서는, 몸속의 에너지원 특히 당분의 이용이 잘 되지 않아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하게 되며, 사용되지 못한 당분은 혈액 중에 필요 이상으로 많이 쌓여 결국은 소변으로 배출되는 질환으로서 근본적인 치유가 되지 않는 만성퇴행성 질환 중의 하나이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와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은 2007년 말에는 전 세계 당뇨병 환자가 약 2억 4600만 명이 될 것이며,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도 해마다 점차 증가하고 있어 당뇨병의 발병예방, 엄격한 혈당 조절과 합병증의 예방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대한당뇨병학회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2003년에 전체 당뇨병 환자가 401만 명이었으며, 2030년에는 당뇨병 환자가 720만 명에 이르러 국민 7명당 1명이 될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특히 급격한 의료비 증가는 당뇨병 환자 수의 폭발적 증가와 더불어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의 지속적 증가, 당뇨병 환자의 평균수명 증가와도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급속한 경제 발전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로 평균수명은 연장되는 것에 반하여 당뇨병 등의 만성퇴행성질환은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당뇨병의 특징은 제2형 당뇨병이 99%이상을 차지하며, 제1형 당뇨병의 발병 확률이 약 1% 이하로, 외국에서 보고된 제2형 당뇨병이 90% 정도이고, 10%정도의 제1형 당뇨병인 것과는 다르다. 당뇨병의 발병 원인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져 있으며 중요한 요인으로는 유전(가족력이 약 20%)과 환경, 나이(40-49세 사이 약 60% 내외), 비만, 신체의 저항력 저하, 약물남용, 그리고 스트레스에 의한 자극 등이 있다. 당뇨병의 발병 기전은 아직 상세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몇 가지 특별한 당뇨병(예 MODY 등)을 제외하고는 다유전자적인 원인으로 발병되는 질환으로 일관성 있는 연관 유전자를 찾기에 한계성이 있다. 즉, 당뇨병의 발병은 여러 가지 유전자들이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현재도 많은 수의 새로운 유전자들이 계속 밝혀지고 있다.
당뇨병은 다양한 발병 기전에 의하여 발병되므로 그 치료법 또한 다양할 수밖에 없으며, 더구나 기존의 고식적인 치료법만으로 만족할 만한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도 많기에 새로운 치료법이 요구된다. 당뇨병 치료제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90%이상을 차지하는 제 2형 당뇨병 치료제를 중심으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표 1, 2).
국내 당뇨병 관련 의약품 개발 현황
회사명 개발테마명 개발단계 비고
삼진제약(주) 천연물로쿠터 당뇨병 치료제 개발 전임상 신약개발
배아줄기 세포로부터 췌장 베타세포로의 분화 탐색 신약개발
SK 주식회사 Diabetes 응용 신약개발
(주)유유 YYGG 탐색 신약개발
(주)유한양행 바이오칩 응용 개량, 진단
(주)종근당 유전자 재조합 사람 인슐린 Phases Ⅲ 개량신약
네오마릴정 제품출시 개량신약
한미약품(주) HM 80200 개발진행 원료의약품
자료 : 2004-백서 의약품 산업,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4, 12
인슐린분비 촉진물질 (pirogliride, linogliride, 2,4-디아미니노-5-시안-브로모리피딘, incretin, repaglinide, nateglinide), 인슐린 작용증강제 (troglitazone),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표적조직에서 인슐린 유사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 (pirogliride, linogliride, dichloroacetate, insulin lispro, insulin aspart), 포도당신합성 억제제 (지방분해억제제, 카르니틴 전이효소 억제제, 베타산화억제제), 탄수화물 흡수를 지연시키는 약제 (식이성 섬유, 알파글루코시테이즈 억제제), amylin 유사체 (pramlintide)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현재 시판되고 있으나, 상당수가 아직도 인체에 사용하기에는 미흡한 실험단계에 있거나 독성 검사단계에 있다. 특히, 생체리듬을 고려한 속효성 인슐린 분비촉진제와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는 당뇨병 치료수단에서 유효한 방법 중의 하나가 될 것이며, 향후 이러한 약제 개방이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제까지의 당뇨병 병인에 관한 연구는 인슐린 저항성의 원인이 인슐린 수용체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지난 10여 년간 연구를 계속해 왔으며, 현재는 인슐린의 신호전달 체계 쪽으로 연구방향이 전환되고 있다.
당뇨병 치료제 신약 개발현황
작용기전 임상단계 선두기업
L P
α-Glucosidase inhibitor 3 1 Bayer, Takeda, Chong Kun Dang
Insulin agonist 13 5 11 4 27 Chiron, Eli Lilly, IDEAZymo-Genet ics, Aventis, Novo Nordisk, Akzo Nobel, Biobras, Alkermes, Merk KGaA
Glucagon like peptide-1 agonist 1 4 1 4 Amylin, Eli Lilly, Novo Nordisk, Restoragen, Zealand Pharmaceuticals
β3-Adrenoreceptor agonist 1 2 1 Dainippon, Asahi Kasei, GlaxoSmithKline
Dipeptidyl peptide Ⅳinhibitor 2 1 Bristol-Myers Squibb, Novati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α agonist 2 2 6 Novatis, Kyorin, BMS, GlaxoSmithKlin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1B inhibitor 1 7 Wyeth, ISIS Pharmaceutical
Leptin stimulator 1 1 Amgen, Tularik
Melanocortin-4 agonist 1 Neurocrine Biosciences
AMPKstimulant 2 2 1 1 Andrx, Merck KGaA, Flamel Technologie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agonist 3 4 9 GlaxoSmithKline, Samchundang, BMS, Japan Tabacco, Dr Reddy's, Kyorin
자료 : 보건산업기술동향, "당뇨병 치료제의 최근 연구동향", 2003.
비만형 (obese type)및 비비만형 (non-obese type) 제 2형 당뇨병을 갖는 사람의 지방세포에 있는 PTP-1B의 활성을 검사한 결과, 정상군과 비교하여 단백질의 발현은 각각 3배, 5.5배로 증가하고, 활성은 71%, 88%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최근 protein tyrosine phosphatase-1B (PTP1B)를 knock-out시킨 마우스를 통하여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와 고지방식에 대한 저항성을 보인다는 실험결과가 보고되었다. 아울러, 최근 발표된 다수의 연구에 위하면 PTP-1B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이 표적세포에서 인슐린의 감수성의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한국화합물 은행에서 아직 약물로 개발되지 않은 수만 개의 화합물로부터 PTP1B 활성 저해제 개발을 위하여 무작위로 대량 스크리닝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렙틴(Leptin)은 지방세포에서 혈중으로 방출되어 뇌혈액막을 통과한 후 중추 신경계내의 수용체에서 작용하며, 음식물의 섭취를 억제하고, 체중을 감소시키며 에너지 소비를 촉진한다. 이에 PTP1B가 렙틴활성 자체를 조절한다는 새로운 발견이 나오면서 PTP1B가 렙틴 효능제와 함께 사용할 때 상승적 작용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Koren, S., Best Pract . Res . Clin . Endocrinol . Metab ., 21:621, 2007).
따라서, 비만 및 비만형 당뇨의 치료개발에 있어서 PTP-1B에 대한 억제제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HTS (hight throughput screening)를 통하여 발견된 선도물질에 대한 보고가 있다. 현재까지 PTP-1B에 대한 연구와 그 저해제의 개발은 임상적으로 성공한 예는 없으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많은 연구단체와 기업에서 관심을 가지고 진행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발 중인 PTP-1B 억제제
기전 의약품명 개발회사 단계 기타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 Ertiprotafib Wyeth phase Ⅱ Benzenepropanoic acid (discontinued)
SIS-113718 ISIS Pharmaace uticals preclinical 2nd-generation antisense PTP-1B inhibitor
OC-86839 Ontogen preclinical selective non-peptide inhibitor of PTP-1B
PTP1B inhibitor Abbott preclinical phosphatase-1B inhibitor
PTP1B inhibitor Array BioPharma preclinical PTP-1B inhibitor
PTP1B inhibitor Structural Bioinformatics preclinical orally-active selective PTP-1B inhibitor
PTP1B inhibitor Kaken Pharmaceutical preclinical orally-active PTPase inhibitor
자료 : Pharmaproject, 2002
그러나, 대부분의 PTP1B의 억제제는 양전하로 충진된 PTP1B의 활성 부위를 타겟으로 하는 비가수분해성 포스포티로신 모방체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선택성과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Liu, S. et al ., J. Am . Chem . Soc ., 130:17075, 2008).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당뇨병 및 비만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남극 지의류인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이 효과적으로 PTP1B를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고,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로부터 PTP1B 저해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분리하고 그 구조를 규명한 다음, 질환모델동물 투여시 항당뇨효과를 보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22116524-pat00001
여기서,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의 알킬, OH 및 H3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
[화학식 2]
Figure 112010022116524-pat00002
(여기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의 알킬, OH, COOH 및 H3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
[화학식 3]
Figure 112010022116524-pat00003
(여기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의 알킬, OH 및 H3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 8 또는 9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화합물 8]
Figure 112010022116524-pat00004
[화합물 9]
Figure 112010022116524-pat00005
본 발명은 또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합물 1~4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을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b) (a)단계에서 수득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메탄올 수용액에서 용출하는 단계; 및
(c) (b)단계에서 용출된 분획물을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아세토니트릴(CH3CN) 수용액으로 용출시켜 화합물 1~4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화합물 1]
Figure 112010022116524-pat00006
[화합물 2]
Figure 112010022116524-pat00007
[화합물 3]
Figure 112010022116524-pat00008
[화합물 4]
Figure 112010022116524-pat00009
본 발명은 또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합물 8 또는 9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화합물 1을 함유하는 메탄올 용액에 trimethylsilyldiazomethane(TMSCHN2)을 함유하는 hexane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b) 반-분취 역상(semi-preparative reverse-phase)HPLC에 주입한 후, 메탄올(MeOH)수용액을 농도 그래디언트를 주면서 용출시켜 화합물 8 또는 9를 함유하는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화합물 8]
Figure 112010022116524-pat00010
[화합물 9]
Figure 112010022116524-pat00011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합물 2~3 또는 8~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합물 2]
Figure 112010022116524-pat00012
[화합물 3]
Figure 112010022116524-pat00013
[화합물 8]
Figure 112010022116524-pat00014
[화합물 9]
Figure 112010022116524-pat00015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은 단백질 타이로신 포스파타제 1B의 저해활성이 뛰어나, 당뇨병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
도 1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비선형 회귀분석 그래프 및 Lineweaver-Burke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비선형 회귀분석 그래프 및 Lineweaver-Burke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화합물 1 (Lobaric acid)의 양에 따른 PTP-1B의 kinetics를 조사한 결과그래프로, Vmax (A) 및 Km (B)를 나타낸다.
도 4는 PTP1B에 화합물 1 (Lobaric acid)을 처리한 후, 인슐린 수용체의 인산화 정도를 웨스턴 블랏을 통해 검증한 것이다.
도 5는 화합물 1 (Lobaric acid) 처리에 따른 Glut 4 및 Glut 2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화합물 1 (Lobaric acid) 복강 투여 후 혈당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화합물 1 (Lobaric acid) 복강 투여에 따른 6시간 공복 후 혈당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화합물 1 (Lobaric acid) 처리에 따른 몸무게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화합물 1 (Lobaric acid)을 투여하지 않은 군 (A)과, 화합물 1을 27일간 매일투여한 군 (B)에 대하여 혈당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의 추출물이 뛰어난 PTP1B의 활성 억제능을 가지고 있어,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지의류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Hedw.) G.L. Sm.)은 2003년 1월 남극 킹조지섬의 세종기지(S 62°13.3', W58°47.0') 주위의 바튼 반도(Barton Peninsular)에서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용매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은 건조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을 24시간 동안 메탄올로 추출한 후, 용매를 증류시켜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추출물은 실리카겔(C18)이 충진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 5×25㎝)에 로딩하고, 10%, 20%, 30%, 40%, 50%, 60%, 70%, 80%, 90% 및 100%(v/v) 메탄올(MeOH)을 순차적으로 주입시키고,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하여, PTP1B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획물 중 PTP1B 억제 활성이 뛰어난 분획을 선택하여 PTP1B 억제 활성이 뛰어난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22116524-pat00016
(여기서,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의 알킬, OH 및 H3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
[화학식 2]
(여기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의 알킬, OH, COOH 및 H3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
[화학식 3]
Figure 112010022116524-pat00018
(여기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의 알킬, OH 및 H3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바람직한 예는 R1 및 R2가 OH이고, R3가 H3CO인 화합물 1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 1]
Figure 112010022116524-pat00019
.
상기 화합물 1은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수득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메탄올 수용액에서 용출하고, 용출된 분획물을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아세토니트릴(CH3CN) 수용액으로 용출시켜 수득할 수 있으며, lobaric acid로 알려진 화합물이다.
상기 lobaric acid는 항마이코박테리아 및 5- and 12- lipoxygenases의 억제 활성(Ingolfsdottir, K. et al., Eur , J. Pharm . Sci . 6:141, 1998; Bucar, F. et al., Phytomedicine, 11:602, 2004)이 알려진 바 있으나, PTP1B의 억제 활성도에 관해서는 보고된 적이 없으며, 당뇨 및 비만 치료 효능도 보고된 바가 없으며, 본 발명에서 lobaric acid의 PTP1B의 억제 활성을 처음으로 밝힌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바람직한 예는 R1이 H이고, R2는 OH이며, R3및 R4가 H3CO인 화합물 2 및 R1이 COOH이고, R2는 OH이며, R3및 R4가 H3CO인 화합물 3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 2]
Figure 112010022116524-pat00020
.
[화합물 3]
Figure 112010022116524-pat00021
.
상기 화합물 2와 3은 상기 화합물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의 바람직한 예는 R1이 H3CO이고, R2는 OH인 화합물 4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 4]
Figure 112010022116524-pat00022
.
상기 화합물 4는 상기 화합물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 4는 atranorin으로 알려진 화합물로서, 항진균 활성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나(Athukoralage, P. S. et al ., Fitoterapia, 72:565, 2001), PTP1B의 억제 활성도에 관해서는 보고된 적이 없으며, 당뇨 및 비만 치료 효능도 보고된 바가 없어, 본 발명에서 atranorin의 PTP1B의 억제 활성을 처음으로 밝힌 것이다.
한편, 하기 화합물 8과 9는 화합물 1을 함유하는 메탄올 용액에 trimethylsilyldiazomethane(TMSCHN2)을 함유하는 hexane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반-분취 역상(semi-preparative reverse-phase)HPLC에 주입한 후, 메탄올(MeOH)수용액을 농도 그래디언트를 주면서 용출시켜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8]
Figure 112010022116524-pat00023
[화합물 9]
Figure 112010022116524-pat00024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합물 8은 화합물 1의 COOH기를 메틸 에스테르기로 치환하여 제조한 물질이고, 화합물 9는 화합물 8의 페놀링의 OH기를 메톡시기로 치환하여 제조한 물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합물 8 및 9가 PTP1B 억제제로 알려진 울소르산(Ursolic acid)와 대비하여서도 더 우수하거나 유사한 정도의 PTP1B 억제 활성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하기 화합물 8 또는 9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하기 화합물 8 또는 9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하기 화합물 8 또는 9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화합물 8]
Figure 112010022116524-pat00025
[화합물 9]
Figure 112010022116524-pat00026
본 발명에서 분리된 하기 화합물 2, 3, 8 및 9는 신규한 화합물로서, 이에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하기 화합물 2, 3, 8 및 9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합물 2]
Figure 112010022116524-pat00027
[화합물 3]
Figure 112010022116524-pat00028
[화합물 8]
Figure 112010022116524-pat00029
[화합물 9]
Figure 112010022116524-pat00030
본 발명에 있어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의 메탄올 추출물(90%이상의 억제 정도, 30㎍/㎖) 유래 PTP1B를 억제하는 지의류 대사산물은, 화합물 1은 depsidone, 화합물 2 및 3은 pseudodepsidone, 화합물 4는 depside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화합물 1~9의 PTP1B에 대한 억제 활성도를 PTP1B 억제제인 울소르산(Ursolic acid)과 비교 분석한 결과, 울소르산(Ursolic acid)의 IC50 이 3.08μM인데 반해, 화합물 1은 IC50 =0.87μM로 가장 뛰어난 PTP1B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은 각각 IC50 =6.86μM 및 IC50 =2.48μM로 PTP1B보다 더 우수하거나 유사한 정도로 높은 PTP1B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반면, 화합물 4는 IC50 =63.5μM로 낮은 억제능을 나타냈다. 또한, PTP1B의 억제효과에서 각 화합물에 포함된 카르복시산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화합물 1의 카르복실기를 메틸 에스테르기로 변환한 화합물 8의 PTP1B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 화합물 8의 IC50 =3.02μM로 화합물 1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카르복실기가 억제 활성능에 대한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고, 화합물 8의 페놀수산기를 메톡시기로 변환한 화합물 9의 PTP1B의 억제활성이 IC50 =7.42μM으로 나타나, 카르복실기와 페놀수산기가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1~9의 PTP1B 억제활성을 확인한 결과, 화합물 1~4, 화합물 8 및 화합물 9는 당뇨병 및 비만에 대한 약학적인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화합물 1, 즉 lobaric acid를 질환동물모델인 db/db 마우스에 주입하여 식이섭취량 변화, 체중 변화, 혈중 포도당 농도, 혈중 인슐린 농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체중과 혈당, 인슐린 저항성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항당뇨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0,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1~1000㎍/kg으로, 바람직하게는 1~100㎍/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경구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캔디, 초콜릿,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당뇨 및 비만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지의류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 Stereocaulon alpinum ) 추출물의 제조
지의류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Hedw.) G.L. Sm.)은 2003년 1월 남극 킹조지섬의 세종기지(S 62°13.3', W58°47.0') 주위의 바튼 반도(Barton Peninsular)에서 채취하였으며, 바튼반도에서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지의류이다.
건조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50g을 24시간 동안 메탄올 1L로 2번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 3.6g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을 실리카겔(C18)이 충진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 5×25㎝)에 로딩하고, 10%, 20%, 30%, 40%, 50%, 60%, 70%, 80%, 90% 및 100%(v/v) 메탄올(MeOH)으로 계단식으로 농도구배를 주어,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은 30㎍/㎖의 농도에서 PTP1B의 활성을 90% 이상 억제하였다.
이때,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PTP1B)는 BIOMOL (미국)사에서 제조한 제품을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분광학적으로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약 0.2㎍/㎖농도의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 완충용액 (50 mM citrate, pH 6.0, 0.1M NaCl, 1 mM EDTA, 1mM DTT), 저해제 (상기 메탄올 추출물), 4 mM pNPP를 첨가하고 가볍게 흔들어 준 다음 30 분 동안 37℃에서 반응시킨 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의류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 Stereocaulon alpinum ) 추출물로부터 lobaric acid(화합물 1)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80% 메탄올로 용출하여 얻은 분획물 204.6㎎을 다시 실리카겔(C18)이 충진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 2.5×30㎝)에 로딩하여, TLC분석에 의해 수득한 8개의 주요한 분획을 수득하기 위해 각각 200㎖의 1%, 2%, 3%, 4%, 5%, 6%, 7%, 8%, 9% 및 10% 의 메탄올(in CH2Cl2)용액 및 100%(v/v) 메탄올을 주입시켜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9% 메탄올로 용출한 분획 59mg을 다시 반-분취 역상(semi-preparative reverse-phase) HPLC에 주입한 후, 0.1% 포름산(formic acid)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CH3CN)수용액을 75 내지 83%의 농도 그래디언트를 주면서 30분 이상 용출시켜 화합물 1을 분리하였다(22.9mg; tR=39분).
NMS 및 MS의 분석 결과, 화합물 1은 lobaric acid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lobaric acid는 항마이코박테리아 및 5- and 12- lipoxygenases의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었으나, PTP1B의 억제활성에 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었다 (Ingolfsdottir, K. et al., Eur , J. Pharm . Sci . 6:141, 1998; Bucar, F. et al., Phytomedicine, 11:602, 2004).
[화합물 1]
Figure 112010022116524-pat00031

NMS 및 MS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DMSO-d 6 , 400 MHz) d 6.98 (d, J = 2.2 Hz, H-3), 7.11 (d, J = 2.2 Hz, H-5), 2.86 (t, J = 7.3, H2-9), 1.15 1.60 (m, H2-10 and 11), 0.89 (t, J = 6.9 Hz, H3-12), 3.91 (s, OCH3-3), 6.65 (br s, H-3’), 2.90 (m, H2-8’), 1.15-1.60 (m, H2-9’, 10’ and 11’), 0.88 (t, J = 6.9 Hz, H3-12’); 13C NMR (DMSO-d 6 , 100 MHz) d 111.6 (C-1), 163.3 (C-2), 106.7 (C-3), 164.6 (C-4), 112.0 (C-5), 140.8 (C-6), 162.7 (C-7), 203.7 (C-8), 41.6 (C-9), 25.9 (C-10), 22.5 (C-11), 14.4 (C-12), 57.0 (OCH3-3), 120.1 (C-1’), 155.1 (C-2’), 106.2 (C-3’), 149.0 (C-4’), 144.9 (C-5’), 135.3 (C-6’), 169.0 (C-7’), 31.9 (C-8’), 31.0 (C-9’), 27.6 (C-10’), 22.0 (C-11’), 14.39 (C-12’); ESIMS m/z 455 [M - H]-.
지의류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 Stereocaulon alpinum ) 추출물로부터 pseudodepsidone-type metabolite (화합물 2), methyl orsellinate (화합물 5), methyl haematommate (화합물 6) 및 2',6'- dihydroxy -4' methoxy -3'-methylacetophenone(화합물 7)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70% 메탄올로 용출한 분획 150.2mg과 90% 메탄올로 용출한 분획 260.7mg을 혼합 후, 실리카겔(C18)이 충진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 2.5×30㎝)에 로딩하여, 7개의 주요한 용출액을 수득하기 위해 각각 CH2Cl2 (in MeOH) 용액의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1% 메탄올로 용출한 분획 22.8mg은 반-분취 역상(semi-preparative reverse-phase) HPLC에 주입한 후, 0.1% 포름산(formic acid)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CH3CN)수용액을 40 내지 86%의 농도 그래디언트를 주면서 46분 이상 용출시켜 화합물 2(1.0mg; tR=42.1분), 화합물 5(1.5mg; tR=19.4분), 화합물 6(3.2mg; tR=33.3분) 및 화합물 7(1.0mg; tR=25.1분)을 분리하였다.
NMS 및 MS의 분석 결과, 화합물 2는 pseudodepsidone, 화합물 5는 methyl orsellinate, 화합물 6은 methyl haematommate 및 화합물 7은 2',6'-dihydroxy-4'methoxy-3'-methylacetophenon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합물 2]
Figure 112010022116524-pat00032
NMS 및 MS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CDCl3, 400 MHz) d 6.16 (d, J = 2.0 Hz, H-3), 6.54 (d, J = 2.0 Hz, H-5), 2.16 (m, H-9), 1.96 (m, H-9), 1.35 1.53 (m, H2-10), 1.27-1.39 (m, H2-11), 0.86 (t, J = 6.6, H3-12), 3.77 (s, OCH3-4), 3.13 (s, OCH3-8), 6.40 (d, J = 2.7, H-3’), 6.30 (d, J = 2.7, H-5’), 2.35 (t, J = 8.1, H2-7’), 1.44-1.56 (m, H2-8’), 1.13-1.23 (m, H2-9’), 1.11 1.21 (m, H2-10’), 0.78 (t, J = 6.2 Hz, H3-11’); 13C NMR (CDCl3, 100 MHz) d 108.4 (C-1), 157.9 (C-2), 102.4 (C-3), 167.3 (C-4), 100.8 (C-5), 151.6 (C-6), 166.4 (C-7), 109.5 (C-8), 38.3 (C-9), 25.2 (C-10), 22.7 (C-11), 14.0 (C-12), 56.2 (OCH3-4), 51.1 (OCH3-8), 133.2 (C-1’), 149.3 (C-2’), 102.2 (C-3’), 154.0 (C-4’), 108.5 (C-5’), 137.1 (C-6’), 30.1 (C-7’), 29.3 (C-8’), 31.7 (C-9’), 22.4 (C-10’), 13.9 (C-11’); ESIMS m/z 443 [M - H]-.
[화합물 5]
Figure 112010022116524-pat00033
NMS 및 MS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CDCl3, 400 MHz) d 6.27 (d, J = 2.6, H-3), 6.22 (d, J = 2.6, H-5), 2.48 (s, H3-8), 11.73 (s, OH-2), 3.95 (s, OCH3-7); 13C NMR (CDCl3, 100 MHz) d 105.8 (C-1), 160.3 (C-2), 101.4 (C-3), 165.5 (C-4), 111.3 (C-5), 144.1 (C-6), 172.1 (C-7), 24.4 (C-8), 52.0 (OCH3-7); ESIMS m/z 183 [M - H]+.
[화합물 6]
Figure 112010022116524-pat00034
NMS 및 MS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CDCl3, 400 MHz) d 6.29 (s, H-5), 2.52 (s, H3-8), 10.34 (s, CHO-3), 12.88 (s, OH-2), 12.41 (s, OH-4), 3.95 (s, OCH3-7); ESIMS m/z 209 [M - H]-.
[화합물 7]
Figure 112010022116524-pat00035
NMS 및 MS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CDCl3, 400 MHz) d 6.20 (s, H-5), 2.10 (s, H3-8), 2.45 (s, H3-9), 12.03 (s, OH-6), 3.91 (OCH3-4); ESIMS m/z 195 [M - H]-.
지의류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 Stereocaulon alpinum ) 추출물로부터 pseudodepsidone-type metabolite (화합물 3)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20% 메탄올로 용출한 분획 57.5mg과 40% 메탄올로 용출한 분획 57.5mg은 다시 반-분취 역상(semi-preparative reverse-phase) HPLC에 주입한 후, 0.2% 포름산(formic acid)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CH3CN)수용액을 55 내지 73%의 농도 그래디언트를 주면서 33분 이상 용출시켜 화합물 3을 분리하였다(6.3mg; tR=27분).
NMS 및 MS의 분석 결과, 화합물 3은 pseudodepsidone-type metabolit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합물 3]
Figure 112010022116524-pat00036
NMS 및 MS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CDCl3, 400 MHz) d 6.11 (br s, H-3), 6.53 (br s, H-5), 2.17 (m, H-9), 1.96 (m, H-9), 1.35-1.53 (m, H2-10), 1.22-1.38 (m, H2-11), 0.88 (t, J = 6.6, H3-12), 3.77 (s, OCH3-4), 3.18 (s, OCH3-8), 6.55 (br s, H-3’), 2.70 (m, H2-8’), 1.21-1.42 (m, H2-9’), 1.01 1.23 (m, H2-10’), 1.04-1.17 (m, H2-11’), 0.69 (t, J = 6.2 Hz, H3-12’); 13C NMR (CDCl3, 100 MHz) d 108.3 (C-1), 157.8 (C-2), 102.1 (C-3), 167.3 (C-4), 100.8 (C-5), 151.7 (C-6), 167.4 (C-7), 110.0 (C-8), 38.4 (C-9), 25.1 (C-10), 22.6 (C-11), 13.9 (C-12), 56.2 (OCH3-4), 51.3 (OCH3-8), 102.9 (C-1’), 156.1 (C-2’), 104.1 (C-3’), 154.8 (C-4’), 133.1 (C-5’), 141.1 (C-6’), 163.9 (C-7’), 28.2 (C-8’), 30.8 (C-9’), 32.2 (C-10’), 22.1 (C-11’), 13.9 (C-12’); ESIMS m/z 487 [M - H]-.
지의류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 Stereocaulon alpinum ) 추출물로부터 atranorin(화합물 4)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100% 메탄올로 용출한 분획 833.2mg을 다시 실리카겔(C18)이 충진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 2.5×30㎝)에 로딩하여, hexane(in CH2Cl2) 용액으로 용출하여 50%의 hexane분획을 수득하였다.
상기 50%의 hexane분획 10.7mg을 반-분취 역상(semi-preparative reverse-phase) HPLC에 주입한 후, 0.1% 포름산(formic acid)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CH3CN)수용액을 75 내지 91%의 농도 그래디언트를 주면서 26분 이상 용출시켜 화합물 4를 분리하였다(13.2mg; tR=24분).
NMS 및 MS의 분석에 의하여 화합물 4는 atranorin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atranorin의 항진균 활성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나, PTP1B의 억제 활성도에 관해서는 보고된 적이 없었다 (Athukoralage, P. S. et al ., Fitoterapia, 72:565, 2001).
[화합물 4]
Figure 112010022116524-pat00037
NMS 및 MS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CDCl3, 400 MHz) d 6.40 (s, H-5), 10.35 (s, H-8), 2.68 (s, H3-9), 12.50 (s, OH-2), 12.55 (OH-4), 6.51 (s, H-6’), 2.07 (s, H3-7’), 2.53 (s, H3-9’), 11.95 (OH-3’), 3.98 (s, OCH3-8’); 13C NMR (CDCl3, 100 MHz) d 102.9 (C-1), 169.1 (C-2), 108.6 (C-3), 167.6 (C-4), 112.9 (C-5), 152.5 (C-6), 169.8 (C-7), 193.9 (C-8), 25.7 (C-9), 151.9 (C-1’), 116.9 (C-2’), 162.9 (C-3’), 110.4 (C-4’), 140.0 (C-5’), 116.1 (C-6’), 9.5 (C-7’), 172.3 (C-8’), 24.1 (C-9’), 52.4 (OCH3-8’); ESIMS m/z 373 [M - H]-.
화합물 1로부터 화합물 8 및 화합물 9의 제조
6-1: 화합물 8의 제조
2.6mg의 화합물 1을 함유하는 2㎖ 메탄올 용액에 2M의 trimethylsilyldiazomethane(TMSCHN2)을 함유하는 20㎕ hexane을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회전시켜 혼합하고, 반-분취 역상(semi-preparative reverse-phase) HPLC에 주입한 후, 0.1% 포름산(formic acid)을 함유하는 메탄올(MeOH)수용액을 80 내지 95%의 농도 그래디언트를 주면서 30분 이상 용출시켜 화합물 8을 분리하였다(0.3mg; tR=28.7분).
[화합물 8]
Figure 112010022116524-pat00038
NMS 및 MS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CDCl3, 400 MHz) d 6.72 (d, J = 2.2 Hz, H-3), 6.73 (d, J = 2.2 Hz, H-5), 2.77 (t, J = 7.3, H2-9), 1.35-1.80 (m, H2-10 and 11), 3.89 (s, OCH3-4), 0.93 (t, J = 6.9 Hz, H3-12), 6.79 (br s, H-3’), 3.14 (m, H2-8’), 1.35-1.80 (m, H2-9’) 10’, and 11’), 0.94 (t, J = 6.9 Hz, H3-12’), 11.18 (s, OH-2’), 3.97 (s, OCH3-7’); ESIMS m/z 469 [M - H]-.
6-2: 화합물 9의 제조
1.5mg의 화합물 1을 함유하는 2㎖ 메탄올 용액에 2M의 trimethylsilyldiazomethane(TMSCHN2)을 함유하는 100㎕ hexane을 첨가하고, 3시간 동안 회전시켜 혼합하고, 반-분취 역상(semi-preparative reverse-phase) HPLC에 주입한 후, 0.1% 포름산(formic acid)을 함유하는 메탄올(MeOH)수용액을 80 내지 95%의 농도 그래디언트를 주면서 30분 이상 용출시켜 화합물 9를 분리하였다(0.5mg; tR=30.7분).
[화합물 9]
Figure 112010022116524-pat00039
NMS 및 MS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CDCl3, 400 MHz) d 6.700 (d, J = 2.2 Hz, H-3), 6.704 (d, J = 2.2 Hz, H-5), 2.76 (t, J = 7.3, H2-9), 1.34-1.80 (m, H2-10 and 11), 0.92 (t, J = 6.9 Hz, H3-12), 3.89 (s, OCH3-4), 6.72 (br s, H-3’), 2.72 (m, H2-8’), 1.34-1.80 (m, H2-9’), 10’ and 11’), 0.91 (t, J = 6.9 Hz, H3-12’), 3.78 (OCH3-2’), 3.87 (OCH3-7’); ESIMS m/z 507 [M - H]-.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 Stereocaulon alpinum ) 유래 화합물의 PTP1B 억제 활성 분석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PTP1B) 억제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 (PTP1B)는 BIOMOL (미국) 에서 제조한 제품을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분광학적으로 효소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약 0.2㎍/㎖농도의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 완충용액 (50 mM citrate, pH 6.0, 0.1M NaCl, 1 mM EDTA, 1mM DTT), 저해제 (화합물 1~9 또는 대조군인 울소르산), 4 mM pNPP를 첨가하고 가볍게 흔들어 준 다음 30 분 동안 37℃에서 반응시킨 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화합물 1~9의 PTP1B에 대한 억제 활성도를 PTP1B 억제제인 울소르산(Ursolic acid)과 비교 분석한 결과, 울소르산(Ursolic acid)의 IC50 이 3.08μM인데 반해, 화합물 1은 IC50 =0.87μM로 가장 뛰어난 PTP1B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은 각각 IC50 =6.86μM 및 IC50 =2.48μM로 PTP1B 억제제로 알려진 울소르산과 비교하여서도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PTP1B에 대해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반면, 화합물 4는 IC50 =63.5μM로 낮은 억제능을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 5~7은 IC50 >200μM로 PTP1B에 대한 억제 효과를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PTP1B의 억제 효과에서 각 화합물에 포함된 카르복시산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화합물 1의 카르복실기를 메틸 에스테르기로 변환한 화합물 8의 PTP1B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 화합물 8의 IC50 =3.02μM로 화합물 1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카르복실기가 억제 활성능에 대한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화합물 8의 페놀수산기를 메톡시기로 변환시킨 화합물 9의 IC50 =7.42μM를 통해 PTP1B 억제활성 정도가 감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PTP1B와의 상호관계에 있는 산소결합을 제공하는 분자 상에서의 산성 프로톤들이 억제 메카니즘에서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4).
화합물 1~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PTP1B에 대한 억제 활성도
화합물 PTP1B의 억제 활성도
(IC50 =μM)
1 0.87
2 6.86
3 2.48
4 63.5
5 >200
6 >200
7 >200
8 3.02
9 7.42
울소르산(Ursolic acid) 3.08
※ 울소르산: 대조군
화합물 1의 농도 증가에 따라 PTP1B의 반응속도를 통하여 화합물 1이 PTP1B을 저해함을 확인하였고, 비선형 회귀 분석(Non-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화합물 1이 비경쟁적인 억제제인 것을 확인하였고, Lineweaver-Burke transformations에 의한 데이터의 replotting으로 비경쟁적 억제제의 전형적인 모델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도 1). 또한, p-nitrophenyl phosphate(pNPP)을 기질로 사용하여 화합물 2의 V max 가 감소하였고, 상기 실험상에서 PTP1B의 K m의 정도가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본 발명에서의 화합물 1과 화합물 2는 PTP1B의 비경쟁적 억제제로써, 상기의 두 화합물은 효소-기질 복합체 및 PTP1B의 동형이질부위로의 결합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PTP1B 억제제의 적절한 민감성 및 생물학적 이용성은 PTP1B의 비활성 배좌에 대한 동형이질 부위 및 활성부위를 겨냥하는 비경쟁적 억제제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화합물 1( lobaric acid )의 분자세포학적 특성 파악
8-1: 화합물 1의 PTP1B kinetics
상기에서 PTP1B 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화합물 1 (Lobaric acid)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PTP1B kinetics를 조사하였다. PTP1B의 억제활성 측정은 실시예 7의 방법에 의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합물 1 (Lobaric acid)의 양에 따른 PTP-1B의 kinetics를 조사한 결과 Vmax는 감소시키고, Km은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실시예 7의 결과와 함께 화합물 1이 비경쟁적 억제제임을 나타낸다.
8-2: 화합물 1의 PTB1B 처리 시 인슐린 수용체 인산화 측정
PTP1B에 화합물 1을 처리한 다음, 인슐린 수용체의 인산화를 측정하였다. Insulin receptor가 과발현된 간세포 (HepG2)에 화합물 1을 0.1, 1, 10, 100μM로 6, 12, 24시간 동안 처리 후 Western blot을 통해 p-insulin Rβ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합물 1 (Lobaric acid)을 PTP1B에 처리 시 인슐린 수용체의 인산화가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인슐린 수용체의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sensitization)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화합물 1이 인슐린 저항성 (insulin resistance)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8-3: 화합물 1의 처리에 따른 Glut 4, 2의 변화 측정
인슐린이 수용체에 결합할 때 일어나는 신호전달에 의해 Glucose transporter (Glut2 and Glut4)의 발현이 증가하고 세포막으로 이동한 후 당이 세포 내로 흡수됨으로써 혈당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Insulin receptor가 과발현된 간세포 (HepG2)에 화합물 1을 0.1, 1, 10, 100μM로 6, 12, 24시간 동안 처리 후 Western blot을 통해 Glut 4, 2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합물 1 (Lobaric acid)의 처리 후 Glut 2 및 Glut 4의 발현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화합물 1이 인슐린 수용체의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sensitization) 시켜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화합물 1이 인슐린 저항성 (insulin resistance)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질환모델동물에 대한 화합물 1 ( lobaric acid )의 효능 검증
9-1: PTP1B 활성 억제 물질을 복강 투여한 후 혈당 변화 관찰
시험 물질에 대한 예비실험, 효력실험, 독성실험, 자료를 바탕으로 투여량 (실험 물질(mg)/실험동물의 체중(Kg)으로 표시함)을 결정하였다.
7주령 된 수컷 db/db 마우스 (제 2형 당뇨 모델 동물, C57/BLKS/J-db/db,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대조군으로 PBS를, PTP1B 활성 억제 물질인 화합물 1 (Lobaric acid) 10, 20mg/kg를 매일 복강투여 하기 전 일주일에 두 번씩 혈당을 측정하였다.
7주령 된 수컷 db/db 마우스 (제 2형 당뇨 모델 동물, C57/BLKS/J-db/db,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PTP1B 활성 억제 물질 화합물 1 (Lobaric acid)의 복강 주사에 따른 혈당 변화는 도 6과 같다.
도 6을 살펴보면, 대조군(n=6)에서는 평균 0일 439 mg/dL, 3일 500 mg/dL, 7일 535 mg/dL, 10일 561 mg/dL, 14일 559 mg/dL, 17일 583 mg/dL, 21일 568 mg/dL로 급격한 혈당 증가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화합물 1 (Lobaric acid) 10mg/kg를 복강 주사한 실험군(n=7)에서는 평균 0일 414 mg/dL, 3일 452 mg/dL, 7일 482 mg/dL, 10일 477 mg/dL, 14일 514 mg/dL, 17일 508 mg/dL, 21일 537 mg/dL로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혈당 증가 현상이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합물 1 (Lobaric acid) 20mg/kg를 복강 주사한 실험군(n=7)에서는 평균 0일 442 mg/dL, 3일 296 mg/dL, 7일 320 mg/dL, 10일 297 mg/dL, 14일 263 mg/dL, 17일 308 mg/dL, 21일 320 mg/dL로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혈당 증가 현상이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화합물 1 (Lobaric acid) 10mg/kg를 복강 주사한 실험군에 비해서도 현저히 낮은 혈당 증가현상이 보임을 알 수 있었다.
9-2: PTP1B 활성 억제 물질을 복강 투여한 후 6시간 공복 후 혈당 변화 관찰
PTP1B 활성 억제 물질 화합물 1 (lobaric acid)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항당뇨 효과 측정을 위하여 PTP1B 활성 억제 물질 화합물 1을 10, 20 mg/kg로 복강 주사 후 6시간 동안 금식시킨 후 혈당을 측정하였다.
2형 당뇨동물에서 PTP1B 활성 억제 물질 화합물 1 (Lobaric acid)의 복강 주사에 따른 혈당 변화를 측정한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n=6)에서는 평균에서는 0일 167 mg/dL, 3일 203 mg/dL, 7일 237 mg/dL, 10일 345 mg/dL, 14일 344 mg/dL, 17일 395 mg/dL, 21일 401 mg/dL로 급격한 혈당 증가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화합물 1 (Lobaric acid)을 10mg/kg 복강 주사한 실험군(n=7)에서는 평균 0일 160 mg/dL, 3일 163 mg/dL, 7일 180 mg/dL, 10일 194 mg/dL, 14일 226 mg/dL, 17일 237 mg/dL, 21일 289 mg/dL로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혈당 증가 현상이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화합물 1을 20mg/kg 복강 주사한 실험군(n=7)에서는 평균 0일 152 mg/dL, 3일 151 mg/dL, 7일 151 mg/dL, 10일 136 mg/dL, 14일 136 mg/dL, 17일 147 mg/dL, 21일 131 mg/dL로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혈당 증가 현상이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화합물 1 (Lobaric acid) 10mg/kg를 복강 주사한 실험군에 비해서도 현저히 낮은 혈당 증가현상이 보임을 알 수 있었다.
9-3: PTP1B 활성 억제 물질을 복강 투여한 후 몸무게 변화 관찰
PTP1B 활성 억제 물질 화합물 1 (Lobaric acid)의 복강 주사 후 몸무게 변화 관찰을 위하여 일정한 시간에 동물용 체중계를 사용하여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2형 당뇨동물에서 PTP1B 활성 억제 물질 화합물 1 (Lobaric acid)의 복강 주사에 따른 몸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 도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n=6)에서는 평균 0일 36.5 g, 3일 37.1 g, 7일 36.7 g, 10일 37.5 g, 14일 37.2 g, 17일 39.8 g, 21일 40.5 g의 몸무게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1 (Lobaric acid)을 10, 20mg/kg 복강 주사한 실험군(n=7)에서는 평균 0일 36.0, 37.2 g, 3일 37.0, 37.4 g, 7일 37.7, 37.4 g, 10일 38.2, 38.6 g, 14일 39.9, 38.9 g, 17일 41.7, 39.9 g, 21일 42.6, 42.0 g의 몸무게 변화를 보이는 것을 할 수 있었다.
이는 PTP1B 활성 억제 물질 처리 한 2형 당뇨동물에서 몸무게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변화가 없음을 나타낸다.
9-4: PTP1B 활성 억제제 물질 처리 28일 후 포도당 내성 검사 검증
화합물 1 (Lobaric acid)의 동물모델에서의 복강 내 포도당 내성 검사 (IPGTT, Intraperitoneal glucose tolerance test)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7주령 된 제 2형 당뇨 모델 동물에 약물 화합물 1을 투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16시간 공복 후 포도당(500 ㎎/㎖, 투여 부피 200㎕)을 복강 주사의 방법으로 주입한 후 0, 15, 30, 60, 90, 120분에 꼬리 정맥에서 채취한 혈액 샘플에서 혈당 변화를 관찰하였다.
제 2형 당뇨동물에서 포도당 복강 투여에 따른 포도당 내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도 9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실험군에서 포도당의 투여에 따른 혈당의 변화가 0분 169, 199, 197 mg/dL, 15분 470, 463, 393 mg/dL, 30분 462, 440, 440 mg/dL, 60분 373, 371, 347 mg/dL, 90분 302, 267, 265 mg/dL, 120분 227, 217, 207 mg/dL로 개체 간 혈당 증가 경향 및 혈당 강하 거동에 변화가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PTP1B 활성 억제 물질 화합물 1 (Lobaric acid) (10, 20 mg/kg, 투여 부피 200㎕)을 27일 동안 매일 복강 투여의 방법으로 주입한 후 16시간 공복 상태에서 포도당(500 ㎎/㎖, 투여 부피 200㎕)을 복강 주사의 방법으로 주입한 후 0, 15, 30, 60, 90, 120분에 꼬리 정맥에서 채취한 혈액 샘플에서 혈당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후, 제 2형 당뇨동물에서 글루코오즈 피하 투여에 따른 포도당 내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도 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생리식염수 주사)의 경우 포도당의 투여 후 0분 252 mg/dL, 15분 730 mg/dL, 30분 756 mg/dL, 60분 680 mg/dL, 90분 584 mg/dL, 120분 515 mg/dL을 나타내며 급격한 혈당증가 경향 및 매우 느린 혈당 강하 거동을 보이는 반면, PTP1B 활성 억제 물질 화합물 1 (Lobaric acid) 10, 20 mg/kg를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각각 0분 242, 194 mg/dL, 15분 562, 482 mg/dL, 30분 580, 520 mg/dL, 60분 410, 311 mg/dL, 90분 273, 174 mg/dL, 120분 269, 163 mg/dL로 약물 농도 의존성으로 낮은 혈당증가 및 빠른 혈당 강하를 통한 혈당 정상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시예 9의 1 내지 4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의 Lobaric acid가 매우 우수한 항당뇨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부호 없음

Claims (25)

  1.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삭제
  4.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22116524-pat00043

    (여기서,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의 알킬, OH 및 H3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
    [화학식 2]
    Figure 112010022116524-pat00044

    (여기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의 알킬, OH, COOH 및 H3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
    [화학식 3]
    Figure 112010022116524-pat00045

    (여기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의 알킬, OH 및 H3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가 OH이고, R3가 H3C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이 H이고, R2는 OH이며, R3및 R4가 H3C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이 COOH이고, R2는 OH이며, R3및 R4가 H3C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이 H3CO이고, R2는 O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하기 화합물 8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합물 8]
    Figure 112010022116524-pat00046
    .
  10. 하기 화합물 9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합물 9]
    Figure 112010022116524-pat00047
    .
  1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합물 1~4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a)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을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b) (a)단계에서 수득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메탄올 수용액에서 용출하는 단계; 및
    (c) (b)단계에서 용출된 분획물을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아세토니트릴(CH3CN) 수용액으로 용출시켜 하기 화합물 1~4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화합물 1]
    Figure 112010022116524-pat00048

    [화합물 2]
    Figure 112010022116524-pat00049

    [화합물 3]
    Figure 112010022116524-pat00050

    [화합물 4]
    Figure 112010022116524-pat00051
    .
  12.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합물 8 또는 9의 제조방법:
    (a) 화합물 1을 함유하는 메탄올 용액에 trimethylsilyldiazomethane(TMSCHN2)을 함유하는 hexane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b) 반-분취 역상(semi-preparative reverse-phase)HPLC에 주입한 후, 메탄올(MeOH)수용액을 농도 그래디언트를 주면서 용출시켜 하기 화합물 8 또는 9를 함유하는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화합물 1]
    Figure 112010022116524-pat00052

    [화합물 8]
    Figure 112010022116524-pat00053

    [화합물 9]
    Figure 112010022116524-pat00054
    .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18. 삭제
  19.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0022116524-pat00062

    (여기서,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의 알킬, OH 및 H3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
    [화학식 2]
    Figure 112010022116524-pat00063

    (여기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의 알킬, OH, COOH 및 H3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
    [화학식 3]
    Figure 112010022116524-pat00064

    (여기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의 알킬, OH 및 H3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가 OH이고, R3가 H3C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이 H이고, R2는 OH이며, R3및 R4가 H3C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이 COOH이고, R2는 OH이며, R3및 R4가 H3C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이 H3CO이고, R2는 O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24. 하기 화합물 8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화합물 8]
    Figure 112010022116524-pat00065
    .
  25. 하기 화합물 9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화합물 9]
    Figure 112010022116524-pat00066
    .
KR1020100031788A 2009-04-07 2010-04-07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185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9767 2009-04-07
KR1020090029767 2009-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632A KR20100111632A (ko) 2010-10-15
KR101185137B1 true KR101185137B1 (ko) 2012-09-24

Family

ID=4313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788A KR101185137B1 (ko) 2009-04-07 2010-04-07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17465B1 (en) * 2010-10-07 2016-09-14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itute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CN105175371B (zh) * 2010-10-07 2018-03-13 韩国海洋研究院 预防或治疗糖尿病或肥胖症的药物组合物和食品组合物
KR101481141B1 (ko) * 2011-04-26 2015-01-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신규 화합물 로바스틴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203B1 (ko) * 2007-11-14 2010-05-11 한국해양연구원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의 활성 억제능을 갖는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우스닉산 유도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203B1 (ko) * 2007-11-14 2010-05-11 한국해양연구원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의 활성 억제능을 갖는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우스닉산 유도체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onzalez, Antonio G. 외 2인. Anales De Quimica. 1995년, Volume 91, Issue 5-6, 제461면 내지 제466면
Komiya T. 외 1인. Phytochemistry. 1970년 5월, Volume 9, Issue 5, 제1139면 내지 제1140면
Morita H. 외 5인.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9년 3월 12일 전자공개, Volume 19, Issue 13, 제3679면 내지 제3681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632A (ko) 201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4790B1 (en) Therapeutic applications of extracts of fraxinus excelsior seeds
US8846750B2 (en)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Bhaskarachary et al. Natural bioactive molecules with antidiabetic attributes: insights into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KR101269208B1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5137B1 (ko)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26256B1 (ko) 라말린을 함유하는 간섬유화 및 간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034624B1 (ko) 디디에이에이치를 활성화시키는 감초 유래의 칼콘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췌장 베타세포 사멸 및 당뇨병성 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79459B1 (ko) 근육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데이츄 추출물과이로부터 분리한 4h-크로멘-4-온 유도체
KR100957203B1 (ko)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의 활성 억제능을 갖는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우스닉산 유도체
KR101248404B1 (ko) 아네모네 리불라리스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화합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5162B1 (ko) 소듐 로바레이트를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20036026A (ko)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481141B1 (ko) 신규 화합물 로바스틴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Rangari et al. 4-Hydroxyisoleucine: A potential antidiabetic agent from Trigonella foenum-graecum
KR101684735B1 (ko) Gpr119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에스키난투스 아쿠미나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697745B2 (en)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KR100895500B1 (ko)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10014296A (ko) 움빌리카리아 안타티카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50067937A (ko) 사이코사포닌 에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131350B1 (ko) (3s,5r,6r,7e,9r)-3,5,6,9-테트라하이드록시-7-메가스티그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5996B1 (ko) 톳 추출물의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활성 조성물
KR20100083598A (ko) 인삼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2617465B1 (en)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US8703814B1 (en)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KR100748364B1 (ko) 화살나무 추출물에서 분리된 3-오르토-메틸우르소산화합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