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041B1 -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041B1
KR101185041B1 KR1020100004763A KR20100004763A KR101185041B1 KR 101185041 B1 KR101185041 B1 KR 101185041B1 KR 1020100004763 A KR1020100004763 A KR 1020100004763A KR 20100004763 A KR20100004763 A KR 20100004763A KR 101185041 B1 KR101185041 B1 KR 101185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utomatic transport
lever
manual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147A (ko
Inventor
김영준
박찬희
이희관
양균의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filed Critical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Priority to KR1020100004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0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79Towing by connecting to another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가 무거운 다양한 종류의 물류가 적재된 수동운반대차와 결합되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하여 해당목적지까지 상기 수동운반대차를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해당목적지까지의 주행하는 과정에 지면에 형성되는 굴곡부 등을 포함한 장애요소로 인해 상기 수동운반대차와 자동운반대차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없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AN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DISTRIBUTION CARRIER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무게가 무거운 다양한 종류의 물류가 적재된 수동운반대차와 결합되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하여 해당목적지까지 상기 수동운반대차를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해당목적지까지의 주행하는 과정에 지면에 형성되는 굴곡부 등을 포함한 장애요소로 인해 상기 수동운반대차와 자동운반대차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없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으로 운반하기 어려운 물건은 통상 수동대차를 사용하여 운반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는 상기 수동대차에 운반하고자 하는 물건을 적재시킨 후 상기 수동대차를 밀어 해당 목적지까지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동대차에 적재된 물건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 한사람이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적재된 상기 수동대차를 운반하기에는 과도한 힘이 소요되어 적어도 2인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게 됨은 물론 인건비가 과도하게 지출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무게가 무거운 다양한 종류의 물류가 적재된 수동운반대차와 결합되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하여 해당목적지까지 상기 수동운반대차를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해당목적지까지의 주행하는 과정에 지면에 형성되는 굴곡부 등을 포함한 장애요소로 인해 상기 수동운반대차와 자동운반대차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없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무게가 무거운 다양한 종류의 물류가 적재된 수동운반대차와 결합되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하여 해당목적지까지 상기 수동운반대차를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해당목적지까지의 주행하는 과정에 지면에 형성되는 굴곡부 등을 포함한 장애요소로 인해 상기 수동운반대차와 자동운반대차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없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수동대차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판에 형성된 핀홀에 상단부가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동대차와 함께 상기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바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단부에 구비된 상기 고정핀의 승강높이를 지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굴곡부의 높낮이에 따라 조절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운반대차와;
상부면에 물류가 적재된 수동대차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동대차를 목적지까지 자동운반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와;
상기 위치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가 송신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주행할 해당 목적지를 설정하는 목적지 설정부와;
상기 목적지 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가 각각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목적지 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를 근거로 상기 자동운반대차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목적지의 주행경로를 따라 현재 위치에서 해당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수동대차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판에 형성된 핀홀에 상단부가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동대차와 함께 상기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바퀴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전측면에 하단부 상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상하회전이동하는 레버와, 상기 본체의 내부 전측에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레버의 하단부 하측에 축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부 전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고 전단부와 후단부에 상기 고정핀이 형성되며 전단부에 상기 링크부재의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상하이동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핀의 승강높이를 지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굴곡부의 높낮이에 따라 조절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레버의 하단부 하측을 축결합시키는 연결축은 상기 본체의 전측면에 형성된 호형상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고, 상기 상하이동축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상기 본체의 전후측면에 상하로 연장형성된 가이드슬릿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운반대차와;
상부면에 물류가 적재된 수동대차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동대차를 목적지까지 자동운반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와;
상기 위치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가 송신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주행할 해당 목적지를 설정하는 목적지 설정부와;
상기 목적지 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가 각각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목적지 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를 근거로 상기 자동운반대차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목적지의 주행경로를 따라 현재 위치에서 해당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에 상기 레버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레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본체의 전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호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레버의 전측 내주면에 전단부가 접하고 상기 고정축의 전단부에 후단부가 접한 상태로 상기 레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의 전단부에 후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레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당김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측정부는 IGPS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위치측정부는 지면에 구비된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해당 목적지까지의 주행을 유도하는 유도선을 감지하여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가 측정한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목적지 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를 근거로 상기 자동운반대차가 상기 유도선을 따라 현재 위치에서 해당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은 본체에 내부에 수직구비된 고정핀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수동대차의 하부에 형성된 핀홀에 일정높이로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바퀴에 의해 상기 본체가 상기 수동대차와 함께 해당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해당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과정 중에 지면에 형성되는 굴곡부 등을 포함한 장애요소로 인해 상기 수동대차와 상기 본체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본체가 상기 수동대차와 함께 지면의 굴곡부 등의 장애요소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해당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승강부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단부에 구비된 상기 고정핀을 승강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수동대차의 핀홀에 삽입고정되는 상기 고정핀의 승강높이를 지면에 형성되는 굴곡부 등을 포함한 장애요소의 높낮이에 따라 자동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를 근거로 상기 자동운반대차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목적지의 주행경로를 따라 현재 위치에서 해당 목적지까지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위치측정부가 IGPS 또는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해당 목적지까지의 주행을 유도하는 유도선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질 경우 공장, 마트, 병원 등을 포함한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반대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본체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5는 승강부에 의해 고정핀의 상단부가 수동대차의 핀홀에 일정높이로 수동으로 삽입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일부확대평단면도이고,
도 8은 승강부에 의해 고정핀의 상단부가 수동대차의 핀홀에 일정높이로 자동으로 삽입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반대차의 주행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2는 위치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3은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운반대차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반대차(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반대차(2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고정핀(30) 및 구동바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0)의 상부방향에는 상부면에 기계부품, 판매용품, 의약품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물류가 일정높이로 적재되는 일반 수동대차(5)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30)은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된다.
상기 고정핀(30)은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 또는 타단부 내부에 수직구비되거나,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와 타단부 내부 모두에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 또는 타단부 내부에는 각각 1개 또는 2개이상의 수직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와 타단부 내부 모두에는 각각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고정핀(30)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30)의 상단부는 상기 본체(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수동대차(5)의 하부에 형성되는 핀홀(도 2, 도 3의 51)에 일정높이로 삽입고정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드릴공구 등을 사용하여 상기 수동대차(5)의 하부에 상기 핀홀(51)을 천공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동대차(5)의 일단부 하부 또는 타단부 하부에는 각각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핀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동대차(5)의 일단부 하부와 타단부 하부 모두에는 각각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핀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드릴공구 등을 사용할 필요없이 상기 수동대차(5)의 하부에 상기 핀홀(51)을 보다 간편하게 형성시키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바닥판(321)에 상기 핀홀(51)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32)을 상기 수동대차(5)의 하부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고정판(32)은 공장 등에서 사전에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2)은 상기 핀홀(51)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바닥판(321)과; 상기 바닥판(321)의 전후단부 상측에 각각 수직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바닥판(321)의 외측으로 전후로 각각 수평연장형성되어 상기 수동대차(5)의 하부에 고정되는 전측판(323) 및 후측판(3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판(32)의 전측판(323) 및 후측판(325)의 상단부는 상기 전측판(323) 및 후측판(325)의 상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수동대차(5)의 하부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피스 등의 체결부재(3)에 의해 상기 수동대차(5)의 하부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판(32)의 전측판(323) 및 후측판(325)의 상단부는 상기 수동대차(5)의 하부에 실리콘 고정될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기 수동대차(5)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동대차(5)의 일단부 하부 또는 타단부 하부에 각각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고정판(32)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동대차(5)의 일단부 하부와 타단부 하부 모두에는 각각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고정판(32)이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바퀴(5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바퀴(50)는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동부재(51)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기 수동대차(5)와 함께 상기 본체(10)를 주행시키게 된다.
도 4는 도 1의 본체(10)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승강부(70)에 의해 고정핀(30)의 상단부가 수동대차(5)의 핀홀(51)에 일정높이로 수동으로 삽입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단면도이다.
한편, 일예로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에 2개의 상기 고정핀(30)이 수직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동대차(5)의 일단부 하부에는 2개의 상기 핀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예인 상기 고정핀(30)은 각각 전측 고정핀(310)과 후측 고정핀(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고정핀(310)은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 전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고정핀(330)은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 후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일예인 상기 핀홀(51)은 각각 전측 핀홀(512)과 후측 핀홀(5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핀홀(512)은 상기 수동대차(5)의 일단부 하부 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측 고정핀(310)의 상단부가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핀홀(514)은 상기 수동대차(5)의 일단부 하부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후측 고정핀(330)의 상단부가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고정핀(310)과 후측 고정핀(330)으로 구성되는 상기 고정핀(3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70)는 크게, 레버(730), 링크부재(750) 및 상하이동축(7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730)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전측면에 하단부 상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단부가 수동으로 상하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750)는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 전측에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750)의 하단부는 상기 레버(730)의 하단부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750)의 하단부와 상기 레버(730)의 하단부 하측을 축결합시키는 연결축(731)은 상기 본체(10)의 전측면에 형성되는 호형상의 가이드슬릿(101)내에 수용되어 호형상의 상기 가이드슬릿(101)을 따라 상하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770)은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 전측에 전후로 수평으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770)의 양단부에는 상기 고정핀(30)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770)의 전단부에는 상기 전측 고정핀(310)이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770)의 후단부에는 상기 후측 고정핀(330)이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770)의 전단부에는 상기 전측 고정핀(3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링크부재(750)의 상단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770)의 전후단부는 각각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전후측면에 각각 상하로 연장형성된 가이드슬릿(102)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770)은 도 5의 a),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730)의 상단부의 상하회전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상하이동하여 상기 전측 고정핀(310) 및 후측 고정핀(330)으로 구성되는 상기 고정핀(30)을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전측 고정핀(310) 및 후측 고정핀(330)으로 구성되는 상기 고정핀(30)의 상단부는 상기 상하이동축(770)을 따라 상하이동하여 상기 전측 핀홀(512) 및 후측 핀홀(514)로 구성되는 상기 핀홀(51)내로 일정높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 전측 상부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3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판(110)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110)은 일측 가이드판(111)과 타측 가이드판(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가이드판(111)과 타측 가이드판(113)은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 전측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일측 가이드판(111)과 타측 가이드판(113)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핀(30)이 수직으로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일부확대평단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730)의 중간부에는 상하회전이동한 상태의 상기 레버(730)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7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90)는 고정축(791), 탄성부재(793) 및 당김손잡이(79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791)은 상기 레버(730)의 중간부 후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791)의 후단부는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전측면에 상하일정간격으로 호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홀(103)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93)는 상기 레버(730)의 중간부 내부에 팽창된 상태로 전후로 수용될 수 있으며,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팽창된 상태의 상기 탄성부재(793)의 전단부는 상기 레버(730)의 중간부 전측 내주면과 접하게 되고, 후단부는 상기 고정축(791)의 전단부와 접하여 탄성지지하게 된다.
상기 당김손잡이(795)는 상기 탄성부재(79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레버(730)의 중간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당김손잡이(795)의 후단부는 상기 고정축(791)의 전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당김손잡이(795)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795a)는 상기 레버(730)의 중간부 전측 외주면과 접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당김손잡이(795)의 헤드부(795a)를 상기 레버(73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당길 시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791)은 상기 당김손잡이(795)의 헤드부(795a)를 따라 상기 레버(73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탄성부재(793)는 점차 수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삽입홀(103)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된 상태였던 상기 고정축(791)의 후단부는 상기 삽입홀(103)의 외측으로 이탈된다.
작업자가 상기 당김손잡이(795)의 당김상태를 해제할 시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축상태였던 상기 탄성부재(793)는 팽창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축(791)의 후단부는 상기 레버(730)의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홀(103)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버(730), 링크부재(750) 및 상하이동축(7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승강부(70)를 통해 지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굴곡부(도 10의 7) 등을 포함한 장애요소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수동대차(5)의 핀홀(51)에 삽입고정되는 상기 고정핀(30)의 승강높이를 임의로 수동으로 조절하여 상기 수동대차(5)의 핀홀(51)에 삽입고정되는 상기 고정핀(30)이 지면에 형성된 상기 굴곡부(7) 등을 포함한 장애요소로 인해 상기 핀홀(51)에서 분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승강부(70)에 의해 고정핀(30)의 상단부가 수동대차(5)의 핀홀(51)에 일정높이로 자동으로 삽입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측 고정핀(310)과 후측 고정핀(330)으로 구성되는 상기 고정핀(3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70)는 후술할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1개 또는 2개의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2개의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상기 승강부(70)는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 전후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전측 및 후측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전측 실린더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측 고정핀(310)이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고, 상기 후측 실린더의 상단부에는 상기 후측 고정핀(330)이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실린더 및 후측 실린더가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전측 고정핀(310) 및 후측 고정핀(330)이 승강하여 각각 상기 핀홀(51)의 전측 핀홀(512) 및 후측 핀홀(514)에 삽입고정 및 삽입해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상기 승강부(70)는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중심부 내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상기 승강부(70)의 상단부에는 전후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10)의 일단부 내부 전측에 수평구비되는 상하이동축(780)의 중심부 하측이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780)의 전단부와 후단부 상측에는 각각 상기 고정핀(30)의 전측 고정핀(310)과 후측 고정핀(330)이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상기 승강부(70)가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될 시 상기 상하이동축(780)은 상승 및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고정핀(30)의 전측 고정핀(310)과 상기 후측 고정핀(330)은 상기 상하이동축(780)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여 각각 상기 핀홀(51)의 전측 핀홀(512) 및 후측 핀홀(514)에 삽입고정 및 삽입해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140)에는 누름식 버튼 방식 등으로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이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상기 승강부(70)의 상승 및 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70)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단부에 구비된 상기 고정핀(30)을 승강시키는 상기 실린더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수동대차(5)의 핀홀(51)에 삽입고정되는 상기 고정핀(30)의 승강높이를 지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굴곡부(7) 등을 포함한 장애요소의 높낮이에 따라 자동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9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 중심부와 하부 타측 중심부에는 캐스터(1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상술한 상기 구동바퀴(50)는 상기 캐스터(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2개의 상기 구동바퀴(50)가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바퀴(50)는 전측 구동바퀴(501), 후측 구동바퀴(5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 구동바퀴(501)는 상기 캐스터(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측에 좌우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구동바퀴(501)는 상기 캐스터(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후측에 좌우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상술한 상기 구동부재(51)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동부재(51)는 전측 구동부재(510)와 후측 구동부재(5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 구동부재(510)는 상기 전측 구동바퀴(501)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하부 전측에 전후방향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구동부재(530)는 상기 후측 구동바퀴(503)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하부 후측에 전후방향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측 구동부재(510)와 후측 구동부재(530)의 회전속도를 달리함에 따라 상기 본체(10)가 보다 원활하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전측 구동부재(510)의 회전속도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후측 구동부재(530)의 회전속도보다 빠를 경우 주행중인 상기 본체(10)는 우회전하게 된다.
이와 달리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후측 구동부재(530)의 회전속도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전측 구동부재(510)의 회전속도 보다 빠를 경우 주행중인 상기 본체(10)는 좌회전하게 된다.
상기 전측 구동부재(510)와 후측 구동부재(53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즉, 상기 전측 구동부재(5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후측 구동부재(5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시 상기 본체(10)는 제자리에서 360°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캐스터(11)로 인해 상기 본체(10)가 보다 용이하게 방향전환을 하면서 해당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반대차(20)의 주행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구성된 본 자동운반대차(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된 상기 고정핀(30)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수동대차(5)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핀홀(51)에 일정높이로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바퀴(50)에 의해 상기 본체(10)가 상기 수동대차(5)와 함께 해당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과정 중에 지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상기 굴곡부(7) 등을 포함한 장애요소로 인해 상기 수동대차(5)와 상기 본체(10)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본체(10)가 상기 수동대차(5)와 함께 지면의 굴곡부(7) 등의 장애요소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해당 목적지 까지 주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반대차(20)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18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운반대차(20)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18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운반대차(20)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180)은 실외는 물론 건축물의 실내에 적용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자동운반대차(20)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180)이 공장, 마트, 병원 등을 포함한 건축물의 실내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운반대차(20)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180)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자동운반대차(20), 위치측정부(40), 송신부(60), 수신부(80), 목적지 설정부(100), 메모리부(12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운반대차(20)는 앞서 상술하였음으로, 이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측정부(40)는 상부면에 기계부품, 판매용품, 의약품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물류가 일정높이로 적재된 상기 수동대차(5)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동대차(5)를 목적지까지 자동운반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위치측정부(40)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신부(60)는 상기 위치측정부(40)가 측정한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무선송신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60)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80)는 상기 송신부(60)가 무선송신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무선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80)는 상기 제어부(14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목적지 설정부(100)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주행할 해당 목적지를 설정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어부(140) 상에 누름식 버튼 방식 등의 여러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에는 상기 목적지 설정부(100)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가 각각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제어부(14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밧데리 등의 전원공급부(14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수신부(80)가 수신한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목적지 설정부(100)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를 근거로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구동바퀴(50)와 축결합된 상기 구동부재(51)를 구동시켜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해당 목적지의 주행경로를 따라 상기 자동운반대차(20)가 현재위치에서 해당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탈부착 가능하게 상기 수동대차(5) 또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동대차(5)의 타단부에 수직형성되는 손잡이부(53)에는 상기 제어부(140)에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주행경로를 곡선 등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6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운반대차(20)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180)이 실외에 적용될 경우 상기 위치측정부(40)는 GPS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운반대차(20)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180)이 공장, 마트, 병원 등을 포함한 건축물의 실내에 적용될 경우,
실내에 위치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보다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측정부(40)는 일예로 공지된 IGPS(Indoor Global Positioning System)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운반대차(20)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180)이 공장, 마트, 병원 등을 포함한 건축물의 실내에 적용될 경우,
상기 위치측정부(40)는 건축물의 실내 지면에 구비되어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해당 목적지까지의 주행을 유도하는 유도선을 감지하여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도선은 건출물의 실내 지면에 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공지된 코일, 자기테이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코일, 자기테이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유도선이 발생시키는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유도선과 감지센서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센서가 측정한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목적지 설정부(100)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를 근거로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구동바퀴(50)와 축결합된 상기 구동부재(51)를 구동시켜 상기 자동운반대차(20)가 상기 유도선을 따라 현재 위치에서 해당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위치측정부(40)가 상기 IGPS 또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해당 목적지까지의 주행을 유도하는 상기 유도선을 감지하는 상기 감지센서로 이루어질 경우 특히, 공장, 마트, 병원 등을 포함한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2는 위치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3은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운반대차(20)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180)이 공장, 마트, 병원 등을 포함한 건축물의 실내에 적용될 경우,
상기 위치측정부(40)는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위치측정부(40)는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RF모듈(420), RF안테나(440) 및 위치계산부(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RF모듈(420)은 상기 자동운반대차(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RF안테나(440)는 상기 RF모듈(420)과 통신을 수행하고, RF통신감도를 측정하여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건축물의 실내공간에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소한 3개 이상의 상기 RF안테나(440)가 구비될 수 있다.
최소 3개 이상의 상기 RF안테나(440)는 상기 RF모듈(420)에게 송신을 요구하게 되고, 이때, 상기 RF모듈(420)은 최소 3개 이상의 상기 RF안테나(440)와 RF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위치계산부(460)는 상기 제어부(140)에 내장되는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RF안테나(440)에 의해 감지된 상기 RF모듈(420)과의 RF통신감도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삼각측량법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계산부(460)는 상기 RF모듈(420)과 최소 3개 이상의 상기 RF안테나(440)와의 RF통신감도를 측정하여 삼각측량법에 의해 상기 자동운반대차(20)까지의 거리를 자동계산하여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게 된다.
상기 위치측정부(40)를 이루는 상기 RF모듈(420), RF안테나(440) 및 위치계산부(460) 또한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위치측정부(40)가 RF모듈(420), RF안테나(440) 및 위치계산부(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경우 특히, 공장, 마트, 병원 등을 포함한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보다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자동운반대차(20)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180)은 상기 수신부(80)가 수신한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목적지 설정부(100)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를 근거로 상기 자동운반대차(20)가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해당 목적지의 주행경로를 따라 현재 위치에서 해당 목적지까지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3; 체결부재, 5; 수동대차,
51; 핀홀, 512; 전측 핀홀,
514; 후측 핀홀, 53; 손잡이부,
7; 굴곡부, 10; 본체,
101, 102; 가이드슬릿, 103; 삽입홀,
110; 가이드판, 111; 일측 가이드판,
113; 타측 가이드판, 11; 캐스터,
20; 자동운반대차, 30; 고정핀,
310; 전측 고정핀, 330; 후측 고정핀,
32; 고정판, 321; 바닥판,
323; 전측판, 325; 후측판,
40; 위치측정부, 420; RF모듈,
440; RF안테나, 460; 위치계산부,
50; 구동바퀴, 501; 전측 구동바퀴,
503; 후측 구동바퀴, 51; 구동부재,
510; 전측 구동부재, 530; 후측 구동부재,
60; 송신부, 70; 승강부,
730; 레버, 750; 링크부재,
770; 상하이동축, 790; 고정부재,
791; 고정축, 793; 탄성부재,
795; 당김손잡이, 80; 수신부,
100; 목적지 설정부, 120; 메모리부,
140; 제어부, 141; 전원공급부.
160; 디스플레이부, 180; 물류이송시스템.

Claims (5)

  1.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수동대차(5)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판(32)에 형성된 핀홀(51)에 상단부가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고정핀(30)과;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동부재(5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동대차(5)와 함께 상기 본체(10)를 주행시키는 구동바퀴(50)와;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전측면에 하단부 상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상하회전이동하는 레버(73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전측에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레버(730)의 하단부 하측에 축결합되는 링크부재(75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전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고 전단부와 후단부에 상기 고정핀(30)이 형성되며 전단부에 상기 링크부재(750)의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상하이동축(770)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핀(30)의 승강높이를 지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굴곡부(7)의 높낮이에 따라 조절하고, 상기 링크부재(750)의 하단부와 상기 레버(730)의 하단부 하측을 축결합시키는 연결축(731)은 상기 본체(10)의 전측면에 형성된 호형상의 가이드슬릿(101)내에 수용되고, 상기 상하이동축(770)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상기 본체(10)의 전후측면에 상하로 연장형성된 가이드슬릿(102)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운반대차(20)와;
    상부면에 물류가 적재된 수동대차(5)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동대차(5)를 목적지까지 자동운반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40)와;
    상기 위치측정부(40)가 측정한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송신하는 송신부(60)와;
    상기 송신부(60)가 송신하는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수신부(80)와;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주행할 해당 목적지를 설정하는 목적지 설정부(100)와;
    상기 목적지 설정부(100)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가 각각 저장된 메모리부(120)와;
    상기 수신부(80)가 수신한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목적지 설정부(100)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를 근거로 상기 자동운반대차(20)가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해당 목적지의 주행경로를 따라 현재 위치에서 해당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730)에 상기 레버(730)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79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790)는 상기 레버(730)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본체(10)의 전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호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홀(103)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는 고정축(791)과,
    상기 레버(730)의 전측 내주면에 전단부가 접하고 상기 고정축(791)의 전단부에 후단부가 접한 상태로 상기 레버(730)의 내부에 수용되는 탄성부재(793)와,
    상기 탄성부재(79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791)의 전단부에 후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레버(730)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당김손잡이(79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정부(40)는 IGP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정부(40)는 지면에 구비된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해당 목적지까지의 주행을 유도하는 유도선을 감지하여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센서가 측정한 상기 자동운반대차(2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목적지 설정부(100)를 통해 설정한 해당 목적지를 근거로 상기 자동운반대차(20)가 상기 유도선을 따라 현재 위치에서 해당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04763A 2010-01-19 2010-01-19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 KR101185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763A KR101185041B1 (ko) 2010-01-19 2010-01-19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763A KR101185041B1 (ko) 2010-01-19 2010-01-19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47A KR20110085147A (ko) 2011-07-27
KR101185041B1 true KR101185041B1 (ko) 2012-09-21

Family

ID=4492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763A KR101185041B1 (ko) 2010-01-19 2010-01-19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0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481A1 (en) * 2015-03-02 2016-09-09 Cj Korea Express Corporation Logistics transpor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3392B (zh) * 2012-09-27 2016-03-23 赛闻(天津)工业有限公司 用于中孔产品的运输装置
KR20140076351A (ko) * 2012-12-12 2014-06-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주행 장치
KR101968752B1 (ko) * 2014-11-19 2019-08-14 전자부품연구원 구동 대차 로봇 및 이를 갖는 물류 이송 장치
CN105668162A (zh) * 2016-01-26 2016-06-15 中塑联新材料科技湖北有限公司 一种塑料管道装运卸码机
CN107336730A (zh) * 2017-08-10 2017-11-10 苏州弗士曼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充电稳定便利的物料推车
CN107963410A (zh) * 2017-11-15 2018-04-27 安徽飞翔烟机配套有限公司 一种烟草自动匀速布料装置
CN108357586B (zh) * 2018-01-26 2024-07-23 苏州博众智能机器人有限公司 自动感应定位料车运输机器人
KR102123790B1 (ko) * 2018-10-19 2020-06-17 주식회사 삼미정공 팔레트 리프트 agv 및 agv 운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486A (ja) * 1998-04-21 1999-11-02 Meidensha Corp 無人搬送車
JP2006142919A (ja) * 2004-11-17 2006-06-08 Honda Logicom Kk 牽引台車
JP2009175903A (ja) * 2008-01-23 2009-08-06 Yaskawa Electric Corp 移動体教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486A (ja) * 1998-04-21 1999-11-02 Meidensha Corp 無人搬送車
JP2006142919A (ja) * 2004-11-17 2006-06-08 Honda Logicom Kk 牽引台車
JP2009175903A (ja) * 2008-01-23 2009-08-06 Yaskawa Electric Corp 移動体教示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481A1 (en) * 2015-03-02 2016-09-09 Cj Korea Express Corporation Logistics transport system
CN107646096A (zh) * 2015-03-02 2018-01-30 Cj大韩通运 物流输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47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041B1 (ko) 자동운반대차를 이용한 물류이송시스템
US11755031B2 (en) 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and automated guided vehicle for use therein
US8567761B2 (en) System with position-determination for lifting columns, and method therefor
US10379532B2 (en) Wheel assembly,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tion of an object and a golf club storage and transport device
KR102038317B1 (ko) 정확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이 가능한 골프카트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카트 제어방법
US10213354B2 (en) Wheeled Transportation device
JP5304723B2 (ja) 自走搬送装置及び台車搬送方法
KR101451592B1 (ko) 골프 필드용 무선 조정 카트 제어 시스템
KR101524414B1 (ko) Rfid를 이용한 무인운송시스템 및 무인운송차량
CN105103069B (zh) 自动输送车
JP6394280B2 (ja) 作業車両
CN217310337U (zh) 检查床和医学成像***
KR101864712B1 (ko) 휠-레일 겸용타입의 시설원예용 다기능 플랫폼 무인반송장치
WO2021123292A1 (en) Two-way horticulture trolley with a coarse primary detection and a fine secondary detection of head end parts of tracks.
KR101468870B1 (ko) Rf 전송속도 기반 위치측정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필드용 무선 조정 카트 제어 시스템
CN105438814B (zh) 自动送料装置
KR101877488B1 (ko) 스마트 골프 카트
CN110888427A (zh) 具有轨迹记忆功能的自动行驶小车控制***及其控制方法
JP2008529122A (ja) 特にゴルフコースでの物体を輸送するための自動駆動の車両
KR101053183B1 (ko) 전동 골프 카트의 자동 운행 시스템
KR20170066039A (ko) 스마트 골프 카트
US20230314593A1 (en) Autonomous hdd tracking system with rover
KR20170097276A (ko) 무인 운반차
KR102448856B1 (ko) 실내 위치 추적이 가능한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 관리 시스템
CN219989106U (zh) 一种苗床穴盘运输作业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