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183B1 - 화물 운반용 트롤리 - Google Patents

화물 운반용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183B1
KR101183183B1 KR1020110037109A KR20110037109A KR101183183B1 KR 101183183 B1 KR101183183 B1 KR 101183183B1 KR 1020110037109 A KR1020110037109 A KR 1020110037109A KR 20110037109 A KR20110037109 A KR 20110037109A KR 101183183 B1 KR101183183 B1 KR 10118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roller
skate
cargo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이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민 filed Critical 이영민
Priority to KR1020110037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적재함에 화물을 하역할 때 운반의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트롤리로써, 특히 적재함의 바닥에 설치되는 트랙에 대한 트롤리의 상승 높이가 증대되고, 아울러 트롤리를 구성하는 사이드롤러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부가 개구되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각각의 양측에 사이드롤러가 장착된 운반대와, 상기 운반대의 내부에 장착되며 저면에 적재함의 트랙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메인롤러가 다수 구비된 스케이트와, 상기 스케이트에서 운반대를 트랙 위로 상승시켜 화물이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들리도록 하는 승강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대의 상면에 상기 메인롤러와 각각 대응하는 롤러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롤러들의 상부는 상기 운반대가 상기 스케이트에 대하여 최저로 하강 위치 시 상기 롤러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도록 장착되고, 상기 메인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스케이트에 형성된 장홀을 따라 비스듬히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장홀의 하부 내주면에 상기 메인롤러의 회전축에 대한 이동간섭을 일으키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화물 운반용 트롤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화물 운반용 트롤리{TROLLEY FOR CARRYING A FREIGHT}
본 발명은 각종 적재함에 화물을 하역할 때 운반의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바닥에 설치되는 트랙에 대한 트롤리의 상승 높이가 증대되고, 아울러 트롤리를 구성하는 사이드롤러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용이할 수 있도록 한 화물 운반용 트롤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장차탑과 같이 컨테이너 형상으로 제작된 적재함에 화물을 하역(荷役)하는 경우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장비로 화물을 적재함의 입구에 올린 후 인력으로 적재함의 내부로 운반하여 적재하거나, 이와 반대로 화물을 인력으로 적재함의 입구까지 운반한 다음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장비로 내리게 되는 데, 이때 적재함 내에서의 화물 운반작업을 수월히 하기 위해 대부분의 적재함 바닥에는 트랙이 형성되고, 그 트랙에는 트롤리(trolley)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적재함의 내부 바닥에 형성된 트랙에 삽입되어 화물을 승강시키고 운반하는 트롤리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22269호에 화물 운반용 트롤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의 저면을 받치는 운반대(100)와, 이 운반대(100)의 내부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며 저면에 트랙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메인롤러(211)가 다수 구비된 스케이트(200)와, 이 스케이트(200)에서 운반대(100)를 상승시켜 화물이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리도록 하는 승강조작부(300) 및 운반대(100)에서 스케이트(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부재(400)로 대별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운반대(100)는 역사각통 홈 형상으로 그 상면은 화물의 저면과 면접촉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내측은 스케이트(200)가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승강조작부(300)를 조작하기 위한 지렛대(1)가 삽입되도록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스케이트(200)는 운반대(100)의 내측면과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 한 쌍의 프레임(210) 사이에 롤러(211)가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조작부(300)는 운반대(100)의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된 경사블록(330)과, 스케이트(200)의 프레임(210) 사이에 경사블록(330)과 대응되게 다수 개가 설치된 승강용 롤러(340)와, 지렛대(1)의 작동에 의해 스케이트(200)를 이동시켜 승강용 롤러(340)가 경사블록(33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링크(310) 및 구동링크(310)와 스케이트의 프레임(210) 사이에 연결되어 서로 연동시키는 작동링크(32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화물 운반용 트롤리는 적재함의 바닥면에 장착된 트랙을 따라 화물과 적재함의 바닥면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설치한 후, 별도의 지렛대(1)를 이용하여 승강조작부(300)를 작동시키면 구동링크(310) 및 작동링크(320)의 회전 및 직선운동과 동시에 승강용 롤러(340)가 경사블록(330)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그 경사블록(300)의 높이만큼 스케이트(200)가 운반대(100) 아래로 돌출되고, 결과적으로 스케이트(200)에서 운반대(100)가 상승되어 화물을 적재함의 바닥으로부터 상승시키고, 이렇게 되면 메인롤러(211)가 운반대(100)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유로이 회전되어 적재함의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적재함의 원하는 위치로 화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화물 운반용 트롤리는 미사용 시 스케이트(200)가 운반대(100) 내측에 접힌 상태로 그 운반대(100)와 함께 트랙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구조적 특성상 승강조작부(300)의 작동에 따른 운반대(100)의 승강 폭이 제한적인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트랙에 자갈 등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갈 경우 메인롤러(211)에 의한 이송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즉, 운반대(100)의 상승 폭은 구동링크(310)의 회전축과 작동링크(320)의 힌지 간의 거리와 구동링크(310)의 회전각에 의해 결정되나 구동링크(310)의 회전각은 지렛대(1)의 단부가 승강조작부(300)에 삽입 결합되어 회전범위를 방해 및 제약받는 관계상 재조정이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며, 구동링크(310)의 회전축과 작동링크(320)의 힌지 간의 거리를 늘릴 경우 트롤리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므로 이는 소형화 및 경량화 경향과 배치되어 제품 경쟁력이 극히 떨어지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화물 운반용 트롤리는 트랙에 삽입 시 발생하는 틈새와 편심적으로 작용하는 화물의 하중 및 물리적인 마찰력 등으로 인해 트랙을 따라 이동 중 그 이동방향의 좌우로 요동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대(100)의 길이방향 양단부 측면에 슬롯홀(180)을 형성하고, 이 슬롯홀(180)에 볼트(191)를 축으로 하는 결합방식으로 사이드롤러(190)를 설치하여 트롤리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트롤리를 장시간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트랙(T)과 사이드롤러(190) 틈새의 허용 공차에 의한 잦은 충격 등 사이드롤러(19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볼트(191)가 자연스럽게 풀리면서 사이드롤러(190)가 헐거워지거나 이탈될 수 있고, 피로가 누적되어 쉽게 파손 및 마모될 수 있으므로 일정 주기마다 사이드롤러(190)를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화물 운반용 트롤리는 구조적으로 볼트(191)를 운반대(100)의 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분리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재함의 트랙(T)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볼트(191)를 풀 때 화물 또는 트랙(T) 등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이 발생하고, 또 사이드롤러(190)를 장착할 때에는 운반대의 슬롯홀(180)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볼트구멍(181)과 사이드롤러(190)의 축구멍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정확하게 끼운 후 볼트(191)로 조여야 하기 때문에 사이드롤러(190)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고 까다로운 한계가 있다.
또한, 사이드롤러(190)가 운반대(100)의 양측면 프레임 상에 형성된 슬롯홀(180)과 그 볼트구멍(181)을 통해 직접 고정되므로 운반대(100)에 슬롯홀(180)과 볼트구멍(181)을 가공하기도 상당히 어려운 데다 사이드롤러(190)가 받는 외력이 운반대(100)의 양측면 프레임에 그대로 작용 및 전달되어 외력에 취약한 운반대(100)의 슬롯홀(180)과 볼트구멍(181) 부분을 변형시켜 심한 경우 트랙과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트랙에 대한 운반대의 상승 높이를 증대시키면서 사이드롤러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용이한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개발하고자 노력을 기울이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함의 바닥면에 대한 운반대의 상승 높이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드롤러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이드롤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하부가 개구되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각각의 양측에 사이드롤러가 장착된 운반대와, 상기 운반대의 내부에 장착되며 저면에 적재함의 트랙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메인롤러가 다수 구비된 스케이트와, 상기 스케이트에서 운반대를 트랙 위로 상승시켜 화물이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들리도록 하는 승강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대의 상면에 상기 메인롤러와 각각 대응하는 롤러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롤러들의 상부는 상기 운반대가 상기 스케이트에 대하여 최저로 하강 위치 시 상기 롤러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도록 장착되고, 상기 메인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스케이트에 형성된 장홀을 따라 비스듬히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장홀의 하부 내주면에 상기 메인롤러의 회전축에 대한 이동간섭을 일으키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적재함의 트랙 바닥면에 대한 롤러구멍의 최상단 높이만큼 메인롤러의 크기를 키울 수 있고, 결과적으로 메인롤러의 크기에 비례하여 적재함의 바닥에 대한 운반대의 상승 높이가 증대되기 때문에 화물을 훨씬 수월하고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운반대는 그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양측에 상기 사이드롤러가 돌출되도록 롤러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롤러는 상기 운반대의 개구부를 통해 그 내부로 삽입되어 상면이 운반대의 내측 저면과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보강블록의 양측에 돌출 및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운반대의 개구부는 상기 보강블록의 측면과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측면판에 의해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운반대의 상면에 메인롤러와 각각 대응하는 롤러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운반대가 스케이트에 대하여 최저로 하강하여 위치할 경우 메인롤러의 상부가 롤러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또 스케이트에는 메인롤러의 회전축을 장착하기 위한 장홀이 스케이트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메인롤러의 회전축은 운반대의 승강 시 스케이트의 장홀을 따라 비스듬히 오르내리게 되며, 아울러 메인롤러의 회전축이 장홀의 하부에 위치되고 운반대의 상부에 얹힌 화물 등에 의해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는 장홀의 내주면 상부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에 의해 이동간섭을 받아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적재함의 트랙 바닥면에 대한 롤러구멍의 높이만큼 메인롤러의 크기를 키울 수 있고, 운반대를 상승 시 메인롤러가 스케이트의 장홀에 의해 하강하여 결과적으로 메인롤러의 크기와 메인롤러의 하강 거리에 비례하여 적재함의 바닥에 대한 운반대의 상승 높이가 증대되기 때문에 화물을 훨씬 수월하고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적재함 및 화물의 긁힘 등의 손상을 예방하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롤러를 운반대의 이동 방향과 수직이 아닌 수평 방향 즉, 운반대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탈장착할 수 있으므로 적재함의 트랙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이 없어 사이드롤러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용이한 작업상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보강블록에 사이드롤러를 미리 조립하여 운반대에 장착함으로써 사이드롤러가 받는 힘을 운반대에 직접 작용 및 전달되지 않도록 분산시켜 운반대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사이드롤러를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아울러 사이드롤러를 운반대에 장착할 때 종래와 같이 사이드롤러를 슬롯홀의 좁은 틈새로 끼우는 과정이 불필요하여 조립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운반대에 사이드 롤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운반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운반대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정단면도,
도 8은 도 6의 국부 측단면도,
도 9는 도 7의 국부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운반대가 완전히 하강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국부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운반대에서 보강블록과 측면판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사시도,
도 12는 도 11을 평면에서 바라본 국부 구성도,
도 13은 도 11을 측면에서 바라본 국부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적재함의 트랙에 설치했을 때 트롤리가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을 길이방향 및 전/후면으로, 그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측면으로 정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운반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운반대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국부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국부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운반대가 완전히 하강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국부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운반대에서 보강블록과 측면판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을 평면에서 바라본 국부 구성도이며, 도 13은 도 11을 측면에서 바라본 국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는 적재함의 바닥에 설치되는 상부가 개구된 트랙(T)에 삽입되어 화물을 적재함 내에서 수월하게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운반대(10), 스케이트(20), 승강조작부(30) 등의 전반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배경기술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그 반복적이고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운반대(1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역사각통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면이 화물의 하면과 면접촉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개구되어 그 내측에는 스케이트(20)를 삽입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운반대(1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메인롤러(24)와 각각 대응하는 롤러구멍(11)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의 양측면은 후술하는 보강블록(13)을 탈장착할 수 있도록 개구부(16)가 형성되어 있고, 또 운반대(10)의 길이방향 양단부 양측에는 보강블록(13)에 장착된 사이드롤러(14)가 돌출되도록 하는 롤러홈(12)이 하부로 개구된 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사이드롤러(14)는 직육면체 형상의 보강블록(13)의 양측 모서리에 돌출 및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 및 지지되어 있어 그 조립이나 교체 및 유지보수 시 보강블록(13)과 운반대의 개구부(16)를 통해 운반대(10)의 내부 장착위치로 쉽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보강블록(13)은 그 상면이 운반대(10)의 내측 저면과 나사결합으로 고정되고, 사이드롤러(14)는 롤러홈(12)을 통해 운반대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자유 회전된다.
또한, 운반대의 개구부(16)는 측면판(17)을 보강블록(13)의 측면과 나사결합으로 고정시킴으로써 폐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보강블록(13)의 고정상태가 한층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블록(13)의 상면과 전면에는 볼트, 스크류, 무두볼트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부재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는 운반대(10)의 상면 및 측면판(17)의 전면에는 카운터 싱크나 카운터 보어 등을 각각 형성하여 체결부재가 그 상면이나 전면에 대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케이트(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조작부(30) 작동에 따라 운반대(10)의 내측 공간으로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다수의 연결봉에 의해 서로 결합된 좌우 한 쌍의 프레임(21) 사이에 적재함의 트랙(T)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메인롤러(24)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있다.
즉, 메인롤러(24)는 자유회전 가능하게 그 회전축(25)의 양단이 스케이트의 프레임(21)에 피벗 또는 힌지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메인롤러(24)는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회전축을 감싸는 베어링이 내장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이트의 프레임(21)들에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롤러의 회전축(25)을 결합 지지하는 장홀(22)이 가상의 수평면에 대하여 호형으로 비스듬히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장홀(22)의 최하부 내주면 상부에는 메인롤러의 회전축(25)에 대한 이동간섭을 일으키는 스토퍼(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홀(22)의 최하부 내주면의 폭은 최상부 내주면의 폭보다 상하 방향으로 약간 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롤러의 회전축(25)은 승강조작부(30)의 작동에 의해 스케이트의 장홀(22)을 따라 비스듬히 오르내리게 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롤러의 회전축(25)이 장홀(22)의 최상부에 위치되면 메인롤러의 회전축(25)과 거의 비슷한 지름을 갖는 장홀(22)의 내주면에 의해 구속되어 운반대(10)의 전후 이동방향으로는 유동되지 않으며, 그 위치에서 자유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롤러의 회전축(25)이 장홀(22)의 최저부에 위치되면 운반대(10)와 스케이트(20)의 자중 및 운반대(10)의 상부에 얹힌 화물의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장홀(22)의 최저부에서 약간 상승하여, 그 상부가 장홀(22)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장홀(22)의 최저부 내주면 상부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23)에 의해 메인롤러의 회전축(25)이 이동간섭을 받아 구속되어 운반대(10)의 전후 이동방향으로 쉽게 유동되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스케이트(20)에 대하여 운반대(10)를 최고위치로 상승시켜 펼칠 때 운반대(10)를 전방으로 약간 당겨주면 메인롤러(24)가 자연스럽게 반시계방향으로 구름 운동하면서 그 회전축(25)이 장홀(22)을 따라 안내되어 최저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화물을 운반한 후 다시 승강조작부(30)를 작동시켜 스케이트(20)가 운반대(10)의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롤러(24)의 상부가 운반대(10)의 내부 저면과 접촉되면서 자연스럽게 장홀(22)의 최저부 하부로 밀어줌과 동시에 메인롤러(24)가 회전력에 의해 운반대의 롤러구멍(11)을 향해 구름운동을 하기 때문에 원래의 위치인 장홀(22)의 최상부로 신속 복귀하게 된다.
이때에도 운반대(10)를 후방으로 약간 밀어주면 메인롤러(24)가 자연스럽게 시계방향으로 구름 운동하면서 그 회전축(25)이 장홀(22)을 따라 안내되어 최저부에 위치하게 된다.
승강조작부(30)는 운반대(10)의 내측에 스케이트(20)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그 링크 결합구조의 작동에 따라 스케이트(20)에서 운반대(10)를 트랙 위로 상승시켜 운반대(10)의 상면에 얹힌 화물이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들리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대(10)가 스케이트(20)에 대하여 최저위치로 하강하여 접혀질 경우 메인롤러(24)의 최상면 부분이 롤러구멍(11)에 삽입되고, 그 회전축(25)이 장홀(22)의 최상부에 위치되어 운반대(10)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대(10)가 스케이트(20)에 대하여 최고위치로 상승하여 펼쳐질 경우 메인롤러(24)의 최상면 부분이 롤러구멍(11)에 이탈됨과 동시에 그 회전축(25)이 장홀(22)의 최저부에 위치되어 롤러구멍(11)의 높이(h1)만큼 지름이 크진 메인롤러(24)와, 장홀(22)의 최상부와 최저부의 높이 차로 발생하는 적재함의 트랙(T) 바닥면에서 메인롤러(24)와 장홀(22)의 최저부까지의 높이(h2)에 비례하여 적재함의 바닥면에 대한 운반대(10)의 상승 높이가 증대되게 된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롤러(14)가 장착된 보강블록(13)을 운반대의 개구부(16)를 통해 운반대(1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탈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랙(T)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이 없이 사이드롤러(14)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사이드롤러(14)를 운반대(10)의 양측면에 직접 설치하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별도의 보강블록(13)에 사이드롤러(14)를 미리 장착하여 설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이드롤러(14)의 위치 조정이 편리하고 사용 시 트랙(T)과의 충격 등 사이드롤러(14)가 받는 힘을 운반대(10)에 직접 작용 및 집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분산시킬 수 있어 그 회전축인 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동안 기능유지가 가능하며, 나아가 운반대(10)의 뒤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사이드롤러(14)를 한층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운반대 11: 롤러구멍
12: 롤러홈 13: 보강블록
14: 사이드롤러 16: 개구부
17: 측면판 20: 스케이트
21: 프레임 22: 장홀
23: 스토퍼 24: 메인롤러
25: 회전축 T: 트랙

Claims (3)

  1. 하부가 개구되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각각의 양측에 사이드롤러가 장착된 운반대와, 상기 운반대의 내부에 장착되며 저면에 적재함의 트랙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메인롤러가 다수 구비된 스케이트와, 상기 스케이트에서 운반대를 트랙 위로 상승시켜 화물이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들리도록 하는 승강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대의 상면에 상기 메인롤러와 각각 대응하는 롤러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롤러들의 상부는 상기 운반대가 상기 스케이트에 대하여 최저로 하강 위치 시 상기 롤러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도록 장착되고, 상기 메인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스케이트에 형성된 장홀을 따라 비스듬히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장홀의 하부 내주면에 상기 메인롤러의 회전축에 대한 이동간섭을 일으키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는 그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양측에 상기 사이드롤러가 돌출되도록 롤러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롤러는 상기 운반대의 개구부를 통해 그 내부로 삽입되어 상면이 운반대의 내측 저면과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보강블록의 양측에 돌출 및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의 개구부는 상기 보강블록의 측면과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측면판에 의해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
KR1020110037109A 2011-04-21 2011-04-21 화물 운반용 트롤리 KR10118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109A KR101183183B1 (ko) 2011-04-21 2011-04-21 화물 운반용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109A KR101183183B1 (ko) 2011-04-21 2011-04-21 화물 운반용 트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183B1 true KR101183183B1 (ko) 2012-09-17

Family

ID=4711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109A KR101183183B1 (ko) 2011-04-21 2011-04-21 화물 운반용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1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4915A1 (de) * 2020-06-15 2021-12-23 Naqel Company Einrichtung zum verladen von stückgut sowie dafür vorgesehenes verfahren
US11873175B2 (en) 2021-06-11 2024-01-16 Simec Systems Oy Hauling beam, hauling transporter and method for loading
WO2024033570A1 (en) 2022-08-12 2024-02-15 Simec Systems Oy Hauling beam and a hauling transpor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660A (ja) 2000-10-02 2002-04-10 Showa Aircraft Ind Co Ltd ロー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660A (ja) 2000-10-02 2002-04-10 Showa Aircraft Ind Co Ltd ロー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4915A1 (de) * 2020-06-15 2021-12-23 Naqel Company Einrichtung zum verladen von stückgut sowie dafür vorgesehenes verfahren
US11873175B2 (en) 2021-06-11 2024-01-16 Simec Systems Oy Hauling beam, hauling transporter and method for loading
WO2024033570A1 (en) 2022-08-12 2024-02-15 Simec Systems Oy Hauling beam and a hauling transpor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1949B2 (en) Elevating apparatus
EP2694405B1 (en) Container
US7686175B2 (en) Container crane
US9096382B2 (en) Protective cover for the discharge end of a conveyor
US20150225217A1 (en) Stacker crane
CN204096250U (zh) 具有锁定装置的移动托盘
KR101183183B1 (ko) 화물 운반용 트롤리
CN104334471A (zh) 用于运输尤其呈线圈的形状的产品的集装箱
KR20140097648A (ko) 화물 이송장치
CN204822704U (zh) 集装箱
CN104176353B (zh) 具有锁定装置的多功能移动托盘
US8950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loads in vehicles
CN109017851B (zh) 一种货车用顶盖开闭装置
KR101699449B1 (ko) 스태커 크레인
KR100794173B1 (ko)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CN209161412U (zh) 一种集装箱装卸车
CN209161399U (zh) 一种多功能装卸车的支撑板调节机构
CN112938522A (zh) 一种港口货物快速装卸的转运装置
KR101039040B1 (ko) 화물 운반용 트롤리
CN209161400U (zh) 一种多功能装卸车
CN220148379U (zh) 转运料框及输送***
KR102174719B1 (ko)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KR20060033750A (ko) 염전용 소금적재시스템
CN219341615U (zh) 一种用于施工升降机的缓冲器
CN209177945U (zh) 一种槽罐装卸车的横架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