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290B1 - 전복 가두리 하부틀 - Google Patents

전복 가두리 하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290B1
KR101180290B1 KR1020120006635A KR20120006635A KR101180290B1 KR 101180290 B1 KR101180290 B1 KR 101180290B1 KR 1020120006635 A KR1020120006635 A KR 1020120006635A KR 20120006635 A KR20120006635 A KR 20120006635A KR 101180290 B1 KR101180290 B1 KR 10118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abalone
side wall
bottom plate
wa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이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영 filed Critical 이주영
Priority to KR1020120006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 가두리 양식에 사용되어지는 전복 가두리 하부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의 흐름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방으로 촘촘하게 형성되어진 물빠짐구멍(111)이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힌지브라켓(113)이 등간격을 이루며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부재(110)에 하부 가장자리에 체결요부(129)를 갖고 등간격으로 형성되어진 연결용힌지브라켓(126)을 바닥판부재(110)의 체결요부(116)에 이물림한 상태에서 연결봉(160)으로 연결하고, 바닥판부재(110)에 대하여 수직하는 상태로 연결되어진 측벽판부재(120)의 양측으로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126a)을 서로 연결되는 측벽판부재(120) 체결요부(129a)로 이물림시켜 연결봉(170)으로 연결조립하여 하부틀(100)을 구성한 후, 개구된 상부를 측벽판부재(120) 상연부로 형성된 그물고정부(127)에 그물(140)을 고정시켜 내부로 위치하는 전복집(10)이 이탈되어지지 않도록 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전복 가두리 하부틀{A lower mold of abalone cage}
본 발명은 전복 가두리 양식에 사용되어지는 전복 가두리 하부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복 가두리 하부틀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복 양식장의 여건에 따라 전복 가두리 하부틀의 크기를 조절 설치할 수 있고, 가두리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복 가두리 양식에 사용되었던 전복 가두리 하부틀의 재사용율을 높여 전복 가두리 양식에 따른 투자비용의 최소화와 함께 생산원가 절감 및 그로 인한 양식 전복의 시장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복의 종류는 세계적으로 약 100여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 연안에는 참전복을 비롯하여, 말전복, 까막전복, 시볼트전복, 오분자기 및 마대오분자기 등이 5종의 전복이 분포하고 있다.
전복은 눈이 침침하고 빽빽한 시신경 피로 증세를 가라앉히는 데 탁월한 효능이 있다. 전복의 껍질은 한방에서도 석결명(石決明)이라 하여 결막염과 백내장 등에 요긴하게 쓰이고 있다. 또 목이 타거나 가슴이 저며오는 증상을 해소하고 간장 기능을 강화하며, 몸이 허약할 때 전복을 끓여 먹으면 기운이 나며, 소변이 잘나오게 되고, 황달이나 방광염에도 도움이 된다.
전복은 배설물조차 영양가치가 뛰어나 당뇨병과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전복에는 단백질이 풍부하여 그것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 다양하고 인, 철, 요오드 등 미네랄과 비타 민도 풍부하다.
그래서 전복은 예로부터 고급 수산물로 취급되었는데, 피부미용, 자양강장, 산후조리, 허약체질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어 식용 뿐만 아니라 약용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도 많다.
전복은 요오드 함량이 높다. 머리가 아프거나 울리며 혀와 목이 마르는 증세가 있을 때 전복을 먹으면 신기하게 낫기 때문에 간의 힘을 키워준다고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옛날부터 산후 7일 안에 산모의 젖이 나오지 않을 때 전복을 고아 먹이면 큰 효과를 본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는 전복에 미네랄이 많기 때문이다. 또 전복은 고단백 성분이라 체내 흡수율이 높아서 임산부, 비만증, 간 경화증에도 좋은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체에 다양한 영양소를 제공하는 전복은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 작금에 이르러서는 양식을 통해 수요를 충족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복의 가두리 양식은 육상수조식과 해상가두리식으로 구분되어진다.
상기 양식방법중 육상수조식은 제주도에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고, 다른 해안지역에서는 해상가두리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전복 가두리 양식중 해양가두리 양식에 사용되어지는 전복 가두리 하부틀은 파이프부재를 연결니플과 엘보 및 T형 이음부재등을 이용하여 직육면체가 되게 형틀을 만든 상태에서 그물을 감싸 전복 가두리 하부틀을 제작하게 된다.
도1은 종래 전복 가두리 하부틀의 개략도로써, 형틀의 외측으로 그물을 위치시켜 상기 형틀을 싸게 된다.
형틀에 그물을 고정시킬 때에는 연결끈을 이용하게되고, 연결끈을 이용하여 그물을 형틀에 고정시킬 때에는 연결끈을 그물의 그물코로 관통시켜 돌려 감는 방식으로 파이프부재에 그물의 연부를 감아 고정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틀에 그물을 연결끈으로 고정시켜 제작되어지는 전복 가두리 하부틀은 연결끈을 그물의 그물코에 촘촘히 관통시켜 가면서 작업하는 것이어서 전복 가두리 하부틀 하나를 완성하데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하루에 4개이상을 제작할 수 없는 구조적 단점을 가지고 있어 긴급히 전복 가두리 하부틀을 공급 받아야 할 때 공급 받지 못하는 수급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전복 가두리 하부틀은 그 비용이 고가이어서 재사용을 하게되는데, 그물을 씌워서 된 종래 전복 가두리 하부틀은 그물에 붙은 각종 어폐류(석화, 따개비 등)가 고압세척을 통해서도 깨끗하게 제거되어지지 않아 회수되 전복 가두리 하부틀중 재사용되어지는 수량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재사용율을 높일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종래 전복 가두리 하부틀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물의 흐름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멍이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을 연결용힌지브라켓이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부재에 하부와 양측으로 연결용힌지브라켓을 구비한 측벽판부재를 조립하여 하부틀을 구성한 후, 개구된 상부를 측벽판부재 상연부로 고정되어지는 그물망으로 덮어 내부로 위치하는 전복집이 이탈되어지지 않도록 한 것으로써, 전복 가두리 하부틀을 조립식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형틀에 그물이 씌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그물코 하나하나에 연결끈을 끼워 엮어가면서 생산하였던 제작방법에서 탈피함에 따라 전복 가두리 하부틀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였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에 따른 전복 가두리 하부틀의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였으며, 전복을 출하하여 비워진 전복 가두리 하부틀을 재사용할 때 전복 가두리 하부틀에 붙은 어폐류(석화, 따개비 등)가 쉽게 떨어져 고가인 전복 가두리 하부틀을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고, 전복 가두리의 재사용율을 높임으로써, 전복 양식에 따른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전복 가두리 하부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방형 (正方形)으로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는 물빠짐구멍이 사방으로 연속반복 형성되어져 있되, 파고에 의한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격자형의 보강리브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측벽판부재의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연결용힌지브라켓들이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부재와;
상기 바닥판부재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물이 원활하게 통과하여 파고에 의한 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물빠짐구멍이 사방으로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지않도록 하는 격자형의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가장자리에 바닥판부재의 연결용힌지브라켓들 사이로 형성되어진 체결요부로 위치하여서 관통되는 연결봉에 의해 연결되어지는 연결용힌지브라켓들이 체결요부를 사이에 두고 등간격을 이루며 아래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서로의 체결요부로 이물림위치하여 연결봉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용힌지브라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그물이 지그재그로 압박물림되어지도록 하는 두줄띠돌기를 포함하는 그물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판부재와;
상기 측벽판부재의 그물고정부에 대하여 면접촉되어지고, 상기 그물고정부의 두줄띠돌기가 삽입되어지는 두줄띠홈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못에 의해 그물고정부에 대하여 압박되어 그물이 지그재그 물림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졸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부재의 체결요부는 측벽판부재 조립시에 수직한 상태가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살짝 기울어지는 예각을 이루도록 하는 회전곡선면이 상부쪽에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측벽판부재가 외측으로 젖혀져 벌어졌을 때 수평 이상으로 젖혀지지 않게 하는 버팀직선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판부재의 하부 체결요부는 바닥판부재의 내측으로 살짝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해주는 회전곡선면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바닥판부재의 버팀직선면에 대하여 버팀되어지는 버팀직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복 가두리 하부틀은 정방형 (正方形)의 바닥판부재 가장자리로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을 서로 마주하게 한 다음 바닥판부재의 체결요부로 이물림시켜 연결봉으로 연결 다수개로 바닥판부재를 형성하고, 다수의 바닥판부재의 연결로 이루어진 상기 바닥판부재의 가장자리로 위치한 체결요부에 측벽판부재의 아래로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을 이물림시켜 연결봉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측벽판부재의 좌우측으로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과 그 사이로 형성된 체결요부를 이물림시켜 측벽판부재를 연결봉으로 서로 연결하여 크기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판부재의 그물고정부로 고정되는 그물은 피라미드형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전복 가두리 하부틀은, 물의 흐름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방으로 촘촘하게 형성되어진 물빠짐구멍(111)이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힌지브라켓(113)이 등간격을 이루며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부재(110)에 하부 가장자리에 체결요부(129)를 갖고 등간격으로 형성되어진 연결용힌지브라켓(126)을 바닥판부재(110)의 체결요부(116)에 이물림한 상태에서 연결봉(160)으로 연결하고, 바닥판부재(110)에 대하여 수직하는 상태로 연결되어진 측벽판부재(120)의 양측으로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126a)을 서로 연결되는 측벽판부재(120) 체결요부(129a)로 이물림시켜 연결봉(170)으로 연결조립하여 하부틀(100)을 구성한 후, 개구된 상부를 측벽판부재(120) 상연부로 형성된 그물고정부(127)에 그물(140)을 고정시켜 내부로 위치하는 전복집(10)이 이탈되어지지 않도록 한 것으로써,
첫째,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을 조립식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형틀에 그물이 씌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그물코 하나하나에 연결끈을 끼워 엮어가면서 생산하였던 제작방법에서 탈피함에 따라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였고;
둘째, 전복 가두리 하부틀의 생산성 향상에 따른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의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였으며;
셋째, 전복을 출하하여 비워진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을 재사용할 때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에 붙은 어폐류(석화, 따개비 등)가 쉽게 떨어져 고가(高價)인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을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고,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의 재사용율을 높임으로써, 전복 양식에 따른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어 인체에 유익한 전복의 섭취를 경제적인 부담없이 누구나가 손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그물망을 이용한 종래 전복 가두리 하부틀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복 가두리 하부틀로써, 바닥판부재와 측벽판부재를 하나 이상 연결하여서 하부틀을 형성한 일 실시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복 가두리 하부틀의 일부를 발췌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복 가두리 하부틀을 구성하는 부품을 상세히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복 가두리 하부틀을 구성하는 바닥판부재의 연결용힌지브라켓 부위를 발췌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복 가두리 하부틀을 구성하는 측벽판부재의 하부 연결용힌지브라켓 부위를 발췌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복 가두리 하부틀을 구성하는 측벽판부재의 상연부를 형성되어진 그물고정부를 발췌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복 가두리 하부틀 내부에 전복집이 위치하여진 상태를 보인 예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복 가두리 하부틀에 그물망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복 가두리 하부틀을 구성하는 바닥판부재의 저면을 보인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은,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부재(110)와,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가장자리로 연결되어 측벽을 이루는 측벽판부재(120) 및 상기 측벽판부재(120)의 상연부로 형성된 그물고정부(127)에 고정되어지는 고정졸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판부재(110)는 정방형 (正方形)으로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는 물빠짐구멍(111)이 사방으로 연속반복 형성되어져 있다.
파고에 의한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격자형의 보강리브(112)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측벽판부재(120) 또는 하나 이상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연결용힌지브라켓(113)들이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부재(110)에 조립 설치되는 측벽판부재(120)는, 상기 바닥판부재(110)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물이 원활하게 통과하여 파고에 의한 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물빠짐구멍(121)이 사방으로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다.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지않도록 하는 격자형의 보강리브(122)가 외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가장자리에는 바닥판부재(110)의 연결용힌지브라켓(113)들 사이로 형성되어진 체결요부(116)로 위치하여서 관통되는 연결봉(160)에 의해 연결되어지는 연결용힌지브라켓(126)들이 체결요부(129)를 사이에 두고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양측면에는 서로의 체결요부(129a)로 이물림위치하여 연결봉(170)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용힌지브라켓(126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에는 그물(140)이 지그재그로 압박물림되어지도록 하는 두줄띠돌기(128)를 포함하는 그물고정부(12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측벽판부재(120)의 상연부로 형성된 그물고정부(127)에 대하여 면접촉되어지는 고정졸대(130)는 상기 그물고정부(127)의 두줄띠돌기(128)가 삽입되어지는 두줄띠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물고정부(127)에 대하여 접촉 고정되어지는 고정졸대(130)는 나사못에 의해 그물고정부(127)에 대하여 압박되어 그물(140)이 지그재그 물림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하는 것이다.
상기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은 정방형 (正方形)의 바닥판부재(110) 가장자리로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113)을 서로 마주하게 한 다음 바닥판부재(110)의 체결요부(116)로 이물림시켜 연결봉(160)으로 연결 다수개로 바닥판부재(110)를 형성하기도 한다.
삭제
삭제
다수의 바닥판부재(110)의 연결로 이루어진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가장자리로 위치한 체결요부(116)에 측벽판부재(120)의 아래로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126)을 이물림시켜 연결봉(160)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측벽판부재(120)의 좌우측으로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126a)과 그 사이로 형성된 체결요부(129a)를 이물림시켜 측벽판부재(120)를 연결봉(170)으로 서로 연결 구성하여 그 크기를 조절할 수있는 것이다.
상기 측벽판부재(120)의 그물고정부(127)로 고정되는 그물(140)은 피라미드형을 이루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을 구성할 때에는 전복 가두리 양식장의 조건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하여 구성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의 기존 조립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판부재(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판부재(120)를 조립하게 되는데, 바닥판부재(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113)에 측벽판부재(120)의 하부로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126)을 나란히 일치시킨 상태에서 연결봉(160)을 관통시켜 조립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연결용힌지브라켓(113)과 측벽판부재(120)의 연결용힌지브라켓(126)이 나란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연결용힌지브라켓(113)과 상기 연결용힌지브라켓(126) 사이에 체결요부(116)(129)를 각각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닥판부재(110)의 가장자리로 벽판부재(120)가 조립되어진면, 상기 측벽판부재(120)의 양쪽으로 체결요부(129a)를 포함하고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126a)을 이물림시켜 나란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봉(170)을 관통시켜 측벽판부재(120)를 서로 연결시켜 준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바닥판부재(110)와 측벽판부재(120)의 조립으로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이 완성되어지면, 상기 측벽판부재(120)의 상연부에 형성되어진 그물고정부(127)에 그물(140) 단부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그물고정부(127)에 고정졸대(130)를 접촉시켜 나사못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나사못에 의해 고정졸대(130)가 측벽판부재(120)의 그물고정부(127)에 압박되어짐으로써, 그물(140)이 도7에서와 같이 두줄띠돌기(128)과 두줄띠홈(131)에 의해 지그재그로 물림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지는 그물(140)은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내에 도 8에서와 같이 전복집(10)을 위치시킨 후, 그물(140)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바닥판부재(110) 다수개를 연결하여서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을 형성한 일 실시예로써,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의 크기는 바닥판부재(110)의 연결 갯수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조립형성되어지고, 전복과 함께 전복집(10)이 내부로 위치한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을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해안에 설치되어있는 가두리프레임(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쪽에 위치하도록 침강시켜 전복을 양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바닷물에 본 발명의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을 침강시켜 전복을 양식할 때 바닥판부재(110)와 측벽판부재(120)에 그물망에 대응하는 기능을 발휘할 정도의 물빠짐구멍(111)(121)을 각각 가지고 있어 해류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 되어 안정적인 전복 양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0 : 전복 가두리 하부틀 110 : 바닥판부재
111,121 : 물빠짐구멍 112,122 : 보강리브
113,126,126a : 연결용힌지브라켓 116,129,129a : 체결요부
120 : 측벽판부재 127 : 그물고정부
128 : 두줄띠돌기 130 : 고정졸대
131 : 두줄띠홈 140 : 그물
160,170 : 연결봉

Claims (4)

  1. 정방형 (正方形)으로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는 물빠짐구멍(111)이 사방으로 연속반복 형성되어져 있되, 파고에 의한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격자형의 보강리브(112)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측벽판부재(120)의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연결용힌지브라켓(113)들이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부재(110)와;
    상기 바닥판부재(110)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물이 원활하게 통과하여 파고에 의한 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물빠짐구멍(121)이 사방으로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지않도록 하는 격자형의 보강리브(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가장자리에 바닥판부재(110)의 연결용힌지브라켓(113)들 사이로 형성되어진 체결요부(116)로 위치하여서 관통되는 연결봉(160)에 의해 연결되어지는 연결용힌지브라켓(126)들이 체결요부(129)를 사이에 두고 등간격을 이루며 아래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서로의 체결요부(129a)로 이물림위치하여 연결봉(170)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용힌지브라켓(1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그물(140)이 지그재그로 압박물림되어지도록 하는 두줄띠돌기(128)를 포함하는 그물고정부(127)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판부재(120)와;
    상기 측벽판부재(120)의 그물고정부(127)에 대하여 면접촉되어지고, 상기 그물고정부(127)의 두줄띠돌기(128)가 삽입되어지는 두줄띠홈(131)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못에 의해 그물고정부(127)에 대하여 압박되어 그물(140)이 지그재그 물림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졸대(1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가두리 하부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 가두리 하부틀(100)은 정방형 (正方形)의 바닥판부재(110) 가장자리로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113)을 서로 마주하게 한 다음 바닥판부재(110)의 체결요부(116)로 이물림시켜 연결봉(160)으로 연결 다수개로 바닥판부재(110)를 형성하고, 다수의 바닥판부재(110)의 연결로 이루어진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가장자리로 위치한 체결요부(116)에 측벽판부재(120)의 아래로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126)을 이물림시켜 연결봉(160)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측벽판부재(120)의 좌우측으로 형성된 연결용힌지브라켓(126a)과 그 사이로 형성된 체결요부(129a)를 이물림시켜 측벽판부재(120)를 연결봉(170)으로 서로 연결하여 크기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가두리 하부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판부재(120)의 그물고정부(127)로 고정되는 그물(140)은 피라미드형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가두리 하부틀.



KR1020120006635A 2012-01-20 2012-01-20 전복 가두리 하부틀 KR101180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635A KR101180290B1 (ko) 2012-01-20 2012-01-20 전복 가두리 하부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635A KR101180290B1 (ko) 2012-01-20 2012-01-20 전복 가두리 하부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290B1 true KR101180290B1 (ko) 2012-09-06

Family

ID=4707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635A KR101180290B1 (ko) 2012-01-20 2012-01-20 전복 가두리 하부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2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8659A (zh) * 2013-10-31 2014-01-22 广东海洋大学 一种可防止幼鲍脱板死亡的育苗装置及其方法
KR20160056603A (ko) 2014-11-12 2016-05-20 최성오 전복 양식용 해상가두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689Y1 (ko) 2002-09-16 2003-02-12 김분도 해상 가두리 양식장용 전복 양식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689Y1 (ko) 2002-09-16 2003-02-12 김분도 해상 가두리 양식장용 전복 양식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8659A (zh) * 2013-10-31 2014-01-22 广东海洋大学 一种可防止幼鲍脱板死亡的育苗装置及其方法
CN103518659B (zh) * 2013-10-31 2015-03-25 广东海洋大学 一种可防止幼鲍脱板死亡的育苗装置及其方法
KR20160056603A (ko) 2014-11-12 2016-05-20 최성오 전복 양식용 해상가두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927687Y (zh) 水蛭养殖箱
CN106577561A (zh) 一种诱捕纳苗并养殖黄斑篮子鱼的方法
CN106172101A (zh) 一种月鳢仿生态繁殖与健康高效养殖方法
KR101180290B1 (ko) 전복 가두리 하부틀
CN107087566A (zh) 一种可调式甲鱼晒背台
CN204540396U (zh) 鳡鱼亲鱼产卵及受精卵自动收集多功能池
CN201781861U (zh) 一种捕鱼篓
CN103782971A (zh) 一种黄颡鱼的捕捞方法
CN206963711U (zh) 一种用于养殖棘腹蛙的装置
KR101479839B1 (ko) 관상어 번식 축양용 복합수조
CN204090771U (zh) 一种箱式青蟹养殖装置
CN203748449U (zh) 养殖网箱
CN206851787U (zh) 一种可调式甲鱼晒背台
CN207589868U (zh) 一种水产养殖池及水产养殖房
CN104521849A (zh) 一种大闸蟹的养殖方法
CN103621473A (zh) 一种水蛭精养池
CN205596896U (zh) 一种固定式且易清洗银鲳养殖用网具
CN210782582U (zh) 一种便于拆装的水产养殖用水隔网
CN209268476U (zh) 一种可拆卸捕蛇笼
CN209527593U (zh) 一种蛤蟆养殖用防护网
CN207167486U (zh) 泥鳅捕捞网箱
CN207185684U (zh) 一种养殖棘腹蛙的装置
CN205596894U (zh) 银鲳池塘养殖用围网
CN205962419U (zh) 贻贝筏式养殖区中鱼类幼体的采集网
CN218073102U (zh) 一种方便取卵的蛙类养殖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