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556B1 - Device having the humidifier funtion - Google Patents

Device having the humidifier fu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556B1
KR101179556B1 KR1020100005475A KR20100005475A KR101179556B1 KR 101179556 B1 KR101179556 B1 KR 101179556B1 KR 1020100005475 A KR1020100005475 A KR 1020100005475A KR 20100005475 A KR20100005475 A KR 20100005475A KR 101179556 B1 KR101179556 B1 KR 101179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way
stopper
pores
symptoms
hemi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5605A (en
Inventor
정진구
Original Assignee
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구 filed Critical 정진구
Priority to KR102010000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556B1/en
Publication of KR2011008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6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5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도 내에 직경이 축소된 부위를 가지는 환자들에게 발생하는 코골이 증상이나, 알레르기 증상 및 구강내 염증 증상을 완화시키는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공이 형성된 얇은 원단을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마개부; 및 상기 반구형의 마개부 내측에 구비되는 기공부;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a humidification function to alleviate snoring symptoms, allergy symptoms and inflammation symptoms in the oral cavity that occur in patients having a reduced diameter in the airway. It is to provide a mechanism having.
For this purpose, the stopper to form a thin fabric with pores formed hemispherical; And pores provided inside the hemispherical stopper; It discloses a mechanism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include.

Description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Device having the humidifier funtion}Device having the humidifier function {Device having the humidifier funtion}

본 발명은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골이 증상과 호홉기 질환 및 비구강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capable of preventing snoring symptoms, snoring disease and non-oral disease.

도 1은 코골이 환자의 측면 X레이 사진이다. 도 1을 보면, 코골이 환자의 기도는 마치 협곡처럼 직경이 급격하게 좁아지는 부위가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부위가 나타난 부위 근방에 적색원으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부위는 환자가 수면중에 입속의 혀가 뇌 뒤쪽으로 밀리면서 기도 주변의 근육들이 쳐지게 됨에 따라 형성되기도 하며, 비만 등의 원인으로도 발생하게 된다.1 is a side x-ray of a snoring patient. Referring to FIG. 1, the airway of a snoring patient has an area where the diameter narrows sharply like a canyon. In FIG. 1, a red circle is shown near the site where the site appears. These areas are formed as the tongue in the mouth is pushed to the back of the brain while the patient is sleeping, and the muscles around the airways are struck and may be caused by obesity.

이와 같이 기도가 급격히 축소되는 부위가 발생하게 되면, 좁아진 기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는 빨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기도 내의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코의 내부 압력이 감속하게 되면, 주변 근육들이 공기가 빠르게 흘러가는 쪽으로 모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airway is rapidly reduce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narrowed airway becomes faster and thus the pressure in the airway decrease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nose slows down, the surrounding muscles gather toward the fast flowing air.

즉, 환자의 기도 가운데 특정 부근이 좁아지기 시작하면, 베르누이의 정리에서 보듯이 직경이 좁아진 기도 부근을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는 더욱 빠르게 흘러가게 되고, 직경이 좁아진 기도 부근을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은 감소하여 저기압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직경이 좁아진 기도 부근을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이 주변의 압력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직경이 좁아져 막힌 기도 주변의 근육은 더욱 안 쪽으로 당겨지는 현상(suction)이 발생하게 되고, 환자의 기도는 점점 더 막히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결국 숨을 쉬면서 시간이 갈수록 증상이 악화된다. In other words, when a specific area of the patient's airway begins to narrow, the velocity of air passing near the narrowed airway flows faster, as shown by Bernoulli's theorem, and the pressure of air passing near the narrowed airway Decreases to form a low pressure. As a result, the press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narrowed airway is lower than the surrounding pressure, so that the muscles around the narrowed airway are pulled further inward, and the patient's airway The result is more and more clogged. Thus, the patient eventually exhales and the symptoms worsen over time.

이 경우, 환자는 직경이 축소된 기도 부근에 공기가 압축되어 있다가 나오면서 공기분자의 진동에 의해 음파가 발생되어 코골이 소리가 나게 된다. 이러한 코골이 소리는 많이 알려진 바와 같이 다른 사람이 숙면의 방해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patient is compressed in the vicinity of the airway is reduced in diameter while the sound waves are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air molecules snoring sounds. This snoring sound, as is well known, will cause problems that interfere with other people's sleep.

또한, 직경이 좁아진 상태의 환자는 직경이 좁아진 기도 부근의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저항이 증가된 기도 부근의 혈액은 기도의 열림과 닫힘의 반복적인 작용에 의해 산성화를 띄게 된다. 따라서, 기도 부근의 혈액이 산성화된 사람은 꽃가루 알레르기 현상이 발생되어 지속적인 재채기 증상과 함께 지속적으로 콧물을 흘리게 된다.In addition, the patient in the narrowed diameter increases resistance near the narrowed airway, and the blood near the increased airway becomes acidified by the repeated a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airways. As a result, people whose blood has been acidified near the airways may develop pollen allergies and cause a continuous runny nose with persistent sneezing symptoms.

더불어, 기도 부근의 혈액이 산성화된 사람은 타액도 산성화되는데, 이 경우, 산성화된 타액은 타액내의 박테리아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면, 박테리아수가 증가된 타액은 구강내에 흘러드는 경우에 구강내에 염증을 증가시키게 되며, 박테리아수가 증가된 타액에 의해 각종 구강염을 발생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ose whose blood has been acidified near the airways also acidify saliva, in which case the acidified saliva increases the number of bacteria in the saliva. Then, saliva with an increased bacterial count increases inflammation in the oral cavity when it flows into the oral cavity, and various saliva is caused by the saliva with an increased bacterial count.

특히, 상기도에서 하기도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낮은 상태 즉, 건조한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각종 호홉기 질환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상기도에서 하기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매우 낮은 상태에서 찬공기를 장시간 동안 호홉하는 경우에도 각종 호홉기 질환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호홉기의 건조 현상 및 찬공기의 지속적인 유입은 노인들의 수면중 자연사와 관계가 있는 사실로도 보고되고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humidity of the air flowing into the lower airway in the upper airway is low, that is, when it is in a dry state, various types of hop hop disease are generated. In the case of hopping, various hopping diseases are generated. The drying phenomenon of the hopper and the continuous inflow of cold air have been reported to be related to the natural history of the elderl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도에서 하기도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찬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chanism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to maintain the humidity of the air flowing into the lower airway in the upper airway at the same time and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cold air.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도 내에 직경이 축소된 부위를 가지는 환자들에게 발생하는 코골이 증상이나, 알레르기 증상 및 구강내 염증 증상을 완화시키는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to alleviate snoring symptoms, allergic symptoms and oral inflammation symptoms occurring in patients having a reduced diameter portion in the airways.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는 기공이 형성된 얇은 원단을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마개부; 및 상기 반구형의 마개부 내측에 구비되는 기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반구형의 형성되는 상부와 대향하는 하부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구비되는 기구에 있어서,
체내에 삽입되어 의학적 역할을 하는 상기 마개부 및 기공부는 두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쌍의 마개부 및 기공부에는 각각 상기 마개부와 상기 기공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두 쌍의 관통홀 각각에 삽입되는 'v'자형의 탄성지지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는 최외각 직경이 10mm 내지 15mm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pparatus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stopper to form a thin fabric with pores formed hemispherical; And pores provided inside the hemispherical stopper; In the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is formed with a concave lower surface facing the upper portion is formed hemispherical,
The stopper and the pores inserted into the body to play a medical role are composed of two pairs,
The pair of plugs and the pores are formed with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plug and the pores, respectively.
An 'v' shaped elastic support inserted into each of the pair of through holes; Contains more
The sto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most diameter is formed between 10mm to 15m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호홉기가 건조해지는 것을 예방하므로, 여러가지 호홉기 질환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rying of the hop hop group,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various hop hop diseases.

또한, 본 발명은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를 착용한 환자의 비강으로 찬공기가 직접 유입되지 않게 하므로, 따듯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호홉기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old air from directly flowing into the nasal cavity of a patient wearing a device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thereby allowing the inhalation of warm air, thereby preventing problems in the hop hop system.

또한, 본 발명은 기도 내에 직경이 축소된 부위를 가지는 환자들의 코구멍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줄여 기도내의 압력 변동을 없앰으로써 썩션(suction)현상에 의한 기도 축소 현상이 예방되므로, 코콜이 증상이나 알레르기 증상 및 구강내 염증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irway contraction due to suction phenomenon by reducing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nasal cavity of patients having a diameter-reduced portion in the airway to prevent pressure changes in the airway. It has the effect of relieving allergic symptoms and inflammation of the mouth.

도 1은 코골이 환자의 측면 X레이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를 코에 착용한 환자의 코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1 is a side x-ray picture of a snoring pati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chanism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nose of the patient wearing a device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과, 상기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 및, 상기 구성 요소들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echanism having the humid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and the role of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chanism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는 마개부(10) 및, 기공부(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는 탄성지지체(30);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instrument 1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cluding a stopper 10, and a pore 20. In addition, the mechanism (1)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astic support (30); It may be formed to include more.

상기 마개부(10)는 기공이 형성된 얇은 원단을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마개부(10)는 상부 원단(11)과 하부 원단(1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원단(11)은 얇은 원단이 둥근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원단(12)은 얇은 원단이 둥근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부 원단(11)의 외경 부근과 하부 원단(12)의 외경 부근은 접착등의 방법으로 결합 될 수 있으며, 하부원단의 원호의 내경은 상부 원단(11)의 원호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부 원단(11)과 하부 원단(12) 사이에 빈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마개부(10)를 구성하는 상부 원단(11)과 하부 원단(12)은 기공이 형성되며, 통기성이 좋은 부직포와 같은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마개부(1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마개부(10)는 상부 원단(11)의 상부 방향으로 사람의 코구멍 내부에 삽입되며, 사람의 코구멍으로 들어오는 미세 먼지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마개부(10)는 사람이 숨을 들이쉬는 경우에 기도 속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완충시킴으로써, 기도 내부에 압력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마개부(10)를 삽입한 환자는 기도 내부에 압력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게 되고, 기도 내의 직경이 급속히 축소된 부위의 근육이 썩션 현상을 일으키지 않아 코골이 증상이 방지되고, 알레르기 증상이나 구강내 염증 증상이 완화 또는 예방된다.The stopper 1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thin fabric having pores. In this case, the stopper 10 may be formed to include the upper fabric 11 and the lower fabric 12. The upper fabric 11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of a thin fabric, the lower fabric 12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of a thin fabric. In this case, near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fabric 1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fabric 12 may be combined by bonding, etc., the inner diameter of the arc of the lower fabric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arc of the upper fabric (11). As a result,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fabric 11 and the lower fabric 12. The upper fabric 11 and the lower fabric 12 constituting the stopper 10 is formed with pores, it may be made of a non-woven fabric, such as breathable good.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stopper 10 is not limited. The stopper 10 is inserted into the human nose hol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upper fabric 11, and serves as a filter to filter out fine dust or foreign matter entering the human nose hole. In addition, the stopper 10 serves to prevent a change in pressure inside the airway by buffering the speed of air flowing into the airway when a person inhales. Therefore, the patient inserting the stopper 10 does not change the pressure inside the airway, the muscles of the rapidly reduced diameter in the airway does not cause swelling symptoms, snoring symptoms are prevented, allergy symptoms or Symptoms of oral inflammation are alleviated or prevented.

또한, 마개부(10)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상부 원단(11)과 대향하는 하부 원단(12)의 하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마개부(10)는 하부 원단(12)의 하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사람의 코구멍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람이 코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경우, 마개부(10)의 하부가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마개부(10)와 공기의 접촉 면적은 넓어 지게 된다. 그 결과, 마개부(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줄어들게 되며, 기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도 즐어들게 된다. 즉, 숨을 들이쉬는 사람은 기도 내부에 압력 변화가 심하게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개부(10)를 삽입한 환자는 기도 내부에 압력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게 되고, 기도 내의 직경의 급속히 축소된 부위의 근육이 썩션 현상을 일으키지 않아 코골이 증상이 방지되고, 알레르기 증상이나 구강내 염증 증상이 완화 또는 예방된다.In addition, the stopper 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13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abric 12 opposing the upper fabric 11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is concave. Here, the stopper 10 is disposed inside the nose hole of a person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abric 12 is concave. In this state, when a person inhales air through the nose, the lower portion of the plug 10 is concave, so th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lug 10 and the air becomes wider. As a result,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stopper 10 is reduced, and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airway is enjoyed. In other words, the person who breathes is not severely changed pressure inside the airway. Therefore, the patient inserting the stopper 10 does not change the pressure inside the airway, the muscles of the rapidly reduced portion of the diameter in the airway does not cause swelling symptoms, snoring symptoms are prevented, allergy symptoms or Symptoms of oral inflammation are alleviated or prevented.

또한, 마개부(10)는 최외각 직경이 10mm 내지 15mm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개부(10)는 사람의 코구멍을 막은 상태에서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10mm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마개부(10)는 최외각 직경이 15mm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 마개부(10)가 코구멍 내부에서 휘어지거나 구겨져 마개부(10)와 코구멍 사이로 빈틈이 발생되므로써, 마개부(10)가 코구멍을 막지 못해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the stopper 10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outermost diameter of 10mm to 15mm. This stopper 10 should be formed larger than 10mm because it exerts an effect in the state of clogging the human nose. In addition, when the plug portion 10 is formed with an outermost diameter greater than 15 mm, the plug portion 10 is bent or wrinkled inside the nose hole, so that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plug portion 10 and the nose hole. ) Can not block the nose and can not be effective.

상기 기공부(20)는 반구형의 마개부(10) 내측에 구비된다. 이 경우, 기공부(20)는 상부 원단(11)과 하부 원단(12) 사이의 빈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공부(20)는 사람이 물을 적시거나 하여 기공 내부에 물이 함유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공부(20)는 마개부(10)가 사람의 코구멍에 삽입되는 경우, 사람의 코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람의 코구멍을 통과하여 상기도로 유입되는 공기에는 일정한 수분이 공급되므로, 하기도의 습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기공부(20)는 솜 또는 다공성 펄프와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기공부(2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pore portion 20 is provided inside the hemispherical stopper portion 10. In this case, the pore portion 20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between the upper fabric 11 and the lower fabric 12. Here, the pore portion 20 may be soaked in water by a person so that water is contained in the pores. The pore 20 serves to maintain the humidity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nose of the person to a certain level when the plug 10 is inserted into the nose of the person. Therefore, since the constant water is supplied to the air flowing into the upper airway through the human nose, the humidity of the lower airway is kept constant. These pores 20 ar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cotton or porous pulp.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pore portion 20 is not limited.

상기 탄성지지체(30)는 'v'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하 탄성지지체(30)는 고체 실리콘과 같이 연성이 강한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탄성지지체(3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elastic support 30 is formed in a 'v' shape. The elastic support 30 may be formed of a ductile resin material such as solid silicon.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elastic support 30 is not limited.

이 경우, 마개부(10) 및 기공부(20) 두 쌍으로 구성되고, 두 쌍의 마개부(10) 및 기공부(20)에는 각각 마개부(10)와 기공부(20)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두 쌍의 관통홀(14)에는 'v'자형의 탄성지지체(30)가 삽입된다. 여기서, 'v'형의 탄성지지체(30)의 양 단부에는 두 쌍의 관통홀(14)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반구형의 걸림부(31)가 형성되어 탄성지지체(30)가 마개부(1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지지체(30)는 마개부(10)가 사람의 양 코구멍의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밖으로 이탈되거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개부(10)를 코구멍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를 이용하는 사람은 코로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도 마개부(10)가 코구멍 밖으로 이탈되거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In this case, the stopper 10 and the pore 20 are composed of two pairs, and the pair of the stopper 10 and the pore 20 are respectively centered on the stopper 10 and the pore 20. A through hole 14 may be formed therethrough, and the elastic support 30 having a 'v' shape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through holes 14. Here, both ends of the 'v' type elastic support 30 are formed with a hemispherical locking portion 31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two pairs of through holes 14, so that the elastic support 30 is a stopper 10 It can be fixed in the inserted state. The elastic support 30 serves to fix the stopper 10 in the nasal cavity so that the stopper 10 is prevented from being out of position or distorted in the state where the stopper 10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of both nose holes of the person. Therefore, the person using the device 1 having the humidifying function is prevented from being plugged out of the nose hole or distorting the position of the plug 10 even in the process of sucking air into the no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echanism 1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를 코에 착용한 환자의 코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의 기공부(20)에는 솜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환자는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의 기공부(20)에 물을 묻힌 상태로 코구멍(2)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도도 유입되는 공기는 일정량의 수분을 기공부(20)로부터 공급받게 된 상태에서 하기도로 유입된다.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nose of a patient wearing a device (1)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cotton is provided in the pore portion 20 of the mechanism 1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In this case, when the patient is used by inserting the pores 20 of the device 1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into the nasal cavity 2 while the water is buried, the air flowing into the upper airway also stores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in the pores ( 20) flows into the lower road as it is supplied from.

그러면, 하기도 내부의 습도가 유지되어 호홉기가 건조해지는 것을 예방하게 되므로, 여러가지 호홉기 질환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Then, since the humidity inside the lower airway is maintained to prevent the drying of the hops, various hopping diseases are prevented from occurring.

또한,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를 착용한 환자는 숨을 코로 들이쉬는 경우에 찬공기가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를 통해 상기도로 유입된다.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를 통해 코로 유입되는 찬공기는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에 의해 유속이 늦추어진 상태로 하기도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를 통해 하기도로 유입되는 공기는 일정 온도로 데워진 상태에서 상기도로 유입된다. 즉,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를 착용한 환자는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에 의해 찬공기가 기도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데워진 공기가 상기도로 유입되도록 하므로,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가 착용되는 비강 구간과 기도 구간에는 일정 온도가 상승된 채로 유지된다. 즉,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를 착용한 환자는 찬공기를 흡입시에도 비강 구간이 일정 온도로 상승되어 있으므로, 신체 면역이 약한 사람들이 직접 장시간 동안 찬 공기를 호홉하는 경우 체온 저하가 발생하여 호홉기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예방된다.In addition, the patient wearing the device 1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flows cold air into the upper airway through the device 1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when inhaling the breath. Cold air flowing into the nose through the humidifier 1 is passed through the lower airway with the flow rate slowed down by the humidifier 1, in which case the humidifier 1 Air flowing into the airway through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air in a state warmed to a certain temperature. That is, the patient wearing the device 1 having the humidifying function allows the warmed air to flow into the upper airway without allowing the cold air to flow directly into the airway by the device 1 having the humidifying function, and thus the device having the humidifying function 1 The nasal and airway sections where) are worn are kept at a constant temperature. That is, since the nasal cavity is elevated to a certain temperature even when inhaling cold air, the patient wearing the humidifying apparatus 1 has a low body temperature when people with weak body immunity hop directly on cold air for a long time. This prevents problems in the Hopper system.

또한,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를 착용한 환자는 숨을 코로 내쉬는 경우, 하기도에서 상기로도 유출되는 공기가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에 의해 하기도에서 상기도로 유출되는 공기의 습도가 유지된 상태로 배출된다. 따라서,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를 착용한 환자는 숨을 코로 내쉬는 경우에도 하기도와 상기도의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켜 호홉기 질환을 예방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atient who wears the device 1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exhales his breath, the air flowing out from the lower airway also flows from the lower airway to the upper airway from the lower airway by the instrument 1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Ejected in a maintained state. Therefore, a patient wearing the device 1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prevents a respiratory disease by maintaining the humidity of the lower airways and the upper airways at a constant level even when the breath is exhaled through the nose.

더불어, 도 1에서 도시된 환자는 기도의 특정 구간의 직경이 급속하게 축소된 부위를 갖고 있다. 여기서, 환자는 숨을 들이쉬는 경우에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에 의해 기도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50%정도로 줄어들게 된다. 그러면, 기도의 직경이 급속하게 축소된 부위에 발생하는 양력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25%로 줄어들게 된다.In addition, the patient shown in FIG. 1 has a site where the diameter of a particular section of the airway has been rapidly reduced. Here, when the patient inhales,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airways by the device 1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is reduced to about 50% than when the device 1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is not used. Then, the lift force generated in the portion where the diameter of the airway is rapidly reduced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speed, which is reduced by 25% compared with the case of not using the humidification function instrument 1.

그러면, 기도의 직경이 급속하게 축소된 부위는 썩션(suction)현상도 25%로 즐어들어 코골이 현상이 즐어들게 된다.Then, the area where the diameter of the airway is rapidly reduced is reduced to 25% of suction, and the snoring phenomenon is enjoyed.

이 경우,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는 환자의 코구멍(2)을 막고 있기 때문에,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1)로 유입된 공기를 압축시키게 된다. 그러면, 기도의 직경이 급속하게 축소된 부위에도 압이 높아져 직경이 급속하게 축소된 부위와 다른 구간의 압력을 동일하게 하여 압력의 변화를 거의 일정하도록 형성하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device 1 having the humidification function blocks the nose hole 2 of the patient, the air 1 is compressed into the device 1 having the humidification function. Then, the pressure is also increased in a portion where the diameter of the airway is rapidly reduced, so that the pressure is changed to be substantially constant by equalizing the pressure in the other sections with the portion where the diameter is rapidly reduced.

따라서, 기도의 직경이 축소되는 구간에서는 주변 근육과의 압차이가 줄어들어 결국 썩션(suction)현상이 감소하게 되고, 좁아진 기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압력이 생성되어 기도가 좁아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section where the airway diameter is reduced,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surrounding muscles is reduced, so that suction phenomenon is reduced, and pressure is generated to expand the narrowed airway, so that the airway narrowing can be reduced. do.

10 ; 마개부 20 ; 기공부
30 ; 탄성지지체
10; Stopper 20; Pore
30; Elastic support

Claims (4)

기공이 형성된 얇은 원단을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마개부; 및 상기 반구형의 마개부 내측에 구비되는 기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반구형의 형성되는 상부와 대향하는 하부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구비되는 기구에 있어서,
체내에 삽입되어 코골이 증상이 방지되고, 알레르기 증상이나 구강내 염증 증상이 완화 또는 예방되는 의학적 역할을 하는 상기 마개부 및 기공부는 두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쌍의 마개부 및 기공부에는 각각 상기 마개부와 상기 기공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두 쌍의 관통홀 각각에 삽입되는 'v'자형의 탄성지지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는 최외각 직경이 10mm 내지 15mm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
A stopper to form a thin fabric with pores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pores provided inside the hemispherical stopper; In the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is formed with a concave lower surface facing the upper portion is formed hemispherical,
It is inserted into the body to prevent the snoring symptoms, the stopper and the pores, which serves as a medical role to alleviate or prevent allergic symptoms or inflammation of the oral cavity consists of two pairs,
The pair of plugs and the pores are formed with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plug and the pores, respectively.
An 'v' shaped elastic support inserted into each of the pair of through holes; Contains more
The stopper has a humidify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most diameter is formed between 10mm to 15m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05475A 2010-01-21 2010-01-21 Device having the humidifier funtion KR1011795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475A KR101179556B1 (en) 2010-01-21 2010-01-21 Device having the humidifier fu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475A KR101179556B1 (en) 2010-01-21 2010-01-21 Device having the humidifier fun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605A KR20110085605A (en) 2011-07-27
KR101179556B1 true KR101179556B1 (en) 2012-09-04

Family

ID=4492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475A KR101179556B1 (en) 2010-01-21 2010-01-21 Device having the humidifier fun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55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550A (en) 2015-08-11 2017-02-22 정진구 Nose mask wra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808B1 (en) * 2020-02-13 2022-09-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Home network system to prevent sleep breathing disord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135B1 (en) * 2006-05-10 2007-06-13 정진구 Mask for no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135B1 (en) * 2006-05-10 2007-06-13 정진구 Mask for no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550A (en) 2015-08-11 2017-02-22 정진구 Nose mask wrap
KR101740633B1 (en) * 2015-08-11 2017-05-29 정진구 Nose mask w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605A (en)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1188B1 (en) Nasal 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s
JP7146796B2 (en) patient interface
US93753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reathing assistance
CA2872390C (en) Valved nasal cannula
JP7359880B2 (en) Gas flush vent for patient interface
US10806876B2 (en) Positive exhalation pressure device
CA2589922A1 (en) Respiratory devices and methods of use
JP2018523512A (en) Nostril device
JP2022125128A (en) Textile vent assembly
KR101179556B1 (en) Device having the humidifier funtion
US20220008685A1 (en) Breathing apparatus
JP7073245B2 (en) CPAP mask used for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syndrome, NPPV mask used for 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therapy, dew condensation water absorption water retention non-woven fabric with adhesive function that can adhere to the inside, impregnated or impregnated with inhalant Condensation water absorption water retention non-woven fabric with adhesive function and its mask configuration
CN205832331U (en) Wearable breathing machine
KR102494368B1 (en) Oral respiration Preventing Device
CN221084376U (en) Patient interface and heat and humidity exchanger for patient interface
WO2021117722A1 (en) Breathing apparatus
US11998696B2 (en) Patient interface and components thereof
US20230338688A1 (en) Patient interface and components thereof
CN209172651U (en) Mandibular repositioning device
JP2021083796A (en) Condensation water absorbing and retaining nonwoven fabric that is fitted to cpap or nppv mask including cut or hole for fitting, the condensation water absorbing and retaining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or containing inhalant, and mask structure thereof
CN106038036A (en) Wearable breathing machine
JP2022191123A (en) breathing apparatus
JP2007319284A (en) Mask
KR200300654Y1 (en) Dust blocking mask inserted into nostrils
AU2013100058A4 (en) NOSE BREATHING MASK The mask seals the mouth and promotes natural breathing through the nose, most healthy and effective method of breathing as air is: i) moisturized, ii) humidified, and iii) filtered. Benefits and effectiveness of nose breathing are not questionable. Feature of the mask is the development of a mouth seal. Mask allows for breathing of air at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tmospheric air quality improves quality of life, does not require electricity, and is not currently available on the mar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