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656B1 - Resorbable thin membranes - Google Patents

Resorbable thin membra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656B1
KR101178656B1 KR1020107027601A KR20107027601A KR101178656B1 KR 101178656 B1 KR101178656 B1 KR 101178656B1 KR 1020107027601 A KR1020107027601 A KR 1020107027601A KR 20107027601 A KR20107027601 A KR 20107027601A KR 101178656 B1 KR101178656 B1 KR 101178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thin
thickness
membran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6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31529A (en
Inventor
크리스토퍼 제이. 칼호운
랄프 이. 홀메스
케네트 케이. 클레인헨즈
Original Assignee
마스트 바이오서저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385,399 external-priority patent/US6673362B2/en
Application filed by 마스트 바이오서저리 아게 filed Critical 마스트 바이오서저리 아게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3/023919 external-priority patent/WO2004010851A2/en
Publication of KR2010013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5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6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5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재흡수가능한 락타이드 중합체의 얇은 멤브레인이 개시된다. 얇은 멤브레인은 잠재적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대적으로 천천히 체내로 흡수되도록 설계된 폴리락타이드의 재흡수가능한 중합체로 제작된다. 멤브레인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두께는 약 0.010 mm 내지 약 0.300 mm이다. 멤브레인은 상대적으로 높은 점도 성질을 갖는 폴리락타이드 중합체로부터 사출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을 갖도록 미리 성형될 수 있고, 멸균 패키지에 저장될 수 있다.Thin membranes of resorbable lactide polymers are disclosed. Thin membranes are made of polylactide resorbable polymers designed to be absorbed into the body relatively slowly over time to reduce potential side effects. The membrane is formed to have a very thin thickness and the thickness is from about 0.010 mm to about 0.300 mm. The membrane may be injected from a polylactide polymer having relatively high viscosity properties, may be preformed to have a relatively thick portion, and stored in a sterile package.

Description

재흡수가능한 얇은 멤브레인{RESORBABLE THIN MEMBRANES}Resorbable Thin Membrane {RESORBABLE THIN MEMBRANES}

1. 관련 출원 1.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2000년 9월 11일 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231,800호 및 2000년 3월 10일 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196,86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현재 미국특허 제6,531,146호인 2001년 3월 12일 자로 출원된 미국출원 제09/805,411호의 계속출원인 2003년 3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0/385,399호의 부분계속출원이다. 본 출원은 또한, 2002년 9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408,393호 및 2002년 7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399,79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들은 공동 양도되었으며, 이들의 내용은 모두 본원에 참고로서 명시적으로 인용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priority of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0 / 231,800, filed Sep. 11, 2000 and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0 / 196,869, filed March 10, 2000, and is currently U.S. Patent No. 6,531,146. US Patent Application Serial No. 10 / 385,399, filed March 10, 2003, filed Mar. 12, 2003, filed March 12, 2003. This application also claims the priority of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0 / 408,393, filed September 4, 2002 and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0 / 399,792, filed July 31, 2002. The above applications have been jointly assigned,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ressly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2. 발명의 분야2. Field of Inven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의학적 이식제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정하게는, 재흡수가능한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medical im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resorbable membranes and methods of using such membranes.

3. 관련 기술의 기재 3. Description of related technology

외과적 수술 또는 염증성 질환과 관련된 주요 임상적 문제는 수술 또는 질환 후의 치유 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유착이다. 유착은 비정상적 조직 연결의 형성을 수반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연결은, 예를 들면, 신체기능을 저하시키고, 불임증을 유발하고, 장 및 위장관의 다른 부분을 폐쇄시키고(장 폐쇄), 일반적인 불쾌감, 예를 들면, 골반통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상태는 어떤 경우에는 생명에 위협이 된다. 유착은 골반 염증성 질환, 기계적 부상, 방사선 치료 및 외부 물질의 존재와 같은 다른 과정 및 사건의 결과로 일어날 수도 있지만, 가장 흔한 유착의 형태는 외과적 중재의 결과로서 수술 후에 발생한다.The main clinical problem associated with surgical operations or inflammatory diseases is adhesions that appear in the early stages of the healing process following surgery or disease. Adhesions are conditions that involve the formation of abnormal tissue connections. Such linkages can, for example, reduce physical function, cause infertility, close the intestines and other part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testinal obstruction), and cause general discomfort, such as pelvic pain. The condition is in some cases life threatening. Adhesions may occur as a result of other processes and events such as pelvic inflammatory disease, mechanical injury, radiation therapy and the presence of foreign substances, but the most common form of adhesion occurs after surgery as a result of surgical intervention.

수술후 유착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행해졌다. 예를 들면, 장막 표면의 부착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의 복강 세척, 헤파린 첨가 용액, 전응고인자, 현미경 또는 내시경 기법과 같은 외과적 기법의 변형, 수술 장갑에서 활석 성분의 제거, 보다 작은 수술사의 사용 및 물리적 장벽(막, 겔 또는 용액)의 사용이 모두 시도되었다. 불행히도, 이들 방법을 사용해서는 매우 제한된 성공만을 얻을 수 있었다. 조직 부착을 제한하도록 고안된 멤브레인 및 점성 복강내 용액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장벽물질도 제한적인 성공만을 얻었다. 상기 장벽물질은 셀룰로즈성 장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물질, 및 덱스트란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event postoperative adhesions. For example, modification of surgical techniques such as abdominal lavage, heparin-added solution, precoagulant, microscopic or endoscopic techniques, removal of talc from surgical gloves, use of smaller surgeons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adhesion of the surface of the tabernacle And the use of physical barriers (membrane, gel or solution) have all been attempted. Unfortunately, using these methods yielded very limited success. Various types of barrier materials, such as membranes and viscous intraperitoneal solutions designed to limit tissue adhesion, have also had limited success. The barrier material may include a cellulosic barrier, polytetrafluoroethylene material, and dextran solution.

Tokahura 등의 미국특허 제5,795,584호는 유착방지 또는 상처 조직 축소 필름 또는 멤브레인을 개시하고, Cohn 등의 미국특허 제6,136,333호는 유사한 구조를 개시한다. Tokahura 등의 특허에서는, 생흡수성 중합체가 적합한 카보네이트와 공중합된 후, 필름과 같은 비-다공성 단일층 유착 장벽으로 형성된다. Cohn 등의 특허에서는, 우레탄 화학을 사용하여 가교결합 없이 유착방지를 위한 중합성 하이드로겔이 형성된다. 이들 특허는 모두 외과적 유착 장벽으로 사용되기 위한 특정한 구조를 생성시키는 비교적 복잡한 화학식 및(또는) 반응과 관련된다. 개선된 멤브레인에 대한 필요성은 계속되고 있다. US Pat. No. 5,795,584 to Tokahura et al. Discloses anti-adhesion or wound tissue reduction films or membranes, and US Pat. No. 6,136,333 to Cohn et al. Discloses a similar structure. In Tokahura et al., A bioabsorbable polymer is copolymerized with a suitable carbonate and then formed into a non-porous monolayer adhesion barrier such as a film. In Cohn et al., Urethane chemistry is used to form polymeric hydrogels to prevent adhesion without crosslinking. All of these patents relate to relatively complex formulas and / or reactions that create specific structures for use as surgical adhesion barriers. The need for improved membranes continues.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조직 유착을 지연시키거나 예방하고, 흉터생성을 감소시키는 다양한 외과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개선된 재흡수가능한 얇은 멤브레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비교적 단순한 화학반응 및 화학식을 요구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resorbable thin membrane tha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surgical environments, for example, to delay or prevent tissue adhesion and to reduce scarring. In addition, the polymers and co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 relatively simple chemical reactions and formulas.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 무정형 폴리락타이드, 예를 들면, 70:30 폴리(L-락타이드-코-D,L-락타이드)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흡수가능한 얇은 멤브레인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 resorbable thin membrane comprising a substantially uniform composition of amorphous polylactide, such as 70:30 poly (L-lactide-co-D, L-lactide) This is provided.

무정형 폴리락타이드 멤브레인은 약 5.5 dL/g 이상의 초기의 비교적 높은 점도 특성에서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초기의 높은 점성도는 예를 들면, 압출 공정 동안 멤브레인의 파단 또는 인렬의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멤브레인의 신뢰성 있는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공 및 멸균 후, 멤브레인의 점도 특성은 전형적으로는 보다 낮을 것이다. 압출 공정 중에 무정형 폴리락타이드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4 dL/g 보다 높은 다른 비교적 높은 점도 특성이 사용될 수 있다. 압출 공정은 편향된 분자 배향을 갖는 멤브레인을 제공한다.Amorphous polylactide membranes can be formed by extrusion at initial relatively high viscosity properties of about 5.5 dL / g or more. Initial high viscosity can facilitate reliable formation of the membrane, for example, 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fracture or tearing of the membrane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After processing and sterilization, the viscosity characteristics of the membrane will typically be lower.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amorphous polylactide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other relatively high viscosity properties higher than 4 dL / g may be us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usion process provides a membrane with deflected molecular orientat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멤브레인은 제1 실질적으로-평평한 표면 및 제2 실질적으로-평평한 표면을 가지고, 비-다공성이며, 제1 실질적으로-평평한 표면과 제2 실질적으로-평평한 표면 사이를 측정한 경우 약 0.01 mm 내지 약 0.300 mm 두께를 갖는다. 멤브레인은 하나 이상의 비교적 두꺼운 부위를 포함하는데, 이는 멤브레인의 가장자리의 하나 이상의 구획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은 다양한 횡단면 두께를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membrane has a first substantially-flat surface and a second substantially-flat surface, which is non-porous and between the first substantially-flat surface and the second substantially-flat surface. It has a thickness of about 0.01 mm to about 0.300 mm when measured. The membrane comprises one or more relatively thick sites, which may form one or more compartments of the edge of the membrane. Thus, the membrane has various cross sectional thicknesses.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특징 또는 특징의 조합은, 임의의 상기 조합에 포함된 특징이 상황, 본 명세서 및 당업자의 지식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상호 불일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 및 측면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명백하다.Any feature or combination of features described herein i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the features included in any such combination are inconsistent with the circumstances, the specification and the knowledg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Further advantages and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arent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조직 유착을 지연시키거나 예방하고, 흉터생성을 감소시키는 다양한 외과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개선된 재흡수가능한 얇은 멤브레인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resorbable thin membrane tha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surgical environments, for example, to delay or prevent tissue adhesion and to reduce scarring.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는 무정형 폴리락타이드의 분자 배향이 1축 상에 편향되어 있는 얇은 멤브레인을 도시하고;
도 1b는 무정형 폴리락타이드의 분자 배향이 2축을 향하여 편향되어 있는 얇은 멤브레인을 도시하고;
도 2a는 두꺼운 부위를 갖는 얇은 멤브레인을 도시하고;
도 2b는 멤브레인의 가장자리의 구획을 형성하는 두꺼운 부위를 갖는 얇은 멤브레인을 도시하고;
도 2c는 멤브레인의 가장자리의 구획을 형성하는 두꺼운 부위를 갖는 얇은 멤브레인을 도시하고;
도 2d 및 2e는 하나 이상의 두꺼운 부위를 갖는 멤브레인을 도시한다.
도 2f는 구멍이 있는 두꺼운 부위를 갖는 멤브레인을 도시하고;
도 3a는 척추뼈의 활모양 연골후부(판)가 외과적으로 제거된 후궁절제 과정을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의 확대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미리-형성된 실시태양에 따른 척수의 진출(exiting) 신경근에 적용하기 위한 얇은 멤브레인을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미리-형성된 실시태양에 따른 척수의 2개의 진출 신경근에 적용하기 위한 얇은 멤브레인을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3 미리-형성된 실시태양에 따른 척수의 4개의 진출 신경근에 대해 적용하기 위한 얇은 멤브레인을 도시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1A shows a thin membrane in which the molecular orientation of the amorphous polylactide is biased on one axis;
FIG. 1B shows a thin membrane in which the molecular orientation of the amorphous polylactide is biased towards biaxial;
2A shows a thin membrane with thick areas;
2B shows a thin membrane with thicker portions forming sections of the edge of the membrane;
FIG. 2C shows a thin membrane with thick areas forming sections of the edge of the membrane;
2D and 2E show membranes with one or more thick sites.
2F shows a membrane with thick areas with pores;
FIG. 3A illustrates a posterior arch resection procedure in which the posterior cartilage posterior plate of the vertebrae is surgically removed;
3B is an enlarged view of FIG. 3A;
3C shows a thin membrane for application to the exiting nerve root of the spinal cord according to a first pre-form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thin membrane for application to two advancing nerve roots of the spinal cord according to a second pre-form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5 shows a thin membrane for application to the four advanced nerve roots of the spinal cord according to a third pre-form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현재로서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현재로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대해 언급될 것이며, 이들 예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는 데에는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가능한 한 동일한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도면이 단순화된 형태이며 정확한 크기는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본원의 기재에 있어서,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한 목적으로만, 방향에 관한 용어, 예컨대, 상부(top), 하부(bottom), 왼쪽, 오른쪽, 위(up), 아래(down), 지나서(over), 그 위에(above), 그 아래에(below), 그 밑에(beneath), 후면(rear), 및 전면(front)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되어 사용된다. 상기 방향 용어들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Reference will now be made to the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in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to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par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implified and not precise in size. In the description herein, terms for orientation, such as top, bottom, left, right, up, down, over,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nly. , Above, below, below, rear, and front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rectional ter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본원의 개시내용이 특정한 도시된 실시태양을 지칭하고 있지만, 상기 실시태양은 예시를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제한을 하려는 것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하기 상세한 설명이 예시적인 실시태양을 논의하고 있지만, 이들의 의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발명의 진의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실시태양의 모든 변경물, 대안물,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disclosure herein refers to certain illustrated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s are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lth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discusses exemplary embodiments, they are intende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alternatives, and equivalents of the embodiments that may b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따른 재흡수가능한 얇은 멤브레인은 폴리락타이드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폴리락타이드는 무정형이고(이거나), 편향된 분자 배향을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무정형 폴리락타이드는 예리한 X-선 회절 다이아그램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다. 상기 중합체는 구조 단위가 3차원적 등축 (결정) 정렬로 배열된 영역을, 만일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거의 함유하지 않으며; 그들의 구조는 대략 평행하나 불충분하게 정렬되어 있는 사슬의 구획을 포함할 수 있는 긴 분자의 엉킴으로서 가시화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실질적으로 무정형"이라는 구는 본원에서 용어 무정형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태양에서 "다소 무정형" 또는 "약간 무정형"이라는 구가 본원에서 무정형이라는 용어로 치환될 수 있다. A resorbable thin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bstantially uniform composition comprising polylact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olylactide is amorphous and / or has a biased molecular orientation. As used herein, amorphous polylactide is one that does not exhibit a sharp X-ray diffraction diagram. The polymer contains little, if any, regions in which the structural units are arranged in a three-dimensional equiaxed (crystal) alignment; Their structure can be visualized by entanglement of long molecules that may comprise sections of chains that are approximately parallel but poorly aligned. In one embodiment, the phrase “substantially amorphous” may be substituted herein with the term amorphous, and in other embodiments the phrase “somewhat amorphous” or “slightly amorphous” may be substituted herein with the term amorphous.

본 발명의 장벽 멤브레인은 다양한 생분해성 물질, 예컨대 재흡수가능한 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장벽 멤브레인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비제한적인 중합체는, 락타이드 (L, D, DL, 또는 이들의 조합), 글리콜리드,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카프로락톤 및(또는) 이들의 물리화학적 조합의 중합체(예: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장벽 멤브레인은 L-락타이드 및 D,L-락타이드의 공중합체일 수 있는 폴리락타이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공중합체는 약 60-80%의 L-락타이드 및 약 20-40%의 D,L-락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공중합체가 70:30 폴리(L-락타이드-코-D,L-락타이드)를 포함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장벽 멤브레인은 하나 이상의 환형 에스테르, 예컨대 락타이드 (즉, L, D, DL, 또는 이들의 조합), ε- 카프로락톤 및 글리콜리드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 호모 및(또는)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한 실시태양의 장벽 멤브레인이 약 1 내지 99% ε-카프로락톤을 포함하거나,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장벽 멤브레인이 20 내지 40% ε-카프로락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장벽 멤브레인은 65:35 폴리(L-락타이드-코-ε-카프로락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부티로락톤, 발레로락톤, 또는 디메틸 프로피오락톤이 ε-카프로락톤과 함께 또는 이의 대체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장벽 멤브레인은 상기 언급된 폴리(L-락타이드-코-D,L-락타이드) 보다 신속하게 체내로 재흡수되는 락타이드 및 글리콜리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Barrier membranes of the invention can be made from a variety of biodegradable materials, such as resorbable polym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non-limiting polymers that can be used to form the barrier membranes of the invention include lactide (L, D, DL, or a combination thereof), glycolide, trimethylene carbonate, caprolactone, and / or ) Polymers of these physicochemical combinations, such as copolymers. In one embodiment, the barrier membrane comprises polylactide, which may be a copolymer of L-lactide and D, L-lactide. For example, the copolymer may comprise about 60-80% L-lactide and about 20-40% D, L-lactide, in preferred embodiments the copolymer is 70:30 poly (L- Lactide-co-D, L-lactide). In one embodiment, the barrier membrane is a polymer derived from one or more cyclic esters, such as lactide (ie, L, D, DL, or a combination thereof), ε-caprolactone and glycolide (eg, homo and / or) Copolymer). For example, one embodiment of the barrier membrane may comprise about 1-99% ε-caprolactone, or in another embodiment the barrier membrane may comprise 20-40% ε-caprolactone. In one example, the barrier membrane comprises 65:35 poly (L-lactide-co-ε-caprolactone). In other embodiments, butyrolactone, valerolactone, or dimethyl propiolactone may be used with or as the ε-caprolactone. In other embodiments, the barrier membrane may comprise a copolymer comprising lactide and glycolide that is reabsorbed into the body more quickly than the aforementioned poly (L-lactide-co-D, L-lactide). .

현재로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얇은 멤브레인은 예를 들면 당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압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압출 공정을 사용하면 멤브레인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압출 기법에 의해 제조된 멤브레인은 그 멤브레인 내에 용매가 갇히는 현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고, 또한, 미리 결정된 분자 편향을 비롯한 분자 편향을 제공할 수 있다. 단축 압출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멤브레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변형된 실시태양에서, 이축 압출 공정이 멤브레인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예를 들면 폴리 L-락타이드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L-락타이드-코-D,L-락타이드)일 수 있는 무정형 락타이드 중합체와 같은 무정형 재흡수가능한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혼합물을 압출하여 본 발명의 멤브레인을 형성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폴리(L-락타이드-코-D,L-락타이드) 70:30 레조머(Resomer) LR708 (독일의 뵈링거 인겔하임 KG에서 제조 및 판매됨)을 압출하여 본 발명의 멤브레인을 형성한다.In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s, thin membranes can be prepared, for example, using an extrusion process as known in the art. The extrusion process can be used to efficiently produce the membrane. Moreover, membranes produced by the extrusion technique can be free from solvent trapping in the membrane and can also provide molecular deflection, including predetermined molecular deflection. Uniaxial extrusion can be used to prepare membrane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dified embodiment, a biaxial extrusion process can be used for membrane manufacture. In one embodiment, it comprises an amorphous resorbable polymer, such as, for example, an amorphous lactide polymer that may be poly L-lactide or more preferably poly (L-lactide-co-D, L-lactide). The composition mixture is extruded to form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poly (L-lactide-co-D, L-lactide) 70:30 Resomer LR708 (manufactured and sold by Schöllinger Ingelheim KG, German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 a membrane.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라, 멤브레인은 점도 특성의 특정 범위를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점도 특성(viscosity property)"은 g/용매 100ml 단위의 중합체 농도에 대한 상대점도의 자연 로그값의 비로 표현되는 중합체 희석 용액 점도의 점도 척도이다. 점도 특성은 당업자에게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액의 고유점도로서 이해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이들이 압출 기법으로 형성됨을 나타내는 분자 편향 및 비교적 높은 점도 특성을 나타낸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embrane has a particular range of viscosity properties. As used herein, "viscosity property" is a measure of viscosity of polymer dilute solution viscosity expressed as the ratio of the natural logarithm of relative viscosity to polymer concentration in g / solvent 100 ml. Viscosity properties ar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intrinsic viscosity of a solution as is commonly used in the art. In one embodiment, the membranes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molecular deflection and relatively high viscosity properties indicating that they are formed by extrusion techniques.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라, 약 5 dL/g 보다 큰 전(pre)-압출 점도 특성을 갖는 무정형 폴리락타이드 조성물을 압출하여 본 발명의 비교적 얇은 멤브레인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예를 들면 압출 공정 동안에 무정형 폴리락타이드 물질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른 비교적 높은 점도 특성, 예컨대 4 dL/g 보다 높은 점도 특성이 사용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found that an amorphous polylactide composition having a pre-extrusion viscosity characteristic of greater than about 5 dL / g can be extruded to form a relatively thin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relatively high viscosity properties, such as higher than 4 dL / g, may be used, for examp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amorphous polylactide material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무정형 폴리락타이드의 초기의 높은 (즉, 전(pre)-압출) 점도 특성은,예를 들면, 압출 공정 동안에 멤브레인의 약화, 파탄 또는 인렬의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멤브레인의 신뢰성있는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공 및 멸균 이후에 멤브레인의 점도 특성이 보다 낮지만, 멤브레인의 초기의 비교적 높은 점도 특성은 압출물의 두께를 몇 분의 1 밀리미터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유리하게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5 dL/g 내지 약 7 dL/g 범위의 초기(전-압출) 점도 특성을 갖는 무정형 폴리락타이드 중합체를 압출시켜, 물질의 점도 특성을 현저하게 변화시키지 않는 멸균 기법을 사용하여, 두께가 약 0.02 mm이고, 결과적인 점도 특성이 약 2.5 dL/g 내지 약 3.5 dL/g인 멤브레인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에틸렌 옥사이드가 얇은 멤브레인을 멸균하는데 사용된다. 에틸렌 옥사이드는 얇은 멤브레인의 점도특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전자-빔과 같은 다른 멸균 기법이 사용되는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얻어지는 점도 특성이 약 2.5 dL/g 내지 약 3.5 dL/g인 대신 약 1.25 dL/g 내지 약 1.75 dL/g일 수 있다. 전자-빔과 같은 다른 멸균 기법이 사용되는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압출된 멤브레인은 약 1 dL/g 보다 큰 점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멤브레인은 약 2 dL/g 보다 큰 점도 특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약 2.7 dL/g 내지 약 3.5 dL/g의 점도 특성을 갖는다. The initial high (ie, pre-extrusion) viscosity properties of amorphous polylactide may facilitate reliable formation of the membrane, for example, 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weakening, breaking or tearing of the membrane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Can be. Although the viscosity properties of the membrane are lower after processing and sterilization, the initial relatively high viscosity properties of the membrane can advantageously facilitate lowering the thickness of the extrudate to a few millimeters. For example, using a sterilization technique that extrudes an amorphous polylactide polymer having initial (pre-extruded) viscosity properties in the range of about 5 dL / g to about 7 dL / g so as not to significantly change the viscosity properties of the material. Thus, a membran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02 mm and the resulting viscosity property of about 2.5 dL / g to about 3.5 dL / g can be formed. In one embodiment, ethylene oxide is used to sterilize thin membranes. It is believed that ethylene oxide does not substantially reduce the viscosity characteristics of thin membranes. In other embodiments where other sterilization techniques, such as electron-beams, are used, the resulting viscosity property may be from about 1.25 dL / g to about 1.75 dL / g instead of from about 2.5 dL / g to about 3.5 dL / g. In other embodiments in which other sterilization techniques, such as electron-beams, are used, the extruded membrane may have a viscosity characteristic of greater than about 1 dL / g. In one embodiment, the membrane has a viscosity characteristic of greater than about 2 dL / g. Preferably,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iscosity characteristic of about 2.7 dL / g to about 3.5 dL / g.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라, 무정형 폴리락타이드의 분자 배향은 편향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압출 공정은 그러한 편향된 분자 배향을 제공할 수 있다. 편향된 분자 배향은 미리결정될 수 있어서, 적합한 공정, 예컨대 적합한 압출 공정이 본원에 기술된 멤브레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멤브레인의 중합체 사슬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1축에 대하여 정렬된다. 예를 들면, 약 65% 보다 높은, 바람직하게는 약 80% 보다 높은 중합체 사슬 또는 중합체 사슬의 구획이 얇은 멤브레인 (100)의 축(101) 상에 정렬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olecular orientation of the amorphous polylactide can be biased. The extrusion process discussed above can provide such a biased molecular orientation. The biased molecular orientation can be predetermined such that a suitable process, such as a suitable extrusion process, can be us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membranes described herein. In one embodiment, the polymer chains of the membrane are substantially aligned about one axis as shown in FIG. 1A. For example, polymer chains or sections of polymer chains higher than about 65%, preferably higher than about 80%, are aligned on the axis 101 of the thin membrane 100.

한 실시태양에서, 중합체 사슬은 실질적으로 2축 상에 정렬된다. 도 1b는 중합체가 정렬된 제1 축(103) 및 제2 축 (104)을 둘 다 갖는 멤브레인 (102)을 도시한다. 그러한 실시태양에서는, 약 50% 보다 많은, 바람직하게는 약 90% 보다 많은 중합체 사슬 또는 중합체 사슬의 구획이 2축 중 1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정렬된 중합체는 제1 축 (103) 및 제2 축 (104) 사이에 균등하게 분배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정렬된 중합체가 제2 축 (104)에 대해서보다 제1 축 (103)에 대하여 더 많이 정렬된다. 예를 들면 중합체는 제1축에 대해 약 45% 정렬되고, 제2 축 상에 약 55% 정렬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축들은 80도 미만의 각(106)을 형성한다. 축은 바람직하게는 약 45도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도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도 미만의 각(106)을 형성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olymer chains are substantially aligned on two axes. FIG. 1B shows the membrane 102 having both a first axis 103 and a second axis 104 in which the polymer is aligned. In such embodiments, more than about 50% and preferably more than about 90% of the polymer chains or segments of the polymer chains are substantially aligned with respect to one of the two axes. In one embodiment, the aligned polymer is evenly distributed between the first axis 103 and the second axis 104. In other embodiments, the aligned polymer is mor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103 than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104. For example, the polymer may be about 45% alig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and about 55% aligned with the second axis. In one embodiment, the axes form an angle 106 of less than 80 degrees. The axis preferably forms an angle 106 of less than about 45 degrees, more preferably less than 30 degrees, even more preferably less than 20 degrees.

무정형 폴리락타이드의 분자 배향은 멤브레인에 다양한 물리적 성질을 부여한다. 예를 들면, 멤브레인을 그 유리전이 온도가 되도록 충분히 열처리하면, 편향된 분자 배향을 갖는 멤브레인은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향된 분자 배향을 갖는 멤브레인 (100)이 열처리되면, 수축 방향(105)는 실질적으로 축(101)에 대해 직각일 수 있다. 또한, 편향된 분자 배향은 멤브레인이 가열되는 경우 수축의 방향이 제어되거나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멤브레인의 이식에 특정한 형상 및 크기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유리할 수 있다.The molecular orientation of the amorphous polylactide imparts various physical properties to the membrane. For example, if the membrane is sufficiently heat treated to it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membrane with the deflected molecular orientation can shrink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As shown in FIG. 1A, when the membrane 100 with the deflected molecular orientation is heat treated, the shrinking direction 105 may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101. In addition, the deflected molecular orientation can cause the direction of shrinkage to be controlled or selectively controlled when the membrane is heated. This may be advantageous in situations where certain shapes and sizes are required for the implantation of the membrane.

한 실시태양에서, 압출 공정 동안에, 멤브레인은 제1 두께를 갖는 오리피스(orifice)를 통하여 배출된 후, 잡아 당겨져 제2 두께로 되며, 여기서, 제1 두께는 제2 두께 보다 크다. 제1 두께는 제2 두께 보다 2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5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배 큰 값일 수 있다. 따라서, 가공되고 멸균된 멤브레인이 후속적으로 그 유리전이 온도가 되면, 그 두께는 제1 두께로 되돌아 갈 것이거나, 되돌아 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the membrane is discharged through an orifice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then pulled to a second thickness, where the first thickness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ickness. The first thickness may be a value that is twice, more preferably five times, even more preferably ten times greater than the second thickness. Thus, when the processed and sterilized membrane subsequently reaches it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thickness may or may not return to the first thickness.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열 처리될 경우,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수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멤브레인의 유리 전이 온도로 될 때, 실질적으로 분자 배향 축 또는 축들에 수직인 방향으로 수축하고, 분자 배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실질적으로 수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분자 배향 축 또는 축들에 수직인 방향으로 약 5% 내지 약 30% 수축할 수 있고, 분자 배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약 1% 내지 약 5% 수축할 수 있다. 한 예에서, 가공되고 살균된 멤브레인은 추후 그의 유리 전이 온도로 될 때, 정돈 축(예, 101) 또는 축들(예, 103, 104)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초기 압출 공정에서 신장되었던 양에 비례하는 양으로 수축할 것이다. 현재 구체화된 바와 같이, 정돈 축 또는 축들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수축은 멤브레인의 두께가 제2 두께로부터 제1 두께로 돌아갈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In one aspect,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hrink uniformly in all directions when heat treated. Preferably,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brought to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embrane, contract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olecular orientation axis or axes, and does not substantially contrac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lecular orientation axis. For example,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hrink about 5% to about 3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lecular orientation axis or axes, and may shrink about 1% to about 5%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lecular orientation axis. . In one example, the processed and sterilized membrane was stretched in the initial extrusion proces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rimming axis (eg, 101) or axes (eg, 103, 104) when it later reached it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ill shrink in an amount proportional to. As currently embodied, shrinkag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imming axis or axes will continue until the thickness of the membrane returns from the second thickness to the first thickness.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두 개의 (대향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갖는다. 대향 표면 사이에서 측정될 때,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약 0.01 mm 내지 약 0.3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1 mm 내지 약 0.1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약 0.015 mm 내지 약 0.025 mm의 두께를 갖는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약 0.02 mm의 두께를 갖는다.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substantially flat surfaces. Preferably,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opposing) substantially flat surfaces. When measured between opposing surfaces, the membran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0.01 mm to about 0.3 mm, more preferably about 0.01 mm to about 0.1 mm.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ckness of about 0.015 mm to about 0.025 mm.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ckness of about 0.02 mm.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두꺼운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두꺼운 부분은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 둘 다로부터 돌출한다. 즉,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두께가 다른 다수의 영역 또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제1 두께를 갖는 제1 부분 및 제2 두께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보다 크다. 제1 부분은 멤브레인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거나, 멤브레인의 가장자리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은 멤브레인의 길이 또는 폭 보다 크지 않은 길이를 갖는다. 어떤 양태에서, 제1 부분의 길이는 멤브레인의 길이 및 폭 둘 다 보다 짧다.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thick portions protruding from one or more of tw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one or more thick portions protrude from both tw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That is,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ons or portion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In one aspect,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wherein the first thickness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ickness. The first portion may be remote from the edge of the membrane or may lie at the edge of the membrane. The first portion also has a length not greater than the length or width of the membrane. In some embodiments, the length of the first portion is shorter than both the length and width of the membrane.

압출 장치의 배출 구멍은 멤브레인의 단면에 상응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멤브레인의 두 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 상에 비교적 두꺼운 부분을 갖는 멤브레인을 생성하기 위해, 압출 장치의 배출 구멍은 폭 및 높이를 갖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모양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모양은 배출 구멍의 두 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에서보다 배출 구멍의 두 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에서 배출 구멍의 높이를 더 크게 함으로써 변형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배출 구멍의 폭을 가로지르는 높이 프로파일이 얇은 멤브레인의 폭을 가로지르는 두께 프로파일에 대략 상응한다. 다른 양태에서, 직사각형 배출 구멍을 갖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대향하는 가장자리 상에 두꺼운 부분을 갖는 얇은 멤브레인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예를 들어 상기 논의된 압출 공정과 함께 실행될 수 있는 기계 가공과 같은 수단에 의해 두꺼운 부분(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80% 이상의 멤브레인 분자가 한 방향으로 정돈되는, 단축으로 분자를 정돈할 수 있는 상기 방법 이외에, 가압 공기가 원형의 배출 구멍을 통해 배출된 관형의 얇은 멤브레인 내로 블로잉되는 예를 들어 원형 배출 구멍을 사용하여 이축 분자 배향을 갖는 멤브레인이 생성될 수 있다.The exit hole of the extrusion devic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membrane. For example, to create a membrane with relatively thick portions on two opposite edges of the membrane, the exit hole of the extrusion device may comprise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having a width and a height, wherein the shape Is deformed by making the height of the discharge hole larger at the two opposite edges of the discharge hole than in the area between the two opposite edges of the discharge hole. In this arrangement, the height profile across the width of the outlet hole corresponds approximately to the thickness profile across the width of the thin membrane. In another aspect, using an extrusion apparatus with rectangular outlet holes, a thin membrane can be produced, for example with thick portions on opposite edges. In other embodiments, the thick portion (s) may be formed alone or by means such as machining, for example, which may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extrusion process discussed above.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ordering molecules in a single axis, where at least 80% of the membrane molecules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circular discharge in which pressurized air is blown into a tubular thin membrane discharged through a circular discharge hole. The pores can be used to create a membrane with biaxial molecular orient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꺼운 부분이 멤브레인에 부착 기능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변형된 양태에서, 상기 두꺼운 부분이 멤브레인의 적어도 일부에 강성도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한 양태에서, 각 두꺼운 부분은 멤브레인의 길이와 같거나 이 보다 짧은 길이, 약 0.5 mm 내지 약 25 mm의 폭 (한 양태에서는, 멤브레인의 폭 보다 넓지 않음) 및 멤브레인 두께의 약 2 내지 약 10배의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면, 도 2a는 두꺼운 부분(115)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두꺼운 부분(115)의 길이(113)는 멤브레인의 길이(112)와 동일하고, 두꺼운 부분의 폭(111)은 멤브레인의 폭(114) 보다 짧으며, 두꺼운 부분의 두께(116)는 멤브레인 두께(117)의 약 3배이다. 본원의 개시에 비추어, 두꺼운 부분(115)은 제1 두께를 갖는 제1 부분에 상응하고, 예시된 멤브레인의 나머지 부분(112)은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갖는 제2 부분에 상응한다.Preferably, the thick portion is effective to provide an attachment function to the membrane. In a modified embodiment, the thick portion can be effective to provide stiffness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membrane. In one embodiment, each thick portion is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membrane, a width of about 0.5 mm to about 25 mm (in one embodiment no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membrane) and about 2 to about 10 times the membrane thickness. Has a thickness of. For example, FIG. 2A shows thick portion 115. In this figure, the length 113 of the thick portion 115 is the same as the length 112 of the membrane, the width 111 of the thick portion is shorter than the width 114 of the membrane, and the thickness 116 of the thick portion. Is about three times the membrane thickness 117. In ligh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ick portion 115 corresponds to a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the remaining portion 112 of the illustrated membrane corresponds to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that is thinner than the first thickness. .

한 양태에서, 두꺼운 부분의 길이는 멤브레인의 길이 보다 짧다. 예를 들면, 도 2b는 두꺼운 부분(121)을 포함하는 멤브레인(120)을 나타낸다. 두꺼운 부분의 길이(122)는 멤브레인의 길이(123) 보다 작다. 두꺼운 부분의 길이(122)는 또한 멤브레인의 폭(124) 보다 작다. 한 양태에서, 두꺼운 부분은 멤브레인의 가장자리의 부분을 형성하거나, 멤브레인의 전체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2b는 멤브레인의 가장자리의 부분을 형성하는 두꺼운 부분(124)을 나타낸다. 도 2c는 네 개의 가장자리(132)를 갖는 멤브레인(130)을 나타내는데, 이 중 하나는 두꺼운 부분(131)에 의해 형성된다. 한 양태에서, 멤브레인은 하나를 넘는 두꺼운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2d는 제1 가장자리(143)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두꺼운 부분(141) 및 제2 가장자리(144)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2 두꺼운 부분(142)을 갖는 멤브레인(140)을 나타낸다.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thick por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membrane. For example, FIG. 2B shows a membrane 120 that includes a thick portion 121. The length 122 of the thick portion is less than the length 123 of the membrane. The length 122 of the thick portion is also smaller than the width 124 of the membrane. In one aspect, the thick portion forms part of the edge of the membrane or forms the entire edge of the membrane. For example, FIG. 2B shows a thick portion 124 forming part of the edge of the membrane. 2C shows the membrane 130 with four edges 132, one of which is formed by a thick portion 131. In one aspect, the membrane comprises more than one thick portion. For example, FIG. 2D illustrates a membrane 140 having a first thick portion 141 forming a portion of the first edge 143 and a second thick portion 142 forming a portion of the second edge 144. Indicat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얇은 멤브레인은 비결정 폴리락타이드, 예를 들어 PLLA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결정 폴리락타이드는 압출 결과로서 멤브레인에서 편향된 분자 배향을 갖는다. 게다가, 상기 얇은 멤브레인은, 각 두꺼운 부분이 약 5 mm 내지 약 25 mm의 폭 및 약 0.070 mm의 두께를 갖는, 제1 및 제2 두꺼운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얇은 멤브레인은 표면 사이에서 측정할 때 약 0.02 mm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멤브레인은 약 4 dL/g을 초과하는 압출 전 및 살균 전 점도 특성에 상응하는, 약 2 dL/g을 초과하는 점도 특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약 5.5 dL/g을 초과하는 압출 전 및 살균 전 점도 특성에 상응하는, 약 2.75 dL/g을 초과하는 점도 특성을 갖는다. 도 2e는 제1 가장자리(153)를 형성하는 제1 두꺼운 부분(151) 및 제2 가장자리(154)를 형성하는 제2 두꺼운 부분(152)을 갖는 멤브레인(150)의 양태를 나타낸다. 다른 변형된 양태에서 멤브레인의 부가의 가장자리 또는 영역(124) 상에 부가의 두꺼운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 멤브레인의 네 개의 상응하는 가장자리 상에 네 개의 두꺼운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red thin membran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 substantially uniform composition of amorphous polylactide, for example PLLA. In addition, the amorphous polylactide has a molecular orientation biased in the membrane as a result of the extrusion. In addition, the thin membrane comprises first and second thick portions, each thick portion having a width of about 5 mm to about 25 mm and a thickness of about 0.070 mm. The thin membrane has a thickness of about 0.02 mm when measured between the surfaces. The membrane has a viscosity characteristic of greater than about 2 dL / g, corresponding to viscosity characteristics before extrusion and prior to sterilization of greater than about 4 dL / g. Preferably, the membran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viscosity characteristic of greater than about 2.75 dL / g, corresponding to viscosity characteristics before extrusion and prior to sterilization of greater than about 5.5 dL / g. 2E illustrates an aspect of the membrane 150 having a first thick portion 151 forming a first edge 153 and a second thick portion 152 forming a second edge 154. In other modified embodiments, additional thick portions may be formed on additional edges or regions 124 of the membrane. For example, four thick portions can be formed on four corresponding edges of a rectangular membrane.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멤브레인의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멍은 멤브레인 전체에 확장된다. 한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두꺼운 부분에 의해 구멍을 갖는 가장자리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2f는 제1 두꺼운 부분(161) 및 제2 두꺼운 부분(162)을 갖는 멤브레인(160)을 나타낸다. 상기 두꺼운 부분은 그의 길이를 따라 구멍(163)을 갖는다. 상기 구멍은, 예를 들어, 얇은 멤브레인의 조직에의 봉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lurality of holes disposed along one or more edges of the membrane. Preferably, the aperture extends through the membrane. In one aspect, the perforated edge is formed by one or more thick portions. For example, FIG. 2F shows the membrane 160 having a first thick portion 161 and a second thick portion 162. The thick portion has a hole 163 along its length. The apertures can, for example, facilitate closure of the thin membrane into tissue.

부착과 관련하여, 상기 얇은 멤브레인을 근육 조직, 기타 연 조직 또는 뼈와 같은 구조에 부착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고려되며, 이들 수단은 구멍과 함께 또는 구멍없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필수적인 것은 아니더라도, 상기 부착 수단은 얇은 멤브레인의 실제적으로 두꺼운 부분 상에서 실행된다. 봉합 이외에, 스테이플이, 멤브레인을 예를 들어 척추주위 근육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재흡수가능한 뼈 나사 또는 압정을 사용하여 멤브레인을 척추 뼈에 고정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멤브레인 재료를 해부 틈새로 밀어 넣거나 접어 넣는 것이 제자리에 고정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피브린 봉함제와 같은 접착제 또는 재흡수가능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도 단독으로 또는 상기 부착 수단과 함께 멤브레인을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부착 프로토콜은 두꺼운 부분에 적용된다.With regard to attachment, various means for attaching the thin membrane to structures such as muscle tissue, other soft tissues or bones are contemplated, and these means can be used with or without ho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however, the attachment means, although not necessarily, is carried out on a substantially thick portion of the thin membrane. In addition to sutures, staples can be used to attach the membrane to, eg, paraspinal muscles. As another example, a resorbable bone screw or thumbtack can be used to secure the membrane to the vertebral bone. In some cases, pushing or folding the membrane material into an anatomical gap may be sufficient to hold it in place. Adhesives such as fibrin sealants or resorbable cyanoacrylate adhesives may also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attachment means to secure the membran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ttachment protocol is applied to the thick portion.

멤브레인의 각 두꺼운 부분은, 예를 들어, 약 0.5 mm 내지 약 25 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두꺼운 부분은 약 5 내지 약 25 mm의 폭을 가지며, 이는 봉합 목적에 유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두꺼운 부분은 약 0.5 mm의 폭을 가지며, 이는 하기 기재하는 바와 같은 열 결합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면에 따르면, 두꺼운 부분은 예를 들어 양극(bipolar) 전기-소작 장치로 열 결합되거나, 초음파 접착되거나, 이와 유사하게 조직, 예를 들어, 척수 다발(30) 및 진출 신경근(exiting nerve root)(32)의 경질막에 직접 봉함될 수 있다(도 3a).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두꺼운 부분 이외의 다양한 위치, 예를 들어, 두껍지 않은 가장자리 및 중간 지점에서 멤브레인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이의 연화점 온도 이상으로 멤브레인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LLA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55℃이고, 이의 연화점 온도는 110℃ 이상이다. 재료가 인접한 조직을 따라 가열되어, 두 개의 성분이 그의 계면에서 서로 결합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멤브레인의 두꺼운 부분 또는 다른 영역이 두 개의 척추 (20 및 22) 중 하나 또는 둘 다에(도 3a), 또는 예를 들어 근육이나 기타 연 조직에 직접 열 결합되거나 봉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예를 들어, 멤브레인이 구조 주위를 감싼 다음 자신에 열 결합되는 응용에서, 얇은 멤브레인의 두꺼운 부분 또는 다른 영역이 자신에 직접 열 결합되거나 봉함될 수 있다. 게다가, 멤브레인을 자신 또는 신체 조직에 열 봉함하는 기술은 증진된 고정을 위해 다른 부착 방법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얇은 멤브레인 재료는 전기-소작 장치를 사용하는 열 밀봉(즉, 열 접착)의 두 개 이상의 지점을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제자리에 부착될 수 있고, 이어서 봉합, 스테이플 또는 접착제가 첨가되어 얇은 멤브레인을 고정할 수 있다.Each thick portion of the membrane can have a width of, for example, about 0.5 mm to about 25 mm. In one aspect, the thick portion has a width of about 5 to about 25 mm, which may be useful for sealing purposes. In another embodiment, the thick portion has a width of about 0.5 mm, which may be useful for thermal bonding a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 portion may be thermally bonded, for example ultrasonically bonded, to a bipolar electro-cauterization device, or similarly to tissue, such as the spinal cord bundle 30 and exiting nerve roots. nerve root) 32 and may be sealed directly to the dura membrane (FIG. 3A). The device can be used to heat the membrane abov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embrane, preferably above its softening point temperature, at various locations other than the thick portion, for example at the non-thick edges and intermediate points. For exampl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LLA is about 55 ° C., and its softening point temperature is 110 ° C. or higher. The material is heated along adjacent tissue so that the two components bind to each other at their interface. In another embodiment, a thick portion or other region of the membrane may be thermally bonded or sealed directly to one or both of the two vertebrae 20 and 22 (FIG. 3A), or for example to muscle or other soft tissue. . In another aspect, for example, in applications where the membrane wraps around the structure and then is thermally bonded to itself, a thick portion or other area of the thin membrane may be directly thermally bonded or sealed to itself. In addition, the technique of heat sealing the membrane to itself or body tissue can be combined with other attachment methods for enhanced fixation. For example, the thin membrane material may be temporarily attached in place using two or more points of heat sealing (ie, thermal bonding) using an electro-cauterization device, followed by the addition of a seal, staple or adhesive to the thin The membrane can be fixed.

본 발명의 얇은 멤브레인은 매우 평탄하고 비다공성이므로 다른 멤브레인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공성의 결손은 조직의 상호작용을 허용하지 않는 장벽을 형성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얇은 멤브레인의 비다공성 및 평탄함은 조직 와류를 감소시키고, 조직 유도를 증진시키고, 흉터 형성을 최소화한다. 게다가, 얇은 멤브레인 재료의 평탄하고 연속된 표면은 경질막 및 국소 조직의 영역에 걸친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흉터 조직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thin membran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ery flat and nonporous and therefore may be more effective than other membranes. For example, the lack of porosity acts to form a barrier that does not allow tissue interaction. Nonporosity and flatness of the thin membrane reduces tissue vortex, promotes tissue induction, and minimizes scar formation. In addition, the flat, continuous surface of the thin membrane material can facilitate movement across regions of the hard membrane and local tissue, thus reducing the friction that can lead to scar tissue formation.

본원에서, 용어 "비다공성"은 일반적으로 방수이고,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유체 불투과성인 재료를 말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변형된 양태에서, 예를 들어, 재흡수가능한 얇은 멤브레인 표면의 평탄함을 실질적으로 손상시켜 조직의 흉터 형성을 일으키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얇은 멤브레인에 미세-구멍(즉, 유체 투과성이나 세포 투과성이 아님)이 존재할 수 있다. 제한된 응용을 위해 상당히 변형된 양태에서, 세포 투과성이나 혈관 비투과성인 구멍이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nonporous” refers to a material that is generally waterproof 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s fluid impermeable. However, in a modified aspect of the invention, micro-pores (ie fluid permeability) in the thin membran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so long as they do not substantially impair the flatness of the resorbable thin membrane surface resulting in scar formation of tissue. But not cell permeable). In highly modified embodiments for limited applications, pores that are cell permeable or vascular impermeable can be made and used.

현재 구체화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 두께가 더 얇은 다수는 유리 전이 온도로 가열되지 않고서도 충분히 윤곽을 이룰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처음에 포유동물 신체에 멤브레인을 이식한 후 약 18 내지 약 24개월 이내에 포유동물 신체로 재흡수될 수 있다. 상기 얇은 멤브레인은 안와하벽 골절의 외과적 복구, 비중격 및 천공된 고막 박막의 외과적 복구, 골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피복, 요도 구조의 외과적 복구 및 요도 협착의 복구, 두개 융합 및 전완 골절을 위한 완성된 교정 수술에서 골유합의 예방, 연 조직 섬유증 또는 골 성장의 감소, 단계적 복구 과정 동안 산전 파열 제류를 위한 일시적 피복, 이와 잇몸 모서리 사이의 조직 재생 유도, 고막 복구, 경질막 피복 및 신경 복구, 심 혈관 복구, 헤르니아 복구, 연결 건, 일시적 관절 스페이서, 상처 드레싱, 흉터 피복 및 배벽갈림증을 위한 피복을 비롯한 다수의 수술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얇은 멤브레인은, 수술 후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섬유증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는 비정상적인 흉터 형성을 초래하고 정상적인 생리학적 기능을 방해할 수 있음)을 예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어떤 경우에, 상기와 같은 흉터 형성은 후처리, 교정 또는 기타 수술을 강요하고(하거나) 방해할 수 있다.As currently embodied, many of the thinner membrane thicknesses can be sufficiently contoured without being heated to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one aspect,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bsorbed into the mammalian body within about 18 to about 24 months after initially implanting the membrane in the mammalian body. The thin membranes provide surgical repair of orbital wall fractures, surgical repair of septal and perforated tympanic membranes, protective sheaths to facilitate bone formation, surgical repair of urethral structures and repair of urethral stenosis, cranial fusion and forearm fractures. In complete orthodontic surgery for the prevention of bone union, reduction of soft tissue fibrosis or bone growth, temporary sheathing for prenatal rupture restraint during staged recovery, induction of tissue regeneration between teeth and gum edges, tympanic membrane repair, dura membrane sheathing and nerve repair , Cardiovascular repair, hernia repair, connective guns, temporary joint spacers, wound dressings, scar coatings, and coatings for schizophrenia. The thin membran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preventing abnormally fibrotic binding of tissue after surgery, which can lead to abnormal scar formation and interfere with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 In some cases, such scar formation may force and / or interfere with post-treatment, correction or other surgery.

예를 들면, 경막외 부착을 척추 수술후 증후군의 잠재적 원인으로 지적하는 증거가 있다. 척수 손상 후 또는 수술후 합병증으로서 경막외 섬유증이 일어날 수 있다. 신경근 주위 및 경질막 상의 조밀한 흉터 형성은 이전에 "척추궁 절개술 막"으로 기술되었으며, 이후의 척수 수술을 기술적으로 더욱 어렵게 하는데 관여되어 왔다. 예를 들면, 척추후궁 절제술에서, 본 발명의 얇은 멤브레인은 경질막 소매와 척추궁 절개술 후의 척추주위 근육 조직 사이에 바람직하게 삽입되어, 판(laminae)의 노출된 골수 성분을 쉽게 차단한다. 척추주위 근육 조직과 경막외극 사이에 상기 멤브레인 재료를 장벽으로 부과하는 것은, 혈관이 위쪽의 근육 및 노출된 인접 해면 뼈로부터 경막외극으로 침입하는 것 및 세포 트래피킹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게다가, 시험 결과, 본 발명의 얇은 멤브레인은 정상적인 사후 상처 치유를 방해하지 않는 동시에 원하지 않는 부착 및 흉터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For example, there is evidence pointing to epidural attachment as a potential cause of spinal surgery syndrome. Epidural fibrosis may occur after spinal cord injury or as a postoperative complication. Dense scar formation around the nerve roots and on the dura mater was previously described as the "vertebral hysterectomy membrane" and has been involved in making technical spinal surgery more difficult later. For example, in vertebral resection, the thin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serted between the dura sleeve and the paraspinal muscle tissue after vertebral incision, thereby easily blocking the exposed bone marrow component of the laminae. The imposition of the membrane material as a barrier between the paraspinal muscle tissue and the epidural electrode is believed to reduce the invasion of the vessels into the epidural and cell trafficking from the muscles above and the adjacent adjacent sponges. In addition,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thin membrane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interfere with normal post wound healing and at the same time inhibit unwanted adhesion and scar formation.

상기 멤브레인의 매우 얇은 구조는 동일한 재료의 더 두꺼운 멤브레인 이식체의 흡수 속도에 비해, 멤브레인의 흡수 속도를 상당히 촉진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멤브레인이 너무 빨리 신체에 재흡수되는 것은 국소 pH의 바람직하지 못한 감소를 유발하고, 그에 따라, 예를 들어, 국소 염증, 불쾌감 및(또는) 외인성 항체 반응을 유도하거나 상승시킬 것으로 여겨진다. 나아가, 너무 일찍 분해하는 얇은 멤브레인의 고르지 못한(예를 들어, 균열되거나, 부서지거나, 거칠어지거나, 벗겨진) 표면은 바람직하지 못하게도, 예를 들어, 적당한 치유가 일어나기 전에 조직 사이에서 조직 와류를 일으켜서 잠재적인 조직 염증 및 흉터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약 0.200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흉터 형성 방지 기능이 달성되고 최적화될 수 있도록, 그의 구조적 온전성을 3주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주 이상 유지할 것으로 여겨진다. 멤브레인이 동일한 재료의 더 두꺼운 멤브레인에 비해 가속화된 속도로 분해되지 않는 한, 흉터 형성 방지 기능을 달성되고 최적화하기 위해, 상기 멤브레인은 6개월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년 이상 그의 구조적 온전성을 유지한 후, 실질적으로 분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면에 따른 폴리락타이드 재흡수가능한 중합체 얇은 멤브레인은 비교적 느린 속도로 신체에 재흡수되도록 설계된다.The very thin structure of the membrane is believed to significantly promote the rate of absorption of the membrane compared to the rate of absorption of thicker membrane implants of the same material. However, the reabsorption of the membrane into the body too quickly is believed to cause an undesirable decrease in local pH, thus inducing or elevating, for example, local inflammation, discomfort and / or exogenous antibody responses. Furthermore, uneven (eg, cracked, broken, rough, or peeled) surfaces of thin membranes that disintegrate too early are undesirable, for example, causing tissue vortices between tissues before proper healing occurs. It can lead to potential tissue inflammation and scar formation. Membran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200 mm or less are believed to maintain their structural integrity for at least 3 weeks, more preferably at least 7 weeks, so that the scar formation prevention function can be achieved and optimized. Unless the membrane decomposes at an accelerated rate relative to thicker membranes of the same material, the membrane maintains its structural integrity for at least six months, more preferably for at least one year, in order to achieve and optimize scar formation. After that, it will be substantially decomposed. Thus, the polylactide resorbable polymer thin membrane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is designed to be reabsorbed by the body at a relatively slow rate.

산도 및(또는) 조직 와류, 및 수술후 부위에서 임의의 수반되는 염증(예, 팽창)를 감소시키는 목적은, 염증으로 유발된 불쾌감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종종 수행되는 척수 수술에 있어서 특히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신경 조직은, 예를 들어, 약간 상승된 산도 및 염증에 특히 민감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전형적인 척수 수술, 예를 들어, 척추궁 절개술 동안, 척주 및(또는) 디스크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판 구조의 일부가 환자의 척추로부터 제거된다.The purpose of reducing acidity and / or tissue vortex and any subsequent inflammation (eg, swelling) at the postoperative site will be particularly important in spinal cord surgery, which is often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alleviating the discomfort caused by inflammation. Is considered. It is contemplated that neural tissue may be particularly sensitive to, for example, slightly elevated acidity and inflammation. During typical spinal cord surgery, such as spinal incision, part of the plate structure is removed from the patient's spine to provide access to the spinal column and / or discs.

얇은 멤브레인은, 예를 들어, 각 면에서 수 센티미터인 직사각형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포장 및 살균 전 제조자에 의해 절단되어 특정 모양, 배열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된 양태에서, 예를 들어, 폴리락타이드의 공지된 다양한 조성 및 공중합체가 얇은 멤브레인의 물리적 성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얇은 멤브레인은 충분히 구부러지기 쉬워 해부학적 구조에 맞지만, 열수조에서의 일정 가열이 더 두꺼운 배열에 필요할 수 있다. 변형된 양태에서, 0.25 mm를 넘는 두께에서 다소 더 경직되어 쉽게 부서지고 다른 공중합체 및(또는) 다른 단량체, 예를 들어, 엡실론-카프로락톤과의 형성에 의해 연화될 수 있는 일정 폴리락타이드가 얇은 멤브레인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얇은 멤브레인은 세포 조절을 위한 물질, 예를 들면, 세포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주성 물질, 세포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억제성 물질, 세포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분열촉진 성장 인자 및 세포 분열에 영향을 미치는 성장 인자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멤브레인 내에 주입될 수 있지만, 멤브레인의 하나 이상의 표면 상에 코팅될 수도 있다. 또한, 물질이 멤브레인 또는 멤브레인 내의 별도의 유닛에 함유될 수 있는데, 이는 멤브레인이 환자에 삽입될 때 상기 물질의 선택적 방출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The thin membrane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several centimeters on each side, or may be cut by the manufacturer prior to packaging and sterilization to form a particular shape, arrangement and size. In modified embodiments, for example, various known compositions and copolymers of polylactide can affec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in membranes. The thin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bend sufficiently to fit the anatomical structure, but constant heating in a hot water bath may be required for thicker arrays. In a modified embodiment, certain polylactides that are more rigid at thicknesses greater than 0.25 mm are easily broken and softened by formation with other copolymers and / or other monomers such as epsilon-caprolactone. It can be used to form a thin membrane. Furthermor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n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erial for cell regulation, for example, chemotactic material that affects cell migration, inhibitory material that affects cell migration, cell proliferation.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proliferative growth factors affecting and the growth factors affecting cell division. Such materials may be injected into the membrane, but may also be coated on one or more surfaces of the membrane. In addition, the substance may be contained in the membrane or in a separate unit within the membrane, which may be effective to promote selective release of the substance when the membrane is inserted into the patient.

도 3a는 두 개의 척추(20 및 22)가 분리되어 나사(24) 및 막대(26)를 사용하여 고정된 척추궁 절개술을 예시하며, 판의 일부가 제거되어 척추(22)에 윈도우(28)(점선의 직사각형으로 표시되어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도 3b는 척추(22)의 판에 있는 윈도우(28)의 확대도이다. 따라서, 척수 다발(30) 및 진출 신경근(exiting nerve root)(32)이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멤브레인이 척수 다발(30) 및 진출 신경근(32) 둘 다의 경질막에 적용되어, 진출 신경근(32) 근처에서 수술후 흉터 형성이 일어나는 것을 완화하거나 제거한다.FIG. 3A illustrates spinal arch incision with two vertebrae 20 and 22 separated and secured using screws 24 and rods 26, with portions of the plate removed to allow windows 28 to vertebrae 22. (Indicated by a dotted rectangle) is formed. 3B is an enlarged view of the window 28 in the plate of the spine 22. Thus, the spinal cord bundle 30 and the exiting nerve root 32 are expo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thin membrane is applied to the dura membrane of both the spinal cord bundle 30 and the advancing nerve root 32 to mitigate or eliminate the occurrence of postoperative scar formation near the advancing nerve root 32.

도 3c를 참고하면, 미리 형성된 얇은 멤브레인(34)는 제1 접착 플랜지(36) 및 그 위의 제2 접착 플랜지(38)로 형성된다. 접착 플랜지는 두꺼운 부분이 되도록 또는 단지 그 가장자리를 따라 두꺼운 부분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변형 실시태양에서, 두꺼운 부분은 하기 멤브레인의 다른 가장자리, 멤브레인의 다른 부분,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형성될 수 있다. 몸통 부분(40)이 척수(30) 위에 맞고, 가지 부분(42)가 진출 신경근(32) 위에 맞는다. 제1 접착 플랜지(36)은 제1 슬릿(44) 및 제2 슬릿(46)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접착 플랜지(38)은 제1 슬릿(48) 및 제2 슬릿(50)에 의해 형성된다. 적용시, 미리 형성된 얇은 멤브레인(34)가 척수(30) 및 진출 신경근(32) 위에 놓이고 그 후 제1 접착 플랜지(36) 및 제2 접착 플랜지(38)이 진출 신경근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부러진다. 가지 부분(42)의 둥근 말단(52)는 척수(30)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진출 신경근(32)의 부분에 맞추어진다. 이렇게 구현될 때, 제1 접착 플랜지(36) 및 제2 접착 플랜지가 진출 신경근(32) 주변을 감싸고, 바람직하게는 그 아래(즉, 뒤에) 끼워진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그 후 제1 접착 플랜지(36)을 제2 접착 플랜지(36)에 열 접착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를 잘라서 진출 신경근(32)의 주변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서로 겹친다. 제1 접착 플랜지(36)를 제2 접착 플랜지(38)에 단독으로 또는 열 접착 단계와 함께 봉합하여 제1 접착 플랜지(36)를 제2 접착 플랜지(38)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열 접착이나 봉합을 사용하지 않고 플랜지를 진출 신경근(32) 주변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끼우기만 한다(근(32)의 치수에 따라). 봉합을 사용하려 할 경우, 미리 형성된 얇은 멤브레인(34)를 미리 형성시키고 임의의 봉합 구멍(60)과 함께 패키지화할 수 있다. 그 후 가장자리(64) 및 (66)을 바람직하게는 척수(30)에 열 접착시킨다. 두 가장자리(68) 및 (70)이 제3 접착 플랜지(72)를 형성한다. 제4 접착 플랜지(74)는 슬릿(76) 및 (78)에 의해 형성되고, 제5 접착 플랜지(80)은 슬릿(82) 및 (84)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 플랜지는 접착 플랜지(36) 및 (38)과 관련하여 논의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가장자리를 따라 또한 미리-형성된 얇은 멤브레인(34)의 표면을 따라 열 접착을 더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척수 돌기를 수용하기 위해 변형된-형상 실시태양에서 말단(64) 및 (66)에서 본 발명의 멤브레인 상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3C, the preformed thin membrane 34 is formed of a first adhesive flange 36 and a second adhesive flange 38 thereon. The adhesive flange can be made to be thick or just to have a thick portion along its edge. Further, in alternative embodiments, thick portions may be formed at other edges of the membrane, other portions of the membrane, and / or combinations thereof. The trunk portion 40 fits over the spinal cord 30 and the branch portion 42 fits over the advancing nerve root 32. The first adhesive flange 36 is formed by the first slit 44 and the second slit 46, and the second adhesive flange 38 is formed by the first slit 48 and the second slit 50. do. In application, a preformed thin membrane 34 overlies the spinal cord 30 and the advancing nerve root 32, after which the first adhesive flange 36 and the second adhesive flange 38 are at least partially bent around the advancing nerve root. All. The rounded end 52 of the branch portion 42 is fitted to the portion of the advancing nerve root 32 farthest from the spinal cord 30. When so implemented, the first adhesive flange 36 and the second adhesive flange wrap around and preferably fit below (ie behind) the advancing nerve root 32.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flange 36 is then thermally bonded to the second adhesive flange 36. Preferably, the flange is cut to completely wrap the periphery of the advancing nerve root 32 and overlap each other. The first adhesive flange 36 may be sealed to the second adhesive flange 38 alone or in conjunction with a thermal bonding step to secure the first adhesive flange 36 to the second adhesive flange 38. In other embodiments, the flange is only partially or fully fitted around the advancing nerve root 32 without thermal bonding or sutures (depending on the dimensions of the muscle 32). If a seal is to be used, the preformed thin membrane 34 can be preformed and packaged with any seal aperture 60. The edges 64 and 66 are then thermally bonded to the spinal cord 30 preferably. Two edges 68 and 70 form a third adhesive flange 72. The fourth adhesive flange 74 is formed by the slits 76 and 78, and the fifth adhesive flange 80 is formed by the slits 82 and 84. The adhesive flange can be secur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adhesive flanges 36 and 38. It is possible to further fix the thermal bond along the other edge and along the surface of the pre-formed thin membrane 34. It is also possible to form grooves on the membranes of the invention at ends 64 and 66, for example in modified-shaped embodiments to accommodate spinal cord processes.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미리 형성되는 실시태양에 따라 척수의 두 개의 진출 신경근(32) 및 (98)에 적용하기 위한 얇은 멤브레인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것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또다른 미리 형성된 실시태양에 따라 척수의 4 개의 진출 신경근에 적용하기 위하여 적합화된 얇은 멤브레인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가지 부분(100)은 도 3c 실시태양의 가지 부분(42)와 구조 및 작동 면에서 유사하고, 다른 가지 부분(102)는 진출 신경근(98)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작된다. 유사한 요소를 도 5의 100a, 102a, 100b 및 102c에 나타낸다. 상이한 해부학적 구조를 수용하기 위한 다른 형상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멤브레인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된 돌출부를 갖는 기저 부분 주변에 맞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원뿔 구조로 형성되도록 형태를 디자인할 수 있다. 봉합 바늘구멍을 멤브레인의 주변에 형성할 수 있고, 세포 및 맥관 투과성 포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4 illustrates a thin membrane for application to the two advancing nerve roots 32 and 98 of the spinal cord, according to another preform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thin membrane similar to that of FIG. 4 but adapted for application to the four advanced nerve roots of the spinal cord according to another preform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the branch portion 100 is similar in structure and operation to the branch portion 42 of the FIG. 3C embodiment, while the other branch portion 102 is fabricated to receive the advancing nerve root 98. Similar elements are shown in 100a, 102a, 100b and 102c of FIG. 5. Other shapes may also be formed to accommodate different anatomical structures. For example, the shape can be designed to be shaped into a conical structure, for example, so as to fit around the base with a protrusion extend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embrane. Suture needle holes may be formed around the membrane and may include cells and vasculature perforated pores.

본 발명에 따라, 미리 형성된 얇은 멤브레인을 미리 형성하고 외과의사가 추후 사용하기 위한 멸균 패키지에 밀봉한다. 본 발명의 얇은 멤브레인의 한가지 목적이 날카로운 가장자리 및 표면을 줄이기 위한 것이므로, 멤브레인의 사전 형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정도지만 더 적은 마찰, 조직 교란 및 염증을 위한 가장자리의 원형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돕는다고 생각된다. 즉, 얇은 멤브레인의 표면 및 날카로운 가장자리는 멤브레인이 공기 중의 수분에 노출되는데 반응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 닳을 수 있고 그럼으로써 더 둥근 모서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극도로 부수적인 효과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식 직전 사전-절단 멤브레인을 유리 온도로 초기 가열함으로써 날카로운 모서리를 더욱 둥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우 얇은 멤브레인은 이러한 현상에 특히 영향을 받기 쉽고, 아마도 더욱 현저한 정도로, 취급으로부터의 찢어짐 또는 손상에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얇은 멤브레인을 미리 형성하는 것이 완전한 상태로 보존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reformed thin membrane is preformed and sealed in a sterile package for later use by a surgeon. Since one object of the thin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sharp edges and surfaces, it is believed that the preformation of the membrane helps to facilitate the rounding of the edges for less friction, tissue disturbance and inflammation although to a lesser extent. . That is, it is believed that the surface and sharp edges of the thin membrane may react slightly to the membrane's exposure to moisture in the air and thus wear slightly over time, thereby forming rounder corners. This is thought to be an extremely side effect. In addition, sharp edges can be rounded further by initial heating of the pre-cut membrane to glass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implantation. In addition, the very thin membran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this phenomenon, and perhaps even more remarkably, torsion or damage from handling, so that preforming the thin membrane may be advantageous to preserve in perfect condition. have.

상기 실시태양은 예시적으로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은 이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내용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완전히 기술한 것이지만, 다양한 별법, 변형, 및 그 등가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이내에서 다른 특정 변형법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lthough the foregoing has completely 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thereof may be used. It will also be apparent that other specific modifications may be us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

중합체를 포함하는 균일한 조성을 포함하는 재흡수가능한 얇은 멤브레인으로서,
상기 중합체는 포유류 체내로의 멤브레인의 최초 이식으로부터 24 개월 미만의 기간 내에 포유류 체내로 재흡수될 수 있는 것이고, 멤브레인 내에서 하나 이상의 축에 대하여 편향된 분자 배향을 가지며, 1 dL/g보다 큰 점도 성질을 갖고,
상기 멤브레인은 제1 평탄한 표면 및 제2 평탄한 표면을 갖고, 비-다공성이고, 제1 평탄한 표면 및 제2 평탄한 표면 사이에서 측정하였을 때 두께가 0.001 mm 내지 0.300 mm인, 재흡수가능한 얇은 멤브레인.
A resorbable thin membrane compris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The polymer is resorbable into the mammalian body within a period of less than 24 months from the initial implantation of the membrane into the mammalian body, has a molecular orientation biased relative to one or more axes within the membrane, and has a viscosity property of greater than 1 dL / g. With
Wherein the membrane has a first flat surface and a second flat surface and is non-porous and has a thickness of 0.001 mm to 0.300 mm as measured between the first flat surface and the second flat surface.
KR1020107027601A 2002-07-31 2003-07-31 Resorbable thin membranes KR1011786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979202P 2002-07-31 2002-07-31
US60/399,792 2002-07-31
US40839302P 2002-09-04 2002-09-04
US60/408,393 2002-09-04
US10/385,399 US6673362B2 (en) 2000-03-10 2003-03-10 Resorbable barrier micro-membranes for attenuation of scar tissue during healing
US10/385,399 2003-03-10
PCT/US2003/023919 WO2004010851A2 (en) 2002-07-31 2003-07-31 Resorbable thin membran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735A Division KR101115901B1 (en) 2002-07-31 2003-07-31 Resorbable thin membra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529A KR20100131529A (en) 2010-12-15
KR101178656B1 true KR101178656B1 (en) 2012-08-30

Family

ID=4350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601A KR101178656B1 (en) 2002-07-31 2003-07-31 Resorbable thin membrane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78656B1 (en)
DK (1) DK1542613T3 (en)
HK (1) HK1088522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7987A1 (en) * 2000-03-10 2001-09-20 Macropore, Inc. Resorbable micro-membrane for attenuation of scar tissu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7987A1 (en) * 2000-03-10 2001-09-20 Macropore, Inc. Resorbable micro-membrane for attenuation of scar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542613T3 (en) 2019-07-15
KR20100131529A (en) 2010-12-15
HK1088522A1 (en)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7300B2 (en) Resorbable thin membranes
KR100795613B1 (en) Resorbable Micro-Membrane for Attenuation of Scar Tissue
AU2001245671A1 (en) Resorbable micro-membrane for attenuation of scar tissue
US20090060978A1 (en) Resorbable barrier micro-membranes for attenuation of scar tissue during healing
US20100003306A1 (en) Pre-shaped user-formable micro-membrane implants
AU2008258179B2 (en) Resorbable thin membranes
US20100310628A1 (en) Pre-shaped user-formable micro-membrane implants
KR101178656B1 (en) Resorbable thin membranes
US20100034869A1 (en) Block-polymer membranes for attenuation of scar tissue
US20090304779A1 (en) Micro-membrane implant with cusped opening
CA2731404A1 (en) Block-polymer membranes for attenuation of scar tissue
AU2011213792A1 (en) Resorbable thin membranes
US20100310632A1 (en) Micro-membrane implant with cusped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