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618B1 - 아조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엘엑스알-알파 과다 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조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엘엑스알-알파 과다 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618B1
KR101176618B1 KR1020100029984A KR20100029984A KR101176618B1 KR 101176618 B1 KR101176618 B1 KR 101176618B1 KR 1020100029984 A KR1020100029984 A KR 1020100029984A KR 20100029984 A KR20100029984 A KR 20100029984A KR 101176618 B1 KR101176618 B1 KR 10117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zoene
group
composition
fatty liver
l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0585A (ko
Inventor
김상건
류재하
전라옥
한창엽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9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618B1/ko
Priority to PCT/KR2011/002094 priority patent/WO2011122805A2/en
Publication of KR2011011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LXRα(Liver X recptorα) 또는 SREBP-1 (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1)의 발현 또는 과다 활성으로 기인하는 질병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간, 고중성지방혈증, 고레닌혈증, 레닌으로 기인한 고혈압, 알도스테론증, 부신백질이영양증, 신사구체경화, 단백뇨, 신장해 등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조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엘엑스알-알파 과다 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joene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disease caused by overexpression of LXR-alpha}
본 발명은 아조엔(Ajoene) 또는 아조엔을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의 의약학적 또는 식품학적 용도와 관련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조엔 또는 아조엔을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이용한 LXRα(Liver X receptor-alpha) 또는 SREBP-1(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1)의 과다 활성으로 기인하는 질병 또는 당뇨병의 예방, 개선 및 치료와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을 위한 연구는 우수연구센터 (ERC) [과제고유번호: 2009-0063233 과제명: 대사 질환 제어 약물 타켓 발굴 및 후보 약물 활성 연구] 에 의하여 일부 지원되었다.
LXR(Liver X receptor)는 핵호르몬수용체 (nuclear hormone receptor)의 일종으로서, 콜레스테롤 대사 및 항상성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 즉, 아포리포프로테인E(apoE), ABCA1, ABCG1, ABCG5, ABCG8, 콜레스테롤 7α-히드록실라제(cholesterol 7α-hydroxylase) 및 스캐빈저 수용체 클라스 B타입 I(scavenger receptor class B type I) 유전자의 전사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슈바르츠 등, Biochem . Biophys. Res . Commun ., 2000, 274: 794-802]. 또한 LXR은 SREBP-1c 유전자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지질대사를 조절한다 [요시카와 등, Mol . Cell . Biol ., 2001, 21: 2991-3000].
LXR은 이성체로 LXRα 와 LXRβ가 존재한다. LXRα는 주로 간에 존재하며, LXRβ는 대부분 장기에 발현한다. LXRα는 천연리간드인 옥시스테롤류, 고농도의 당 및 인공리간드인 T0901017, GW3965 등에 의해 활성화되며, 지질생성을 관장하는 유전자의 발현 및 체내 콜레스테롤 항상성을 조절한다. 간지질 생성에 있어 LXRα는 지질센서로 작용하여 지질 생성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핵심전사인자인 SREBP-1c의 발현 및 활성을 강력히 증가시킴으로 간조직 내 지방산합성을 촉진하고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증가시킨다.
LXRα의 활성화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증을 유발하는 경로는 크게 SREBP-1c 의존적 경로와 SREBP-1c 비의존적 경로가 있다. SREBP-1c 의존적 지방간은 LXRα매개성 SREBP-1c의 전사활성화를 통하여 지질생성유전자의 발현이 상향 조절되어 나타나고, SREBP-1c 비의존적 지방간은 LXRα의 활성화가 유리지방산의 수송체인 CD36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간으로의 지방산 이동을 자극하여 나타난다.
또한, LXRα는 신장에서 레닌의 분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된바 있다. LXRα와 LXRβ는 모두 레닌을 생성하는 juxtaglomerular 세포에 풍부하게 발현된다. 모렐로 등에 의하면, LXRα의 아고니스트인 T0901017 또는 GW3965가 신장에서의 레닌의 mRNA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혈중 레닌활성을 증가시킨다 [모렐로 등, J. Clin . Invest ., 2005, 115: 1913-1922]. 지나친 혈중 레닌의 증가는 고레닌혈증을 초래하며, 이로 인해 고혈압 및 알도스테론증이 나타난다.
LXR은 또한 몸안의 '매우 긴사슬 지방산'(VLCFA)이 분해되지 않고 뇌에 들어가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희귀질환인 부신백질이영양증(ALD, adrenoleukodystrophy) 과 관련된 ABCD2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므로 LXR의 저해제는 ALD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와인호퍼 등, J. Biol . Chem ., 2005, 280: 41243-41251].
SREBP(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는 스테롤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의 전사조절부위인 sterol response element(SRE)에 결합하는 단백질이며 세 가지 이성질체 구조(isoform)로 존재한다. SREBP-1a 와 SREBP-1c는 동일 유전자로부터 전사되며, SREBP-2는 이와 다른 유전자로부터 발현된다. SREBP-1c는 주로 지방산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 SREBP-2는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 전사를 조절하는 전사인자이다.
SREBP-1 및 SREBP-2은 나이에 따라 신장에서의 발현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신장에서의 지질합성 및 트리글리세리드와 콜레스테롤의 축적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신사구체경화(glomerulosclerosis) 및 단백뇨(proteinuria), 신장해(nephropathy)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지앙 등, Kidney Int., 2005, 68(6): 2608-2620].
SREBP는 보통의 경우 소포체 막단백질로 존재하며 크기는 125 킬로달톤(kDa) 이다. 스테롤 고갈 등의 자극으로 활성화 되기 전에는 비활성화 형태(inactivated form)로 막에 결합되어 있다가, 활성화시 골지체로 이동, 절단되어 65킬로달톤 크기의 활성형 단백질로 된다. SREBP는 활성화될 때 핵내로 이동하여 표적유전자의 SRE에 결합하여 지질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SREBP-1c의 표적 유전자로는 지방산 합성경로를 촉매하는 효소인 FAS(fatty acid synthase), ACC(acetyl CoA carboxylase), SCD(stearoyl CoA desaturase) 등이 있다. 혈중에서 간으로 유입되는 유리지방산과 간에서 직접 생성하는 지방산의 양이 초저밀도지단백(VLDL)형태로 배출되거나 베타 산화되는 지방산의 양보다 많을 경우 간에서의 지질대사 균형이 깨어져 지방간증으로 이행되기 때문에, 간에서 지방생성을 담당하는 FAS, ACC, SCD등의 단백질을 유도조절하는 SREBP-1c는 알코올성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증(liver steatosis)의 중요 요인이다[코히지마 등, Int . J. Mol . Med ., 2008, 21(4): 507-511, 도노휴, World J. Gastroenterol . 2007, 13(37): 4974-4978].
지방간은 의학적으로 지방이 전체 간 무게의 5% 이상을 초과하는 병적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를 포함하는 간질환은 선진국 40-50대 성인 인구의 사망원인에서 암 다음으로 심각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선진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의 인구 중 약 30%는 이미 지방간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중 20%는 간섬유화를 거처 간경변증으로 진행한다. 이 같은 간경변 환자의 절반은 진단 후 10년 내에 간질환으로 사망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현재 서구형 고지질 식이 섭취증가와 운동부족으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치료법으로 식습관 등 생활습관 개선을 추천하는 것이 전부이다.
현재 지방간을 약물학적으로 치료하는데 유용한 약제는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운동과 식이요법만이 권장되고 있으나, 실제로 이러한 방법에 의한 지방간의 치료효율은 매우 낮아서 유효한 치료제 개발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약물보조요법으로서 베타인(betaine), 글루큐로네이트(glucuronate), 메티오닌(methionine), 콜린(choline), 친지방(lipotrophic) 제제가 보조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지만, 이들에 대한 의약학적 근거가 완전히 증명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효과가 탁월하면서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지방간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당뇨병은 인슐린 작용부족으로 기인하거나 인슐린에 대한 생체의 반응성이 감소하여 세포내 포도당 이용이 줄어들고 고혈당이 지속되는 대사이상을 수반하며, 만성적으로는 혈관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나뉘는데, 당뇨병 환자의 85% 이상은 제2형 당뇨병에 속하며 주로 성인에서 발병한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에 대한 생체의 반응성이 감소하는 인슐린 저항성과 내분비세포로부터 인슐린 분비의 장애를 동반할 수 있다. 인슐린 저항성은 주어진 인슐린 농도에서 생체 세포나 조직의 인슐린에 대한 반응성이 정상보다 감소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올티프라즈가 고지질식이에 의한 비만과 이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 증가로 인한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밝힌 바 있다(등록특허 제690818호). 현재 다양한 당뇨병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으나 보다 효과적인 새로운 약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아조엔(Ajoene)은 분쇄하거나 으깬 마늘로부터 분리 가능한 화합물이다. 마늘로부터 아조엔이 생성되는 과정은, 마늘의 액포에 저장된 알리나제(alliinase)가 조직이 파괴될 때 유리되어 알리인을 알릴술펜산(allylsulfenic acid)으로 변환하고 이 두 분자로부터 알리신이 생성된다. 알리신은 설폭사이드 재배열(sulfoxide rearrangement)에 의해 안정한 화합물인 아조엔으로 변환된다.
마늘로부터 아조엔을 순수하게 분리하는 것은 과정이 복잡하고 마늘재료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여러 단계의 분리과정을 거치면서 수율이 낮으므로 대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기합성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아조엔은 저분자 유기화합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전합성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이다.
아조엔은 알릴 비닐 디설파이드(allyl vinyl disulfide)기를 가지며, 이것이 각종 단백질의 설프히드릴(sulfhydryl)기를 설페닐화(sulfenylation) 함으로써 다양한 생리활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조엔의 생리활성으로는 항종양, 항균, 혈소판응집억제(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vol.49, No.2, p587-595, 1993), 면역력 강화, 뇌기능강화, 숙취제거효과(공개특허공보 제2007-0017452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조엔이 LXRα 또는 SREBP-1의 과다발현 또는 과다활성으로 인한 질병,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에서는 LXRα 또는 SREBP-1 의 신규한 저해제를 찾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LXRα 또는 SREBP-1의 과다발현 또는 과다활성으로 인한 질병, 예를 들어 지방간, 고중성지방혈증, 고레닌혈증, 레닌으로 기인한 고혈압, 알도스테론증, 부신백질이영양증, 신사구체경화, 단백뇨, 신장해 등의 예방,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약학 또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LXRα또는 SREBP-1의 과다발현 또는 과다활성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지방간, 고중성지방혈증(hypertriglyceridemia), 고레닌혈증, 레닌으로 기인한 고혈압, 알도스테론증, 부신백질이영양증 (adrenoleukodystrophy), 신사구체경화 (glomerulosclerosis), 단백뇨 (proteinuria), 신장해(nephropathy) 등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병을 예방, 치료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조성물은 고지질식이로 증가되는 혈당의 수치를 낮추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LXRα활성화제인 T0901317을 간세포주인 HepG2에 처치하고, LXRα의 발현정도에 대한 아조엔(Ajo)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Con: 무처리군, **: Con군과 비교하여 p<0.01, #: T0901317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p<0.05)
도 2는 LXRα활성화제인 T0901317을 간세포주인 HepG2에 처치하고 LXRE에 대한 아조엔(Ajo) 처치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Con: 무처리군, **: Con군과 비교하여 p<0.01, #: T0901317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p<0.05, ##: T0901317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p<0.01 )
도 3은 LXRα활성화제인 T0901317을 간세포주인 HepG2에 처치하고, SREBP-1 단백질의 발현정도에 대한 아조엔(Ajo)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Con: 무처리군, **: Con군과 비교하여 p<0.01, #: T0901317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p<0.05, ##: T0901317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p<0.01)
도 4는 고지질식이로 유도된 지질생성 유전자 LXR의 간조직내 발현량에 대한 아조엔(Ajo) 처치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정상식이군의 LXRα또는 SREBP-1 mRNA 수준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내었다. (ND:정상식이 HFD:고지질식이 Ajo:아조엔 **: ND군과 비교하여 p<0.01, #: HFD 단독군과 비교하여 p<0.05, ##: HFD 단독군과 비교하여 p<0.01 )
도 5는 지질식이로 유도된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의 함량에 대한 아조엔(Ajo)의 투여시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ND:정상식이 HFD:고지질식이 Ajo:아조엔 **: ND군과 비교하여 p<0.01, #: HFD 단독군과 비교하여 p<0.05, ##: HFD 단독군과 비교하여 p<0.01 )
도 6은 고지질식이로 유도된 지방간 동물모델 및 상기 동물모델에 아조엔(Ajo)을 투여하였을 경우의 간조직을 지방 염색법(Oil Red O)으로 염색하여 비교한 결과이다.
도 7은 아조엔(Ajo)투여 스케쥴 및 고지질식이로 유도된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체중 변화에 대한 아조엔 처치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ND:정상식이 HFD:고지질식이 Ajo:아조엔, **: ND군과 비교하여 p<0.01 #: HFD 단독군과 비교하여 p<0.05 )
도 8은 고지질식이로 유도된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공복시 혈중 포도당 농도에 대한 아조엔의 투여시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ND:정상식이  HFD:고지질식이 Ajo:아조엔 **: ND군과 비교하여 p<0.01 #: HFD 단독군과 비교하여 p<0.05)
본 발명은 아조엔(Ajoene) 또는 이를 대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물의 의약학적 또는 식품학적 용도와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LXRα 및 SREBP-1의 발현 및 활성에 영향을 주는 물질에 대한 연구를 거듭하여, 놀랍게도 아조엔이 LXRα의 활성화제로 알려져 있는 T0901317를 간세포주에 처치시 증가하는 LXRα 및 SREBP-1의 발현 및 활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밝혔다(도1-3).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고지질식이로 발현이 증가된 마우스의 LXRα 및 SREBP-1이 아조엔에 의하여 발현이 억제되었으며(도4), 고지질 식이를 투여하여 간조직 내에 중성지방의 함량이 증가된 마우스에 아조엔을 투여할 경우 상기 중성지방의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고(도 5), 간조직을 지방염색법으로 관찰하여 지방의 양이 아조엔의 투여에 의하여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 또한, 아조엔의 투여는 고지질식이로 인한 체중증가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도7), 고지질식이로 유도된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공복시 혈중 포도당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도8).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기초로 본 발명은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LXRα 또는 SREBP-1의 과다 발현 또는 활성으로 기인하는 질병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LXRα 또는 SREBP-1의 과다 발현 및 활성으로 인한 질병인 고중성지방혈증, 고레닌혈증, 레닌으로 기인한 고혈압, 알도스테론증, 부신백질이영양증, 신사구체경화, 단백뇨, 신장해 등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는 LXRα활성화 조절을 통하여 지질생성 효소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핵심 전사인자인 SREBP-1의 발현 및 활성을 억제하며, 나아가 지질생성 유전자의 발현 억제를 통해 대사장애에 의한 지방간증으로 인한 간조직 내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간증(liver steatosis)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질식이로 증가된 혈당의 수치를 낮추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을 예방, 개선,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투여하여 LXRα 또는 SREBP-1의 과다 발현 또는 과다 활성으로 인한 질병 또는 고지질식이로 인한 혈당 증가, 당뇨병을 예방, 개선,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아조엔은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마늘로부터 생성?분리하거나 또는 합성에 의하여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헌터 등 [Bioorg Med Chem Lett., 2008, 18:5277-5279]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합성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마늘로부터 생성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으깨거나 분쇄한 마늘 또는 이들 여과한 여과액을 상온 또는 ~ 37 oC에서 12 시간 이상 방치하여 마늘의 알리인이 알리신을 거쳐 아조엔이 생성되도록 한 후, 메탄올, 에탄올 같은 극성용매를 가하여 1시간 내지 7일,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10 내지 100℃ 로 추출하여 감압농축한다. 농축물을 물에 분산시키고, 디에틸에테르와 같은 용매로 분획화한다. 얻어진 분획으로부터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아조엔이 풍부한 분획을 수득하고, 추가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순수한 아조엔을 분리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조엔, 즉 (E. Z)-4,5,9-트리티아도데카-1,6,11-트리엔-9-옥사이드((E, Z)-4,5,9-trithiadodeca-1,6,11-triene-9-oxide)는 트랜스형(E-아조엔) 및 시스형(Z-아조엔)의 기하이성질체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조엔은 시스형, 트랜스형 또는 이들의 혼합형태인 아조엔이 모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 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 (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glutaric acid), 글루쿠론산 (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금속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금속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의 아조엔 또는 이를 함유하는 마늘추출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기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 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50중량%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아조엔 또는 이를 함유하는 마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조엔, 아조엔을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 이들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들의 용매화물 및 이들의 수화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 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 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아조엔 또는 이를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및 개선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늘로부터의 아조엔의 제조
신선한 으깬 마늘 2 kg 을 상온에서 12시간, 37℃에서 5시간 동안 보관한 후, 8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물에 분산하고 디에틸에테르로 분획화 하였다. 에테르 용액 분획 5.2 g 을 n-헥산/에틸아세테이트와 n-헥산/아세톤으로 경사의 용매조합을 이용하여 실리카 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아조엔 함량이 풍부한 소분획 120 mg 을 얻었다(ARF). 소분획물로부터 역상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μ-Bondapak C-18, 10 × 300 mm; 70% 메탄올; 2.0 ml/min; 자외선 254 nm)에 의하여 순수한 아조엔 53 mg 을 획득하였다. 아조엔의 화학 구조는 (Z)-ajoene 이성질체로서 질량분석법 및 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Figure 112010020954252-pat00001

실시예 2.유기합성에 의한 아조엔의 제조
아조엔의 합성은 Hunter 등에 의하여 최근에 보고된 바 있는 유기합성 방법[Bioorg Med Chem Lett., 2008, 18:5277-5279]으로부터 소폭 변환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즉, 알릴티올(Allyl thiol)을 출발물질로 하여 이로부터 프로파질화반응(propargylation)을 통하여 알릴프로파질 설파이드(allylpropargyl sulfide)를 얻고, 여기에 티올아세트산(thiolacetic acid)를 아조비스이소뷰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 존재 하에 입체선택적 라디칼 부가반응 (regioselective radical addition)하여 비닐티올아세테이트 (vinylthioacetate)를 합성하였다. 얻어진 티올아세테이트(thioacetate)을 보호기제거반응(deprotection) 및 S-알릴 p-톨루엔설포닐티올레이트(S-allyl p-toluenesulfonylthioate)을 이용한 설페닐화반응(sulfenylation)을 통하여 비닐 디설파이드(vinyl disulfide)를 얻고, 이를 메타-클로로퍼옥시벤젠산(meta-chloroperoxybenzoic acid, m-CPBA)으로 산화시켜 아조엔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아조엔의 화학 구조는 (Z)-ajoene 이성질체로서 질량분석법 및 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참고예 1: 실험 동물 및 식이
실험동물로 사용된 male C57BL/6 마우스 (평균 체중 25 내지 30g)는 Charles River Orient (Seoul. Korea)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하기 전 1주 이상 55± 5%의 습도, 22± 2℃의 온도 및 환기가 조절된 서울대 약대 동물실험 연구동에서 동물을 적응시켰으며, 오전 7시와 오후 7시를 기준으로 하여 12시간 주기로 명암을 바꾸어 주었다. 실험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 식이량 및 식수량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동물의 무게와 상태를 매주 1회 검사하였고 고지질 식이 (Dyets Inc., Bethlehem) 또는 정상식이로 8주간 사육하였고 마지막 4주 동안 아조엔 (10 또는 30 mg/kg, 5 times/week)을 투여하였다. 각 그룹은 총 8마리의 마우스로 구성되었다.
참고예 2: 시료 준비
지방간 유발을 위한 고지질 식이는 미국 다이엣사(Dyet Co.)에서 구입하였다. 원하는 농도의 아조엔은 40% PEG #400으로 희석[PEG #400:물=4:6]하여 제조하였다.
참고예 3: Real time - RT PCR
마우스 간에서 추출한 total RNA (2 μg)와 d(T)16 primer 및 AMV 역전사효소 (reverse transcriptase)를 사용하여 cDNA를 얻었다. 유전자들의 상대적인 양은 CyBr green dye를 사용한 Realtime RT-PCR법에 의해 정량하였다. Realtime RT-PCR은 Roche (Mannheim, Germany)의 Light-cycler 2.0 을 이용하였다.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PCR 을 수행하고 Light-cycler software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유전자의 상대적인 양을 분석하였다.
참고예 4: 웨스턴 브롯
Laemmli UK 방법 (1970)에 따라 Mighty Small II SE 250장치를 사용하여 sodium dodecyl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를 하였다. 간 시료의 용해분획을 샘플희석완충액 [63mM Tris (pH.6.8), 10% glycerol, 2% SDS, 0.0013% bromophenol blue, 5% β-mercaptoethanol]에 희석하여 7.5%, 9% 젤을 사용하여 전극 완충액 (1L 용액 중 Tris 15g, glycine 72g, SDS 5g 포함)내에서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젤은 전이용 전기영동장치를 이용하여 전이완충액 [25mM Tris, 192mM glycine, 20% v/v methanol (pH.8.3)]내에서 190mAmps로 1시간 동안 니트로셀룰로오즈지에 단백질을 전이시켰다. Anti-SREBP-1를 1차 항체로서 반응시킨 후 2차 항체로 Horse radish peroxidase-conjugated goat anti-rabbit IgG를 1시간 반응시키고 ECL chemiluminecence system (Amersham, Gaithesberg, MA)을 사용하여 발색하였다. 시료 중 단백질 함량의 동질성은 anti-β-actin 항체(Sigma, St. Louis, MO)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참고예 5: 분석 방법
실험예에서 제시한 자료는 약물학적 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으로, 다양한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일방향 평방편차 분석법 (Fisher, R.A., Statistical Methods for Research Workers , Edinburgh : Oliver & Boyd , 1925) 으로 검정한 후 뉴먼-켈스 검사(Norman GR 등, Biostatistics: The Bare Essentials, 2000) 로 판정하였다 (*, #p<0.05, **, ##p<0.01).
실험예 1: 아조엔 처치에 의한 LXR α의 발현억제 효과
세포주로는 대표적인 Human 간세포주인 HepG2를 사용하였다. HepG2에 아조엔(Ajo, 10 또는 30μM)을 1시간 전처리하고, LXRα활성화제 T0901317(10μM)을 12시간 처리한 후, 간세포주에서 mRNA를 분리하고 RT-PCR을 통해 cDNA를 합성한 후, 특정 프라이머(Human LXR, 5'-GATCGAGGTGATGCTTCTGGAG-3' (sense) and 5'-CCCTGCTTTGGCAAAGTCTTC-3' (antisense))를 활용하여 real-time PCR 로 분석하였다.
LXRα활성화제 T0901317를 간세포주인 HepG2에 처치시 LXRα의 mRNA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여 상대적 mRNA level이 3배였으며, 아조엔 처치에 의하여 아조엔 10uM에서 1.9배, 30uM에서 1.8배로 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1).
실험예 2: 아조엔 처치에 의한 LXR α활성억제 ( LXRE 결합능 억제) 효과
 LXRα은 표적유전자 프로모터에 존재하는 특정영역(LXRE)에  결합함으로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아조엔 처치에 의해 LXRE 결합능이 변화되는지를 관찰하고자 리포터진 어세이(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를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먼저, LXRE를 함유한 벡터(Vector)를 HepG2 세포주에 lipofectamine (Invitrogen, USA)을 이용하여 트렌스펙션(Transfection, 형질변환)을 실시하였다. 12시간이 경과한 후, HepG2에 아조엔(Ajo, 10 또는 30μM)을 1시간 전처리하고, LXRα활성화제 T0901317(10μM)을 12시간 처리하였다. 그런 후, Passive lysis buffer (Promega, USA)를 이용하여, 세포의 분획물을 획득한 후, Luminometer를 이용하여 Luciferase activity를 측정하였다.
T0901317 처리에 의하여 처리전과 비교한 상대적 루시퍼라제 활성이 2.3배로 현저하게 증가된 루시퍼라제 활성은 아조엔 전처치에 의하여 아조엔 10uM에서는 1.8배, 30uM에서는 1.3배로 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도2). 이는 아조엔이 LXRα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실험예 3: 아조엔 처치에 의한 SREBP -1의 발현 및 활성억제 효과
LXRα활성화제인 T0901317을 간세포주인 HepG2 에 처치한 경우와 T091317과 아조엔을 함께 처치하고, SREBP-1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정도를 비교 관찰하였다(도3). HepG2에 아조엔(Ajo, 10 또는 30μM)을 1시간 전처리하고, LXRα활성화제 T0901317(10μM)을 12시간 처리하였다. 그런 후, 단백질을 분리하여 웨스턴 블롯을 실시하여 SREBP-1의 단백질변화를 관찰하였고 (도3, 하단), mRNA를 분리하여 RT-PCR을 통해 cDNA를 합성한 후, 특정 프라이머(human SREBP-1, 5'-CGACATCGAAGACATGCTTCAG-3' (sense) and 5'-GGAAGGCTTCAAGAGAGGAGC-3' (antisense)) 를 활용하여 real-time PCR 로 분석하였다 (도3, 상단).
LXRα활성화제 (T0901317)를 간세포주인 HepG2에 처치시 지질생성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세포단백질인 SREBP-1의 mRNA(도3, 상단)와 단백질발현(도3, 하단)이 12 시간 만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대적 mRNA level이 4.8배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며 (p<0.01), 아조엔 처치에 의하여 아조엔 10uM에서 2.8배, 30uM에서 2.4배로 되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가 억제되었다.
실험예 4: 고지질식이로 발현이 증가된 LXR α에 대한 아조엔 처치의 효과
고지질식이로 유도된 지질생성 유전자 LXRα의 발현증가에 대한 아조엔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세포내 지질 센서인 LXRα의 발현량을 간조직에서 mRNA 분리 및 RT-PCR을 통해 cDNA를 합성후 특정 프라이머를 활용하여 real-time PCR 기계로 분석하였다. 고지질 식이 또는 정상식이로 8주간 사육하였고, 고지질 식이로 사육한 군에 마지막 4주동안 아조엔 (10 또는 30 mg/kg, 5 times/week)를 투여한 마우스의 간조직에서 LXRα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간조직에서 mRNA를 분리하고 RT-PCR을 통해 cDNA를 합성한 후, 특정 프라이머(mouse LXR, 5'-TGCCATCAGCATCTTCTCTG-3' (sense) and 5'-GGCTCACCAGCTTCATTAGC-3' (antisense))를 활용하여 real-time PCR 로 분석하였다. 정상식이군(ND)의 LXRα mRNA의 수준을 1로 하였을 때, 고지질식이군 또는 고지질식이+아조엔 투여군의 상대적인 LXRα mRNA의 수준을 나타내었다(도 4 좌측). 세포내 지질 센서인 LXRα의 발현이 고지질 식이에 의해 상대적 mRNA level이 2.1배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1), LXRα 발현의 증가는 아조엔 투여로 아조엔 30mg/kg에서 1.3배로 되어 유의하게 억제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실험예 5: 고지질식이로 발현이 증가된 SREBP -1에 대한 아조엔 처치의 효과
지질생성 효소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SREBP-1의 발현 역시 고지질 식이에 의해 증가되었으며 이에 대한 아조엔 투여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예4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사육한 마우스의 간조직에서 SREBP-1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간조직에서 mRNA를 분리하고 RT-PCR을 통해 cDNA를 합성한 후, 특정 프라이머(mouse SREBP-1, 5'-AACGTCACTTCCAGCTAGAC-3' (sense) and 5'-CCACTAAGGTGCCTACAGAGC-3' (antisense))를 활용하여 real-time PCR 로 분석하였다. 정상식이군(ND)의 SREBP-1 mRNA의 수준을 1로 하였을 때, 고지질식이군, 고지질식이+아조엔 투여군의 상대적인 SREBP-1 mRNA의 수준을 도4우측에 나타내었다. SREBP-1 mRNA의 발현이 고지질 식이에 의해 상대적 mRNA level이 3.4배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1), 이러한 발현의 증가는 아조엔 투여로 아조엔 10mg/kg에서 2배, 30mg/kg에서 1.6배로 되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실험예 6: 고지질식이로 축적된 간조직 내 중성지방의 함량에 대한 아조엔 처치의 효과
간조직 내 중성지방의 함량은 지방간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정상 식이 및 고지질 식이를 마우스에 8주간 실시하고 마지막 4주간 아조엔을 주당 5회, 각각 10 또는 30 mg/kg를 투여한 후 고지질 식이로 축적된 간조직 내 중성지방 함량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고지질 식이를 8주 실시한 마우스에서는 간조직 내 중성지방의 함량이 61 mg/g liver로 정상식이군의 27 mg/g liver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된 반면, 아조엔이 투여된 경우에는 10mg/kg 투여시 36 mg/g liver, 30mg/kg 투여시 31 mg/g liver로 조직내 중성지방의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도 5).
실험예 7: 고지질식이로 유도된 지방간 동물모델의 간조직에 대한 아조엔 투여의 효과
아조엔의 투여에 의한 고지질식이로 유도된 지방간의 치료효과를 간 조직을 지방 특이 염색제인 오일 레드 오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6에서 채취한 간 조직을 10% 중성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하고 통상적인 고정절차 및 탈수과정을 거친 후 파라핀으로 조직을 포매하였다. 포매한 조직을 4 ㎛의 두께로 조직 절편을 하여 오일 레드 오로 염색을 실시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고지질식이군에서는 오일레드오로 붉게 염색된 부분이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HFD+vehicle), 아조엔 투여군(HFD+Ajo)에서는 붉게 염색된 부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중성지방 함량에 대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이다 (도 6).
실험예 8: 고지질식이로 인한 체중증가에 대한 아조엔 처치의 효과
고지질 식이 (Dyets Inc., Bethlehem) 또는 정상식이로 8주간 사육하였고 마지막 4주 동안 아조엔 (10 또는 30 mg/kg, 5 times/week)를 투여한 마우스의 사육기간 동안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각 그룹은 총 8마리의 마우스로 구성되었다. 아조엔 30mg/kg 의 투여는 고지질식이로 인한 체중증가를 유의하게 감소시켜(도 7) 비만의 예방?치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9: 고지질식이로 증가된 혈중 포도당 농도에 대한 아조엔 처치의 효과
고지질 식이 (Dyets Inc., Bethlehem) 또는 정상식이로 8주간 사육하였고 마지막 4주 동안 아조엔 (10 또는 30 mg/kg, 5 times/week)를 투여한 마우스의 꼬리 정맥으로부터 공복시 혈액 0.01 ml를 채취하여 Accucheck혈당측정기(Roche사) 로 혈장 중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였다. 정상식이의 혈중농도 68 mg/dl과 비교하여 고질식이로 혈당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62 mg/dl), 아조엔의 투여로 10mg/kg 투여시는 102 mg/dl, 30mg/kg 투여시는 92 mg/dl로 고지질식이로 증가된 공복시 혈중 포도당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도 8).
이하는 본 발명의 아조엔 또는 아조엔을 다량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아조엔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아조엔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아조엔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아조엔 5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아조엔 다량함유 마늘 추출물(ARF)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
아조엔 다량 함유 마늘 추출물(ARF)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아조엔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적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1)

  1. 삭제
  2. 아조엔, 아조엔을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들의 용매화물 및 이들의 수화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고중성지방혈증, 고레닌혈증, 레닌으로 기인한 고혈압, 알도스테론증, 부신백질이영양증, 신사구체경화, 단백뇨 및 신장해로 이루어 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조성물.
  3. 아조엔, 아조엔을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들의 용매화물 및 이들의 수화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간이 대사장애성 지방간인 의약 조성물.
  5. 삭제
  6. 아조엔, 아조엔을 함유하는 마늘추출물,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들의 용매화물 및 이들의 수화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질식이로 증가된 혈당을 낮추기 위한 의약조성물.
  7. 제 2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조엔은 마늘로부터 분리되거나 유기합성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8. 제 2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조엔을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은 분쇄한 마늘을 극성 용매로 추출하고 감압농축한후 물에 분산시켜 디에틸에테르 용매로 분획화하고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분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9. 삭제
  10. 아조엔, 아조엔을 함유하는 마늘추출물분획, 이들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들의 용매화물 및 이들의 수화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고중성지방혈증, 고레닌혈증, 레닌으로 기인한 고혈압, 알도스테론증, 부신백질이영양증, 신사구체경화, 단백뇨 및 신장해로 이루어 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1. 제10항에 있어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또는 음료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00029984A 2010-04-01 2010-04-01 아조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엘엑스알-알파 과다 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7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984A KR101176618B1 (ko) 2010-04-01 2010-04-01 아조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엘엑스알-알파 과다 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CT/KR2011/002094 WO2011122805A2 (en) 2010-04-01 2011-03-25 A composition comprising ajoene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disease caused by overexpression of lxr-alph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984A KR101176618B1 (ko) 2010-04-01 2010-04-01 아조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엘엑스알-알파 과다 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585A KR20110110585A (ko) 2011-10-07
KR101176618B1 true KR101176618B1 (ko) 2012-08-23

Family

ID=4471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984A KR101176618B1 (ko) 2010-04-01 2010-04-01 아조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엘엑스알-알파 과다 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6618B1 (ko)
WO (1) WO20111228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7644A (zh) * 2015-05-20 2015-09-09 青岛博恩高科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阿藿烯胶囊
CN115166085B (zh) * 2022-07-07 2023-12-12 王超 一种测定软胶囊类保健食品中阿藿烯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5031A1 (en) 1996-01-11 1997-07-17 Davidson John B Methods of using integrin modulators
JP2001302508A (ja) * 2000-04-24 2001-10-31 Nagoya Seiraku Kk 抗糖尿病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100B1 (ko) * 2005-09-12 2006-09-11 (주)에이티 랩 아호엔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5031A1 (en) 1996-01-11 1997-07-17 Davidson John B Methods of using integrin modulators
JP2001302508A (ja) * 2000-04-24 2001-10-31 Nagoya Seiraku Kk 抗糖尿病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585A (ko) 2011-10-07
WO2011122805A3 (en) 2012-03-08
WO2011122805A2 (en)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4519A (ko)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523820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1505994A1 (en) Novel use of the extract of processed ginseng and saponin isolated therefrom
KR101785495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69208B1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5635A (ko) 일종의 인삼속 식물의 추출물 및 그의 약학적 조성물과 용도
KR20120008125A (ko) 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17363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176618B1 (ko) 아조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엘엑스알-알파 과다 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23130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00095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lderberry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for preventing, treating, or alleviating andropause syndrome
KR20170023910A (ko) 퀘르세틴-3-o-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81984B1 (ko)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5614A (ko) 토사자 추출물을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성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66433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91925A (ko)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H06183985A (ja) 吸収性骨疾患の予防・治療剤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10032446A (ko) 황기,계지 및 황백의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및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5498067B2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及び尿酸生成阻害剤
KR101753061B1 (ko)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8994A (ko) 리퀴리티게닌 또는 이소리퀴리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엘엑스알-알파 과다 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6068B1 (ko)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907179B1 (ko) 설포라핀을 다량 함유하는 무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무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체중, 혈당조절용 및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약품 조성물, 동물용 의약품
JP2020535222A (ja) 満腹および/または食欲に関与するペプチドレベルの調節による体重管理のための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