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870B1 -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870B1
KR101173870B1 KR1020100079904A KR20100079904A KR101173870B1 KR 101173870 B1 KR101173870 B1 KR 101173870B1 KR 1020100079904 A KR1020100079904 A KR 1020100079904A KR 20100079904 A KR20100079904 A KR 20100079904A KR 101173870 B1 KR101173870 B1 KR 10117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plate
battery module
case
secondary batteri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296A (ko
Inventor
정강식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870B1/ko
Priority to US12/958,143 priority patent/US8846238B2/en
Priority to EP11158617.8A priority patent/EP2421069B1/en
Publication of KR2012001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 상기 이차 전지들이 배열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이차 전지들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이차 전지들을 고정하는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이차 전지와 마주보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대항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한 쌍이 세로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또는 가로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대치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나사골이 형성되지 않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는 나사골이 형성되지 않은 결합공이 형성되어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체결부재가 상기 관통홀과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가 단순 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개선한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모터 구동용 전원 또는 전력 저장용으로 사용된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전지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전지 모듈은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로 이루어지며, 이차 전지는 원통형과 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형 이차 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separator)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케이스를 밀폐하며 전극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홀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 전극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 홀에 삽입되어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들은 전지 모듈의 케이스에 내부에 배열되고, 엔드 플레이트로 고정되는데, 외부 충격에 의하여 배열된 이차 전지들이 전지 모듈에서 이탈되거나 단자 간 연결이 느슨해지면서 접촉불량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케이스에 엔드 플레이트를 나사 및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때, 나사를 케이스 및 엔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고 회전시켜 결합해야 하므로 결합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렇게 나사 및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면, 나사의 크기와 케이스 및 엔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의 공차를 없애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엔드 플레이트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엔드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나사의 마모를 피하기 위하여, 나사를 금속재질로 만들어야 한다.
또한, 케이스가 삽입되는 커버와 나사의 헤드와의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외부 진동이 케이스에 전달되어 나사가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드 플레이트에 이차 전지들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탄성구조물을 구비하여 이차 전지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개선한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 상기 이차 전지들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이차 전지들을 고정하는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이차 전지와 마주보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대항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한 쌍이 대치되게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좌우로 나누는 세로방향(y축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되거나,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상하로 나누는 가로방향(z축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이차전지와 마주보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대항면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개의 이차전지들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외벽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벽 끝 단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게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과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공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체결부재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체결부재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공에 고정되는 몸체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헤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외곽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 전지들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케이스와 엔드 플레이트의 결합력이 강화되며, 케이스와 엔드 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한 구조를 단순화 하여 전지 모듈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III-III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가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가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양극 단자(11)와 음극 단자(12)를 갖는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10), 이차 전지들(10)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이차 전지들(10)을 지지하는 제1 엔드 플레이트(20) 및 이차 전지들(10)과 제1 엔드 플레이트(20)가 수용되는 케이스(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이차 전지들(10)을 직렬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차 전지들(10)은 병렬로 연결되거나, 직병렬의 조합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의 케이스(19)는 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9)의 일측 개구에는 캡 플레이트(16)가 결합되며, 상기 캡 플레이트(16)를 관통하여 양극 단자(11)와 음극 단자(12)가 돌출된다. 양극 단자(11)와 음극 단자(12)는 케이스(19)내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미도시)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캡 플레이트(16)는 내부 압력의 상승 시에 개방되는 벤트 부재(14)와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마개(17)를 포함할 수 있다.
나란하게 배열된 이차 전지들(10)은 연결부재(13)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 때,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10)은 양극 단자(11)와 음극 단자(12)가 엇갈리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일측 이차 전지(10)의 양극 단자(11)와 이에 이웃하는 이차 전지의 음극 단자(12)에 연결부재(13)가 너트(18)를 이용하여 결합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케이스(5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외벽(5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50)의 한 쌍의 외벽(51) 사이의 상부 및 일 측부가 개방되어 있다.
제1 엔드 플레이트(20)는 상기 케이스(50)의 개방된 일 측부에서, 나란하게 배열된 이차 전지들(10)의 최외곽에 위치한 이차 전지(10)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이차 전지들(10)을 지지한다. 따라서, 제1 엔드 플레이트(20)에 의하여 나란하게 배열된 이차 전지들(10)이 안정적으로 배열되고, 외부 충격에 의하여 이차 전지들(10)이 배열에서 이탈되거나 단자 간 연결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엔드 플레이트(20)는 상기 이차 전지(10)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20)의 대항면에 탄성부재(40)가 구비된다. 이렇게 형성된 탄성부재(40)는 이차 전지들(10)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케이스(50) 내에 수용된 이차 전지들(10)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 엔드 플레이트(20)는 도 2에서 볼 때, 케이스(50)의 외벽(51)의 오른쪽 끝 단에 결합된다. 이 때, 이차 전지들(10)에 작용하는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케이스(50) 내에서 x축 방향으로 제1 엔드 플레이트(20)에 작용하는 반발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1 엔드 플레이트(20)와 외벽(51)을 결합시킬 때, 반발력의 작용방향과 수직하는 z축 방향으로 체결수단을 삽입하면, 반발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엔드 플레이트(20)와 체결수단의 마찰력으로 안정적으로 이차전지들(1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지 모듈(100)을 II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케이스(50)의 한 쌍의 외벽(51)의 오른쪽 끝 단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52)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공(52)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제1 엔드 플레이트(20)의 양쪽 가장자리에 하나 이상의 결합공(22)이 형성된다. 한편, 체결부재(60)는 관통공(52)과 결합공(22)에 삽입되어, 케이스(50)의 외벽(51)에 제1 엔드 플레이트(20)를 결합시킨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이차 전지들(10)에서 발생된 반발력은 케이스(50) 내의 x축 방향으로 작용한다. 체결부재(60)는 이차 전지들(10)에 의해 발생되는 반발력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제1 엔드 플레이트(20)와 체결부재(60)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관통공(52) 및 결합공(22)의 내면에는 나사골이 형성되지 않고, 체결부재(60)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아도, 제1 엔드 플레이트(20)와 케이스(50)는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체결부재(60)를 나사를 체결하는 방식이 아닌 단순 끼움방식으로 삽입하게 되면, 전지모듈(100)의 결합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60), 관통공(52) 및 결합공(22)의 결합 시 외부 충격에 반응하기 위한 결합공차를 주기 위한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체결부재(60)는 결합공(22)에 고정되는 몸체(61)와 케이스(50)의 외측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헤드(62)를 포함한다. 몸체(6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엔드 플레이트(20)가 플라스틱 재질일 때, 체결부재(60)는 단순 끼움방식으로 삽입되게 되므로, 체결부재(60)는 나사골에 삽일할 때 마모를 고려 하지 않아도 되므로, 체결부재(6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지 모듈(100)은 케이스(50)의 외곽에 결합되는 커버(70)를 더 포함한다.
이차 전지들(10)이 결합 된 케이스(50)는 커버(70)에 삽입된다. 체결부재(60)의 몸체(61)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관통공(52) 및 결합공(22)에 삽입되고 외부 충격이 전지 모듈(100)에 가해지면, 체결부재(60)가 케이스(50)의 외부로 이탈 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60)의 헤드(62)와 커버(70)가 최대한 밀착 되게 헤드(62)를 작게 설계하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체결부재(60)가 케이스(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지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1)은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는 상기의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 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50)는 한 쌍의 외벽(51) 사이 공간의 상부와 양쪽 측부가 개방된다.
제1 엔드 플레이트(20)는 도 4에서 볼 때, 케이스(50)에 나란하게 배열된 이차 전지들(10)의 양쪽 최외곽에 위치한 이차 전지들(10)과 서로 마주 보게 위치하여 이차 전지들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엔드 플레이트(20)는 이차전지들(10)의 최외곽 양쪽에 위치한 이차 전지(10)와 서로 마주 보는 대항면에 각각 탄성부재(40)가 형성된다. 이 때, 이차 전지들(10)에 작용하는 각각의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케이스(50)의 양측에 위치한 제1 엔드 플레이트들(20)에 케이스(50) 내의 x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발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1 엔드 플레이트들(20)과 외벽(51)을 결합시킬 때, 반발력의 작용방향과 수직하는 z축 방향으로 체결수단을 삽입하면, 반발력에 의해 발생되는 엔드 플레이트들(20)과 체결수단의 마찰력으로 안정적으로 이차전지들(1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지 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탄성부재(40)는 제1 엔드 플레이트(20)의 일면을 좌우로 나누는 세로방향(y축 방향) 중심선(23)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엔드 플레이트(20)에는 세로방향(y축 방향) 중심선(23)의 좌우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의 홈(21)이 형성된다.
도 5a 를 참고하면, 탄성부재(40)의 일단이 제1 엔드 플레이트(20)에 형성된 홈(21)의 일단에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 단은 홈(21)의 외부로 이탈되게 위치한다. 다만, 탄성부재(40)는 홈(21)에 결합구를 형성하여 단순 끼움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엔드 플레이트(20)가 케이스(50)의 한 쌍의 외벽(51)의 양 끝 단에 결합되어 이차 전지(10)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면, 탄성부재(40)의 타 단은 홈(21)의 내부로 밀려들어가 수용된다.
따라서, 제1 엔드 플레이트(20)가 케이스(50)의 외벽(51)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50)에 수용된 이차전지들(10)과 접촉하게 되면, 탄성부재(4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1)에 그 타 단이 수용되어, 마주보는 이차 전지들(10)에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이차 전지들(10)에 작용된 탄성력은 케이스(50)의 끝 단에 결합된 제1 엔드 플레이트(20)의 세로방향(y축 방향) 중심선(23)을 기준으로 좌우로 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도 5a의 탄성부재(40)로는 판 스프링(41)이 사용 될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40)는 판 스프링(41)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탄성부재(40)로 사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40)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1)과 마주보는 그 중앙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40)는 홈(21)과 마주보는 그 중앙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40)는 한 쌍의 판 스프링이 대칭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1개 또는 3개 이상의 탄성 부재가 적절히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지 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엔드 플레이트(30)에 형성된 탄성부재(40′)가 수용되는 홈(31)의 형성 위치를 제외하고는, 도 5a 및 5b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1)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 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0′)는 제2 엔드 플레이트(30)를 상하로 나누는 가로방향(x축 방향) 중심선(33)을 기준으로 상하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또한, 엔드 플레이트(30)에는 x축 방향 중심선(33)의 상하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의 홈(31)이 형성된다.
도 6a를 참고하면, 탄성부재(40′)의 일단이 제2 엔드 플레이트(30)에 형성된 홈(31)의 일단에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 단은 홈(31)의 외부로 이탈되게 위치한다. 다만, 탄성부재(40′)는 홈(31)에 결합구를 형성하여 단순 끼움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엔드 플레이트(30)가 케이스(50)의 한 쌍의 외벽(51)의 양 끝 단에 결합되어 이차 전지(10)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면, 탄성부재(40′)의 타 단은 홈(31)의 내부로 밀려들어가 수용된다.
따라서, 제2 엔드 플레이트(30)가 케이스(50)의 외벽(51)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50)에 수용된 이차전지들(10)과 접촉하게 되면, 탄성부재(4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1)에 그 타 단이 수용되어, 마주보는 이차 전지들(10)에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이차 전지들(10)에 작용된 탄성력은 케이스(50)의 끝 단에 결합된 제2 엔드 플레이트(30)의 가로방향(z축 방향) 중심선(33)을 기준으로 상하로 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도 6a 및 6b의 탄성부재(40′)로는 판 스프링(41′)이 사용 될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40′)는 판 스프링(41′)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탄성부재(40′)로 사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40′)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1)과 마주보는 그 중앙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40′)는 홈(31)과 마주보는 그 중앙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40′)는 한 쌍의 판 스프링이 대칭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1개 또는 3개 이상의 탄성 부재가 적절히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한편, 도 6a에 도시한 제2 엔드 플레이트(30)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제1 엔드 플레이트(20)와 같이, 한 쌍의 외벽(51) 양 끝 단에 결합되어 이차 전지(10)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지 모듈(10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외벽(51)의 양 끝 단에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들(20, 30)이 각각 하나씩 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볼 때, 케이스(50)의 외벽(51)의 일측 끝 단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가 세로방향(y축 방향) 중심선(23)을 기준으로 좌우로 배치된 제1 엔드 플레이트(20)가 결합된다. 그리고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가 가로방향(z축 방향) 중심선(33)을 기준으로 상하로 배치된 제2 엔드 플레이트(30)는 케이스(50)의 외벽(51)의 다른 일측 끝 단에 결합된다.
즉, 케이스(50)의 일측 끝 단에 제1 엔드 플레이트(20)를 배치하여 제1 엔드 플레이트(20)의 좌우 방향으로 반발력이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측 끝 단에는 제2 엔드 플레이트(30)를 배치하여 엔드 플레이트(30)의 상하로 반발력이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50)의 측부 개구부 양쪽에 각각 위치한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들(20, 30)의 좌우 및 상하로 반발력이 작용하여 이차 전지들(10)이 케이스(5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101, 102: 전지 모듈 10: 이차 전지
20: 제1 엔드 플레이트 30: 제2 엔드 플레이트
40, 40′: 탄성부재 50: 케이스
60: 체결부재 70: 커버

Claims (14)

  1.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
    상기 이차 전지들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이차 전지들을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
    상기 이차 전지와 마주보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대항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이차전지들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외벽에 결합되는 전지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한 쌍이 대칭되게 배치되는 전지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좌우로 나누는 세로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전지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상하로 나누는 가로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전지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와 마주보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대항면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는 전지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인 전지모듈.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벽 끝 단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과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지모듈.
  9. 삭제
  10. 삭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플라스틱재질인 전지모듈.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공에 고정되는 몸체;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곽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전지모듈.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관통공과 상기 결합공에 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전지모듈.
KR1020100079904A 2010-08-18 2010-08-18 전지 모듈 KR101173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904A KR101173870B1 (ko) 2010-08-18 2010-08-18 전지 모듈
US12/958,143 US8846238B2 (en) 2010-08-18 2010-12-01 Battery module
EP11158617.8A EP2421069B1 (en) 2010-08-18 2011-03-17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904A KR101173870B1 (ko) 2010-08-18 2010-08-18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296A KR20120017296A (ko) 2012-02-28
KR101173870B1 true KR101173870B1 (ko) 2012-08-14

Family

ID=4392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904A KR101173870B1 (ko) 2010-08-18 2010-08-18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46238B2 (ko)
EP (1) EP2421069B1 (ko)
KR (1) KR1011738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591A1 (ko) * 2015-04-30 2016-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WO2021177618A1 (ko) * 2020-03-06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4321B2 (ja) * 2013-01-11 2017-11-01 フタバ産業株式会社 組電池の拘束具、組電池の拘束部材、バッテリ
US10490788B2 (en) * 2013-05-24 2019-11-26 Super B B.V. Battery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31095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6252776B2 (ja) * 2014-05-07 2017-12-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
EP3147964B1 (en) * 2014-05-22 2020-05-20 Kabushiki Kaisha Toshiba Battery pack and battery device
JP6237479B2 (ja) * 2014-06-05 2017-11-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DE102015205485A1 (de) 2015-03-26 2016-09-29 Robert Bosch Gmbh Batteriegehäuse, Batterie mit einem solchen Batteriegehäuse, Plattenelement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Batteriegehäuse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Batteriegehäuses
KR102271384B1 (ko) 2015-04-15 2021-06-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US11302973B2 (en) * 2015-05-19 2022-04-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assembly with multi-function structural assembly
KR102154361B1 (ko) * 2015-12-09 2020-09-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엔드 플레이트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위한 엔드 플레이트 부재
DE102016205920A1 (de) * 2016-04-08 2017-10-12 Robert Bosch Gmbh Batteriepack
KR102018721B1 (ko) * 2016-05-31 2019-09-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KR102101906B1 (ko) * 2016-10-21 2020-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 가이드 기능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DE102017204531A1 (de) * 2017-03-17 2018-09-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r Fixierung einer Batteriezelle und/oder eines Zellpakets sowie Batteriegehäuse mit zumindest einer derartigen Anordnung
CN109216600B (zh) * 2017-06-30 2021-09-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US10601006B2 (en) 2018-04-05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battery assembly for electrified vehicle
DE102018114226A1 (de) * 2018-06-14 2019-12-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asttragendes Batteri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KR101939617B1 (ko) * 2018-06-26 2019-01-17 정상채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
DE102018116734A1 (de) * 2018-07-11 2020-01-1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CN209730085U (zh) * 2019-04-30 2019-12-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KR20210112919A (ko)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7167103B2 (ja) * 2020-08-25 2022-11-08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蓄電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32802B2 (ja) * 2020-10-20 2023-03-03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蓄電装置
JP7319953B2 (ja) * 2020-10-20 2023-08-02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0371A (en) * 1991-12-24 1993-10-05 Motorola, Inc. Weldless surface mounted interconnect
KR19990050734A (ko) 1997-12-17 1999-07-05 정몽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장착 구조
JP4639583B2 (ja) 2003-03-06 2011-0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
JP4749774B2 (ja) * 2005-06-16 2011-08-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組電池
JP4921340B2 (ja) 2006-03-28 2012-04-25 株式会社キャプテックス 電池モジュール
JP5178061B2 (ja) 2007-06-25 2013-04-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電池
JP2009026703A (ja) 2007-07-23 2009-02-05 Toyota Motor Corp 組電池の製造方法
US7652886B2 (en) * 2007-07-31 2010-01-26 Fu Zhun Precision Industry (Shen Zhen) Co., Ltd. Heat sink assembly having a fastener assembly for fastening the heat sink to an electronic component
JP5122898B2 (ja) 2007-09-26 2013-0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JP5256683B2 (ja) 2007-10-17 2013-08-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積層体の加圧構造
JP2009135024A (ja) 2007-11-30 2009-06-18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KR100995429B1 (ko) 2008-10-13 2010-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591A1 (ko) * 2015-04-30 2016-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8180B1 (ko) 2015-04-30 2019-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US10446812B2 (en) 2015-04-30 2019-10-15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21177618A1 (ko) * 2020-03-06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46238B2 (en) 2014-09-30
US20120045686A1 (en) 2012-02-23
EP2421069B1 (en) 2017-07-12
KR20120017296A (ko) 2012-02-28
EP2421069A1 (en)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870B1 (ko) 전지 모듈
KR102344362B1 (ko) 배터리 모듈
KR101182283B1 (ko) 이차전지
EP2793289B1 (en) Battery module
KR10201872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WO2019142645A1 (ja) 蓄電装置
JP6081568B2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US9251986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717751B1 (ko) 이차 전지 모듈
JP6241176B2 (ja) 電源モジュール及び緩衝具
US20150064543A1 (en) Battery module
KR101833567B1 (ko) 전지 셀 고정 기능을 갖는 충방전기용 트레이
KR102066198B1 (ko) 배터리 팩
KR20140140795A (ko) 배터리 모듈
US11133553B2 (en) Battery pack
JP2010108625A (ja) パック電池
KR101201813B1 (ko) 전지 모듈
KR102383163B1 (ko) 이차전지
KR20190140696A (ko) 전지모듈
US20230216130A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098764A (ko) 배터리 모듈
KR101875534B1 (ko) 랫치 구조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트레이
KR20210056703A (ko) 가변엠보싱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0717757B1 (ko) 이차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