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459B1 - 철골빔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철골구조물 - Google Patents

철골빔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철골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459B1
KR101169459B1 KR1020110065848A KR20110065848A KR101169459B1 KR 101169459 B1 KR101169459 B1 KR 101169459B1 KR 1020110065848 A KR1020110065848 A KR 1020110065848A KR 20110065848 A KR20110065848 A KR 20110065848A KR 101169459 B1 KR101169459 B1 KR 101169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eel
strut
connecting member
inclin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운식
최영준
황영식
황익희
Original Assignee
최영준
황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준, 황운식 filed Critical 최영준
Priority to KR102011006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25Adhesives, i.e. gl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빔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는, 토류벽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심띠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상부띠장 및 상기 중심띠장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띠장으로 구비되는 띠장, 상기 중심띠장을 지지하는 스트러트, 및 상기 스트러트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띠장으로부터 상기 스트러트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키는 화타재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트러트가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 및 상기 화타재의 일단부가 상기 스트러트 측에 위치하고, 상기 화타재의 타단부가 상기 띠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된 경사판이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스트러트 또는 하나의 지보공에 각각 결합된 복수개의 화타재가, 복수 개의 띠장 또는 복수 개의 받침보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철골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스트러트 또는 지보공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철골구조물 내에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철골 구조물 내에서도 대형장비를 사용할 수게 되어 건축물의 시공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철골빔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철골구조물{STEEL BEAM CONNECTOR AND STEEL BEAM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골빔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류벽을 지지하는 띠장 또는 수평방향의 거푸집을 지지하는 받침보의 힘을 분산시키는 화타재를 다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띠장의 힘을 직접 받는 스트러트 또는 받침보의 힘을 직접 받는 지보공의 설치개수를 감소시켜 철골구조물 내의 작업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철골빔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시공하거나 건물의 지하층 또는 지하철을 시공할 때, 원통형의 강관이나 H빔과 같은 철골빔을 이용하여 철골구조물을 선 시공함으로써, 건축물이 설계도 상대로 축조될 수 있도록 건축물의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일부 철골빔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중이 집중되는 철골빔과 타 철골빔 사이에 경사지게 화타재를 설치함으로써, 타 철골빔과의 결합에 의해 일 철골빔에 부가되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한다. 일반적인 철골구조물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장(2)에 의해 하중이 증가되는 스트러트(1)의 수평방향 양 측면에 화타재(4)를 설치함으로써, 스트러트(1)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토류벽을 지지하는 띠장(2)을 상하방향으로 좁게 설치할 때, 이를 지지하기 위해 추가로 설치되는 스트러트(1) 및 보받침(2')에 의해 건물을 시공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내의 작업공간이 협소해진다.
따라서, 철골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중장비를 철골구조물 내에 구비하기 어렵기 때문에, 건물을 시공하는 기간이나, 시공의 정확도 등이 저하된다. 또한, 스트러트(1)에 한 쌍의 화타재 외에 화타재를 더 구비할 경우, 화타재가 결합한 위치에서 스트러트(1)의 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화타재를 더 장착할 수 없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러트(1)로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 수직으로 웹이 형성된 H빔을 사용할 경우, 철골구조물의 특성상, 화타재(4)가 스트러트(1)의 웹의 양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스트러트(1)의 강성이 저하되어 화타재(4)를 한 쌍 이상 결합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한 쌍의 화타재(4)를 스트러트(1)에 결합하게 된다. 또한, 스트러트(1)가 수평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어도, 화타재(4)가 장착되지 않은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철골구조물의 강성이 전반적으로 일정 방향의 힘에 의해서는 취약한 구조가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띠장(2)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화타재를 구비할 때, 화타재가 장착된 스트러트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철골구조물 내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화타재를 다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는 철골빔 연결부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첫 번째 과제는, 다방향의 화타재를 동시에 체결함으로써, 철골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스트러트 또는 지보공의 설치개수를 감소시켜 철골구조물 내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철골빔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두 번째 과제는, 철골빔 연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철골빔의 설치간격을 넓혀 건축물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골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토류벽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심띠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상부띠장 및 상기 중심띠장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띠장으로 구비되는 띠장, 상기 중심띠장을 지지하는 스트러트, 및 상기 스트러트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띠장으로부터 상기 스트러트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키는 화타재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트러트가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 및
상기 화타재의 일단부가 상기 스트러트 측에 위치하고 상기 화타재의 타단부가 상기 띠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된 경사판, 상기 경사판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체결판, 및 상기 체결판에 천공형성된 체결홈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철골빔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 및 체결판의 내주면은 상기 스트러트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상기 경사판에는 상기 화타재가 결합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후면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경사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경사판의 후면과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된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몸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형성된 4개의 경사판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의 좌우방향에는 상기 중심띠장을 지지하는 화타재가 결합되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방향에는 상기 상부띠장을 지지하는 화타재가 결합되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방향에는 상기 하부띠장을 지지하는 화타재가 결합되는 경사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네 면중 한 면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단면이 이등분할되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토류벽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심띠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상부띠장 및 상기 중심띠장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띠장으로 구비되는 띠장, 및 상기 중심띠장을 지지하는 스트러트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띠장 및 상기 스트러트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화타재; 및
상기 철골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철골빔 연결부재의 체결부에는 상기 몸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형성된 4개의 경사판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띠장은, 상기 몸체의 좌우방향의 경사판에 결합된 한 쌍의 화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상부띠장은, 상기 몸체의 상부방향의 경사판에 결합된 화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부띠장은, 상기 몸체의 하부방향의 경사판에 결합된 화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러트는 원형 강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러트 내에는 격자형상 또는 방사형상의 지지골조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러트 내에는 채움재 및 상기 채움재를 고정시키는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러트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는 보강띠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의 거푸집판을 지지하는 중심받침보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좌받침보 및 상기 중심받침보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한 우받침보로 구비되는 받침보, 상기 중심받침보를 하부에서 받쳐주도록 중력방향으로 구비된 지보공, 및 상기 지보공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받침보로부터 상기 지보공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키는 화타재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지보공이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 및
상기 화타재의 일단부가 상기 지보공 측에 위치하고 상기 화타재의 타단부가 상기 받침보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된 경사판, 상기 경사판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체결판, 및 상기 체결판에 천공형성된 체결홈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철골빔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내주면은 상기 지보공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상기 경사판에는 상기 화타재가 결합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후면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경사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경사판의 후면과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된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형성된 4개의 경사판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에는 상기 중심받침보를 지지하는 화타재가 결합되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왼쪽에는 상기 좌받침보을 지지하는 화타재가 결합되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오른쪽에는 상기 우받침보를 지지하는 화타재가 결합되는 경사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네 면중 한 면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단면이 이등분할되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평방향 거푸집판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심받침보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좌받침보 및 상기 중심받침보의 오른쪽에 위치한 우받침보로 구비되는 받침보, 및 상기 중심받침보를 지지하는 지보공을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받침보 및 상기 지보공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화타재; 및
상기 철골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철골빔 연결부재의 체결부에는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형성된 4개의 경사판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받침보는,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의 경사판에 결합된 한 쌍의 화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좌받침보는, 상기 몸체의 왼쪽 방향의 경사판에 결합된 화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우받침보는, 상기 몸체의 오른쪽 방향의 경사판에 결합된 화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보공은 원형 강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보공 내에는 격자형상 또는 방사형상의 지지골조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보공 내에는 채움재 및 상기 채움재를 고정시키는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보공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는 보강띠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화타재를 결합시켜도 철골빔 연결부재의 몸체에 삽입되는 스트러트 또는 지보공의 강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스트러트 또는 하나의 지보공에 각각 결합된 복수개의 화타재가, 복수 개의 띠장 또는 복수 개의 받침보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철골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스트러트 또는 지보공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철골구조물 내에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철골 구조물 내에서도 대형장비를 사용할 수게 되어 건축물의 시공성이 향상되고, 시공기간이 단축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철골구조물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의 스트러트 및 지보공의 단면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100, 100')는 건물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토류벽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띠장(52)을 하나의 스트러트(51, 51')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화타재(54, 54')가 장착되는 체결부(120, 120')가 구비된다. 또한, 스트러트에 화타재를 직접 체결하던 종래의 철골구조물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은 화타재(54)가 철골빔 연결부재(100, 100')를 통하여 스트러트(51, 51')에 결합되기 때문에, 하나의 스트러트(51, 51')에 여러 개의 화타재(54)를 장착할 때, 스트러트(51, 51')의 강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러트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화타재를 한 쌍까지만 구비할 수밖에 없었던 종래의 철골구조물과 달리 본 발명은, 철골빔 연결부재(100, 100')에 의해 스트러트(51, 51')와 화타재(54, 54')가 결합되기 때문에, 화타재(54, 54')의 장착 개수를 필요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타재(54, 54')가 철골빔 연결부재(100, 100')에 의해 스트러트(51, 51')에 결합되기 때문에, 각 철골구조물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스트러트(51, 51')의 형상이 H빔, 사각 강관, 또는 원형 강관 등으로 상이하더라도 스트러트(51, 51')에는 화타재(54, 54')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의 거푸집판(P)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보(62)는 지보공(61, 61')에 의해 지지되는데, 스트러트와 마찬가지로 지보공(61, 61')에 철골빔 연결부재(200, 200')를 장착함으로써, 복수개의 받침보(62)를 하나의 지보공(61, 61')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철골빔 연결부재(200, 200')에 의해 화타재(64)가 지보공(61, 61')에 결합되기 때문에, 화타재(64, 64')의 장착개수를 증가시켜도 지보공(61, 61')의 강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은, 지보공(61, 61')에 장착하는 화타재(64, 64')의 장착 개수를 필요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타재(64, 64')가 철골빔 연결부재(200, 200')에 의해 지보공(61, 61')에 결합되기 때문에, 각 철골구조물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지보공(61, 61')의 형상이 H빔, 사각 강관, 또는 원형 강관 등으로 상이하더라도 지보공(61, 61')에는 동일한 형상의 화타재(64, 64')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100, 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류벽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심띠장(52a)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상부띠장(52b) 및 상기 중심띠장(52a)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띠장(52c)으로 구비되는 띠장(52), 상기 중심띠장(52a)을 지지하는 스트러트(51, 51'), 및 상기 스트러트(51, 51')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띠장(52)으로부터 상기 스트러트(51, 51')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키는 화타재(54, 54')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트러트(51, 51')가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110, 110'); 및
상기 화타재(54, 54')의 일단부가 상기 스트러트(51, 51') 측에 위치하고, 상기 화타재(54, 54')의 타단부가 상기 띠장(52)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0, 110')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된 경사판(122, 122'), 상기 경사판(122, 122')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체결판(126, 126'), 및 상기 체결판(126, 126')에 천공형성된 체결홈(126h, 126h')이 구비되는 체결부(120, 120')를 포함한다.
또한, 철골빔 연결부재(200, 200')가 수평방향의 거푸집판(P)을 지지하는 중심받침보(62a)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좌받침보(62b) 및 상기 중심받침보(62a)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한 우받침보(62c)로 구비되는 받침보(62), 상기 중심받침보(62a)를 하부에서 받쳐주도록 중력방향으로 구비된 지보공(61, 61'), 및 상기 지보공(61, 61')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받침보(62)로부터 상기 지보공(61, 61')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키는 화타재(54, 64)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에 적용될 경우, 철골빔 연결부재(200, 200')는
상기 지보공(61, 61')이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210, 210'); 및
상기 화타재(64, 64')의 일단부가 상기 지보공(61, 61') 측에 위치하고, 상기 화타재(64, 64')의 타단부가 상기 받침보(62)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210, 210')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된 경사판(222, 222'), 상기 경사판(222, 222')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체결판(226, 226'), 및 상기 체결판(226, 226')에 천공형성된 체결홈(226h, 226h')이 구비되는 체결부(220, 22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100, 100', 200, 200')는 스트러트(51, 51') 또는 지보공(61, 61')이 각각 몸체(110, 110', 210, 210')에 삽입되고, 화타재(54, 64)는 몸체(110, 110', 210, 210')의 주변에 구비된 체결부(120, 120', 220, 220')의 체결판(126, 126', 226, 226')에 삽입 장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100, 100', 200, 200')는 스트러트(51, 51') 뿐만 아니라 지보공(61, 61')에도 장착함으로써, 철골구조물이 조립될 때 사용되는 스트러트(51, 51') 및 지보공(61, 61')의 개수를 최소로 할 수 있다.
철골빔 연결부재(100, 100', 200, 200')의 몸체(110, 110', 210, 210')에 삽입되는 스트러트(51) 및 지보공(61)으로는 H빔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원통형의 강관 형상의 스트러트(51') 및 지보공(61')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0, 110', 210, 210')에 삽입되는 스트러트(51, 51')나 지보공(61, 61')이 어떤 형상인지에 따라 몸체(110, 110') 및 체결판(126, 226)의 내주면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 형상의 스트러트(51) 또는 지보공(61)이나 중공의 사각빔이 몸체(110, 210)에 삽입될 때, 몸체(110, 210) 및 체결판(126, 226)의 내주면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강관 형상의 스트러트(51') 또는 지보공(61')이 몸체(110', 210') 및 체결판(126', 226')에 삽입될 때, 몸체(110', 210') 및 체결판(126', 226')의 내주면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러트(51, 51') 또는 지보공(61, 61')이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몸체(110, 110', 210, 210')의 내주면 형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100, 100', 200, 200')는 H빔이나 원형 강관뿐만 아니라, 사각 강관 및 다양한 형상의 스트러트 또는 지보공을 몸체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10, 110', 210, 210')에 삽입되는 H빔 형상의 스트러트(51)를 몸체(110)에 삽입할 때 몸체의 내주면이 H빔의 웹에까지 완전히 대응되지는 않지만, 몸체(110)를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H빔의 플랜지에 의해 H빔의 스트러트(51)가 몸체(11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스트러트나 지보공이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110, 110', 210, 210')의 내주면이 형성된 철골빔 연결부재(100, 100', 200, 200')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스트러트(51, 51') 또는 지보공(61, 61')이 철골구조물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판(122, 222)이 결합된 위치가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몸체(110, 210)의 외주면 형상을 사각기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110, 210)의 외주면은, 사각기둥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122', 222')과 접한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경사판(122', 222')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떤 형상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즉, 다각 기둥, 또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처리된 사각기둥 형상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20, 120', 220, 220')의 상기 경사판(122, 122', 222, 222')에는 화타재(54, 64)가 결합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에 반대쪽 면에 위치한 후면이 구비된다. 경사판(122, 122', 222, 222')의 후면에는, 화타재(54, 54', 64, 64')에서 받는 하중에 의해 상기 경사판(122, 122', 222, 222')의 경사도가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경사판(122, 122', 222, 222') 후면과 상기 몸체(110, 110', 210, 210') 사이에 고정대(124, 124', 224, 224')를 구비한다. 즉, 고정대(124, 124', 224, 224')를 구비하여 경사판(122, 122', 222, 222')을 지탱하도록 함으로써, 화타재(54, 54', 64, 64')의 가압에 의해 경사판(122, 122', 222, 222')의 위치 또는 형상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경사판(122, 122', 222, 222')과 몸체(110, 110', 210, 210')의 경사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110, 110', 210, 210')로부터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경사판(122, 122', 222, 222')의 개수는 스트러트(51, 51'), 또는 지보공(61, 61')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화타재(54, 54', 64, 64')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즉, 몸체(110, 110', 210, 210')의 네 방향으로 경사판(122, 122', 222, 222')이 구비된 철골빔 연결부재(100, 100', 200, 200')를 이용하여 철골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스트러트(51, 51') 또는 하나의 지보공(61, 61')에 4개의 화타재(54, 54', 64, 64')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의 일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A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철골빔으로 H빔이 사용되었으나, 철골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골빔은 H빔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빔 연결부재(100)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부, 중간, 하부 3단으로 설치된 각각의 띠장(52)에 화타재(54)를 설치함으로써, 띠장(52)과 스트러트(51) 간의 결합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하중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스트러트(51)에는 띠장(52)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화타재(54)가 동시에 장착된다. 즉, 몸체(110)에 스트러트(51)가 장착되는 철골빔 연결부재(100)의 경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몸체(110)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형성된 4개의 경사판(122)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110)의 좌우방향에는 상기 중심띠장(52a)을 지지하는 화타재(54, 64)가 결합되는 경사판(12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상부방향에는 상기 상부띠장(52b)을 지지하는 화타재(54)가 결합되는 경사판(12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하부방향에는 상기 하부띠장(52c)을 지지하는 화타재(54)가 결합되는 경사판(122)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타재(54)가 스트러트(51)를 중심으로 4방향으로 구비된다고 할 때, 스트러트(51)의 일단부가 지지하는 중심띠장(52a)에는, 철골빔 연결부재(100)의 몸체(110)의 좌우방향의 체결판(126)에 결합된 한 쌍의 화타재(54a)가 결합된다. 또한 중심띠장(52a)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상부띠장(52b), 및 중심띠장(52a)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하부띠장(52c) 각각에는, 몸체(110)의 상부 및 하부방향의 경사판(122)에 결합된 화타재(54b, 54c)가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화타재(54)에는 체결판(126)에 천공된 체결홈(126h)과 연통되는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화타재(54)와 체결판(126)을 동시에 관통하는 관통고정핀(118)을 구비함으로써, 화타재(54)와 체결판(126)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철골빔 연결부재(100)에 결합된 복수 개의 화타재(54)에 의하여 하나의 스트러트(51)는 복수 개의 띠장(52)을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철골구조물에 설치되는 스트러트(51)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100)를 사용하여 조립된 철골구조물은 종래의 철골구조물에 비하여 스트러트(51) 간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서 작업공간이 확장된다. 즉, 스트러트(51)에 장착된 철골빔 연결부재(100)는 중심띠장(52a)을 기준으로 상부띠장(52b)과 하부띠장(52c)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화타재(54b, 54c)를 종래에 비해 더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스트러트(51)가 동시에 상부띠장(52b), 중심띠장(52a), 및 하부띠장(52c)을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스트러트(51)가 좌우면 뿐만 아니라, 상하부면까지 화타재(54)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고 철골구조물 내에서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의 일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B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철골구조물 중, 띠장(52)을 지지하는 스트러트(51)에 철골빔 연결부재(100)를 장착할 경우에는,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철골빔인 스트러트(51) 간의 설치 간격이 넓게 철골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철골빔인 지보공(61)에 본 발명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200)가 사용함으로써, 지보공(61) 간의 설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빔 연결부재(200)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좌측, 중간, 우측 3단으로 설치된 각각의 받침보(62)에 화타재(64)를 설치함으로써, 받침보(62)와 지보공(61) 간의 결합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지보공(61)에 가중되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지보공(61)에는 받침보(62)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화타재(64)가 동시에 장착된다.
또한, 몸체(210, 210')에 지보공(61, 61')이 장착되는 철골빔 연결부재(200, 200')의 경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몸체(210, 210')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형성된 4개의 경사판(222, 222')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210, 210')의 전후방향에는 상기 중심받침보(62a)를 지지하는 화타재(64)가 결합되는 경사판(222, 22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10, 210')의 왼쪽에는 상기 좌받침보(62b)을 지지하는 화타재(54, 64)가 결합되는 경사판(222, 22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10, 210')의 오른쪽에는 상기 우받침보(62c)를 지지하는 화타재(54, 64)가 결합되는 경사판(222, 2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철골빔 연결부재(200)는 몸체(210)에 스트러트 대신 지보공(61)이 삽입되고, 하나의 지보공(61)이 띠장(52) 대신 복수개의 받침보(62)를 지지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100)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지보공(61)의 설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철골빔인 지보공(61) 간의 설치 간격을 넓힐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하나의 지보공(61)에는 받침보(62)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화타재(64)가 동시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화타재(64)가 지보공(61)를 중심으로 4방향으로 구비된다고 할 때, 지보공(61)의 일단부가 지지하는 중심받침보(62a)에는, 철골빔 연결부재(200)의 몸체(210)의 전후방향의 체결판(226)에 결합된 한 쌍의 화타재(64a)가 결합된다. 또한 중심받침보(62a)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좌받침보(62b), 및 중심받침보(62a)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한 우받침보(62c) 각각에는, 몸체(210)의 왼쪽 및 오른쪽방향의 체결판(226)에 결합된 화타재(64b, 64c)가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화타재(64)에는 체결판(226)에 천공된 체결홈(226h)과 연통되는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화타재(64)와 체결판(226)을 동시에 관통하는 관통고정핀(218)을 구비함으로써, 화타재(64)와 체결판(226)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철골빔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복수 개의 화타재(64)에 의하여 하나의 지보공(61)는 복수 개의 받침보(62)을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철골구조물에 설치되는 지보공(61)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200)를 사용하여 조립된 철골구조물은 종래의 철골구조물에 비하여 지보공(61) 간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서 작업공간이 확장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보공(61)에 장착된 철골빔 연결부재(200)는 중심받침보(62a)을 기준으로 좌받침보(62b)과 우받침보(62c)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화타재(64)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지보공(61)이 동시에 좌받침보(62b), 중심받침보(62a), 및 우받침보(62c)을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지보공(61)이 전후면 뿐만 아니라, 좌우면까지 화타재(64)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고 철골구조물 내에서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철골빔 연결부재(100, 100', 200, 200')는 상기 몸체(110, 110', 210, 210')의 내주면 형상에 따라 몸체(110, 110', 210, 210')가 분해되는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 210)의 내주면이 사각관 형상인 경우, 상기 몸체(110, 110', 210, 210')의 네 면 중 한 면(110a, 210a)이 탈장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110, 210) 내에 H빔 또는 사각관 형상의 스트러트(51) 또는 지보공(61)을 탈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 210')의 내주면이 원형관 형상인 경우, 상기 몸체(110', 210')의 단면을 이등분할하여 탈장착 가능하게 형성한다. 따라서, 몸체(110', 210') 내에 원형 강관 형상의 스트러트(51') 또는 지보공(61')을 탈장착할 수 있다. 특히 체결부(120', 220')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를 이등분할 함으로써, 몸체(110', 210')에 원형강관 형상의 스트러트(51') 또는 지보공(61')이 원활하게 탈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의 스트러트 및 지보공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철골구조물에는 도 8에 도시된 스트러트(51') 및 지보공(61') 등과 같이 원형 강관 형상의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스트러트(51') 및 지보공(61')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스트러트(51') 및 지보공(61')에 보강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는 원형 강관이나 사각 관과 같이 내측이 비어있는 관 형상의 철골빔이라면 어느 곳이나 적용 가능하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강관 및 사각 강관과 같이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트러트(51'), 지보공(61'), 및 화타재(54', 64') 내에 격자 형상의 지지골조(73a) 또는 방사 형상의 지지골조(73a)를 더 구비하게 되면, 외력에 대하여 철골빔의 강도를 원활하게 보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움재(75a) 및 채움재(75a)를 고정시키는 접착제(75b)를 구비함으로써,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스트러트(51') 및 지보공(61')의 외주면에 탄소 섬유 및 얇은 강판으로 형성된 보강띠(77)를 감아줌으로써,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철골구조물에 원형 강관 형상의 스트러트(51')나 지보공(61')이 구비될 때, 스트러트(51')나 지보공(61')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복수개의 화타재와 결합되어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철골구조물로 조립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스트러트(51')나 지보공(61') 간의 설치 간격을 넓힐 수 있어 작업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1, 51': 스트러트 52: 띠장
52a: 중심띠장 52b: 상부띠장
52c: 하부띠장 61, 61': 지보공
62: 받침보 62a: 중심받침보
62b: 좌받침보 62c: 우받침보
54, 64: 화타재 100, 100', 200, 200': 철골빔 연결부재
110, 110', 210, 210': 몸체 122, 122', 222, 222': 경사판
124, 124', 224, 224': 고정대

Claims (24)

  1. 토류벽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심띠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상부띠장 및 상기 중심띠장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띠장으로 구비되는 띠장, 상기 중심띠장을 지지하는 스트러트, 및 상기 스트러트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띠장으로부터 상기 스트러트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키는 화타재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트러트가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 및
    상기 화타재의 일단부가 상기 스트러트 측에 위치하고 상기 화타재의 타단부가 상기 띠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된 경사판, 상기 경사판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체결판, 및 상기 체결판에 천공형성된 체결홈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몸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형성된 4개의 경사판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의 좌우방향에는 상기 중심띠장을 지지하는 화타재가 결합되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방향에는 상기 상부띠장을 지지하는 화타재가 결합되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방향에는 상기 하부띠장을 지지하는 화타재가 결합되는 경사판이 형성되는 철골빔 연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체결판의 내주면은 상기 스트러트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빔 연결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상기 경사판에는 상기 화타재가 결합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후면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경사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경사판의 후면과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된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빔 연결부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네 면중 한 면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빔 연결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단면이 이등분할되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빔 연결부재.
  7. 토류벽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심띠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상부띠장 및 상기 중심띠장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띠장으로 구비되는 띠장, 및 상기 중심띠장을 지지하는 스트러트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띠장 및 상기 스트러트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화타재; 및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철골빔 연결부재의 체결부에는 상기 몸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형성된 4개의 경사판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띠장은, 상기 몸체의 좌우방향의 경사판에 결합된 한 쌍의 화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상부띠장은, 상기 몸체의 상부방향의 경사판에 결합된 화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부띠장은, 상기 몸체의 하부방향의 경사판에 결합된 화타재에 의해 지지되는 철골구조물.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러트는 원형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러트 내에는 격자형상 또는 방사형상의 지지골조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러트 내에는 채움재 및 상기 채움재를 고정시키는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러트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는 보강띠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
  13. 수평방향의 거푸집판을 지지하는 중심받침보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좌받침보 및 상기 중심받침보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한 우받침보로 구비되는 받침보, 상기 중심받침보를 하부에서 받쳐주도록 중력방향으로 구비된 지보공, 및 상기 지보공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받침보로부터 상기 지보공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키는 화타재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지보공이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 및
    상기 화타재의 일단부가 상기 지보공 측에 위치하고 상기 화타재의 타단부가 상기 받침보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된 경사판, 상기 경사판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체결판, 및 상기 체결판에 천공형성된 체결홈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형성된 4개의 경사판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에는 상기 중심받침보를 지지하는 화타재가 결합되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왼쪽에는 상기 좌받침보을 지지하는 화타재가 결합되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오른쪽에는 상기 우받침보를 지지하는 화타재가 결합되는 경사판이 형성되는 철골빔 연결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주면은 상기 지보공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빔 연결부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상기 경사판에는 상기 화타재가 결합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후면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경사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경사판의 후면과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된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빔 연결부재.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네 면중 한 면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빔 연결부재.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단면이 이등분할되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빔 연결부재.
  19. 수평방향 거푸집판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심받침보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좌받침보 및 상기 중심받침보의 오른쪽에 위치한 우받침보로 구비되는 받침보, 및 상기 중심받침보를 지지하는 지보공을 포함하는 철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받침보 및 상기 지보공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화타재; 및
    제13항 내지 제15항 및 제17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철골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철골빔 연결부재의 체결부에는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형성된 4개의 경사판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받침보는,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의 경사판에 결합된 한 쌍의 화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좌받침보는, 상기 몸체의 왼쪽 방향의 경사판에 결합된 화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우받침보는, 상기 몸체의 오른쪽 방향의 경사판에 결합된 화타재에 의해 지지되는 철골구조물.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보공은 원형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보공 내에는 격자형상 또는 방사형상의 지지골조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보공 내에는 채움재 및 상기 채움재를 고정시키는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보공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는 보강띠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
KR1020110065848A 2011-07-04 2011-07-04 철골빔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철골구조물 KR10116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848A KR101169459B1 (ko) 2011-07-04 2011-07-04 철골빔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철골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848A KR101169459B1 (ko) 2011-07-04 2011-07-04 철골빔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철골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9459B1 true KR101169459B1 (ko) 2012-08-03

Family

ID=4688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848A KR101169459B1 (ko) 2011-07-04 2011-07-04 철골빔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철골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45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7361A (zh) * 2013-08-13 2013-12-11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基坑支护内支撑***的对撑中转部件
CN103437367A (zh) * 2013-08-20 2013-12-11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基坑支护内支撑***的鱼腹梁部件
CN103437362A (zh) * 2013-08-15 2013-12-11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基坑支护内支撑***的鱼腹梁部件
CN103437363A (zh) * 2013-08-15 2013-12-11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围檩部件
CN103437368A (zh) * 2013-08-20 2013-12-11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围檩部件
CN103437359A (zh) * 2013-08-13 2013-12-11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三角中转块
CN103510515A (zh) * 2013-10-09 2014-01-15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基坑支护内支撑***的预应力组合工件
CN103510514A (zh) * 2013-10-09 2014-01-15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钢绞线锚具基座
KR101468101B1 (ko) * 2012-11-30 2014-12-02 쌍용건설 주식회사 사선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KR101861733B1 (ko) * 2017-07-10 2018-07-05 (주)화남기술 다지점 지지 스트럿
KR20190051615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엠스틸인터내셔널 지하 흙막이 공사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띠장-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체
KR20190135784A (ko) 2018-05-29 2019-12-09 김종훈 건축용 프레임 연결구
CN116136937A (zh) * 2023-03-17 2023-05-19 青岛理工大学 一种外钢框架与水塔内直筒联合支撑体系的水平撑杆的设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826B1 (ko) * 2009-04-09 2010-02-02 서승권 사선버팀보 연결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826B1 (ko) * 2009-04-09 2010-02-02 서승권 사선버팀보 연결 지지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01B1 (ko) * 2012-11-30 2014-12-02 쌍용건설 주식회사 사선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CN103437359A (zh) * 2013-08-13 2013-12-11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三角中转块
CN103437361B (zh) * 2013-08-13 2016-01-06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基坑支护内支撑***的对撑中转部件
CN103437359B (zh) * 2013-08-13 2016-01-06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三角中转块
CN103437361A (zh) * 2013-08-13 2013-12-11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基坑支护内支撑***的对撑中转部件
CN103437363B (zh) * 2013-08-15 2015-12-23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围檩部件
CN103437363A (zh) * 2013-08-15 2013-12-11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围檩部件
CN103437362A (zh) * 2013-08-15 2013-12-11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基坑支护内支撑***的鱼腹梁部件
CN103437362B (zh) * 2013-08-15 2015-12-23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基坑支护内支撑***的鱼腹梁部件
CN103437367B (zh) * 2013-08-20 2015-12-02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基坑支护内支撑***的鱼腹梁部件
CN103437368B (zh) * 2013-08-20 2015-12-23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围檩部件
CN103437368A (zh) * 2013-08-20 2013-12-11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围檩部件
CN103437367A (zh) * 2013-08-20 2013-12-11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基坑支护内支撑***的鱼腹梁部件
CN103510515A (zh) * 2013-10-09 2014-01-15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基坑支护内支撑***的预应力组合工件
CN103510514A (zh) * 2013-10-09 2014-01-15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钢绞线锚具基座
KR101861733B1 (ko) * 2017-07-10 2018-07-05 (주)화남기술 다지점 지지 스트럿
KR20190051615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엠스틸인터내셔널 지하 흙막이 공사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띠장-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체
KR102133053B1 (ko) * 2017-11-07 2020-07-13 주식회사 엠스틸인터내셔널 지하 흙막이 공사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띠장-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체
KR20190135784A (ko) 2018-05-29 2019-12-09 김종훈 건축용 프레임 연결구
CN116136937A (zh) * 2023-03-17 2023-05-19 青岛理工大学 一种外钢框架与水塔内直筒联合支撑体系的水平撑杆的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459B1 (ko) 철골빔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철골구조물
US7762038B2 (en) Beam to column connection assembly
KR101020061B1 (ko)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2108335B1 (ko) 내진성능 접합부를 가지는 복합철골보구조
KR101421824B1 (ko) 원심성형 기둥용 철골보 및 기둥 동시 접합구조
KR101955852B1 (ko) 흙막이 가지설용 버팀보 및 지주 구조체
JP5709150B1 (ja) 組立式足場
JP2012102460A (ja) 型枠支持システム及びそれを使用した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JP6983857B2 (ja) トラス拘束式の座屈拘束ブレース
JP2012087518A (ja) 混合構造梁
JP2015052200A (ja) 耐震補強構造体
KR102011988B1 (ko) 트러스 거더 탈착식 데크플레이트
KR101210895B1 (ko) 체결 및 해체의 편의성이 향상된 써포터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판넬 지지모듈
EP3862502B1 (en) Modular truss structure
KR20130117936A (ko) 연결판 교차식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KR101885145B1 (ko) Src와 pc를 이용한 기둥과 보의 설치 구조
CN210685584U (zh) 一种钢支撑和钢围檩的连接构件
KR102627366B1 (ko) 무용접 찬넬 시스템
KR20150137657A (ko)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
KR101109493B1 (ko) 어스앵커용 좌굴 방지 브라켓
JP7127835B2 (ja) 建物の補強構造
CN218622239U (zh) 一体式三角传力件
KR101382372B1 (ko) 스페이스 프레임용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스페이스 프레임
KR102570291B1 (ko) 보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