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527B1 -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 Google Patents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527B1
KR101166527B1 KR1020100118558A KR20100118558A KR101166527B1 KR 101166527 B1 KR101166527 B1 KR 101166527B1 KR 1020100118558 A KR1020100118558 A KR 1020100118558A KR 20100118558 A KR20100118558 A KR 20100118558A KR 101166527 B1 KR101166527 B1 KR 101166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branch
cable
processing support
suppor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022A (ko
Inventor
조휴동
조욱래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5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과 광케이블을 수용한 광복합가공지지철선 케이블 모두를 하나의 분기 함체를 통해 인입과 인출을 가능하도록 하고, 시공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케이블의 종류 및 수량에 맞추어 케이블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광코어가 분기 함체로 인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여장정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위한 본 발명의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는 하나 이상의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 광케이블 및 점퍼코드가 인입 및 인출되는 분기구; 상기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 및 상기 광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상기 분기구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고, 다수의 성단구조를 갖는 점퍼코드부; 및 상기 분기구에 의해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코아를 정리하는 하나 이상의 여장판을 적층한 층 구조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INJECTION POINT BOX FOR OPTICAL FIBER COMPOSITE OVERHEAD SUSPENSION WIRE AND 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케이블과 조가선 내부에 광섬유를 삽입하여 전력계통 보호용 설비를 시공한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을 전주에 시공할 때 발생하는 분기 및 접속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송전선에는 가공지선을 활용한 광복합가공지선(OPGW) 망이 개발, 구축되어 전력통신, 계통보호 및 송변전자동화(SCADA) 망에 요긴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배전자동화 망도 IT 기술의 발달로 여러 통신 방식들을 임차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정작 그것을 제대로 구현할 핵심 인프라 시설인 고속화된 광대역 전력통신망이 없는 실정이다.
기존 가공지선(Ground Wire)을 활용하고 있는 광복합가공지선(OPGW)망은 낙뢰방지가 주목적이기 때문에 낙뢰를 유도하기 위한 도전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연선 형태를 취하고 있어 화재 및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가공지선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광 코아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공지선이 아닌 조가선 내부에 광코아를 포함한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이 개발되었으나, 금속 전용인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은 현행 비금속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IJP Box)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분기 및 접속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개발된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용 분기 함체는 전주에 시설된 광케이블과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를 모두 인입할 수 있지만, 인입될 수 있는 케이블의 종류 및 수가 미리 정해져 있어, 시공 환경을 고려한 케이블 분기 및 접속이 어려웠고, 단일의 여장판을 사용하여 케이블이 다수 인입되는 경우 케이블 여장정리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현재 전주에 시설된 광케이블은 포화된 상태이며, 특히 공가승인의 문제로 더 많은 광케이블이 수용 불가한 곳이 다수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가선(Suspension Wire) 속에 광케이블을 수용한 광복합가공지지철선 케이블이 널리 사용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함체에 인입되는 광케이블과 광복합가공지지철선의 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광케이블과 광케이블을 수용한 광복합가공지지철선 케이블 모두를 하나의 분기 함체를 통해 인입과 인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시공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케이블의 종류 및 수량에 맞추어 케이블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광코어가 분기 함체로 인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여장정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는 하나 이상의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 광케이블 및 점퍼코드가 인입 및 인출되는 분기구; 상기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 및 상기 광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상기 분기구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고, 다수의 성단구조를 갖는 점퍼코드부; 및 상기 분기구에 의해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코아를 정리하는 하나 이상의 여장판을 적층한 층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케이블과 광케이블을 수용한 광복합가공지지철선 케이블 모두를 하나의 분기 함체를 통해 인입과 인출할 수 있고, 시공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케이블의 종류 및 수량에 맞추어 분기 함체로 케이블을 인입과 인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광코어가 분기 함체로 인입되는 경우에 발생에도, 다수의 여장판을 구비하여 여장정리의 문제를 해결하고 분기 함체내부의 혼잡도를 줄임으로써, 광코어의 구부림을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통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양상에 따른 층 구조물의 사시도,
도 3은 층 구조물의 결합수단을 확대한 층 구조물의 부분확대도, 및
도 4는 층 구조물의 고정수단을 확대한 층 구조물의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는 분기구(100), 커넥터(200), 층 구조물(300) 및 점퍼코드부(400)를 포함한다.
도 1에 따르면, 분기구(100)는 광케이블 또는 광복합가공지지철선을 인입 및 인출 할 수 있는 4개의 케이블구를 형성하고, 점퍼코드가 인입 및 인출 될 수 있는 광점퍼코드용 분기구를 하나 포함한다. 이때, 위에 제시된 분기구의 개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광케이블구 및 광점퍼코드용 분기구를 각각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00)는 분기구에 설치되어 함체내로 인입될 케이블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광케이블과 광복합가공지지철선의 규격에 맞는 커넥터가 다르므로, 광복합가공지지철선용 커넥터(210)와 광케이블용 커넥터(220)를 분기구에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광복합가공지지철선용 커넥터(210)와 광케이블용 커넥터(220)의 일단부와 분기구의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 조임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커넥터(200)가 함체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계함에 따라, 인입되는 케이블의 종류와 수를 작업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광케이블과 광복합가공지지철선이 함체에 동시에 인입되는 경우 케이블이 인입되는 방향에 맞추어 커넥터(200)를 착탈할 수 있어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층 구조물(300)은 복수의 여장판(310)이 적층된 것으로, 복수의 여장판(310)을 함체에 설치함으로써, 이를 통해 단일의 여장판(310)이 갖는 광코어 수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층 구조물(300)은 바닥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아래로 가변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함체 내에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적층구조를 이루는 각 여장판(310)은 네 모서리 모두에 광유니트 인입홈을 가지도록 디자인하여 분기구(100)에 의해 인입되는 광케이블 및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과 외부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일직선상에 배열하여 구성함으로써 광코어의 구부림을 최대한 억제하여 통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퍼코드부(400)는 광케이블 또는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의 광코어와 광점퍼코드를 연결하여 단말처리를 하기 위해, 광점퍼코드용 분기구로부터 인입되는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는 광점퍼코드용 커넥터를 설치할 수 있다. 점퍼코드부(400)는 성단구조를 2열 8코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다수의 점포코드를 인입할 수 있어 기존의 비금속용 분기 함체에 비하여 다양한 전력 IT 수요를 충진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양상에 따른 층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층 구조물은 다수의 여장판이 스택되어 층 구조물로 함체에 인입된다. 각 여장판(310)의 네귀퉁이에는 광유니트를 인입할 수 있는 홈을 가지며, 여장판(310)의 좌우에는 케이블 여장을 정리할 수 있는 공간이 위치한다. 다수의 여장판(310)을 층구조로 쌓기 위해, 여장판(310)의 일단에는 각 층간 여장판(310)이 힌지결합 할 수 있도록 천공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도 3은 층 구조물의 결합수단을 확대한 층 구조물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여장판(310)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다수의 여장판(310)에 광케이블 또는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을 인입하여 여장이 가능하다.
또한 여장판(310)의 다른 일단에는 여장판(310)과 여장판(3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여장판(310)이 함체 내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함체를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층 구조물의 고정수단을 확대한 층 구조물의 부분확대도이다. 여장판(310)의 일단에 두 개의 돌출부를 형성한 뒤, 상부 돌출부는 천공된 홈을 형성하고, 하부 돌출부는 하단에 적층된 여장판(310)의 상부 돌출부의 홈에 결합할 수 있는 돌기를 형성하여 상단 여장판(310)과 하단 여장판(310)이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장판(310)의 중앙부에는 접속 슬리브를 삽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 슬리브를 통해, 광케이블 또는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의 광코어와 광점퍼코드의 연장선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장판(310)간의 층 구조의 결합 방법으로 힌지 결합을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층 구조 적층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0 : 분기구 200 : 커넥터
210 : 광복합가공지지철선용 커넥터 220 : 광케이블용 커넥터
300 : 층 구조물 310 : 여장판
400 : 점퍼코드부

Claims (6)

  1. 하나 이상의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 광케이블 및 점퍼코드가 인입 및 인출되는 분기구;
    상기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 및 상기 광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상기 분기구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고, 다수의 성단구조를 갖는 점퍼코드부; 및
    상기 분기구에 의해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코아를 정리하는 하나 이상의 여장판을 적층한 층 구조물을 포함하는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판에는 적층을 위한 결합부와 각 여장판간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층 구조물의 각 여장판은 힌지결합하여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구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구의 내면과 상기 커넥터의 일단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조임으로 착탈되어 상기 커넥터에 인입되는 케이블의 방향에 맞게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6. 삭제
KR1020100118558A 2010-11-26 2010-11-26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KR101166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558A KR101166527B1 (ko) 2010-11-26 2010-11-26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558A KR101166527B1 (ko) 2010-11-26 2010-11-26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022A KR20120057022A (ko) 2012-06-05
KR101166527B1 true KR101166527B1 (ko) 2012-07-19

Family

ID=4660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558A KR101166527B1 (ko) 2010-11-26 2010-11-26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5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823A (ja) 1997-06-09 1998-12-22 Fujikura Ltd 光配線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823A (ja) 1997-06-09 1998-12-22 Fujikura Ltd 光配線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022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8106B2 (en) Cable management in rack systems
US11025345B2 (en) Hybrid cable providing data transmission through fiber optic cable and low voltage power over copper wire
US10164389B2 (en) Breakout enclosure for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US10274692B2 (en) Optical termination module, optical termination assembly with said optical termination module and electric cabinet with said optical termination module
CN105359434A (zh) 使用光纤索引的无源分布***
CN108152898A (zh) 一种光电混合分线盒、光电混合连接***以及连接方法
US20170045694A1 (en) Device for distributing hybrid cable and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KR101166527B1 (ko)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KR200456289Y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
KR200405463Y1 (ko) 광분기함
CN202855433U (zh) 一种微型光电复合带缆
JP2005331692A (ja) 架空用光クロージャ及びテープ心線の配線方法
JP2014197043A (ja) システムラックユニット
CN108398757B (zh) 环网柜光纤通信设备箱
KR101039114B1 (ko) 복합형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JP3129788B2 (ja) 光引落接続函および引落工法
EP3405826B1 (en) Termination module and termination assembly with said termination module
JP4669795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敷設方法
JP4268067B2 (ja) 構内配線方法および構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447136Y1 (ko)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용 분기 박스
KR20080002091A (ko) 광어댑터 일체형 멀티코아 광케이블
KR102365245B1 (ko) 광접속함체
KR101244725B1 (ko) 케이블 접속용 멀티 커플러
JP2004341298A (ja) 光ファイバ配線方法
JP5094676B2 (ja) 光ファイバー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