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541B1 - Decoration pair glass capable of fre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 - Google Patents

Decoration pair glass capable of fre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541B1
KR101163541B1 KR1020110140407A KR20110140407A KR101163541B1 KR 101163541 B1 KR101163541 B1 KR 101163541B1 KR 1020110140407 A KR1020110140407 A KR 1020110140407A KR 20110140407 A KR20110140407 A KR 20110140407A KR 101163541 B1 KR101163541 B1 KR 101163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
decoration
glass
plate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4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to KR102011014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5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5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04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omprising false glazing bars or similar decorations between the p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PURPOSE: A decorative double-layered glass is provided to facilitate arrangement of ornaments inside a pair of plate glasses without including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between plate glasses. CONSTITUTION: A decorative double-layered glass comprises a first plate glass(10), a spacer(30), a second plate glass(20), ornaments(40), and a paint additive. A spacer is installed along the girth of the first plate glass. The second plate glass is arranged around the spacer and is separately arranged from the first plate glass. The ornament is respectively contacted with the first plate glass and the second plate glass. Both sides of the ornament are supported by the first plate glass and the second plate glass. The ornament is arranged in space between the second plate glass and the first plate glass. The paint adhesive is included in surface of the ornament and supports anchoring force of the ornament and gives color to the ornament.

Description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DECORATION PAIR GLASS CAPABLE OF FRE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 DECORATION PAIR GLASS CAPABLE OF FRE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

본 발명은 판유리와 판유리 사이에 장식물이 배치된 복층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장식물 지지구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어 향상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고, 디자인 구성의 자유도가 높으며,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d glass disposed between the pane and the plate glass,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separate ornament support structure can be simplified structure to provide an improved aesthetic, high degree of freedom of design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laminated glass that is free to arrange a variety of materials in which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실내ㅇ외 건자재 및 각종 가구, 악세사리용으로 다양하게 부착하여 심미감을 우수하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두개 판유리 사이의 상하 좌우 가장자리에 지지봉을 개제시켜 두판의 유리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In general, multi-layer glass is used to provide excellent aesthetics by attaching various materials for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s, various furniture, and accessories. Form.

상기 복층유리는 한 장의 투명 유리처럼 보이면서도 중간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어서 방음, 방열 또는 방한효과가 탁월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도 있으며, 서로간의 지지력에 의하여 여간한 충격에도 파손될 우려가 적다.The multilayer glass looks like a sheet of transparent glass and forms a space in the middle, so that the soundproofing, heat dissipating, or cold protection effect is excellent, and there is also an effect of blocking ultraviolet rays.

이러한 효과 때문에 복층유리는 대형 건축물의 창유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필요시에는 건축물 내외벽에 부착 설치하여 전술한 효과에 더하여 유리 특유의 정결함과 장식효과를 얻기도 하였다.Due to this effect, the multilayer glass is often used as window glass of large buildings, and if necessary, it is attached to the interior and exterior walls of the building to obtain the uniqueness of glass and decorative effec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특히, 최근에는 복층유리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층유리 사이의 공간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무늬판을 설치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laminated glass, techniques for installing various patterns of decorative patterns in the space between the laminated glass have been developed.

도 1은 종래의 복층유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복층유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ultilayer glass,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ultilayer glas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층유리(100)는 한 쌍의 판유리(110)의 내부에 조형물(120)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판유리(110)의 테두리를 따라 한 쌍의 판유리(1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마감캡(140)이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conventional multilayer glass 100, a sculpture 120 is disposed inside a pair of plate glass 110, along the edge of the pair of plate glass 110. Finishing cap 140 is provid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pair of plate glass 110.

또한, 복층유리(100) 내부 하단부에는 상기 조형물(120)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형물 고정부재(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조형물 고정부재(130)는 조형물(120)을 꽂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스펀지, 코르크, 솜, 및 스티로폼 등으로 구성된다. In addition, a sculpture fixing member 130 for fixing the sculpture 120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ultilayer glass 100. At this time, the sculpture fixing member 130 is composed of a sponge, cork, cotton, styrofoam and the like to insert and fix the sculpture (120).

상술한 종래의 복층유리는 조형물을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배치시키기 위해서 조형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반드시 조형물 고정부재가 필요하므로, 디자인 구성의 자유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multilayer glass described above requires a sculpture fixing member in order to fix the sculpture in order to arrange the sculpture between a pair of plate glass, thereby having a low degree of freedom in design construction.

이 밖에도 최근에는 유리패널의 자연적인 미감을 부각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획된 창호프레임에 유리패널의 모서리 단부가 면취되고, 다양한 칼라로 착색되거나 에칭에 의해 여러 가지 문양이 구현된 베벨드 글래스를 끼워서 만든 베벨드 창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베벨드 창호는 다양한 형태로 면적 구분된 장식프레임의 구획마다 이 구획의 크기와 형태에 맞도록 재단된 베벨드 글래스편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끼워서 전체 창호면을 조립해야 하므로, 고급스럽고 장식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제작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제작비용이 높아서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베벨드 창호는 베벨드글래스를 끼우는 장식프레임이 개개의 베벨드 글래스편를 원하는 위치와 형태로 배치시켜 유지하는 장식적 기능과 더불어 장시간의 사용에 대하여 베벨드 창호의 구조적 일체성과 강도를 발휘해야 하는 구조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그 자체적으로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져야 하므로, 그만큼 재료의 선택이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작이 까다롭고 제한적인 요소도 많다. In addition, recently, in order to highlight the natural aesthetics of glass panels, the edges of glass panels are chamfered in variously shaped window frames, and beveled glass, which is colored in various colors or embodied by etching, Beveled windows made are used. These beveled windows have a luxurious and decorative effect because the beveled glass pieces cut to fit the size and shape of each section of the decorative frame divided into various shapes must be manually assembled to assemble the entire window surface. Although it has excellent advantages,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produce, so the production cost is high, the disadvantage is expensive. Particularly, the conventional beveled windows have a decorative function in which the beveled glass fitting frame is arranged to maintain individual beveled glass pieces in a desired position and shape, as well as structural integrity and strength of the beveled windows for long time use. In order to perform the structural function to be exhibited, it is possible to deform in various forms, but also have sufficient structural strength on its own, so that the manufacturing and selection method of the material is difficult and limited in many ways.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베벨드글래스로 만든 창호는 장식적 효과는 우수한 반면 창호로서의 구조적 강도는 상대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Therefore, in general, windows made of such beveled glass have a good decorative effect, but the structural strength as windows is relatively unsatisfactory.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7719호(2011.10.4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07719 (published Jan. 1, 201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0396호(2011.11.4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20396 (published Jan. 1, 201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물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구조물을 판유리와 판유리 사이에 구비하지 않아도 장식물을 한 쌍의 판유리 내부에 배치할 수 있고, 생화나 조화 등의 조형물과 조형물의 배경으로 다양한 모양을 입체적으로 표현한 장식물을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향상된 미감을 제공하는 복층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ranged in a pair of plate glass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structure for providing a support to the decoration between the plate glass and the plate glass, and a variety of backgrounds of moldings such as flowers and flowers It is to provide a multi-layered glass that provides an improved aesthetics to users by arranging a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of the shap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판유리와, 상기 제 1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간봉과, 상기 간봉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판유리와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판유리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판유리, 및 상기 제 1 판유리 또는 제 2 판유리의 적어도 하나에 접촉되되 제 1 판유리 또는 제 2 판유리의적어도 하나에 측면이 지지되어 상기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장식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ate glass, a liver rod install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plate glass, and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late glass and the space between the first rod is formed A second pane arranged in a position facing the first pan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pane or the second pane, wherei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pane or the second pane is supported with side surfac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corative laminated glass that is free of arrangement of ornaments of various materials, including ornaments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second pane and the second pane.

본 발명에 의하면, 생화, 건조된 생화(건조화), 조화, 합성수지 등의 소재의 각종 장식물을 복층유리 사이에 구비된 코르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복층유리의 내부면에 직접 접촉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여 복층유리의 내부에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생화, 건조화, 조화 등의 장식물을 복층유리의 하단에서 고정시키는 방식이 아닌 중간부분이나 상단부분에 자유롭게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연장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디자인 구성의 자유도가 높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ariety of decorative materials such as raw flowers, dried flowers (drying), artificial flowers, synthetic resins, etc. are not directly fixed by using cork provided between the laminated glass, but direct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aminated glass. The method can be simp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laminated glass. And it can be installed in a simple way freely in the middle part or the upper part of the decoration, such as flowers, drying, harmony, etc., not fixed to the bottom of the laminated glass. In other word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support, it is not only economical because a separate extension line is unnecessary, and also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in design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은 투명한 색상의 유리접착제나 장식물에 색상을 부여하는 도료접착제를 사용하여 장식물과 한 쌍의 판유리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미감의 저하 없이 장식물의 안정적이 지지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glass and a pair of plate glass by using a glass adhesive of a transparent color or a paint adhesive that gives a color to the decora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decoration without deterioration of aesthetics.

아울러, 본 발명은 자체만으로도 독립적인 장식체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에 설치된 다른 장식부재 사이에 간단하게 결속시켜 주변 장식체와 함께 자연스럽게 장식미를 살릴 수 있다. 나아가, 복층유리를 장식패널로 제품화해 가구 및 다양한 건축자재로 쉽고 다양하면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decoration by itself. In addition, by simply binding between the other existing decorative member can be naturally decorated with the surrounding decorative bod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multi-layered glass will be commercialized as decorative panels, which can be easily and variously applied to furniture and various building materials.

도 1은 종래의 복층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복층유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laminated glass.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ultilayer glass.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multilayer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layer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is a front view showing a laminated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이하, '복층유리'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decorative laminated gla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yered glass") free decoration of various materials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multilayer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는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20)와, 상기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간봉(30)과, 상기 간봉(30)의 안쪽에 위치한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장식물(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ultilayer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od glass 10 and a second plate glass 20, and a liver rod 30 installed between the first plate glass 10 and the second plate glass 20. ) And a decoration 40 disposed in a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plate glass 10 and the second plate glass 20 positioned inside the liver rod 30.

이러한 복층유리는 건물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층유리는 건물 실내외의 창문이나 고정창, 출입문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20)를 강화유리로 제작할 경우에는 강화유리문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Such laminated glass can be used for exterior as well as interior of buildings. Specifically, the multilayer glass may be used not only for use in windows, fixed windows, entrance doors, etc.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but also as tempered glass when the first pane 10 and the second pane 20 are made of tempered glass. Can b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는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multilayer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ne 10 and a second pane 20.

상기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20)는 투명하거나 채색되고, 평평하거나 굽은 강화유리 또는 이온교환 강화유리 두 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유리는 주로 실리카(SiO2)로 이루어지며, 제조 시 녹는점을 낮추기 위해 소다(Na2O)나 석회(CaO)가 포함된다. The first pane 10 and the second pane 20 may be made of two sheets of transparent or colored, flat or curved tempered glass or ion exchange tempered glass. For example, flat glass is mainly composed of silica (SiO 2 ), and soda (Na 2 O) or lime (CaO) is included to lower the melting point in manufacturing.

또한, 상기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20)는 두 장 모두 또는 두 장 중 한 장이 용도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late glass 10 and the second plate glass 2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ester resin or polycarbonate resin, both or one of the two sheets depending on the purpose.

아울러, 상기 제 2 판유리(20)는 간봉(30)을 중심으로 제 1 판유리(10)와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제 1 판유리(1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plate glass 20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plate glass 10 so as to form a space with the first plate glass 10 around the liver rod 30. The first plate glass 10 and the second plate glass 20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siz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는 간봉(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multilayer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ver bar (30).

상기 간봉(30)은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가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2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다.The liver rod 30 is provided in the first pane 10 and the second pane 20 so that the first pane 10 and the second pane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installed along the edges of the pane 10 and the second pane 20.

상기 간봉(30)은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를 안정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가 구비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판유리(10, 20)의 테두리를 따라 4개가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 간봉(3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wo or more liver rods 30 may be provided to stably space the first plate glass 10 and the second plate glass 20, but preferably two to four are provided, more preferably. Four are provided along the edges of the panes 10 and 20. If necessary, the liver bar 30 may be formed integrally.

이때, 간봉(3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간봉(30)의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합성수지나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iver bar 30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as long as it is a material of the liver bar 30 commonly used in the art, but is preferably formed of synthetic resin or aluminum.

또한, 간봉(30)의 너비는 장식물(4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식물(40)의 빈 공간에 구비된 공기가 각 판유리(10, 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간봉(3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liver 30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rnament (40). This is to allow the air provided in the empty space of the decoration 40 to be moved to the liver rod 30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panes 10 and 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봉(30)의 내부 공간에는 제습제(34)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제(34)는 복층유리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습제(3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4, a dehumidifying agent 34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liver rod 30. Specifically, the dehumidifying agent 34 is to remove moisture in the multilayer glass, 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dehumidifying agent 34 commonly used in the art.

이와 같이, 제습제(34)를 내부 공간에 구비한 상태로 복층유리 내부 공간의 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키기 위해서 상기 간봉(3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표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홈(32)은 돌출구와 접촉하는 방향에 위치한 간봉(30)의 표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As such, in order to smoothly circulate moisture in the multilayer glass interior space while having the dehumidifying agent 34 in the interior space, the liver rod 3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various forms, for example, a hollow cube having a hollow shape. It may be made of a type,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32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At this time, the through groove 32 may be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liver bar 30 located in the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그리고 간봉(30)은 내부 공간에 구비된 제습제(34)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And the liver bar 30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not shown) for separating the interior sp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deflection of the dehumidifying agent 34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또한, 상기 제습제(34)는 간봉(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간봉(30)의 표면에 형성된 관통홈(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다면체, 바람직하게는 구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humidifying agent 34 may be formed of a polyhedr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groove 3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ver rod 3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liver rod 3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는 장식물(40)을 포함한다.3 and 4, the multilayer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coration 40.

상기 장식물(40)은 미감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 1 판유리(10) 또는 제 2 판유리(20)의 적어도 한 면에 접촉되어 제 1 판유리(10) 또는 제 2 판유리(20)의 적어도 하나의 판유리에 의해 측면이 지지된다.The ornament 40 is disposed i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pane 10 and the second pane 20 to provide aesthetics,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pane 10 or the second pane 20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is supported by at least one pane of the first pane 10 or the second pane 20.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40)은 MDF, 합성수지, 금속소재의 조형물이나 장식무늬판, 실사(實寫),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실사란 잉크, 도료, 안료 등의 착색제를 사용하여 제 1 판유리(10), 제 2 판유리(20), 또는 이들 모두의 내측면에 실물, 실경(實景), 실황 등이 그려지거나 인쇄된 그림(사진을 포함)을 의미한다. Decoration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MDF, synthetic resin, metal material sculptures or decorative patterned plates, live-ac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Here, the real yarn is a real, real diameter, real or the like is drawn or pri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glass 10, the second plate glass 20, or both using a colorant such as ink, paint, pigment, etc. Means a picture (including a picture).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5 to 7 are front views showing the multilayer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40)로는 도 5와 같이 생화, 말린 생화, 조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조형물(42)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장식물로는 생화, 말린 생화, 조화가 선택적으로 조합된 조형물(42)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형물(42)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 사이의 내측면과 접촉면을 갖도록 형성된다.As the first embodiment, as the ornamen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sculptures 42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flowers, dried flowers, and artificial flowers can be used as shown in FIG. 5. If necessary, the ornament 42 may be a sculpture 42 in which natural flowers, dried flowers and flowers are selectively combined. This sculpture 42 is formed to have an inner surface and a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rst pane 10 and the second pane 20 facing each other.

이와 같이, 조형물은 생화, 직물과 같은 자연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합성섬유 등의 인조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As such, the sculpture may be made of natural materials such as natural flowers and fabrics, or artificial materials such as synthetic fibers.

제 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40)로는 도 6과 같이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평판형 구조로 형성되는 장식무늬판이나,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에 접촉하는 생화, 조화, 합성수지 장식물 등의 장식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장식무늬판이나 조화 등의 구성소재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합성수지판이나, 압축합판(MDF), 알루미늄판과 같은 금속판 등 절단가공이 용이한 판상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second embodiment, the decorative material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corative pattern plate formed in a flat plate-like structur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glass 10 and the second plate glass 20 as shown in FIG. Ornamental materials, such as natural flowers, artificial flowers, and synthetic resin orna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pane 10 and the second pane, can be used. At this time, it is not necessary to specifically limit the constituent material such as decorative pattern plate or roughening,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plate-like material which is easy to cut, such as a synthetic resin plate, a metal plate such as compressed plywood (MDF), or an aluminum plate.

상기 장식무늬판은 예를 들면, 직선 또는 곡선 등으로 구성되어 미감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장식무늬판은 다양한 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for example, is composed of a straight line or a curve to give a sense of beauty. In addition,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may be formed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exhibit various aesthetics.

이러한 장식무늬판의 재단은 목공용 가공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나, 제품의 양산이나 생산성을 고려하면 레이저 가공기 또는 CNC 선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tting of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can be performed by hand using a wood working saw, but considering the mass production or productivity of the product, it is preferable to use a laser processing machine or a CNC lath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로는 도 6과 같이 장식무늬판(44)과 생화, 말린 생화, 조화,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형물(42)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a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44) made of flowers, flowers, dried flowers, flowers,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상기 장식무늬판은 전체적인 외형이 평판형으로 형성되면, 간봉(30)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돌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돌출구는 직육면체형이나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long the edge thereof so that the overall appearance is formed in a flat shape,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with the liver bar (30). At this time,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or hemispherical shape.

제 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40)로는 도 7과 같이 장식무늬판(44)과 조형물(42)과 사각틀(46) 및 지지대(48)를 사용할 수 있다.As a third embodiment, as the ornamen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corative pattern plate 44, a sculpture 42, a square frame 46, and a support 48 may be used as shown in FIG.

상기 사각틀(46) 및 지지대(48)는 장식무늬판(44)이 초기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The rectangular frame 46 and the support 48 are provided to provide a support force so that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44 can maintain the initial position continuously.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각틀(46)은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간봉(30)의 내부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48)는 사각틀(46)과 장식무늬판(44)을 연결하여 사각틀(46)이 장식무늬판(4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각틀(46)과 장식무늬판(44)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square frame 46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ane 10 and the second pane 20 is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inner edge of the liver bar (30). In addition, the support 48 is connected between the square frame 46 and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44 so that the square frame 46 between the square frame 46 and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44 to support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44. It is provided in.

이러한 사각틀(46)과 지지대(48)는 제작의 편의성을 위해 장식무늬판(44)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quare frame 46 and the support 48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44 for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제 4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40)은 서로 다른 위치의 장식무늬판에 각각 하나의 조형물이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복수의 조형물이 특정 위치의 장식무늬판에 묶음 형태로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s a fourth embodiment, the ornamen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sculpture is attached to each of the decorative pattern plates at different positions, but the plurality of sculptures are attached to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at a specific position in a bundled form.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는 보조 고정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Laminated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fixing means (50).

상기 보조 고정수단(50)은 장식물(40)이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 사이에 원활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유리접착제 또는 도료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The auxiliary fixing means 50 is provided so that the ornament 40 can be smooth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glass 10 and the second plate glass 20, a glass adhesive or a paint adhesive can be used.

상기 유리접착제는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 사이에 배치되는 장식물(40)의 고정력을 보조하기 위해 장식물(40)과 제 1 판유리(10)의 사이나, 장식물(40)과 제 2 판유리(20)의 사이, 또는 장식물(40)과 제 1 판유리(10)의 사이 및 장식물(40)과 제 2 판유리(2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장식물(40)의 미감을 저해하지 않도록 투명한 색상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glass adhesive is between the ornament 40 and the first pane 10 or to support the fixing force of the ornament 40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ne 10 and the second pane 20, the ornament 40 Between the second pane 20, or between the ornament 40 and the first pane 10, and between the ornament 40 and the second pane 20, the aesthetics of the ornament 40 It may be used to have a transparent color so as not to inhibit.

상기 도료접착제는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 사이에 배치되는 장식물(40)의 고정력을 보조하는 동시에, 장식물(40)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장식물(40)의 표면에 구비되는 것이다. The paint adhesive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ornament 40 to assist the fixing force of the ornament 40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ne 10 and the second pane 20 and to impart color to the ornament 40. Will be.

이러한 도료접착제로는 아크릴 수지를 주전색제로 하고, 여기에 실록산 결합을 형성시켜 수득한 가열건조형의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료접착제는 접착 기능 및 색상부여의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으며, 내후성, 부착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또한, 철뿐만 아니라 비철금속에도 균일하게 도포되므로, 본 발명에서 유리, 생화, 조화, 각종 합성수지 등에 적용될 수 있다.
As such a paint adhesiv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heat-drying paint obtained by making an acrylic resin the main plating agent and forming a siloxane bond here. Such a paint adhesive can achieve the effect of the adhesion function and color imparting at the same time, and excellent in weather resistance, adhesion, chemical resistance. In addition, since it is uniformly applied not only to iron but also to non-ferrous metal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glass, naturalized flowers, artificial plants, various synthetic resins, and the lik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는 밀봉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ultilayer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ant 60.

상기 밀봉제(60)는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20) 사이에 구비된 장식물(40)이 부식되거나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층유리의 내부 공간을 밀봉시키는 것으로서,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20)의 테두리를 따라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20) 사이에 구비된다. The sealant 60 seals the inner space of the multilayer glass in order to prevent corrosion of the decoration 40 provided between the first pane 10 and the second pane 20, or to oxidize the first pane. It is provided between the 1st pane 10 and the 2nd pane 20 along the edge of the 10 and the 2nd pane 20.

상기 밀봉제(60)로는 어떠한 밀봉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실리콘 수지, 폴리비닐 부티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및 메틸 아크릴 레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lant 60 may be any sealant, but may be selected from silicone resins, polyvinyl butyryl resins, urethane resins, epoxy resins and methyl acrylate resins, or mixtures thereof. It is desirable to.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밀봉제(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봉(3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간봉(3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In a particular embodiment, the sealant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ver rod 30 to fix the position of the liver rod 30 as shown in FIG. 4.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는 최종적으로 밀봉제(60)가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20) 간의 틈새공간을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충진 몰딩되면서 그 내부가 밀폐된 상태로 압착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열과정을 거칠 수 있다.The multilayer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o that the sealant 60 can be press-bonded in a sealed state while filling the gap space between the first pane 10 and the second pane 20 evenly as a whole. , May be subjected to a separate heating process.

필요에 따라, 밀봉제(60)가 몰딩처리 된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20)의 외측으로는 별도의 보호틀(미도시)을 추가적으로 설치 결합시켜 단독 제품으로서 구성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제품은 자체 독립된 복층유리로서 자유롭게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If necessary, a separate protective frame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nd configured as a single product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panes 10 and 20 in which the sealant 60 is molded. These products can be installed and utilized freely as their own independent laminated glass.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는 밀봉제(60) 대신 마감캡(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multilayer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losing cap (not shown) instead of the sealant 60.

상기 마감캡은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20)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며, 한 쌍의 판유리(10, 20)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마감캡은 고무 등의 합성수지 재질이나 코르크 등의 재질을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조형물의 교체할 수도 있다.
The finishing cap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anes 10 and 20, and is fitted between the pair of panes 10 and 20. In addition, the finishing cap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material such as cork, and can be replaced as needed so that the molding can be replac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는 한 쌍의 판유리(10, 20) 사이에 구비된 장식물(40)을 통해 별도의 장식기능을 부가하여 미려한 외관의 제품을 제공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와 다를 바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선택에 따라 장식물(40)로 장식무늬판이나 생화 등의 조형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판유리(10, 20) 사이의 이격공간 상에 위치한 장식물(40)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수단이 필요로 하지 않아 디자인 구성의 자유도가 높다는 장점을 갖는다.The laminated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in that it provides a beautiful appearance product by adding a separate decorative function through the decoration 40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panes 10 and 2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decoration 40 according to the selection can be used as a decorative pattern plate or a plastic painting, separate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coration 40 located on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plate glass (10, 20) There is no need for a means, which has the advantage of high design freedom.

아울러, 본 발명은 밀봉제(60)를 통해 판유리 사이의 공기층(7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 air layer 70 between the panes through the sealant (6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 : 제 1 판유리 20 : 제 2 판유리
30 : 간봉 32 : 관통홈
34 : 제습제 40 : 장식물
50 : 보조 고정수단 60 : 밀봉제
70 : 공기층
10: first pane 20: second pane
30: liver rod 32: through groove
34: dehumidifier 40: decoration
50: auxiliary fixing means 60: sealant
70: air layer

Claims (9)

제 1 판유리;
상기 제 1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간봉;
상기 간봉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판유리와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판유리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판유리;
상기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에 각각 접촉되되,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에 의해 양 측면이 지지되어 상기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장식물; 및
상기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 사이에 배치되는 장식물의 고정력을 보조하고 장식물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장식물의 표면에 구비되는 도료접착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First pane;
Ganbong is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plate glass;
A second plate glas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plate glass so as to form a separation space with the first plate glass about the liver rod;
A decora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ane and the second pane, respectively, wherein both sides are supported by the first pane and the second pane, and are disposed in a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pane and the second pane; And
The decorative laminated glass of various materials free of the decoration arrangement including a paint adhesiv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decoration to assist the fixing force of the decora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ne and to give color to the deco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의 내측면과 접촉면을 가지는 생화, 말린 생화, 조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coration
Decorative arrangements of various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dings made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he group consisting of flowers, dried flowers, artificial flowers having a contact surfac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anes facing each other Free decorative laminated gla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평판형 구조로 형성되는 장식무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coration
The decorative laminated glass free of th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is formed in a flat plate-like structur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anes facing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평판형 구조로 형성되는 장식무늬판, 및
생화, 말린 생화, 조화,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형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coration
A decorative pattern plat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anes facing each other; and
A decorative laminated glass free of decorativ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sculptures composed of natural flowers, dried flowers, flowers, or combinations thereof.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상기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간봉의 내부 테두리에 안착되는 사각틀, 및
상기 사각틀과 장식무늬판을 연결하여 장식무늬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각틀과 장식무늬판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coration
A square frame disposed on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anes and seated on an inner rim of the liver rod, and
The decorative laminated glass free of th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rovided between the rectangular frame and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to connect the square frame and the decorative pattern plate.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제 1 판유리, 제 2 판유리, 또는 이들 모두의 내측면 구비된 실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The decor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wherein the decoration is
The decorative laminated glass free of the arrangement of ornaments of various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al yar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ane, the second pane, or bo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봉이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습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ver is made of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corative laminated glass free to the decoration of various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humidifier is included therein.
KR1020110140407A 2011-12-22 2011-12-22 Decoration pair glass capable of fre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 KR1011635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407A KR101163541B1 (en) 2011-12-22 2011-12-22 Decoration pair glass capable of fre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407A KR101163541B1 (en) 2011-12-22 2011-12-22 Decoration pair glass capable of fre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3541B1 true KR101163541B1 (en) 2012-07-06

Family

ID=46716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407A KR101163541B1 (en) 2011-12-22 2011-12-22 Decoration pair glass capable of fre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54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006B1 (en) 2013-09-24 2015-05-04 온재민 Method of producing glass door
KR20180003676U (en) * 2017-06-20 2018-12-28 최미희 Assembly Type Window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013B1 (en) * 2006-12-21 2007-10-15 백승필 Ornamental pair glasses using natural decor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013B1 (en) * 2006-12-21 2007-10-15 백승필 Ornamental pair glasses using natural decora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006B1 (en) 2013-09-24 2015-05-04 온재민 Method of producing glass door
KR20180003676U (en) * 2017-06-20 2018-12-28 최미희 Assembly Type Window
KR200488435Y1 (en) * 2017-06-20 2019-01-30 최미희 Assembly Type Wind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8433A (en) Insulated glass unit window assembly including decorative thermoplastic sheet and method for forming
US20210180395A1 (en) Doors comprising glazed uni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30129961A1 (en) Method for producing crystal decoration elements
KR101163541B1 (en) Decoration pair glass capable of fre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
KR101210446B1 (en) Pair glass with decoration panel and molding
KR101400118B1 (en) Manufacturing of method decoration pair glass having cubic effect
KR101204271B1 (en) Fittings including decoration pieces for forming patter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2252757A1 (en) Multi-layered wood door comprising a pocket for a glass sheet
KR101424679B1 (en) translucent door including patterned portion
KR101189813B1 (en) Pair glass with decoratio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84282B1 (en) Decoration pair glass to express fine desig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81140B1 (en) Semitransparent decoration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07022B1 (en) Pair gla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10134042A (en) Clear coating window frame and the window fitting which is applied the same
KR101582638B1 (en) Metal door having finishing cap
KR101138741B1 (en) Pair glass with air layer between flat glass and decoration plat
KR200357096Y1 (en) A finishing goods for architectural use
KR101518705B1 (en) Decoration glass with decoration plat capable of free arrangement and surface treated pattern
CN201752992U (en) Glass plate with floating visual effect
US20070284064A1 (en) Slat Base for Window Blinds
KR101680860B1 (en) Pair Glass fo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518704B1 (en) Decoration glass capable of free arrangement of various material
KR101647667B1 (en) Duplex Window Glass with Solid Decoration
JP2018144231A (en) Decorative material excellent in flexibility
KR20200105343A (en) Mulriple-layered glass for dec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