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521B1 - 컨택트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컨택트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521B1
KR101162521B1 KR1020100033421A KR20100033421A KR101162521B1 KR 101162521 B1 KR101162521 B1 KR 101162521B1 KR 1020100033421 A KR1020100033421 A KR 1020100033421A KR 20100033421 A KR20100033421 A KR 20100033421A KR 101162521 B1 KR101162521 B1 KR 10116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ntact
spring portion
positioning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303A (ko
Inventor
데츠 우라노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5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컨택트는, 1 장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택트는, 평판 형상인 접속 대상물의 상면을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된 상측 스프링부와, 상기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의 하면을 상방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된 하측 스프링부를 구비한다. 상기 하측 스프링부는, 상기 상측 스프링부와는 독립적으로 변형가능하다.

Description

컨택트 및 커넥터{CONTACT AND CONNECTOR}
본 발명은, 1 장의 금속판을 가공하여 얻어지는 컨택트 (contact) 와 그것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것이다.
이 종류의 컨택트를 갖는 커넥터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92627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92627호의 컨택트는, 회로 기판의 일부를 수용하는 박스 형상부와, 박스 형상부 내에 형성된 스프링부와, 회로 기판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도록 박스 형상부 내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92627호의 컨택트에서는, 회로 기판의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으로부터만 회로 기판을 가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05559호에는 별도의 컨택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05559호에 개시된 컨택트는, 회로 기판을 상하로부터 맞무는 상측 스프링부 및 하측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05559호의 컨택트의 경우, 2 개의 스프링부에서 회로 기판을 상하로부터 맞무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데, 상측 스프링부는 하측 스프링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 스프링부의 변형에 따라 상측 스프링부도 변형되어 버린다. 즉,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05559호의 컨택트에서는, 회로 기판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변위에 대해 유연하게 접압을 변경하면서 회로 기판과의 적절한 접촉을 도모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회로 기판 등의 접속 대상물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변위에 대해 유연하게 접압을 변경하면서 접속 대상물과의 적절한 접촉을 도모할 수 있는 컨택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컨택트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1 장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컨택트를 제공한다. 상기 컨택트는,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의 상면을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된 상측 스프링부와, 상기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의 하면을 상방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된 하측 스프링부를 구비한다. 상기 하측 스프링부는, 상기 상측 스프링부와는 독립적으로 변형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컨택트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은, 그 컨택트를 유지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히 이해되고, 또한 그 구성에 대해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냉음극관 및 회로 기판은 일부만 도시하고 있다. 개시된 커넥터는 회로 기판이 접속되는 곳이다. 냉음극관도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를 회로 기판 및 냉음극관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컨택트 및 하우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3 에 도시된 컨택트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4 에 도시된 컨택트의 하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로서, 일부의 선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의 Ⅶ-Ⅶ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컨택트의 상측 스프링부 및 하측 스프링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컨택트의 상측 스프링부 및 하측 스프링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3 에 도시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XI-XI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될 수 있는데, 그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같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기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0) 는, 냉음극관 (CCFL) (20) 과 회로 기판 (30) 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0) 는, 컨택트 (100) 와, 당해 컨택트 (100) 를 유지하는 하우징 (200) 을 구비하고 있다. 컨택트 (100) 는, 1 장의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 등을 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컨택트 (100) 는, 주부 (主部) (110) 와, 제 1 스프링 부위 (120) 를 포함하는 제 1 스프링부와, 2 개의 제 2 스프링 부위 (130) 를 포함하는 제 2 스프링부와, 2 개의 위치 결정 부위 (140) 를 포함하는 위치 결정부와, 2 개의 아암 (150) 을 포함하는 아암부와, CCFL 위치 결정부 (160) 와, 유지부 (170) 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 (110) 는, XZ 평면과 평행한 전면 (前面) (112) 과, YZ 평면과 평행한 우측면 (114) 및 좌측면 (115) 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Z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주부 (110) 는 대략 コ 자 형상을 하고 있다. 우측면 (114) 및 좌측면 (115) 의 각각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Z 방향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랜스부 (118)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 부위 (120) 는, 전면 (112) 으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고, 컨택트 (100) 에 장착된 회로 기판 (30) 의 상면을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 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 부위 (120) 는, 전면 (112) 에서 접속되는 절곡부 (122) 와, 절곡부 (122) 로부터 경사지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촉 부위 (124) 를 구비하고 있다. 절곡부 (122) 는, X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대략 コ 자 형상을 갖고 있다. 접촉 부위 (124) 는, 대략 く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선단은 경사지게 상방을 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접촉 부위 (124) 에는, Z 방향 하방으로 돌출된 리브 (126) 가 Y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프링 부위 (130) 의 각각은, 회로 기판 (30) 의 하면을 Z 방향 상방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 2 스프링 부위 (130) 는, 우측면 (114) 및 좌측면 (115) 에 L 자 절입 (incision) (116) 을 만들어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즉, 제 2 스프링 부위 (130) 의 각각은, 우측면 (114) 또는 좌측면 (115) 으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면 (112) 으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제 1 스프링 부위 (120) 와, 제 2 스프링 부위 (130) 는, 서로 독립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2 스프링 부위 (130) 의 각각은,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위 (131) 와,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위 (132) 로 구성되어 있고, 대략 L 자 형상을 갖고 있다. 제 2 스프링 부위 (130) 는, 제 2 부위 (132) 가 서로 평행해지도록 대향하고 있고, Z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경상 (鏡像) 배치되어 있다. 각 제 2 스프링 부위 (130) 의 제 2 부위 (132) 에는, Z 방향 상방으로 돌출된 리브 (134) 가 Y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 (140) 는, 회로 기판 (30) 의 Z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위치 결정부 (140) 는, 상기 서술한 제 2 스프링 부위 (130) 와 동일하게, 우측면 (114) 및 좌측면 (115) 에 L 자 절입 (116) 을 만들어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위치 결정부 (140) 의 각각은, 우측면 (114) 및 좌측면 (115) 으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치 결정부 (140) 는, 제 2 스프링 부위 (130) 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 (140) 의 각각은,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위 (141) 와,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위 (142) 로 구성되어 있고, 대응하는 제 2 스프링 부위 (130) 보다 작은 대략 L 자 형상을 갖고 있다. 위치 결정부 (140) 의 제 1 부위 (141) 와 제 2 부위 (142) 의 각각의 길이가, 대응하는 제 2 스프링 부위 (130) 의 제 1 부위 (131) 와 제 2 부위 (132) 의 각각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위치 결정부 (140) 는 제 2 스프링 부위 (130) 보다 단단하다. 이로 인해, 위치 결정부 (140) 가 회로 기판 (30) 의 위치 결정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위치 결정부 (140) 각각과 각 측면 (우측면 (114), 좌측면 (115)) 의 접속부는, Y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제 2 스프링 부위 (130) 각각과 각 측면의 접속부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위치 결정부 (140) 와 각 측면의 경계 부분은, 제 2 스프링 부위 (130) 와 각 측면의 경계 부분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위치 결정부 (140) 에도 Z 방향 상방으로 돌출된 리브 (144) 가 Y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는, 주부 (110) 의 전면 (112) 으로부터 Z 방향 상방으로 2 단으로 나뉘는 아암 (150) 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아암 (150) 은, 컨택트 (100) 의 블랭크 (중간체) 와 캐리어를 접속하고 있던 부위로서, 컨택트 (100) 의 제조시에 캐리어로부터 잘려진 부위이다.
도 1,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FL 위치 결정부 (160) 는 주부 (110) 의 전면 (112) 으로부터 유지부 (170) 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대략 Y 자 형상을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CCFL 위치 결정부 (160) 는, 냉음극관 (20) 의 하사점을 결정하는 것이고, 또한 후술하는 하우징 (200) 의 위치 어긋남 방지부 (230, 도 10 참조) 와 함께 냉음극관 (20) 의 열팽창에 의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부 (170) 는 냉음극관 (20) 의 단자 (22) 를 사이에 끼우는 것이다. 유지부 (170) 는, Z 방향 상방으로 서로 이간되도록 하여 연장되어 있는 선단부 (172) 와, 삽입된 단자 (22) 가 Z 방향 상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부 (173) 와, X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부 (174) 를 구비하고 있다. 선단부 (172) 는, 단자 (22) 가 삽입될 때에 단자 (22) 를 안내한다. 빠짐 방지부 (173) 는, 유지부 (170) 의 일부에 コ 자 형상의 절입을 만들고, X 방향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선단은 Z 방향 하방을 향하고 있다. 또한, 빠짐 방지부 (173) 끼리는, 서로 X 방향에서 접촉하고 있다. 단자 (22) 는 볼록부 (174) 가 형성된 위치까지 삽입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삽입된 단자 (22) 가 Z 방향 상방으로 이동했더라도, 당해 빠짐 방지부 (173) 의 하단에 닿기 때문에 빠지지 않는다. 또한, 볼록부 (174) 는, 냉음극관 (20) 의 단자 (22) 와 유지부 (170) 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자 (22) 의 이동에 의한 마모가 저감된다.
도 1, 2 및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제 1 스프링 부위 (120) 의 리브 (126), 제 2 스프링 부위 (130) 의 리브 (134) 및 위치 결정부 (140) 의 리브 (144) 에 의해, 컨택트 (100) 와 회로 기판 (30) 의 국소적인 접압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0) 는, 회로 기판 (30) 에 대한 높은 접촉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스프링 부위 (130) 의 제 2 부위 (132) 의 선단 (136) 은 Z 방향에 있어서 경사 하방으로 굽어지고, 위치 결정부 (140) 의 제 2 부위 (142) 의 선단 (146) 은 Z 방향에 있어서 경사 하방으로 굽어져 있다. 이로 인해, 도 1 및 도 6 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30) 은, 제 1 스프링 부위 (120) 의 접촉 부위 (124) 와, 제 2 스프링 부위 (130) 의 선단 (136) 과, 위치 결정부 (140) 의 선단 (146) 으로 안내되도록 하여, 제 1 스프링 부위 (120) 와 제 2 스프링 부위 (130)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컨택트 (100) 의 좌굴 (座屈) 이나 변형이 방지된다.
도 1 내지 도 4,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200) 은 컨택트 (100) 를 유지하는 것이다. 하우징 (200) 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부 (210) 와,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홈 (220) 과, 내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어긋남 방지부 (230) 와, 냉음극관 (20) 이 삽입되는 삽입부 (240) 와,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 (250) 을 구비하고 있다. 누름부 (210) 는, 컨택트 (100) 를 하우징 (200) 에 압입할 때, 컨택트 (100) 의 우측면 (114) 및 좌측면 (115) 에 닿게 된다. 이로 인해, 컨택트 (100) 는 하우징 (200) 에 유지되게 된다. 고정 홈 (220) 은, 하우징 (200) 에 압입된 컨택트 (100) 가 하우징 (200) 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컨택트 (100) 는, 각 랜스부 (118) 가 고정 홈 (220) 내에 위치할 때까지 하우징 (200) 에 압입된다. 이 상태에서, 컨택트 (100) 가 상방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랜스 (118) 의 선단이 고정 홈 (220) 의 상부 가장자리에 닿기 때문에, 컨택트 (100) 가 하우징 (200) 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컨택트 (100) 가 하우징 (200) 에 유지된 상태에서, 위치 어긋남 방지부 (230) 의 Y 방향 전면에는, 컨택트 (100) 의 CCFL 위치 결정부 (160) 가 맞닿게 된다. 그 때문에, 냉음극관 (20) 의 열팽창에 의해 CCFL 위치 결정부 (160) 가 Y 방향으로 눌린 경우에도, 이 구조에 의해 Y 방향에 대한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홈 (250) 은, 컨택트 (100) 를 하우징 (200) 에 압입할 때에, 아암 (150) 을 안내한다. 이로써, 컨택트 (100) 를 하우징 (200) 내의 적절한 위치에 압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컨택트 (100) 는, 스프링성 (spring characteristics) 이 높은 제 1 스프링 부위 (120) 와 스프링성이 낮은 제 2 스프링 부위 (130)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 (140) 를 스프링성이 낮은 제 2 스프링 부위 (130) 측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 (30) 은, 제 1 스프링 부위 (120) 에 의해 위치 결정부 (140) 에 눌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컨택트 (100) 는, 서로 스프링성이 상이하여 각각이 독립적으로 변형가능한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에 의해 회로 기판 (30) 이 상하로부터 확실하게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 (30) 이 Z 방향에 있어서 변위되었다고 해도, 당해 변위에 따라 제 1 스프링 부위 (120) 및 제 2 스프링 부위 (130) 의 각각과 회로 기판 (30) 의 접압을 별개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 (30) 과 적절한 접촉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 부위 (120) 를 주부 (110) 의 부위 중 회로 기판 (30) 의 삽입 방향 (Y 방향) 과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 (전면; 112) 로부터 연속하여 연장하는 한편, 제 2 스프링 부위 (130) 를 주부 (110) 의 측면 (좌우 측면; 115, 114) 으로부터 연속하여 연장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컨택트 (100) 를 제조할 때에 작은 사이즈의 1 장의 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컨택트 (100) 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컨택트 (100) 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 부위 (120) 를 Z 방향 상측의 스프링으로 하고, 제 2 스프링 부위 (130) 를 Z 방향 하측의 스프링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 부위 (120a) 를 하측의 스프링으로 하고, 제 2 스프링 부위 (130a) 를 상측의 스프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스프링 부위 (120a) 의 절곡부 (122a) 는, 제 2 스프링 부위 (130a) 의 후방을 돌아가듯이 연장된다. 이로 인해, 제 1 스프링 부위 (120a) 와 제 2 스프링 부위 (130a) 에 의해, 회로 기판 (30) 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맞물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 부위 (120b) 를 주부 (110) 의 전면 (112) 의 하방으로부터 연장하여 상측의 스프링으로 해도 된다. 그 외에, 도 4 에 도시된 주부 (110) 의 형상과는 X 방향에 관하여 대칭으로 하여, 후면 및 좌우 측면에서 コ 자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도, 제 1 스프링 부위를 상측 스프링으로 하는 경우에는 후면 상방으로부터 연장하면 되고, 제 1 스프링 부위를 하측 스프링으로 하는 경우에는 후면 하방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 단, 이와 같은 구조는, 후면으로부터 연장하여 CCFL 위치 결정부 (160) 등을 형성하게 되므로, 컨택트를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1 장의 판 사이즈가 커진다는 문제나,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컨택트 (100) 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택트는, 서로 독립적으로 변형가능한 상측 스프링부와 하측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것들에 의해 회로 기판 등의 접속 대상물을 상하로부터 맞무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 대상물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변위에 따라 상측 스프링부 및 하측 스프링부의 각각과 접속 대상물의 접압을 별개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대상물과 적절한 접촉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009년 4월 17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2009-101328호에 기초하고 있고, 그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할 수 있고, 그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장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컨택트로서,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의 상면을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된 상측 스프링부와,
상기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의 하면을 상방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된 하측 스프링부로서, 상기 상측 스프링부와는 스프링성이 상이하여 독립적으로 변형가능한 하측 스프링부를 구비하는 컨택트.
제 1 항에 있어서,
2 개의 측면과 전면 또는 후면을 갖는 주부 (主部)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2 개의 측면과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은 수평면 내에서 コ 자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상측 스프링부와 상기 하측 스프링부의 일방은, 상기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연속하도록 연장되는 제 1 스프링부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스프링부와 상기 하측 스프링부의 나머지 일방은, 상기 측면으로부터 연속하도록 연장되는 제 2 스프링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컨택트.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부는, 상기 전면으로부터 연속하도록 연장되는 컨택트.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프링부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컨택트의 중심에서 단부(端部) 가 대향하도록 상기 측면의 일부를 절곡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컨택트.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의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는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2 개의 측면으로부터 연속하도록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2 스프링부와 나란히 형성된 위치 결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컨택트.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프링부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경우에 경상 (鏡像) 배치된 2 개의 L 자 형상 스프링 부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2 개의 L 자 형상 스프링 부위보다 작은 2 개의 L 자 형상 위치 결정 부위로 구성되어 있는 컨택트.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프링부와 상기 측면의 제 1 경계 부분과,
상기 위치 결정부와 상기 측면의 제 2 경계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경계 부분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 2 경계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는 컨택트.
커넥터로서,
1 장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컨택트로서,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의 상면을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된 상측 스프링부와, 그 상측 스프링부와는 스프링성이 상이하여 독립적으로 변위?변형가능한 하측 스프링부로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하면을 상방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된 하측 스프링부를 구비하는 컨택트와,
그 컨택트를 유지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2 개의 측면과 전면 또는 후면을 갖는 주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2 개의 측면과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은 수평면 내에서 コ 자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상측 스프링부와 상기 하측 스프링부 중 제 1 스프링부는, 상기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연속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상측 스프링부와 상기 하측 스프링부 중 제 2 스프링부는, 상기 측면으로부터 연속하도록 연장되는 커넥터.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부는, 상기 전면으로부터 연속하도록 연장되는 커넥터.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프링부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컨택트의 중심에서 단부가 대향하도록 상기 측면의 일부를 절곡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커넥터.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상기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의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는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2 개의 측면으로부터 연속하도록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2 스프링부와 나란히 형성된 위치 결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커넥터.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프링부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경우에 경상 배치된 2 개의 L 자 형상 스프링 부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2 개의 L 자 형상 스프링 부위보다 작은 2 개의 L 자 형상 위치 결정 부위로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상기 제 2 스프링부와 상기 측면의 제 1 경계 부분과,
상기 위치 결정부와 상기 측면의 제 2 경계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경계 부분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 2 경계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는 커넥터.
KR1020100033421A 2009-04-17 2010-04-12 컨택트 및 커넥터 KR101162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01328 2009-04-17
JP2009101328A JP5366630B2 (ja) 2009-04-17 2009-04-17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303A KR20100115303A (ko) 2010-10-27
KR101162521B1 true KR101162521B1 (ko) 2012-07-09

Family

ID=4295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421A KR101162521B1 (ko) 2009-04-17 2010-04-12 컨택트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77264B2 (ko)
JP (1) JP5366630B2 (ko)
KR (1) KR101162521B1 (ko)
CN (1) CN101867105B (ko)
TW (1) TWI4305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7147B2 (en) * 2010-03-09 2014-02-11 Nii Northern International Inc. Dual conductor cable connector
USD645408S1 (en) * 2010-03-16 2011-09-20 Nii Northern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USD645406S1 (en) 2010-03-16 2011-09-20 Nii Northern International Inc. Portion of electrical connector
USD645407S1 (en) * 2010-03-16 2011-09-20 Nii Northern International Inc. Portion of electrical connector
JP4963736B2 (ja) 2010-10-28 2012-06-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照明装置
US8182298B1 (en) * 2011-05-06 2012-05-2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robe connector
CN105680195B (zh) * 2014-11-18 2018-06-08 金笔企业股份有限公司 电线连接装置
US9577352B2 (en) 2015-01-29 2017-02-21 Home Depot Product Authority, LLP Electrical connectors and related methods
CN107768863A (zh) * 2016-08-17 2018-03-06 糖果屋研发有限公司 端子、端子总成及电子模块
EP3460917A1 (en) 2017-09-20 2019-03-27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EP3460918A1 (en) * 2017-09-20 2019-03-27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2414A (ja) * 1982-04-15 1983-10-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リングハ−ネスの相互接続装置
US4932906A (en) * 1988-12-16 1990-06-12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tact terminal
US5024610A (en) * 1989-08-16 1991-06-18 Amp Incorporated Low profile spring contact with protective guard means
EP1207588B1 (de) * 2000-11-20 2011-05-04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Verbinder für flexible Flachkabel oder flexible Leiterplatten
DE10302138A1 (de) * 2002-02-19 2003-08-21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
FR2876226B1 (fr) * 2004-10-01 2007-01-19 Abb Entrelec Soc Par Actions S Organe de connexion electrique et mecanique d'un organe de raccordement electrique
JP4180624B2 (ja) * 2006-04-14 2008-11-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組立体
CN100589292C (zh) * 2006-04-14 2010-02-10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装置及使用该装置的背光灯组合体
CN100521381C (zh) * 2006-06-27 2009-07-29 日本压着端子制造株式会社 电连接器和电连接器的连接构造
JP2008300145A (ja) * 2007-05-30 2008-12-11 Alps Electric Co Ltd ランプ用コネクタ
JP2008300147A (ja) * 2007-05-30 2008-12-11 Alps Electric Co Ltd ランプ用コネクタおよびランプ用コネクタユニット
JP2008300146A (ja) * 2007-05-30 2008-12-11 Alps Electric Co Ltd ランプ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66630B2 (ja) 2013-12-11
US8277264B2 (en) 2012-10-02
CN101867105A (zh) 2010-10-20
CN101867105B (zh) 2013-04-17
JP2010251212A (ja) 2010-11-04
KR20100115303A (ko) 2010-10-27
US20100267289A1 (en) 2010-10-21
TW201125222A (en) 2011-07-16
TWI430515B (zh)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521B1 (ko) 컨택트 및 커넥터
JP6761736B2 (ja) コネクタ
US8864524B2 (en) Connector
US20190319398A1 (en) Connector
CN109004411B (zh) 多触点连接器
US8317529B2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KR101221840B1 (ko) 커넥터
CN109004410B (zh) 可动连接器
JP2007324029A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KR101780968B1 (ko) 커넥터 단자
US8057247B2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EP3540864B1 (en) Movable connector
JP5112378B2 (ja) メス側端子及び基板間接続構造
EP3796480B1 (en) Floating connector
KR20190026564A (ko) 커넥터
EP1349240A2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US6629864B2 (en) Electrical contact for plug-in connector
US20120329335A1 (en) Connector
JP2014049389A (ja) コネクタ端子
US20230069874A1 (en) Male terminal fitting and terminal structure
US7544098B2 (en) Connector having a stopper mechanism defining a movable range of a housing receiving a connection object
JP5939270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12034239B2 (en) Connector
EP4068523B1 (en) Connector
US20230238727A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