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934B1 -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device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device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934B1
KR101161934B1 KR1020090116616A KR20090116616A KR101161934B1 KR 101161934 B1 KR101161934 B1 KR 101161934B1 KR 1020090116616 A KR1020090116616 A KR 1020090116616A KR 20090116616 A KR20090116616 A KR 20090116616A KR 101161934 B1 KR101161934 B1 KR 101161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thrust
electrode
guide member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6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60120A (en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934B1/en
Publication of KR2011006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9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 from objects; Servicing or ope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용 전극은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피가공물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과 접촉이동하며 선단과 말단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과 전해가공 시 전해액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과 대향하는 전극 노출부; 및 상기 전극 노출부에 형성되며, 전해가공 시 상기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에 스러스트 그루브를 전사하는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말단에서 상기 선단 방향으로 상기 전해액이 이동하는 전해액 이동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in which a step portion for supporting a portion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is formed so that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is exposed. A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end; An electrode exposed part disposed to have a gap through which the thrust grooved surface and an electrolyte may pass during electrolytic processing, and facing the thrust grooved surface; And a thrust groove forming portion which is formed in the electrode exposed portion and transfers the thrust groove to the thrust groove processing surface of the workpiece during electrolytic processing. An electrolyte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moves may be formed.

Description

전해 가공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전해 가공장치 및 전해 가공방법{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device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nd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Comprising the Same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device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핀들 모터의 슬리브의 상면에 스러스트 그루브를 형성하기 위한 전해 가공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전해 가공장치 및 전해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for forming a thrust groove on an upper surface of a sleeve of a spindle motor, an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n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스핀들 모터의 샤프트를 지지하는 슬리브의 스러스트 그루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리브의 일면에 스러스트 그루브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공면이 형성되도록 그루브 형상의 홈이 형성된 금형에 펀치로 소결하여 형성한다. In order to form a thrust groove of the sleeve supporting the shaft of the spindle motor, a punch is formed in a mold in which grooves are formed so that a machining surf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ust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eeve.

또한, 절삭 가공 등의 일반 기계 가공으로 제조된 슬리브의 일면을 전해 가공(ECM, electrolytic machining)으로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sleeve manufactured by general machining such as cutting may be formed by electrolytic machining (ECM).

전해 가공은 음극의 전극과 양극의 공작물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하면서, 전기적인 에너지에 의한 금속의 용해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을 공작물에 전사시키는 가공기술이다. 이러한 전해 가공은 난삭재 및 복잡한 형상의 금형 가공에 이용되며, 공작물의 변형이나 잔류응력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Electrolytic machining is a machining technique in which a desired shape is transferred to a workpiece by dissolving metal by electrical energy while supplying an electrolyte solution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anode workpiece. Such electrolytic machining is used for difficult machining and mold processing of complex shapes, and has the advantage of not causing deformation or residual stress of the workpiece.

소결 공정에서 펀치를 이용하여 강성이 높은 SUS 재질이나 Fe 성분이 많은 금속의 소결 슬리브를 제조하면, 슬리브에 펀치의 압력이 크게 걸리지 않기 때문에 스러스트 그루브의 정밀성이나 양산성이 좋지 않다.  In the sintering process, when a punch is used to produce a sintered sleeve made of a highly rigid SUS material or a metal having a large Fe content, the pressure of the punch is not greatly applied to the sleeve, so that the precision and mass productivity of the thrust groove are not good.

이와 같은 이유로, 스러스트 그루브가 형성된 슬리브를 소결로 제조하는 경우는 SUS 재질을 사용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Fe 성분을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스러스트 그루브가 형성된 소결 슬리브는 대부분 Cu 성분이 높은 Cu-Fe 합금으로 제조될 수 밖에 없었다.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sleeve on which the thrust groove is formed by sintering, not only the SUS material can be used but also the metal having a high Fe component cannot be used. For this reason, most of the sintered sleeves in which the thrust grooves are formed are made of a Cu-Fe alloy having a high Cu content.

유체 동압 모터의 경우, 강성이 높은 SUS 재질이나 Fe 성분이 많은 금속을 슬리브로 이용하는 경우는 우수한 온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SUS 재질은 Cu-Fe 합금에 비해 내식성이 뛰어 나므로 전해 가공에 더 좋은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 fluid dynamic motor, when using a highly rigid SUS material or a metal with many Fe components as a sleeve, the outstand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 can be ensured. In addition, the SUS material has a better corrosion resistance than the Cu-Fe alloy has a better advantage in electrolytic processing.

따라서, SUS 재질을 이용한 슬리브에 스러스트 그루브를 전해가공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a situation is required to form a thrust groove in the sleeve using the SUS material by electrolytic processing.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이 높은 SUS 재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핀들 모터의 슬리브의 상면에 스러스트 그루브를 형성하기 위한 전해 가공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전해 가공장치 및 전해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de for forming a thrust groove on an upper surface of a sleeve of a spindle motor mainly composed of SUS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an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n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용 전극은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피가공물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과 접촉이동하며 선단과 말단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과 전해가공 시 전해액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과 대향하는 전극 노출부; 및 상기 전극 노출부에 형성되며, 전해가공 시 상기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에 스러스트 그루브를 전사하는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말단에서 상기 선단 방향으로 상기 전해액이 이동하는 전해액 이동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in which a step portion for supporting a portion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is formed so that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is exposed. A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end; An electrode exposed part disposed to have a gap through which the thrust grooved surface and an electrolyte may pass during electrolytic processing, and facing the thrust grooved surface; And a thrust groove forming portion which is formed in the electrode exposed portion and transfers the thrust groove to the thrust groove processing surface of the workpiece during electrolytic processing. An electrolyte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moves may be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장치는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부; 상기 전해액 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피가공물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이동하며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과 상기 전해액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가 형성되는 전극노출부를 구비하는 전극으로 상기 피가공물에 스러스트 그루브를 형성하는 전해 가공 유닛; 상기 전해 가공 유닛에서 전해 가공된 전해액을 다시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회수부에서 저장된 전해액을 여과하고 재차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되돌리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는 전해 가공된 상기 전해액을 상기 회수부로 이동시키도록 외부와 연통하는 전해액 이동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an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ctrolyte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electrolyte; A guide member including a step portion for supporting a portion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to expose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by using the electrolyte solution provided by the electrolyte supply unit, and in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An electrolytic machining unit having an thrust groove processing surface and an electrode exposure portion having a thrust groove forming portion disposed with a gap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can pass; forming an thrust groove on the workpiece; A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electrolyte solution electrolytically processed in the electrolytic processing unit; And a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electrolyte solution stored in the recovery unit and returning it to a state in which it can be used again, and moving the electrolytically processed electrolyte solution to the recovery unit in the guide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ap. An electrolyte transfer path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may b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장치의 상기 전극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에 접촉이동하며, 선단과 말단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말단에서 상기 선단 방향으로 상기 전해액이 이동하는 전해액 이동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of the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front end and the end and through the through hole from the end to the front end direction An electrolyte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moves may b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장치의 상기 전극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 접촉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of the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장치의 상기 피가공물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의 일부는 상기 피가공물의 외주면에서 내측방향일 수 있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of the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orkpie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장치의 상기 피가공물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의 일부는 상기 피가공물의 내주면에서 외측방향일 수 있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of the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utwar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orkpiec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장치의 상기 피가공물은 Cu, Fe, SUS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슬리브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workpiece of the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leeve made of Cu, Fe, SU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장치의 상기 피가공물은 SUS 파우더 소결체 또는 Fe의 질량백분율이 55% 이상인 Cu-Fe 합금 소결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workpiece of the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US powder sintered body or a Cu-Fe alloy sintered body having a mass percentage of Fe of 55%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장치의 상기 SUS 파우더 소결체는 Fe의 질량백분율이 50%를 넘지않는 Cu-Fe 합금 소결체의 표면 기공율에 비해 5%에서 15% 클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S powder sintered body of the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5% to 15% larger than the surface porosity of the Cu-Fe alloy sintered body in which the mass percentage of Fe does not exceed 50%.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방법은 피가공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이 노출되도록 가이드 부재에 형성되는 단차부로 상기 피가공물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단계; 상기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과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이동하는 전극의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가 대향하고, 상기 전극과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피가공물과 상기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피가공물과 상기 전극 사이 및 상기 간극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전해액 이동로로 전해액을 공급하여 유동시키면서, 상기 피가공물과 상기 전극에 통전시켜 상기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에 스러스트 그루브를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an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a workpiece; Supporting a portion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with a stepped portion formed in a guide member to expose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Arranging the electrode such that a thrust groove forming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a thrust groove forming portion of the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face each other,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workpiece; Supplying power to the workpiece and the electrode; And a thrust groove of the workpiece by energizing the workpiece and the electrode while supplying and flowing an electrolyte solution between the workpiece and the electrode and an electrolyte movement path formed inside the guide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ap. And transferring the thrust groove to the processing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방법에서, 상기 전극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과 접촉이동하여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방법에서, 상기 전극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과 접촉이동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용 전극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과의 사이에서 전해가공 시 전해액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In another aspect, the body portion of the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with a gap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can pass during electrolytic processing between the body and the thrust groove processing surface relative to the guide member. Can be.

본 발명에 따른 전해 가공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전해 가공장치 및 전해 가공방법에 의하면, SUS 재질 등의 강성이 높은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슬리브에도 스러스트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n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thrust grooves can be formed in a sleeve mainly composed of a metal having high rigidity such as SUS material.

또한, 스러스트 그루브를 소결 공정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결 공정에 이용되는 펀치의 소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슬리브의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thrust groove by a sintering process, the calling of the punch used for a sintering process can be extended, and the mass productivity of a sleeve can be improved.

또한, 전해 가공으로 소결 슬리브의 상면에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스러스트 그루브를 성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grooves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tered sleeve by electrolytic processing, precise thrust grooves can be form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iorate other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modify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ther embodiment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readily proposed, but they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components with the same func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 명의 제1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에 이용되는 전극의 개략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ytic machining unit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lectrolytic machining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de used for a unit.

이하에서는 피가공물은 특히, 스핀들 모터의 샤프트를 지지하는 슬리브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슬리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루브가 형성되어야 하는 피가공물이면 어디에도 적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workpiece will be described in particular by taking a sleeve supporting the shaft of the spindle motor as an example, and the workpiece is not limited to the sleeve, and may be applied to any workpiece to which a groove is to be formed.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장치(1)는 전해액 공급부(8), 전해 가공 유닛(2), 전원 공급부(3), 회수부(4) 및 필터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3, an electrolytic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e supply unit 8, an electrolytic processing unit 2, a power supply unit 3, a recovery unit 4, and a filter. It comprises a part 5.

상기 전해액 공급부(8)는 저장된 전해액(E)을 상기 전해 가공 유닛(2)에 제공한다. 상기 전해 가공 유닛(2)은 상기 전해액 공급부(8)에서 제공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슬리브(10)의 일면에 스러스트 그루브(18, 도 6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The electrolyte supply part 8 provides the stored electrolyte solution E to the electrolytic processing unit 2. The electrolytic processing unit 2 may form a thrust groove 18 (see FIG. 6) on one surface of the sleeve 10 by using the electrolyte solution provided from the electrolyte supply unit 8.

상기 슬리브(10)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에 스러스트 그루브(18)를 가공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10)의 일면은 가이드 부재(4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10)의 스러스트 그루브(18)를 전해가공하는 전극(20)은 상기 가이드 부재(40)에 접촉이동된다. 이때, 상기 전극(20)의 전극 노출부(24)와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 사이에는 전해액이 이동할 수 있는 간극(G)이 형성된다. In order to process the thrust groove 18 on the thrust grooved surface 12 of the sleeve 10, one surface of the sleeve 10 may be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40. In addition, the electrode 20 electrolytically processing the thrust groove 18 of the sleeve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40. In this case, a gap G between the electrode exposed portion 24 of the electrode 20 and the thrust groove processing surface 12 may be 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극(20)은 상기 가이드 부재(40)의 내주면(44)과 접촉이동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de 20 may mov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4 of the guide member 40.

상기 가이드 부재(40)는 상기 슬리브(10)의 일면이 지지되도록 단차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40)의 단차부(42)에서 지지되는 상기 슬리브(10)의 부분은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에서 내측방향으로의 일면일 수 있다. The guide member 40 has a stepped portion 42 formed to support one surface of the sleeve 10. The portion of the sleeve 10 supported by the stepped portion 42 of the guide member 40 may be one surface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10.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40)에는 상기 간극(G)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해액 이동로(4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부재(40)는 전극(20)이나 슬리브(10)의 전류가 도통하지 않도록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40 may be formed with an electrolyte movement path 4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ap G. Here, the guide member 40 may be made of an insulator such that the current of the electrode 20 or the sleeve 10 does not conduct.

한편, 전해액은 상기 전극(20)의 전해액 이동로(25)를 통과하여 상기 간극(G)으로 이동하여 전해 가공에 이용된다. 상기 전해액은 상기 슬리브(10)의 내경을 통해 이동하므로, 상기 슬리브(10)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의 반대면은 실링부(15)로 실링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lyte solution passes through the electrolyte solution passage 25 of the electrode 20 and moves to the gap G to be used for electrolytic processing. Since the electrolyte move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10, an opposite surface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12 of the sleeve 10 may be sealed by the sealing part 15.

상기 실링부(15)는 도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공급부(3)의 전원을 상기 슬리브(10)로 제공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e sealing unit 15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o provide a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3 to the sleeve 10.

전해 가공된 전해액은 상기 가이드 부재(40)에 형성되는 전해액 이동로(45)를 통해 회수부(4)로 이동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ally processed electrolyte solution may move to the recovery part 4 through the electrolyte movement path 45 formed in the guide member 40.

여기서, 상기 슬리브(10)는 Cu, Fe, SUS,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10)는 SUS 파우더 소결체 또는 Fe 비율이 55% 이상인 Cu-Fe 합금 소결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Cu-Fe 합금은 Fe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Fe비율의 상한은 의미가 없다. Here, the sleeve 10 may be made of Cu, Fe, SUS, or a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the sleeve 10 may be a SUS powder sintered body or a Cu-Fe alloy sintered body having a Fe ratio of 55% or more. That is, since the Cu-Fe alloy does not use only Fe, the upper limit of the Fe ratio is meaningless.

또한, 슬리브(10)를 SUS 파우더 소결체를 이용하는 경우는 종래 Fe 비율이 50%를 넘지 않는 Cu-Fe 합금 소결체의 표면 기공율에 비해 5%에서 15% 정도로 클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US powder sintered body is used for the sleeve 10, the Fe content may be about 5% to 15% larger than the surface porosity of the Cu-Fe alloy sintered body which does not exceed 50%.

기공율이 너무 크면 소결체인 슬리브(10)가 오일을 함유할 수 없으므로, 종래 Fe 비율이 50%를 넘지 않는 Cu-Fe 합금 소결체의 표면 기공율에 비해 약 15% 정 도까지 크게 제조할 수 있다. If the porosity is too large, the sleeve 10, which is a sintered body, may not contain oil, and thus it may be manufactured up to about 15% larger than the surface porosity of the Cu-Fe alloy sintered body in which the Fe ratio does not exceed 50%.

이와 같은 전해 가공 유닛(2)으로 상기 슬리브(10)를 전해 가공하면, 도 6에 도시된 결과물과 같이, 상기 슬리브(10)의 상면에는 스러스트 그루브(18)가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sleeve 10 is electrolytically processed by the electrolytic machining unit 2, a thrust groove 18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10 as shown in FIG. 6.

상기 필터부(5)는 상기 회수부(4)에서 저장된 전해액을 여과하고 재차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을 한다. The filter unit 5 functions to filter the electrolyte solution stored in the recovery unit 4 and return it to a state where it can be used again.

상기 회수부(4)는 상기 전해 가공 유닛(2)에서 전해 가공된 전해액을 다시 회수하여 저장한다. The recovery unit 4 recovers and stores the electrolytic solution electrolytically processed by the electrolytic processing unit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에 이용되는 전극(20)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lectrode 20 used in the electrolytic processing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의 전극(20)은 몸체부(22), 전극 노출부(24) 및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2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de 2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portion 22, an electrode exposed portion 24, and a thrust groove forming portion 26.

상기 몸체부(22)는 슬리브(10)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이 노출되도록 상기 슬리브(10)의 일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40)에 접촉이동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22 may be in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40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sleeve 10 so that the thrust grooved surface 12 of the sleeve 10 is exposed.

상기 전극 노출부(24)는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과 전해가공 시 전해액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G)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과 대향할 수 있다. The electrode exposed part 24 may be disposed to have a gap G through which the thrust grooved surface 12 and an electrolyte may pass during electrolytic processing, and may face the thrust grooved surface 12.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26)는 상기 전극 노출부(24)에 형성되며, 전해가공 시 상기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에 스러스트 그루브(18, 도6 참조)를 전사할 수 있다. The thrust groove forming portion 26 is formed on the electrode exposed portion 24, and transfers thrust grooves 18 (see FIG. 6) to the thrust groove processing surface 12 of the workpiece during electrolytic processing.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26)는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18)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thrust groove forming unit 26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ust groove 18.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몸체부(22)는 상기 가이드 부재(40)의 내주면(44)과 접촉이동한다. 또한, 전해액 공급부(8)에서 제공되는 전해액이 이동하도록 하는 전해액 이동로(25)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22 in this embodiment move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4 of the guide member 40. In addition, an electrolyte movement path 25 may be formed to allow the electrolyte solution provided by the electrolyte supply unit 8 to move.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의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에 이용되는 전극의 개략 사시도이다.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lytic machining unit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used in the electrolytic machining unit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2) 및 전극(20)과 다른 점은 가이드 부재(40)가 슬리브(10)의 내경을 지지하고, 상기 전극(20)이 상기 가이드 부재(40)의 외주면과 접촉이동하는 것이다. 4 and 5, the difference from the electrolytic machining unit 2 and the electrode 20 of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guide member 40 supports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10, and the electrode 20 is I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40.

상기 가이드 부재(40)는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슬리브(10)를 지지하지만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의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서 외측방향의 면의 일부를 지지한다. The guide member 40 supports the sleeve 10 so that a part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12 is exposed, but support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12. .

본 실시예는 전해액이 상기 가이드 부재(40) 내측에 형성되는 전해액 이동로(45)를 통해 이동하여, 슬리브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과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26) 사이의 간극(G)을 통해 전해액이 흘러 나갈 수 있는 유로 구조를 제시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lyte moves through the electrolyte movement path 45 formed inside the guide member 40, and thus the gap G between the thrust grooved surface 12 and the thrust groove forming portion 26 of the sleeve. It presents a flow path structure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can flow through.

이외에는 제1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2) 및 전극(20)의 설명으로 대신하기 로 한다. Other than that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electrolytic machining unit 2 and the electrode 20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을 이용하여 제조된 피가공물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을 이용하여 제조된 피가공물의 평면도이다. 6 is a plan view of a workpiece manufactured using the electrolytic machining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lan view of a workpiece manufactured using the electrolytic machining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슬리브(10)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40)와 지지되는 외측 일면에 스러스트 그루브(18)가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 부재 지지면(14)이 형성된다. 또한, 도 7의 슬리브(10)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40)와 지지되는 내측 일면에 스러스트 그루브(18)가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 부재 지지면(14)이 형성된다. In the sleeve 10 of FIG. 6, the thrust groove 18 is no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40 and the guide member 40, and the guide member support surface 14 is formed. In addition, a thrust groove 18 is not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leeve 10 of FIG. 7 that is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40, and a guide member support surface 14 is formed.

도 6 및 도 7은 스러스트 그루브(18)가 스파이럴(spiral) 형상을 이루는 것이나, 전극(20)의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26)를 헤링본(herringbone) 형상으로 한 것으로 전해 가공하면, 스러스트 그루브(18)가 헤링본 형상이 된다. 6 and 7 show that the thrust groove 18 has a spiral shape, and when the thrust groove forming portion 26 of the electrode 20 is formed into a herringbone shape, the thrust groove 18 is formed. ) Becomes a herringbone shap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8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steps of the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방법을 간단하게 살펴본다. 우선, 피가공물을 제공한다(S10). 이때의 피가공물은 상면에 스러스트 그루브(18)가 형성되지 않은 슬리브(10)이며, 강성이 높은 SUS 재질의 소결 슬리브일 수 있다. 8 briefly looks at the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o provide a workpiece (S10). In this case, the workpiece is a sleeve 10 having no thrust groove 18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may be a sintered sleeve made of SUS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그리고, 상기 슬리브(10)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이 노출되도록 가이드 부재(40)로 상기 슬리브(10)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의 일부를 지지 할 수 있다(S20).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40 may support a part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12 of the sleeve 10 to expose the thrust grooved surface 12 of the sleeve 10 (S20).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40)는 상기 슬리브(10)의 내경을 지지하거나 외경을 지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uide member 40 may support the inner diameter or the outer diameter of the sleeve 10.

상기 가이드 부재(40)가 상기 슬리브(10)의 내경을 지지하는 경우, 전극(20)은 상기 가이드 부재(40)의 외주면과 접촉이동한다. 이와 달리, 상기 가이드 부재(40)가 상기 슬리브(10)의 외경을 지지하는 경우, 전극(20)은 상기 가이드 부재(40)의 내주면과 접촉이동한다. When the guide member 40 supports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10, the electrode 20 move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40. On the contrary, when the guide member 40 supports the outer diameter of the sleeve 10, the electrode 2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40.

상기 전극(20)을 이동함에 있어, 상기 슬리브(10)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12)과 상기 전극(20)의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26)가 대향하고, 상기 전극(20)과 상기 슬리브(10)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극(20)을 배치한다(S30). In moving the electrode 20, the thrust groove forming surface 12 of the sleeve 10 and the thrust groove forming portion 26 of the electrode 20 face each other, and the electrode 20 and the sleeve ( The electrode 20 is disposed to form a gap G therebetween (10) (S30).

그리고, 전원 공급부(3)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상기 슬리브(10)와 상기 전극(20)에 접속하여 전원을 제공한다(S40).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of the power supply unit 3 are connected to the sleeve 10 and the electrode 20 to provide power (S40).

전해액이 상기 슬리브(10)와 전극(20) 사이로 전해액을 공급하여 유동시키면서, 상기 슬리브(10)와 전극(20)에 통전하면, 상기 슬리브(10)의 상면이 전극(20)의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26)에 의해 스러스트 그루브(18)가 가공된다(S50).When electrolyte flows through the sleeve 10 and the electrode 20 while the electrolyte is supplied and flows between the sleeve 10 and the electrode 20,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10 forms a thrust groove of the electrode 20. The thrust groove 18 is processed by the part 26 (S50).

본 발명에 따른 전해 가공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전해 가공장치 및 전해 가공방법에 의하면, SUS 재질 등의 강성이 높은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슬리브에도 스러스트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n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thrust grooves can be formed in a sleeve mainly composed of a metal having high rigidity such as SUS material.

또한, 스러스트 그루브를 소결 공정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결 공정에 이용되는 펀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슬리브의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hrust groove does not need to be formed in the sintering process, the life of the punch used in the sintering process can be extended, and the mass productivity of the sleeve can be improved.

또한, 전해 가공으로 소결 슬리브의 상면에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스러스트 그루브를 성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grooves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tered sleeve by electrolytic processing, precise thrust grooves can be 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의 개략 단면도.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ytic machining unit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에 이용되는 전극의 개략 사시도.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used in the electrolytic machining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의 개략도. 4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olytic machining unit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에 이용되는 전극의 개략 사시도.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used in an electrolytic machining unit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을 이용하여 제조된 피가공물의 평면도. Fig. 6 is a plan view of a workpiece manufactured using the electrolytic machining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해 가공 유닛을 이용하여 제조된 피가공물의 평면도. 7 is a plan view of a workpiece manufactured using the electrolytic machining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가공 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8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eps of an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전해 가공 장치 10: 슬리브(피가공물)1: Electrolytic Processing Device 10: Sleeve (Workpiece)

20: 전극 40: 가이드 부재20: electrode 40: guide member

Claims (18)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피가공물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과 접촉이동하며 선단과 말단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몸체부;A body part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a tip and an end of the guide member, the body being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guide member in which a step portion for supporting a portion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is formed so as to expose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과 전해가공 시 전해액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과 대향하는 전극 노출부; 및 An electrode exposed part disposed to have a gap through which the thrust grooved surface and an electrolyte may pass during electrolytic processing, and facing the thrust grooved surface; And 상기 전극 노출부에 형성되며, 전해가공 시 상기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에 스러스트 그루브를 전사하는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를 포함하며,And a thrust groove forming portion formed on the electrode exposed portion and transferring the thrust groove to the thrust groove processing surface of the workpiece during electrolytic processing. 상기 몸체부의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말단에서 상기 선단 방향으로 상기 전해액이 이동하는 전해액 이동로가 형성되는 전해 가공용 전극.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de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ortion in which the electrolyte flow path in which the electrolyte is moved from the end to the tip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부; An electrolyte supply unit supplying an electrolyte solution; 상기 전해액 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피가공물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이동하며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과 상기 전해액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가 형성되는 전극노출부를 구비하는 전극으로 상기 피가공물에 스러스트 그루브를 형성하는 전해 가공 유닛;A guide member including a step portion for supporting a portion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to expose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by using the electrolyte solution provided by the electrolyte supply unit, and in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An electrolytic machining unit having an thrust groove processing surface and an electrode exposure portion having a thrust groove forming portion disposed with a gap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can pass; forming an thrust groove on the workpiece; 상기 전해 가공 유닛에서 전해 가공된 전해액을 다시 회수하는 회수부; 및A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electrolyte solution electrolytically processed in the electrolytic processing unit; And 상기 회수부에서 저장된 전해액을 여과하고 재차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되돌리는 필터부;를 포함하며,And a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electrolyte solution stored in the recovery unit and returning it to a state where it can be used again. 상기 간극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는 전해 가공된 상기 전해액을 상기 회수부로 이동시키도록 외부와 연통하는 전해액 이동로가 형성되는 전해 가공 장치. And an electrolytic solution movement path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o move the electrolytically processed electrolyte solution to the recovery part in the guide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ap.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전극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에 접촉이동하며,The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선단과 말단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말단에서 상기 선단 방향으로 상기 전해액이 이동하는 전해액 이동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가공 장치. An electrolytic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a front end and an end, and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end from the end through the through hole.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전극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 접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가공 장치. And the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피가공물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의 일부는 상기 피가공물의 외주면에서 내측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가공 장치. A part of said thrust groove processing surface of the said to-be-processed object is an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inside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workpiece.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피가공물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의 일부는 상기 피가공물의 내주면에서 외측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가공 장치. A part of said thrust groove processing surface of the said to-be-processed object is an electrolytic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outer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be-processed obje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피가공물은 Cu, Fe, SUS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가공 장치. The workpiece is an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eeve is made of Cu, Fe, SUS or a combination thereof.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피가공물은 SUS 파우더 소결체 또는 Fe의 질량백분율이 55% 이상인 Cu-Fe 합금 소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가공 장치. The workpiece is an electrolytic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S powder sintered body or the Cu-Fe alloy sintered body having a mass percentage of Fe of 55% or more.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SUS 파우더 소결체는 Fe의 질량백분율이 50%를 넘지않는 Cu-Fe 합금 소결체의 표면 기공율에 비해 5%에서 15%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가공 장치. The SUS powder sintered body is an electrolytic mach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5% to 15% larger than the porosity of the surface of the Cu-Fe alloy sintered body in which the mass percentage of Fe does not exceed 50%. 피가공물을 제공하는 단계; Providing a workpiece; 상기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이 노출되도록 가이드 부재에 형성되는 단차부로 상기 피가공물의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단계; Supporting a portion of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with a stepped portion formed in a guide member to expose the thrust grooved surface of the workpiece; 상기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과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이동하는 전극의 스러스트 그루브 형성부가 대향하고, 상기 전극과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Arranging the electrode such that a thrust groove forming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a thrust groove forming portion of the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face each other,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workpiece; 상기 피가공물과 상기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Supplying power to the workpiece and the electrode; And 상기 피가공물과 상기 전극 사이 및 상기 간극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전해액 이동로로 전해액을 공급하여 유동시키면서, 상기 피가공물과 상기 전극에 통전시켜 상기 피가공물의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에 스러스트 그루브를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해 가공 방법. Thrust groove processing of the workpiece by energizing the workpiece and the electrode while supplying and flowing an electrolyte solution through an electrolyte movement path formed between the workpiece and the electrode and inside the guide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ap. Electrolytic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thrust groove to the cotton.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전극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과 접촉이동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가공 방법. And the electrode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전극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과 접촉이동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가공 방법.And the electrode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상기 스러스트 그루브 가공면과의 사이에서 전해가공 시 전해액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전해 가공용 전극.The body portion is disposed relative to the guide member and the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is disposed with a gap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can pass during electrolytic processing between the thrust groove processing surface.
KR1020090116616A 2009-11-30 2009-11-30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device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KR1011619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616A KR101161934B1 (en) 2009-11-30 2009-11-30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device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616A KR101161934B1 (en) 2009-11-30 2009-11-30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device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120A KR20110060120A (en) 2011-06-08
KR101161934B1 true KR101161934B1 (en) 2012-07-03

Family

ID=4439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616A KR101161934B1 (en) 2009-11-30 2009-11-30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device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93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6020A (en) 1996-09-10 1998-04-0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of dynamic pressure groove in dynamic pressure bearing and device therefor
JP2006110712A (en) * 2004-09-17 2006-04-27 Minebea Co Ltd Electrochemical machining tool, electrochemical machining method using it and its application
KR100782934B1 (en) * 2006-10-19 2007-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Ele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6020A (en) 1996-09-10 1998-04-0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Electrolytic machining method of dynamic pressure groove in dynamic pressure bearing and device therefor
JP2006110712A (en) * 2004-09-17 2006-04-27 Minebea Co Ltd Electrochemical machining tool, electrochemical machining method using it and its application
KR100782934B1 (en) * 2006-10-19 2007-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Eletrolytic machin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120A (en)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56938A1 (en) Method for Electro-Chemical Processing of a Work Piece and Electrode for Such a Method
CN103433579B (en) A kind of electrochemical machining method of sleeve part inner surface microprotrusion
KR20210027180A (en) Soldering nozzle,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method for the selective soldering of an assembly
JP4770903B2 (en) Contact structure of vacuum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1835923A (en) Electrolytic cathode assembly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JP5500084B2 (en) Battery an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KR101161934B1 (en)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device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Yanagida et al.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of PCD in ultrapure water
US20170368626A1 (en) Electrochemical Removal Of Material From A Workpiece
CN108127273B (en) Cover plate, welding system and welding method
TW201226088A (en) Electrolytic processing method and semi-finished product of electrolytic processing workpiece
KR101240833B1 (en)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device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KR101309349B1 (en)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JP696226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uel cells and separators for fuel cells
US3336213A (en) Cath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KR101219002B1 (en) Electrode assembly for electrolytic machin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3828954B (en) Metal-ceramic sealing method and metal-ceramic composite structure
JP2013158843A (en) Electrode for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JP2008119807A (en) Electrochemical machining device, electrochemical machin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nent with uneven surface
JP6298247B2 (en) Resistance welding electrode
CN10466867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tool and tool manufactured by the method
JP5897397B2 (en)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JP2010168610A (en) Method for producing sintering stock with fine through-hole, and sintering stock with fine through-hole
CN103857492A (en) Cooling ring for welding bellows generating less metal powder
KR101101607B1 (en) Electrode for electrolytic machining, electrolytic machining device and spindle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