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836B1 - Non-contact power transferring device, non-contact power charge device, non-contact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ring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Non-contact power transferring device, non-contact power charge device, non-contact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ring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836B1
KR101161836B1 KR1020090122678A KR20090122678A KR101161836B1 KR 101161836 B1 KR101161836 B1 KR 101161836B1 KR 1020090122678 A KR1020090122678 A KR 1020090122678A KR 20090122678 A KR20090122678 A KR 20090122678A KR 101161836 B1 KR101161836 B1 KR 101161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less
power
primary coil
coi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65969A (en
Inventor
김우태
정관옥
Original Assignee
정관옥
김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옥, 김우태 filed Critical 정관옥
Priority to KR102009012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836B1/en
Publication of KR2011006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9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8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수신측 부하 전력 상태에 따라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전송 및 무접점 충전을 수행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방법을 제공한다. 무접점 전력전송장치는 유도 결합을 위한 2차 코일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수신측 무접점 충전장치에 무접점으로 결합되는 송신측 무접점 전력전송장치로서, 2차 코일에 충전 전력을 유도하는 1차 코일과, 1차 코일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1차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PWM 제어부, 및 수신측 부하 전력의 상태에 따라 PWM 제어부를 제어하여 수신측으로 전송되는 전력량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122678

전자기 유도, 무접점, 충전, 전력전송

Provided are a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 contactless charging system,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perform power transmission and contactless charging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ccording to a load load state of a receiver.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is a transmitter-sid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coupled in a contactless manner to a receiver contactless charger including a secondary coil and a rechargeable battery for inductive coupling, and induces charging power to the secondary coil. Control of the primary coil, the drive unit for driving the primary coil, the PWM controller to adjust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and the PWM controller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load on the receiving side to control the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It comprises a central control unit to be made.

Figure R1020090122678

Electromagnetic Induction, Solid State, Charging, Power Transmission

Description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방법{Non-contact power transferring device, non-contact power charge device, non-contact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ring using the same}Non-contact power transferring device, non-contact power charge device, non-contact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r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측 부하 전력 상태에 따라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전송 및 무접점 충전을 수행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 contactless charging system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wer transmission and contactless charging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ccording to the load power state of the recei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 contactless charging system,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PDA, PMP, MP3 등과 같은 휴대용 장치는 이동하면서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 가정 전원을 직접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고 일회용 배터리를 장착하거나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휴대용 장치의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는 단자공급방식으로 배터리팩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In general, portable devices such as PDAs, PMPs, and MP3s are used while moving, and thus, power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to a general home power source, and a disposable battery or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is used. The charger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supplies power to the battery pack by a terminal supply method.

그러나 충전기와 배터리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경우, 양측의 단자들이 서로 다른 전위차를 가지고 있어서 단자부분에서 순간방전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측 단자에 이물질이 쌓일 수 있고, 이로 인한 화재 발생 및 습기 또는 먼지로 인한 자연 방전, 충전기 및 배터리의 수명 단축 및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단자공급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접점 충전기가 제공되고 있다.However, when the charger and the battery ar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terminals on both sides have different potentials, and thus a momentary discharge phenomenon may occur at the terminal portion. As a result, foreign materials may accumulate on both terminals as time passes, resulting in fires, natural discharges caused by moisture or dust, and shortening the lifespan and degrading performance of chargers and batteries. Conventionally, a contactless charger is provid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terminal supply method.

도 1은 종래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in a conventional contactless charging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무접점 충전기를 통한 충전 방식은 송신측 무접점 충전기의 1차 코일(1) 상부에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가 내재된 단말기를 위치시키면 수신측 배터리의 2차 코일(2)에 의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charging method using a contactless charger, when a terminal having a battery to be charged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imary coil 1 of the contactless contact charger, the secondary coil of the receiver battery ( The charging is performed by 2).

이때,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측의 전자계 발생을 위해서 풀 브리지(Full bridge) 또는 하프 브리지(Half bridge) 구성을 사용하는 LC직렬공진방식을 사용하여 전자계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방식은, 통신과 제어 등을 고려하여 공진점을 벗어나 공진의 우반면 일정 지점을 기준으로 제어를 수행하므로, 전력전송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LC공진을 위해서 고가의 제약된 특성의 콘덴서가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method of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using the LC series resonant method using a full bridge or half bridge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of the transmitting side transmitting power, communication and control, etc. In consideration of this, since the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right side of the resonance out of the resonance point,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may be reduc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xpensive constrained capacitor must be used for LC resonance.

그리고, LC공진을 이용한 무선전력전송의 경우, 전력을 전송하는 송신측과 충전을 수행하는 수신측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자계방식의 상호 통신 또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등을 이용한 통신을 통해 수신측의 상태가 송수신된다. And, in the cas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LC resonance, in order to grasp the state of the transmitting side transmitting power and the receiving side performing charging, it is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using an electromagnetic system or a photo coupler. The state of the side is transmitted and received.

여기서 전자계의 강도에 따라 통신 신호를 구분할 수 없는 영역에서는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송수신측 간에 특정화된 통신이 사용되어 배타적인 결합 관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특정하게 설계된 전용 ASIC(Application Specific IC)가 사용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Here, power transmission may not be performed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signals cannot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hat a specific ASIC (Application Specific IC) specifically designed is used because the communication specified by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 is used to constitute an exclusive coupling relationship.

본 발명은 수신측 부하 전력의 상태를 감지하여 수신측 상태에 따라 효율적인 전력 전송 및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 contactless charging system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to sense the state of the load power of the receiving side to enable efficient power transmission and charging according to the receiving state. Its purpose is to.

또한, 본 발명은 센터탭을 갖는 평면공심코일을 1차 코일 및 2차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하고 1차 코일의 평면공심코일에 소정 개수의 센싱코일을 구비함으로써 수신측의 부하 전력의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무선전력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planar core core coil having the center tap in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and includes a predetermined number of sensing coils in the planar core core coil of the primary coil so that the state of the load power on the receiving side can be improv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 contactless charging system,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so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more effectively detected.

또한, 본 발명은 수신측 무접점 충전장치의 충전 상태에 따라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제어 또는 이를 혼합한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무접점 충전장치로 전송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control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in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a 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control or a mixture thereof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eiving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ct power transmitter,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 contactless charging system,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충전이 완료 되어가는 시점이 되어 부하 전력이 감소하여 설정된 기준치 이하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신측 배터리에 소전력의 미세 제어를 통한 만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time is completed and the load power decreases to be lower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PFM (Pulse Frequency Modulation)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full charge is performed by fine control of small power to the receiving batter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 contactless charging system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력전송장치는 유도 결합을 위한 2차 코일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수신측 무접점 충전장치에 무접점으로 결합되는 송신측 무접점 전력전송장치로서, 2차 코일에 충전 전력을 유도하는 1차 코일과, 1차 코일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1차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PWM 제어부, 및 수신측 부하 전력의 상태에 따라 PWM 제어부를 제어하여 수신측으로 전송되는 전력량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ctless contactless coupled to a receiving sid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a secondary coil and a rechargeable battery for inductive coupling. A power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a primary coil for inducing charging power to a secondary coil,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primary coil, a PWM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and a state of the load load on the receiving side And a central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PWM controller to control the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o the receiv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장치는 송신측 무접점 전력전송장치로부터 무접점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충전하는 수신측 무접점 충전장치로서, 충전 전력을 유도하는 송신측 1차 코일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유도 기전력을 생성하고 송신측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부하 전력의 상태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송신측으로 전달하는 2차 코일과, 2차 코일에서 생성된 유도 기전력을 전력으로 생성하는 전파정류회로, 및 전파정류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eiving-sid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that receives the contactless charging power from the transmission-side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o charge the battery, the transmission-side primary to induce charging power A secondary coil magnetically coupled to the coil to generate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and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indicating a state of the load power to the transmitting side in response to the pulse signal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generating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from the secondary coil as electric power And a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the battery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full-wave rectifying circu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 시스템은 수신측 무접점 충전장 치의 충전 상태에 따라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제어 또는 이를 혼합한 방식으로 무접점 충전장치로 전송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측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및 무접점 전력전송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측의 충전 상태를 응답신호로 무접점 전력전송장치에 전송하고, 무접점 전력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무접점 충전장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act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in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a 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control or a mixture thereof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eiving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 contactless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for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and in response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transmits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eiver to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as a response signal, and transmits contactless power. And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the battery with the power received from the device.

본 발명의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 contactless charging system,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본 발명은 수신측 부하 전력의 상태를 감지하여 수신측 상태에 따라 효율적인 전력 전송 및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detecting the state of the load power of the receiving side to enable efficient power transmission and charging according to the receiving state.

둘째, 본 발명은 센터탭을 갖는 평면공심코일을 1차 코일 및 2차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하고 1차 코일의 평면공심코일에 소정 개수의 센싱코일을 구비함으로써 수신측의 부하 전력의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무선전력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planar air core having a center tap on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and includes a predetermined number of sensing coils in the plane air core coil of the primary coil to adjust the state of the load power at the receiving side.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more efficient sensing and wireless power transfer.

셋째, 본 발명은 수신측 무접점 충전장치의 충전 상태에 따라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제어 또는 이를 혼합한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무접점 충전장치로 전송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장점도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in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control or a mixture thereof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eiving contactless charging device There is also.

넷째, 본 발명은 충전이 완료 되어가는 시점이 되어 부하 전력이 감소하여 설정된 기준치 이하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제어 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신측 배터리에 소전력의 미세 제어를 통한 만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Fourth,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ad power is reduced to be less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PFM (Pulse Frequency Modulation) control to be performed so that full charging is performed through fine control of small power to the receiving battery. There is also the advantage of making it happe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및 무접점 충전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송신측 무접점 전력전송장치(100)는 수신측 무접점 충전장치(200)로 최적의 전력전송 및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무접점 전력전송장치(100)로부터 발생되는 유도 자기장으로 인하여 유도 전력이 발생하고 이를 무접점 충전장치(200)가 충전하여 휴대용 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하, 무접점 전력전송장치(100) 및 무접점 충전장치(200)의 동작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transmitter-sid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optimal power transmission and charging to the receiver-side contactless charger 200. At this time, induction power is generated due to the induction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100 so that th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200 is charged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Hereinafter, operations and components of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100 and th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무접점 전력전송장치(100)는 중앙제어부(110),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부(120), 구동부(130), 전류 검출부(140), Tx 검출부(150), 비교제어부(160), 표시부(170), 및 온도센서(180)를 포함한다.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include a central controller 110,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ler 120, a driver 130, a current detector 140, a Tx detector 150, a comparison controller 160, and a display unit. 170, and a temperature sensor 180.

중앙제어부(110)는 전력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무접점 전력전송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중앙제어부(110)는 무접점 충전장치(200)의 수신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고, 수신측으로부터 해당 펄스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이를 통해 수신측 부하 전력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110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so that power transmission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normally performed. For example, the central controller 110 generates a pulse signal for checking the reception state of th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200, receives and processes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ulse signal from the receiving side, and thereby You can recognize the state.

이때, 응답 신호는 물질의 고유 공진 특성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부(110)는 비교제어부(160)로부터 응답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무접점 충전장치(200)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거나 전력을 수신하기에 정상적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110)는 판단 결과에 따라 PWM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1차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sponse signal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trinsic resonance characteristic of the material.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110 receiv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comparison control unit 16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foreign matter is included in th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200 or is normal to receive power. Can be.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PWM controller 12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adjust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제어부(110)는 무접점 충전장치(200)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거나 전력을 수신하기에 비정상적인 상태로 판단된 경우 PWM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전력전송을 차단하고 수신측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부(110)는 무접점 충전장치(200)가 전력을 수신하기에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 수신측에서 소요로 하는 전력이 공급되도록 PWM 제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entral controller 110 controls the PWM controller 120 to block power transmiss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200 contains foreign matter or is abnormal to receive power. You can change the mode to monitor status.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PWM controller 120 to supply power required by the receiving side when th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200 is in a normal state to receive power.

PWM 제어부(120)는 1차 코일(10)에 공급되는 전력의 강도를 조절한다. 즉, PWM 제어부(120)는 중앙제어부(1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수신측에서 소요로 하는 전력이 공급되도록 1차 코일(10)에 공급되는 전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PWM 제어부(12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방식,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제어 방식, 또는 이를 혼합한 방식에 따라 1차 코일(10)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PWM 제어 방식은 펄스의 폭을 이용해 전압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며, PFM 제어 방식은 주파수를 이용해 전압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The PWM controller 120 adjusts the strength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10. That is, the PWM controller 120 may adjust the strength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10 so that the power required by the receiving side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entral controller 110. In this case, the PWM controller 120 may adjust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10 according to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method, a 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control method, or a mixture thereof. The PWM control method represents a method of controlling voltage using a pulse width, and the PFM control method represents a method of controlling voltage using a frequency.

구동부(130)는 1차 코일(10)을 구동시킨다. 이때, 구동부(130)는 1차 코일(10)에 전자계를 발생시키는 프리드라이버(pre-driver)(130a) 및 푸쉬풀(push pull) 드라이버(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0)는 PWM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1차 코일(10)을 구동시키게 된다.The driver 130 drives the primary coil 10. In this case, the drive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driver 130a and a push pull driver (not shown)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in the primary coil 10. In addition, the driver 130 drives the primary coil 10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PWM controller 120.

전류 검출부(140)는 1차 코일(10)에 유입되는 전류 상태를 감지한다. 전류 검출부(140)는 1차 코일(10)에 유입되는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수신측의 전류 공급이 완료되어 만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중앙제어부(110)로 신호를 전송하여 수신측으로의 전력전송이 중단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검출부(140)는 선터탭에 공급되는 전원 라인에 설치된 제어 소자(Q3)(143), 및 제어 소자의 드레인과 소스간에 연결된 센서저항(Rs)(14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urrent detector 140 detects a current state flowing into the primary coil 10. The current detector 140 detects the current flow flowing into the primary coil 10, and when the current supply to the receiver is completed and is determined to be in a full charge state, the current detector 140 transmits a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ler 110 to transmit power to the receiver. You can request that it be stopped. The current detector 140 may include a control element (Q3) 143 installed on a power line supplied to the sun tap, and a sensor resistor (Rs) 145 connected between the drain and the source of the control element.

이때, 전류 검출부(140)는 제어 소자(143)의 동작에 따라 1차 코일(10)에 유입되는 전류 흐름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 소자(143)로서 FET 전압 제어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류 검출부(140)는 평상시 제어 소자(143)를 온상태로 유지시키다가 중앙제어부(110)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소자(143)를 오픈시켜 1차 코일(10)의 전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검출부(140)는 PFM 제어가 이루어질 때 동작되어 미세 전류의 흐름 감지에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urrent detector 140 detects a current flow flowing into the primary coil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element 143. Here, the FET voltage control element may be used as the control element 143. When the current detector 140 normally maintains the control element 143 on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signal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110, the control element ( 143 may be opened to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primary coil 10. The current detector 140 may be operated when PFM control is performed and used to detect the flow of the fine current.

Tx 검출부(150)는 수신측 전력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예컨대, Tx 검출부(150)는 수신측으로부터 부하 전력의 상태, 및 이물질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체크하기 위한 상술된 펄스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Tx 검출부(150)는 Tx 검출 회로(150a)를 포함하고, Tx 검출 회로(150a)를 통해 센터탭을 포함하는 평면공심코일로 구성된 1차 코일(10)의 양단 또는 일단의 출력값을 복수개의 다이오드를 통해 전파정류하고, 전파정류된 출력값을 적분수단을 통해 적분하여 해당 적분치에 대한 신호를 비교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x detector 150 receives a signal for a power state of a receiver. For example, the Tx detector 150 may receive a response signal to the above-described pulse signal for checking at least one of the state of the load powe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ign matters from the receiving side. In addition, the Tx detection unit 150 includes a Tx detection circuit 150a and outputs a plurality of output values of both ends or one end of the primary coil 10 formed of a planar air core coil including a center tap through the Tx detection circuit 150a. Full-wave rectification through the two diodes, and integrated the output value of the full-wave rectified through the integration means can transmit a signal for the integrated value to the comparison control unit 160.

또한, Tx 검출부(150)는 1차 코일(10)에 구성된 센싱코일을 통하여 1차 코일(10)의 양단 또는 어느 한쪽 단의 출력값을 복수개의 다이오드를 통해 전파정류하고, 전파정류된 출력값을 적분수단을 통해 적분하여 해당 적분치에 대한 신호를 비교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코일(10)은 센터탭을 갖는 평면공심코일로 구성될 수 있고, 1차 코일(10)의 평면공심코일은 리쯔형태의 권선 중 복수개의 권선이 센싱코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x detector 150 full-wave rectifies the output value of both ends or one end of the primary coil 10 through a plurality of diodes through the sensing coil configured in the primary coil 10, and integrates the output value that has been full-wave rectified. By integrating through the means, a signal for the integrated valu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Here, the primary coil 10 may be composed of a planar core core coil having a center tap, and the planar core core coil of the primary coil 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ndings of sensing coils of a Litz-type winding.

또한, Tx 검출부(150)는 1차 코일(10)에서 과전류 및 과전압이 검출되면 중앙제어부(110)로 신호를 전송하여 1차 코일(10)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거나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제어부(110)는 해당 신호를 통해 PWM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1차 코일(10)의 전력량을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overcurrent and the overvoltage are detected in the primary coil 10, the Tx detector 150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ler 110 to block or regulate the current flow of the primary coil 10. Here, the central controller 110 controls the PWM controller 120 through the corresponding signal to adjust the amount of power of the primary coil 10.

비교제어부(160)는 Tx 검출부(150)로부터 수신된 적분치에 대한 신호를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치를 통해 수신측 부하의 전력 상태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비교제어부(160)는 PWM 제어 또는 PFM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중앙제어부(110)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중앙제어부(110)는 비교제어부(16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PWM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PWM 제어 또는 PFM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compares the signal for the integral value received from the Tx detector 150 with the set reference value,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load of the receiving side through the compared result. In addition,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ler 110 to perform PWM control or PFM control.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ler 110 controls the PWM controller 12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to perform PWM control or PFM control.

표시부(170)는 수신측 또는 송신측의 동작 상태,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70)는 과전압, 과전류 등의 상태가 발생하면 이에 대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센서(180)는 1차 코일(10)의 온도를 검출하고,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한 온도가 검출된 경우 중앙제어부(110)를 통해 전력전송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an operating state, a charging state, and the like of the receiving side or the transmitting sid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a signal when a state such as overvoltage or overcurrent occurs.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or 180 may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primary coil 10, and when the temperature exceeding the set reference value is detected, power transmission may be interrupted through the central controller 110.

한편, 무접점 충전장치(200)는 전파정류회로(210), 및 부하(250)를 포함하며, 부하(250)는 용도에 따라 배터리(240)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230)와 배터리 충전외에 기타 모바일 기기의 전원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정전압회로(220)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은 최종 부하인 배터리(240) 또는 일반 부하(251)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전압회로(220)는 레귤레이터(Regulator)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200 includes a full-wave rectifying circuit 210, and a load 250, the load 250 is in addition to the charging circuit 230 and the battery charging to charge the battery 240 according to the purpose It may be divided into a constant voltage circuit 220 that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of other mobile devices, each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battery 240 or the general load 251 which is the final load.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220 may be configured as a regulator.

수신측에 있어서 센터탭을 가진 2차 코일(20)을 통해 무선전력수신 또는 무접점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receiving side, wireless power reception or contactless charging is possible through the secondary coil 20 having the center tap.

무접점 전력전송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유도자기장을 수신받은 2차 코일(20)에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며, 전파정류회로(210)는 2차 코일(20)에서 얻어진 전력을 직류로 변환시킨다. 즉, 전파정류회로(210)는 2차 코일(20)에서 생성된 유도 기전력으로 배터리(240)를 충전시킬 정전압과 정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회로(230)는 전파정류회로(2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배터리(240)에 충전되도록 한다. Induction current is generated in the secondary coil 20 that receives the induction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100, and the full-wave rectifier circuit 210 converts the power obtained in the secondary coil 20 into direct current. . That is, the full-wave rectifier circuit 210 may generate a constant voltage and a constant current to charge the battery 240 with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the secondary coil 20. In addition, the charging circuit 230 allow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full-wave rectifying circuit 210 to be charged in the battery 240.

또한, 정전압회로(220)는 전파정류회로(2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터리(240) 충전외에 기타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정전압으로 출력한다. 이때, 정전압회로(220)는 불안정한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일정하게 안정된 직류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220 outpu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full-wave rectifying circuit 210 at a constant voltage for use other than charging the battery 240. At this time,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220 may receive an unstable DC voltage and output a constant stable DC voltage.

한편, 상술된 1차 코일(10) 및 2차 코일(20) 중 적어도 하나는 센터탭을 포함하는 평면공심코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에서는 이러한 평면공심코일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primary coil 10 and secondary coil 20 may be implemented as a planar core coil including a center tap. 3 to 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such a planar core co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탭을 포함하는 평면공심코일의 구조를 도시한다. 3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planar core core coil including a center ta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에는 센터탭이 없이 단선 또는 리쯔 형태의 전선을 이용하여 단권으로 감아나가는 방법으로 공심코일이 구성된다. 이에 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센터탭(CT)을 갖는 평면공심코일은 리쯔(litz) 형태, 직조(mesh)형태, 또는 단선 형태의 전선을 구비한다. Conventionally, the air core coil is constructed by winding a single winding using a single wire or a Litz-shaped wire without a center tap. In contrast, 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core core coil having the center tap CT includes an electric wire having a litz, a mesh, or a single wire.

그리고 평면공심코일은 전선(A(30), B(40))을 동일 평면상에서 나선형으로 감아서 제1 전선(A(30))의 인출선(A2(32))과 제2 전선(B(40))의 인입선(B2(42))을 회로적으로 결합하여 센터탭으로 형성하고, 제1 전선(A(30))의 인입선(A1(31))과 제2 전선(B(40))의 인출선(B1(41))을 공심코일의 입출력선으로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nar hollow core coil spirally wound the wires A (30) and B (40) on the same plane so that the lead wires A2 (32) and the second wire (B () of the first wire A (30) are spirally wound. 40) and the lead wire (B2 (42)) of the circuit is coupled to form a center tap, the lead wire (A1 (31)) and the second wire (B (40)) of the first wire (A 30) The lead wire B1 (41) may be formed as an input / output line of an air core coil.

그리고, 평면공심코일은 리쯔 형태의 동선을 2중 또는 다중의 회선을 같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된 다중의 센터탭을 갖는 나선형 평면공심코일일 수 있다. 여기서, 1차 코일의 평면공심코일은 리쯔형태의 다수(m)개의 권선 중 일부 n개의 권선을 센싱코일로 구비할 수 있고, 해당 센싱코일은 별도의 색상 처리로 구별될 수 있다. The planar core core coil may be a spiral planar core coil having a plurality of center taps formed by spirally winding a double or multiple line in the same direction as a litz-type copper wire. Here, the planar hollow core coil of the primary coil may include some n windings among the plurality (m) windings of the Litz type as a sensing coil, and the sensing coils may be distinguished by separate color processing.

도 4는 도 3의 센터탭을 갖는 평면공심코일의 등가회로를 도시한다. 도 5는 센터탭을 갖는 평면공심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계의 방향을 도시한다.FIG. 4 shows an equivalent circuit of a flat air core coil having a center tap of FIG. 3. Fig. 5 shows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lanar air core coil with the center tap.

이어서 설명하자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센터탭(70)을 갖는 평면공심코일의 등가회로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WM 제어부(12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는 구동부(130)의 프리드라이버(130a)를 통해 최종 드라이버인 Q1(133)과 Q2(135)의 입력부인 게이트 G1(131)과 G2(132)에 입력된다.4,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flat air core coil with the center tap 70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WM controller 120 is controlled by the gate driver G1 131 which is an input part of the final driver Q1 133 and Q2 135 through the predriver 130a of the driver 130. ) And G2 (132).

그리고, 제어신호에 의해 1차 코일(10)은 센터탭(70)을 중심으로 하여 푸쉬풀 형태로 동작하게 된다. 즉, Q1(133)의 입력단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1차 코일(10)의 Tx1 방향으로 전류 I1이 흐르고, Q2(135)의 입력단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1차 코일(10)의 Tx2 방향으로 전류 I2가 흐르게 된다. And, by the control signal, the primary coil 10 operates in the form of a push pull centering on the center tap 70. That is,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Q1 133, the current I1 flows in the Tx1 direction of the primary coil 10, and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Q2 135, the Tx2 direction of the primary coil 10 is input. Current I2 flows.

이와 같이 푸쉬풀로 작동하는 전류는 도 3 형태의 평면공심코일에서 서로 같은 방향의 전류가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방향의 상하부로 자계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계 상에 2차 코일(20)이 존재하게 되면 적절한 유도 결합에 의해 소전의 수신전력이 발생된다. 이하, 도 6에서 제1 전선(A(30)) 또는 제2 전선(B(40))이 리쯔 코일이고, 이중 일부가 센싱(또는 센서) 코일인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s such, the currents acting as push-pulls become currents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planar air core coil of FIG. 3.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up and down in the same direction. And, when the secondary coil 20 is present on such a magnetic field, the receiving power of the dissipation is generated by appropriate inductive coupling. Hereinafter, in FIG. 6,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wire A 30 or the second wire B 40 is a Litz coil and a part of which is a sensing (or sensor) coi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공심코일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다.6 illustrates an equivalent circuit of a planar core core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코일의 평면공심코일은 복수개의 센싱코일이 권선된 센터탭을 가진 평면공심코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평면공심코일을 구성하는 리쯔권선은 m개의 주 권선과 n개의 센싱코일로 구성되어 여러 가닥의 코일들이 나선형으로 감아진 형태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a), the planar air core coil of the primary coil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ne air core coil having a center tap wound around a plurality of sensing coils. At this time, the Ritz winding constituting the planar air core coil is composed of m main windings and n sensing coils may have a form in which coils of several strands are wound in a spiral shape.

이때, n개의 센싱코일에 대해서는 다른 코일과 구별될 수 있도록 별도의 색상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n<<m의 관계를 갖도록 하여 센싱코일(60)에 비해 리쯔 코일(주 권선)의 개수가 많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 sensing coils may be subjected to a separate color process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coils. In addition, the number of Litz coils (main windings)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nsing coils 60 so as to have a relationship of n << m.

도 6의 (b)는 이러한 평면공심코일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다. 센싱코일을 구비한 평면공심코일이 1차 코일(10)에 적용된 경우, 상술된 Tx 검출부(150)는 센싱코일(60)의 출력값에 대해서 다이오드 D1 및 D2를 통하여 전파정류하고, 전파정류된 값의 적분치에 의해 수신측측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적분치에 대한 신호는 비교제어부(160)로 전송된다.Fig. 6B shows an equivalent circuit of this planar core coil. When the planar air core coil having the sensing coil is applied to the primary coil 10, the above-described Tx detector 150 performs full-wave rectification through diodes D1 and D2 with respect to the output value of the sensing coil 60, and is full-wave rectified. By the integrated value of, data on the state of the receiving side can be detected. In addition, the signal for the integrat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1차 코일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박형의 센싱코일을 구비한 구조의 평면공심코일의 예를 도시한다.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lanar core core coil having a thin sensing coil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a primary coi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코일(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박형의 센싱코일(50a, 50b)이 구성된 경우, Tx 검출부(150)는 해당 센싱코일(50a, 50b)에서 유기되는 전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비교제어부(160)로 수신측의 충전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thin sensing coils 50a and 50b are configured on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of the primary coil 10, the Tx detector 150 may generate power induced by the sensing coils 50a and 50b. Detects a change in the signal and transmits a signal regard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eiving side to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또한, Tx 검출부(150)는 센터탭을 포함하는 평면공심코일에서 1차 코일(10)의 한쪽 단의 출력(Tx1 또는 Tx2)에 대해서 다이오드 D1 또는 D2를 통하여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값에 대한 적분치를 구하여 비교제어부(160)로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Tx detection unit 150 detects a voltage through the diode D1 or D2 of the output Tx1 or Tx2 of one end of the primary coil 10 in the planar air core coil including the center tap, and detects a voltage for the detected value. The integral value is obtained and the signal is output to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accordingly.

그리고, 비교제어부(160)는 해당 신호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부하(250)의 전력 상태에 따른 제어신호를 중앙제어부(1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중앙제어부(110)는 PWM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1차 코일(1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수신측에 일정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비교제어부(160)는 Tx 검출부(150)로부터 수신된 전압값을 기준치와 비교 및 증폭하고 그 결과치를 시정수 값으로 적분하고 적분된 값을 상술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compares the signal with a reference value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load 250 to the central controller 110. T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PWM control unit 120 to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10 to supply a predetermined power to the receiving side. Here,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compares and amplifies the voltage value received from the Tx detector 150 with a reference value, integrates the result into a time constant value, and converts the integrated value into the above-described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central control unit 110. Can be sent to.

이하, 도 8에 있어서, 상술된 내용을 기초로 도 2에서 설명된 각 구성요소들을 보다 유기적으로 설명하고, 수신측의 상태에 따라 전력전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FIG. 8, the components described in FIG. 2 will be described more organically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process of performing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eceiv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의 상태를 감지하여 전력전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다.8 and 9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power transmission by detecting a state of a receiving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측 무접점 전력전송장치(100)에 직류전원(Vcc)이 인가되면 중앙제어부(110)는 PWM 제어부(120) 및 구동부(130)에 수신측의 부하(250) 전력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펄스 신호를 발생시킨다(S801). 구체적으로, 해당 펄스 신호를 통해 수신측의 충전상태, 금속 이물질 유무 상태 등을 포함 하는 부하(250) 전력 상태에 대한 체크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a DC power supply (Vcc) is applied to the transmitter-sid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100, the central controller 110 receives the load 250 of the receiver on the PWM controller 120 and the driver 130. In step S801, a pulse signal for checking the power state is generated. In detail, a check may be made on the power state of the load 250 includ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eiving side, the presence of metal foreign matter, and the like through the corresponding pulse signal.

다음으로, 펄스 신호는 1차 코일(10)에서 2차 코일(20)로 전달되고, 해당 펄스 신호에 대해서 수신측의 부하(250) 전력 상태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가 2차 코일(20)을 통해 1차 코일(10)로 유기된다(S811). 여기서, 해당 펄스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는 물질의 고유 공진 특성에 따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하(250)의 전력 상태에 대한 정보에는 수신측의 전류흐름상태, 충전상태, 이물질 유무 상태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Next, the puls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rimary coil 10 to the secondary coil 20, and a response signal indicating the power state of the load 250 on the receiving side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puls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ary coil 20. Induced to the primary coil 10 (S811). Here, the response signal to the pulse signal may include data according to the intrinsic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state of the load 25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flow state, the charging st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ign substances on the receiving side.

다음으로, 송신측 Tx 검출부(150)는 1차 코일(10)이 수신한 응답 신호를 검출하여 비교제어부(160)로 전송한다(S821). 그러면, 비교제어부(160)는 검출된 신호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부하의 전력 상태에 따라 기준치에 적합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제어부(110)로 전송한다(S831). 여기서, S805 및 S807에 있어서, 응답 신호는 Tx 검출부(150)에 포함된 적분수단을 통해 적분되고 해당 적분치에 대한 신호가 비교제어부(16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는 비교제어부(160)에 포함된 적분수단을 통해 해당 응답 신호에 대한 적분이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비교가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Next, the transmitting side Tx detector 150 detects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by the primary coil 10 and transmits the response signal to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S821). Then,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compares the detected signal with a reference value, converts the detected signal into a control signal suitable for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load, and transmits it to the central controller 110 (S831). Here, in S805 and S807, the response signal may be integrated through the integration means included in the Tx detector 150, and a signal for the integrated valu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In addition, in other embodiments, the integration of the corresponding response signal may be performed through an integration means included in the comparison control unit 160, and the comparison may be performed.

다음으로, 중앙제어부(110)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통해 수신측의 충전상태, 금속 등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체크하고 이를 통해 수신측의 상태가 전력전송을 받기에 정상적인 수신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841). 만약, 초기 판단 결과, 수신측의 (수신) 상태가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 중앙제어부(110)는 송신측의 각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키고, PWM 제어에 의해 부하(250)의 전력 상태에 따른 전력 전송 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851). Next, the central control unit 110 checks whether there is a foreign state such as a charging state, a metal, etc. on the receiving side through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ing state is a normal receiving state to receive power transmission. It determines (S841). If, as a result of the initial determination, the receiving state (receive) state is normal state, the central control unit 110 drives each component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transmit power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load 250 by PWM control This is done (S851).

만약, 초기 판단 결과, 수신측의 수신 상태가 비정상적인 상태인 경우, 중앙제어부(110)는 체크모드로 들어가서 Tx 검출부(150) 및 비교제어부(160)를 통해 수신측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게 된다(S861). 여기서, 비정상적인 상태란 이물질이 감지되거나 비정상적인 전력의 변동, 과전압, 과전류 등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If, as a result of the initial determination, if the reception state of the receiving side is an abnormal state, the central control unit 110 enters the check mode and continuously monitors the receiving state through the Tx detector 150 and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S861). Here, the abnormal state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foreign matter is detected or abnormal power fluctuation, overvoltage, overcurrent, and the like.

한편, 상술된 펄스 신호를 통해 수신측의 상태를 체크한 이후, 발명의 구성에 따라 중앙제어부(110)는 PWM 제어 주파수를 변화시켜서 수신측으로 전달하고, 물질에 따른 주파수 특성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그 반향 결과를 통해 수신측의 수신 상태를 체크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110)는 이러한 주파수 특성 및 상기 물질의 고유 공진 특성을 조합하여 수신측의 상태를 체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fter checking the state of the receiving side through the above-described pulse signal,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110 changes the PWM control frequency and transmits to the receiving sid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aterial using the different The reception result may be used to check the reception status of the receiver.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ler 110 may check the state of the receiver by combin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the inherent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이하, 도 9에서는 이어서 수신측의 수신 상태가 정상인 경우 충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harging is performed when the reception state of the receiving side is normal in FIG. 9.

배터리(240) 충전의 경우에는 최대전력 또는 소정의 전력(또는 전류)에서 충전을 시작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특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출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충전 정도에 대한 상태가 송신측에 의해 검출 되어 송신측의 송출 전력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PWM 제어가 이루어져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충전이 완료 되어가는 시점이 되면, 전력이 감소하여 소정치 이하로 된다. In the case of charging the battery 240, charging starts at full power or a predetermined power (or current) and maintains a characteristic that decreases as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refore, by detecting such a change in output, the state of the charge level is detected by the transmitting side, so that the transmitting power of the transmitting side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at the state where the PWM control is performed and the power is being transmitted, the power decreases to be below a predetermined value.

또한, 수신측에 공급될 수 있는 최대 전력은 송신측의 내부 설정된 값(예를 들어 5V/800mA=4W)으로 제어되며, 설정된 값 이상의 전력이 수신측에서 인출될 경우에는 Tx 검출부(150)를 통하여 검출된 결과치에 의해 전력전송이 차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mum power that can be supplied to the receiving side is controlled by the internally set value (for example, 5V / 800mA = 4W)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when the power higher than the set value is drawn from the receiving side, the Tx detection unit 150 is Power transmission may be blocked by the detected result.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Tx 검출부(150)는 수신측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1차 코일(10)의 양단 또는 어느 한쪽 단의 출력값을 복수개의 다이오드를 통해 전파정류하고 전파정류된 출력값을 적분수단을 통해 적분하여 해당 적분치에 대한 적분신호를 생성한다(S901). 여기서 적분신호는 부하(250) 전력의 상태에 따라 일정한 비례 또는 반비례한 함수 곡선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함수 곡선으로 나타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9, the Tx detector 150 performs full-wave rectification on the output values of both ends or one end of the primary coil 10 through a plurality of diodes to detect the state of the receiving side, and outputs the output values. Integrating through the integrating means generates an integrated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integrated value (S901). In this case, the integrated signal may be represented by a constant proportional or inversely proportional function curv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load 250 power, and may also be represented by a specific function curve.

다음으로, 비교제어부(160)는 Tx 검출부(150)로부터 수신된 적분신호를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치를 통해 수신측 부하(250)의 전력 상태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911). 그리고, 중앙제어부(110)는 비교제어부(16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부하(250) 전력의 상태를 인지하고, PWM 제어부(120)를 통해 부하(250) 전력의 상태에 따라 1차 코일(10)에 적절한 전력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921). 여기서, PWM 제어부(120)를 통해 PWM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compares the integrated signal received from the Tx detector 150 with the set reference value,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receiving load 250 through the compared result (S911). .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ler 11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mparison controller 160 to recognize the state of the load 250 power, and through the PWM controller 12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load 250 power, the primary coil ( Control to transmit the appropriate power to 10) (S921). Here, PWM control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PWM controller 120.

여기서, 중앙제어부(110)는 Tx 검출부(150) 및 비교제어부(160)를 통해 충전이 완료 되어가는 시점이 되어 부하 전력이 감소하여 기준치 이하가 되었다고 판단되면(S931), PWM 제어부(120)를 통해 PFM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941). 따라서, PFM 제어에 의해 소전력의 미세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배터리(240)의 충전을 만충전의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Here, w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10 is the point at which charging is completed through the Tx detection unit 150 and the comparison control unit 160 and the load power decreases to be below the reference value (S931), the PWM control unit 120 is determined. PFM control is made through (S941). Therefore, fine power control is possible by the PFM control, so that the battery 240 can be fully charged.

다음으로, 수신측의 배터리(240) 충전이 완료되면(S951), 표시부(170)에 의해 충전완료상태가 표시된다(S961). 그리고 이후 송신측은 지속적으로 수신측의 상태에 따라 트리클(Trickle) 충전 또는 수신측의 충전상태에 따른 전력을 송신하게 된다. Next,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240 on the receiving side is completed (S951), the charging completion state i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70 (S961). Then, the transmitter continuously transmits the power according to the trickle charging or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receiver side.

한편, 상술된 중앙제어부(110)는 Tx 검출부(150)에 의해 검출된 신호에 의해 수신측의 부하(250) 전력이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감소하거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송신측의 전류 검출부(140)를 통해 제어 소자(Q3)(143)를 오픈하고 1차 코일(10)에 유입되는 전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부(110)는 해당 전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전송에 대한 미세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above-described central control unit 110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of the load 250 of the receiving side is lower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or the battery charging is completed by the signal detected by the Tx detection unit 150, the current detection unit of the transmitting side The control element Q3 143 may be opened through the 140, and the current state flowing into the primary coil 10 may be checked.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ler 110 may perform fine control for power transmission based on the data for the current state.

또한, 수신측의 부하(250) 전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1차 코일(10)측의 송신 전력이 증가된다. 그리고, 중앙제어부(110)는 Tx 검출부(150)에서 모니터링된 신호를 통해 부하(250) 전류의 변화를 판단하고, 그 이상 유무에 따라 전력전송을 지속시키거나 중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of the load 250 of the receiving side increase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primary coil 10 side increases.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a change in the load 250 current through the signal monitored by the Tx detector 150, and may continue or stop power transmission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more than tha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도 1은 종래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in a conventional contactless charging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및 무접점 충전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탭을 포함하는 평면공심코일의 구조를 도시한다.3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planar core core coil including a center ta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센터탭을 갖는 평면공심코일의 등가회로를 도시한다. FIG. 4 shows an equivalent circuit of a flat air core coil having a center tap of FIG. 3.

도 5는 센터탭을 갖는 평면공심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계의 방향을 도시한다.Fig. 5 shows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lanar air core coil with the center tap.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공심코일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다.6 illustrates an equivalent circuit of a planar core core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1차 코일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박형의 센싱코일을 구비한 구조의 평면공심코일의 예를 도시한다.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lanar core core coil having a thin sensing coil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a primary coi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의 상태를 감지하여 전력전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다.8 and 9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power transmission by detecting a state of a receiving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10: 중앙제어부 120: PWM 제어부110: central control unit 120: PWM control unit

130: 구동부 140: 전류 검출부130: driver 140: current detector

150: Tx 검출부 160: 비교제어부150: Tx detection unit 160: comparison control unit

170: 표시부 180: 온도센서170: display unit 180: temperature sensor

210: 전파정류회로 220: 정전압회로210: full-wave rectifier circuit 220: constant voltage circuit

230: 충전회로 240: 배터리230: charging circuit 240: battery

250: 부하250: load

Claims (23)

유도 결합을 위한 2차 코일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수신측 무접점 충전장치에 무접점으로 결합되는 송신측 무접점 전력전송장치로서,A transmitter-sid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coupled in a contactless manner to a receiver contactless charger comprising a secondary coil and a rechargeable battery for inductive coupling, 상기 2차 코일에 충전 전력을 유도하는 1차 코일,A primary coil inducing charging power to the secondary coil, 상기 1차 코일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primary coil, 상기 1차 코일의 양단 또는 어느 한쪽 단의 출력값을 적분수단을 통해 적분하여 해당 적분치에 대한 적분신호를 생성하는 Tx 검출부,A Tx detector for integrating the output values of both ends or one end of the primary coil through an integration means to generate an integrated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integral value; 상기 Tx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적분신호를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치를 통해 수신측 부하의 전력 상태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비교제어부,A comparison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integrated signal received from the Tx detection unit with a set reference value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load of the receiving side through the compared result; 상기 1차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PWM 제어부 및PWM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and 상기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PWM 제어부를 제어하여 수신측으로 전송되는 전력량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앙제어부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by controlling the PWM control unit based on the control signal 를 포함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imary coil 센터탭을 갖는 평면공심코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A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a planar air core coil having a center tap.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공심코일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lat air core coil 리쯔(litz) 형태, 직조(mesh)형태, 또는 단선 형태의 전선을 동일 평면상에서 나선형으로 감아서 제1 전선의 인출선과 제2 전선의 인입선을 회로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센터탭으로 형성하고, 제1 전선의 인입선과 제2 전선의 인출선을 평면공심코일의 입출력선으로 형성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A wire of a litz type, a mesh type, or a single wire is spirally wound on the same plane, and the lead wire of the first wire and the lead wire of the second wire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center tab. A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a lead wire of one wire and a lead wire of a second wire formed of an input / output wire of a flat air core coi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의 평면공심코일은 리쯔형태의 권선 중 복수개의 권선이 센싱코일로 구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planar hollow core coil of the primary coil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ndings of the Litz-type windings are formed of sensing coils .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센터탭에 공급되는 전원 라인에 설치된 제어 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의 드레인과 소스간에 연결된 센서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소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1차 코일에 유입되는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수신측의 전류 공급이 완료되어 만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수신측으로의 전력전송이 중단되도록 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A control element installed on a power line supplied to the center tap, and a sensor resistor connected between a drain and a source of the control element, and receiving and sensing a current flow flowing into the primary coi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control element.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current detection unit for stopping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receiving side when the current supply is determined to be a full charge sta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앙제어부는The central control unit 배터리 충전 상태, 및 이물질 유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부하의 전력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펄스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1차 코일을 통해 수신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펄스 신호에 대한 수신측 응답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부하의 전력 상태를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Generates a pulse signal for checking the power state of the load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attery charging state and a foreign matter presence state, and transmits a pulse signal to the receiving side through the primary coil, and detects the receiving response signal for the pulse signal A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ognizing the power state of the loa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entral control unit 수신측 무접점 충전장치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거나 전력을 수신하기에 비정상적인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PWM 제어부를 제어하여 전력전송을 차단하고 수신측 부하의 전력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ing contactless charging device contains foreign matter or is abnormal to receive power, the PWM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transmission and monitors the power state of the receiving load. Solid state power transmitter. 제 1항 내지 제 5항, 제7항 및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PWM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WM control unit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방식 또는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제어 방식에 따라 상기 1차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A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in accordance with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method or a 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control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unit 상기 1차 코일에 전자계를 발생시키는 프리드라이버(pre-driver) 및 푸쉬풀(push pull)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A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re-driver and a push pull driver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in the primary coi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1차 코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한 온도가 검출된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를 통해 전력전송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력전송장치.And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of the primary coil, w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stops power transmission through the central controller when a temperature exceeding a set reference value is detected.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유도 결합을 위한 2차 코일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수신측 무접점 충전장치에 무접점으로 결합되는 송신측 무접점 전력전송장치가 무접점 충전 전력을 상기 무접점 충전장치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transmitting a contactless charging power to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by a transmitting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coupled to a contactless contacting device including a secondary coil and a rechargeable battery for inductive coupling. , 상기 무접점 전력전송장치가 수신측 부하의 전력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Generating, by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a pulse signal for checking a power state of a receiving load; 상기 무접점 전력전송장치가 상기 펄스 신호를 송신측 1차 코일에서 상기 2차 코일로 전달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the pulse signal from a primary coil of a transmitting side to the secondary coil; 상기 무접점 전력전송장치가 상기 펄스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무접점 충전장치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응답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Receiving, by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a response signal to the pulse signal from th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to detect a corresponding response signal; 상기 무접점 전력전송장치가 상기 응답 신호를 적분수단을 통해 적분하여 해당 적분치에 대한 적분신호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by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an integrate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value by integrating the response signal through an integration means; 상기 무접점 전력전송장치가 상기 적분신호를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치를 통해 수신측 부하의 전력 상태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Comparing, by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the integrated signal with a set reference value,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power state of a receiving load based on the compared result; 상기 무접점 전력전송장치가 상기 제어신호를 기초로 수신측으로 전송되는 전력량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 control on the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by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전송방법.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comprising a. 제 2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무접점 전력전송장치는 송신측 1차 코일을 통해 수신측 2차 코일로 상기 펄스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1차 코일은 센터탭을 갖는 평면공심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평면공심코일은 리쯔(litz) 형태, 직조(mesh)형태, 또는 단선 형태의 전선을 동일 평면상에서 나선형으로 감아서 제1 전선의 인출선과 제2 전선의 인입선을 회로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센터탭으로 형성하고, 제1 전선의 인입선과 제2 전선의 인출선을 평면공심코일의 입출력선으로 형성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방법.The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ransmits the pulse signal to the receiving secondary coil through the transmitting primary coil, the primary coil is composed of a flat air core coil having a center tap, and the flat air core coil is a litz ( The wires of the litz, mesh, or single wire shape are spirally wound on the same plane, and the lead wires of the first wires and the lead wires of the second wires are combined to form the center tab, and the first wires Wireless lead transmis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d wire and the lead wire of the second wire is formed by the input and output lines of the flat air core coil. 제 21항에 있어서, 22.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1차 코일의 평면공심코일은 리쯔형태의 권선 중 복수개의 권선이 센싱코일로 구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방법.The planar hollow core coil of the primary coil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ndings of the Litz-type windings are composed of sensing coils. 제 2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무접점 전력전송장치는 충전이 완료 되어가는 시점이 되어 부하 전력이 감소하여 설정된 기준치 이하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신측 배터리에 소전력의 미세 제어를 통한 만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방법.When the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determines that the charging time is completed and the load power decreases to be lower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the PFM (Pulse Frequency Modulation)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receiving battery can perform fine control of small powe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ull charge.
KR1020090122678A 2009-12-10 2009-12-10 Non-contact power transferring device, non-contact power charge device, non-contact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ring using the same KR1011618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78A KR101161836B1 (en) 2009-12-10 2009-12-10 Non-contact power transferring device, non-contact power charge device, non-contact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ring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78A KR101161836B1 (en) 2009-12-10 2009-12-10 Non-contact power transferring device, non-contact power charge device, non-contact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ring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969A KR20110065969A (en) 2011-06-16
KR101161836B1 true KR101161836B1 (en) 2012-07-03

Family

ID=4439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678A KR101161836B1 (en) 2009-12-10 2009-12-10 Non-contact power transferring device, non-contact power charge device, non-contact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ring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8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5148A1 (en) * 2014-02-22 2015-08-27 Humavox Ltd.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CN105556795A (en) * 2013-09-23 2016-05-04 高通股份有限公司 Low power detection of wireless power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825B1 (en) * 2011-10-07 2013-09-23 정관옥 Wireless sterilizer
KR101448024B1 (en) * 2012-05-15 2014-10-07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transmission coil for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KR102044807B1 (en) 2013-03-18 2019-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KR101987315B1 (en) 2013-12-24 2019-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energy charging device
JP6299738B2 (en) 2015-12-24 2018-03-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220909B1 (en) * 2018-06-04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569A (en) * 1997-11-07 1999-05-28 Staff Kk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0896104B1 (en) * 2007-04-25 2009-05-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Contact-less chargeable battery in capable of load modulation and Battery charging set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569A (en) * 1997-11-07 1999-05-28 Staff Kk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0896104B1 (en) * 2007-04-25 2009-05-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Contact-less chargeable battery in capable of load modulation and Battery charging set hav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6795A (en) * 2013-09-23 2016-05-04 高通股份有限公司 Low power detection of wireless power devices
CN105556795B (en) * 2013-09-23 2018-09-25 高通股份有限公司 The low electric power of wireless power device detects
WO2015125148A1 (en) * 2014-02-22 2015-08-27 Humavox Ltd.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969A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836B1 (en) Non-contact power transferring device, non-contact power charge device, non-contact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ring using the same
US117573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s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0516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US9130380B2 (en) Contact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having overheat protec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154306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hich enables to simultaneously charge
EP2784908A1 (en) Non-contact power supply apparatus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KR1021989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1026532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JP2014124019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230682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hich enables to simultaneously charge
KR101261338B1 (en) Charger non-contact and contact charg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49869B1 (en) Low heat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KR102390286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hich enables to simultaneously charge
KR1022053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10121308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ceived power in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thereof
KR1021366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1022727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1022854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1022828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1022116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20220057493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hich enables to simultaneously charge
KR20180099585A (en)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atem with overheat protection and method thereof
KR20170124987A (en)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atem with overheat protection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