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861B1 -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861B1
KR101155861B1 KR1020120042994A KR20120042994A KR101155861B1 KR 101155861 B1 KR101155861 B1 KR 101155861B1 KR 1020120042994 A KR1020120042994 A KR 1020120042994A KR 20120042994 A KR20120042994 A KR 20120042994A KR 101155861 B1 KR101155861 B1 KR 101155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eight
polymer
pipe
co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스
Priority to KR102012004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 C04B41/453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applied as a solution, emulsion, dispersion or suspension
    • C04B41/4539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applied as a solution, emulsion, dispersion or suspension as a emulsion, dispersion or susp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3Poly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7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masses bonded by inorganic cements
    • C04B41/508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6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57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41/4869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계 결합재 10~50중량%, 폴리머계 에멀젼 15~70중량% 및 충전재 5~4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아크릴 에멀젼 60~99중량%, 불소 수지 0.1~15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에멀젼 0.1~15중량% 및 스티렌 부타디엔 에멀젼 0.1~15중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산성 시멘트계 결합재, 내구성 및 부착력이 우수한 폴리머 결합재, 산성, 염해 및 동해에 대한 내구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강도, 고유동성, 탄성, 접착력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특히 내산성이 우수한 콘크리트관 또는 콘크리트추진관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Polymer cement composite for coating concrete pipe and concrete propulsion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crete pipe and concrete propulsion pipe using the composite}
본 발명은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산성 시멘트계 결합재, 내구성 및 부착력이 우수한 폴리머 결합재, 산성, 염해 및 동해에 대한 내구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강도, 고유동성, 탄성, 접착력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특히 내산성이 우수한 환경친화형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는 중성화, 염해, 동해, 화학적 침식, 알칼리 골재 반응, 피로, 풍화, 화재 등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콘크리트가 원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화학적 부식은 콘크리트가 외부에서 화학적 작용을 받아, 시멘트 경화체를 구성하는 수화 생성물이 변형 혹은 분해되어서 결합 능력을 잃어버리는 열화 현상을 총칭한다.
일반적인 환경에서 화학적 부식 문제가 생기는 것은 확률적으로 매우 적으며, 생활 하수 등에 포함된 유기물이 세균에 의해 반응을 일으켜 황산 이온을 생성함으로써 콘크리트를 침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화학적 부식을 받는 구조물로는 화학공장, 식품공장 등의 관련 구조물, 토양 오염 및 온천 지대의 지하 구조물, 하수도 관련 하수 관거 및 복개 구조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적 부식은 기존의 중성화, 동해, 염해에 의한 열화 현상과 혼동하기 쉬우며, 콘크리트 구조물에 내황산성 보수 모르타르가 아닌 기존의 보수용 모르타르로 타설됨으로써 결국 구조물에 균열 또는 박리 현상 등 성능 저하가 발생되어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산성, 중성화, 동해, 염해 등과 별도로 화학적 부식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콘크리트관, 콘크리트추진관 등에 사용되는 라이닝 및 코팅재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산성이 우수한 무기계 결합재와 내구성 및 부착력이 우수한 폴리머계 에멀젼 등을 사용함으로써 강도 및 내구성, 특히 내산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관 또는 콘크리트추진관의 화학적 침식으로 인한 콘크리트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이에 사용되는 유지관리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실리카질 규사, 백운석, 이산화티탄(TiO2), 퍼라이트가 포함된 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보온성 및 강도가 우수하고, 산성, 염해, 동해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생체 활성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항균성을 갖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무기계 결합재 10~50중량%, 폴리머계 에멀젼 15~70중량% 및 충전재 5~4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아크릴 에멀젼 60~99중량%, 불소 수지 0.1~15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에멀젼 0.1~15중량% 및 스티렌 부타디엔 에멀젼 0.1~15중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셀룰로오스 0.1~1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0.1~1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실록산 에멀젼 0.1~1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0.1~1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보통 시멘트 10~60중량%, 알루미나 시멘트 5~40중량%, 중공형 실리카 분말 0.1~20중량%, 고로슬래그 0.1~20중량% 및 무수석고 0.1~2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견운모 0.1~2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는 실리카질 규사 40~80중량%, 백운석 5~30중량%, 이산화티탄(TiO2) 0.1~20중량% 및 퍼라이트 0.1~2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는 흑운모 0.1~2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표하는 형태의 콘크리트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관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표하는 형태의 콘크리트추진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추진관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추진관의 외부에 에폭시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열경화성 수지 결합재 20~75중량%, 탄산칼슘,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및 시멘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충전재 10~55중량%, 규사 5~35중량%가 혼합된 외부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에 의하면, 내산성 무기계 결합재와 내구성 및 부착력이 우수한 폴리머계 에멀젼 등을 사용함으로써 고유동성, 탄성, 접착력, 강도 및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기계 결합재를 사용함으로써 강도 및 내구성, 특히 내산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관 또는 콘크리트추진관의 화학적 침식으로 인한 콘크리트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이에 사용되는 유지관리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리카질 규사, 백운석, 이산화티탄(TiO2), 퍼라이트가 포함된 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보온성 및 강도가 우수하고, 산성, 염해, 동해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생체 활성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항균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소구경 콘크리트추진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좌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대구경 콘크리트추진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좌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산성이 우수한 환경친화형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은 무기계 결합재 10~50중량%와, 가사시간, 작업성, 탄성, 유동성 및 내구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폴리머계 에멀젼 15~70중량%와, 충전재 5~4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가사시간, 작업성, 탄성, 유동성 및 내구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무기물 간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아크릴 에멀젼, 오염방지 및 항균성을 개선하기 위한 불소 수지,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을 개선하기 위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에멀젼,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스티렌 부타디엔 에멀젼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응집력 및 재료분리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한 셀룰로오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부착력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여 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실록산 에멀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폴리머계 에멀젼 내의 기포를 제거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소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감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에 15~7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의 함량이 7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낮아져 재료 분리가 발생되기 쉽고, 수화반응을 지연시켜 조기 강도 발현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의 함량이 15중량% 미만이면 인성, 유동성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무기물 간의 결합력, 부착력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폴리머계 에멀젼에 60~99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아크릴 에멀젼의 함량이 6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무기물 간의 결합력, 부착력 및 내구성 개선의 효과가 미약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 에멀젼의 함량이 99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부착력 및 내구성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불소 수지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오염방지 및 항균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불소 수지는 폴리머계 에멀젼에 0.1~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불소 수지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항균성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불소 수지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작업성은 개선되나 항균성 성능이 미약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에멀젼은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을 개선하여 강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에멀젼은 폴리머계 에멀젼에 0.1~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에멀젼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에멀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작업성은 개선되나 내산성 및 강도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 부타디엔 에멀젼은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스티렌 부타디엔 에멀젼은 폴리머계 에멀젼에 0.1~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스티렌 부타디엔 에멀젼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강도 및 내구성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티렌 부타디엔 에멀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강도 및 내구성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는 유동성, 응집력 및 재료분리 방지성을 부여하여 탁월한 응집력에 의해 수중 오염방지,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보호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는 폴리머계 에멀젼에 0.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작업성은 개선되나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부착력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폴리머계 에멀젼에 0.1~10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부착력 및 내구성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작업성은 개선되나 부착력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실록산 에멀젼은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여 강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실록산 에멀젼은 폴리머계 에멀젼에 0.1~10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실록산 에멀젼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실록산 에멀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작업성은 개선되나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은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은 폴리머계 에멀젼에 0.1~10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강도 및 내구성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폴리머계 에멀젼 내의 기포를 제거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소포제가 폴리머계 에멀젼에 첨가되면 공기연행 효과를 부여하여 작업성 및 가사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폴리머계 에멀젼에 0.01~3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포제로는 알콜계 소포제, 실리콘계 소포제, 지방산계 소포제, 오일계 소포제, 에스테르계 소포제, 옥시알킬렌계 소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콜계 소포제로는 글리콜(glycol) 등이 있다. 상기 실리콘계 소포제로는 디메틸실리콘유, 폴리오가노실록산, 플루오로실리콘유 등이 있다. 상기 지방산계 소포제로는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이 있다. 상기 오일계 소포제로는 등유, 동식물유, 피마자유 등이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소포제로는 솔리톨트리올레이트, 글리세롤모노리시놀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옥시알킬렌계 소포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 아세틸렌에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등이 있다.
상기 감수제는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고 폴리머계 에멀젼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폴리머계 에멀젼에 감수제가 첨가되면 물-시멘트비가 저감된다. 상기 감수제는 폴리머계 에멀젼에 0.01~3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수제는 폴리카르본산계, 멜라민계 또는 나프탈렌계 감수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나프탈렌계와 멜라민계는 폴리카르본산계에 비하여 조성물의 강도가 떨어지고 작업성 및 가사시간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조성물의 강도, 작업성 및 가사시간을 저하시키지 않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보통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중공형 실리카 분말, 고로슬래그 및 무수석고를 포함한다.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보통 시멘트 10~60중량%, 알루미나 시멘트 5~40중량%, 중공형 실리카 분말 0.1~20중량%, 고로슬래그 0.1~20중량% 및 무수석고 0.1~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견운모 0.1~2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감수제 0.01~3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일정 시간 동안 작업성을 확보하고 급격하게 경화되는 것을 지연하기 위하여 지연제 0.01~3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통 시멘트는 KS규격에 맞는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통 시멘트는 무기계 결합재에 10~6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나 시멘트는 내약품성, 특히 내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알루미나 시멘트는 무기계 결합재에 5~4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나 시멘트의 중량비가 증가하면 빠른 경화특성을 나타내며, 4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빠른 경화 특성으로 인해 좋은 물성을 얻을 수 있으나 제조 원가가 높아져 경제적이지 못하며, 상기 알루미나 시멘트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 강도 및 내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실리카 분말 및 고로슬래그는 잠재 수경성 특성, 장기 강도 발현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사용한다. 중공형 실리카 분말 및 고로슬래그의 중량비가 증가하면 조기 강도는 저하되나, 장기 강도 발현 및 내구성이 증가한다. 상기 중공형 실리카 분말은 무기계 결합재에 0.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로슬래그는 무기계 결합재에 0.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수석고는 조기 강도 발현을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무수석고의 함량이 증가하면 빠른 경화특성을 나타내며,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조기강도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고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빠른 경화 특성으로 인해 좋은 물성을 얻을 수 있으나 제조 원가가 높아져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견운모는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생체 활성 효과를 높이고 단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견운모는 무기계 결합재에 0.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수제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감수제는 무기계 결합재에 0.01~3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수제는 폴리카르본산계, 멜라민계, 아미노슬폰산계 또는 나프탈렌계 유동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멜라민계 또는 나프탈렌계 감수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에 비하여 강도 및 내구성의 개선 효과가 미약하고, 물-시멘트비의 저감 효과가 크지 않으며, 폴리머계 에멀젼과 혼합되는 경우 거품 현상이 발생하여 혼화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감수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연제는 일정 시간 동안 작업성을 확보하고 급격하게 경화되는 것을 지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연제는 무기계 결합재에 0.01~3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연제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포도당, 글루코오스, 덱스트린과 같은 당류, 글루콘산, 사과산, 구연산, 시트릭산(citric acid)과 같은 산류 또는 그의 염, 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포스폰산 또는 그의 유도체,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는 산성, 염해 및 동해에 대한 내구성과 단열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실리카질 규사 40~80중량%, 백운석 5~30중량%, 이산화티탄(TiO2) 0.1~20중량% 및 퍼라이트 0.1~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질 규사, 백운석, 이산화티탄(TiO2), 퍼라이트가 포함된 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보온성 및 강도가 우수하고, 산성, 염해, 동해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생체 활성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항균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충전재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흑운모 0.1~2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흑운모는 충전재에 0.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질 규사는 산성, 염해, 동해 등에 대한 내구성 및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실리카질 규사는 입자 크기가 6호사 내지 8호사(0.05~0.6㎜)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질 규사의 입자 크기가 이보다 클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이보다 작을 경우에는 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실리카질 규사는 충전재에 40~8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운석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충전재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생체 활성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백운석은 충전재에 5~3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티탄(TiO2)은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오염방지 및 항균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이산화티탄은 상기 충전재에 0.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퍼라이트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단열 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퍼라이트는 경석, 팽창점토, 팽창혈암, 석탄재나 슬래그를 급랭하여 제조한 팽창슬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퍼라이트는 상기 충전재에 0.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 10~50중량%, 상기 충전재 5~45중량% 및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 15~70중량%를 연속믹서기 등으로 혼합하여 소정 시간(예컨대, 1~60분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술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추진관 및 콘크리트관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소구경 콘크리트추진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대구경 콘크리트추진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좌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콘크리트추진관은 보통관의 매설과 달리 계획단면을 개착하지 않고 추진구를 굴착 후 후방의 유압잭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추진관을 지중에 밀어 넣어 시공하는 공법에 사용되는 관이다. 이러한 콘크리트추진관은 교통장애가 예상되는 지역, 매설 깊이가 깊은 하수관로, 하천이나 넓은 도로를 관통하는 지역, 토압과 수압에 안정되지 못한 지역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콘크리트추진관은 유압잭 등을 이용하여 지중에 밀어 넣기 때문에 그 외부 표면이 매끈하여 마찰계수가 작아야 하고 내부 부식이 적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단열성도 우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콘크리트관은 내부 부식이 적어야 할 필요가 있고 단열성도 우수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콘크리트관이라 함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관 형태로서 콘크리트추진관 이외의 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관 또는 콘크리트추진관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사용한다.
콘크리트관 또는 콘크리트추진관을 목적하는 형태로 제조한다. 콘크리트추진관 또는 콘크리트관의 형성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목적하는 형태의 거푸집에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상기 거푸집에 진동기 등으로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시멘트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충전된 시멘트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콘크리트 성형체를 형성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콘크리트추진관 또는 콘크리트관의 내부 표면에 본 발명의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붓, 로울러, 스프레이 등과 같은 도포 수단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콘크리트추진관 또는 콘크리트관의 내부에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내산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콘크리트추진관 또는 콘크리트관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추진관의 외부에 에폭시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열경화성 수지 결합재 20~75중량%, 탄산칼슘,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및 시멘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충전재 10~55중량%, 규사 5~35중량%가 혼합된 외부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도포한다. 콘크리트추진관의 외부에 외부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외부 표면이 매끈하여 마찰계수가 작은 콘크리트추진관을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의 실시예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다음에 제시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무기계 결합재 25중량%, 충전재 25중량% 및 폴리머계 에멀젼 50중량%를 연속식 믹서에 2분간 교반하여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보통 시멘트 49중량%, 알루미나 시멘트 10중량%, 중공형 실리카 분말 10중량%, 고로슬래그 10중량%, 무수석고 10중량%, 견운모 10중량%, 지연제 0.5중량% 및 감수제 0.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지연제로는 시트릭산을 사용하였다. 상기 감수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충전재는 실리카질 규사 67중량%, 백운석 10중량%, 흑운모 10중량%, 이산화티탄 10중량% 및 퍼라이트 3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아크릴 에멀젼 97중량%, 불소 수지 1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에멀젼 1중량% 및 스티렌 부타디엔 에멀젼 1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무기계 결합재 25중량%, 충전재 25중량% 및 폴리머계 에멀젼 50중량%를 연속식 믹서에 2분간 교반하여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보통 시멘트 49중량%, 알루미나 시멘트 10중량%, 중공형 실리카 분말 10중량%, 고로슬래그 10중량%, 무수석고 10중량%, 견운모 10중량%, 지연제 0.5중량% 및 감수제 0.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지연제로는 시트릭산을 사용하였다. 상기 감수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충전재는 실리카질 규사 67중량%, 백운석 10중량%, 흑운모 10중량%, 이산화티탄 10중량% 및 퍼라이트 3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아크릴 에멀젼 91중량%, 불소 수지 3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에멀젼 3중량% 및 스티렌 부타디엔 에멀젼 3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무기계 결합재 25중량%, 충전재 25중량% 및 폴리머계 에멀젼 50중량%를 연속식 믹서에 2분간 교반하여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보통 시멘트 49중량%, 알루미나 시멘트 10중량%, 중공형 실리카 분말 10중량%, 고로슬래그 10중량%, 무수석고 10중량%, 견운모 10중량%, 지연제 0.5중량% 및 감수제 0.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지연제로는 시트릭산을 사용하였다. 상기 감수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충전재는 실리카질 규사 67중량%, 백운석 10중량%, 흑운모 10중량%, 이산화티탄 10중량% 및 퍼라이트 3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아크릴 에멀젼 85중량%, 불소 수지 5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에멀젼 5중량% 및 스티렌 부타디엔 에멀젼 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비교할 수 있는 비교예들을 제시하며, 후술할 비교예 1 및 2는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통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시한 것이다.
<비교예 1>
보통 시멘트 25중량%, 실리카질 규사 충전재 25중량% 및 물 50중량%를 연속식 믹서로 교반하여 보통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보통 시멘트 25중량%, 실리카질 규사 충전재 25중량% 및 아크릴 에멀젼 10중량%를 연속식 믹서로 교반하여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래의 시험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특성을 비교한 실험결과들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과 비교예들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KS F 2405(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의한 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KS F 2408(모르타르의 휨강도 시험방법)에 의하여 휨강도 시험을 수행하였고, KS F 2423(모르타르의 인장강도 시험방법)에 의하여 인장강도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JIS A 6916 (마무리 도장재용 바탕 조정재)에 의하여 공시체의 접착강도를 측정하여 각각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강도
(kgf/㎠)
104 100 108 60 89
압축 508 512 529 439 451
인장 58 64 70 30 45
접착 26 30 32 19 2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휨, 압축, 인장 및 접착강도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조성물보다 월등히 높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이 비교예들에서 제조한 조성물과 비교하여 강도 면에서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KS F 2424(콘크리트의 길이변화 시험방법)에 의하여 건조수축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건조수축(×10-4) 0.5 0.3 0.15 1.8 0.9
위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하여 건조수축량이 감소되어 수축 저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JIS A 1171(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시험방법)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흡수율의 측정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흡수율이 높으면 불순물이나 물이 콘크리트의 내부로 침투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내부에 기공률이 증가하게 되어 구조물의 열화를 촉진시키고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흡수율(%) 0.2 0.1 0.1 1.2 0.5
위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하여 흡수율이 낮았다.
<시험예 4>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JIS A 1171(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시험방법)에 의한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염화물 이온 침투 깊이(㎜) 0.3 0.1 0.1 1.2 0.8
위의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하여 염화물 이온 침투 깊이가 적게 나타나 염해에 대한 저항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JIS A 1171(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시험방법)에 의한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중성화 깊이(㎜) 0.1 0.0 0.0 1.2 0.3
위의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하여 중성화 침투 깊이가 적게 나타나 중성화에 대한 저항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일본 공업 규격 원안[콘크리트의 용액침적에 의한 내약품성 시험 방법]에 준하여 2% 염산, 5% 황산 및 45% 수산화 나트륨의 수용액을 시험 용액으로 28일 공시체를 침적하여 내약품성 시험의 측정결과를 아래의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중량변화율(%) 염산 -0.1 0 0 -8.0 -0.5
황산 +0.2 +0.4 +0.5 -2.1 0
수산화나트륨 +1.2 +1.5 +1.8 +0.1 +0.4
위의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하여 내약품성에 대한 중량변화율이 적게 나타나 내약품성에 대한 저항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KS F 2456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동결융해저항성 시험의 측정 결과를 아래의 표 7에 나타내었다. 동결융해는 콘크리트에 모세관내에 흡수된 수분이 결빙되고 녹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동결융해가 반복되면 콘크리트 조직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표 7은 동결융해 저항성 시험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내구성 지수를 표시한 것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내구성 지수 96 98 98 64 92
위의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하여 내구성 지수가 월등히 높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1)

  1. 무기계 결합재 10~50중량%, 폴리머계 에멀젼 15~70중량% 및 충전재 5~4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아크릴 에멀젼 60~99중량%, 불소 수지 0.1~15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에멀젼 0.1~15중량% 및 스티렌 부타디엔 에멀젼 0.1~15중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셀룰로오스 0.1~1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0.1~1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실록산 에멀젼 0.1~1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계 에멀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0.1~1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보통 시멘트 10~60중량%, 알루미나 시멘트 5~40중량%, 중공형 실리카 분말 0.1~20중량%, 고로슬래그 0.1~20중량% 및 무수석고 0.1~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견운모 0.1~2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실리카질 규사 40~80중량%, 백운석 5~30중량%, 이산화티탄(TiO2) 0.1~20중량% 및 퍼라이트 0.1~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흑운모 0.1~2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10. 목표하는 형태의 콘크리트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관의 내부에 제1항에 기재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11. 목표하는 형태의 콘크리트추진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추진관의 내부에 제1항에 기재된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추진관의 외부에 에폭시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열경화성 수지 결합재 20~75중량%, 탄산칼슘,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및 시멘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충전재 10~55중량%, 규사 5~35중량%가 혼합된 외부 마감코팅재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
KR1020120042994A 2012-04-25 2012-04-25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 KR101155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994A KR101155861B1 (ko) 2012-04-25 2012-04-25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994A KR101155861B1 (ko) 2012-04-25 2012-04-25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861B1 true KR101155861B1 (ko) 2012-06-20

Family

ID=4668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994A KR101155861B1 (ko) 2012-04-25 2012-04-25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8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14B1 (ko) * 2013-09-09 2014-03-06 오성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함수율 100% 습윤상태에서 프라이머 없이 시공이 가능한 무기질계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마감재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재 시공방법
KR101524979B1 (ko) * 2014-05-26 2015-06-02 주식회사 우리산업개발 콘크리트 표면 착색 조성물
KR101881130B1 (ko) * 2017-12-20 2018-07-23 김정환 장식용 바닥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KR102126254B1 (ko) * 2020-02-11 2020-06-24 김종철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
KR102199534B1 (ko) * 2020-07-16 2021-01-08 조광페인트주식회사 콘크리트 보호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059A (ko) * 2005-04-29 2006-11-02 류용진 철근 콘크리트 성형 구조물을 라이닝 하는 조성물과 이조성물에 의한 라이닝 시공 방법
KR100883326B1 (ko) 2008-10-28 2009-02-11 임원순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010341B1 (ko) 2010-06-28 2011-01-25 조영숙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속경형 셀프레벨링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124584B1 (ko) 2011-01-17 2012-03-16 노병철 배수성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059A (ko) * 2005-04-29 2006-11-02 류용진 철근 콘크리트 성형 구조물을 라이닝 하는 조성물과 이조성물에 의한 라이닝 시공 방법
KR100883326B1 (ko) 2008-10-28 2009-02-11 임원순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010341B1 (ko) 2010-06-28 2011-01-25 조영숙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속경형 셀프레벨링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124584B1 (ko) 2011-01-17 2012-03-16 노병철 배수성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14B1 (ko) * 2013-09-09 2014-03-06 오성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함수율 100% 습윤상태에서 프라이머 없이 시공이 가능한 무기질계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마감재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재 시공방법
WO2015034164A1 (ko) * 2013-09-09 2015-03-12 주식회사 대명콘스텍 콘크리트 함수율 100% 습윤상태에서 프라이머 없이 시공이 가능한 무기질계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마감재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재 시공방법
CN105722805A (zh) * 2013-09-09 2016-06-29 (株)大明肯斯特 在混凝土含水率100%湿润状态下不需底漆也可以施工的无机质防中和、防水、防蚀地面饰面材料涂料组合物以及用此的防中和、防水、防蚀、地面材料施工方法
CN105722805B (zh) * 2013-09-09 2017-05-24 (株)大明肯斯特 在混凝土含水率100%湿润状态下不需底漆也可以施工的无机质防中和、防水、防蚀地面饰面材料涂料组合物以及用此的防中和、防水、防蚀、地面材料施工方法
KR101524979B1 (ko) * 2014-05-26 2015-06-02 주식회사 우리산업개발 콘크리트 표면 착색 조성물
WO2015182916A1 (ko) * 2014-05-26 2015-12-03 주식회사우리산업개발 콘크리트 표면 착색 조성물
CN105272357A (zh) * 2014-05-26 2016-01-27 株式会社友利产业开发 混凝土表面着色组合物
JP2017520500A (ja) * 2014-05-26 2017-07-27 株式会社ウリ産業開発Woori Industrial Co.,Ltd. コンクリート表面の着色組成物
KR101881130B1 (ko) * 2017-12-20 2018-07-23 김정환 장식용 바닥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KR102126254B1 (ko) * 2020-02-11 2020-06-24 김종철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
KR102199534B1 (ko) * 2020-07-16 2021-01-08 조광페인트주식회사 콘크리트 보호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700B1 (ko) 단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판넬의 제조방법 및 블록의 제조방법
KR101832164B1 (ko) 구조물 보수·보강용 자기 치유성 친환경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720037B1 (ko) 수중불분리 무수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6316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016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복구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311699B1 (ko) 내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75461B1 (ko) 내구성이 개선된 초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공법
KR101972265B1 (ko) 고강도 모르타르 조성물 및 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355392B1 (ko) 내산 및 내염해성 시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용 모르타르 시멘트 조성물 및 상기 보수용 모르타르 시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3170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경량 모르타르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609697B1 (ko) 수중불분리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691845B1 (ko) 코코스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720504B1 (ko) 내구성능이 개선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유지 보수 공법
KR10160970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경량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392958B1 (ko) 폴리머 결합재를 구비하는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1073892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속경형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193390B1 (ko) 폴리머 개질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공법
KR101743042B1 (ko) 경량 및 친환경 폴리머 시멘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KR10144624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41179B1 (ko) 고강도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65418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101155861B1 (ko)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
KR101825152B1 (ko) 내식성이 우수하고 기능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공법
KR101095381B1 (ko) 내산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내산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재의 제조방법 및 블록의 제조방법
KR101672713B1 (ko) 자기 치유성, 내구성 및 강도가 향상된 조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유지보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