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390B1 -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390B1
KR101155390B1 KR1020120011185A KR20120011185A KR101155390B1 KR 101155390 B1 KR101155390 B1 KR 101155390B1 KR 1020120011185 A KR1020120011185 A KR 1020120011185A KR 20120011185 A KR20120011185 A KR 20120011185A KR 101155390 B1 KR101155390 B1 KR 101155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impact
impact amount
actuator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구현
이대엽
홍성욱
Original Assignee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충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개시된다. 자동차의 후드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후드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충격 감지 시스템을 포함하되,상기 충격 감지 시스템은,범퍼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는 센서 어셈블리와;상기 센서 어셈블리의 일측에 결합된 검출 어셈블리와;상기 검출 어셈블리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상기 센서 어셈블리는,충격량 감지모듈와;상기 충격량 감지모듈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복수의 스위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고,상기 검출 어셈블리는,상기 충격량 감지모듈의 일단에 결합된 광원과;상기 충격량 감지모듈의 타단에 결합된 광 검출기를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검출기로부터 전송된 충격량 신호와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로부터 전송된 충격위치 신호를 분석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ACTIVE HOOD SYSTEM USING LIGT FIBER SENSER SYSTEM}
본 발명은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범퍼와 보행자가 충돌되는 위치 및 충격량을 감지하여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안전성은 주로 운전자에 맞추어져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 시스템은 물론 차량의 구조 또한 충돌시 운전자에게 최소한의 상해를 주도록 구조적으로 디자인되었다.
그러나 운전자도 차량을 벗어나 걸을 때는 보행자이다. 즉, 누구나 운전자가 될 수 있고 보행자가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한 차량의 구조 및 안전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갖춘 차량에 대해서는 보험료 감면을 비롯한 각종 세제지원을 하고 있다.
보행자와 차량이 충돌시, 후드와 후드 아래의 각종 기계부품(엔진 등)과의 거리가 10cm 이상 확보된다면, 보행자의 머리가 후드와 충돌하더라도 후드가 이 충격을 흡수한다. 그러나 후드와 기계부품 간의 거리가 충분하지 않으면, 보행자의 머리는 후드와 충돌 후 다시 후드 아래의 기계부품과 2차 충돌하여 큰 상해를 입게 된다.
그러나 세련되고 날렵한 구조를 선호하는 자동차의 디자인 추세를 볼 때, 후드 아래를 10cm이상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보행자와 차량이 충돌시, 후드 아래에 위치한 액츄에이터를 작동하여 후드를 강제적으로 10cm 이상 들어줌으로써, 보행자의 머리에 오는 충격을 줄여주는 시스템을 자동차에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라 한다. 특허출원 제10-2006-0117604호, 특허출원 제10-2006-0079262호 등은 이러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에 대해서 공개하고 있다.
이러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문제점은, 보행자가 아닌 장애물(예를 들어, 경계봉)과 충돌시 이를 보행자로 알고 작동하는 것이다. 특히, 자동차와 물체가 동일한 속도로 충돌하더라도, 자동차 범퍼의 중심부에 부딪히느냐 가장자리에 부딪치느냐에 따라 충격량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은 최소 충격량에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낮은 속도로 범퍼 중앙에 충돌이 일어나더라도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작동하였다. 아울러, 차량의 범퍼는 설계에 따라 가운데와 가장자리의 충격흡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행자와의 충돌 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범퍼의 어느 부분과 물체가 충돌하였는지를 알아야 하며, 그에 따라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새로운 형태의 센서 시스템과 이를 적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물체와 충돌시 충격량 감지모듈을 이용하여 충격량을 검출하고,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을 이용하여 충격위치를 식별하는 충격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량 신호와 충격위치의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가 액츄에이터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범퍼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는 센서 어셈블리(11)와;
상기 센서 어셈블리(11)의 일측에 결합된 검출 어셈블리(12)와;
상기 검출 어셈블리(1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어셈블리(11)는,
충격량 감지모듈(113)과;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복수의 스위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광섬유이며,
상기 검출 어셈블리(12)는,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결합된 광원(121)과;
상기 광섬유의 타단에 결합된 광 검출기(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검출기(122)로부터 전송된 충격량 신호와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로부터 전송된 충격위치 신호를 분석하여 액츄에이터(2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11)는,
상기 광섬유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광섬유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상부커버(111)와;
상기 상부커버(111)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복수의 돌출부(114)가 형성된 하부커버(112)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114)의 사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11)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유체가 내장된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감압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느 충격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피에조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후드(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후드(3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20)와;
상기 액츄에이터(20)를 작동시키는 충격 감지 시스템(100)을 포함하되,
상기 충격 감지 시스템(100)은,
범퍼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는 센서 어셈블리(11)와;
상기 센서 어셈블리(11)의 일측에 결합된 검출 어셈블리(12)와;
상기 검출 어셈블리(1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액츄에이터(2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11)는,
충격량 감지모듈(113)과;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복수의 스위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광섬유이며,
상기 검출 어셈블리(12)는,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결합된 광원(121)과;
상기 광섬유의 타단에 결합된 광 검출기(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검출기(122)로부터 전송된 충격량 신호와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로부터 전송된 충격위치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액츄에이터(2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11)는,
상기 광섬유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광섬유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상부커버(111)와;
상기 상부커버(111)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복수의 돌출부(114)가 형성된 하부커버(112)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114)의 사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11)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유체가 내장된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감압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피에조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물체와 충돌시 충격량 감지모듈을 이용하여 충격량을 검출하고,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을 이용하여 충격위치를 식별하는 충격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량 신호와 충격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가 액츄에이터를 작동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적용한 자동차의 전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 시스템이 결합된 범퍼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 시스템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 시스템에서 상부커버의 일부와 충격량 감지모듈(광섬유)을 제거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D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량 감지모듈(광섬유 센서)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적용한 자동차의 전면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 시스템이 결합된 범퍼 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C-C'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 시스템에서 상부커버의 일부와 충격량 감지모듈(광섬유)를 제거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D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량 감지모듈(광섬유 센서)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100)은, 자동차의 후드(30)의 하부에 결합되어 후드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20)와; 상기 액츄에이터(20)를 작동시키는 충격 감지 시스템(10)을 포함한다.
충격 감지 시스템(10)은, 자동차의 범퍼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센서 어셈블리(11)와; 센서 어셈블리(11)의 일측에 결합된 검출 어셈블리(12)와; 검출 어셈블리(1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 어셈블리(12)는, 충격량 감지모듈(113)과; 충격량 감지모듈(113)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복수의 스위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을 포함한다.
또한, 검출 어셈블리(12)는, 충격량 감지모듈(113)의 일단에 결합된 광원(121)과; 충격량 감지모듈(113)의 타단에 결합된 광검출기(1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광섬유이다. 따라서, 검출 어셈블리(12)는 여기에 맞춰 광검출기(112)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는 광검출기(122)로부터 전송된 충격량 신호와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로부터 전송된 충격위치 신호를 분석하여 액츄에이터(20)의 작동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100)은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면, 센서 어셈블리(11)로부터 전송된 충격량 신호를 검출 어셈블리(12)가 검출하고 이 신호들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또한,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로부터 충격위치 신호를 제어부가 전송받는다. 이 신호들을 바탕으로 제어부(미도시)가 특정 위치에 기준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액츄에이터(20)를 작동시킨다. 액츄에이터(20)는 후드(30)를 상부로 밀어 올린다. 이때, 제어부는 범퍼의 가장자리에 발생한 충격인지, 범퍼의 중심부에 발생한 중심에 발생한 충격인지 등을 판단하여 액츄에이터(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자동차의 디자인이 고려됨에 따라, 범퍼의 형상과 구조는 각각 다르다. 따라서, 범퍼는 구조적으로 약한 곳이 있고, 강한 곳이 있다. 범퍼의 구조가 강한 곳에는 작은 충격량이 감지되더라도 제어부는 액츄에이터(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범퍼의 구조가 강한 곳을 밀고들어와 센서 어벰블리(11)에 충격을 줄 정도라면, 외부 물체와 범퍼는 강하게 부딪쳤기 때문이다.
아울러, 범퍼의 구조가 약한 곳에는 상대적으로 강한 충격이 올 경우에만, 제어부가 액츄에이터(20)를 작동시키는 것이 좋다.
액츄에이터(20)는 후드(30)를 순간적으로 밀어올리는 기계적 구조이다. 실린더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방법, 스프링을 이용하는 방법, 에어백과 같이 내장된 화학물질이 폭발하는 구조로 작동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순간적으로 물체를 들어올리는 구조라면, 액츄에이터(20)는 공지된 모든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아울러, 특허출원 제10-2006-0117604호, 특허출원 제10-2006-0079262호에도 액츄에이터(20)의 구조에 대해서 설시된 바, 액츄에이터(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충격 감지 시스템(10)에 있다. 충격 감지 시스템(10)은 센서 어셈블리(11)와, 검출 어셈블리(12) 및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도 3 참조)
센서 어셈블리(11)는 자동차의 범퍼에 결합(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띠 모양으로 길게 형성된다. 센서 어셈블리(11)는 상부커버(111)와, 상부커버(111)에 내장된 충격량 감지모듈(113)와, 상부커버(111)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돌출부(114)가 형성된 하부커버(114), 상기 복수의 돌출부(114) 사이에 내장된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로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8 참조)
상부커버(111)는 러버나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으며, 충격량 감지모듈(113)를 보호한다. 아울러, 상부커버(111)는 연성이 좋아 쉽게 휘어지며 복원이 용이하다. 상부커버(111)는 충격량 감지모듈(11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유리섬유로서 광이 이동하는 통로가 ㄷ되는 광섬유이다. 본 실시예에서 충격량 감지모듈(113)는 충격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충격량 감지모듈(113)이 휘어진 정도에 따라 시작점에서 끝점까지 전달되는 광량이 달라진다. 이러한 광량을 측정하여, 충격량 감지모듈(113)이 휘어진 정도를 가늠할 수 있고, 많이 휘어질수록 충격량이 큰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충격량 감지모듈(113)이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며, 아울러, 휘어진 이후 복원이 되어 재사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상부커버(111)는 복원력이 좋은 재질이기 때문에 충격량 감지모듈(113)가 휘어진 이후 다시 복원되도록 한다.
도 10은 평상시 충격량 감지모듈가 휘어지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며, 도 11은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충격량 감지모듈가 굴곡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광원에서는 광 검출기로 지속적으로 광을 조사하며, 광 검출기는 수신되는 광강도에 따라 충격량 감지모듈가 휘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2는 광 검출기에서 수신하는 광강도가 충격이 가해진 시점에서는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정도를 바탕으로 제어부는 충격량을 산출한다.
한편, 하부커버(112)는 충격량 감지모듈(113)이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하부커버(112)는 복수의 돌출부(114)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4) 사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충격시 돌출부(114)가 상부커버(112)를 받쳐준다. 충격이 가해지면, 돌출부(114) 사이에 형성된 홈으로는 충격량 감지모듈(113)가 휘어져 들어간다. (도 7 및 8 참조)
하부커버(112)에는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이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은 돌출부(114) 사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된다.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은 복수의 스위치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형태로서, 특정 위치의 스위치가 작동하면, 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은 충격량 감지모듈(113)과 대응되는 길이로 결합된다. (도 7 및 8 참조)
본 실시예의 센서 어셈블리(11)는 충격량 감지모듈(113)과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을 이용하여, 충격량과 충격위치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와 같이, 검출 어셈블리(12)는 충격량 감지모듈의 일단에 결합된 광원(121)과; 충격량 감지모듈의 타단에 결합된 광검출기(1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충격량 감지모듈(113)는 "U"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광원(121)과 광검출기(122)가 동일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식별번호 123은 광원(121)과 광검출기(122)가 내장된 하우징이다. 도 9는 상부 하우징을 제거한 형태로서, 검출 어셈블리(12)의 내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제어부(미도시)는 광검출기(122)로 부터 전송된 충격량 신호와,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로부터 전송된 충격위치 신호를 분석하여 액츄에이터(2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고, 액츄에이터(20)의 작동조건이 되면, 액츄에이터(20)를 작동시킨다. 제어부(12)는 하우징(123)의 내부에 결합될 수도 있고, 자동차 내부의 별도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유체가 내장된 호스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검출 어샘블리(12)는 호스 안의 유체의 압력변동을 검출한다. 또한,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감압필름의 형태일 수 있다. 감압필름은 하중이 인가될 경우 필름의 저항변화를 검출 어샘블리(12)가 센싱하여 압력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피에조 필름일 수 있다. 피에조 필름에서 생성되는 전류 변화를 검출 어샘블리(12)가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격량을 감지하고 검출할 수 이 TSMS 다양한 형태의 모듈이 본 실시예의 충격량 감지모듈(113)과, 검출 어샘블리(12)로 대체가능하다.
보통의 경우, 자동차가 시속 40km로 사람과 부딪칠 때, 범퍼의 중심부가 가장자리보다 충격이 크다. 이렇게 범퍼의 위치에 따라 충격량이 다른 것은, 범퍼가 일반적으로 활 모양과 같이 휘어져 있기 때문이다. 가장자리는 상대적으로 빚겨서 충돌되기 때문에 넓은 범위의 면적에서 충돌이 일어나고 충격량은 적어진다.
이러한 충격량을 수치로서 비교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시속 40km로 몸무게 60kg인 사람과 부딪칠 때 범퍼의 중심부에서는 충격량은 40이 되고, 가장자리에서는 20이 된다고 가정하자.
종래에는 안전을 고려하여, 20이라는 충격량(가장자리에 사람이 부딪쳤다는 전에 하에 제일 민감한 수치인 20에 액츄에이터가 작동하도록 설정함)이 감지되면 무조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켰다. 한편, 20이라는 충격량은 범퍼의 중심부에 부딪힌다면 작은 물체(도로 차선봉)에서도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20의 충격량으로 범퍼의 중심부에 물체가 부딪쳐도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은 물체가 범퍼의 가장자리에 부딪칠 때를 고려하여 최소 충격량에도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센서가 민감하게 작동하여 오작동이 자주 일어났다.
본 실시예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100)은 물체와 부딪치는 위치와 충격량에 따라 제어부가 액츄에이터(20)의 작동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제어부는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의 중심부에 있는 스위치에서 충격위치 신호가 검출되고, 충격량이 40 이상인 경우, 액츄에이터(20)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는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의 가장자리에 있는 스위치에서 충격위치 신호가 검출되고, 충격량이 20이상인 경우, 액츄에이터(20)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100)에서는 범퍼의 중심부에 충격량 30으로 충돌할 경우 액츄에이터(20)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범퍼 중심부에서는 충격량 40 이상 일 때만 액츄에이터가 작동함).
즉, 본 실시예의 제어부는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의 가장자리에서 발생된 충격량이,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의 중심부에서 발생된 충격량보다 작더라도 액츄에이터(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어디서 부딪치던지 충격량 20에 액츄에이터(20)가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100)은 충격이 일어나는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불필요한 액츄에이터(20)의 작동을 방지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구조적으로 범퍼의 중심부가 가장자리보다 보강재를 이용하여 강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범퍼의 중심부에 강하게 물체가 충돌하더라도 충격량은 낮게 검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범퍼를 장착한 차량은 중심부에 약한 충격량이 검출되더라도, 액츄에이터(20)를 작동시켜야 한다.
본 실시예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100)에서는 각각의 자동차의 범퍼에 맞도록 위치별로 액츄에이터(20)의 작동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이 충격이 일어나는 위치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함으로써, 제어부는 보다 정밀하게 액츄에이터(20)의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액츄에이터(2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각각의 자동차의 범퍼에 맞춘 위치별 액추에이터(20) 작동 기준을 설정할 수 있어서 보다 정밀하게 액유체이터(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자동차의 후드(30) 액츄에이터(20)
충격 감지 시스템(100) 센서 어셈블리(11)
검출 어셈블리(12) 충격량 감지모듈(113)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 광원(121)
검출기(122)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

Claims (14)

  1. 삭제
  2. 범퍼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는 센서 어셈블리(11)와;
    상기 센서 어셈블리(11)의 일측에 결합된 검출 어셈블리(12)와;
    상기 검출 어셈블리(1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어셈블리(11)는,
    충격량 감지모듈(113)과;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복수의 스위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광섬유이며,

    상기 검출 어셈블리(12)는,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결합된 광원(121)과;
    상기 광섬유의 타단에 결합된 광 검출기(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검출기(122)로부터 전송된 충격량 신호와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로부터 전송된 충격위치 신호를 분석하여 액츄에이터(2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1)는,
    상기 광섬유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광섬유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상부커버(111)와;
    상기 상부커버(111)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복수의 돌출부(114)가 형성된 하부커버(112)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114)의 사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11)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자동차의 후드(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후드(3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20)와;
    상기 액츄에이터(20)를 작동시키는 충격 감지 시스템(100)을 포함하되,

    상기 충격 감지 시스템(100)은,
    범퍼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는 센서 어셈블리(11)와;
    상기 센서 어셈블리(11)의 일측에 결합된 검출 어셈블리(12)와;
    상기 검출 어셈블리(1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액츄에이터(2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11)는,
    충격량 감지모듈(113)과;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복수의 스위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격량 감지모듈(113)은 광섬유이며,

    상기 검출 어셈블리(12)는,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결합된 광원(121)과;
    상기 광섬유의 타단에 결합된 광 검출기(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검출기(122)로부터 전송된 충격량 신호와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로부터 전송된 충격위치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액츄에이터(2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1)는,
    상기 광섬유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광섬유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상부커버(111)와;
    상기 상부커버(111)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복수의 돌출부(114)가 형성된 하부커버(112)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115)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114)의 사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11)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011185A 2012-02-03 2012-02-03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KR101155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185A KR101155390B1 (ko) 2012-02-03 2012-02-03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185A KR101155390B1 (ko) 2012-02-03 2012-02-03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390B1 true KR101155390B1 (ko) 2012-06-20

Family

ID=4668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185A KR101155390B1 (ko) 2012-02-03 2012-02-03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1901B2 (en) 2012-08-16 2014-10-14 Hyundai Motor Company Impact sensor of active hoo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019A (ko) * 2006-08-23 2008-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019A (ko) * 2006-08-23 2008-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1901B2 (en) 2012-08-16 2014-10-14 Hyundai Motor Company Impact sensor of active hoo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3274B1 (en) Front bumper structure for vehicle
RU2658531C2 (ru) Система для минимизации травм объекта при столкновении с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CN103204124B (zh) 用于运行行人保护***的方法和机动车
US7881843B2 (en) Object struck discrimination system and protection system
JP4661307B2 (ja) 歩行者検知システム
JP2008525255A (ja) 自動車の衝突検出用の装置
US8672382B2 (en)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04828005A (zh) 碰撞检测装置
JP2006264416A (ja) 対象物検知システム、保護システム、車両
JP2005521584A (ja) 衝突検出器システム
CN105270290B (zh) 碰撞感测设备
US7734393B2 (en) Object struck discrimination system and protection system
JP4706924B2 (ja) 歩行者検知システム
US11491936B2 (en) Collision detection device
US7597171B2 (en) Device for triggering passive passenger safety measures
JP4661299B2 (ja) 車両の歩行者保護装置
JP4434293B2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US20070179693A1 (en) Device for impact sensing
CN109219537A (zh) 用于车辆的安全设备
JP5447984B2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US20060162982A1 (en) Device for recognising an obstacle underride
KR101155390B1 (ko) 충격량 감지모듈 센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JP2006341843A (ja) 衝突事件の類別方法
US20060106529A1 (en) Device for recognition of a pole crash
JP5104689B2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