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612B1 - 턱뼈 신장 장치 - Google Patents

턱뼈 신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612B1
KR101154612B1 KR1020090101241A KR20090101241A KR101154612B1 KR 101154612 B1 KR101154612 B1 KR 101154612B1 KR 1020090101241 A KR1020090101241 A KR 1020090101241A KR 20090101241 A KR20090101241 A KR 20090101241A KR 101154612 B1 KR101154612 B1 KR 101154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support
actuator
micro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521A (ko
Inventor
박종태
김희진
허경석
김규학
김형준
차정열
이재기
Original Assignee
지웰전자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웰전자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지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6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4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04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means for distracting or compressing the bone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61B17/663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for jaw bones, e.g. subcutaneous distractors with external ac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212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using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221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wireless transmission of data, e.g. by infrared radiation or radio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뼈 신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수직적인 뼈신장술뿐만 아니라 수평적인 이틀뼈의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정밀하게 제어되되, 외부 돌출되지 않아 합병증을 일으킬 염려가 없으며, 자동 및 무선제어가 가능한 턱뼈 뼈신장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골과 상기 상부골에 연접된 하부골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골과 하부골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이루어진 뼈 신장 장치에 있어서, 체외에 위치된 턱뼈신장 모니터부 또는 무선 리모콘에 의해 무선 제어되는 마이크로 엑츄에이터; 중앙부에 상기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고정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골에 장착되는 하부골 지지체; 상기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수나사부를 가지는 일축이 삽입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골에 장착되는 상부골 지지체; 상기 상부골 지지체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골 지지체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지지봉 통과홀을 관통하는 지지봉;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턱뼈, 뼈신장 장치, 무선, 수평, 마이크로 엑츄에이터, 초음파 모터

Description

턱뼈 신장 장치{Jaw bone distractor}
본 발명은 턱뼈 신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수직적인 뼈신장술뿐만 아니라 수평적인 이틀뼈의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정밀하게 제어되되, 외부 돌출되지 않아 합병증을 일으킬 염려가 없으며, 자동 및 무선제어가 가능한 턱뼈 뼈신장기에 관한 것이다.
턱얼굴기형 환자에서 이틀뼈(치조골)에 의해 기형을 유발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예로, 입술 입천장 갈림증(구순구개열)(cleft lip & palate) 및 주걱턱 환자, 기형환자 및 외상으로 인한 무치악환자 등을 들 수 있다.
입술 입천장 갈림증(구순구개열)을 가진 아이의 경우 조기에 수술하면서 반흔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골 성장에 지장이 생기게 되어 악골의 변형이 생기게 된다. 위턱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아래턱은 정상적으로 성장함으로 말미암아 코 주위가 쑥 들어간 형태(상악골의 발육 저하)가 되거나, 아래턱이 튀어나온 형태(하악골의 과다성장)등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통 위턱의 성장이 끝나는 시기(사춘기)에 위턱 및 아래턱의 교정수술을 하게 되며, 이는 발육부전 되어있는 위턱을 앞으로 끌어내어 얼굴의 중간부분의 볼륨을 살려준다든지, 하악골을 뒤로 밀어서 턱이 작게 보이도록 한다든지 하는 과정을 말하며 이러한 턱 수술을 할 때 치아교정 치료를 동반하여 위아래 치열이 잘 맞도록 해 준다.
주걱턱인 경우, 치아의 맞물림이 좋지 않은 경우와 치아의 맞물림은 문제가 없는 경우의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엔 단순한 수술로 교정이 가능하지만 전자의 경우에만 반드시 수술과 교정이 필요하다. 주걱턱이 너무 심하여 교정만으로는 교합을 만족할 만큼 개선 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치아와 치조골이 있는 턱 전체를 뒤로 밀어주는 수술이 필요하며, 이는 주걱턱이라 불리는 경우 중에 가장 큰 수술이다. 물론 이 수술만으로는 부족하여 수술 전, 후에 반드시 치과적인 교정치료도 필요하다.
즉, 입술 입천장 갈림증 및 주걱턱은 이틀뼈의 연속성 단절로 고전적인 방식의 교정치료를 이용한 치아 이동이 불가능하며, 수술 후 반흔 조직으로 인한 위턱의 횡적 부조화가 동반된 부정교합 발생하며, 수술 후 위턱뼈의 전방성장 저하로 인한 중간얼굴 성장 장애 발생이 일어난다.
기형환자 및 외상으로 인한 무치악환자의 얼굴 및 치열 재건을 위한 치료법으로서, 치아의 횡적, 전후방적인 치아의 이동을 위해 이틀뼈신장술 또는 확장술과 같은 수술 또는 보철 수복을 위한 교정치료가 요구된다.
상술한 턱얼굴기형 환자 특징 및 결손 환자의 외과적 치료법으로서, 선천성 및 후천성 기형이 있는 아래턱에서 아래턱뼈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골절단 위치나 각도 등에 의하여 신장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얼굴과 교합을 얻을 수 있다. 이를위해서는 턱뼈신장장치 (Jaw bone distractor)가 필요한데, 턱뼈신장장치는 구강외 신장장치와 구강내 신장장치로 대별할 수 있다.
구강외 신장장치는 턱뼈신장장치가 구강외에 장착되어 피부밖에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장치로, 장착의 간단함, 조작의 용이성, 신장 방향 조절 가능 등의 장점이 있으나, 사회생활을 하는데 불편하고 영구적인 얼굴의 흉터를 남길 가능성 등의 단점이 있다.
구강내 신장장치는 턱뼈신장장치가 구강내에 장착되는 장치로, 최근 구강외 장치의 단점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강내 신장장치도 조절부분이 외부에 있기 때문에 심미적인 부분, 생활에 불편한 부분, 합병증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야기되다.
의료기기와 외과 술식의 발전에 따라, 턱얼굴 부위에서의 수술을 통한 교정치료 방법이 다양해졌으며, 이러한 방법 중 뼈신장술은 위턱뼈나 아래턱뼈의 수평적? 수직적 길이를 신장하거나 악궁을 넓히는데 사용해 오고 있다. 그러나, 이틀뼈에서는 주로 수직적인 뼈신장기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수평적인 뼈신장은 뼈신장장치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임상적 응용에 제약이 되어 왔다.
최근들어 뼈신장술 시행시, 뼈신장 방식이 주위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지속적인 힘 (continuos force), 단속적이면서 지속적인 힘 (interrupted-continuous force), 간헐적인 힘 (intermittent) 등이 뼈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분석이 보고되고 있으나, 신장장치의 기계적인 한계성으로 정밀한 힘에 대한 제어가 어려워 객관적인 자료가 부족하다. 그리 고, 뼈신장술 시행시, 외부제어가 필요한 뼈신장기의 특성상 외부 돌출부위의 감염으로 인해 염증 및 피부반흔이 생기는 등 합병증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보다 정밀하게 제어되며, 외부 돌출되지 않아 합병증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턱뼈 신장기가 요망된다.
일반적으로 현재 제품화되고 있는 뼈신장장치는 대부분 수직적으로 손실된 뼈의 회복을 위한 수직적인 뼈신장술과 관련된 것으로, 교정치료 영역에서 사용가능성이 높은 수평적인 이틀뼈의 이동장치는 거의 전무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수직적인 뼈신장술뿐만 아니라 수평적인 이틀뼈의 이동이 가능한 장치가 요망된다.
현재의 뼈신장술에 있어서, 재생 조직에 부적절한 신장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기형적 신생뼈 형성되며, 잘못된 치료 계획 수립, 수술 과정에서의 잘못, 장치의 잘못된사용에 기인하여 잘못된 신장 방향을 설정할 수 있으며, 과도한 연조직 신장으로 인한 주위 연조직의 손상이 일어나는 등 현재의 뼈신장술의 한계 및 합병증을 동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직적인 뼈신장술뿐만 아니라 수평적인 이틀뼈의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정밀하게 제어되되, 외부 돌출되지 않아 합병증을 일으킬 염려가 없으며, 자동 및 무선제어가 가능한 턱뼈 뼈신장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직적인 뼈신장술뿐만 아니라 수평적인 이틀뼈의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정밀하게 제어되되, 외부 돌출되지 않아 합병증을 일으킬 염려가 없으며, 자동 및 무선제어가 가능한 턱뼈 뼈신장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뼈 신장 장치는, 중앙부에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고정 장착하고 있는 엑츄에이터 장착부를 구비하며, 하부골에 장착되는 하부골 지지체; 상기 하부골과 연접되는 상부골에 장착되되, 상기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수나사부를 가지는 일축이 삽입되는 암나사부를 중앙에 구비하는 상부골 지지체;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골과 상기 상부골에 연접된 하부골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골과 하부골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이루어진 뼈 신장 장치에 있어서, 체외에 위치된 턱뼈신장 모니터부 또는 무선 리모콘에 의해 무선 제어되는 마이크로 엑츄에이터; 중앙부에 상기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고정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골에 장착되는 하부골 지지체; 상기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수나사부를 가지는 일축이 삽입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골에 장착되는 상부골 지지체; 상기 상부골 지지체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골 지지체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지지봉 통과홀을 관통하는 지지봉;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골 지지체는 상부골에 장착되게 하기위한 고정홀을 구비하는 상부골 접 속부를 구비하며, 하부골 지지체는 하부골에 장착되게 하기위한 고정홀을 구비하는 하부골 접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골 지지체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골 지지체의 좌우 양측을 관통하는 지지봉을 더 구비한다.
하부골 지지체의 지지봉 통과홀을 통과한 지지봉이 하부골 지지체의 끝부분에 위치괸 지지봉 고정부의 좌우 양측 홀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는 축이 나사산을 구비하며, 상기 축이 회전을 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는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초음파 모터로 이루어진다.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제어하고 구동시키는 회로수단으로, 하부골 지지체의 엑츄에이터 장착부의 아래이면서, 지지봉 고정부의 위에 위치되는 엑츄에이터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엑츄에이터 제어부는, 외부에 위치된 뼈신장 모니터부 또는 무선 리모콘에 의해 전송된 엑츄에이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엑츄에이터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한다.
엑츄에이터 제어부는,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구동 상태, 상부골과 하부골의 이격상태를 뼈신장 모니터부로 무선 전송한다.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는 압전 세락믹 기둥과 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은 상기 압전 세락믹 기둥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기 축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축은 회전을 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압전 세락믹 기둥은 그 외부를 둘러싸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 외측의 일측에는 신호전송선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뼈 신장 장치는 턱뼈의 뼈 신장 장치이다.
상악골의 귀밑에 상부골 지지체를 장착하고, 상기 상악골과 연접된 하악골에 하부골 지지체를 장착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골과 상기 상부골에 연접된 하부골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골과 하부골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이루어진 뼈 신장 시스템에 있어서, 하부골에 장착되되 중앙부에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고정 장착하고 있는 하부골 지지체와, 상부골에 장착되되 상기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수나사부를 가지는 일축이 삽입되는 암나사부를 중앙에 구비하는 상부골 지지체를 포함하며, 체내에 위치되는 뼈 신장 장치; 체외에 위치되며, 상기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엑츄에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턱뼈신장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뼈신장 모니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턱뼈신장장치는 뼈신장 모니터부에 의해 전송된 엑츄에이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엑츄에이터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하여 상부골과 하부골을 소정의 이격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턱뼈신장장치는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구동 상태, 상부골과 하부골의 이격상태를 뼈신장 모니터부로 무선 전송한다.
상기 뼈 신장 장치는 턱뼈의 뼈 신장 장치이다.
본 발명의 턱뼈 신장기는, 수직적인 뼈신장술뿐만 아니라 수평적인 이틀뼈의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정밀하게 제어되되, 외부 돌출되지 않아 합병증을 일으킬 염려가 없으며, 자동 및 무선제어가 가능하다.
기존의 뼈신장기가 피부를 뚫고 밖으로 노출되도록 되어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Micro-Actuator-Generated Distractor (MAGD)를 이용하여 완전한 구강내 장착이 가능하여 수술후 심미적인 장점을 가진다.
기존의 뼈신장기가 하루에 1~2회씩 환자 보호자의 직접적인 장치 활성화에 의하여 뼈신장이 이루어졌다면, 본 발명에서의 MAGD를 이용한 뼈신장기는 원격조종으로 이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행할 수 있어, 조작성 (manipulation) 및 편의성 (convenience)을 가진다.
본 발명의 턱뼈 신장기는 신장/ 압축의 반복이 가능하며, 순환 인장 변형 (cyclic tensile strain)이 가능하며, 간헐적인 힘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힘(continuous force)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턱뼈 신장기는 마이크로미터 단위로의 뼈신장이 가능하여, 정밀성 (precision)이 뛰어나며, 기존의 턱뼈 신장기가 가지고 있는 외부로 노출되어있는 장치의 일부분이 사라지면서 외부 창상에 대한 감염 위험성, 즉 합병증이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의 턱뼈 신장기는 무선으로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여, 한국인에게 적합한 구내 마이크로 엑츄에이터(Micro-Actuator) 구동형 뼈신장기 개발을 위 한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다. 즉,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실제해부 및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여 정확한 계측값을 제시하여,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이용한 뼈신장기 개발의 외형 디자인 자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인에게 적합한 턱뼈 신장기를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턱뼈 신장기는 임상 적용시, 시술후부작용 감소 및 수술 예후를 좋게 하며, 부작용에 의한 의학적, 법적 분쟁으로 인한 사회비용 감소 효과를 가져오며, 환자의 의료비 절감을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턱뼈 신장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고 도 2는 도 1의 턱뼈 신장 장치의 일예로서, 상부골 지지체(100), 하부골 지지체(200), 지지봉(130), 지지봉 고정부(190),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 엑츄에이터 제어부(350)로 이루어진다.
상부골 지지체(100)는 상부골에 장착되는 지지체로, 엑츄에이터 삽입부(110)와 상부골 접속부(120)로 이루어진다.
엑츄에이터 삽입부(110)는 상부골 지지체(100)의 중앙부에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가 삽입시키기위한 수단으로, 그 외측 좌우 양측에 상부골 접속부(120)를 구비한다. 엑츄에이터 삽입부(110)는 그 내측 좌우 양측에 지지봉(130)의 일단에 형성된 수나사와 지지봉 고정부(135)의 암나사와 결합하여 고정 장착하고 있으며, 그 중앙부에 암나사부(160)를 구비한다. 암나사부(160)에는 마이크로 엑츄에이 터(300)의 한 축의 수나사부(310)가 삽입되어진다.
상부골 접속부(120)는 상부골에 상부골 지지체(100)를 장착하기위한 수단으로, 나사 등의 고정구를 장착하기위한 고정홀(140)을 구비한다.
하부골 지지체(200)는 하부골에 장착되는 지지체로, 엑츄에이터 장착부(210)와 하부골 접속부(220)로 이루어진다.
엑츄에이터 장착부(210)는 하부골 지지체(200)의 중앙부에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를 고정 장착하기위한 수단으로, 그 외측 좌우 양측에 하부골 접속부(220)를 구비한다. 엑츄에이터 장착부(210)는 그 내측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지지봉 통과홀(280)에 지지봉(130)이 통과되며, 그 중앙부에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를 고정 장착하고 있다.
하부골 접속부(220)는 하부골에 하부골 지지체(200)를 장착하기위한 수단으로, 나사 등의 고정구를 장착하기위한 고정홀(240)을 구비한다.
지지봉(130)은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가 장착된 하부골 지지체(200)의 가이드 레일과 같은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서, 지지봉(130)은 2개로 이루어지며, 상부골 지지체(100)의 엑츄에이터 삽입부(110)의 내측 좌우 양측에 고정 장착되어, 하부골 지지체(200)의 엑츄에이터 장착부(210)의 내측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지지봉 통과홀(280)을 통과하며, 그 후에 지지봉 고정부(190)에 의해 2개의 지지봉(130)이 서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지지봉 고정부(190)는 지지봉(130)의 일단을 소정 구간 이격하여 고정하기위한 고정수단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봉 고정부(190)는 하부골 지지체(200)와 일 체화되어 질 수 있다.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는 나사산을 구비한 축이 회전을 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액츄에이터로, 하부골 지지체(200)의 엑츄에이터 장착부(210)에 장착되며, 그 축이 상부골 지지체(100)의 엑츄에이터 삽입부(110)의 암나사부(160)에 삽입된다.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는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초음파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엑츄에이터 제어부(350)는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를 제어하고 구동시키는 회로를 구비한 수단으로, 하부골 지지체(200)의 엑츄에이터 장착부(210)의 아래이면서, 지지봉 고정부(190)의 위에 위치되되,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의 구동에 방해가 안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엑츄에이터 제어부(350)는 외부에 위치된 뼈신장 모니터부(20) 또는 무선 리모콘(30)에 의해 전송된 엑츄에이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엑츄에이터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현재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의 구동 상태, 상부골과 하부골의 이격상태 등을 뼈신장 모니터부(20)로 무선 전송한다.
도 3은 도 2의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의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는 압전 세락믹 기둥과 축을 구비한다.
상기 축은 압전 세락믹 기둥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기 축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축은 회전을 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압전 세락믹 기둥은 그 외부를 둘러싸는 커버부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 외측의 일측에는 신호전송선(309)이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제작된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일예로, 도 4의 (a)는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설명도이며, 도 4의 (b)는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일예이다.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는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초음파 모터로서, 도 3의 (a)와 같이, 수나사산을 구비한 축이 회전을 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지되, 축은 약 2φ에 약 20mm의 길이를 갖으며, 압전세락믹(piezo meterial) 기둥의 커버가 약 4.5φ에 약 17mm으로, 이들 수치는 단지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의 일예를 설명하기위한 것으로, 이들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도 5는 도 1의 턱뼈 신장 장치의 사용상태도의 예이다.
상악골의 귀밑에 상부골 지지체(100)를 장착하고, 상기 상악골과 연접된 하악골에 하부골 지지체(200)를 장착하며, 외부에 위치된 턱뼈 신장 모니터 또는 무선 리모콘에 의해 전송된 엑츄에이터 제어신호를 엑츄에이터 제어부(350)는 수신하고 이에 따른 엑츄에이터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를 구동 제어한다. 즉, 이에 따라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는 상부골 지지체(100)를 장착된 상악골과, 하부골 지지체(200)가 장착된 하악골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거나 결합시킨다.
도 6은 도 1의 턱뼈 신장 장치를 구비하는 턱뼈 신장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턱뼈 신장 시스템은 턱뼈신장장치(10), 뼈신장 모니터부(20), 리모콘(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서 리모콘(30)은 생략되어질 수 있다.
뼈신장 모니터부(20)는 상부골과 하부골의 이격 정도로부터 연산처리하여 엑 츄에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엑츄에이터 제어신호를 턱뼈신장장치(10)로 무선 전송한다.
경우에 따라서 뼈신장 모니터부(20)는 환자의 턱뼈신장장치(10)가 장착된 상태를 영상장치들로 부터 촬영하여 전송된 영상신호 (예를들어 초음파 영상신호, X-ray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턱뼈신장장치(10)는 뼈신장 모니터부(20) 또는 무선 리모콘(30)에 의해 전송된 엑츄에이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엑츄에이터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를 구동 제어하여 상부골과 하부골을 소정의 이격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턱뼈신장장치(10)는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의 구동 상태, 상부골과 하부골의 이격상태 등을 뼈신장 모니터부(20)로 무선 전송한다.
리모콘(30)은 의사의 기동성을 높이기위한 리모콘으로, 뼈신장 모니터부(20)의 일부 기능을 구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 가능하다. 리모콘(30)은 상부골과 하부골의 이격 정도로부터 연산처리하여 엑츄에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엑츄에이터 제어신호를 턱뼈신장장치(10) 및 뼈신장 모니터부(20)로 무선 전송한다.
도 7은 도 1의 턱뼈 신장 장치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이다. 턱뼈 신장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제조되어진다.
상부골 지지체와 지지봉 결합단계로, 상부골 지지체(100)의 엑츄에이터 삽입부(110)의 양측에 위치된 지지봉 고정부(135)의 암나사와 지지봉(130)의 일단에 형성된 수나사가 결합하여 고정된다.
하부골 지지체에 엑츄에이터 고정단계로, 하부골 지지체(200)의 엑츄에이터 장착부(210)의 중앙부에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고정장착한다.
엑츄에이터 제어 장착단계로, 하부골 지지체(200)의 엑츄에이터 장착부(210)의 아래이면서, 지지봉 고정부(190)의 위에 위치되되, 마이크로 엑츄에이터(300)의 구동에 방해가 안되는 위치에 엑츄에이터 제어부(350)를 장착하고, 하부골 지지체(200)위를 하부골 지지체 커버(219)로 덮는다.
하부골 지지체와 지지봉 결합단계로, 상기 상부골 지지체와 지지봉 결합단계에서 상부골 지지체(100)와 결합된 지지봉(130)을 하부골 지지체(200)의 지지봉 통과홀(280)을 통과 시킨 후, 지지봉 고정부(190)의 홀을 통과시켜 지지봉(130)들 사이 소정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상기 하부골 지지체에 엑츄에이터 고정단계에 의해 하부골 지지체에 고정 장착된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상부골 지지체(100)의 암나사부(160)에 삽입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턱뼈 신장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턱뼈 신장 장치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2의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턱뼈 신장 장치의 사용상태도의 예이다.
도 6은 도 1의 턱뼈 신장 장치를 구비하는 턱뼈 신장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의 턱뼈 신장 장치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이다.

Claims (17)

  1. 중앙부에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고정 장착하고 있는 엑츄에이터 장착부를 구비하며, 하부골에 장착되는 하부골 지지체;
    상기 하부골과 연접되는 상부골에 장착되되, 상기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수나사부를 가지는 일축이 삽입되는 암나사부를 중앙에 구비하는 상부골 지지체;
    를 적어도 구비하는 뼈 신장 장치에 있어서,
    상부골 지지체는 상부골에 장착되게 하기위한 고정홀을 구비하는 상부골 접속부를 구비하며,
    하부골 지지체는 하부골에 장착되게 하기위한 고정홀을 구비하는 하부골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장치.
  2. 상부골과 상기 상부골에 연접된 하부골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골과 하부골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이루어진 뼈 신장 장치에 있어서,
    체외에 위치된 턱뼈신장 모니터부 또는 무선 리모콘에 의해 무선 제어되는 마이크로 엑츄에이터;
    중앙부에 상기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고정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골에 장착되는 하부골 지지체;
    상기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수나사부를 가지는 일축이 삽입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골에 장착되는 상부골 지지체;
    상기 상부골 지지체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골 지지체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지지봉 통과홀을 관통하는 지지봉;
    을 적어도 구비하는 뼈 신장 장치에 있어서,
    상부골 지지체는 상부골에 장착되게 하기위한 고정홀을 구비하는 상부골 접속부를 구비하며,
    하부골 지지체는 하부골에 장착되게 하기위한 고정홀을 구비하는 하부골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골 지지체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골 지지체의 좌우 양측을 관통하는 지지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하부골 지지체의 지지봉 통과홀을 통과한 지지봉이 하부골 지지체의 끝부분에 위치괸 지지봉 고정부의 좌우 양측 홀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는 축이 나사산을 구비하며, 상기 축이 회전을 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는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초음파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제어하고 구동시키는 회로수단으로, 하부골 지지체의 엑츄에이터 장착부의 아래이면서, 지지봉 고정부의 위에 위치되는 엑츄에이터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엑츄에이터 제어부는, 외부에 위치된 뼈신장 모니터부 또는 무선 리모콘에 의해 전송된 엑츄에이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엑츄에이터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엑츄에이터 제어부는,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구동 상태, 상부골과 하부골의 이격상태를 뼈신장 모니터부로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는 압전 세락믹 기둥과 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은 상기 압전 세락믹 기둥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기 축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축은 회전을 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압전 세락믹 기둥은 그 외부를 둘러싸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 외측의 일측에는 신호전송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뼈 신장 장치는 턱뼈의 뼈 신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악골의 귀밑에 상부골 지지체를 장착하고, 상기 상악골과 연접된 하악골에 하부골 지지체를 장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장치.
  14. 상부골과 상기 상부골에 연접된 하부골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골과 하부골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이루어진 뼈 신장 시스템에서,
    하부골에 장착되되 중앙부에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고정 장착하고 있는 하부골 지지체와, 상부골에 장착되되 상기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수나사부를 가지는 일축이 삽입되는 암나사부를 중앙에 구비하는 상부골 지지체를 포함하며, 체내에 위치되는 뼈신장장치;
    체외에 위치되며, 상기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엑츄에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뼈신장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뼈신장 모니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뼈 신장 시스템에 있어서,
    뼈신장장치는 뼈신장 모니터부에 의해 전송된 엑츄에이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엑츄에이터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 엑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하여 상부골과 하부골을 소정의 이격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시스템.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뼈신장장치는 마이크로 엑츄에이터의 구동 상태, 상부골과 하부골의 이격상태를 뼈신장 모니터부로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뼈신장장치는 턱뼈의 뼈 신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신장 시스템.
KR1020090101241A 2009-10-23 2009-10-23 턱뼈 신장 장치 KR10115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241A KR101154612B1 (ko) 2009-10-23 2009-10-23 턱뼈 신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241A KR101154612B1 (ko) 2009-10-23 2009-10-23 턱뼈 신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521A KR20110044521A (ko) 2011-04-29
KR101154612B1 true KR101154612B1 (ko) 2012-06-08

Family

ID=4404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241A KR101154612B1 (ko) 2009-10-23 2009-10-23 턱뼈 신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2268B1 (en) 2011-05-12 2014-05-07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WO2013162107A1 (ko) * 2012-04-27 2013-10-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턱뼈 신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14767B1 (ko) 2015-06-05 2017-03-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턱뼈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제작장치
KR102146278B1 (ko) 2018-09-21 2020-08-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완전맞춤형 골신장술을 위한 골 신장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완전맞춤형 골신장장치 제작장치
KR102146292B1 (ko) 2018-09-21 2020-08-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맞춤형 골신장술을 위한 반조절성 골신장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골신장장치 제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4396A (en) 1993-03-29 1994-11-15 Robinson Randolph C Dis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2263128A (ja) 2001-03-12 2002-09-17 Koseki Ika Kk 上顎骨延長器
US6908469B2 (en) 2000-10-04 2005-06-21 Synthes (Usa) Compact maxillary distractor
US20090192514A1 (en) * 2007-10-09 2009-07-30 Feinberg Stephen E Implantable distraction osteogenesis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4396A (en) 1993-03-29 1994-11-15 Robinson Randolph C Dis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US6908469B2 (en) 2000-10-04 2005-06-21 Synthes (Usa) Compact maxillary distractor
JP2002263128A (ja) 2001-03-12 2002-09-17 Koseki Ika Kk 上顎骨延長器
US20090192514A1 (en) * 2007-10-09 2009-07-30 Feinberg Stephen E Implantable distraction osteogenesis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521A (ko) 201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069B1 (ko) 수면시의 일시호흡곤란 및 코골이 치료기구
JP5758396B2 (ja) 鼾及び睡眠時無呼吸を防止するための調節可能な口内下顎前進装置
KR101207130B1 (ko) 턱뼈 신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ardieu et al. Computer-assisted implant placement: scan template, simplant, surgiguide, and SAFE system.
KR101154612B1 (ko) 턱뼈 신장 장치
TWI763289B (zh) 齒列矯正牙套及其製造方法
US11589958B2 (en) Pharyngorofacial expander appliance and protocol
Ohkubo et al. Treatment of ankylosed maxillary central incisors by single-tooth dento-osseous osteotomy and alveolar bone distraction
KR20200103004A (ko) 개선된 상악골 확장기 및 전인장치
RU2648828C1 (ru) Способ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пациентов с дистальной окклюзией
US6918915B2 (en) Maxillary bone extensor
CN113520633A (zh) 齿列矫正牙套及其制造方法
RU2597281C1 (ru) Дистрак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RU23693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зоальвеолярного молдинга для пред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детей с врожденной одно/двухсторонней расщелиной губы и нёба
WO2013076693A1 (en) Transport distraction apparatus
JP2017532159A (ja) 下顎骨の成長を促す又は矯正する装置
WO2019046273A1 (en) MANDIBULAR DISTRACTION SYSTEM WITH CRANIAL ANCHORAGE
Okcu et al. Anterior segmental distraction of the hypoplastic maxilla by a tooth borne device: a study on the movement of the segment
KR101154618B1 (ko) 교정용 하악 유도 악기능 장치
KR102133083B1 (ko) 마우스피스
EP1274355B1 (en) Apparatus for intraoral distraction osteotomy to widen the lower jaw
TWI384966B (zh) 植牙導引模板及骨釘咬合***
AU2021100114A4 (en) An alveolar distractor
Giancotti et al. Clinical management in extraction cases using palatal implant for anchorage
CN113558794B (zh) 一种牙骨混合支持式外置口内牵张成骨器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