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213B1 - 자력에 의해 블록들간에 결합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 Google Patents

자력에 의해 블록들간에 결합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213B1
KR101153213B1 KR1020090112045A KR20090112045A KR101153213B1 KR 101153213 B1 KR101153213 B1 KR 101153213B1 KR 1020090112045 A KR1020090112045 A KR 1020090112045A KR 20090112045 A KR20090112045 A KR 20090112045A KR 101153213 B1 KR101153213 B1 KR 101153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agnet
circumference
toy block
en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147A (ko
Inventor
안경철
Original Assignee
안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철 filed Critical 안경철
Priority to KR1020090112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2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조립식 완구용 블록은 본체와 캡 및 자석을 구비한다. 본체의 외면에는 캡수용부가 함몰 형성되어 있다. 캡은 캡수용부를 폐쇄하는 덮개부와 덮개부로부터 캡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둘레부를 구비한다. 덮개부와 둘레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인 자석수용부에는 작은 크기의 자석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둘레부의 단부영역에는 둘레부로부터 내향 돌출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캡수용부의 바닥면에는 단부영역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삽입홈 내에 단부영역이 삽입됨에 따라 고정부가 삽입홈의 측벽에 의해 압축되어 고정부의 탄력에 의해 측벽을 가압함으로써 캡의 이탈이 방지된다. 고정부가 둘레부로부터 내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둘레부의 외경을 캡수용부의 내경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둘레부와 캡수용부간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블록의 외관 품위가 향상되고 이물질이 끼는 것이 방지된다.
자석, 완구, 블록, 캡, 이탈

Description

자력에 의해 블록들간에 결합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Built-up type toy blocks assembled themselves by magnetic force}
본 발명은 자석에 의해 블록들간에 결합되어 쉽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조립식 완구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완구 중 소위 레고(lego)라고 하는 적목식 완구가 상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적목식 완구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록들의 집합체로서, 이 블록들을 쌓아 원하는 형상을 만들 수 있도록 고안된 완구이다.
종래의 완구는 통상적으로 각 불록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요철구조의 결합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특정 형상을 이루도록 적목시킨 상태에서 동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요철구조의 결합부를 구비한 블록들은 일면에 요부가 형성되고 타면에 철부가 형성되도록 제작되므로, 최종 제작된 형상에서 요부와 철부가 외면에 노출되어 외관의 만족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예컨대 정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된 블록들의 각 면에 자석을 내설시켜 자석간의 자력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한 블록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자석의 경우 서로 상이한 자극끼리만 접합되고 동일한 자극끼리는 밀어내는 특성이 있어서 두 블록을 접합시키고자 할 때 동일 자극이 외측으로 노출된 면끼리의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블록 내에 내설된 자석이 자석 수용 공간 내에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두 블록의 접합면들 내의 자석들이 일시적으로 동일 자극을 갖도록 배치되더라도 어느 한 쪽이 상호간의 자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호 접합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완구도 제안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 는 이와 같은 회전형 자석을 구비한 조립식 완구 블록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한국특허 제0457305호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식 완구 중의 실시예들(동 공보상의 도 25 내지 도 28)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완구는, 정육면체 형상의 부품(10)의 일 면에 자석장착홈(120)을 형성하고, 자석장착홈(120) 내에 자석(110b)을 수용시킨 후 하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자석장착구(200a)를 자석장착홈(120)에 삽입하여 자석장착홈(120)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자석(110b)의 크기는 자석장착홈(120)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자석(110b)이 자석장착홈(120) 내에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부품(10)들을 상호 인접시키면 자석(110b)의 자력에 의해 자석(110b)들이 회전하여 상호 결합되는 자극 배치가 됨으로써 두 부품(10)이 접합된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자석장착구(200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석장착구(200a)가 덮개부(202)와 둘레부(201)로 구성되며, 둘레부(201)의 하 부에 고정쐐기부(251)로 구성된 고정수단(250)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한 것이다. 자석장착구(200a)를 자석장착홈(120)에 삽입하면 첨축형의 고정쐐기부(251)가 자석장착홈(120)의 바닥면에 압입됨으로써 자석장착구(200a)가 자석장착홈(120) 내에서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도 1 의 실시예에 비하여 자석장착구(200a)가 자석장착홈(20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 및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자석장착구(200a)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석장착구(200a)의 고정수단(250)이 고정쐐기부(251)와 함께 둘레부(201)의 외주면에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턱부(252a)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자석장착구(200a)를 자석장착홈(120)에 삽입하면 첨축형 고정쐐기부(251)가 자석장착홈(120)의 바닥면에 압입됨과 동시에 돌출턱부(252a)가 자석장착홈(120)의 내측벽 마련된 걸림홈에 걸리어 고정되고, 이에 따라 도 2 의 실시예에 비하여 자석장착구(200a)가 보다 견고하게 자석장착홈(120)에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완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 도 1 의 실시예에서는 자석장착구(200a)가 자석장착홈(120)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자석(110a)이 자석장착홈(120)으로부터 이탈되어 조립식 완구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함게 됨과 동시에, 주 사용 계층인 유아가 이탈된 자석(110b)을 부주의하게 삼키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도 2 의 실시예에서는 자석장착구(200a)의 이탈이 어느 정도 방지될 수는 있으나, 자석장착구(200a)의 고정력이 수직방향의 압입력에만 의존하므로 여전히 자석장착구(200a)가 이탈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자석장착구(200a)를 외부에서 가압할 경우 자석장착홈(120) 내에 자석장착구(200a)가 더욱 깊이 압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석장착구(200a)의 덮개부(202)가 부품(1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단차진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제품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고 완성도가 떨어지는 느낌을 주게 된다.
- 도 3 및 4 의 실시예에서는 자석장착구(200a)의 이탈이 보다 견고하게 방지되나, 도 2 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자석쐐기부(251)가 구비됨으로써 자석장착구(200a)가 외력에 의해 압입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더욱이, 도 3 및 4 의 실시예의 경우 둘레부(201)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턱부(252a)로 인하여 제품의 외관 품질이 더욱 저하될 우려가 있다. 즉, 자석장착구(200a)의 둘레부(201) 외측면과 자석장착홈(120)의 내벽면 사이에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둘레부(201)의 외경과 자석장착홈(120)의 내경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제작되어야 하는데, 돌출턱부(252a)가 둘레부(201)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돌출턱부(252a)를 포함한 자석장착구(200a)가 자석장착홈(120)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석장착구(200a)의 둘레부(201) 자체의 외경은 자석장착홈(120)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자석장착구(200a)가 자석장착홈(12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틈이 벌어지게 되어 외관 품질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이 틈으로 이물질이 끼게 불결한 느낌을 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석장착홈 내에 자석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립식 완구에서, 자석장착구가 완구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구비하며, 자석장착구에 외력이 가해져도 자석장착구가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또한 자석장착구와 자석장착홈 사이에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제품의 외관 품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캡수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캡수용부 내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캡수용부를 폐쇄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상기 캡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둘레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와 상기 둘레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인 자석수용부를 구비한 캡; 및 상기 자석수용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자석수용부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자석수용부 내에서 자유 회동 가능한 자석;을 포함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을 제안한다.
여기에서, 상기 둘레부의 단부영역에는 상기 둘레부로부터 내향 돌출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수용부의 바닥면에는 그 폭이 상기 단부영역만의 두께보다는 넓고 상기 고정부를 포함한 상기 단부영역의 두께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부영역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삽입홈 내에 상기 단부영역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상기 삽입홈의 측벽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고정부의 탄력에 의해 상기 측벽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캡의 상기 캡수용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단부영역이 내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과 상기 고정부간의 거리는, 상기 캡이 상기 캡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의 외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하는 거리로 구성된다.
상기 캡의 상기 둘레부에는 상기 자석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자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내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둘레부의 일 부위가 내향 만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간의 거리는 상기 외면과 상기 바닥면간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캡이 상기 캡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외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캡수용부의 바닥면이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단부영역이 상기 삽입홈 내로 삽입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는 일 부분이 절취되어 개방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개방면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둘레부가 내측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에 의해 캡이 캡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 므로 캡의 이탈이 견고하게 방지된다. 이때 고정부가 캡의 둘레부로부터 내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둘레부의 외경을 캡수용부의 내경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둘레부와 캡수용부간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블록의 외관 품위가 향상되고 이물질이 끼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의 외표면이 본체의 외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게 됨과 동시에 덮개부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품의 외관 품위가 향상되고 내구력이 증대된다.
또한, 둘레부의 일부가 절취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캡과 캡수용부 내벽면간의 유격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완구용 블록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완구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록(300)을 수십 내지 수백 개 구비한 하나의 세트로서 구성된다. 각각의 블록(300)은 예컨대 정육면체, 직육면체, 삼각뿔, 원통체, 절두원추형체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블록(300)이 각 형상 별로 다수 개씩 조합하여 하나의 세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 블록(300)의 본체(320) 외면에는 캡(340)이 설치되어 있고, 캡(340) 내측에는 자석(도 5 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내설되어 있다.
도 6 내지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용 블록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 은 블록 본체에 결합되는 캡의 사시도이고, 도 7 및 8 은 캡이 본체에 장착되기 전 및 후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조립식 완구용 블록(300)은 본체(320)와 캡(340) 및 자석(360)으로 구성된다.
본체(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본체(320)의 다양한 형상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고 자석(360)이 장착되는 부분을 위주로 도시하였으나, 본체(320)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각각의 본체(320)는 복수의 본체(320)들이 자력에 상호 접합된 후에 접합 상태의 유지가 용이하도록 본체 외면이 하나 이상의 평탄면(322)을 구비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평탄면(322)에는 캡수용부(324)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캡수용부(324)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캡수용부(324)의 형상은 이 외에도 직육면체의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캡(340)은 캡수용부(324)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가 캡수용부(324)의 상부 개구를 덮는 원형의 덮개부(341)로 구성되고 그 측면이 덮개부(341)로부터 캡수용부(324)의 내측 방향으로(도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둘레부(342)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341)와 둘레부(342)에 의하여 자석(360)이 수용되는 공간인 자석수용부(350)가 형성된다.
덮개부(341)는 본체(320)의 평탄면(322)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그 상면이 평탄면으로 구성된다. 둘레부(342)는 캡수용부(324)에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그 외경(w1)이 캡수용부(324)의 내경(w2)과 동일하게 제작된다.
자석(360)은 자석수용부(350)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자석수용부 (350)내에서 자유 회동 가능하게 놓인다. 자석(360)의 형상은 구형, 원통형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측방으로 N극과 S극이 측방으로 배치되는 원통형 자석(360)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원통형 자석(360)은 도면상에서 수직방향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자석수용부(35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캡(340)의 둘레부(342)의 하단부 영역(345)에는 둘레부(342)로부터 내향 돌 출된 고정부(346)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346)는 하단부 영역(345)이 내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며, 그 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캡수용부(324)의 바닥면(332)에는 둘레부(342)의 하단부 영역(345)이 삽입되는 삽입홈(334)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334)은 그 폭이 둘레부(342)의 하단부 영역(345)의 두께보다는 넓고 고정부(346)를 포함한 하단부 영역(345)의 두께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삽입홈 (334) 내에 하단부 영역(345)이 삽입됨에 따라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46)가 삽입홈(334)의 측벽에 의해 압축되어 고정부(346)의 탄력에 의해 측벽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캡(340)이 캡수용부 (3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캡수용부(324)의 바닥면(332)이 삽입홈(334)과 연결되는 부위는 둘레부(342)의 하단부 영역(345)이 삽입홈(334)으로 삽입될 때 이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337)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부(341)와 고정부(346)간의 거리(h3)는, 평탄면(322)과 삽입홈(334) 저면간의 거리(h4)와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여, 캡(340)이 캡수용부(324)에 수용된 상태에서 덮개부(341)의 외표면이 평탄면(322)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캡(340)의 둘레부(342)의 상하방향상의 중간 부위에는 자석수용부(350)에 수용된 자석(3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352)가 내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352)는 둘레부(342)의 일 부위가 내향 만곡되도록 성형된다. 자석(360)은 외력에 의하여 이탈방지부(352) 내측으로 압입되어 자석수용부(350)에 수용되며, 자석수용부(350)에 수용된 자석(360)은 이탈방지부(352)에 걸리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덮개부(341)와 이탈방지부(352)간의 거리(h1)는 평탄면(322)과 바닥면(332)간의 거리(h2)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캡(340)이 캡수용부(324)에 수용된 상태에서 덮개부(341)가 평탄면(322)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한편, 캡(340)의 둘레부(342)는 일 부분이 절취되어 개방면(3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방면(348)은 네 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둘레부(342)는 실질적으로는 덮개부(341)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된 네 개의 스커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완구용 블록(300)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 고정부(346)에 의해 캡(340)이 캡수용부(324)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캡(34)의 이탈이 견고하게 방지된다.
- 캡(34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346)가 둘레부(342)로부터 내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둘레부(342)의 외경을 캡수용부(324)의 내경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둘레부(342)와 캡수용부(324)간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블록(300)의 외관 품위가 향상되고 이물질이 끼는 것이 방지된다.
- 덮개부(341)와 고정부(346)간의 거리(h3)를 평탄면(322)과 삽입홈(334) 저면간의 거리(h4)와 일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덮개부(341)의 외표면이 평탄면(322) 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또한, 고정부(346)의 하측 단부가 도 3 및 4 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와는 달리 날카로운 첨축부로 구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삽입홈(334)의 바닥에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덮개부(341)에 캡수용부(324) 내측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덮개부(341)가 압입에 의해 함몰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외관 품위가 향성되고 제품의 내구력이 증대된다.
- 덮개부(341)와 이탈방지부(352)간의 거리(h1)를 평탄면(322)과 바닥면(332)간의 거리(h2)와 동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덮개부(341)가 평탄면(322)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유지된다. 이때 덮개부(341)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방지부(352)의 탄성력에 의해 덮개부(341)의 위치가 복원되므로 외관 품위가 향상되고 제품의 내구력이 증대된다.
- 개방면(348)에 의해 둘레부(341)의 일부가 절취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캡(340)과 캡수용부(324) 내벽면간의 유격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즉, 도 1 내지 4 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에서는 둘레부(201)가 전 둘레 구간에 걸쳐 형성되므로 둘레부(201)의 외경이 수축될 여지가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구조에서는 둘레부(201)가 자석장착홈(120)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서는 둘레부(201)의 외경을 자석장착홈(120)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자석장착구(200a)와 자석장착홈(120)간의 유격이 발생되는 결과를 야기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둘레부(341)의 외경이 캡수용부(324)의 내경과 정확하게 일치하거나 다소 크더라도, 둘레부(341)의 외경이 수축될 여유가 충분하므로 둘레부(341)와 캡수용부(324)간의 유격 없는 부품 가공 이 가능하면서도 둘레부(341)가 캡수용부(324)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립성 및 외관 품위가 향상되고 이물질이 끼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 이탈방지부(352)에 의하여 자석(360)이 자석수용부(35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만약 캡(340)이 캡수용부(324)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자석(360)이 캡(34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자석(360)의 분실이나 유아가 부주의하게 자석(360)을 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용 블록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 도 6 내지 8 과 유사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부(352a)의 구성이 제 1 실시예에서와 상이하며 타 구성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이탈방지부(352a)는 제 1 실시예에서보다 곡률반경이 더 크도록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 1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부(352)가 둘레부(342)가 절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반원형으로 함몰된 형상에 가깝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탈방지부(352a)를 포함한 전체 캡(340)을 하나의 금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보다 쉬우므로 제작비가 절감된다는 추가의 장점이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352a)의 구조가 보다 큰 복원 탄성을 갖는 구조이므로, 캡(340)의 덮개부(341)가 외력에 의해 캡수용부(324) 내측으로 가압되더라도 원형으로 복원되는 복원력이 크게 된다. 따라서, 캡(340)의 함몰에 따른 외관 품위의 저하가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12 내지 14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용 블록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 도 6 내지 8 과 유사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부(352b)의 구성이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와 상이하며 타 구성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340)의 둘레부(342)는 그 일 부위가 개방되어 개방면(348)으로서 구성되는데, 이탈방지부(352b)는 개방면(348)이 형성된 부위의 둘레부(342)가 내측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캡(340)은 성형시에는 절곡된 형태의 이탈방지부(352b)는 성형하지 않고 둘레부(342)와 유사한 형태로 덮개부(341)로부터 하향 연정된 형태의 이탈방지부(352b)를 성형한 후, 이탈방지부(352b)를 캡(340)의 내측으로 외력에 의해 절곡시킴으로써 이탈방지부(352b)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이탈방지부(352b)가 절곡되는 부위는 절곡선 등을 미리 형성하여 절곡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절곡시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탈방지부(352b)가 최초 성형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지 않으므로 내향 돌출형 이탈방지부(352b)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비해 저가의 금형으로 제품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 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 는 종래의 조립식 완구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완구용 블록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용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용 블록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2 내지 14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용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9)

  1. 외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캡수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캡수용부 내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캡수용부를 폐쇄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상기 캡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둘레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와 상기 둘레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인 자석수용부를 구비한 캡; 및
    상기 자석수용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자석수용부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자석수용부 내에서 자유 회동 가능한 자석;
    을 포함하며,
    상기 둘레부의 단부영역에는 상기 둘레부로부터 내향 돌출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수용부의 바닥면에는, 그 폭이 상기 단부영역만의 두께보다는 넓고 상기 고정부를 포함한 상기 단부영역의 두께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부영역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삽입홈 내에 상기 단부영역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상기 삽입홈의 측벽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고정부의 탄력에 의해 상기 측벽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캡의 상기 캡수용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단부영역이 내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과 상기 고정부간의 거리는, 상기 캡이 상기 캡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의 상기 외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기 둘레부에는 상기 자석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자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내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둘레부의 일 부위가 내향 만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간의 거리는 상기 외면과 상기 바닥면간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캡이 상기 캡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외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수용부의 바닥면이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단부영역이 상기 삽입홈 내로 삽입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일 부분이 절취되어 개방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에는 상기 자석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자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내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개방면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둘레부가 내측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KR1020090112045A 2009-11-19 2009-11-19 자력에 의해 블록들간에 결합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KR101153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045A KR101153213B1 (ko) 2009-11-19 2009-11-19 자력에 의해 블록들간에 결합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045A KR101153213B1 (ko) 2009-11-19 2009-11-19 자력에 의해 블록들간에 결합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147A KR20110055147A (ko) 2011-05-25
KR101153213B1 true KR101153213B1 (ko) 2012-06-18

Family

ID=4436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045A KR101153213B1 (ko) 2009-11-19 2009-11-19 자력에 의해 블록들간에 결합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2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045A (ko) * 2015-08-27 2017-07-17 탐, 콕 포 펄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완구 블록
KR20180046287A (ko) * 2016-10-27 2018-05-08 (주)브레인숲 자석 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WO2020205787A1 (en) * 2019-04-02 2020-10-08 Tegu Magnet holder and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23Y1 (ko) * 2011-06-21 2013-09-06 최소영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429Y1 (ko) 2005-08-05 2005-10-24 윤봉석 1면 다극 자석과 자력차단판이 결합된 자석 완구
KR20080001626U (ko) * 2006-12-04 2008-06-10 김동완 블록완구용 고정핀 및 회전자석
KR20080069381A (ko) * 2007-01-23 2008-07-28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자석 장착용 캡을 이용한 자석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429Y1 (ko) 2005-08-05 2005-10-24 윤봉석 1면 다극 자석과 자력차단판이 결합된 자석 완구
KR20080001626U (ko) * 2006-12-04 2008-06-10 김동완 블록완구용 고정핀 및 회전자석
KR20080069381A (ko) * 2007-01-23 2008-07-28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자석 장착용 캡을 이용한 자석완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045A (ko) * 2015-08-27 2017-07-17 탐, 콕 포 펄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완구 블록
KR101961865B1 (ko) 2015-08-27 2019-03-25 탐, 콕 포 펄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완구 블록
KR20180046287A (ko) * 2016-10-27 2018-05-08 (주)브레인숲 자석 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WO2020205787A1 (en) * 2019-04-02 2020-10-08 Tegu Magnet holder and system
US11547948B2 (en) 2019-04-02 2023-01-10 Tegu Magnet holder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147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0621B2 (ja) 玩具組立要素
KR101153213B1 (ko) 자력에 의해 블록들간에 결합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US6702642B1 (en) Body for use in a toy set
EP2380642A1 (en) Toy top
JP5226858B2 (ja) おもちゃブロック、おもちゃブロック接続要素、およびおもちゃブロックを製造するためのおもちゃブロック要素
JP6488726B2 (ja) 転がり軸受、及び、樹脂製保持器の製造方法
TWI430829B (zh) Blocks of blocks
KR100858698B1 (ko) 자석 장착용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자석완구
KR100858697B1 (ko) 자석 장착용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자석완구
KR101994409B1 (ko) 소마큐브 조립구조
US20140100060A1 (en) Golf ball marker
JP3151712U (ja) コマ玩具
JP6644301B1 (ja) 飲用ストロー
KR101595204B1 (ko) 이중 위변조 방지 기능을 구비한 카드 케이스
KR200371289Y1 (ko) 조립식 소마퍼즐
JP3122345U7 (ko)
KR102028759B1 (ko) 수지성형품 및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
KR200183663Y1 (ko) 체인 블록완구
JP7058546B2 (ja) 蓋付き容器
JP2023083712A (ja) 容器の結合構造、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2000079788A (ja) クリップ付き筆記具
WO2020230428A1 (ja) 組立式ボール
JP2010218909A (ja) 扁平形電池用のガス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扁平形電池
KR200361253Y1 (ko) 다기능 완구용 캡슐
KR20060117658A (ko) 조립완구용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