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902B1 - 정량적인 스테로이드 인식 기술을 이용한 머리카락 시료 간 대사 차별성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정량적인 스테로이드 인식 기술을 이용한 머리카락 시료 간 대사 차별성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902B1
KR101152902B1 KR1020100096995A KR20100096995A KR101152902B1 KR 101152902 B1 KR101152902 B1 KR 101152902B1 KR 1020100096995 A KR1020100096995 A KR 1020100096995A KR 20100096995 A KR20100096995 A KR 20100096995A KR 101152902 B1 KR101152902 B1 KR 101152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steroid
steroid hormone
concentration
biometaboli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471A (ko
Inventor
최만호
정봉철
정현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9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9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90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Endocri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된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농도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여 각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뿐만 아니라 그들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활성을 동시에 측정, 비교할 수 있는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량의 머리카락으로부터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을 효과적으로 추출 및 분석은 물론 대사에 관여하는 스테로이드 간의 비율을 나타냄으로서 총체적인 대사분포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대사와 관련 있는 내분비질환 및 생물학적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탈모 관련 질환에 대하여 그 응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량적인 스테로이드 인식 기술을 이용한 머리카락 시료 간 대사 차별성 평가 방법{Evaluation of metabolic differences between hair samples by quantitative steroid signature}
본 발명은 측정된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농도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여 각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뿐만 아니라 그들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활성을 동시에 측정, 비교할 수 있는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석 대상물질인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은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전구물질로 하여 다양한 효소의 작용을 통해 합성되어지는 남성호르몬(androgen), 여성호르몬(estrogen), 황체호르몬(progestin), 부신피질호르몬(corticoid), 그리고 스테롤(sterol)등을 포함한다. 내분비계를 조절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그들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결핍(enzyme deficiency) 또는 과잉(excess)등에 의한 생물학적 변화가 생기면 질환이 발생하게 되는데, 최근 특정 생리, 병리적 상태에서 관련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변화를 분석한 후, 이것을 생리적 기능과 연관지어 해석함으로써 질환 발병의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머리카락의 모근세포에는 스테로이드 대사와 관련된 다양한 효소와 수용체들이 존재하며, 머리카락의 성장과 탈모 등에 관여된다. 머리카락은 장기간 동안 성장하기 때문에 소급해서 증명하거나 측정할 경우 상당한 정확성을 갖는 중요한 생체시료이다. 따라서 최근 머리카락에 포함되어 있는 대사산물의 분석은 건강상태와 병의 조기진단과 같은 생리학적 정보를 포함하는 유용한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으며[J. Invest. Dermatol., 2001, 116: 57-61; Clin. Chem., 2001, 47: 143-144], 소변 및 혈액과 같은 생체 내 다른 시료들과는 달리 채취 및 보관방법이 용이하다는 큰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머리카락에 대한 분석은 과거의 건강상태를 반영하지 않는 혈액과 소변에 의한 검사의 보완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분석은 한 번의 시료 전처리로 광범위한 종류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동시에 추출 및 분석하기 보다는 대상 질환과 관련되는 특정 스테로이드 호르몬만을 제한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지만,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질환 또는 생물학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총체적인 대사경향의 파악이 요구된다. 이러한 방법은 체내 각 기관으로부터 생성 및 분비되는 다수의 화합물들을 동시에 정량 및 확인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합물들 간의 상대적 농도 비율의 변화를 통한 관련 효소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Endo . J., 2003, 50: 783-792; Endocrinology, 2007, 148: 2505-2517].
머리카락 내의 스테로이드 분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염기 가수분해를 이용한 추출법은 고전적인 방법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일부의 스테로이드의 분석에서 제한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머리카락 시료 내에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총체적인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동시에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그와 관련된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최적화된 분석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량의 머리카락을 사용하여 초음파 분해법(sonication)을 통해 27 종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동시에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을 고체상 추출과정을 통해 재추출한 후, 트리메틸실릴 유도체화 과정을 거쳐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양과 그들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활성을 동시에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여 시료군 간 차별성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상대적 농도 및 그 비율을 측정하고 시료군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생리적 기능과 연관지어 해석함으로서 질환 발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머리카락을 초음파 분해하여 남성호르몬, 황체호르몬, 스테롤 및 부신피질호르몬을 포함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을 동시에 추출하는 단계;
친유성과 친수성을 갖는 공중합체 흡착제로 상기 생체 대사산물로부터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재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재추출물을 트리메틸실릴 유도체화시키고,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를 포함하는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검출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검출방법을 통하여 얻은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농도를 통계적 방법으로 비교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차별성 분석방법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량의 머리카락으로부터 고전적인 추출법인 염기 가수분해 방법을 통해 분석되기 어려웠던 부신피질호르몬을 포함한 전반적인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을 효과적으로 추출 및 분석은 물론 대사에 관여하는 스테로이드 간의 비율을 나타냄으로서 총체적인 대사분포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대사와 관련 있는 내분비질환 및 생물학적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탈모 관련 질환에 대하여 그 응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농도 측정을 위한 시료의 처리 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성인 남자 36명을 대상으로 머리카락 내에 존재하는 27종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스테로이드 배열형태로 도식화한 것이다. 가로축은 36명에 해당하는 사람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27종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해당하는 각각의 화합물을 나타내므로, 세로방향으로의 데이터는 각각의 사람들에 대한 호르몬 정보를 나타낸다.
도 3은 남성형 탈모 환자와 정상인의 머리카락으로부터 차별화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농도를 도식화한 결과이다.
도 4는 남성형 탈모 환자와 정상인의 머리카락으로부터 스테로이드 대사 과정에서 차별화되는 효소들의 활성 차이를 생성체/전구체 비율의 도식화로 비교한 결과이다.
도 5는 정상 성인 여성 9명을 대상으로 머리카락 내에 존재하는 4종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를 측정하여 부위별 머리카락에 따른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 분포의 변화를 도식화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소량의 머리카락을 초음파 분해법을 통해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추출하여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스테로이드의 분포양상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도식화하여 스테로이드 호르몬 대사와 관련 있는 내분비질환 및 생물학적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되는 생체시료인 머리카락의 양은 1 ~ 100 mg이 바람직하며, 1 mg 보다 적을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들의 분석을 위한 검출한계에 문제가 있고, 100 mg 보다 클 경우에는 콜레스테롤과 같은 화합물의 검출농도가 지나치게 높을 뿐만 아니라 시료채취량이 많은 문제가 있다.
먼저, 초음파 분해법으로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을 추출한다. 초음파 분해법을 이용한 추출 시에 유기용매는 메탄올 또는 메탄올과 다이클로로메탄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 35 ℃ 이상의 온도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다.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충분히 추출하기 위해 초음파 분해 시간은 30분 ~ 120분이 적합하다. 이러한 초음파 분해법은 기존의 가수분해 방법[Analyst, 1999, 124: 1297-1300; Analyst, 2000, 125: 711-714]에서는 검출이 불가능한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석 또한 가능해진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들은 고체상 추출법으로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을 재추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생체 내에 존재하는 많은 화합물에 대해 회수율이 높고 재현성 있는 분석결과[Rapid Commun. Mass Spectrom., 2002, 16: 2221-2228]를 나타내며, 친유성과 친수성을 갖는 공중합체 흡착제인 Oasis HLB 카트리지를 사용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준비된 시료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통한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트리메틸실릴 유도체화 반응을 실시한 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로 분석, 그 농도를 측정한다.
상기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에서 얻어진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높이 비율을 표준물질의 농도와 비교하여 각 스테로이드들의 농도를 측정한 후, 시료군 간의 농도를 비교 확인하여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차별성을 분석한다.
특히, 계층적 군집 분석(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에 의해 개인별 머리카락에 존재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상대적인 농도의 분포양상을 도식화하여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차별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계층적 군집 분석은 군집들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군집들을 차례로 묶거나 먼 거리에 있는 군집들을 차례로 분리해 나감으로서 군집화가 이루어지는 분석 방법으로, 거리의 계산은 평균거리법 (average linkage)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계층적 군집 분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댄드로그램 (dendrogram)은 군집 간의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연관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열지도 (heat-map)의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농도 차이를 도식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 중 전구체와 생성체를 구분하고 생성체/전구체의 농도 비율을 계산하고 비교 확인하며, 상기 비율을 계층적 군집 분석을 사용하여 도식화함으로써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 산물의 차별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차별성의 분석에 의하여 탈모 질환 환자와 정상인의 시료 내 스테로이드 농도 및 생성체/전구체의 농도를 비교하면, 스테로이드 생체 대사에 관여하는 활성과 남성형 탈모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별성 분석 방법은 탈모 질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5β-디하이드로프로게스테론(5β-Dihydroprogesterone), 아이소프레그나놀론(Isopregnanolone), 에피테스토스테론(Epitestosterone), 라노스테롤(Lanosterol), 20α-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20α-hydroxycholesterol), 24S-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24S-hydroxycholesterol) 및 α-코톨론(α-Cortolone) 중에서 선택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5α-안드로스탄디온(5α-Androstanedione), 코티졸(Cortisol)/코티손(Cortisone),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Dihydroepiandrosterone)/17α-하이드록시프레그네놀론(17α-hydroxypregnenolone), 프레그나놀론(Pregnenolone)/5β-디하이드로프로게스테론(5β-dihydroprogesterone) 및 17α-하이드록시프레그네놀론(17α-hydroxypregnenolone)/프레그네놀론(Pregnenolone) 중에서 선택되는 생성체/전구체 농도 비율은 상기 탈모 질환과 유의성을 가지는 인자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분석
1) 초음파 분해법
채취된 머리카락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류수와 이소프로필알콜로 충분히 세척한 후 건조시킨 머리카락을 1 ~ 2 mm의 크기로 자른다. 시험관에 내부 표준물질(d 3-testosterone, 40 ng/mL; methyltestosterone, 400 ng/mL; d 6-cholesterol, 200 ng/mL; d 9-progesterone, 400 ng/mL; d 8-17a-OH-progesterone, 200 ng/mL)의 혼합용액 15 ㎕를 머리카락 30 mg 에 넣은 후, 0.5 mL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50 ℃에서 1시간동안 초음파 분해를 시켰다.
2) 고체상 추출법
상기 1)의 추출물에 5.5 mL의 0.2 M 소디움 아세테이트 완충용액(sodium acetate buffer)을 넣은 후, Oasis HLB 카트리지를 이용한 고체상 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Oasis HLB, 60 mg, Waters, Co., Milford, MA, USA]. 메탄올과 증류수를 각각 2 mL씩 2회 흘려주고 0.2 M 소디움 아세테이트 완충용액이 혼합된 상기 1) 시료를 흘려준 후, 불순물의 제거를 위해서 증류수 5 mL를 흘려주었다. 이 후 메탄올 2 mL로 2회 흘려주어 카트리지에 흡착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을 용출(elution)시키고, 이 용출액은 40 ℃에서 질소 기체를 이용하여 증발시켰다.
3)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상기 2)의 과정을 거친 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유도체화 방법을 적용하고자 MSTFA (N-methyl-N-trifluorotrimethylsilyl acetamide)/NH4I(ammonium iodide)/DTE(dithioerythritol) (500:4:2, v/w/w) 혼합용액 30 ㎕를 넣고 60 ℃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분석을 위해 질량분석기(Agilent사의 5975C Mass Selective Detector)를 연결한 기체 크로마토그래프(Agilent 7890 series Gas Chromatograph)를 이용하여 특성 이온만을 선택하여 검출하는 선택 이온 탐지법(selected ion monitoring, SIM)과 질량범위 m/z 50 ~ 700의 스캔모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분리는 용융실리카 모세관 컬럼(fused-silica capillary column)으로 Agilent 사의 Ultra-1을 사용하였다. 컬럼의 길이는 25 m, 내경은 0.2 mm, 그리고 필름두께가 0.33 ㎛이었으며, 운반기체인 헬륨의 유속은 1.0 mL/min이었다. 주입부의 온도는 280 ℃이었고, 시료 주입은 8:1의 분할 주입 방식(split mode)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시 온도 조건은 다음과 같다. 오븐의 시작온도는 215 ℃이고 1 ℃/min의 속도로 260 ℃까지 올린 후 마지막으로 15 ℃/min의 속도로 320 ℃까지 올린 후 1분 동안 유지시켰다. 이온화 방식은 전자 충격 방법(electron impact ionization, EI)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사용된 전자 에너지는 70 eV이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정량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선택 이온 탐지법(SIM)에서 대사산물들의 높이 비율을 표준물질의 높이비율과 비교하여 농도를 계산하였으며, 대사체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된 분석물질들의 기호, 질량 스펙트럼 상에서의 정량이온 및 분석컬럼 내에서의 머무름 시간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 기호 정량이온 (m/z) 머무름시간 (분)
남성호르몬
Dihydrotestosterone
Dehydroepiandrosterone
Testosterone
Epitestosterone
Androstenedione
Androsterone
Etiocholanolone
5α-Androstanedione

DHT
DHEA
T
Epi-T
A-dione
An
Etio
5α-dione

434
432
432
432
430
419
419
432

18.56
17.07
19.74
17.96
19.00
14.54
14.70
17.81
황체호르몬
Pregnenolone
5β-dihydroprogesterone
Pregnanolone
Isopregnanolone
Pregnanetriol
17α-hydroxypregnenolone

Preg
5β-DHP
P-one
Iso-p-one
P-triol
17α-OH-Preg

445
445
447
447
435
548

26.65
19.21
22.85
27.00
25.78
31.92
부신피질호르몬
Cortisol
Cortisone
Tetrahydrocortisol
Allotetrahydrocortisol
Tetrahydrocortisone
20a-Dihydrocortisone
β-Cortol
α-Cortolone

F
E
THF
Allo-THF
THE
20α-DHE


632
615
636
636
634
617
343
431

47.88
45.77
40.93
41.93
38.04
47.34
38.90
38.94
스테롤
Cholesterol
Desmosteroll
Lanosterol
24S-hydroxycholesterol
20α-hydroxycholesterol

Chol


24S-OH-Chol
20α-OH-Chol

443
343
393
413
461

40.83
42.14
47.62
49.06
48.03
실시예 2 : 스테로이드 호르몬 농도의 도식화
상기 1) ~ 3)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각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정량값을 통계 프로그램인 DecisionSite(version 9.1, Spotfire Inc., Palo Alto, CA, USA)을 사용하여 해당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농도를 개체별로 표준화한 후, 분포경향을 계층적 군집 분석(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여 상대적인 농도의 크기를 색상으로 표시하였으며, 붉은색은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파란색은 낮은 농도를 나타내며 흰색은 평균값을 의미한다. 성인 남자 36명에 대한 총 27종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를 도식화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냈다.
실시예 3 : 스테로이드 인식방법을 통한 남성형 탈모 환자시료 분석
상기 실시예 1과 2의 분석 및 도식화방법을 통하여 18명의 남성형 탈모(Male pattern baldness: MPB) 환자와 정상인 18명으로부터 머리카락 내의 27종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대사체들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들의 분포양상을 스테로이드 인식방법을 사용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총 27종의 스테로이드 중에서 남성형 탈모 환자와 정상인간의 농도가 통계적으로 차별성(P < 0.05)을 나타내는 것들을 Student's T-test 양측검정법을 사용하여 선별한 후, 이들을 도식화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통계적 차별성을 보이는 8종의 스테로이드 중,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5β-디하이드로프로게스테론(5β-Dihydroprogesterone) 및 아이소프레그나놀론(Isopregnanolone)의 스테로이드 3종은 남성형 탈모 환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에피테스토스테론(Epitestosterone), 라노스테롤(Lanosterol), 20α-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20α-hydroxycholesterol), 24S-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24S-hydroxycholesterol) 및 α-코톨론(α-Cortolone)의 스테로이드 5종은 정상인 머리카락에서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4 : 스테로이드 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의 도식화
남성형 탈모 환자와 정상인의 머리카락 내에 존재하는 스테로이드 농도를 대상으로, 하기 각 효소에 의해 전환되는 생성체와 전구체의 정량적인 비율을 통하여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정도를 평가하였고, 이를 도식화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냈다. 각 스테로이드간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종류는 하기 표 2와 같다.
생성체/전구체 관련효소
DHT/T 5α-reductase
5α-dione/A-dione 5α-reductase
17α-OH-Prog/17α-OH-Preg 3β-HSD
A-dione/DHEA 3β-HSD
An/5α-dione 3α-HSD
P-one/5β-DHP 3α-HSD
T/A-dione 17β-HSD
DHT/5α-dione 17β-HSD
EpiT/A-dione 17α-HSD
17α-OH-Preg/Preg 17α-Hydroxylase
DHEA/17α-OH-Preg 17, 20-Lyase
A-dioen/17α-OH-Prog 17, 20-Lyase
E/F 11β-HSD
THE/E 5β-reductase + 3β-HSD
THF/F 5β-reductase + 3β-HSD
도 4에서 총 15종의 생성체/전구체 농도 비율 중 DHT/T(5α-reductase), DHT/5α-dione(17β-HSD), F/E(11β-HSD) 및 DHEA/17α-OH-Preg(17,20-lyase)의 비율이 남성형 탈모 환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one/5β-DHP(3α-HSD)와 17α-OH-Preg/Preg(17α-hydroxylase)의 비율은 정상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5 : 머리카락 부위별 측정 농도 변화
상기 실시예 1의 검출방법을 통하여 성인 여자 9명으로부터 머리카락의 부위에 따른 머리카락 내의 대표적인 4종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콜레스테롤, 라노스테롤, 데스모스테롤, 프레그네놀론)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들의 분포양상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피에서 인접한 머리카락 부분(두피 ~ 3 cm)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농도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두피로부터 멀어진 끝부분의 머리카락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Claims (8)

  1. 머리카락을 초음파 분해하여 남성호르몬, 황체호르몬, 스테롤 및 부신피질호르몬을 포함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을 동시에 추출하는 단계;
    친유성과 친수성을 갖는 공중합체 흡착제로 상기 생체 대사산물로부터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재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재추출물을 트리메틸실릴 유도체화시키고,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검출방법.
  2. 두 시료군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차별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머리카락을 초음파 분해하여 남성호르몬, 황체호르몬, 스테롤 및 부신피질호르몬을 포함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을 동시에 추출하는 단계;
    친유성과 친수성을 갖는 공중합체 흡착제로 상기 생체 대사산물로부터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재추출하는 단계;
    상기 재추출물을 트리메틸실릴 유도체화시키고,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머리카락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농도를 비교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차별성 분석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 농도의 비교는 계층적 군집 분석(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방법으로 도식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차별성 분석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두 시료군 간 비교 확인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5β-디하이드로프로게스테론(5β-Dihydroprogesterone), 아이소프레그나놀론(Isopregnanolone), 에피테스토스테론(Epitestosterone), 라노스테롤(Lanosterol), 20α-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20α-hydroxycholesterol), 24S-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24S-hydroxycholesterol) 및 α-코톨론(α-Cortolone)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차별성 분석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농도의 비교 확인은 생체 대사산물 중 전구체와 생성체를 구분하고, 생성체/전구체의 농도 비율을 계산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차별성 분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체/전구체 농도 비율은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5α-안드로스탄디온(5α-Androstanedione), 코티졸(Cortisol)/코티손(Cortisone),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Dihydroepiandrosterone)/17α-하이드록시프레그네놀론(17α-hydroxypregnenolone), 프레그나놀론(Pregnenolone)/5β-디하이드로프로게스테론(5β-dihydroprogesterone) 및 17α-하이드록시프레그네놀론(17α-hydroxypregnenolone)/프레그네놀론(Pregnenolone)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차별성 분석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모 관련 질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와 정상인의 시료를 비교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차별성 분석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머리카락 중 두피로부터 3 cm 이하의 부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시료군 간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체 대사산물의 차별성 분석방법.

KR1020100096995A 2010-10-05 2010-10-05 정량적인 스테로이드 인식 기술을 이용한 머리카락 시료 간 대사 차별성 평가 방법 KR101152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995A KR101152902B1 (ko) 2010-10-05 2010-10-05 정량적인 스테로이드 인식 기술을 이용한 머리카락 시료 간 대사 차별성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995A KR101152902B1 (ko) 2010-10-05 2010-10-05 정량적인 스테로이드 인식 기술을 이용한 머리카락 시료 간 대사 차별성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471A KR20120035471A (ko) 2012-04-16
KR101152902B1 true KR101152902B1 (ko) 2012-06-07

Family

ID=4613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995A KR101152902B1 (ko) 2010-10-05 2010-10-05 정량적인 스테로이드 인식 기술을 이용한 머리카락 시료 간 대사 차별성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29B1 (ko) * 2012-10-30 2014-08-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머리카락 절편을 활용한 계절별 콜레스테롤류 변화 평가 기술
CN103336065A (zh) * 2013-01-15 2013-10-02 东南大学 一种同时提取和检测生物介质中多种激素及其代谢物的方法
KR102123287B1 (ko) * 2018-11-07 2020-06-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면봉으로 채취된 타액 내 부신피질호르몬 평가 방법
WO2020117993A1 (en) * 2018-12-05 2020-06-11 Medanswers, Inc. Detection of hormones in hair samples and other biological samp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1107A (ja) 2005-08-19 2007-03-01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2008540582A (ja) 2005-05-16 2008-11-20 アイランド・ラボラトリーズ・インク 毛髪成長の促進並びに毛髪及び頭皮の健康の改善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0582A (ja) 2005-05-16 2008-11-20 アイランド・ラボラトリーズ・インク 毛髪成長の促進並びに毛髪及び頭皮の健康の改善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051107A (ja) 2005-08-19 2007-03-01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471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setti et al.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determination and profiling of prohibited steroids in human biological matrices. A review
Keevil LC–MS/MS analysis of steroids in the clinical laboratory
Gao et al. LC–MS based analysis of endogenous steroid hormones in human hair
Kushnir et al.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for analysis of steroids in clinical laboratories
Shackleton Clinical steroid mass spectrometry: a 45-year history culminating in HPLC–MS/MS becoming an essential tool for patient diagnosis
Rauh Steroid measurement with LC–MS/MS. Application examples in pediatrics
Rauh et al. Automated, fast and sensitive quantification of 17α-hydroxy-progesterone, androstenedione and testosterone by tandem mass spectrometry with on-line extraction
Moon et al. Heat-map visualization of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based quantitative signatures on steroid metabolism
Rauh Steroid measurement with LC–MS/MS in pediatric endocrinology
Quinete et al. Highly selective and automated online SPE LC–MS3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ortisol and cortisone in human hair as biomarker for stress related diseases
Kotłowska et al. Urine metabolomics analysis for adrenal incidentaloma activity detection and biomarker discovery
Gomez-Gomez et al. Determination of steroid profile in hair by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KR101152902B1 (ko) 정량적인 스테로이드 인식 기술을 이용한 머리카락 시료 간 대사 차별성 평가 방법
Ouyang et al. A high throughput metabolomics method and its application in female serum samples in a normal menstrual cycle based on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ung et al.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based hair steroid profiling may reveal pathogenesis in hair follicles of the scalp
Fanelli et al. Revisiting hyper-and hypo-androgenism by tandem mass spectrometry
Qin et al. Parallel derivatization strategy coupled with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r broad coverage of steroid hormones
KR20120076051A (ko) 타액 중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정량 방법
Dong et al. A UHPLC-MS/MS method for profiling multifunctional steroids in human hair
KR101068993B1 (ko) 정량적인 스테로이드 인식 기술을 이용한 뇨 시료 간 대사 차별성 평가 방법
KR101950372B1 (ko) 스테로이드 대사 변화 분석 방법, 이에 따른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중독 예측방법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Hobo et al. Measurement of steroid hormones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with small amounts of hair
Vanaelst et al. Measurement of cortisol and cortisone in children's hair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andem mass spectrometry
Martinez‐Brito et al. Reference ranges for the urinary steroid profile in a Latin‐American population
WO2022049726A1 (ja) 胆汁酸類、ステロール類、及びホルモン類の分析方法及び分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