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764B1 -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764B1
KR101152764B1 KR1020090095456A KR20090095456A KR101152764B1 KR 101152764 B1 KR101152764 B1 KR 101152764B1 KR 1020090095456 A KR1020090095456 A KR 1020090095456A KR 20090095456 A KR20090095456 A KR 20090095456A KR 101152764 B1 KR101152764 B1 KR 101152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ot block
sensor
ingot
cent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249A (ko
Inventor
김진노
이영준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웅진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7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58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58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 B28D5/008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for supporting, holding, feeding,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잉곳 블럭의 선반 장착시 편심을 방지하기 위해 잉곳 블럭의 복수 부위에서의 각 이격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한다. 또한,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잉곳 블럭의 복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각 중심점이 지면에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잉곳 블럭을 승강시키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는 잉곳 블럭을 안착시키는 작업대와,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는 각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각 중심점 위치에 의한 보정값을 산출하는 연산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상기 복수의 중심점이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잉곳 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센터조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은 작업대에 안착된 잉곳 블럭을 기준 위치에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는 각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대의 상부면 에 형성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수직 단면의 중심점 위치에 의한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상기 복수의 중심점이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잉곳 블럭을 승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잉곳, 센터링, 스퀘어링, 선반, ingot, centering, squaring, lathe

Description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Apparatus for adjusting a center of an ingot block and method for adjusting a center of an ingot block using it}
본 발명은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잉곳 블럭의 선반 장착시 편심을 방지하기 위해 잉곳 블럭의 복수 부위에서의 각 이격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한다. 또한,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잉곳 블럭의 복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각 중심점이 지면에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잉곳 블럭을 승강시키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결정으로 성장시킨 잉곳(ingot)은 웨이퍼 등과 같은 완성품의 제조를 위한 모재(母材)로 사용되며, 완성품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반제품(半製品)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반제품은 실리콘 융액(融液)을 단결정 잉곳으로 성장시키는 공정과, 잉곳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외부 표면을 절삭 및 연마 가공 등으로 다듬는 공정을 거쳐 형성된다.
단결정 성장장치에서 성장된 잉곳이 반제품으로 변모되는 과정을 도 1을 참 조하여 살펴보면, 단결정 성장장치(미도시)를 통해 성장된 잉곳(10)은 성장 방향(x방향; 성장시 지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성장 개시점 부위(M1), 성장 부위(M2) 및 성장 종료점 부위(M3)로 구분된다. 단결정 성장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성장 부위(M2)와 달리 성장 개시점 부위(M1)와 성장 종료점 부위(M3)는 성장 방향(x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z방향)으로의 단면 크기가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잉곳(10)은 회전하는 종자정(seed)에 실리콘 융액이 적층되는 방식으로 성장되기 때문에 외부 표면에 굴곡이 형성된다.
일정한 성장길이(L)로 형성된 잉곳(10)은 후속 공정으로 이송되어 양단부, 즉 성장 개시점 부위(M1) 및 성장 종료점 부위(M3)가 제거된다. 이후, 양단이 제거되고 남은 성장 부위(M2)는 설정길이(L1) 단위로 절단되어 잉곳 블럭(ingot block; 20)으로 형성된다. 잉곳 블럭(20)은 성장 부위(M2)를 절단하여 형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외부 표면의 굴곡에 의해 성장 방향(x방향)으로 미세한 길이 차이가 있는 직경(Dx, Dy) 크기를 갖는다.
위와 같은 잉곳(20; 20a, 20b)은 후속 공정에서 모따기(chamfering) 가공을 통해 사각기둥 형상의 잉곳 블럭(20a', 20b')으로 변형된다. 또한, 모서리 부분 및 외부 표면에 대한 연마(grinding) 가공을 통해 반제품(30)으로서 최종 제품화된다. (이하, 모따기 가공 및 연마 가공을 '스퀘어링(squaring) 가공'이라 통칭한다.)
잉곳 블럭(20)의 스퀘어링 가공은 보통 주축대와 심압대 등이 구비된 선 반(lathe)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반의 일측에는 잉곳 블럭(20)을 선반으로 인출입시키기 위해 잉곳 블럭(20)을 안착시키는 작업대가 구비된다. 또한, 선반과 작업대 사이에는 작업대에 안착된 잉곳 블럭(20)을 선반으로 들어 옮기는 운반장치 등이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잉곳 블럭(20)을 선반에 자동으로 옮겨 장착시키는데 있어서 잉곳 블럭(20)을 편심된 상태로 장착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잉곳 블럭(20)의 수직 단면에서의 중심점, 즉 센터(center)의 위치를 측정하지 않고 작업대에 안착된 상태 그대로 잉곳 블럭(20)을 선반 장치에 장착시켰다. 잉곳 블럭(20)은 부위에 따라 직경(Dx, Dy)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선반의 주축대와 심압대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잉곳 블럭(20)의 중심축이 일치되지 않았다. (여기서, 중심축은 잉곳 블럭(20)의 복수 부위에서의 중심점을 잇는 축을 의미한다.)
따라서, 잉곳 블럭(20)이 선반 장치에 편심된 상태로 장착되고, 이후 스퀘어링 가동이 수행되면 잉곳 블럭(20)이 기형적으로 가공될 수 있었다. 즉, 잉곳 블럭(20)이 모따기 가공 및 연마 가공 등에 의해서 필요 이상으로 많은 부위가 제거되어 고가(高價)인 잉곳의 수율(yield)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반 장치에 불규칙한 하중을 가하게 되어 선반 장치의 고장 및 장애를 유발시키고, 이로 인한 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잉곳 블럭(20)을 반제품(30)으로 가공하는 공정 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잉곳 블럭의 선반 장착시 잉곳 블럭이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이격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각 중심점이 지면에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잉곳 블럭을 승강시키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는 잉곳 블럭을 안착시키는 작업대와,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는 각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각 중심점 위치에 의한 보정값을 산출하는 연산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상기 복수의 중심점이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잉곳 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센터조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은 작업대에 안 착된 잉곳 블럭을 기준 위치에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는 각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수직 단면의 중심점 위치에 의한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상기 복수의 중심점이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잉곳 블럭을 승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이격거리 측정으로 잉곳 블럭의 센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부위에 따라 수직 단면의 직경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잉곳 블럭을 스퀘어링 가공을 수행하는 선반에 편심되지 않은 상태로 용이하게 자동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잉곳 블럭의 길이 및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반지름을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잉곳 블럭의 편심을 방지하여 스퀘어링 가공시 잉곳 블럭의 불필요한 부분만 제거가 가능하여 고가인 잉곳 블럭의 불량 발생률을 낮추고, 잉곳 블럭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반 장치에 가해지는 불규칙한 응력을 감소시켜 선반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장애의 발생을 방지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잉곳 블럭을 반제품으로 최종 제품화하는 공정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 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를 통해 잉곳 블럭의 길이 및 양단의 센터 위치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잉곳 블럭을 안착 자세를 변경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100)는 잉곳 블럭(20; 도6 내지 도9 참조)을 안착시키는 작업대(200)와, 잉곳 블럭(20)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x방향)을 따라 잉곳 블럭(20)의 복수의 부위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는 각(各) 이격거리(H1, H2; 도4 참조)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300)와,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H1, H2)를 이용하여 작업대(2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기준선(Lb)을 기준으로 잉곳 블럭(20)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각 중심점(C1, C2; 도4 참조) 위치에 의한 보정값(△H; 도4 참조)을 산출하는 연산제어 부(미도시) 및 산출된 보정값(△H)을 이용하여 잉곳 블럭(20)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복수의 중심점(C1, C2)이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잉곳 블럭(20)을 승하강시키는 센터조정부(400)를 포함한다.
작업대(200)의 일측에는 원기둥 형상의 잉곳 블럭(20)을 스퀘어링(squaring) 가공하는 선반(50; 도2 참조)이 구비된다. 이러한 작업대(200)는 선반(50)으로 잉곳 블럭(20)을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잉곳 블럭(20)의 대기 장소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대(200)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212) 및 다수의 수평 프레임(214)의 결합으로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10)와, 프레임부(210)의 상부면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잉곳 블럭(20)을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다수의 구동롤(222)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잉곳 블럭 이송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부(210)는 지면에 평행한 외부 골격의 수평 단면이 사각 블럭(quadrangle block)을 형성하도록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 프레임(212)이 위치하고, 4개의 수직 프레임(212) 사이에 다수의 수평 프레임(214)이 복수의 상하 단(段)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다수의 수직 프레임(212)의 하부에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214)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높이조절판(216)이 구비된다. 높이조절판(216)은 다수의 수직 프레임(212)의 최상단에 결합되어 프레임부(210)의 상부면 모서리를 형성하는 4개의 수평 프레임(214)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프레임(212)의 하부면과 높이조절판(216)이 나사 결 합으로 이루어져, 높이조절판(216)의 회전량에 따라 수직 프레임(2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작업대(200)의 상부면에는 안착된 잉곳 블럭(20)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잉곳 블럭 이송부(2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잉곳 블럭 이송부(220)는 작업대(200)의 상부면에서 다수의 구동롤(222)을 지지하는 구동롤 지지대(224)와, 구동롤 지지대(224)의 내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구동롤(222)을 연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미도시)과, 구동롤 지지대(224)의 일측에 구비되고 동력전달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공급수단(미도시) 및 구동롤 지지대(224)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잉곳 블럭(20)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스톱퍼(stopper; 226)를 포함한다.
다수의 구동롤(222)은 원기둥 형상의 잉곳 블럭(20)을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해 양측 가장자리 부위에서 중앙 부위로 갈수록 하향 경사(A; 도4 참조)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동롤(222)의 경사진 상부면에 잉곳 블럭(20)이 안착되면 잉곳 블럭(20)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중심점(C1, C2)을 잇는 중심축(Lc)은 다수의 구동롤(222)의 중앙 부위를 지나게 된다. (도 3에서는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가 잉곳 블럭의 양단 부위로 설정됨을 보이고 있다.)
동력전달수단은 다수의 구동롤(222)이 일체로 구동 및 정지되도록 다수의 구동롤(222) 사이를 연결시키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구동롤(222)의 양단으로 돌출되는 구동축 각각에 벨트(belt) 또는 기어(gear)를 부착시키고, 인접한 구동롤끼리 벨트가 감겨지거나 또는 기어가 맞물리도록 하였다.
거리측정부(300)는 잉곳 블럭(20)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이격거리(H1, H2)를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잉곳 블럭(20)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x방향)을 따라 잉곳 블럭(20)의 일측 부위와 타측 부위에 제1센서(324)와 제2센서(334)를 각각 위치시켜 잉곳 블럭(20)으로부터 이격되는 복수의 이격거리(H1, H2)를 측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잉곳 블럭(20)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잉곳 블럭(20)의 상부에서 하나의 센서를 수평 구동시켜 잉곳 블럭(20)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이격거리(H1, H2)를 순차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거리측정부(30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센서(324, 334)를 사용하여 잉곳 블럭(20)과의 복수의 이격거리(H1, H2)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변형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센서를 수평 구동시키면서 잉곳 블럭(20)과의 복수의 이격거리(H1, H2)를 측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부(300)는 프레임부(2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측정부 지지몸체(310)와, 측정부 지지몸체(310)의 상부면 일측에서 위치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스톱퍼(226)에 접촉되는 잉곳 블럭(20)의 일측 부위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제1이격거리(H1; 도4 참조)를 측정하는 제1센서부(320)와, 측정부 지지몸체(310)의 상부면에서 잉곳 블럭(20)의 이송 방향(x방향)을 따라 수평 구동되도록 결합되고, 잉곳 블럭(20)의 타단면 위치와 잉곳 블럭(20)의 타측 부위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제2이격거리(H2; 도4 참조)를 측정하는 제2센서부(330)를 포함한다.
제1센서부(320)는 측정부 지지몸체(310)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지지대(321)와, 수직지지대(321)의 상부에서 잉곳 블럭(20)의 이송 방향(x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지지대(322)를 포함하며, 수평지지대(322)의 하부면에는 잉곳 블럭(20)에 광을 조사하여 이격거리(H1)를 측정하는 제1센서(324)가 결합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센서부(330)의 경우에도 측정부 지지몸체(310)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지지대(331)와, 수직지지대(331)의 상부에서 교차 연결되는 수평지지대(332)를 포함하며, 수평지지대(332)의 하부면에 잉곳 블럭(20)에 광을 조사하여 이격거리(H2)를 측정하는 제2센서(334)가 결합된다. 다만, 제1센서부(320)의 경우에는 측정부 지지몸체(310)에 수직지지대(321)가 위치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반면 제2센서부(320)의 수직지지대(331)는 잉곳 블럭(20)의 이송 방향(x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 구동(S1)할 수 있도록 측정부 지지몸체(310)의 상부면과 수직지지대(331)의 하부면 사이에 센서부 구동대차(350)가 구비된다. 또한, 측정부 지지몸체(310)의 상부면, 즉 제1센서부(320)의 수직지지대(321)와 제2센서부(330)의 수직지지대(331) 사이의 공간에는 센서부 구동대차(350)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352)이 형성된다.
잉곳 블럭(20)의 상측,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구동롤(222)의 중앙 부위의 상측에 이격된 상태(도3 참조)에서 제1센서(324) 및 제2센서(334)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잉곳 블럭(20)과의 이격된 거리, 즉 이격거리(H1, H2)를 측정한다. 본 실 시예에서는 제1센서(324) 및 제2센서(334)로서 레이저 센서(laser sensor)를 사용하였다.
작업대(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잉곳 블럭 이송부(220)에 잉곳 블럭(20)이 인입되어 이송되고, 잉곳 블럭 이송부(220)의 일단에 결합된 스톱퍼(226)에 잉곳 블럭(20)의 일단면이 접촉하게 되면 잉곳 블럭 이송부(220)의 다수의 구동롤(222)의 회전을 정지하게 되어 잉곳 블럭(20)이 더 이상 이송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잉곳 블럭(20)의 일단면이 스톱퍼(226)에 접촉하게 되어 정지되면, 잉곳 블럭(20)의 이격된 상측에서 잉곳 블럭(20)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x방향)을 따라 수평 구동(S1)되는 제2센서부(330)가 잉곳 블럭(20)이 스톱퍼(226)로 이송된 반대 방향으로 수평 구동하여 잉곳 블럭(20)의 타단면의 위치를 감지한다.
스톱퍼(226)와 접촉된 잉곳 블럭(20) 일단의 상측에는 제1센서(324)가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센서(324)와 제2센서(334)의 거리 차이를 통해 잉곳 블럭(20)의 길이(L1)를 측정한다(도3 참조).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100)는 잉곳 블럭(20)의 길이(L1)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잉곳(10; 도1 참조)으로부터 잉곳 블럭(20)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선반(50)에 잉곳 블럭(20)을 자동으로 장착하는 과정에서 선반(50)의 주축대와 심압대 사이의 간격을 미리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작업대(200)의 상부면에 잉곳 블럭 이송부(220)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잉곳 블럭 이송부(220)가 작업대(200)의 상부면에 구비되었다.
잉곳 블럭 이송부(220)가 작업대(200)의 상부면에서 잉곳 블럭(20)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x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방향)으로 복수개 정렬되는 경우에는 한 개의 잉곳 블럭 이송부마다 한 개의 잉곳 블럭(20)이 안착 및 이송되는데 복수의 잉곳 블럭 이송부에서 잉곳 블럭(20)의 길이 및 잉곳 블럭(20)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이격거리(H1, H2)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제1센서(324) 및 제2센서(334)는 수평지지대(322, 332)에서 잉곳 블럭(20)의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방향), 즉 정렬 방향으로 각각 수평 구동(S2)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잉곳 블럭(20)의 길이(L1) 측정이 완료되면, 잉곳 블럭(20)의 일측 부위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센서부(320)와 잉곳 블럭(20)의 타측 부위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2센서부(330)를 통해 잉곳 블럭(20)과 이격된 거리, 즉 제1이격거리(H1)와 제2이격거리(H2)가 측정된다.
작업대(200)의 상부면이 형성하는 수평선(Lh)에 안착된 잉곳 블럭(20)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복수의 이격거리(H1, H2)가 측정되면, 작업대(2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기준선(Lb)으로부터 제1센서(324)까지의 최단거리(H3)와, 기준선(Lb)으로부터 제2센서(334)까지의 최단거리(H4)를 알고 있기 때문에 잉곳 블럭(20)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중심점(C1, C2) 위치에 의한 보정값(△H)을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9061591005-pat00001
여기서, H3과 H4는 기준선(Lb)으로부터 제1센서(324)와 제2센서(334)까지의 각 최단거리이고, H1과 H2는 제1센서(324)와 제2센서(334)에서 각각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제1이격거리와 제2이격거리)이다.
또한, 제1센서(324)와 제2센서(334)가 기준선(Lb)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즉, H3=H4 인 경우)에는 잉곳 블럭(20)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중심점(C1, C2) 위치에 의한 보정값(△H)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09061591005-pat00002
여기서, H1과 H2는 제1센서(324)와 제2센서(334)에서 각각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잉곳 블럭(20)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이 격거리(H1, H2)의 측정만으로도 보정값(△H)을 바로 산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산출된 보정값(△H)은 후술되는 센터조정부(400)에서 잉곳 블럭(20)을 승강시켜 잉곳 블럭(20)의 중심축(Lc)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센터링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잉곳 블럭(20)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반지름(d1, d2)도 복수의 이격거리(H1, H2) 측정을 통해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09061591005-pat00003
,
Figure 112009061591005-pat00004
...[수학식 3]
여기서, H3은 기준선(Lb)과 제1센서(324) 사이의 최단거리이고, H4는 기준선(Lb)과 제2센서(334) 사이의 최단거리이고, H1은 제1센서(324)에서 측정된 잉곳 블럭까지의 이격거리(제1이격거리)이며, H2는 제2센서(334)에서 측정된 잉곳 블럭까지의 이격거리(제2이격거리)이다.
센터조정부(400)는 프레임부(2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프레임부(210)의 상부면 일측에서 돌출되도록 다수의 구동롤(222) 사이의 이격 공간(P1)에서 상하 구동(S3)되어 잉곳 블럭(20)의 하부면 일측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수단(410)와, 잉곳 블럭(20)의 이송 방향(x방향)을 따라 제1승강수단(410)와 마주하도록 프레임부(210)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프레임부(210)의 상부면 타측에서 돌출되도록 다 수의 구동롤(222) 사이의 이격 공간(P1)에서 상하 구동되어 잉곳 블럭(20)의 하부면 타측을 승강(S4)시키는 제2승강수단(420)를 포함한다. 제1승강수단(410)의 상하 구동거리(H5)과 제2승강수단(430)의 상하 구동거리(H6)의 차이는 상기 보정값(△H)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도5 참조).
제1승강수단(410)와 제2승강수단(420)의 상단에는 잉곳 블럭(20)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승강 구동(S3, S4)시 잉곳 블럭(20)을 프레임부(210)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들어올리는 V자 형상의 지지암(412, 422)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지지암(412, 422)의 하부에는 지지암(412, 422)을 상하 왕복시키는 지지암 구동수단(414, 424)이 각각 구비되며, 지지암 구동수단(414, 424)은 유압 실린더 방식, 공압 실린더 방식 또는 전기모터 구동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암(412, 422)을 구동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센터조정부(400)를 통해 잉곳 블럭(20)의 복수 부위의 수직 단면에 형성되는 중심점, 즉 센터(C1, C2)가 지면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잉곳 블럭(20)을 승강시켜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제1승강수단(410)의 지지암(412)과 제2승강수단(420)의 지지암(422)의 승강 구동(S3, S4)시 앞서 산출된 보정값(△H) 차이만큼 잉곳 블럭(20)의 양단을 다른 구동거리(H5, H6)로 승강 구동(S3, S4)시켜 잉곳 블럭(20)의 중심축(Lc)이 지면에 평행하도록 잉곳 블럭(20)의 센터(C1, C2)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전술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을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터 조정방법은 작업대에 안착된 잉곳 블럭을 기준 위치에 설정하는 단계(S110, 도6)와,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는 각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S120, 도7)와,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작업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수직 단면의 중심점 위치에 의한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S130) 및 산출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복수의 중심점이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잉곳 블럭을 승하강시키는 단계(S140, 도8 및 도9)를 포함한다.
잉곳 블럭의 기준 위치의 설정은 작업대의 상부면에 안착된 잉곳 블럭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고, 잉곳 블럭의 일단면이 스톱퍼에 접촉하여 잉곳 블럭이 정지함으로써 정해진다(S110). 즉, 스톱퍼에 접촉한 상태의 잉곳 블럭의 위치가 잉곳 블럭의 기준 위치이다.
위와 같이 잉곳 블럭의 기준 위치가 설정된 이후에는 복수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잉곳 블럭의 길이가 측정될 수 있다.
잉곳 블럭의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에서는 제1센서를 잉곳 블럭의 일단면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2센서를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른 수평 구동을 통해 잉곳 블럭의 타단면 상부에 위치시켜 잉곳 블럭의 양단면 사이의 거리를 잉곳 블럭의 길이로 측정한다. 즉, 잉곳 블럭의 일단면이 스톱퍼에 접촉된 상태에서 잉곳 블럭의 일단면에 위치 고정된 제1센서와, 잉곳 블럭의 이격된 상측을 가로질러 수평 구동되는 제2센서에 의해 잉곳 블럭의 타단면의 위치가 측정되고 제1센서와 제2센서 사이의 거리를 잉곳 블럭의 길이로 측정한다.
복수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에서는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잉곳 블럭의 일측 부위와 타측 부위에 제1센서와 제2센서를 각각 위치시키고,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로부터 잉곳 블럭까지 이격되는 각 이격거리를 측정한다(S120). 또한, 복수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2개의 센서(제1센서 및 제2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잉곳 블럭의 상부에서 하나의 센서를 수평 구동시켜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복수의 이격거리를 순차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이후, 복수의 이격거리가 측정되면, 이를 이용하여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수직 단면의 중심점 위치에 의한 보정값(△H)이 산출된다(S130).
보정값(△H)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산출된다.
[수학식 4]
Figure 112009061591005-pat00005
여기서, H3은 기준선과 제1센서 사이의 최단거리이고, H4는 기준선과 제2센서 사이의 최단거리이고, H1은 제1센서에서 측정된 잉곳 블럭까지의 이격거리(제1이격거리)이며, H2는 제2센서에서 측정된 잉곳 블럭까지의 이격거리(제2이격거리)이다.
특히, 제1센서와 제2센서가 작업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기준선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보정값(△H)은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산출된다.
[수학식 5]
Figure 112009061591005-pat00006
여기서, H1은 제1센서에서 측정된 제1이격거리이고, H2는 제2센서에서 측정된 제2이격거리이다.
한편, 복수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이후에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수직 단면의 반지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수직 단면의 반지름(d1, d2)은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09061591005-pat00007
,
Figure 112009061591005-pat00008
여기서, H3은 기준선과 제1센서 사이의 최단거리이고, H4는 기준선과 제2센서 사이의 최단거리이고, H1 및 H2는 제1센서와 제2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잉곳 블럭과의 이격거리이다.
위와 같이 잉곳 블럭의 보정값이 산출되면, 산출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잉곳 블럭의 안착 자세가 변경된다(S140). 잉곳 블럭의 안착 자세의 변경은 작업대의 상부면에서 돌출되도록 상하 구동되는 제1승강수단과 제2승강수단을 구비한 센터조정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제1승강수단의 상하 구동거리와 제2승강수단의 상하 구동거리의 차이가 보정값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부위, 즉 복수의 이격거리가 측정된 부위가 다른 높이로 승강된다.
따라서,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중심점, 즉 센터가 지면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어 복수의 중심점을 잇는 중심축이 지면과 평행하게 된다(센터링 조정).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은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이격거리 측정으로 잉곳 블럭의 센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부위에 따라 수직 단면의 직경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잉곳 블럭을 스퀘어링 가공을 수행하는 선 반에 편심되지 않은 상태로 용이하게 자동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잉곳 블럭의 길이 및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반지름을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잉곳 블럭의 편심을 방지하여 스퀘어링 가공시 잉곳 블럭의 불필요한 부분만 제거가 가능하여 고가인 잉곳 블럭의 불량 발생률을 낮추고, 잉곳 블럭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반 장치에 가해지는 불규칙한 응력을 감소시켜 선반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장애의 발생을 방지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잉곳 블럭을 반제품으로 최종 제품화하는 공정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단결정 성장장치에서 성장된 잉곳이 반제품으로 변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를 통해 잉곳 블럭의 길이 및 양단의 센터 위치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잉곳 블럭을 안착 자세를 변경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200 : 작업대
210 : 프레임부 220 : 잉곳 블럭 이송부
222 : 구동롤 226 : 스톱퍼
300 : 거리측정부 320 : 제1센서부
330 : 제2센서부 400 : 센터조정부
410 : 제1승강수단 420 : 제2승강수단

Claims (20)

  1. 잉곳 블럭을 안착시키는 작업대와;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는 각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각 중심점 위치에 의한 보정값을 산출하는 연산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상기 복수의 중심점이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잉곳 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센터조정부;
    를 포함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부는,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잉곳 블럭의 일측 부위와 타측 부위에 제1센서와 제2센서를 각각 위치시켜 상기 잉곳 블럭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복수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수직 단면의 중심점 위치에 의한 보정값(△H)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되고,
    Figure 112011071735391-pat00009
    ...[수학식 1]
    여기서, H3과 H4는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거리측정부에 구비되는 제1센서와 제2센서까지의 각 최단거리이고, H1과 H2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상기 복수의 이격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H)은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산출되고,
    Figure 112009061591005-pat00010
    ...[수학식 2]
    여기서, H1과 H2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상기 복수의 이격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레이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블 럭의 센터 조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부는,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잉곳 블럭의 상부에서 하나의 센서를 수평 구동시켜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상기 복수의 이격거리를 순차적으로 측정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터조정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부면 일측에서 돌출되도록 상하 구동되고 상기 잉곳 블럭의 하부면 일측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수단과;
    상기 작업대의 상부면 타측에서 돌출되도록 상하 구동되고 상기 잉곳 블럭의 하부면 타측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수단의 상하 구동거리와 상기 제2승강수단의 상하 구동거리의 차이는 상기 보정값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수단 및 상기 제2승강수단의 상단에는 상기 잉곳 블럭의 하부면 을 지지하는 V자 형상의 지지암이 각각 결합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부는,
    상기 제1센서를 상기 잉곳 블럭의 일단면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센서를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른 수평 구동을 통해 상기 잉곳 블럭의 타단면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잉곳 블럭의 양단면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잉곳 블럭의 길이로 측정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상부면에는 상기 잉곳 블럭을 안착시켜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다수의 구동롤과, 상기 잉곳 블럭의 일단면이 접촉하면 상기 다수의 구동롤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잉곳 블럭 이송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잉곳 블럭 이송부가 상기 작업대의 상부면에서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정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가 상기 정렬 방향을 따라 상기 잉곳 블럭의 상부에서 수평 구동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12. 작업대에 안착된 잉곳 블럭을 기준 위치에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는 각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복수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수직 단면의 중심점 위치에 의한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상기 복수의 중심점이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잉곳 블럭을 승하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잉곳 블럭의 일측 부위와 타측 부위에 제1센서와 제2센서를 각각 위치시키고,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로부터 상기 잉곳 블럭까지 이격되는 각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수직 단면의 중심점 위치에 의한 보정값(△H)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정값(△H)은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산출되고,
    Figure 112011071735391-pat00025
    ...[수학식 3]
    여기서, H3은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1센서 사이의 최단거리이고, H4는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2센서 사이의 최단거리이고, H1은 상기 제1센서에 측정된 상기 잉곳 블럭까지의 이격거리이며, H2는 상기 제2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잉곳 블럭까지의 이격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H)은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산출되고,
    Figure 112011071735391-pat00026
    ...[수학식 4]
    여기서, H1은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잉곳 블럭까지의 이격거리이고, H2는 상기 제2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잉곳 블럭까지의 이격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잉곳 블럭의 상부에서 하나의 센서를 수평 구동시켜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상기 복수의 이격거리를 순차적으로 측정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잉곳 블럭의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잉곳 블럭의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센서를 상기 잉곳 블럭의 일단면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센서를 상기 잉곳 블럭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른 수평 구동을 통해 상기 잉곳 블럭의 타단면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잉곳 블럭의 양단면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잉곳 블럭의 길이로 측정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수직 단면의 반지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잉곳 블럭의 복수의 부위에서의 각 수직 단면의 반지름(d1, d2)은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산출되고,
    Figure 112011071735391-pat00027
    ,
    Figure 112011071735391-pat00028
    ...[수학식 5]
    여기서, H3은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1센서 사이의 최단거리이고, H4는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2센서 사이의 최단거리이고, H1은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잉곳 블럭까지의 이격거리이며, H2는 상기 제2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잉곳 블럭까지의 이격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20.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 블럭을 승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작업대의 상부면에서 돌출되도록 상하 구동되고 상기 잉곳 블럭의 하부면 일측 및 타측을 제1승강수단 및 제2승강수단으로 각각 지지하여 승강시키고, 상기 제1승강수단의 상하 구동거리와 상기 제2승강수단의 상하 구동거리의 차이는 상기 보정값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KR1020090095456A 2009-10-08 2009-10-08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KR101152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456A KR101152764B1 (ko) 2009-10-08 2009-10-08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456A KR101152764B1 (ko) 2009-10-08 2009-10-08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249A KR20110038249A (ko) 2011-04-14
KR101152764B1 true KR101152764B1 (ko) 2012-06-18

Family

ID=4404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456A KR101152764B1 (ko) 2009-10-08 2009-10-08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7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8297A1 (en) 1991-01-31 1992-08-12 Shin-Etsu Handotai Company, Limited Jig and method for clamp-positioning single crystal ingot
JPH04350009A (ja) * 1991-05-28 1992-12-04 Toshiba Ceramics Co Ltd 単結晶インゴットの運搬・収納装置
US6083092A (en) 1997-04-17 2000-07-04 Seh America, Inc. Multi-piece lathe chuck for silicon ingots
KR20020022549A (ko) * 2000-07-26 2002-03-27 구마모토 마사히로 크랭크축의 심출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디플렉션 계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8297A1 (en) 1991-01-31 1992-08-12 Shin-Etsu Handotai Company, Limited Jig and method for clamp-positioning single crystal ingot
JPH04350009A (ja) * 1991-05-28 1992-12-04 Toshiba Ceramics Co Ltd 単結晶インゴットの運搬・収納装置
US6083092A (en) 1997-04-17 2000-07-04 Seh America, Inc. Multi-piece lathe chuck for silicon ingots
KR20020022549A (ko) * 2000-07-26 2002-03-27 구마모토 마사히로 크랭크축의 심출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디플렉션 계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249A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3463B (zh) 棱柱状构件的研磨装置
CN214394870U (zh) 硅棒加工设备
KR101304976B1 (ko) 압축선스프링 연마장치
US8074544B2 (en) Cylindrical grin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rinding
CN113305708A (zh) 一种磨削机
CN104150266A (zh) 宽幅铝带双轴卷取纵向分切机
CN207414980U (zh) 全硅棒滚磨设备
CN102380807A (zh) 板状物的制造装置、制造方法、端面磨削装置及磨削方法
CN210791587U (zh) 硅棒截断设备
CN113319669B (zh) 一种料棒磨面抛光方法及***
CN106965076B (zh) 板状体的研磨方法及板状体的研磨装置
CN103118840A (zh) 自动测量和校正玻璃板加工尺寸的方法以及玻璃板加工设备
CN109746775A (zh) 全硅棒滚磨设备及全硅棒滚磨方法
KR101152764B1 (ko)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센터 조정방법
CN105312361A (zh) T型钢矫平机
CN108025415B (zh) 板状玻璃的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KR101739454B1 (ko) 금속 판재의 곡면 성형을 위한 피딩 장치 및 방법
KR20100018202A (ko) 백텐션을 적용한 면취 장치 및 방법
JP2004330200A (ja) 板曲げプレスの搬送装置
KR101243055B1 (ko) 2브라이들 텐션레벨러시스템
KR102638488B1 (ko) 디스플레이용 유리
CN104191361A (zh) 用于铸铁件精整装置的托盘定位机构及铸铁件精整装置
KR101059949B1 (ko) 잉곳 블럭의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자동 이송 방법
CN204094621U (zh) 用于铸铁件精整装置的托盘定位机构及铸铁件精整装置
CN217572186U (zh) 一种砖坯磨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