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260B1 - 연료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260B1
KR101148260B1 KR1020080107116A KR20080107116A KR101148260B1 KR 101148260 B1 KR101148260 B1 KR 101148260B1 KR 1020080107116 A KR1020080107116 A KR 1020080107116A KR 20080107116 A KR20080107116 A KR 20080107116A KR 101148260 B1 KR101148260 B1 KR 101148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hydrogen storage
hydrogen
storage tank
cel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104A (ko
Inventor
이언수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260B1/ko
Priority to JP2009028156A priority patent/JP2010108893A/ja
Priority to US12/320,993 priority patent/US20100112411A1/en
Publication of KR20100048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by dissolution of metals or alloys; by dehydriding metallic sub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용공간을 갖는 탱크 케이스의 내부에 수소저장탱크를 구비한 수소저장 컨테이너, 상기 수소저장탱크로부터 탈장되는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및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방출되는 고온의 미반응 수소를 상기 탱크 케이스로 공급하는 연결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료전지로부터 방출되는 미반응 수소가 수소저장탱크에 대류 열전달을 통해 열을 공급함으로써 수소저장탱크의 가열을 위해 별도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고 에너지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수소저장탱크, 탱크 케이스, 연결덕트, 회수덕트, 연료전지, 열접착제층, 채널

Description

연료전지 시스템{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재순환을 통해 수소저장탱크에 안정적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PDA,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PC 등 휴대용 소형 전자기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용 DMB 방송이 시작되면서 휴대용 소형 단말기에서 전원 성능의 향상이 요구되는 있는 실정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리튬 이온 2차 전지는 그 용량이 DMB 방송을 2시간 정도 시청할 수 있는 수준이며, 성능 향상이 진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서 보다 소형화되고 고용량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연료전지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연료(수소, LNG, LPG, 메탄올 등)와 공기의 화학 에너지를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기 및 열로 직접 변환시키는 장치기존의 발전기술이 연료의 연소, 증기 발생, 터빈 구동, 발전기 구동 과정을 취하는 것과 달리 연소 과정이나 구동 장치가 없으므로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를 유발하 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발전 기술이다.
연료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형 연료전지(Alkaline Fuel Cell; AFC), 인산형 연료전지(Phosporic Acid Fuel Cell; PAFC),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는 수소 가스를 직접 연료로 사용하는 수소 이온 교환막 연료전지(Photon Exchange Membrane FuelCell; PEMFC)와 액상의 메탄올을 직접 연료로 사용하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로 세분화할 수 있다.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는 다른 연료전지에 비하여 비교적 저온에서 작동하고 출력밀도가 크므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는 자동차 등의 이동용(transportable) 전원, 주택이나 공공기관의 분산용 전원(on-site) 및 전자기기용 소형 전원으로 매우 적합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상용화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수소의 생산 및 공급이 선결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기술적 문제이다. 이를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 수소저장합금(metal hydride)을 이용하여 다량의 수소를 수소저장탱크에 저장한 상태에서 연료전지에 수소가스를 공급하는 수소저장합금 기반의 연료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수소저장합금은 수소가스를 방출하기 위해 열의 흡수가 요구되기 때문에, 수소저장탱크에 안정적인 열흡수가 고안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소저장탱크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 1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10)은 별도의 가열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열수단(40)이 수소저장탱크(20)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수소저장탱크(20)에 저장된 수소를 연료전지(30)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 2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10')은 종래기술 1과 같이 버너와 같은 가열수단(40)을 구비하되, 이 가열수단(40)의 구동에 연결덕트(50)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전지(30)의 미반응 수소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 1 및 2에 의할 경우, 별도의 가열수단(40)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전체 사이즈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장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가열수단(40)은 수소저장탱크(20)와 더불어 장치의 위험성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가열수단 없이 연료전지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재순환을 통해 수소저장탱크에 안정적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료전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전도 및 대류의 방법으로 수소저장탱크에 공급할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수용공간을 갖는 탱크 케이스의 내부에 수소저장합금을 저장한 수소저장탱크를 구비한 수소저장 컨테이너, 상기 수소저장탱크로부터 탈장되는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및 상기 수소저장합금로부터 수소가 탈장되도록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방출되는 고온의 미반응 수소를 상기 탱크 케이스로 공급하는 연결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소저장 컨테이너는 육면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소저장탱크의 외벽에는 상기 탱크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미반응 수소의 흐름을 제어하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는 열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수소저장 컨테이너에 부착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는 상기 수소저장 컨테이너에 다수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소저장탱크로부터 탈장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연료전지에 공급하는 압력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덕트에는 상기 탱크 케이스로 공급되는 미반응 수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방출되는 미반응 수소를 회수하여 상기 연료전지에 재공급하는 회수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소저장 컨테이너의 일측에는 대기중의 공기 또는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발생하는 배출열을 상기 수소저장 컨테이너로 송풍하기 위한 공기순환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소저장 컨테이너의 일측에는 상기 수소저장탱크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전지를 수소저장탱크에 열접착제층을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연료전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전도열전달을 통해 수소저장탱크에 공급함으로써 수소저장탱크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전지로부터 방출되는 고온의 미반응 수소를 탱크 케이스에 공급함으로써 고온의 미반응 수소가 수소저장탱크에 열을 대류 열전달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수소저장탱크에 공급함으로써 수소저장탱크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전지로부터 방출되는 고온의 미반응 수소를 연료전지로 재공급함으로써 수소 사용 효율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공기순환팬을 통해 대기 및/또는 연료전지의 운전배출열을 수소저장탱크 쪽으로 송풍함으로써 수소저장탱크에 열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 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료전지가 구비된 연료전지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탱크 케이스 내부의 채널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100)은, 수소저장 컨테이너(120), 연료전지(160), 및 연료전지(160)의 미반응 수소를 수소저장 컨테이너(120)에 공급하는 연결덕트(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소저장 컨테이너(120)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탱크 케이스(128)의 내부에 수소저장탱크(122)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수소저장 컨테이너(120)는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료전지(160)가 수소저장 컨테이 너(120)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평면형 구조(육면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저장탱크(122)는 수소저장합금을 저장하고, 저장된 수소저장합금으로부터 수소를 탈장시켜 연료전지(160)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소저장합금을 저장하기 위한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여기서, 수소저장탱크(122)의 외벽에는 탱크 케이스(128)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미반응 수소의 흐름을 제어하는 채널(1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채널(126)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수소저장탱크(122)는 탈장된 수소가 연료전지(160)에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덕트(124)를 통해 연료전지(16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료전지(160)로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공급덕트(124)에는 압력 조절기(pressure regulato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탱크 케이스(128)는 수소저장탱크(122)로부터 연료전지(160)에 공급된 수소 중 화학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고온의 미반응 수소가 재공급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수소저장탱크(122)에 고온의 미반응 수소가 갖는 열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도록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160)는 80% 정도의 연료 이용 효율을 보이게 되므로, 연료전지(160)에 공급된 수소 중 20% 정도는 연료전지(160)의 화학 반응에 참여하 지 않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고온의 미반응 수소를 대기로 방출하였으나, 본 발명은 미반응 수소를 방출하지 않고 미반응 수소를 재순환시킴으로써 미반응 수소가 갖는 열에너지를 재활용할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즉, 연료전지(160)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고온의 상태가 된 미반응 수소를 탱크 케이스(128)에 공급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수소저장탱크(122)에 대류 열전달을 통해 열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탱크 케이스(128)의 일측에는 연결덕트(180)와 연결되어 미반응 수소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탱크 케이스(128)를 순환하고 난 미반응 수소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탱크 케이스(128)의 내부에는 고온의 미반응 수소와 수소저장탱크(122)의 접촉시간을 증대시킴으로써 대류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수소저장탱크(122)의 외벽으로부터 탱크 케이스(128)의 내벽으로 연장 형성된 채널(126)이 형성된다. 이 채널(126)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수소저장탱크(122)와 탱크 케이스(128) 사이에는 수소저장합금으로부터 탈장되는 수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 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전지(160)는 수소저장탱크(122)로부터 탈장되는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급덕트(124)를 통해 수소저장탱크(122)와 연결된다.
여기서, 연료전지(160)는 양측면을 이루는 애노드(anode) 전극(164)과 캐소드(cathode) 전극(162) 사이에 전해질막(166)이 개재된 통상적인 전해질막-전극 접합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연료전지(160)는 단일의 전해질막-전극 집합체로 형성되거나, 단일의 전해질막-전극 집합체가 적층된 스택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 3 및 도 4에는 연료전지(160)가 단일의 전해질막-전극 집합체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이 연료전지(160)의 작동원리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연료전지(160)는 화학반응시 발생하는 열이 전도 열전달을 통해 수소저장탱크(122)에 공급될 수 있도록 열접착제층(thermal adhesive layer; 160)을 통해 수소저장 컨테이너(12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소저장 컨테이너(120)가 평면형 구조(육면체 구조)를 가지는 경우 연료전지(160)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수소저장 컨테이너(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료전지(16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도 3에는 연료전지(160)가 수소저장 컨테이너(120)의 상면에 부착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2개의 연료전지(160)가 수소저장 컨테이너(12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수소저장탱크(122)가 다수의 연료전지(160)에 충분한 양의 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한 더 많은 수의 연료전지(160)가 수소저장 컨테이너(120)와 연결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소저장 컨테이너(120)가 육면체 구조를 갖는 경우, 각 면마다 연료전지(160)가 하나 씩 부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연결덕트(180)는 연료전지(160)로부터 방출되는 고온의 미반응 수소를 탱크 케이스(128)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이 연료전지(160)의 수소방출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탱크 케이스의 수소 유입부와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덕트(180)에는 연료전지(160)로부터 방출되는 미반응 수소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 제어밸브(18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료전지(160)로부터 방출되는 미반응 수소 중 일부를 다시 연료전지(160)로 재공급할 수 있도록 회수덕트(18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회수덕트(184)는 방출되는 미반응 수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일측이 연료전지(160)의 수소 방출부와 연결되고, 공급받은 미반응 수소 가스를 다시 연료전지(160)에 재공급할 수 있도록 타측이 연료전지(160)의 수소 흡입부와 연결된다. 이때, 회수덕트(184)는 수소저장탱크(122)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의 유입량을 고려하여 연료전지(16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압력 조절기(140)에 연결되어 유입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대기의 공기 및/또는 연료전지(160)의 운전 배출열을 수소저장탱크(122)로 전달할 수 있도록 공기순환팬(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고전력이 필요한 경우 연료전지(160)는 많은 수소가 공급되어야 하고, 연료전지(160)에 안정적이고도 지속적인 수소를 공급하기 위해 수소저장탱크(122)에 충분한 열을 공급하기 위해 보조 가열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탱크 케이스 내부의 채널(126) 구조 및 형상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128) 내부에는 수소저장탱크(122)의 외벽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채널(126)이 형성된다.
이때, 채널(126)은 고온의 미반응 수소의 흐름을 제어하여 대류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채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지그 형태로 채널이 형성되거나,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렬적으로 다수개의 채널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채널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사선형태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160)의 작동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소드 전극(162)은 수소(H2)를 공급받아 수소 이온(H+)와 전자(e-)로 분해된다. 수소 이온은 전해질막(166)을 거쳐 애노드 전극(164)으로 이동한다. 전자는 외부 회로를 거쳐 전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애노드 전극(164)에서 수소 이온과 전자, 그리고 공기 중의 산소가 결합하여 물이 된다. 상술한 연료전지(160)에서의 화학 반응식은 하기의 화학식 1과 같다.
연료극(110) : H2 → 2H++ 2e-
공기극(130) : 1/2O2 + 2H++ 2e- → H20
전반응 : H2 + 1/2 O2 → H20
즉, 캐소드 전극(162)에서 분리된 전자가 외부 회로를 거쳐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전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100)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소저장탱크(122)로부터 탈장되는 수소가 압력 조절기(140)에 의해 압력이 조절된 상태로 연료전지(160)로 공급되며, 연료전지(160)는 화학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기 된다. 이때, 연료전지(160)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열절착제층(168)을 통해 수소저장 컨테이너(120)로 전달되어 수소저장탱크(122)에 공급 되고, 연료전지(160)로부터 방출되는 고온의 미반응 수소는 연결덕트(180)를 통해 탱크 케이스(128)로 공급되어 대류 열전달에 의해 수소저장탱크(122) 열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미반응 수소의 일부는 회수덕트(184)를 통해 연료전지(160)로 재공급되어 재사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160)에서 발생하는 운전배출열 및/또는 고온의 미반응 수소가 갖는 열을 수소저장탱크(122)에 재공급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가열수단 없이도 수소의 탈장을 용이하게 하며, 전체적으로 열효율이 증대된 연료전지 시스템(100)에 제공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 2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료전지가 구비된 연료전지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탱크 케이스 내부의 채널 형상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연료전지 시스템 120 : 수소저장 컨테이너
122 : 수소저장탱크 124 : 공급덕트
126 : 채널 128 : 탱크 케이스
140 : 압력 조절기 160 : 연료전지
168 : 열접착제층 180 : 연결덕트
184 : 회수덕트

Claims (10)

  1. 수용공간을 갖는 탱크 케이스의 내부에 수소저장합금을 저장한 수소저장탱크를 구비한 수소저장 컨테이너;
    상기 수소저장탱크로부터 탈장되는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및
    상기 수소저장합금으로부터 수소가 탈장되도록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방출되는 고온의 미반응 수소를 직접 상기 탱크 케이스로 공급하는 연결덕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소저장 컨테이너는 육면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소저장탱크의 외벽에는 상기 탱크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미반응 수소의 흐름을 제어하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는 열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수소저장 컨테이너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는 상기 수소저장 컨테이너에 다수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소저장탱크로부터 탈장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연료전지에 공급하는 압력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에는 상기 탱크 케이스로 공급되는 미반응 수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방출되는 미반응 수소를 회수하여 상기 연료전지에 재공급하는 회수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소저장 컨테이너의 일측에는 대기중의 공기 또는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발생하는 배출열을 상기 수소저장 컨테이너로 송풍하기 위한 공기순환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소저장 컨테이너의 일측에는 상기 수소저장탱크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20080107116A 2008-10-30 2008-10-30 연료전지 시스템 KR101148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116A KR101148260B1 (ko) 2008-10-30 2008-10-30 연료전지 시스템
JP2009028156A JP2010108893A (ja) 2008-10-30 2009-02-10 燃料電池システム
US12/320,993 US20100112411A1 (en) 2008-10-30 2009-02-10 Fuel cel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116A KR101148260B1 (ko) 2008-10-30 2008-10-30 연료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104A KR20100048104A (ko) 2010-05-11
KR101148260B1 true KR101148260B1 (ko) 2012-05-21

Family

ID=4213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116A KR101148260B1 (ko) 2008-10-30 2008-10-30 연료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12411A1 (ko)
JP (1) JP2010108893A (ko)
KR (1) KR1011482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5776A1 (en) * 2012-03-30 2013-10-03 Sanyo Electric Co., Lt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a detachable fuel cartridge including a hydrogen storage alloy
CN108417862B (zh) * 2018-01-03 2024-03-12 南京工业大学 一种自储氢质子交换膜燃料电池单元、电池组件以及运行方法
CN112909294B (zh) * 2021-01-20 2022-09-13 中通客车股份有限公司 氢燃料电池发动机低温冷启动装置及启动方法
US11732843B2 (en) * 2021-07-19 2023-08-22 Caterpillar Inc. On-tank regulator for high-pressure tan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5723A (ja) * 1998-03-18 1999-09-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3168463A (ja) * 2001-11-29 2003-06-13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8166255A (ja) * 2006-10-18 2008-07-17 Olympus Imaging Corp 燃料電池の残容量検出方法及び燃料電池の残容量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2155A (en) * 1996-01-22 1999-10-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uel cell system
EP0788172B1 (en) * 1996-02-05 2001-12-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uel cell for mounting on equipment
JPH09259915A (ja) * 1996-03-27 1997-10-03 Sanyo Electric Co Ltd 水素供給器
JP4058783B2 (ja) * 1997-11-07 2008-03-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燃料電池装置
JP4354122B2 (ja) * 2001-02-23 2009-10-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用水素供給装置
US20030207161A1 (en) * 2002-05-01 2003-11-06 Ali Rusta-Sallehy Hydrogen production and water recovery system for a fuel cell
JP4590833B2 (ja) * 2003-07-24 2010-1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冷却システムを備える移動体
JP2005063715A (ja) * 2003-08-08 2005-03-10 Japan Steel Works Ltd:The 燃料電池用水素貯蔵供給装置
US20070026272A1 (en) * 2005-07-29 2007-02-01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cell system
WO2008030394A2 (en) * 2006-09-06 2008-03-13 Bloom Energy Corporation Flexible fuel cell system configuration to handle multiple fuels
US7972738B2 (en) * 2006-10-18 2011-07-05 Olympus Imaging Corp. Residual capacity detection method and residual capacity detection system for fuel cell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5723A (ja) * 1998-03-18 1999-09-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3168463A (ja) * 2001-11-29 2003-06-13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8166255A (ja) * 2006-10-18 2008-07-17 Olympus Imaging Corp 燃料電池の残容量検出方法及び燃料電池の残容量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08893A (ja) 2010-05-13
US20100112411A1 (en) 2010-05-06
KR20100048104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4092B1 (en) Fuel cell apparatus
AU2012228513B2 (en) Hydrogen offloading in an electrochemical generator unit including a hydrogen fuel cell
CN100377402C (zh) 具有改进的冷却结构的电池堆及其燃料电池***
US20110250513A1 (en) Fuel cell
Kim et al. Ultra compact direct hydrogen fuel cell prototype using a metal hydride hydrogen storage tank for a mobile phone
KR101148260B1 (ko) 연료전지 시스템
CA2452657C (en) A power source with solid oxide fuel cells
US20060194087A1 (en)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fuel of fuel cell as refrigerant
US20090325009A1 (en)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40252B1 (ko) 독립형 연료전지 시스템용 고효율 기액분리기
US20100196769A1 (en) Fuel cell system
US20130078486A1 (en) Power supply device
Lokhande et al. Hydrogen fuel cell: Parametric analysis of their stockpiling and different types
US20100248082A1 (en) Fuel cell system
KR101131166B1 (ko) 연료전지 시스템
KR100759664B1 (ko) 퍼징 장치가 구비된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가동 정지 방법
KR101903803B1 (ko) 연료전지시스템
KR100790853B1 (ko) 기화층에 수직하게 배열된 스택을 구비하는 연료전지시스템
KR100818488B1 (ko) 연료 개질 방법과 개질기
JP200733514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TW202335341A (zh) 燃料電池系統
GB2614325A (en) Fuel cell system
KR101291571B1 (ko) 연료 전지용 물 공급 장치
KR101387756B1 (ko) 열전소자를 갖는 다중 연료전지 운전 시스템
KR100820229B1 (ko) 수소 발생 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