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699B1 -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699B1
KR101147699B1 KR1020060041196A KR20060041196A KR101147699B1 KR 101147699 B1 KR101147699 B1 KR 101147699B1 KR 1020060041196 A KR1020060041196 A KR 1020060041196A KR 20060041196 A KR20060041196 A KR 20060041196A KR 101147699 B1 KR101147699 B1 KR 101147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mmunition
dehumidifying
drying tow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8773A (ko
Inventor
이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엑스
Priority to KR102006004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69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약고의 결로(結露) 현상을 해결하고 방지하기 위한 제습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일측에 출입문을 가지며, 복토가 되는 탄약고에서 탄약고의 공기가 외부와 차폐되도록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 탄약고에 공기를 강제 순환하는 배출관 및 흡입관을 설치한 후, 이 관들 내부에 강제순환팬을 설치하고 작동하여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면서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에 제습제인 염화칼슘, 액상의 규산소다, 실리카(SiO2) 및 알루미나(Al2O3), 활성탄 등을 설치하여 순환되는 공기중의 습기를 제습하도록 한 것이다. 탄약고 외부에 설치된 건조탑에서는 탄약고의 공기중에 있던 습기를 흡수한 제습제를 태양열을 활용하여 건조시키며, 필요시 전열선을 사용하여 제습제를 추가적으로 건조시킴으로써 탄약고 내부 공기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캐비티 내부에 존재하는 물기나 습기를 화학적인 제습제와 외부의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으로 탄약고의 결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탄약고, 결로, 탄약, 공기, 습기, 제습제

Description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Dew condensation prevent and dehumidifying system for a military magazine by circular use of dehumidifying agent}
도1은 캐비티의 일례로서 탄약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2는 종래 탄약고 내부의 등온선도,
도3은 종래의 탄약고 내부 공기층의 분포도 및 공기의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탄약고 결로 방지 및 제습 시스템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탄약고 결로 방지 및 제습 시스템 건조탑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탄약고 결로 방지 및 제습 시스템의 제습제통의 단면도 및 공기흐름도,
도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습제통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탄약고 D:방폭문
S:환기구 F:환풍팬
E:날개 A:탄약
AL:저온다습한 공기 AH:고온건조한 공기
M:물기 11:배출관
12:흡입관 13:강제순환팬
21:제습제 알갱이 22:위뚜껑
23:아래뚜껑 24:전열선뚜껑
22a:위뚜껑구멍 23a:아래뚜껑구멍
24a:전열선뚜껑구멍 27:전열선
30:건조탑 31:지붕
32:환기팬 33:제습제통
34:상부깔때기 흡입구 35:하부깔때기 배출구
36:아래판 37:아래판 구멍
38:외벽 40:중앙통제장치
41:제1 습도센서 42:제2 습도센서
43:모터 41a:제1 센서전선
42a:제2 센서전선 43a:모터전선
50:아스팔트면
본 발명은 탄약고의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結露) 현상을 해결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약고 내부에 있는 저온다습한 무거운 공기를 배출관을 통하여 건조탑으로 강제 순환시키며 공기의 순환경로에 제습제를 설치하되 제습제가 제습 및 건조를 순환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탄약고 내부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공기 중에는 약간(약 1%)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증기는 기체 상태이므로 공기 중에 섞여서 잘 떠돌아다닌다. 공기 중의 수증기량은 같은 기압 하에서 온도에 따라 포함할 수 있는 최대한도(포화상태)가 달라지는데, 온도가 높을수록 공기 중의 포화수증기량은 증가하고 온도가 낮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은 감소한다.
어떤 온도에서 그 포화수증기량과 실제 포함하고 있는 수증기량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상대습도(통상 '습도'라 칭함)라고 하며, 상대습도가 100%(포화상태)이면 공기는 주어진 온도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포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동일 온도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량이 포화상태보다 증가하거나 또는 포화상태에서 온도가 내려갈 경우 잉여분의 수증기는 더 이상 수증기 상태로 공기 중에 섞여 있지 못하고 응결(凝結)되어 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의 상대습도 100%인 온도를 이슬점(露點)이라 하고, 이러한 현상을 결로라 한다.
이와 같은 결로 현상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예컨대, 겨울철 등에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해서 실내측 벽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이는 실내공기 중의 수증기가 저온인 벽면과의 접촉으로 이슬점 이하로 온도가 내려감으로써 발생되는 것으로 벽면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곰팡이를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장롱 뒤 등과 같이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곳에서는 결로 현상이 더욱 심하게 발생된다.
물론, 벽면의 단열을 좋게 하여 그 표면온도를 실내 습공기의 이슬점보다 높이고, 적절히 환기를 시켜 습공기의 정체(停滯)를 피하면서 실내에서의 습기발생을 억제하면 결로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다.
그러나 탄약고 형태로 이루어진 구조의 경우 그 구조적 특성상 원활한 환기가 어렵거나 또는 탄약고 내에 많은 탄약들이 밀집 저장되는 경우에는 단열과 환기만으로 결로를 확실히 방지하기란 대단히 어렵다.
특히, 긴밀한 보관과 높은 보존성이 요구되는 탄약고나 문서고, 납골당, 지하도서관, 박물관 및 지하공동구 등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결로 방지가 대단히 중요하다.
도1 내지 도3에는 이와 같이 높은 결로방지가 요구되는 탄약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일반적으로 탄약고(C)는 그 특성상 지하에 위치하거나, 지상에 위치하더라도 대부분이 흙(E)으로 복토되어 땅속에 묻히고 방폭문(防爆門:D)이 설치되는 전면부 위만 노출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내부의 환기를 위해서 전면의 방폭문(D) 하부에 통기구(S)를 구비하고 지붕의 뒤쪽에 무동력 배기팬(F)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탄약고(C)의 내부온도가 외부온도에 비하여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저온이 되고 겨울에는 고온이 되면서 양자간에 비교적 큰 기온차를 나타낸다. 도2는 여름철 종래 탄약고 내부의 온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기구(S)가 있는 앞쪽의 공기온도는 비교적 높지만, 통기구(S)에서 멀어지는 뒤쪽으로 갈수록 또한 배기팬(F)에서 멀어지는 바닥으로 갈수록 온도가 크게 낮아져 외부온도(약 30℃이상)와 상당한 온도차를 가진다.
이는 종래 탄약고(C)가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름철 외부의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될 경우 도면에 빗금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탄약고(C)의 상당히 많은 영역에서 결로가 발생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즉, 탄약(A)은 저장과 방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약고(C)의 앞쪽에는 저장하지 않고 주로 탄약고(C)의 뒤쪽으로부터 층상으로 밀집 저장하게 되는 바, 방폭문(D) 하부의 통기구(S)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탄약(A) 더미에 막혀 큰 유동저항을 받게 되므로 탄약고(C)의 뒤쪽까지 충분히 유동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탄약고(C)의 뒤쪽과 바닥에는 사실상 공기의 유동이 거의 없어, 탄약고(C) 내에서 탄약(A)이 밀집 저장된 부위는 온도는 낮으면서 습도는 높은 저온다습한 공기층(AL)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형성된 탄약고(C)내의 저온다습한 공기층(AL)은 탄약고(C) 외부의 고온다습한 공기에 비해서는 물론이고 탄약고(C)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층(AH)보다도 밀도가 커서 바닥부위에 분포하게 된다.
이 때문에 통기구(S)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더라도 탄약고(C)내에서는 대류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유입된 고온의 외부공기가 탄약(A) 주변의 저온다습한 공기층(AL)으로 침투하지 못하고 바로 위로 상승하여 배기팬(F)을 통해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탄약고(C) 내부의 저온다습한 공기층(AL)이 배출되지 않고 그대로 머물러 있게 된다.
따라서 여름철에 고온다습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탄약고(C) 내에 있는 저온의 공기와 만나면서 포화수증기압의 강하로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온도가 더 낮고 열전도율이 높은 탄약(A)의 표면에 닿는 경우 고온다습한 공기의 온도가 급격히 낮아짐으로써 그에 포함된 다량의 수증기가 결로되어 탄약(A)의 표면에 많은 물기(M)가 맺히게 된다.
그러므로 여름철에는 결로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탄약(A)의 표면에 항상 물기(M)가 묻어 있게 되며, 이러한 물기(M)에 의해 탄약(A)의 부식이 쉽게 유발된다.
한편, 겨울철에는 외부로부터 저온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므로 탄약(A) 주변의 고온다습한 공기가 밀도차이에 의해 부상하여 밀려나가게 되는 바, 겨울철에는 탄 약(A) 표면의 결로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미 여름철에 탄약(A)의 표면에 물기(M)가 묻어서 부식이 시작된 경우에는 겨울에도 계속해서 탄약(A)의 표면 부식이 진행되는 바, 일정기간이 지난 뒤에는 탄약(A)을 폐기처분 하거나 탄약(A)을 모두 들어내서 표면을 깎아내고 다시 페인트를 칠해주는 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들이 모색되어 왔으나 대부분이 전기와 같은 인위적인 동력을 사용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유지비가 소요되며, 경제적으로 최상의 상태는 아니었다.
이 밖에도 탄약을 충분히 성글게 저장하여 탄약고내의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제습기를 설치하는 방안 등이 강구되기도 하였는데, 탄약을 성글게 저장하는 경우는 탄약을 성글게 저장하는데 비례하여 많은 탄약고를 건설해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지대와 건설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제습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속적인 가동이 요구되어 엄청난 유지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실질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현실성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탄약고 내부의 공기가 순환적으로 제습제에 강제 접촉하도록 하는 동시에 제습제통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제습제의 습기가 증발하도록 하여 제습제통의 일부에서는 탄약고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습기가 증발하여 제습제의 손실이 없이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면서 탄약고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나아가 탄약고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하는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약고 하부에 있던 무거운 고밀도의 저온다습한 공기를 배출관을 통하여 강제 순환하고 공기가 순환하는 경로에 제습제통을 통과하도록 하여서 공기내의 습기를 제거하며 동시에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여서 고온건조한 공기가 되도록 한 후 흡입관을 통하여 다시 탄약고의 상부에 흡입하여서 효과적으로 탄약고 내부의 공기가 순차적으로 순환하도록 하여서 항상 가장 습도가 높은 부위의 공기를 제습하는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탑을 투명한 물질(유리, 아크릴)로 하여서 햇볕이 들어가기는 잘하여도 나오지는 못하게 하는 온실효과가 발생하도록 하여서 건조탑 내부 공기의 온도를 높여서 건조탑 내부에 있는 제습제를 태양열로 건조하도록 하는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통형의 제습제통을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시켜서 가장 건조한 제습제 부분이 탄약고 내부에서 나온 공기와 순차적으로 접촉을 하도록 하고 습기를 흡수한 제습제 부분은 건조탑 내에서 건조가 되도록 하는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탑을 탄약고 외부에 설치하되 건조탑의 주변을 아스팔트와 같은 검정색의 물질로 바닥을 만들어서 태양열이 바닥에 잘 흡수되도록 한 후 건조탑의 아래판에 구멍을 많이 뚫어 놓고 건조탑 외벽에 설치된 환기팬으로 공기를 강제로 빨아들이고 환기시켜서 건조탑 내의 공기의 온도가 높게 유지시켜서 건조탑 내에 있는 제습제통 내의 제습제가 흡수한 습기를 효율적으로 증발하도록 하는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탑에 설치된 제습제통의 습기를 태양열에 의한 에너지로 증발을 시키되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와서 건조탑 외부 공기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제습제통 밑 부분에 설치된 전열선을 동작시켜서 인공적으로 제습제에 흡수된 습기를 강제로 증발시키는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은 탄약고 외에도 문서고나 납골당 등이 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4에서, 본 발명에 의한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은,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탄약고(C)와, 이 탄약고(C)의 외부에 존재하는 건조탑(30)으로 크게 구성되며 탄약고(C)와 건조탑(30)을 배출관(11)과 흡입관(12)으로 연결한다. 탄약고(C)의 내부에는 공기가 존재하는데 이 공기는 많은 습기를 머금고 있다. 또한 탄약고(C) 내부 공기의 온도 분포를 보면 바닥근처는 낮고 천정부근은 높으며 온도가 낮은 밑 부분의 습도는 높고 천정부근의 습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탄약고(C)에서 공기를 뽑아내는 배출관(11)의 입구는 탄약고(C)의 바닥 부근에 위치하며, 제습이 되어서 순환되는 공기를 받는 흡입관(12)의 출구는 천정 부근에 위치한다.
탄약고(C) 내부에서 습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저온다습의 공기가 배출관(11)을 통하여 건조탑의 하부깔때기 배출구(35)에 보내지면 공기는 바로 위에 위치한 제습제통(33)을 통과하며 습기를 잃고 상부깔때기 흡입구(34)에 흡입되고 이것과 연결된 흡입관(12)을 따라서 다시 탄약고(C)로 되돌아 흡입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의 건조탑(30)은 상기 배출관(11)으로부터 상기 탄약고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한 후 상기 흡입관(12)을 통해 상기 탄약고(C)로 배출하는 제습부와; 상기 제습부에서 습기를 흡수한 제습제에 외부공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키고, 상기 제습제를 통과하여 가습된 외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부로 구성된다.
건조탑(30)은 원판형태를 갖는 제습제통(33)을 회전시키는 모터(43)와 상기 모터(43)와 동축으로 회전하는 제습제통(33), 건조탑(30)에서 탄약고(C)로 공기를 흡입하는 상부깔때기 흡입구(34), 탄약고(C)에서 건조탑(30)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하부깔때기 배출구(35) 그리고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32)을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건조탑(30)의 위 부분은 원추형으로 경사가 진 지붕(31)이 있어 비나 눈이 올 때 내부의 제습제가 젖는 것을 막아주며 원추형 지붕(31)은 투명한 유리 등으로 되어 있어서 햇볕이 투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투과된 햇볕에 의하여 제습제통(33)의 제습제는 건조되게 된다. 건조탑(30)의 상층부에 중앙통제장치(40)가 있으며 제1 습도센서(41)는 탄약고(C)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탄약고 내부 공기, 특히 바닥공기의 습도를 감지하여 중앙통제장치(40)로 보내준다.
건조탑(30)의 외벽(38) 중에서 탄약고(C)의 반대편 외벽(38) 상부에는 환기팬(32)이 설치되어서 건조탑(30) 아래판(36) 하부의 공기를 강제로 빨아올려서 환기팬(3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도면에서 흡입관(12) 및 배출관(11) 내부의 실선의 화살표는 탄약고 내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며, 점선의 화살표는 건조탑(30)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탑(30) 아래 고온의 외부공기를 건조탑(30) 내부로 빨아들이기 위해서는 외벽(38)에 부착된 환기팬(32)의 동력에 의한 것이며 아래판(36)에 형성된 아래판 구멍(37)을 통하여 흡입된 고온건조한 공기는 구멍이 다수 뚫려 있는 제습제통(33)을 통과하며 습기가 많은 제습제의 습기를 증발시킨다. 모터(43)를 사용하여 천천히 지속적으로 회전하거나 스텝핑모터 식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회전하고 정지하고, 회전하고 정지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탄약고(C)의 배출관(11) 입구의 부근에는 제1 습도센서(41)를 설치하여서 탄약고(C) 내부 바닥의 습도가 어느 값 이상이 되면 배출관(11) 내부에 설치된 강제순환팬(13)(도5에 표시)을 동작시켜서 습도가 높은 탄약고(C)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서 제습이 되도록 한다. 또한 건조탑(30)의 내부에 있는 상부깔때기 흡입구(34)의 중심부근에 설치된 제2 습도센서(42)로 제습이 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여서 만일 충분히 제습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모터(43)의 속도를 높이거나, 환기팬(32)의 속도를 높이고 그래도 습도가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제습제통(33)의 아래뚜껑(23)과 전열선 뚜껑(24) 사이에 설치된 전열선(27)(도6에 표시)에 전류를 흘려서 상기 전열선(27)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충분히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중앙통제장치(40)를 건조탑(30)의 내부에 설치한다.
도5에서 냉각탑(30)의 단면도를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배출관(11)을 따라서 이동하는 탄약고(C) 내부의 공기는 강제순환팬(13)의 힘에 의하여 탄약고(C)에서 배출되어서 하부깔때기 배출구(35)에서 넓은 면적으로 펼쳐지면서 배출되어진다. 넓게 펼쳐진 공기는 속도가 줄어 천천히 흐르면서 제습제통(33)내의 제습제와 넓은 면적에서 오랫동안 접촉하면서 습기를 빼앗기고 상부깔때기 흡입구(34)를 통과하고 다시 흡입관(12)을 통하여 탄약고(C) 내로 흡입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깔대기가 있는 부근의 제습제는 탄약고(C)에 있던 습기를 흡수하게 되어 습도가 높은 상태가 되며 모터(43)에 의하여 제습제통(33)이 회전하므로 깔대기가 있는 부근의 제습제는 습기를 흡수한 후 깔때기가 있는 곳에서 멀어지게 된다. 깔때기가 있는 곳에서 벗어난 제습제통(33)의 부분은 건조탑(30)의 외벽(38)에 설치된 환기팬(32)의 동작에 의하여 건조탑(30)의 아래판(36)에 설치된 아래판 구멍(37)을 통과하는 고온건조한 공기를 만나서 다시 건조하게 마르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충분히 거쳐서 제습제가 습기를 갖지 않는 상황이 되면 다시 제습제통(33)이 회전하여 깔때기가 있는 곳으로 회전하여 가서는 탄약고(C)의 공기와 접촉하게 되며 다시 습기를 빼앗아 제습을 하게 되는 것이다.
중앙통제장치(40)로 제1 습도센서(41)에서 오는 제1 센서전선(41a), 제2 습도센서(42)에서 오는 제2 센서전선(42a) 그리고 모터(43)를 통제하는 모터전선(43a)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선으로 연결하지는 않았으나 환기팬(32)도 중앙통제장치(40)에 의해서 가동과 속도를 통제받게 된다.
건조탑(30)은 아스팔트면(50) 위에 설치하였는데 여름에 햇볕이 강할 때 가능한 태양에너지를 많이 흡수하기 위해서 건조탑(30)의 밑 부분은 검정색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방수나 오염 등 모든 것을 고려할 때 아스팔트면(50)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아스팔트면(50)에서 발생하는 열로 그 위의 공기가 뜨거워지면 그 공기를 아래판(36)의 아래판 구멍(37)을 통하여 흡입하는 것이 제습제의 습기를 증발시키는데 효율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건조탑(30)의 아래판(36)은 배출관(11)의 설치 높이 및 강제 순환팬(13)의 설치 높이를 고려하여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한다.
또한 건조탑(30)을 구성하는 지붕(31), 외벽(38) 및 아래판(36)을 모두 유리로 제작하여서 건조탑(30)의 내부에 온실효과가 발생하도록 하며, 내부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외부에서 감시하기도 쉬워진다.
도6은 제습이 되는 과정을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그림으로 제습제통(33) 내부의 제습제 알갱이(21)가 그려져 있으며 아래뚜껑(23) 밑에 설치된 전열선(27)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제순환팬(13)에 의하여 탄약고(C) 내부의 공기가 하부깔때기 배출구(35)에 도달하면 하부깔때기 배출구(35) 내부의 공기는 양압을 받아 공기가 아래뚜껑(23)의 구멍들을 통과하여 제습제 알갱이(21)들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는 하부깔때기 배출구(35)와 제습제통(33)이 약간 떨어진 것과 같이 그려져 있으나 도식으로 구분하여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로는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깔때기의 끝면을 처리하여 밀폐가 되도록 하여서 공기가 새나가지 않도록 한다. 제습제통(33)의 가장 밑 부분에 있는 전열선뚜껑(24)과 아래뚜껑(23) 및 위뚜껑(22)에는 많은 구멍이 뚫어져 있으며, 상기 구멍들의 직경은 제습제 알갱이(21)의 직경보다 작아서 공기는 자연스럽게 통과하되 제습제알갱이(21)는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전열선(27)을 받쳐주는 전열선뚜껑(24)의 위면은 반사율이 높도록 하여서 전기 에너지가 가능한 위로 많이 전달되도록 하여 효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아래뚜껑(23)도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위뚜껑(22)에 설치된 위뚜껑 구멍(22a)을 통과하여 상부깔때기(34)에 도달한 공기는 다시 깔때기에 의하여 모여서 흡입관(12)으로 흡입되고 최종적으로는 탄약고(C)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부깔때기 흡입구(34)의 내부 중앙에는 제2 습도센서(42)가 설치되어 있어서 제습제통(33)을 통과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 습도 데이터를 중앙통제장치(40)에서 처리하여 모터(43)의 속도 및 전열선(27)의 동작 등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제습제통(33)의 제습제 알갱이(21)는 상부깔때기 흡입구(34)와 하부깔때기 배출구(35)가 존재하는 부분에서만 탄약고(C) 내부의 공기에서 받은 습기를 받아 접촉하게 되며 깔때기가 없는 부분에서는 건조탑(30)의 투명 유리창을 통과하는 태양에너지와 전열선(27)의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약고(C)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제통(33)의 일부에 설치된 깔때기에 배출하여 제습제통(33)의 제습제 알갱이(22)와 접촉하게 함으로써 제습제통(33)이 회전하면서 탄약고(C) 내부 공기의 습기를 흡수하는 단계와 상기 제습제통(33)의 일부가 건조탑(30)에서 건조되는 단계를 순환적으로 수행하여서 제습제를 갈아주거나 제습제를 넣고 빼고 하는 번거로움을 완전히 해결하였으며, 제습제를 건조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태양광선이 통과하도록 투명유리창으로 구성된 건조탑(30)의 구조와 온실효과를 활용하여서 가능한 자연에너지를 활용하고 자연에너지의 활용이 어려운 환경에서만 인위적인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전기에너지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탄약고 위면이나 측사면의 넓은 면을 태양전지로 설치하여서 제습제통(33)의 아래뚜껑(23) 밑에 설치된 전열선(27)에 전기를 공급하여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제습함으로써 태양전지에너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여서 독립적으로 탄약고의 제습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제습제 알갱이(21)는 실리카겔이나 알루미나(Al2O3), 활성탄 등 고체상태의 제습제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염화칼슘 수용액, 액상의 규산소다 등의 경우에는 거의 모두 유사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이 경우 액체로 된 제습제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제습제통(33)의 아래뚜껑(23)에 아래뚜껑구멍(23a)이 없는 것을 활용하도록 구성하고 탄약고(C)에서 배출관(11)을 따라 제습제통(33)에 흡입되어 오는 공기를 제습제통(33)의 측면 상부에서 흡입하는 것만 차이가 있음을 밝혀둔다.
도7은 제습제통(33)의 분해 사시도로서 위에서부터 위뚜껑(22), 제습제통(33)에 담겨져 있는 제습제 알갱이(21), 아래뚜껑(23), 전열선(27) 그리고 전열선(27)을 받쳐주는 전열선 뚜껑(24)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두 구멍이 다수 뚫려서 공기가 위 아래로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탄약고(C) 내부의 공기가 머금은 습기를 제습제 알갱이(21)에 가능한 넓은 면적에 오랫동안 접촉시켜서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제습제통(33)의 위뚜껑(22)과 아래뚜껑(23)에는 각각 위뚜껑 구멍(22a)과 아래뚜껑 구멍(23a)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공기는 위 아래로 자연스럽게 통과하면서 제습제 알갱이(21)는 새어 나오지 않도록 상기 구멍들의 직경은 제습제 알갱이(21)의 직경보다 작게 그 크기를 조절하여서 형성시켜 놓은 것이다.
또 전열선뚜껑(24)의 위 표면은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써서 가능한 전열선(27)에서 생성되는 열에너지가 전열선뚜껑(24)의 위 표면에 흡수되지 않고 제습제 알갱이(21)가 흡수한 습기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도록 하며 동일한 이유에 의하여 아래뚜껑(23)의 재질도 열전도율이 높은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탄약고의 사용에 있어서 발생하는 결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습제통의 일부에서는 제습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제습제를 건조시켜 제습제를 순환적으로 재사용하도록 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해결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탄약고 내부의 저온다습한 공기를 관을 이용하여 건조탑내의 제습제통으로 보내 통안의 제습제와 접촉하도록 하여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하여 탄약고로 돌려보내며, 한번 사용한 제습제를 버리지 않고 태양열과 인위적인 전기열을 사용하여 제습제의 습기를 제거한 후, 다시 탄약고 내부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도록 하여서 전기를 많이 사용하지 않고 태양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탄약고 내부의 습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결로 문제도 효과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7)

  1. 출입문을 닫을 시 내부의 공기는 외부와 차단되는 밀폐의 구조를 형성하는 탄약고(C);
    상기 탄약고 내부의 공기를 탄약고(C)와 건조탑(30) 사이를 강제순환토록 통로를 제공하는 흡입관(12) 및 배출관(11)과;
    상기 배출관(11)으로부터 상기 탄약고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한 후 상기 흡입관(12)을 통해 상기 탄약고(C)로 배출하는 제습부와 상기 제습부에서 습기를 흡수한 제습제에 외부공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키고, 상기 제습제를 통과하여 가습된 외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부로 구성되는 건조탑(30)으로 구성되며,
    상기 건조탑(30)의 제습부는 상기 배출관(11)을 통하여 상기 탄약고(C)에서 건조탑(30)의 제습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하부깔때기 배출구(35)와; 상기 하부깔때기 배출구(35)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제습제통(33)의 일부분을 통과하여 제습된 후, 상기 흡입관(12)을 통하여 상기 탄약고(C)로 흡입하게 하는 상부깔때기 흡입구(34)로 구성되고,
    상기 건조부는 원판형태를 갖는 제습제통(33)을 회전시키는 모터(43)와 상기 모터(43)와 동축으로 회전하는 제습제통(33), 상기 제습제통(33)을 건조시키기 위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습제통(33)를 통과함으로써 가습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탑(30)의 지붕, 외벽 및 아래판을 투명유리나 아크릴로 제작하여 온실효과에 의하여 상기 건조탑(30) 내부의 온도를 높여서 제습제의 건조 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통(33)의 일부 밑면과 윗면에 접촉하며 동시에 덮이도록 하부깔때기 배출구(34)및 상부깔때기 흡입구(35)를 설치하여 상기 배출관(11)을 통해 배출되는 탄약고(C)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습제통(33)의 제습제와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며 동시에 제습이 된 공기만을 상기 흡입관(12)을 통하여 탄약고(C)에 공급하여 탄약고의 제습이 효율적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탑(30)의 외벽 위부분에 환기팬(32)을 설치하고 상기 건조탑(30)의 아래판(36)에는 아래판구멍(37)을 설치하여서 상기 건조탑(30) 외부의 고온건조한 공기를 상기 건조탑(30) 내부로 강제로 순환토록 하여 습기를 흡수한 상기 제습제통(33)의 제습제가 상기 외부의 고온건조한 공기에 의해 효율적으로 건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통(33)의 아래뚜껑(23)의 하부에 전열선(27)을 설치하여 햇볕이 약하고 외부 공기가 습한 경우에 상기 전열선(27)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전열선(27)서 발생하는 열을 사용하여 상기 제습제통(33)의 제습제의 습기를 강제 증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탑(30)을 설치하는 지면이 아스팔트면과 같은 검정색 면을 갖도록 하여서 지면이 햇볕을 흡수하는 것을 강화하여 상기 건조탑(30)에 고온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의 입구는 상기 탄약고(C)의 내부 밑부분에 설치하고 흡입관(12)의 출구는 탄약고의 위부분에 설치하여서 상기 탄약고(C)의 내부 밑부분에 분포한 저온다습한 공기가 상기 제습제통(33)의 제습제에 접촉하도록 하며 상기 제습제통(33)에서 제습된 고온건조한 공기는 상기 탄약고(C)로 흡입되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제습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9. 삭제
  10. 출입문을 닫을 시 탄약고 내부의 공기는 외부와 차단되는 밀폐의 구조를 형성하는 탄약고(C);
    상기 탄약고 내부의 공기를 탄약고와 건조탑 사이를 강제순환토록 통로를 제공하는 흡입관(12) 및 배출관(11)과;
    원판형 제습제통(33)을 회전시키는 모터(43)와 상기 모터(43)와 동축으로 회전하는 제습제통(33), 상기 원판형 제습제통(33)을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를 상기 흡입관을 통하여 상기 탄약고(C)로 흡입하는 상부깔때기 흡입구(34), 상기 배출관(11)을 통하여 탄약고(C)에서 건조탑(30)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원판형 제습제통(33)을 통과하게 하는 하부깔때기 배출구(35) 그리고 건조탑(30)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32)으로 구성되는 건조탑(30)과;
    상기 밀폐된 탄약고의 내부에 습도센서를 설치하여 습도가 정해진 값 이상일 경우에만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하여 강제순환팬의 동작을 최소화하며 또 상부깔때기 흡입구(34) 내에 습도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깔때기 흡입구(34)를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가 정해진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원판형 제습제통(33)을 돌리거나 상기 제습제통(33)의 아래뚜껑(23) 하부에 설치된 전열선(27)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중앙통제장치(40)가 설치되어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통(33)의 제습제로 염화칼슘, 액상의 규산소다, 실리카(SiO2) 및 알루미나(Al2O3), 활성탄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KR1020060041196A 2006-05-08 2006-05-08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KR10114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196A KR101147699B1 (ko) 2006-05-08 2006-05-08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196A KR101147699B1 (ko) 2006-05-08 2006-05-08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773A KR20070108773A (ko) 2007-11-13
KR101147699B1 true KR101147699B1 (ko) 2012-05-25

Family

ID=3906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196A KR101147699B1 (ko) 2006-05-08 2006-05-08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6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70646A1 (en) * 2016-06-26 2017-12-28 Gary P. Rettig Ammunition Cartridge Case Dryer
KR20180076636A (ko) * 2016-12-28 2018-07-0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전기 분해를 이용한 전투 체계의 자동 제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091B1 (ko) * 2014-12-30 2016-08-2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열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638A (ja) * 2004-01-21 2005-08-04 Daikin Ind Ltd 調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638A (ja) * 2004-01-21 2005-08-04 Daikin Ind Ltd 調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70646A1 (en) * 2016-06-26 2017-12-28 Gary P. Rettig Ammunition Cartridge Case Dryer
US10436510B2 (en) * 2016-06-26 2019-10-08 Gary P Rettig Ammunition cartridge case dryer
KR20180076636A (ko) * 2016-12-28 2018-07-0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전기 분해를 이용한 전투 체계의 자동 제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773A (ko) 200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38690A (en) Method for the dehumidification of air
KR100311601B1 (ko) 저장고 내부 제습 방법 및 그 제습 시스템
KR101147699B1 (ko) 순환적으로 제습제를 사용하는 탄약고 결로 방지를 위한 제습 시스템
CN105202872A (zh) 一种静态烟火药除湿干燥***
KR100523262B1 (ko) 캐비티 결로(結露) 방지 시스템
JP2007255780A (ja) 太陽熱利用の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CN208898735U (zh) 一种污泥复合热干化***
CN219555808U (zh) 一种植物工厂用通风设备
JP2668665B2 (ja) ソーラーシステムハウス
CN107957098B (zh) 一种循环除湿***及除湿方法
KR100566956B1 (ko) 저장고의 결로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79722B1 (ko) 건조 시스템
KR200430915Y1 (ko) 이그루탄약고 결로(結露)방지 및 제습 시스템
KR100753529B1 (ko) 이그루탄약고 결로(結露)방지 및 제습 시스템
JP4744802B2 (ja) 建物内の循環調湿機構
KR101419499B1 (ko) 저장고 결로방지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JPH035772B2 (ko)
CN113007836A (zh) 用于绿色建筑的通气节能设备
CN101344294B (zh) 利用夜空除湿的新风采集装置
KR100718930B1 (ko) 캐비티 결로(結露) 방지방법 및 구조
WO2020132299A1 (en) Hybrid kiln for drying wood, biochar and agriculture products
CN104990152A (zh) 一种电子除湿器
CN216125435U (zh) 一种防水卷材聚酯布原料储存仓除湿装置
US20170234579A1 (en) A solar collector panel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solar collector panel
RU2735516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истемы охлаждения и увлажнения вентиляционных панелей птични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