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554B1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554B1
KR101143554B1 KR1020110095418A KR20110095418A KR101143554B1 KR 101143554 B1 KR101143554 B1 KR 101143554B1 KR 1020110095418 A KR1020110095418 A KR 1020110095418A KR 20110095418 A KR20110095418 A KR 20110095418A KR 101143554 B1 KR101143554 B1 KR 101143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tube
cap
flow pat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균묵
조산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Priority to KR1020110095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2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attachments, e.g. reduction units, T-pieces, ben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꼭지 등의 관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나사산(10a)이 형성된 관(10)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관 연결구로, 상기 관(10)의 유로(12)와 연결되는 유로(102)를 갖는 바디(body)(100); 상기 바디(100)와 관(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관(10)이 삽입되는 중공(112h)을 가지며, 상기 관(10)과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110s, 2110s)이 형성된 인서트(insert)(110);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된 인서트(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며, 상기 관(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120h)이 형성된 캡(cap)(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를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 연결구{PIPE JOINT}
본 발명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꼭지 등의 관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나 냉/ 온수, 또는 소방수 등의 유체를 안내하는데 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은 대부분이 상당히 길게 배관되는 점, 부분적으로 요구되는 소재의 특성이 상이한 점 등의 이유때문에 복수 개가 관 연결구를 통해 연결된 구조로 배관되고 있다.
관 연결구는 관과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특히 관과 견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는 점, 관과의 결합, 분리가 용이하다는 점 등의 이유로 인해 관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나사 체결이 견실하게 이루어지고 나사 체결부분이 뭉그러지지 않기 위해서는 관 연결구는 강도가 우수한 황동과 같은 금속재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그러나, 강도가 우수한 소재는 대체적으로 고가여서 비용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하여, 관과 나사 체결이 쉽고 견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용 부담이 현격히 줄어들 수 있는 관 연결구에 대한 연구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강도 소재에 의해 관과 나사 체결이 쉽고 견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되, 고강도 소재 사용으로 인한 비용 부담이 현격히 줄어들 수 있는 관 연결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나사산(10a)이 형성된 관(10)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관 연결구로, 상기 관(10)의 유로(12)와 연결되는 유로(102)를 갖는 바디(body)(100); 상기 바디(100)와 관(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관(10)이 삽입되는 중공(112h)을 가지며, 상기 관(10)과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110s, 2110s)이 형성된 인서트(insert)(110);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된 인서트(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며, 상기 관(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120h)이 형성된 캡(cap)(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를 제시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0)의 나머지 한쪽 단부의 유로는 상기 관과 다른 제2의 관(20)이 삽입되는 제2의 관 삽입부(103a)를 이루며; 상기 바디(100)와 상기 제2의 관(2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바디(100)에 상기 제2의 관(2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에 삽입된 제2의 관(20)의 외측에 밀착되는 그랩 링(140)(grabring) 및 상기 바디(100)와 상기 제2의 관(20)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O-ring), 상기 그랩 링(140) 및 오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며 상기 바디(100)와 상기 제2의 관(20) 사이를 복개하는 상기 캡(120)과 다른 제2의 캡(170), 일측이 상기 바디(100)에 삽입된 제2의 관(20)의 외측에서 상기 제2의 관(20)에 걸림되며 타측이 상기 제2의 관(20)의 유로에 삽입되는 슬리브(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 2110)는 상기 중공(112h)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되는 본체부(112, 2112) 및, 상기 본체부(112, 2112)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110. 2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100)에 형성된 홈(102h)에 삽입되는 돌기(114, 2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의 본체부(112, 2112)는, 외경이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축소되며, 각 단의 외측면에 상기 바디(100)와 상기 인서트(110, 2110) 사이에 오링(200)이 개재될 수 있도록 오링홈(112d, 2112d)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110)의 돌기(114, 2114)는 상기 인서트(110)의 본체부(112, 2112)의 단차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는, 대경부(112a); 상기 대경부(112a)보다 외경이 작은 상태로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대경부(112a)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경이 상기 대경부(112a)의 내경보다 축소된 소경부(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는 내경에 따라, 상기 관(10)의 인서트 삽입부분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대경부(A1) 및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대경부(A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대경부(A1)보다 내경이 축소된 제2대경부(A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는, 상기 대경부(112a)와 소경부(112c) 사이에 외경 및 내경이 각각 상기 대경부(112a)보다 작고 상기 소경부(112c)보다 큰 중간부(1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는, 대경부(1110);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대경부(1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100)와 상기 대경부(1110) 사이에 오링(200)이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대경부(1110)보다 외경이 축소 형성된 중간부(1112);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중간부(1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1112)보다 외경이 축소 형성된 소경부(1114);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110)의 돌기(114)는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중간부(1112)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소경부(1114)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는, 상기 중공(112h)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와 상기 관(10) 사이에 개재되는 본체부(112) 및,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12)의 중공(112h)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공을 갖도록 형성된 연장부(116), 상기 본체부(112)와 연장부(116) 사이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서 걸림되는 걸림턱(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0)는 상기 유로(102)를 형성하며, 외측면에 상기 캡(120)과 나사 체결되기 위한 나사체결부(100b)가 상기 바디(100)의 끝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바디 본체부(100a)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110)의 걸림턱(118)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바디 본체부(100a)의 끝단부 외주단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토록 형성되고; 상기 캡(120)은 상기 바디 본체부(100a)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바디(100)의 나사체결부(100b)와 나사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122s)이 형성된 나사체결부(122) 및, 상기 캡(120)이 상기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나사체결부(12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나사체결부(122)와 내경이 동일하도록 형성된 제1연장부(124), 상기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와 대응되게 위치되며 상기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을 형성토록 제1연장부(124)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연장부(126), 상기 캡(120)이 상기 바디(10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에 걸림되며 상기 인서트(11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연장부(126)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3연장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에 형성된 홈(102g)에 삽입되는 돌기(1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주면에 나사산(10a)이 형성된 관(10)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관 연결구로, 상기 관(10)의 유로(12)와 연결되는 유로(102)를 갖는 바디(body)(100); 중공(2112h)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되고 타측의 외주면에 상기 관(10)과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2110s)이 형성된 인서트(insert)(2110);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된 인서트(2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며, 상기 인서트(2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120h)이 형성된 캡(cap)(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를 함께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2110)는, 중공(2112h)을 갖는 본체부(2112) 및, 상기 본체부(2112)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2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서 상기 바디(100)와 상기 캡(120) 사이에 걸림되는 걸림턱(2118)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2112)는,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되는 제1본체부 (2112a) 및,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서 상기 관(10)과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본체부(2112a)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상기 걸림턱(2118) 및 나사산(2110s)이 형성된 제2본체부(2110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바디와 인서트가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이 인서트와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바, 인서트만 고강도 합성수지와 같은 비교적 고가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부분적으로 유지보수, 교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조합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 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분해 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는, 외주면에 나사산(10a)이 형성된 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의 관(10)'이라 한다)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암,수형 중 암형(female)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제1의 관(10)의 유로(12)와 연결되는 유로(102)를 갖는 바디(body)(100)와; 바디(100)와 제1의 관(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되며 내부에 제1의 관(10)이 삽입되는 중공(112h)을 가지며, 제1의 관(10)과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 면에 나사산(110s)이 형성되며 바디(100)와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진 인서트(insert)(110)와;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된 인서트(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디(100)의 외측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며, 제1의 관(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120h)이 형성된 캡(cap)(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의 캡(120)'이라 한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는 구조적으로 바디(100)와 인서트(110)가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서트(110)는 단지 바디(100)의 유로(102)에 수용되며 바디(100)와 제1의 캡(120)의 결합에 의해 바디(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100)는 단지 제1의 캡(120)과 탈착 가능토록 체결되면 되므로 강도 등에 제한받지 않고 제1의 캡(120)과 함께 비교적 저가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인서트(110)는 제1의 관(10)과 견실하게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바디(100)와는 다른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용수용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의 관(10)이 금속재 수도꼭지 또는 수도꼭지로부터 연장된 금속재 연장관과 연결되는 경우, 위생성을 고려하여 바디(100)는 저가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인서트(110)는 제1의 관(10)과의 나사 체결시 뭉그러지지 않도록 고가이지만 강도, 내구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는 제1의 관(1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강도, 내구성 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면서 고가의 소재 사용으로 인한 비용 부담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는 바디(100), 인서트(110), 제1의 캡(120)이 각각 부분적으로 유지보수, 교체가 가능하다.
특히, 현 실정에서 음용수용의 관 연결구는 제1의 관(1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충분한 내구성 확보 등의 이유로 인해 황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황동은 납과 아연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 실정에서 얻을 수 있는 구리 용출기준은 1㎎/l로서 음용수용으로 위험성이 높으며, 이는 2009년 개정된 수도법의 위생안전기준인 0.1㎎/l보다 10배 높은 수치로 황동으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는 음용수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는 인서트(110)가 고강도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개정된 수도법의 위생안전기준에 매우 적합하며 수도꼭지 또는 수도꼭지 연결관과 기존과 동일하게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바, 기존의 황동으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의 대체로 유용할 수 있다. 음용수용으로 적합한 고강도 합성수지로는 예컨대 PPSU(polyphenylsulfone)이 제시될 수 있다. PPSU는 최근에 유아 젖병으로도 사용되고 있는 매우 안전적인 소재로서, 수압안정성, 산과 염기로부터의 저항력, 그리고 화학반응에 의해 크랙 저항력이 우수한 고열전도성의 고성능 수지로서 유용되고 있다.
물론,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인서트(110)는 황동이나 서스(SUS), PPSU 이외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는 개시한 수전용 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관 연결구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00)는 관 연결구의 사용용도 등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은 직관형 형상은 물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엘보(elbow) 형상, 곡관형, T형, U형, 소켓 형상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00)는 상기한 유로(102)를 형성하며, 외측면에 캡(120)과 나사 체결되기 위한 나사체결부(100b)가 상기 바디(100)의 끝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진 바디 본체부(100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본체부(100a)는 일부 또는 전체 외형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 본체부(100a)는 양쪽 단부 모두 인서트(110)를 통해 제1의 관(10)과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단부는 인서트(110)를 통해 제1의 관(10)과 연결되며, 나머지 한쪽 단부는 제1의 관(10)과 다른 제2의 관(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00)의 유로(102)는 인서트(110)가 삽입되는 부분인 인서트 삽입부(101)와 그 나머지 부분(103)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바디(100)의 인서트 삽입부(101)는 인서트(110)의 외형과 대략 동일하도록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디(100)의 인서트 삽입부(101)는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F1)을 따라 다단계에 걸쳐 내경이 축소 형성되며, 이와 같이 다단으로 변하는 내경에 따라 제1~제3 인서트 삽입부(101a~10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00)의 제1~제3 인서트 삽입부(101a~101c)들은 서로 축중심이 일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100)의 제1~제3 인서트 삽입부(101a~101c)들 간 단차로 인해, 인서트(110)가 바디(100)의 인서트 삽입부(101)에만 삽입될 수 있도록 인서트(110)가 삽입되는 위치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서트(110)와 바디(100)의 조립이 용이하고 정확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인서트(110)는 상기 중공(112h)을 갖도록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와 상기 제1의 관(10) 사이에 개재되는 본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는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F1)을 따라 다단으로 외경이 축소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측면의 단차에 의해 바디(100)의 인서트 삽입부(101)에 용이하게 정확한 위치에 밀착상태로 삽입될 수 있으며 아울러 다단에 걸쳐 누수 흐름을 끊어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는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F1)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순서대로 외경에 따라, 바디(100)의 제1인서트 삽입부(101a)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대경부(112a) 및, 대경부(112a)보다 외경이 축소 형성되며 바디(100)의 제2인서트 삽입부(101b)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중간부(112b), 중간부(112b)보다 외경이 축소 형성되며 바디(100)의 제3인서트 삽입부(101c)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소경부(112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서트(110)의 대경부(112a) 및 중간부(112b), 소경부(112c)는 서로의 축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소경부(112c)로 인해 제1의 관(10)이 삽입되는 대경부(112a)가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인서트(110)가 바디(100) 안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인서트(110)의 본체부(112)의 외측면에는 바디(100)와 인서트(110) 사이로 누수가 생기지 않도록, 기밀성 향상을 위해 오링(200)이 개재될 수 있는 오링홈(112d)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캡(120)이 풀리는 경우 등에 대비하여 오링(200)에 의해 다단으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인서트(110)의 대경부(112a)와 소경부(112c)에 각각 오링홈(112d)이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110)의 대경부(112a)는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F1)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순서대로 내경에 따라, 제1의 관(10)의 인서트 삽입부분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대경부(A1) 및 제1대경부(A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1대경부(A1)보다 내경이 축소된 제2대경부(A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110)의 제1대경부(A1)와 제2대경부(A2) 간 단차에 의해 제1의 관(10)이 인서트(110)에 과다하게 삽입되거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인서트(110)의 제1대경부(A1)의 내주면에는 제1의 관(1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해 나사산(112s)이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110)의 중간부(112a)의 내경은 인서트(110)의 제2대경부(A2)의 내경보다 축소 형성될 수 있으며, 인서트(110)의 소경부(112c)의 내경은 인서트(110)의 중간부(112b)의 내경보다 축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서트(110)는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F1)으로 바디(100)에 형성된 홈(102h)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인서트(110)의 본체부(112)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돌기(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보다 견실하게 결합됨은 물론, 인서트(110)의 돌기(114)에 의해 인서트(110)가 바디(100)의 인서트 삽입부(101)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이 구속될 수 있어 인서트(110)와 제1의 관(10)의 나사 체결시 제1의 관(10)에 대한 인서트(11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인서트(110)와 제1의 관(10)의 나사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서트(110)의 돌기(114)는 바람직하게는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F1)으로 바디(100)에 용이하게 홈(102h)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인서트(110)의 본체부(112)의 단차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서트(110)의 돌기(114)는 인서트(110)의 중간부(112b)로부터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F1)을 따라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반경방향을 따라 인서트(110)의 소경부(112c)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110)는 인서트(110)가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화살표 F2)으로 본체부(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본체부(112)의 중공(112h)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공을 갖도록 형성된 연장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110)의 연장부(116)는 내경은 제1의 관(10)의 삽입 가능토록 형성되며, 외경이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110)의 연장부(116)가 제1의 캡(120)에 의해 제1의 관(10)을 향해 눌려짐으로써, 인서트(110)가 제1의 관(10)으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인서트(110)의 연장부(116)의 내주면에도 제1의 관(1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해 나사산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110)는 본체부(112)와 연장부(116) 사이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F1)으로 바디(100)의 외측에서 걸림되는 걸림턱(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과다하게 삽입되는 것이 제한됨으로써 바디(100)와 인서트(110)의 결합위치가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의 캡(120)과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제1의 캡(120)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바디 본체부(100a)의 끝단부 외주단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g)을 유지토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의 캡(120)은 캡(120)이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 즉 인서트(110)가 바디(100)로 분리되는 방향(화살표 F2)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순서대로, 바디(100)의 바디 본체부(100a)의 외측에 끼워지며 바디(100)의 나사체결부(100b)와 나사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122s)이 형성된 나사체결부(122) 및, 나사체결부(122)와 내경이 동일하도록 형성된 제1연장부(124), 인서트(110)의 걸림턱(118)과 대응되게 위치되며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와의 사이에 제1의 캡(120)의 응력 집중 완화를 위한 소정 공간을 형성토록 제1연장부(124)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연장부(126), 캡(120)이 바디(10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에 걸림되며 인서트(110)의 외측면, 즉 인서트(110)의 연장부(116)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3연장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의 캡(120)은 바디(100) 및 인서트(110), 제1의 관(10)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 구조로 형성되되, 제1의 캡(120)의 제3연장부(128)에 의해 제1의 캡(120)과 바디(100) 사이에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이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인서트(110)가 제1의 캡(120)에 의해 바디(10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바디(100)의 제1의 캡(120) 측과 반대쪽 단부에는 제2의 관의 이탈 방지를 위해 제2의 캡(17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에 관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인서트(110)의 본체부(112) 이외 구성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바, 이하 제2실시 예의 인서트(110)의 본체부(112)에 한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 예의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는, 내주면에 나사산(2110a)이 형성된 대경부(1110) 및,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F1)으로 대경부(1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F1)으로 바디(100)와 대경부(1110) 사이에 오링(200)이 개재될 수 있도록 대경부(1110)보다 외경이 축소 형성된 중간부(1112)와,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F1)으로 중간부(1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중간부(1112)보다 외경이 축소 형성된 소경부(111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00)와 대경부(1110)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200)을 위해 인서트(110)에 오링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바디(100)와 대경부(1110)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200)으로 인한 바디(100)와 대경부(1110) 사이의 탄성력에 의해 기밀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인서트(110)의 돌기(114)는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F1)으로 중간부(1112)로부터 연장되며 소경부(1114)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서트(110)는 인서트(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바디(100)에 형성된 홈(102g)에 삽입되는 돌기(즉, 제2의 돌기(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에 관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바디(100)의 일부 구성 이외 구성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바, 이하 제3실시 예의 바디(100)에 한하여 설명한다.
바디(100)의 바디 본체부(100a)는 엘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0)의 유로(102) 중 일부는 제2의 관(20)이 삽입되는 제2의 관 삽입부(103a)를 이룰 수 있다. 바디(100)의 제2의 관 삽입부(103a)는 바디(10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제2의 관(2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내측부(103b) 및, 내측부(103b)보다 직경이 확장 형성된 외측부(103d)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100)에 제2의 관(20)이 견실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바디(100)와 제2의 관(20) 사이에 그랩 링(grab ring)(140)이 개재될 수 있다. 그랩 링(140)은 바디(100)와 제2의 관(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링형으로 형성된 링형부(142) 및, 링형부(142)로부터 돌출되어 바디(100)에 제2의 관(2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바디(100)에 삽입된 제2의 관(20)의 외측에 밀착되는 쐐기 형상의 다수의 쐐기부(1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랩 링(140)의 쐐기부(144)의 경사 방향과 제2의 관(20)이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이 같으므로 제2의 관(20)이 그랩 링(140)의 쐐기부(144)에 간섭받지 않고 바디(10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그랩 링(140)의 쐐기부(144)가 제2의 관(20)의 외측면에 내리찍어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제2의 관(20)이 바디(100)에 견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00)에 삽입된 제2의 관(20)은 그랩 링(140)의 쐐기부(144)와의 간섭으로 인해 바디(100)로부터 이탈이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그랩 링(140)은 바디(100)의 제2의 관 삽입부(103a)의 외측부(103d)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그랩 링(140)의 쐐기부(144)가 상기와 같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디(100)와 제2의 관(20) 사이에 개재되어 그랩 링(140)의 쐐기부(144)에 밀착되는 스페이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100)의 제2의 관 삽입부(103a)의 외측부(103d)에는 바디(100)와 제2의 관(20) 사이의 기밀성 유지를 위해, 바디(100)와 제2의 관(20) 사이에 오링(O-ring)(160)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0)에 삽입된 그랩 링(140) 및 오링(1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디(100)의 외측에 나사 체결 등에 의해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며 바디(100)와 제2의 관(20) 사이를 복개하는 제1의 캡(120)과 다른 제2의 캡(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이 바디(100)에 삽입된 제2의 관(20)의 외측에서 제2의 관(20)에 걸림되며 타측이 제2의 관(20)의 유로(22)에 삽입되는 슬리브(sleeve)(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의 관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암,수형 중 수형(male)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술한 암형으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인서트(2110)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인서트(2110)는, 중공(2112h)을 갖는 본체부(2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112)는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되는 제1본체부(2112a) 및, 바디(100)의 외측에서 제1의 관과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제1본체부(2112a)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제1의 관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산(2110s)이 형성된 제2본체부(2110s)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본체부(2112a)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인서트(110)의 본체부(112)와 동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본체부(2112b)는 인서트(2110)가 바디(10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다단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인서트(2110)는 본체부(2112), 특히 제2본체부(2112b)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인서트(2110)가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바디(100)의 외측에서 바디(100)와 캡(120) 사이에 걸림되는 걸림턱(2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200'는 오링(200)이고, '2112d'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오링홈과 대응되는 오링홈(2112d)이고, '2114'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돌기와 대응되는 돌기(2114)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는, 상술한 관 연결구와 마찬가지로 바디(100) 및 캡(120), 인서트(2110), 오링(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특히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의 관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암,수형 중 수형(male)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인서트(2110)와 동일, 유사한 개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인서트(2110)와 달리 인서트(2110)의 제1본체부(2112a)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인서트(110)의 본체부(112)와 동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제1의 관 20; 제2의 관
100; 바디 110; 인서트
112; 본체부 114; 돌기
116; 연장부 118; 걸림턱
120; 제1의 캡

Claims (14)

  1. 외주면에 나사산(10a)이 형성된 관(10)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관 연결구로,
    상기 관(10)의 유로(12)와 연결되는 유로(102)를 갖는 바디(body)(100);
    상기 바디(100)와 관(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관(10)이 삽입되는 중공(112h)을 가지며, 상기 관(10)과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110s, 2110s)이 형성된 상기 바디(100)와 상이한 소재의 인서트(insert)(110);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된 인서트(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며, 상기 관(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120h)이 형성된 캡(cap)(120);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110)는 상기 중공(112h)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되는 본체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는 외경이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축소되며, 상기 인서트(110)의 본체부(112)의 각 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바디(100)와 상기 인서트(110) 사이에 오링(200)이 개재될 수 있도록 오링홈(112d)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2)의 외측면에 상기 본체부(112)의 단차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100)에 형성된 홈(102h)에 삽입되는 돌기(114)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는 상기 인서트(110)가 삽입되는 부분인 인서트 삽입부(101)가 상기 인서트(110)의 외형과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2.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관 연결구로,
    상기 관의 유로와 연결되는 유로(102)를 갖는 바디(body)(100);
    중공(2112h)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되고, 바디(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타측의 외주면에 상기 관과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2110s)이 형성된 상기 바디(100)와 상이한 소재의 인서트(insert)(2110);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된 인서트(2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며, 상기 인서트(2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120h)이 형성된 캡(cap)(120);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2110)는 상기 중공(2112h)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되는 본체부(2112)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2110)의 본체부(2112)는 외경이 상기 인서트(2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축소되며, 상기 인서트(2110)의 본체부(2112)의 각 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바디(100)와 상기 인서트(2110) 사이에 오링(200)이 개재될 수 있도록 오링홈(2112d)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112)의 외측면에 상기 본체부(2112)의 단차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2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100)에 형성된 홈(102h)에 삽입되는 돌기(2114)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는 상기 인서트(2110)가 삽입되는 부분인 인서트 삽입부가 상기 인서트(2110)의 외형과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의 나머지 한쪽 단부의 유로는 상기 관과 다른 제2의 관(20)이 삽입되는 제2의 관 삽입부(103a)를 이루며;
    상기 바디(100)와 상기 제2의 관(2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바디(100)에 상기 제2의 관(2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에 삽입된 제2의 관(20)의 외측에 밀착되는 그랩 링(140)(grabring) 및 상기 바디(100)와 상기 제2의 관(20)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O-ring), 상기 그랩 링(140) 및 오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며 상기 바디(100)와 상기 제2의 관(20) 사이를 복개하는 상기 캡(120)과 다른 제2의 캡(170), 일측이 상기 바디(100)에 삽입된 제2의 관(20)의 외측에서 상기 제2의 관(20)에 걸림되며 타측이 상기 제2의 관(20)의 유로에 삽입되는 슬리브(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는,
    대경부(112a);
    상기 대경부(112a)보다 외경이 작은 상태로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대경부(112a)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경이 상기 대경부(112a)의 내경보다 축소된 소경부(11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는 내경에 따라, 상기 관(10)의 인서트 삽입부분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대경부(A1) 및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대경부(A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대경부(A1)보다 내경이 축소된 제2대경부(A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는, 상기 대경부(112a)와 소경부(112c) 사이에 외경 및 내경이 각각 상기 대경부(112a)보다 작고 상기 소경부(112c)보다 큰 중간부(112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10)의 본체부(112)는,
    대경부(1110);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대경부(1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100)와 상기 대경부(1110) 사이에 오링(200)이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대경부(1110)보다 외경이 축소 형성된 중간부(1112);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중간부(1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1112)보다 외경이 축소 형성된 소경부(1114);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110)의 돌기(114)는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중간부(1112)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소경부(1114)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10)는,
    상기 중공(112h)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와 상기 관(10) 사이에 개재되는 본체부(112) 및,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12)의 중공(112h)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공을 갖도록 형성된 연장부(116), 상기 본체부(112)와 연장부(116) 사이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서 걸림되는 걸림턱(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는 상기 유로(102)를 형성하며, 외측면에 상기 캡(120)과 나사 체결되기 위한 나사체결부(100b)가 상기 바디(100)의 끝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바디 본체부(100a)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110)의 걸림턱(118)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바디 본체부(100a)의 끝단부 외주단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토록 형성되고;
    상기 캡(120)은 상기 바디 본체부(100a)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바디(100)의 나사체결부(100b)와 나사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122s)이 형성된 나사체결부(122) 및, 상기 캡(120)이 상기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나사체결부(12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나사체결부(122)와 내경이 동일하도록 형성된 제1연장부(124), 상기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와 대응되게 위치되며 상기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을 형성토록 제1연장부(124)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연장부(126),
    상기 캡(120)이 상기 바디(10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에 걸림되며 상기 인서트(11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연장부(126)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3연장부(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인서트(110)의 걸림턱(118)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에 형성된 홈(102g)에 삽입되는 돌기(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110)는,
    중공(2112h)을 갖는 본체부(2112) 및, 상기 본체부(2112)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2110)가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서 상기 바디(100)와 상기 캡(120) 사이에 걸림되는 걸림턱(2118)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2112)는, 상기 바디(100)의 유로(102)에 삽입되는 제1본체부 (2112a)및,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서 상기 관과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본체부(2112a)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상기 걸림턱(2118) 및 나사산(2110s)이 형성된 제2본체부(2110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10)은 금속재의 수도꼭지를 이루는 관 또는 상기 수도꼭지로부터 연장된 연장관이며,
    상기 바디(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서트(110, 2100)는 상기 관(10)과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보다 강도가 큰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KR1020110095418A 2011-09-21 2011-09-21 관 연결구 KR101143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418A KR101143554B1 (ko) 2011-09-21 2011-09-21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418A KR101143554B1 (ko) 2011-09-21 2011-09-21 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554B1 true KR101143554B1 (ko) 2012-05-09

Family

ID=4627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418A KR101143554B1 (ko) 2011-09-21 2011-09-21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5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736B1 (ko) * 2011-07-11 2013-02-08 권영화 합성수지 밸브의 이종소켓 체결장치
KR101339840B1 (ko) * 2012-07-17 2013-12-10 조산옥 관 연결구
KR20190074173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에이탑 배관 커넥터
WO2019124619A1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에이탑 배관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760A (ko) * 2002-08-23 2004-02-27 황길연 유체 이송용 관의 연결장치
KR200346945Y1 (ko) 2004-01-14 2004-04-01 주식회사 래트라 주름관 연결장치
KR20060131608A (ko) * 2006-02-21 2006-12-20 이정수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101063783B1 (ko) * 2010-12-09 2011-09-08 주식회사 파이텍 친환경 수전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760A (ko) * 2002-08-23 2004-02-27 황길연 유체 이송용 관의 연결장치
KR200346945Y1 (ko) 2004-01-14 2004-04-01 주식회사 래트라 주름관 연결장치
KR20060131608A (ko) * 2006-02-21 2006-12-20 이정수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101063783B1 (ko) * 2010-12-09 2011-09-08 주식회사 파이텍 친환경 수전 연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736B1 (ko) * 2011-07-11 2013-02-08 권영화 합성수지 밸브의 이종소켓 체결장치
KR101339840B1 (ko) * 2012-07-17 2013-12-10 조산옥 관 연결구
KR20190074173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에이탑 배관 커넥터
WO2019124619A1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에이탑 배관 커넥터
KR102012421B1 (ko) * 2017-12-19 2019-08-21 주식회사 에이탑 배관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0973B2 (en) Plug-type connector
US20150308087A1 (en) Fluid Delivery System with a Housing and At Least One Fluid Inlet and One Fluid Outlet
KR101143554B1 (ko) 관 연결구
KR20160132451A (ko) 연결 조립체
US20140062078A1 (en) Pipe connector apparatus
EP3064659B1 (en) Pull-out sprayhead with magnetic coupling system
US11346480B2 (en) Connecting kit for an irrigation hose
KR101404660B1 (ko)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KR200452915Y1 (ko) 배관 연결부재
KR20180031328A (ko)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이용한 육안용이 식별형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램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US20140130919A1 (en) Connector structure for pressure pipe
CN104047335A (zh) 卫生配件联接***
WO2006112726A1 (en) Tube connector for flow lines
KR101143552B1 (ko) 관 연결구
KR200483179Y1 (ko) 수전 연결구
JP4020407B1 (ja) 管継手及び管部材の連結構造
JP5818855B2 (ja) 管継手
KR200431138Y1 (ko) 원터치식 호스연결용 커플링
KR101169679B1 (ko) 관 연결구
KR101169677B1 (ko) 관 연결구
KR101871168B1 (ko) 육안식별부에 의한 육안용이 식별형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KR200407158Y1 (ko) 호스의 연결장치
KR200429978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CN206347149U (zh) 防烫伤结构水龙头
CN208153892U (zh) 接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