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932B1 - 철근 내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철근 내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932B1
KR101140932B1 KR1020090026383A KR20090026383A KR101140932B1 KR 101140932 B1 KR101140932 B1 KR 101140932B1 KR 1020090026383 A KR1020090026383 A KR 1020090026383A KR 20090026383 A KR20090026383 A KR 20090026383A KR 101140932 B1 KR101140932 B1 KR 10114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ight
surface treatment
resins
treatment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974A (ko
Inventor
홍석우
허락도
구필서
Original Assignee
(주)한중유화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중유화,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한중유화
Priority to KR102009002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932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24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 C23C22/32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containing also pulverulen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24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 C23C22/2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containing also organic compounds
    • C23C22/28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48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not containing phosphates,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fluorides or complex fluorides, molybdates, tungstates, vanadates or oxalates
    • C23C22/50Treatment of iron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7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22/8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with solution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50/00Compositions for coatings
    • C08G2150/90Compositions for anticorros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22/00Aspects relating to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medium
    • C23C2222/20Use of solutions containing sil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나노세라믹; (B) 실리카; (C) 알루미나 졸; (D)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E) 유기 금속 화합물; 및 (F)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근 표면 처리용 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근 표면 처리용 용액 조성물은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크롬 등의 중금속을 함유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염수처리에 대해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며, 철근의 기계적 성질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나노세라믹, 철근, 내식성

Description

철근 내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SURFACE TREATING COMPOSITION FOR CORROSION RESISTANCE IMPROVEMENT OF STEEL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철근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크롬(Cr(VI))을 주성분으로 하는 크로메이트(chromate) 코팅 처리가 일반적으로 실시되었다. 기존의 크로메이트 방청 코팅 처리는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수지 처리로 수지층의 방식기능을 보완하고 강판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고, 또 다른 방법은 반응형 크로메이트 처리로서 전해형(Electrolytic reaction type)과 분무형(Spray reaction type) 처리가 있다. 반응형 크로메이트 코팅은 코팅량이 [Cr] 5-80mg/㎡으로 강판의 방청요구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처리하고 있는데 주로 무도장 강판의 내식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처리한다.
크로메이트는 값이 싸고 내식성이 우수하여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나, 오늘날 후두암 등을 일으키는 일급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국제적으로 환경유해 물질로 그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한 세계 각국에서는 납(Pb), 카드늄(Cd), 수은(Hg) 등과 함께 크롬(Cr(VI))에 대한 사용을 규제하고 있는데, 이전에는 제조 및 공정배출을 규제하였으나, 최근에는 최종제품에 대해서도 규제하고 있다. 자동차에 관한 폐차조례(ELV; End of Life Cycle)에서는 상기 금속에 대한 전면규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전기 및 전자기기에 관한 RoHS(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 규정에서는 상기 환경부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제품의 폐기를 전면 금지하는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건축, 가전 및 자동차용으로 크롬(Cr)을 사용하지 않는 부식 방지제, 즉 방청제의 개발에 부심하고 있다.
크롬을 포함하지 않는 방청제의 개발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각도에서 시행되어 왔다. 이러한 방청제의 제조 방법으로는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과 크롬과 동족인 몰리브덴 이용방법, 부동태 피막, 실리카를 이용한 방법, 유기물의 피막에 대한 연구 등이 행해져 왔으며, 최근에는 지르코늄 및 티타늄 화합물 혹은 실란 커플링제를 이용하여 내식성을 보강하기 위한 많은 방청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크로메이트 피막에 비하여 부착량이 많아야 하고, 보호막(barrier) 특성과 자기수복(self-healing)성이 떨어지며, 내식성도 불충분하기 때문에 크로메이트 대체용으로는 실용화되는데 제약 요인이 많다. 특히 수지를 기본으로 한 유기계 방청제는 코팅층이 부도체인 관계로 전기전도성이 낮으므로 용접성이 좋지 않아 가전 및 자동차 부품용으로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무기계 방청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기계 방청코팅은 내식성과 내화학성이 취약하므로, 이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무기계 방 청성분과 잘 결합하는 고분자 수지를 적정량 첨가한 유-무기계 방청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경화온도가 높고 전기전도성 및 용액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국제적으로 사용규제 대상인 크롬(Cr)을 함유하는 공정인 크로메이트 공정처리에 따른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나, 우수한 내식성, 내열성, 용액 안정성을 가지는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나노세라믹;
(B) 실리카;
(C) 알루미나 졸;
(D)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E) 유기 금속 화합물; 및
(F) 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철근, 특히 스케일층이 얇고 결함을 다수 포함하는 수냉 철근의 부식에 취약한 부분, 특히 스케일층 위, 스케일 박리부, 결함부 등을 포함하는 철 근 표면 전체에 도포, 건조하여 외부의 부식 환경과 철근 표면을 차단시켜 철근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은 철근에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또한 내식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A) 나노세라믹 20 내지 30 중량%;
(B) 실리카 5 내지 15 중량%;
(C) 알루미나 졸 1 내지 5 중량%;
(D)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10 내지 20 중량%;
(E) 유기 금속 화합물 5 내지 10 중량%; 및
(F) 전체 조성물 총중량인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잔량의 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을 이루는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해 설명한다.
(A) 나노 세라믹
본 발명의 철근 표면 처리용 용액 조성물에서의 나노세라믹은 내열성 및 내 식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상기 나노세라믹은 바람직하게는 Al2O3, Si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나노 세라믹은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나, 입자직경이 1~12nm, 바람직하게는 3~10nm인 나노크기 입자의 세라믹이 바람직하다. 입자직경이 15nm 이상인 나노세라믹, 특히 15~50nm인 나노세라믹을 사용할 경우,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용액 조성물의 성상이 불안정하고, 특히 용액 조성물 내에 미세한 입자가 발생하고, 특히 용액이 겔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입자직경(결정크기)이 3~10nm인 나노세라믹을 이용하는 경우, 용액 안정성이 안정하여 철근의 내식성 향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나노세라믹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나노세라믹이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중량% 미만 포함되는 경우, 양호한 내식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내식성은 향상되나 저장안정성 및 용액의 성상이 불량해지는, 즉 겔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B) 실리카
본 발명의 철근 표면 처리용 용액 조성물에서의 실리카는 소지와의 부착성을 향상시키면서 커플링제로의 역할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실리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약알칼리계 수분산성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카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미만 포함되는 경우, 양호한 내식성 및 부착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내식성은 향상되나 저장안정성 및 용액의 성상이 불량해지는, 즉 겔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C) 알루미나 졸
본 발명의 철근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루미나 졸은 흰색 반투명 용액, pH 범위는 3.0~3.5, 30~50% 농도 용액으로, 알루미나의 입자직경은 50~3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입자직경이 50nm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 조성물의 내식성에는 상기 알루미나의 입자직경이 큰 영향을 미치는데, 입자직경의 범위는 처리 용액 조성물의 부착량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처리 용액 조성물의 부착량이 적을수록 입자직경이 작은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입자직경이 50nm인 알루미나의 사용시 양호한 물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이 제조된다. 만일 적은 부착량에서 큰 입자직경의 알루미나를 사용할 경우 코팅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내식성의 증가 효과가 거의 없고 용액의 저장안정성도 불량해진다.
상기 알루미나 졸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나 졸이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미만 포함되는 경우, 양호한 내식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내식성은 향상되나 저장안정성 및 용 액의 성상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D)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본 발명의 철근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즉 수계 수지는 내식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배합되는 것이다. 이들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수지, 아세트산 비닐 수지, 염화 비닐리덴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오르토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의 아미노화 변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계 에폭시 수지는 무기재와의 상용성과 더불어 고온의 건조 PMT가 필요하고, 수계 우레탄 수지의 사용은 용액으로 제조상에는 문제가 없으나 제조 비용이 높으므로, 제조 비용 및 내식성을 고려하여 제일 제조가 간편하고 효율성이 높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면, 용액의 안정성과 내식성 및 저장안정성에서도 양호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변성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제조 후 용액의 안전성이 보장되기 어려우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미만 포함되는 경우, 양호한 내식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내식성은 향상되나 저장안정성 및 용액의 성상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E) 유기금속 화합물
본 발명의 철근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기금속 화합물은 철근과 피막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결국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유기금속 화합물로서는 일반적으로 콤플렉스 형상을 하고 있는 금속 착물에 유기물이 결합된 유기 금속화합물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티타네이트 또는 지르코늄계 화합물 또는 실란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타네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티타늄 스테아레이트 착물, 티타늄 오가노 포스페이트 착물, 티타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이소-부톡시 티타늄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디-이소-프로폭시 티타늄 비스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n-부틸 티타네이트, 테트라-에틸 티타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타네이트계 화합물은 아주 소량을 첨가하여도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는데, 그 원리는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지르코늄 및 티타늄 화합물 혹은 실란 커플링제의 보호막효과(Barrier effect)에 및 자기수복효과(self-healing effect)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수용액은 안정한 구조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하고, 말단에서는 이소프로폭시드기가 수용액에서 서서히 가수 분해되어 코팅 시 불용성 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상기 지르코늄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테트라-n-프로필 지르코네이트, 테트라-n-부틸 지르코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지르코네이트, 지르코 알루미네이트계인 카르복시 지르코-알루미네이트와 아민기 함유 지르코-알루미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지르코 알루미네이트는 소지와 수지의 부착력, 수지와 사용된 무기재와의 결합력을 상승시켜 도막을 강인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란계 화합물로는 비닐 트리메톡시(에톡시) 실란, 메타 아크릴 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에톡시) 실란,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에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아미노알킬 실란, 감마-글리딜 프로필 트리메톡시(에톡시) 실란 등을 들 수 있고,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금속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1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면, 수지와 강한 결합을 하여 소지에 대한 처리제의 부착력을 증진시키므로 내식성이 우수해져 크롬을 함유한 종래의 처리제 보다 우수한 물성을 갖는 처리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유기금속 화합물이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미만 포함되는 경우, 양호한 내식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용액 제조 비용이 상승하여 제조비용면에서 불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비저항값이 18M 이상인 탈이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의 함량은 다른 구성성분의 함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은 상기 언급한 구성 요소 외에 소포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표면장력조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화합물을 일정량으로 유리하게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혼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공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은 크로메이트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고, 철근에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철근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강한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 냉각상과 번들링 사이의 공랭시에 철근 표면에 처리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3~10nm의 나노세라믹 30중량%, 약알칼리계 수분산 실리카 10중량%, 알루미나 졸(50nm) 5중량%, 수분산성 아크릴 수지 20중량%, 티타네이트 화합물 5 중량%, 암모늄 바나데이트 수용액 5중량% 및 잔량의 탈이온수의 혼합액을 혼합하여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되, 그 조성비를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변경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되, 그 조성비를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변경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18587383-pat00001
Figure 112011090405712-pat00006
상기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 설명된 실험 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으며, 각 평가 기준에 의거 평가하였다. 또한, 하기 철근은 80~400℃의 표면 온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다.
<용액 안정성 시험>
각각의 조성물을 밀봉하여 30일간 보관 후 용액 상태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1~6의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은 상태의 변화가 없었으나, 비교예 1~8의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은 층분리가 일어났다.
<도막 물성 시험>
* 피막 부착성: 미도포 철근과,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도포한 철근 시편의 도막 두께를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측정하고 이를 면적으로 환산하여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6의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은 부착성이 높은데 반해, 비교예 1~8의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은 부착성이 좋지 않았다.
* 외관: 도장된 시편의 외관이 이물질 및 미도장 부위 없이 양호한지 평가하였다. 도장이 양호하게 된 경우, 유백색이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6의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이 도장된 시편은 유백색이 되었다.
<염수분무에 대한 내식성>
미도포 철근과,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2 또는 4% 용액으로 희석하여 도포한 철근 시편에, KS D 9502에 의거한 염수 분무 시험 및 combined corrosion tester를 이용하여 녹의 발생을 평가하였다. 일례로서, 실시예 1을 도포한 철근 시편에 염수를 분무하고 2.5시간 경과 후, 비교 시편(미도포철근)에 염수를 분무하고 1시간 경과 후 이들 철근의 표면을 촬영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 시편인 표면 무처리 시편은 1시간 만에 철근에 녹이 발생한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2% 및 4% 희석액 처리 시편은 2시간 30분 후에도 녹이 훨씬 적게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았다. 상기 시편들의 내부식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법(EI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을 사용하였다. 1% NaCl 용액 내, 0.01~100 kHz의 주파수에서, AC 10 mV의 전류로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얻어진 임피던스 측정값으로부터 나이퀴스트 플롯(Niquist flot)을 구하여 전하이동저항값(Rct)을 계산할 수 있었으며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희석액을 도포한 시편이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다.
<기계적 물성>
한편 상기 시편의 기계적 물성인 인장/항복/연신/굽힘 특성을 관련규격(KS B 0802 및 KS B 0804)에 따라 측정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시편에 처리한 후 철근의 기계적 성질이 변화하는지 여부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 처리 조성물을 철근에 도포하여도 철근의 인장(UTS)/항복(YS)/연신(EL)/굽힘 특성에 변화를 유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시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 표면 처리용 용액 조성물은 용액 안정성이 좋았으며, 철근에 대한 부착성이 뛰어났고, 염수에 대한 철근 부식 방지 능력이 탁월했으며, 이의 도포가 철근의 기계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도포에 의한 외관 또한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철근 및 2% 및 4% 농도로 희석하여 처리한 철근에 염수분무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철근 및 2% 및 4% 농도로 희석하여 처리한 철근에 대해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법(EIS)으로 전하이동저항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철근 및 2% 및 4% 농도로 희석하여 처리한 철근에 대해 항복/인장/연신/굽힘의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Claims (8)

  1. (A) 나노세라믹;
    (B) 약알칼리계 수분산성 실리카;
    (C) 알루미나 졸;
    (D)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E) 티타네이트계 화합물, 지르코늄계 화합물 및 실란계 화합물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유기 금속 화합물; 및
    (F) 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A) 나노세라믹 20 내지 30 중량%;
    (B) 약알칼리계 수분산성 실리카 5 내지 15 중량%;
    (C) 알루미나 졸 1 내지 5 중량%;
    (D)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10 내지 20 중량%;
    (D) 티타네이트계 화합물, 지르코늄계 화합물 및 실란계 화합물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유기 금속 화합물 5 내지 10 중량%; 및
    (E) 전체 조성물 총중량인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잔량의 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세라믹은 3nm 내지 10nm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세라믹은 Al2O3, Si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졸은 50nm~300nm 입자직경의 알루미나를 갖는,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수지, 아세트산 비닐 수지 및 염화 비닐리덴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철근 부식 방지용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8. 삭제
KR1020090026383A 2009-03-27 2009-03-27 철근 내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KR10114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383A KR101140932B1 (ko) 2009-03-27 2009-03-27 철근 내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383A KR101140932B1 (ko) 2009-03-27 2009-03-27 철근 내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974A KR20100107974A (ko) 2010-10-06
KR101140932B1 true KR101140932B1 (ko) 2012-05-03

Family

ID=4312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383A KR101140932B1 (ko) 2009-03-27 2009-03-27 철근 내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054B1 (ko) * 2016-08-23 2018-08-07 주식회사 한국화학 내식성이 향상된 금속표면 처리용 세라믹 나노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표면 처리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034A (ko) * 2001-05-22 2002-11-29 주식회사 디피아이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28468B1 (ko) * 2005-12-30 2007-06-13 동부제강주식회사 고내열 특성이 부여된 크롬프리 무기계 조성물 및 이를코팅한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0797321B1 (ko) * 2006-12-29 2008-01-22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표면 처리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금속표면처리방법 및 이에 따라 처리된 강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034A (ko) * 2001-05-22 2002-11-29 주식회사 디피아이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28468B1 (ko) * 2005-12-30 2007-06-13 동부제강주식회사 고내열 특성이 부여된 크롬프리 무기계 조성물 및 이를코팅한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0797321B1 (ko) * 2006-12-29 2008-01-22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표면 처리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금속표면처리방법 및 이에 따라 처리된 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974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7255B2 (ja) 炭素ナノチューブを含有する鋼板の表面処理組成物、これを用いた金属の表面処理方法及びこれを用いて表面処理された電気伝導性に優れた鋼板
KR101471948B1 (ko) 아연계 도금 강판
TWI454591B (zh) 鍍鋅鋼板
CN101717930B (zh) 可以提高金属表面防腐性能的环保型纳米水性硅烷处理剂
EP1828437B1 (en) Chrome free composition for metal surface treatment and surface-treated metal sheet
KR101277607B1 (ko) 표면 처리제, 당해 표면 처리제를 이용한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도금 강판
JP2006213958A (ja) 金属材料表面処理用組成物及び処理方法
JP5370997B2 (ja) 耐食性積層膜を有する部材、その部材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部材を製造するための処理液および塗料組成物
JPWO2006082951A1 (ja) 水系金属材料表面処理剤、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金属材料
JP2007262577A (ja) 金属表面処理用組成物、金属表面処理方法、及び金属材料
KR100385158B1 (ko)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85027B1 (ko) 방청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전기아연도금 강판
KR101896011B1 (ko)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청 코팅층 형성방법
KR101140932B1 (ko) 철근 내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 처리 용액 조성물
KR100586454B1 (ko) 크롬을 포함하지 않는 방청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아연도금 강판
TWI518204B (zh) 用於鈍化處理之組成物、鈍化膜以及防蝕結構
JP2022526705A (ja) 表面保護のためのナノ構造ハイブリッドゾル-ゲルコーティング
KR101292346B1 (ko) 철근 내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 처리 용액의 조성물
KR100456951B1 (ko) 표면외관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용크로메이트 대체 처리용액을 이용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0443259B1 (ko) 무크롬 내부식성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Sheetal et al. Organosilanes/Silicon-based nanocomposites as corrosion inhibitors
KR101105056B1 (ko) 크롬을 포함하지 않는 무기계 방청코팅 조성물 및 이를코팅한 아연도금 강판
KR100491951B1 (ko) 내부식성 및 내지문성이 우수한 무크롬 유/무기 졸-겔금속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5179721A (ja) 耐熱性、潤滑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
JP2013023541A (ja) 防錆塗料、塗膜形成方法、及び塗装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