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627B1 -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627B1
KR101140627B1 KR1020100084581A KR20100084581A KR101140627B1 KR 101140627 B1 KR101140627 B1 KR 101140627B1 KR 1020100084581 A KR1020100084581 A KR 1020100084581A KR 20100084581 A KR20100084581 A KR 20100084581A KR 101140627 B1 KR101140627 B1 KR 10114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wall
building
slab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758A (ko
Inventor
이승훈
김중용
Original Assignee
김중용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용, 이승훈 filed Critical 김중용
Priority to KR1020100084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6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2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rooms as a whole by which walls and floors are cast simultaneously, whole storeys, or whole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수직철재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 부착되는 복수의 상,하부 연결파이프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을 건물 하층 구축시 하층 슬라브 위로 구축되는 하층부 벽체의 상부에 일부가 매설되도록 하되,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은 복수의 하부 연결파이프들이 하층부 벽체의 상부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고, 복수의 상부 연결파이프들이 하층부 벽체의 상단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하층부 벽체를 구축하는 하층부 벽체 구축단계를 비롯하여 상기 하층부 벽체체의 상부 양면에 같은 높이를 이루도록 복수의 수평폼 지지부재를 고정 설치하는 수평폼 지지부재 설치단계, 복수의 수평폼 지지부재 및 복수의 동바리를 이용하여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을 고정 설치하는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설치단계, 수직폼 연결기둥의 상부 양측에 고정 설치하는 벽체 구축용 수직폼 설치단계,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각각의 상단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폼 연결기둥의 하부를 고정 설치하는 수직폼 연결기둥 설치단계,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상면으로 콘크리트몰탈을 설정된 두께로 타설하여 슬라브를 구축하는 슬라브 구축단계,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사이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벽체 구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uilding}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과 벽체 구축용 수직폼을 함께 설치해놓고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각층의 슬라브 및 벽체를 함께 구축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건물을 건축할 수 있도록 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을 건축하는 공법은, 하층의 바닥이 되는 슬라브를 구축한 후 그 구축된 하층 슬라브 위에서 내,외벽을 구축하기 위한 내,외벽용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내,외벽을 구축하고, 이어서 구축된 내,외벽의 상단에 상층 바닥이 되는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한 슬라브용 거푸집을 설치한 후 그 구축된 슬라브용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슬라브를 구축하고, 이어서 상층 바닥이 되는 슬라브를 구축한 후에는 앞에서 설명한 하층의 내,외벽과 그 내,외벽 상단에 슬라브를 구축하는 작업순서를 반복하는 수단으로 콘크리트 건물을 건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은 상층 바닥이 되는 슬라브를 구축할 때 하층의 내,외벽을 구축할 때 사용했던 내,외벽용 거푸집을 상층 바닥이 되는 슬라브 위로 운반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므로 인건비가 많이 들고 건축공기가 길어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왜내하면, 하층의 내,외벽용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이 완전히 경화하기 전에 상층 바닥이 되는 슬라브를 구축하게 될 때에는 하층의 내,외벽을 구축할 때 사용된 거푸집을 상층 바닥이 되는 슬라브 위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하층과 상층이 서로 연결된 특정한 장소 예를 들면, 상층 바닥이 되는 슬라브에 특별히 만들어 놓은 자재인양구를 통해서만 거푸집 등의 자재운반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층의 내,외벽을 구축할 때 사용됐던 내,외벽 거푸집과 각종 부속자재들을 자재인양구가 형성된 특정한 장소로 운반해야 하는데, 건축 중인 건물 내부에서의 자재운반은 모두 작업자의 인력에 의존해야 하므로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하게 되고, 또 작업자의 인력으로 무거운 거푸집을 운반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종래 건축공법에서는 건축하고자 하는 건물의 외벽을 감싸도록 설치된 갱폼과 일정규격으로 제작되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유로폼이나 알루미늄폼을 사용하고 있는데, 갱폼의 경우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는 반면에, 유로폼이나 알루미늄폼 등은 인력으로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내벽을 구축하기 위한 유로폼이나 알루미늄폼들은 콘크리트물탈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거푸집 간격유지구(예를 들면; 후렛타이, 알폼타이 등)를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해야 하므로 상기한 간격유지구를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될 뿐 아니라 상기한 간격유지구는 유로폼이나 알루미늄폼을 붙잡아주기 위해 그 양단이 유로폼이나 알루미늄폼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유로폼 또는 알루미늄폼 사이로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이 경화된 후 유로폼 또는 알루미늄폼을 해체하게 되면 구축된 벽면 양측에는 간격유지구의 양단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는 데에도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유로폼 또는 알루미늄폼을 일정간격으로 붙잡아주기 위해 상하좌우 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많은 갯수의 거푸집 간격유지구를 구입하는 데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건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각층의 바닥이 되는 슬라브와 슬라브 위에 구축되는 벽체를 함께 구축하도록 하며, 하층의 벽체 구축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다음의 상층 바닥이 되는 상층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한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을 설치하기 전에 먼저, 하층의 벽체를 구축할 때 사용했던 벽체 구축용 수직폼은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다음의 상층부 벽체 높이까지 수직상승시켜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벽체 구축용 수직폼을 한층씩 상승 이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인건비를 절감시키고 건축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벽체 구축용 수직폼을 일정간격으로 붙잡아주는데 사용되는 간격유지구 등 소모자재들의 설치갯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므로써 소모자재를 구입하지 않은 만큼의 건축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각층의 벽체를 구축한 후에는 벽체 구축용 수직폼을 해체하였을시 벽체의 양면에 종래 기술과 같이 거푸집 간격유지구(후렛타이, 알폼타이 등)의 양단이 돌출되어 있지 않고 밋밋한 상태가 되도록 구축할 수 있게 되므로 벽체의 미장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그만큼 건축공기를 더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수직철재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 부착되는 복수의 상,하부 연결파이프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을 건물 하층 구축시 하층 슬라브 위로 구축되는 하층부 벽체의 상부에 일부가 매설되도록 하되,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은 복수의 하부 연결파이프들이 하층부 벽체의 상부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고, 복수의 상부 연결파이프들이 하층부 벽체의 상단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하층부 벽체를 구축하는 하층부 벽체 구축단계;
상기 하층부 벽체 구축단계에서 구축된 하층부 벽체의 상부에 매립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연결파이프들 중 선택된 위치에 매립되어 있는 한쌍의 연결파이프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상기 하층부 벽체의 상부 양면에 같은 높이를 이루도록 복수의 수평폼 지지부재를 고정 설치하는 수평폼 지지부재 설치단계;
상기 수평폼 지지부재 설치단계에서 하층부 벽체의 상부 양면에 고정 설치된 복수의 수평폼 지지부재 및 동시 하층부 벽체와 함께 구축되어 있는 하층부의 슬라브에 하단이 지지되는 복수의 동바리 각각에 지지되도록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을 고정 설치하는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설치단계;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설치단계에서 수평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들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의 상부 양측에 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을 연결 설치하되,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각각의 하단이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한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에 대하여 구축하고자 하는 슬라브의 두께만큼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 연결파이프 각각을 관통하는 복수의 조립볼트와 각 조립볼트의 단부에 나사조립되는 복수의 너트를 이용하여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을 수직폼 연결기둥의 상부 양측에 고정 설치하는 벽체 구축용 수직폼 설치단계;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 설치단계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슬라브의 두께만큼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의 상면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는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각각의 상단 사이에 수직폼 연결기둥의 하부 일부만 삽입 설치하되,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은 복수의 하부 연결파이프들이 형성된 부분만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각각의 상단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의 조립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각각의 상단 사이로 삽입되는 수직폼 연결기둥의 하부를 고정 설치하는 수직폼 연결기둥 설치단계;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 설치단계에서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각각의 상단 사이로 삽입 설치되는 수직폼 연결기둥으로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이 서로 마주한 채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설치단계에서 수평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상면으로 콘크리트몰탈을 설정된 두께로 타설하여 슬라브를 구축하는 슬라브 구축단계;
상기 슬라브 구축단계에서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이 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을 만큼 경화되었을 때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사이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벽체 구축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 구축단계에서 벽체의 구축을 완료한 후 상기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 벽체의 양측에 설치되었던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을 분리 해체하고 타워크레인으로 직상방으로 상승운반하여 구축 완료된 벽체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의 상부에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의 하단을 연결 조립하여 설치하는 벽체 구축용 수직폼 상승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브 구축단계에서 슬라브 구축하기 위해 사용됐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을 구축이 완료된 슬라브 저부의 개구된 일측 측방으로 운반한 후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구축 완료된 슬라브 상방으로 상승이동시켜서 구축된 벽체의 상단 양측에 고정 설치된 수평폼 지지부재에 수평상으로 설치하는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상승설치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은 사각형의 단면을 이루면서 서로간에 마주하는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네개의 수직철재와, 상기 네개의 수직철재 중 서로 마주하는 두개씩의 수직철재들 각각의 상,하부에 연결되도록 용접됨과 동시 서로 수평상으로 마주하는 것들끼리는 평행을 이루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상,하부 연결파이프와, 상기 복수의 상,하부 연결파이프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복수의 상,하부 연결파이프들과는 직교하는 상태로 서로 마주하는 두개씩의 수직앵글을 연결하도록 용접되는 복수의 연결평철판으로 구성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은 슬라브 구축시 슬라브의 저부가 밋밋한 수평면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는 4~6mm 정도의 두꺼운 수평철판과 상기 수평철판의 이면에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용접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재로 구성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은 벽체 구축시 벽체의 양면이 밋밋한 수직면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는 4~6mm 정도의 두꺼운 수직철판과 상기 수직철판의 이면에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용접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보강재 및 상기 복수의 수직보강재의 상,하단에 수평상으로 용접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로 구성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에는 벽체의 모서리부분을 직각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모서리폼과,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의 일측이나 양측에 연결 조립되는 부분폼 및 상기 모서리폼과 부분폼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쐐기폼이 연결 조립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은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을 수평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수평폼 지지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건물 각층에 단면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축되는 벽체의 상부에 일정 거리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건물을 건축함에 있어 각층의 바닥이 되는 슬라브와 각층의 실내를 구획하는 벽체를 함께 구축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각층의 슬라브 및 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여 건축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각층의 바닥이 되는 슬라브를 구축할 때 사용했던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들은 기존의 건축공법과 같이 구축된 슬라브의 하측으로 운반하여 타워크레인으로 상승운반하게 되지만 슬라브 위에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복수의 벽체 구축용 수직폼들은 구축된 벽체에서 분리되도록 해체된 위치에서 타워크레인에 의해 상승운반되어 다음의 상층부의 벽체를 구축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것이므로 각층의 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복수의 벽체 구축용 수직폼의 상승운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 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각층의 벽체 구축시 종래 기술의 건축공법에서 사용하는 거푸집 간격유지구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써 각층 벽체구축 후 벽체의 양면에서 돌출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생략하고 미장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건축공기를 더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인건비 등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콘크리트 건물의 구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으로 구축된 하층부 벽체의 상단에 상층 슬라브 및 상층부 벽체를 순서적으로 구축하는 것을 나타낸 슬라브 및 벽체 구축공정도이고,
도 7은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벽체 구축용 수직폼과 부분폼 및 모서리폼으로 건물 각층 슬라브에 구축되는 벽체를 구축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벽체 구축용 수직폼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모서리폼과 부분폼 및 쐐기폼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벽체 구축용 수직폼을 연결하기 위한 수직폼 연결기둥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을 지지하는 수평폼 지지부재의 평면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다층의 콘크리트 건물(1)을 건축하기 위한 건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건물(1)의 각층 구축시 각층의 바닥이 되는 슬라브(1a)와 상기 각층의 슬라브(1a)와 실내를 구획하기 위한 벽체(1b)를 함께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또한 각층의 슬라브(1a)와 벽체(1b)를 함께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 예를 들면,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과 벽체 구축용 수직폼(3) 및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을 상향으로 연결시켜주는 수직폼 연결기둥(4)과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을 받쳐주기 위한 수평폼 지지부재(5) 등을 연결 및 조립하는 구성에도 특징이 있다.
상기 콘크리트 건물(1)을 건축하기 위하여 각층의 슬라브(1a)와 벽체(1b)를 함께 구축하는 방법으로 건물을 건축하는데 따른 구축공정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층부 벽체 구축단계>
이 단계는 후술하는 수직폼 연결기둥 설치단계에서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상단에 수직폼 연결기둥(4)을 조립 설치한 후 벽체 구축단계와 같이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 사이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상층부 벽체(1b : 하층부 벽체와의 구분을 위해 편의상 '1b-2'로 표기함)를 구축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층부 벽체(1b : 상층부 벽체와의 구분을 위해 편의상 '1b-1'로 표기하여 설명함)를 구축하게 된다.
상기 하층부 벽체(1b-1)는 상단에 수직폼 연결기둥(4)의 하부는 매립된 상태이고 상부는 일정 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구축되는 것인데,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4)은 도 12의 도시와 같이 네개의 수직철재(41)가 사각형의 단면모양을 이루면서 서로간에 마주하는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네개의 수직철재(41)와, 상기 네개의 수직철재들 중 서로 마주하는 두개씩의 수직철재들 각각의 상,하부를 연결시키도록 용접됨과 동시 서로 수평상으로 마주하는 것들끼리는 평행을 이루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상,하부 연결파이프(42)(43)와, 상기 복수의 상,하부 연결파이프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복수의 상,하부 연결파이프들과는 직교하는 상태로 서로 마주하는 두개씩의 수직철재를 연결하도록 용접되는 복수의 연결평철판(44)(4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직폼 연결기둥(4)은 하부 즉, 복수의 하부 연결파이프(43) 및 하부 연결평철판(45)이 형성된 부분까지는 하층부 벽체(1b-1)의 상단에 매립된 상태이고 상부 즉, 하부 연결평철판(45) 바로 위에서부터 네개의 수직철재(41) 상단까지는 하층부 벽체(1b-1)의 상단에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상태이다.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4)에서 네개의 수직철재(41)들은 복수의 상,하부 연결파이프(42)(43)들과 복수의 상,하부 연결평철판(44)(45)들 각각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접하기 용이하도록 단면이 ㄴ자형으로 된 철재앵글이 사용된다.
<수평폼 지지부재 설치단계>
이 단계는 상기의 하층부 벽체 구축단계에서 하층부 벽체(1b-1)의 상단에 매립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연결파이프(43)들 중 한쌍의 연결파이프를 관통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지지볼트(51) 및 상기 지지볼트의 수나사단부에 나사조립되는 너트(52)에 의하여 상기 하층부 벽체(1b-1)의 상단 양측 각각에 수평폼 지지부재(5)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이다.(도 2 참조)
상기한 수평폼 지지부재(5)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면이 ㄱ자형으로 형성된 지지몸체(53)와 상기한 지지볼트(51)가 관통하는 복수의 조립공(5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복수의 조립공(54)은 수직폼 연결기둥(4)의 하부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용접되어 있는 한쌍의 하부 연결파이프(43)와 같은 폭(너비)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폼 지지부재(5)는 하층부 벽체(1b-1)의 상단 양측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설치단계>
이 단계는 하층부 벽체(1b-1)의 상단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상층부의 바닥을 구성하기 위한 슬라브(1a)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상기 슬라브(1a)를 구축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도 2의 도시와 같이 하층부 벽체(1b-1)의 상단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수평폼 지지부재(5)에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을 양 단부 걸쳐놓는 방법으로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을 수평상으로 설치하는 것인데, 이때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들은 복수의 수평폼 지지부재(5)를 이용하여 수평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간격으로 수직설치되는 복수의 동바리(6)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로서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도 2 참조)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의 수평철판(21)은 구축하고자 하는 슬라브(1a)의 두께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의 무게 및 타설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두께 예를 들면, 4~6mm 정도의 두꺼운 두께를 갖는 평철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은 수평철판(21)의 이면에 복수의 보강재(22)가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복수의 보강재(22)는 1.0~2.0mm 정도의 얇은 철판을 절곡 가공한 것이 사용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을 양단에 형성되는 보강재(22)에는 복수의 볼트조립공이 뚫어져 있다. 따라서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들을 수평방향으로 연결 조립할 때 서로 이웃하는 보강재(22)의 양단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조립공으로 조립볼트를 까워주고 너트를 나사조립하는 수단으로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들을 수평상으로 연속해서 연결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 수평상으로 연결 조립된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들을 복수의 동바리(6)로 받쳐주게 되면 보다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을 수평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벽체 구축용 수직폼 설치단계>
이 단계는 상기한 슬라브 수축용 수평폼 설치단계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슬라브(1a)를 구축하기 위하여 설치된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 위에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은 그 하단이 전술한 하측 벽체 구축단계에서 구축된 하층부 벽체(1b-1)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4)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도 2 참조)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은 벽체(1b)를 구축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닌 4~6mm 정도의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수직철판(31)과, 상기 수직철판(31)의 이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보강재(32) 및 상기 복수의 수직보강재 상,하단에 수평상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33)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한 수직철판(31)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수직폼 연결기둥(4)의 상,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 연결파이프(42) 각각에 연결시키기 위한 상,하부 조립공(34)(35)이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3)에는 각층의 벽체(1b)를 ㄱ자형 또는 ㄴ자형 모양이나 ㄷ자형 모양 등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부분폼(3a)과 모서리폼(3b) 및 쐐기폼(3c)이 연결 조립되어 벽체(1b)를 구축하게 된다.
상기한 부분폼(3a)은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하 길이는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수직철판(31)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좌,우 폭은 상기한 수직철판(31)보다 작게 형성된 부분수직철판(310)과, 상기 부분수직철판의 이면에 복수의 수직보강재(311) 및 상기 복수의 수직보강재 상,하단에 수평상으로 용접 연결되는 수평보강재(312)와, 상기 부분수직철판(310) 및 수직보강재(311) 각각의 일측에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경사조립면(31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경사조립면(313)에는 복수의 조립구멍(314)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돌부(3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모서리폼(3b)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형성된 절곡수직철판(320)과, 상기 절곡수직철판의 이면 양측에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양측 수직보강재(321)(322)와, 상기 양측 수직보강재 각각에 경사상으로 형성된 양측 경사조립면(323)(324) 및 상기 양측 경사조립면 각각에 돌출된 복수의 조립구멍(325)이 마련되어 있는 양측 조립돌부(326)(3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쐐기폼(3c) 역시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 경사면(331)(332)과 이들 양측 경사면 각각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있는 양측 조립돌부(333)(334) 각각에도 복수개씩의 조립구멍(3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부분품(3a)과 모서리폼(3b) 및 쐐기폼(3c) 각각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슬라브(1a) 상면에 벽체(1b)를 평단면 기준으로 ㄷ자형을 이루도록 구축할 때 벽체(1b)의 좌우방향 길이가 길고 짧음에 따라 1개 이상의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일단 또는 양단에 부분폼(3a)이 연결 조립되며, 상기 벽체(1b)의 좌,우측 코너부분 각각에는 모서리폼(3b)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일단과 모서리폼(3b) 사이 및 상기 부분폼(3a)과 모서리폼(3b) 사이 각각에는 쐐기폼(3c)이 개재되는데, 이때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일단에는 쐐기폼(3c)의 일측 경사면(331)또는(332)에 밀착 조립되는 경사조립면(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부분품(3a), 모서리폼(3b), 쐐기폼(3c) 각각은 벽체 구축용 수직폼(3)과 함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 모양으로 연결 조립되어 벽체(1b)를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벽체(1b)를 구축하기 위해 벽체 구축용 수직폼(3)과 모서리폼(3b) 사이 및 부분폼(3a)과 모서리폼(3b) 사이 각각에 개재되는 쐐기폼(3c)은 벽체(1b) 구축시에는 서로 맞닿게 조립되는 조립돌부 각각에 서로 연결되는 조립구멍 각각에 체결볼트(부호 생략)를 관통시켜서 너트로 나사조임하는 수단으로 ㄷ자형으로 연결 조립되는 벽체 구축용 수직폼(3), 부분폼(3a), 모서리폼(3b), 쐐기폼(3c)들이 견고하게 연견 조립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벽체(1b)의 구축을 완료한 후 상기와 같이 연결 조립된 각 폼들을 해체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 쐐기폼(3c)을 연결시키는 체결볼트를 나사풀림하여 분리하게 되면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3)과 모서리폼(3b) 사이 및 부분폼(3a)과 모서리폼(3b) 사이 각각에는 쐐기폼(3c)이 빠져나간 만큼의 공간이 생기게 되어 벽체 구축용 수직폼(3) 등을 구축이 완료된 벽체(1b)에서 분리시키는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일단 또는 양단에 형성되는 수직보강재(32)의 상,하부 각각에는 연결볼트(37)와 너트(37a)로 나사체결하기 위한 상,하부 조립공(38a)(38b)이 각각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수직보강재(32)는 1~2mm 정도의 얇은 철판으로 제작된 것이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상,하부 조립공(38a)(38b)이 형성되는 수직보강재(32)의 내면 각각에는 대략 3~5mm 정도의 두꺼운 두께로 된 보강철판(39)이 용접되어 있으며, 또 상기한 보강철판(39)에는 상,하부 조립공(38a)(38b)과 연결되는 구멍이 뚫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3)들끼리 구축하고자 하는 벽체(1b)의 좌우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경우 및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일측에 부분폼(3a)을 연결할 경우에 연결볼트(37)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벽체(1b)를 구축하기 위해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 상방에 설치되는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은 그 하단이 하층부 벽체(1b-1)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4)의 상부에 연결 조립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하층부 벽체(1b-1)의 상단에서 돌출된 수직폼 연결기둥(4)의 상부 양측에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하단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때에는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 각각의 하측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 조립공(35)들이 수직폼 연결기둥(4)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 연결파이프(42)들 각각의 양단과 일치되도록 하고, 이어서 일측의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수직철판(31) 이면측에서 하부 조립공(35)을 통해 상부 연결파이프(42)를 삽입하는 조립볼트(46)의 단부를 타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하부 조립공(3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한 후 그 돌출된 조립볼트(46)의 수나사 단부에 너트(47)를 나사결합하게 되면 벽체(1b)를 구축하기 위한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을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의 상방에 수직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2 참조)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직폼 연결기둥(4)의 상부에 연결 조립되어 수직상으로설치되는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하단은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의 상면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슬라브(1a)의 두께만큼의 높이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4)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각 벽체 구축용 수직폼(3)들은 수평지지부재(7)에 의해 지지된다.
<수직폼 연결기둥 설치단계>
이 단계는 벽체(1b)를 구축하기 위해 하층부 벽체(1b-1) 상단에서 돌출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4)의 상부에 연결 조립되는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 각각의 상단 사이에 개재된 상태가 되도록 수직폼 연결기둥(4)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 각각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게 설치되는 수직폼 연결기둥(4)은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 각각의 상단을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고정시켜줌과 동시 다음 상층의 슬라브 및 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및 벽체 구축용 수직폼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 각각의 상단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수직폼 연결기둥(4)은 앞에서 설명한 하측 벽체 구축단계의 하층부 벽체(1b-1) 상단에 매립되어 있는 것처럼 복수의 하부 연결파이프(43)와 하부 연결평철판(45) 부분까지만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상단에 삽입된 상태로 조립 설치되는 것인데, 이때에도 일측의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수직철판(31) 이면측에서 상부 조립공(34)을 통해 하부 연결파이프(43)으로 삽입되어 타측의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수직철판(31)에 형성된 상부 조립공(34)을 통해 돌출하는 조립볼트(46)와 이의 단부에 너트(47)를 나사조립하는 방법으로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상단 사이에 수직폼 연결기둥(4)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는 것이다.(도 2 참조)
한편, 상기와 같이 벽체(1b)를 구축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직폼 연결기둥(4)은 건물 각층의 실내를 구획하기 위해 구축되는 벽체(1b)의 일직선 길이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두곳 이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두곳 이상에 설치된 수직폼 연결기둥(4)을 이용하여 벽체(1b) 상부에 복수의 수평폼 지지부재(5)를 고정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을 안정되는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슬라브 구축단계>
이 단계는 하층부 벽체(1b-1)의 상방에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과 벽체 구축용 수직폼(3) 및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상단에 수직폼 연결기둥(4)의 조립 설치를 완료한 이후에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 위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슬라브(1a)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의 타설 높이(두께)는 슬라브(1a)의 두께만큼의 높이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하단을 기준하여 콘크리트몰탈의 타설량을 조절하여 타설하는 것이다.(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의 하단 높이까지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는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그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이 어느 정도 경화된 상태 예를 들면, 벽체(1b)를 구축하기 위해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 사이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력 및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경화될 때까지 기다린다. 이렇게 콘크리트몰탈이 경화될 때까지 기다리는 동안에는 다음의 작업을 준비한다.
<벽체 구축단계>
이 단계는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 위에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이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 사이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몰탈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경화되었을 때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 사이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상층부 벽체(1b-2)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은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 각각의 상단 높이까지 타설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수직폼 연결기둥(4)의 하부 즉, 복수의 하부 연결파이프(43)와 하부 연결평철판(45)은 상층부 벽체(1b-2)의 상단에 매립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도 4 참조)
한편,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 각각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은 구축이 완료되는 상층부 벽체(1b-2)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층부 벽체(1b-2)의 상단에서 돌출된 수직폼 연결기둥(4)은 앞에서 설명한 하층부 벽체 구축단계와 같이 다음 상층부의 슬라브 및 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 및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벽체 구축용 수직폼 상승설치단계>
이 단계는 상기한 벽체 구축단계에서 상층부 벽체(1b-2)의 구축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상층부 벽체(1b-2)를 구축할 때 사용되었던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을 상층부 벽체(1b-2)의 상단에 하부 일부가 매립된 채 상부는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4)으로 상승이동시켜서 상기 상층부 벽체(1b-2)의 상방에 수직상으로 조립 설치하는 단계이다.(도 5 참조)
상기와 같이 상층부 벽체(1b-2)의 구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상층부 벽체(1b-2)를 구축하게 위해 상층부 벽체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을 해체하는데, 이때에는 쐐기폼(3c)을 먼저 분리 해체한 후 벽체 구축용 수직폼(3)과 부분폼(3a) 및 모서리폼(3b)을 순서대로 분리 해체한다.
이어서, 건설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승운반하는데, 이때 상층부 벽체(1b-2)의 상방에는 장애물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타워크레인으로 분리 해체된 벽체 구축용 수직폼(3) 부터 상승이동시켜서 상층부 벽체(1b-2)의 상단에 돌출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4)에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을 연결 조립하는 것이며, 이때의 연결 조립은 앞에서 설명한 벽체 구축용 수직폼 설치단계에서 하층부 벽체(1b-1)의 상단에 돌출된 수직폼 연결기둥(4)에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을 연결 조립하는 구조와 동일하다.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상승설치단계>
이 단계는 상기한 벽체 구축용 수직폼 상승설치단계를 마친 후 슬라브(1a)를 구축할 때 사용했던 슬라브 구측용 수평폼(2)을 상승이동시켜서 상층부 벽체(1b-2)의 상단과 수평을 이루도록 조립 설치하는 단계이다.(도 6 참조)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을 상승이동시키기 전에 먼저, 상층부 벽체(1b-2)의 상단 양면에 수평폼 지지부재(5)를 고정 설치하는데, 이때 상층부 벽체(1b-2)의 상단에 매립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연결파이프(43)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하부 연결파이프(43)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볼트(51) 및 상기 지지볼트(51)의 단부에 나사조립되는 너트(52)를 사용하여 상층부 벽체(1b-2)의 상부 양측에 복수의 수평폼 지지부재(5)를 고정 설치한 다음, 이어서 슬라브(1a)를 구축할 때 사용했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을 상승운반해서 설치하는데, 이때에는 구축된 슬라브(1a)에 의해 상방이 막혀있는 상태이므로 기존의 건축공법과 마찬가지로 슬라브 구측용 수평폼(2)을 개방된 일측 측방으로 운반한 후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구축된 슬라브(1a)의 상방으로 상승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슬라브(1a) 위로 상승운반된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은 앞에서 설명한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설치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상층부 벽체(1b-2)의 상단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수평폼 지지부재(5)에 지지시키는 수단으로 수평 설치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도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동바리(6)를 이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앞서 구축되는 벽체(1b)의 상단에 하부가 매립된 채 상부는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수직폼 연결기둥(4)을 이용하여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2) 및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을 연결 조립하여 설치한 후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슬라브(1a)및 벽체(1b)를 구축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수단으로 건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건물을 설계에 의한 층수대로의 고층 건물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각층의 슬아브(1a)와 벽체(1b)를 함께 구축할 수 있게 되므로 벽체(1b)를 구축할 때 사용되었던 수직폼(3)과 부분폼(3a), 모서리폼(3b), 쐐기폼(3c) 등을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직상방으로 상승운반하여 조립 설치하는 수단으로 벽체(1b)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벽체 구축용 수직폼(3)을 비롯하여 부분폼(3a), 모서리폼(3b), 쐐기폼(3c) 등을 상승운반하는데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공기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공법으로 구축되는 콘크리트 건물(1)의 각층 슬라브(1a) 및 벽체(1b)는 기존의 콘크리트 건물과 같이 건축법에 의거하여 설계된 건축설계에 따라 철근이 배설된 상태로 구축된다.
1 : 콘크리트 건물 2 :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3 : 벽체 구축용 수직폼 3a : 부분폼
3b : 모서리폼 3c : 쐐기폼
4 : 수직폼 연결기둥 41 : 수직철재
42,43 : 상,하부 연결파이프 44,45 : 상,하부 연결평철판
46 : 조립볼트 5 : 수평폼 지지부재
51 : 지지볼트 6 : 동바리

Claims (8)

  1. 수직폼 연결기둥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 연결파이프들은 벽체의 상부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 연결파이프들은 벽체의 상단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벽체를 구축하는 하층부 벽체 구축단계;
    상기 하층부 벽체 구축단계에서 구축된 벽체의 상단과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벽체의 상부에 매립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연결파이프들 중 선택된 위치에 매립되어 있는 한쌍의 연결파이프를 각각 관통하는 지지볼트로 벽체의 상부 양면 각각에 수평폼 지지부재를 고정 설치하는 수평폼 지지부재 설치단계;
    상기 수평폼 지지부재 설치단계에서 벽체의 상부 양면에 고정 설치된 복수의 수평폼 지지부재에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이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설치단계;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설치단계에서 수평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들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의 상부 양측에 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을 서로 마주하도록 연결 설치하되,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각각의 하단이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의 상면에 대하여 구축하고자 하는 슬라브의 두께만큼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 연결파이프 각각을 관통하는 복수의 조립볼트로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의 상부에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벽체 구축용 수직폼 설치단계;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 설치단계에서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의 상면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는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의 상단 사이에 수직폼 연결기둥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 연결파이프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만 삽입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조립볼트로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의 상단 사이에 수직폼 연결기둥의 하부가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수직폼 연결기둥 설치단계;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설치단계에서 수평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상면으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되,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을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의 하단과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타설하여 슬라브를 구축하는 슬라브 구축단계;
    상기 슬라브 구축단계에서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이 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력 및 하중을 견딜 수 있을 만큼 경화되었을 때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사이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되,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이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의 하부가 매립되도록 타설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벽체 구축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구축단계에서 벽체의 구축을 완료한 후 상기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 벽체의 양측에 설치되었던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을 분리한 후 분리된 상기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을 타워크레인으로 직상방으로 상승운반하고, 그 하단을 구축이 완료된 벽체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있는 수직폼 연결기둥의 상부에 연결 조립하는 수단으로 양측 벽체 구축용 수직폼을 설치하는 벽체 구축용 수직폼 상승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구축단계에서 슬라브 구축하기 위해 사용됐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을 분리하여 구축이 완료된 슬라브 저부의 개구된 일측 측방으로 운반한 후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구축 완료된 슬라브 상방으로 상승이동시켜서 구축된 벽체의 상단과 수평을 이루도록 수평상으로 설치하는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 상승설치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은 사각형의 단면을 이루면서 서로간에 마주하는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네개의 수직철재와, 상기 네개의 수직철재 중 서로 마주하는 두개씩의 수직철재들 각각의 상,하부에 연결되도록 용접됨과 동시 서로 수평상으로 마주하는 것들끼리는 평행을 이루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상,하부 연결파이프와, 상기 복수의 상,하부 연결파이프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복수의 상,하부 연결파이프들과는 직교하는 상태로 서로 마주하는 두개씩의 수직앵글을 연결하도록 용접되는 복수의 연결평철판으로 구성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은 슬라브 구축시 슬라브의 저부가 밋밋한 수평면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는 4~6mm 정도의 두꺼운 수평철판과 상기 수평철판의 이면에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용접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재로 구성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6. 제 1항에 있어서,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은 벽체 구축시 벽체의 양면이 밋밋한 수직면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는 4~6mm 정도의 두꺼운 수직철판과 상기 수직철판의 이면에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용접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보강재 및 상기 복수의 수직보강재의 상,하단에 수평상으로 용접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로 구성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에는 벽체의 모서리부분을 직각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모서리폼과, 상기 벽체 구축용 수직폼의 일측이나 양측에 연결 조립되는 부분폼 및 상기 모서리폼과 부분폼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쐐기폼이 연결 조립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폼 연결기둥은 복수의 슬라브 구축용 수평폼을 수평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수평폼 지지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건물 각층에 단면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축되는 벽체의 상부에 일정 거리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KR1020100084581A 2010-08-31 2010-08-31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KR10114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81A KR101140627B1 (ko) 2010-08-31 2010-08-31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81A KR101140627B1 (ko) 2010-08-31 2010-08-31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58A KR20120020758A (ko) 2012-03-08
KR101140627B1 true KR101140627B1 (ko) 2012-05-02

Family

ID=46129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581A KR101140627B1 (ko) 2010-08-31 2010-08-31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4390A (zh) * 2019-09-25 2021-03-26 扬州市邗江汊河甘来水泥制品厂 一种整体墙板的成型方法
KR102277374B1 (ko) * 2020-11-06 2021-07-14 박광식 아파트 구조물 역타설 공법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557B1 (ko) 1998-08-21 2001-07-12 이치명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 방법
KR20010092471A (ko) * 2001-02-26 2001-10-26 하동영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공법
KR100484512B1 (ko) 2002-11-12 2005-04-20 (주)거혁건설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KR20100057293A (ko) * 2008-11-21 2010-05-31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슬라이드 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연속 타설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557B1 (ko) 1998-08-21 2001-07-12 이치명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 방법
KR20010092471A (ko) * 2001-02-26 2001-10-26 하동영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공법
KR100484512B1 (ko) 2002-11-12 2005-04-20 (주)거혁건설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KR20100057293A (ko) * 2008-11-21 2010-05-31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슬라이드 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연속 타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58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305B1 (ko)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CN109707173B (zh) 装配式叠合梁板安装辅助装置的施工方法
KR101301076B1 (ko)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CN110409811B (zh) 含钢筋笼免拆成型柱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EP2630306B1 (en) Assemblable disposable shuttering for constructing modular formworks for making concrete foundations
KR101420203B1 (ko)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JP2011157720A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KR20090083615A (ko) 에이치빔 및 그 에이치빔을 이용한 철골구조 건축물의시공방법
US200901213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101098998B1 (ko)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KR101140627B1 (ko)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KR101050167B1 (ko) 사전제작형 슬래브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녹-다운형 모듈러 건축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20070107495A (ko)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JP3945668B2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JPH1129910A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WO2015051551A1 (zh) 一种建筑物及其施工方法
KR101202296B1 (ko) 조립식 거푸집
KR101202300B1 (ko)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KR101078292B1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KR100612662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철근망 조립시공법
AU20052878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20210017720A (ko) 교량의 차량보호벽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교량의 차량보호벽 시공방법
JPH1136229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