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025B1 - Led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Led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025B1
KR101139025B1 KR1020110103089A KR20110103089A KR101139025B1 KR 101139025 B1 KR101139025 B1 KR 101139025B1 KR 1020110103089 A KR1020110103089 A KR 1020110103089A KR 20110103089 A KR20110103089 A KR 20110103089A KR 101139025 B1 KR101139025 B1 KR 10113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led
led array
current
inter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한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025B1/ko
Priority to PCT/KR2012/004660 priority patent/WO20130550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7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uck top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전압의 교류 전원 혹은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저전압의 고출력으로 설계된 발광다이오드 또는 그 어레이를 동작하는 경우에 높은 동작전류로 인해 스위칭 소자의 전력 손실이 과도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회로를 구성하여 전력의 사용효율을 높이고 스위칭 소자의 발열을 감소시켜 회로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도록 인덕터와 프리 휠링 다이오드를 복수로 구성하여 스위칭 off 상태에서 LED에 각 인덕터에서 유도된 전류의 합이 흐르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ED 구동 회로{LED DRIVING CIRCUI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전압의 교류 전원 혹은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저전압의 고출력으로 설계된 발광다이오드 또는 그 어레이를 동작하는 경우에 높은 동작전류로 인해 스위칭 소자의 전력 손실이 과도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회로를 구성하여 전력의 사용효율을 높이고 스위칭 소자의 발열을 감소시켜 회로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회로의 일종인 스텝다운 벅 레귤레이터(step-down buck regulator)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종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이하 LED 소자라고 약칭함)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LED 소자는 백열전구 또는 할로겐 전구 등의 종래 조명등에 비하여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다는 이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최근 표시용 광원을 비롯하여 일반 조명 장치 등의 조명으로서 각 방면에서 실용화되고 있다.
LED 소자는 기존 램프 광원과 달리 직류의 전류에 의해 구동되며 소자당 3V 수준의 낮은 전압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90~240V 또는 277V 등의 교류 전원에 바로 연결하여 동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압의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회로를 구성하여야 한다.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전원 회로는 크게 둘로 나누어 절연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절연 타입과 그렇지 않은 비절연 타입이 있다.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경우는 트랜스포머에 의해 절연이 제공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트랜스포머에 의한 전력 손실로 인한 효율에 한계가 있으며 트랜스포머가 차지하는 부피와 무게로 인해 회로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기 어렵고 원재료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비절연타입은 LED소자와 교류전원 간 절연이 제공되지 않아 전원과 광원이 분리된 경우 추가적인 절연을 실시해야 하는 반면 회로의 소형화 및 경량화와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비절연 회로의 전력 효율은 교류입력의 크기와 사용되는 LED의 개수에 의해 좌우되는데 LED의 갯수가 수십 개인 경우에는 효율이 95% 이상도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반면, LED의 개수가 10개 내외인 경우는 80~90% 수준, 4개 정도이면 75% 정도로 떨어진다. 특히 단일 LED를 구동하고자 경우에는 효율이 50% 내외로 매우 낮다.
도 1은 기본적인 보호 소자인 퓨즈와 교류-직류 변환 소자인 브리지 다이오드, 평활 커패시터와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으로 이루어진 LED 소자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도1과 같이 비절연 방식의 회로 가운데 LED 소자를 직렬로 연결하여 직렬 동작 전압이 입력 전원의 크기와 거의 같도록 하면 효율이 95% 이상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LED의 동작전압의 합이 입력전압보다 낮으면 벅 레귤레이터로 불리는 도 2의 회로를 사용하여 LED소자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고 일정한 전류(constant current)가 유지되도록 통전시간(on time, on-duty time)을 제한하여야 한다.
도 2에서 벅 레귤레이터 소자(U1)와 스위칭 소자(Q1)은 일반적으로 별도로 구성하지만 일부 벅 레귤레이터 IC 소자에서는 스위칭 소자를 내장하기도 한다. 벅 레귤레이터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고주파의 개폐동작이 발생하기 때문에 교류 전원 측으로 고주파의 전류 파형이 전달된다. 이러한 고주파 성분은 전기 계통에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일정 수준이하가 되도록 규정되고 있으므로 라인필터(LF1)와 캐패시터(CX1)를 사용하여 저감한다. 도 2의 인덕터 코일(L1)은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자기장에너지의 형태로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스위치 소자가 off인 상태가 되면 자체 유도 기전력으로 다이오드(D1)을 통해 LED 소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회로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LED 소자와 D1, Q1에 흐르는 전류의 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LED 소자에 흐르는 전류는 R1, L1에 흐르는 전류는 같은 파형이다. 도 3의 동작 상태는 연속동작모드(continous conduction mode)라고 하며 이 상태에서는 LED에 흐르는 전류가 연속적이어서 전원에 고주파의 전류파형을 유발하지 않고 LED에 의해 방출되는 고주파 성분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Q1이 켜지기 전에 인덕터에 전류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Q1이 켜지는 순간에 공급전원과 동작전류의 곱에 해당하는 높은 전력 손실이 발생하여 Q1과 D1에서 발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통상 LED에 흐르는 전류가 0.5A 이하인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벅 레귤레이터 IC는 LED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여 스위칭 소자의 on-off를 제어하는데 도 2에서와 같이 LED에 공급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방식과 도 4와 같이 전류 센싱을 위한 저항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로 감지하는 방식이 있다
도 2나 도 4와 같이 모든 LED소자를 직렬로 연결하는 방법도 있고 도 5와 같이 직렬과 병렬을 조합하여 연결하는 방법도 있으나 인덕터(L1)와 다이오드(D1), 스위칭 소자(Q1)에 흐르는 전류가 커지므로 전력 손실이 늘어나므로 LED의 개수가 많지 않을 때에는 효용성이 떨어진다.
도 2, 도 4 및 도 5의 회로는 구동이 가능한 LED소자의 개수가 LED 전압의 합이 입력 전압의 1/2 이하이면 연속동작모드(CCM)에서도 큰 문제없이 동작하므로 사용이 편리하지만 LED 소자의 개수가 1~3개 정도로 적은 경우에는 LED 소자 동작전압의 합과 입력 전압 간 차이가 크게 되어 다음과 같은 설계의 제한이 발생한다.
입력전압과 동작전압의 차이가 크면 동일 용량의 인덕터(L1)를 이용하고자 할 때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로 인한 전력 손실이 커진다. 스위칭 소자(Q1)에서 스위칭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 손실(qsw)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수식 1)
Figure 112011078897858-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1078897858-pat00002
은 입력전압,
Figure 112011078897858-pat00003
은 LED의 개수,
Figure 112011078897858-pat00004
는 LED소자의 동작전압,
Figure 112011078897858-pat00005
는 과동작 전류로서 도 1, 도2, 및 도4의 구성에서는 LED에 흐르는 전류
Figure 112011078897858-pat00006
와 같다.
Figure 112011078897858-pat00007
은 스위칭 소자를 켜는데 걸리는 시간,
Figure 112011078897858-pat00008
는 끄는데 걸리는 시간이며
Figure 112011078897858-pat00009
는 스위칭 주파수이다. 또한 스위칭 소자가 켜있는 동안(T ON )에는 스위칭 소자의 저항(R)으로 인한 손실이 다음과 같이 발생한다.
(수식 2)
Figure 112011078897858-pat00010
도 2, 도 4 및 도 5의 회로에서 (수식 1)과 (수식 2)로부터 스위칭 소자에 의한 손실을 계산해보면,
(수식 3)
Figure 112011078897858-pat00011
이다.
따라서 전력 손실을 줄이려면 LED의 개수를 늘리거나, 스위칭 주파수를 줄이거나, LED 동작전류를 줄이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동작에 필요한
Figure 112011078897858-pat00012
값과 LED의 갯수가 정해져 있는 조건에서는
Figure 112011078897858-pat00013
Figure 112011078897858-pat00014
는 스위칭 소자의 특성이며 소자의 커패시턴스와도 관계가 있는 것이어서 외부 회로 구성을 통해 줄이기 어렵다. 반면
Figure 112011078897858-pat00015
는 인덕터(L1)의 값을 조정하면 쉽게 바꿀 수 있으며 다음의 관계가 있다.
(수식 4)
Figure 112011078897858-pat00016
여기서
Figure 112011078897858-pat00017
는 LED 소자 어레이의 리플 전압(최대-최소)이다. 도 3과 같이 LED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리플 파형을 갖기 때문에 LED 소자의 양단 전압 역시 리플 전압 파형을 갖는다. 수식 (4)에 따르면 L1의 값을 높이면 동작 주파수는 낮아지므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인덕터의 값을 높이다 보면 인덕터의 부피가 커지고, 코일의 감은 수를 늘리면 코일의 저항이 커지므로 전력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일정 수준이상 값을 늘리기 어렵다. 특히 1A 수준의 구동 전류를 필요로 하는 LED의 구동에서는 인덕터에 사용되는 자성 코어 재질의 물성 한계로 인해 1mH 이상의 인덕터를 제작하려면 부피가 커지고 따라서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절연 타입의 구동회로에 비해 장점이 없어진다. 더군다나 일반적인 벅 레귤레이터 소자들은 동작의 안정성을 위해 최소 동작 주파수가 10kHz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어 더 이상 낮출 수 없다는 현실적인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벅 레귤레이터 소자를 이용하여 고압의 전원으로부터 LED에 1A 이상의 높은 전류를 공급하는데 있어 스위칭 소자에 의한 전력 손실을 줄여 구동 효율을 제고시킨 LED 구동회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LED 구동 회로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 상기 정류회로와 병렬로 연결되어 입력 전류의 리플을 평활화하는 1차 평활 커패시터; 1개 이상의 LED로 이루어진 LED 어레이; 상기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여 LED 소자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레귤레이터 소자 및 스위칭 소자; 스위칭으로 인해 상기 LED 어레이에 발생하는 전압의 리플을 줄여주는 인덕터; 및 상기 스위칭 소자가 off인 상태에서 인덕터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상기 LED 어레이에 공급하는 프리 휠링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와 프리 휠링 다이오드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상기 스위치가 on인 상태에서는 복수의 인덕터에 직렬로 전류가 유도되고, 상기 스위치가 off인 상태에서는 상기 LED 어레이에 상기 복수의 인덕터에서 유도된 전류의 합이 흐르도록 구성하여, 스위칭 소자에서 제어하는 전류의 값보다 더 큰 전류가 LED에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인덕터와 프리 휠링 다이오드가 연결되는 구조는, 정류 회로의 출력 단자로부터 인덕터 L1, LED 어레이, 인덕터 L2, 스위칭 소자가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인덕터 L2와 LED 어레이의 교점과 상기 인덕터 L1과 정류 회로의 출력 단자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1이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 L2와 스위칭 소자의 교점과 상기 인덕터 L1과 LED 어레이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2가 연결된다.
상기 LED 어레이의 양단에 평활 커패시터 C2를 병렬로 연결하여 LED 어레이에 연속적인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 양단에 상기 LED 어레이와 인덕터 L3의 직렬회로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의 용량을 작게 하여도 리플이 작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인덕터와 프리 휠링 다이오드가 연결되는 구조는, 정류 회로의 출력 단자로부터 스위칭 소자, 저항, 인덕터 L1, LED 어레이, 인덕터 L2가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인덕터 L2와 LED 어레이의 교점과 상기 저항과 인덕터 L1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1이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 L2와 접지단자의 교점과 상기 인덕터 L1과 LED 어레이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2가 연결된다.
상기 LED 어레이의 양단에 평활 커패시터 C2를 병렬로 연결하여 LED 어레이에 연속적인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 양단에 상기 LED 어레이와 인덕터 L3의 직렬회로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의 용량을 작게 하여도 리플이 작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회로는 적어도 1개 이상의 LED로 구성되는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에 있어서, 전원 단자로부터 인덕터 L1, LED 어레이, 인덕터 L2, 스위칭 소자가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인덕터 L2와 LED 어레이의 교점과 상기 인덕터 L1과 전원 단자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1이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 L2와 스위칭 소자의 교점과 상기 인덕터 L1과 LED 어레이의 교점에 프리휠링 다이오드 D2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가 on인 상태에서는 상기 인덕터 L1과 인덕터 L2에 직렬로 전류가 유도되고, 상기 스위치가 off인 상태에서는 상기 LED 어레이에 상기 인덕터 L1과 인덕터 L2에서 유도된 전류의 합이 흐르도록 구성하여, 스위칭 소자에서 제어하는 전류의 값보다 더 큰 전류가 LED에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 어레이의 양단에 평활 커패시터 C2를 병렬로 연결하여 LED 어레이에 연속적인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 양단에, 상기 LED 어레이와 인덕터 L3의 직렬회로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의 용량을 작게 하여도 상기 LED 어레이에 리플이 작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회로는 적어도 1개 이상의 LED로 구성되는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에 있어서, 전원단자로부터 스위칭 소자, 저항, 인덕터 L1, LED 어레이, 인덕터 L2가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인덕터 L2와 LED 어레이의 교점과 상기 저항과 인덕터 L1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1이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 L2와 접지단자의 교점과 상기 인덕터 L1과 LED 어레이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2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가 on인 상태에서는 상기 인덕터 L1과 인덕터 L2에 직렬로 전류가 유도되고, 상기 스위치가 off인 상태에서는 상기 LED 어레이에 상기 인덕터 L1과 인덕터 L2에서 유도된 전류의 합이 흐르도록 구성하여, 스위칭 소자에서 제어하는 전류의 값보다 더 큰 전류가 LED에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 어레이의 양단에 평활 커패시터 C2를 병렬로 연결하여 LED 어레이에 연속적인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 양단에, 상기 LED 어레이와 인덕터 L3의 직렬회로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의 용량을 작게 하여도 상기 LED 어레이에 리플이 작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ED 구동 회로에 따르면, 불연속모드에서 동작하는 벅 레귤레이터 회로에서 스위칭 소자의 피크 전류값을 기존 대비 1/2로 줄일 수 있어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하는 저항에 의한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인덕터와 프리 휠링 다이오드의 전류를 1/2로 줄일 수 있어 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적절히 분산할 수 있어 구동회로의 효율과 수명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기존 대비 작은 인덕터 값을 사용하여도 스위칭 주파수를 레귤레이터 IC가 허용하는 최소값으로 유지할 수 있어 인덕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분산하여 구동회로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LED소자와 저항으로만 이루어진 종래의 LED 구동회로.
도 2는 벅레귤레이터 IC를 사용하는 종래의 LED 구동회로의 일례.
도 3는 도 2의 회로 각 소자에 흐르는 전류 파형의 예시.
도 4은 벅 레귤레이터 IC를 사용하되 전력손실을 줄인 전류 센싱 방식에 의한 종래의 LED 구동회로의 일례.
도 5는 직렬과 병렬을 조합하여 다수의 LED 소자를 구동하는 종래 LED 구동회로의 일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구동 회로의 구성도.
도 7, 8은 시간에 따른 LED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파형.
도 9는 기존 기술에 따른 회로도.
도 10은 기존 기술에 따른 회로에서 LED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파형.
도 11은 본 발명의 회로의 다른 실시 예
도 12는 도 11의 발명의 회로에서 LED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파형
도 13은 도 11의 실시 예를 기존 회로에 적용한 예
도 14는 도 13의 회로에서 LED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파형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위칭 모드 전원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로써 두 개의 인덕터와 두 개의 프리 휠링 다이오드(free wheeling diode)로 구성한 실시 예이다.
브리지 다이오드(BD1)에 의해 정류된 교류입력 전압은 C1에 의해 평활되어 U1로 제어되는 LED 구동회로에 공급된다. 구동회로는 전류 센싱 저항(R1)의 입력을 통해 Q1의 스위칭 소자에 일정 전류(
Figure 112011078897858-pat00018
)이상이 흐르면 꺼지도록 작동한다. Q1이 켜져 있는 동안에는 L1, L2 및 LED에 동일한 전류가 흐르며 시간에 따라 증가하다가 Q1이 꺼져있는 동안에는 L1에 의해 유도된 전류는 L1-LED-D1에 흐르고 L2에 유도된 전류는 D2-LED-L2에 흐르게 되어 결과적으로 LED에는 L1과 L2에 비해 2배의 전류가 흐른다. 다시 Q1이 켜지는 순간과 꺼지는 순간에 Q1에는 L2에 흐르는 전류가 돌입하므로 스위칭의 에너지 손실은
Figure 112011078897858-pat00019
값을 통해 계산되어진다. 반면 LED에 흐르는 전류를 보면 Q1이 꺼지는 순간에
Figure 112011078897858-pat00020
가 흐르므로 기존 회로에 비해 스위칭에 의한 전력 손실이 1/2로 줄어든다. 캐패시터 C2는 고주파 전류에 의한 전자기 방사를 줄이기 위해 LED에 흐르는 전류를 평활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주파수의 측면에서 볼 때에 인덕터를 직렬로 2개를 사용하였으므로 인덕턴스 값이 2배가 되어 스위칭 주파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다. 물론 인덕터가 차지하는 공간의 측면에서 볼 때에는 동일 스위칭 주파수를 구현하기 위해 거의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지만 부품의 공간 배치가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은 인덕터일수록 전류 용량이 큰 것을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7은 C2를 제거한 상태에서 시간에 따른 LED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파형이고, 도 8은 C2=10uF인 상태에서 시간에 따른 LED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파형으로, 도 7, 8은 도 6의 회로를 사용하여 1개의 LED를 750mA로 구동할 수 있도록 셋팅한 상태에서 도 6의 L1, L2, LED에 흐르는 전류를 도시한 것이다. Q1의 피크치는 1A로 세팅하였고 인덕터는 불연속 전도 상태(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DCM)로 동작하도록 주파수를 조정하였다.
도 7에서 보듯이 Q1이 꺼진 상태에서 LED에는 L1과 L2의 2배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통상 LED에 고주파형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자기파 방사(Electromagnetic emission)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LED에 병렬로 평활 캐패시터를 추가한다. 도 8은 C2=10uF일 때의 L1, L2, LED에서의 전류파형이다. 도 8의 경우 LED에 흐르는 평균전류는 750mA이고 L1, L2에 흐르는 평균전류는 390mA이다. 스위칭 소자인 Q1에는 피크전류가 1A이므로 쉽게 구할 수 있는 3A용량을 가진 FET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기존 기술과 비교하기 위해 도 9에는 기존의 회로를 도 10에서는 LED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파형을 제시하였다.
도 10에서는 기존 기술 대비 본 발명의 효과를 도시하기 위해 도 9의 회로에서 인덕터의 값을 도 6의 L1과 L2를 합한 값으로 하고 주파수는 동일하게 설정한 상태에서 인덕터와 LED에 흐르는 전류 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에 보듯이 기존 기술에 의한 회로에서는 Q1에 흐르는 피크전류가 1A임에도 LED에 흐르는 전류는 320mA 수준밖에 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LED에 흐르는 전류를 750mA 수준으로 하기 위해서는 피크전류를 2A 이상으로 설정해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본 발명에서는 높은 LED 전류를 구현하기 위해 불연속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LED에 연속적인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평활캐패시터 C2를 추가하였다. 다른 방법으로 LED에 도 11과 같이 직렬로 인덕터(L3)를 추가하면 C2를 작게 하여도 매우 리플이 작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는 도 12에 제시하였다. 도 12는 도 11의 발명의 실시 예에서 LED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파형. L1=L2=L3, C2=0.47uF인 경우 파형이다.
도 11의 발명을 기존 회로에 적용했을 때의 효과를 보기 위해 도 13의 회로를 구성하였고 이때에 LED에 흐르는 전류는 도 14와 같다. 도 14는 도 13의 회로에서 LED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파형(L1=2 x L2, C2=0.47uF)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회로에 평활 인덕터를 추가했을 때에 기존 회로에 동일한 용량의 평활 인덕터를 추가했을 때보다 리플이 50%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스위칭 제어 회로가 LED와 인덕터보다 앞에 오도록 설계된 경우에 본 발명의 적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LED의 갯수 1 2 3 4
기존회로(CCM모드) 52% 60% 67% 70%
기존회로(DCM모드) 58% 64% 68% 75%
본발명의 회로(DCM 모드) 62% 68% 70% 75%
표 1에서는 LED를 1A로 구동할 때에 직렬로 연결된 LED 개수별 회로의 효율을 제시하였다. 표 1의 결과는 MAX16801을 이용하여 140V의 직류전압에서 LED 전류를 700mA로 한 경우에 얻은 결과이며 스위칭 제어 소자의 사양과 동작전압, LED의 동작 전류에 따라 효율의 최적화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R1 : 스위치의 도통 저항 C1, C2 : 콘덴서
BD1 : 브리지 다이오드 D1, D2: 프리 휠링 다이오드
R : FET의 도통저항 Q1 : 스위칭 트랜지스터
U1 : 스위칭 제어 회로 L1, L2, L3 : 인덕터

Claims (13)

  1.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
    상기 정류회로와 병렬로 연결되어 입력 전류의 리플을 평활화하는 1차 평활 커패시터;
    1개 이상의 LED로 이루어진 LED 어레이;
    상기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여 LED 소자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레귤레이터 소자 및 스위칭 소자;
    스위칭으로 인해 상기 LED 어레이에 발생하는 전압의 리플을 줄여주고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인덕터; 및
    상기 스위칭 소자가 off인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인덕터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상기 LED 어레이에 공급하는 복수의 프리 휠링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덕터와 복수의 프리 휠링 다이오드는 쌍으로 구성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가 on인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인덕터에 직렬로 전류가 유도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가 off인 상태에서는 상기 LED 어레이에 상기 복수의 인덕터에서 유도된 전류의 합이 흐르도록 구성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제어하는 전류의 값보다 더 큰 전류가 LED에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인덕터와 프리 휠링 다이오드가 연결되는 구조는,
    정류 회로의 출력 단자로부터 인덕터 L1, LED 어레이, 인덕터 L2, 스위칭 소자가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인덕터 L2와 LED 어레이의 교점과 상기 인덕터 L1과 정류 회로의 출력 단자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1이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 L2와 스위칭 소자의 교점과 상기 인덕터 L1과 LED 어레이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의 양단에 평활 커패시터 C2를 병렬로 연결하여 LED 어레이에 연속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 양단에 상기 LED 어레이와 인덕터 L3의 직렬회로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의 용량을 작게 하여도 리플이 작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인덕터와 프리 휠링 다이오드가 연결되는 구조는,
    정류 회로의 출력 단자로부터 스위칭 소자, 저항, 인덕터 L1, LED 어레이, 인덕터 L2가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인덕터 L2와 LED 어레이의 교점과 상기 저항과 인덕터 L1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1이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 L2와 접지단자의 교점과 상기 인덕터 L1과 LED 어레이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의 양단에 평활 커패시터 C2를 병렬로 연결하여 LED 어레이에 연속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 양단에 상기 LED 어레이와 인덕터 L3의 직렬회로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의 용량을 작게 하여도 리플이 작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8. 적어도 1개 이상의 LED로 구성되는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에 있어서,
    전원 단자로부터 인덕터 L1, LED 어레이, 인덕터 L2, 스위칭 소자가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인덕터 L2와 LED 어레이의 교점과 상기 인덕터 L1과 전원 단자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1이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 L2와 스위칭 소자의 교점과 상기 인덕터 L1과 LED 어레이의 교점에 프리휠링 다이오드 D2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가 on인 상태에서는 상기 인덕터 L1과 인덕터 L2에 직렬로 전류가 유도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가 off인 상태에서는 상기 LED 어레이에 상기 인덕터 L1과 인덕터 L2에서 유도된 전류의 합이 흐르도록 구성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제어하는 전류의 값보다 더 큰 전류가 LED에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의 양단에 평활 커패시터 C2를 병렬로 연결하여 LED 어레이에 연속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 양단에, 상기 LED 어레이와 인덕터 L3의 직렬회로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의 용량을 작게 하여도 상기 LED 어레이에 리플이 작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11. 적어도 1개 이상의 LED로 구성되는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에 있어서,
    전원단자로부터 스위칭 소자, 저항, 인덕터 L1, LED 어레이, 인덕터 L2가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인덕터 L2와 LED 어레이의 교점과 상기 저항과 인덕터 L1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1이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 L2와 접지단자의 교점과 상기 인덕터 L1과 LED 어레이의 교점에 프리 휠링 다이오드 D2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가 on인 상태에서는 상기 인덕터 L1과 인덕터 L2에 직렬로 전류가 유도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가 off인 상태에서는 상기 LED 어레이에 상기 인덕터 L1과 인덕터 L2에서 유도된 전류의 합이 흐르도록 구성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제어하는 전류의 값보다 더 큰 전류가 LED에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의 양단에 평활 커패시터 C2를 병렬로 연결하여 LED 어레이에 연속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 양단에, 상기 LED 어레이와 인덕터 L3의 직렬회로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평활 커패시터 C2의 용량을 작게 하여도 상기 LED 어레이에 리플이 작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KR1020110103089A 2011-10-10 2011-10-10 Led 구동 회로 KR10113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089A KR101139025B1 (ko) 2011-10-10 2011-10-10 Led 구동 회로
PCT/KR2012/004660 WO2013055000A1 (ko) 2011-10-10 2012-06-13 Led 구동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089A KR101139025B1 (ko) 2011-10-10 2011-10-10 Led 구동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025B1 true KR101139025B1 (ko) 2012-05-02

Family

ID=4627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089A KR101139025B1 (ko) 2011-10-10 2011-10-10 Led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9025B1 (ko)
WO (1) WO20130550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592A1 (ko) * 2013-08-02 2015-02-05 주식회사 르코어테크놀러지 Led 구동 집적회로 및 그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4503B (zh) * 2013-06-18 2017-03-22 钰瀚科技股份有限公司 驱动应用高电压的发光二极管串的装置
CN103415126B (zh) * 2013-08-29 2016-12-28 广州市雅江光电设备有限公司 Led线性泄流电路及线性泄流方法
CN105282937B (zh) * 2015-11-13 2018-03-02 广州市雅江光电设备有限公司 开关泄流电路及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195B1 (ko) 2000-08-18 2002-09-18 아이티엠 주식회사 전류값 변화에 따른 선택적 전류 제한 장치 및 과도전류고속 검지장치
KR20030010316A (ko) * 2001-07-26 2003-02-05 동양기전 주식회사 브러시리스 모터의 구동제어 회로장치
KR20060120508A (ko) * 2005-05-20 2006-11-27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JP2008235530A (ja) * 2007-03-20 2008-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443A (ja) * 1999-06-22 2001-01-12 Tdk Corp 電流駆動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195B1 (ko) 2000-08-18 2002-09-18 아이티엠 주식회사 전류값 변화에 따른 선택적 전류 제한 장치 및 과도전류고속 검지장치
KR20030010316A (ko) * 2001-07-26 2003-02-05 동양기전 주식회사 브러시리스 모터의 구동제어 회로장치
KR20060120508A (ko) * 2005-05-20 2006-11-27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JP2008235530A (ja) * 2007-03-20 2008-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592A1 (ko) * 2013-08-02 2015-02-05 주식회사 르코어테크놀러지 Led 구동 집적회로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5000A1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2589A1 (en) A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with current regulated output
Lin et al. LED backlight driver circuit with dual-mode dimming control and current-balancing design
KR20120056162A (ko) Led 구동장치
Liu et al. Buck–boost–buck-type single-switch multistring resonant LED driver with high power factor and passive current balancing
CN103715902A (zh) 具有电感器-电感器-电容器级的功率转换器以及对其进行操作的方法
US8933649B2 (en) Power converter having a switch coupled between windings
Gücin et al. A series resonant converter-based multichannel LED driver with inherent current balancing and dimming capability
Reddy et al. A cost-effective zero-voltage switching dual-output led driver
KR101139025B1 (ko) Led 구동 회로
KR20110136537A (ko) 과전압 보호와 정전류 구동을 위한 led 구동 회로 및 방법
US9330833B2 (en) Power supply with low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inductor for power supply with low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U2010286130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of passive and active LED lighting equipment
CN109309985B (zh) 照明***
KR101082150B1 (ko) 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
Dasohari et al. An interleaved dual double-ended forward converter based LED driver for DC lighting grids
US20100270931A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of passive led lighting equipment
KR101528550B1 (ko) Led 조명용 단일단 pfc 플라이백 컨버터
US9648690B1 (en) Dimmable instant-start ballast
KR101454158B1 (ko) 전해 커패시터 없는 LED 구동용 전원장치와 이의 120Hz 리플 저감기법
US20210298146A1 (en) Regulator flicker controller circuitry for electrolytic-capacitor-less ac-dc led driver under universal input voltage
JP6067591B2 (ja) 調整可能なフライバック又はバックブーストコンバータ
Naraharisetti et al. Primary side regulated flyback AC-DC converter for LED's
KR101043586B1 (ko) 스위칭 모드 전원 회로
Thomas et al. Power-transfer of isolated converter with integrated power sharing for LED-lighting system dependent on transformer coupling
TWI667941B (zh) High-efficiency color LED lamp shared dr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