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765B1 -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 - Google Patents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765B1
KR101138765B1 KR20100082795A KR20100082795A KR101138765B1 KR 101138765 B1 KR101138765 B1 KR 101138765B1 KR 20100082795 A KR20100082795 A KR 20100082795A KR 20100082795 A KR20100082795 A KR 20100082795A KR 101138765 B1 KR101138765 B1 KR 101138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clay
ash
aesthetics
black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8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263A (ko
Inventor
이장수
Original Assignee
이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수 filed Critical 이장수
Priority to KR2010008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76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4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C04B33/135Combustion residues, e.g. fly ash, incineration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iO2 51.66wt%, Al2O3 31.99wt%, Fe2O3 2.87wt%, MgO 0.35wt%, CaO 0.33wt%, Na2O 0.09wt%, K2O 1.31wt%, TiO2 0.35wt%, MnO 0.04wt%, P2O5 0.02wt%의 성분을 함유하는 적토, 자석(紫石), 산화철, Na2O 0.71wt%, K2O 1.39wt%, CaO 1.45wt%, MgO 0.79wt%, Fe2O3 3.63wt%, Al2O3 25.79wt%, SiO2 54.24wt%, TiO2 0.46wt%, MnO 0.05wt%의 성분을 함유하는 분청토, 재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일정시간 동안 볼밀 분쇄하여 이루어지는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BLACK ENGOBE}
본 발명은 소지와 유약의 중간에 사용되는 흑화장토로써, 천연재료의 사용에 의해 인체에 무해하고 반건조 상태에서 붓칠 후 문양을 표현함으로써 색상의 아름다움에 의한 도자기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소지와 유약의 고착성을 높여줌으로 인해 도자기 건조과정에서 균열 및 파손의 우려를 없앨 수 있는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 제작공정은 원료 선택 후, 소지 조성조합(청자토, 분청토, 산청토, 중국백토)하여 성형(물레성형, 도판, 소지의 덩어리)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형, 문양 및 표현기법(양각, 인화문, 상감조각, 조화조각, 박지조각)을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건조, 초벌구이(900℃, 산화소성)를 한 후, 시유(청자유, 분청유, 망간유), 분무법, 담금법, 마침(재벌)구이(1,230℃ 환원소성)를 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도자기 제작공정 중 문양 및 표현기법에서 사용되는 화장토는 그 조합비가 부적절할 경우에는 소지와 유약의 고착성이 떨어지는 관계로, 건조과정에서 균열 및 파손이 발생하여 도자기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색화장토의 사용에 의한 화려한 표면장식을 얻기 어렵고, 또한 기존의 흑화장토의 경우, 선명한 색상 발현이 용이하지 않아, 흑화장토의 사용에 의한 도자기 심미성 향상을 기대하기가 어려웠다.
일본공개특허 JP 2008-201600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73029(2008년12월03일)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85391(2009년02월18일) 대한민국등록특허 10-0216414(1999년05월29일) 대한민국등록특허 10-0302668(2001년07월05일)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6-0056913(2006년05월25일)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41506(2008년08월14일)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지와 유약과의 고착성을 높임으로써 건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열 및 파손 우려를 없애고, 또한 흑색의 색상 발현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흑화장토에 의한 표면 장식이 화려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도자기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흑화장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토 70 ~ 79wt%, 자석(紫石) 3 ~ 8wt%, 산화철 2 ~ 7wt%, 분청토 5 ~ 13wt%, 재 3 ~ 8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7 ~ 9시간 동안 볼밀 분쇄하여 이루어지는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를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적토는 SiO2 51.66wt%, Al2O3 31.99wt%, Fe2O3 2.87wt%, MgO 0.35wt%, CaO 0.33wt%, Na2O 0.09wt%, K2O 1.31wt%, TiO2 0.35wt%, MnO 0.04wt%, P2O5 0.02wt%의 성분을 함유하고 120mesh체를 통과하는 것이며,
상기 분청토는 SiO2 55.51wt%, Al2O3 24.99wt%, Fe2O3 3.59wt%, MgO 0.67wt%, CaO 0.48wt%, Na2O 0.57wt%, K2O 2.51wt%, TiO2 0.42wt%, MnO2 0.07wt%의 성분을 함유하고 120mesh체를 통과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재는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굴참나무(Q.variabilis), 신갈나무(Q.mongolica), 졸참나무(Q. serrata), 갈참나무(Q. aliena), 떨가나무(Q. dentat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나무 혼합물을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3 ~ 4일간 태워 제조한 입도가 1 ~ 14㎛인 나무재 40 ~ 60wt%와,
완전히 마르지 않은 짚을 완전 연소할 수 있도록 최소한 일정한 양의 공기를 유통시켜 가면서 3 ~ 4일 동안 서서히 태워 재를 만든 후, 재를 통에 담고 물을 가득 채워 물에 뜨는 불완전 연소된 불순물을 굵은 체로 걸러 제거한 다음, 재 속에 재 속에 들어있는 미끈미끈한 알칼리물이 없어질 때까지 1일 2 ~ 3회, 일주일간 물을 갈아 주고, 다음으로 물기가 빠지도록 자루에 넣어 자연 건조시켜 제조된 짚재 40 ~ 6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혼합재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흑화장토는 선명한 흑색 발현으로 도자기 표면 장식을 화려하게 하여 도자기의 심미성을 높임과 동시에 소지와 유약의 고착성을 높임으로써 건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열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도자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흑화장토를 사용하여 제작한 도자기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흑화장토를 사용하여 제작한 다른 도자기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흑화장토를 사용하여 제작한 또 다른 도자기 사진.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장토는 소지와 유약 중간에 사용되는 이장(slip)으로서 피복제를 말하는 것으로, 소지에 잘 부착되어 원하는 색상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하며, 유약에 의해서 용해되지 않고 갈라지거나 말림 현상이 없어야 한다. 그리고, 건조와 소성시 수축률의 차이로 절대 벗겨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흑화장토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적토 70 ~ 79wt%, 자석(紫石) 3 ~ 8wt%, 산화철 2 ~ 7wt%, 분청토 5 ~ 13wt%, 재 3 ~ 8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7 ~ 9시간 동안 볼밀 분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적토는 적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철성분이 융점을 넘기면서 검은색을 발생시켜 흑화장토의 흑색발현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서, SiO2 51.66wt%, Al2O3 31.99wt%, Fe2O3 2.87wt%, MgO 0.35wt%, CaO 0.33wt%, Na2O 0.09wt%, K2O 1.31wt%, TiO2 0.35wt%, MnO 0.04wt%, P2O5 0.02wt%의 성분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120mesh의 체를 통과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적토는 붉은 산화철을 많이 포함한 빛이 붉은 흙, 석회암, 혈암 등이 분해된 곳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용도는 자석고, 자토 염에 쓰이며, 산수화에 많이 쓰이며 살빛을 표현하는데 사용한다.
상기 적토는 염기(鹽基)의 용탈(溶脫)이 심하여 철?알루미늄의 이산화물의 집적으로 적색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고온 때문에 부식(腐植)의 축적이 적어서 포드졸화 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적토는 원료가 붉은 색을 띠고 있어 황토처럼 보이나 성분분석결과 알칼리 함량이 낮고 알루미나 함량인 높아 내화도가 높으며 소성 색상이나 성상으로 보면 카올린과 유사하다.
상기 적토는 흑화장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70 ~ 79wt%의 범위 내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량이 70wt% 미만인 경우에는 흑화장토에 의한 흑색 발현이 용이하지 않고, 79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점력 등이 떨어져 도자기의 건조과정에서 균열 및 파손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적토의 사용량은 전체 흑화장토의 양에 대해 70 ~ 79wt%의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紫石)은 사력암질(砂礫岩質)의 붉은 색상을 띠는 돌을 의미하며, 소성과정에서 검게 변하게 되어 흑화장토에 사용할 경우 도자기의 흑색 발현을 한층 더 좋게 해주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자석은 흑화장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3 ~ 8wt%의 범위 내를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량이 3wt% 미만인 경우에는 자석의 사용에 따른 흑색 발현 기능 상승이 미미하고, 8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흑화장토의 점력이 떨어져 소지와 유약의 고착성이 떨어져 도자기 건조과정 중 균열 및 파손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자석의 사용량은 전체 흑화장토의 양에 대해 3 ~ 8wt%의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철 또한 흑화장토에 사용되어 소성과정에서 도자기의 흑색 발현 기능을 갖는 것으로, 몇 가지 다른 조합 방식으로 존재하는데 철 대 산소 각각의 비율은 다음과 같이 독특한 색깔을 가진다. Fe2O3-빨강, Fe3O4-노랑, FeO-검정, 산화철의 분해되지 않은 형태는 제2산화철, 또는 붉은 산화철이고, 천연상태에서 대부분의 철성분은 이러한 형태로 존재한다. 환원 소성시 산화철은 제1산화철 상태 또는 검은 산화철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환원할 때 소성 점토의 독특한 검정이나 회색을 설명해 주는 근거가 된다. 표면의 황갈색이나 갈색은 철이 제2산화철로 재산화 과정에 일어난다. 이러한 재산화는 종종 가마를 냉각시키는 동안에 발생한다.
상기 산화철은 흑화장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2 ~ 7wt%의 범위 내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량이 2wt% 미만인 경우에는 산화철의 사용에 의한 흑색 발현 기능 상승을 기대하고 어렵고, 7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지와 유약의 고착성이 떨어져 도자기 건조 과정 중 균열 및 파손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산화철의 사용량은 전체 흑화장토의 양에 대해 2 ~ 7wt%의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청토는 SiO2 55.51wt%, Al2O3 24.99wt%, Fe2O3 3.59wt%, MgO 0.67wt%, CaO 0.48wt%, Na2O 0.57wt%, K2O 2.51wt%, TiO2 0.42wt%, MnO2 0.07wt%의 성분을 함유하고 120mesh체를 통과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분청토는 흑화장토에 사용됨으로써 화도를 주면서 점력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분청토는 흑화장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 13wt%의 범위 내를 유지한다.
상기 분청토의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점력 상승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자기 건조과정에서 균열 및 파손발생 우려가 있고, 13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화장토의 흑색 발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심미감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자석의 사용량은 전체 흑화장토의 양에 대해 5 ~ 13wt%의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는 흑화장토에 사용됨으로써 중화작용에 의한 도자기 색상의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것으로서, 흑화장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3 ~ 8wt%의 범위 내를 유지한다.
상기 재의 사용량이 3wt% 미만인 경우에는 중화작용에 의한 자연스러운 맛을 발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8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흑화장토의 점력이 떨어져 소지와 유약의 고착성이 떨어짐으로 인해 건조과정에서 균열 및 파손 발생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재의 사용량은 전체 흑화장토의 양에 대해 3 ~ 8wt%의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는 나무재와 짚재의 혼합재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재의 사용에 따른 도자기 색상의 자연스러운 느낌을 표현하는 것외에, 혼합재를 사용함으로써 흑화장토 위로 도포되는 유약에 의한 흑화장토의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름 형태의 흑화장토가 갈라지거나 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나무재는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굴참나무(Q.variabilis), 신갈나무(Q.mongolica), 졸참나무(Q. serrata), 갈참나무(Q. aliena), 떨가나무(Q. dentat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나무 혼합물을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3 ~ 4일간 태워 제조된 입도가 1 ~ 14㎛인 것이고,
상기 짚재는 완전히 마르지 않은 짚을 완전 연소할 수 있도록 최소한 일정한 양의 공기를 유통시켜 가면서 3 ~ 4일 동안 서서히 태워 재를 만든 후, 재를 통에 담고 물을 가득 채워 물에 뜨는 불완전 연소된 불순물을 굵은 체로 걸러 제거한 다음, 재 속에 재 속에 들어있는 미끈미끈한 알칼리물이 없어질 때까지 1일 2 ~ 3회, 일주일간 물을 갈아 주고, 다음으로 물기가 빠지도록 자루에 넣어 자연 건조시켜 제조된 것이다.
상기 나무재와 짚재의 혼합으로 조성된 혼합재는 나무재 40 ~ 60wt%와 짚재 40 ~ 60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나무재는 CaO의 함유량이 많으며 불에 녹기 쉬운 재이고, SiO2의 함유량이 많은 초목, 곡류의 벼과 재는 불에 녹기 어려운 재이다. 벼과 식물을 제외한 초목재는 CaO가 많기 때문에 장석과 도석에 잘 반응한다. 나무재는 전반적으로 P2O5, K2O, CaO가 많은 편이다. 각종 초목 재에 P2O5가 함유된 것은 토석 원료에는 없는 재류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완전히 태운 나무재는 SiO2 성분이 35% 내외 포함되어 있지만 짚재나 수수재에는 70 ~ 80%의 SiO2를 함유한다. 그러나 대기 중에서 태운 짚재나 단풍나무재에는 30 ~ 40% 정도의 탄소가 남아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짚재나 단풍나무재는 SiO2를 대용한 원료로서 자주 사용되어지며 유탁상의 유조를 원할 때에 많이 쓰여진다. SiO2질재로 흔히 짚재라고 하는 것은 볏짚을 태워서 분쇄, 수비한 것이다. 태울 때 탄소의 소각이 어렵기 때문에 짚재는 대개 석탄처럼 흑색에 가깝다 황겨재도 이 부류에 속한다. 짚재류는 일반적으로 잡재류와 섞어서 사용하며 유백색의 실투광택유로도 사용한다.
상기 나무재와 짚재의 상호 혼합비율의 40 ~ 60wt%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는 혼합재의 사용에 따른 흑화장토의 용해 방지, 흑화장토가 갈라지거나 말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나무재와 짚재의 상호 혼합비율은 40 ~ 60wt%의 범위 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기술 구성에 따른 흑화장토의 구체적인 혼합비율은 다음의 표 1과 같으며, 상기 표 1의 배합 예 5에 따른 흑화장토의 제작과정은 실시 예 1과 같다.
실시예
성분(단위:g) 총중량
(단위:g)
적토 자석(紫石) 산화철 분청토
배합 예 1 70 5 7 10 8 100
배합 예 2 79 6 5 5 5 100
배합 예 3 72 3 7 13 5 100
배합 예 4 75 8 5 5 7 100
배합 예 5 76 7 2 10 5 100
배합 예 6 74 7 7 7 5 100
배합 예 7 73 8 7 5 7 100
배합 예 8 71 6 5 13 5 100
배합 예 9 77 4 3 13 3 100
배합 예 10 78 3 2 9 8 100
실시 예 1
본 발명의 흑화장토에 따른 구체적인 제조 예로서는 상기 표 1의 배합 예 3에 제시된 배합비율 즉, 적토 72g, 자석 3g, 산화철 7g, 분청토 13g, 재 5g을 혼합한 후 포트 밀(pot mill)을 이용하여 8시간 동안 분쇄함으로써 흑화장토를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 재는 나무재 50g과 짚재 50g을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흑화장토의 사용은 상기 흑화장토를 물에 개어 완전 건조되지 않은 도자기 소지 위로 1회 붓 칠한 후 다시 건조 후 2회 붓 칠하여 두께를 조절하여 1mm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적토, 자석, 산화철은 내부에 철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흑화장토를 통한 소성과정을 거치면서 흑색 발현이 이루어지며, 상기 적토, 자석, 산화철의 상호 상승작용에 의한 선명한 흑색이 나타남으로써 표면 장식의 심미감을 한층 더 높여주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흑화장토는 흑색이 선명하게 나타남으로 인해 도자기 표면 장식을 화려하게 하여 심미감을 높임으로써 도자기의 구매력을 높여주고, 또한 도자기 제작과정 중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균열 및 파손 발생 우려를 현저히 줄여주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옴으로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3)

  1. 적토 70 ~ 79wt%, 자석(紫石) 3 ~ 8wt%, 산화철 2 ~ 7wt%, 분청토 5 ~ 13wt%, 재 3 ~ 8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7 ~ 9시간 동안 볼밀 분쇄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토는 SiO2 51.66wt%, Al2O3 31.99wt%, Fe2O3 2.87wt%, MgO 0.35wt%, CaO 0.33wt%, Na2O 0.09wt%, K2O 1.31wt%, TiO2 0.35wt%, MnO 0.04wt%, P2O5 0.02wt%의 성분을 함유하고 120mesh체를 통과하는 것이며,
    상기 분청토는 SiO2 55.51wt%, Al2O3 24.99wt%, Fe2O3 3.59wt%, MgO 0.67wt%, CaO 0.48wt%, Na2O 0.57wt%, K2O 2.51wt%, TiO2 0.42wt%, MnO2 0.07wt%의 성분을 함유하고 120mesh체를 통과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재는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굴참나무(Q.variabilis), 신갈나무(Q.mongolica), 졸참나무(Q. serrata), 갈참나무(Q. aliena), 떨가나무(Q. dentat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나무 혼합물을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3 ~ 4일간 태워 제조한 입도가 1 ~ 14㎛인 나무재 40 ~ 60wt%와,
    완전히 마르지 않은 짚을 완전 연소할 수 있도록 최소한 일정한 양의 공기를 유통시켜 가면서 3 ~ 4일 동안 서서히 태워 재를 만든 후, 재를 통에 담고 물을 가득 채워 물에 뜨는 불완전 연소된 불순물을 굵은 체로 걸러 제거한 다음, 재 속에 재 속에 들어있는 미끈미끈한 알칼리물이 없어질 때까지 1일 2 ~ 3회, 일주일간 물을 갈아 주고, 다음으로 물기가 빠지도록 자루에 넣어 자연 건조시켜 제조된 짚재 40 ~ 6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혼합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








KR20100082795A 2010-08-26 2010-08-26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 KR101138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2795A KR101138765B1 (ko) 2010-08-26 2010-08-26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2795A KR101138765B1 (ko) 2010-08-26 2010-08-26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263A KR20120034263A (ko) 2012-04-12
KR101138765B1 true KR101138765B1 (ko) 2012-04-24

Family

ID=4613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82795A KR101138765B1 (ko) 2010-08-26 2010-08-26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982B1 (ko) * 2018-02-09 2019-09-03 이성도 수전사 물감을 이용한 연리문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도자기
KR102366265B1 (ko) * 2021-08-31 2022-02-23 박병호 논흙을 활용한 흑색 상감용 화장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105613B (zh) * 2021-12-10 2023-10-20 广东嘉联企业陶瓷有限公司 一种大颗粒斑点全通透陶瓷岩板及其制造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670A (ko) * 1990-06-29 1992-01-29 키스링, 균트너 세라믹재 판형성재의 표면디자인 방법
KR100216414B1 (ko) * 1997-07-01 1999-08-16 이세용 청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유약 등의 조성물
KR100302668B1 (ko) * 1999-05-15 2001-10-29 이경석 도자기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화장토와 그 화장토로 만들어진 도자기
KR100873029B1 (ko) * 2008-08-19 2008-12-09 이장수 천연 소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670A (ko) * 1990-06-29 1992-01-29 키스링, 균트너 세라믹재 판형성재의 표면디자인 방법
KR100216414B1 (ko) * 1997-07-01 1999-08-16 이세용 청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유약 등의 조성물
KR100302668B1 (ko) * 1999-05-15 2001-10-29 이경석 도자기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화장토와 그 화장토로 만들어진 도자기
KR100873029B1 (ko) * 2008-08-19 2008-12-09 이장수 천연 소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263A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787B1 (ko) 갯벌흙을 이용한 유약 및 이를 이용한 흑색, 황색 반점을 갖는 도자기 제조방법
CN103304215B (zh) 超纳米银离子硅酸锆陶瓷工艺品及其制备方法
KR101801172B1 (ko)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4478482B (zh) 一种南宋官窑米黄釉料
KR101998651B1 (ko) 차 잎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6349B1 (ko) 낙엽재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016467B1 (ko) 땅콩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903080B (zh) 特殊坯体大颗粒结合数码布料喷墨渗透抛光砖及其制备方法
KR101138765B1 (ko)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
KR100885391B1 (ko)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KR20120037293A (ko) 지렁이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8266B1 (ko) 누에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75790B1 (ko) 수철을 이용한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15702A (zh) 一种仿古艺术陶瓷
KR100387919B1 (ko)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KR20090039292A (ko) 기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055907B1 (ko) 갈색 유약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갈색 조선요 제조 방법
CN113213888B (zh) 一种组合窑变釉料、组合窑变釉料瓷器及其制备方法
CN102001865B (zh) 一种仿古蜡石网纹陶瓷的制造方法
KR20090099023A (ko) 우 분뇨를 이용한 청자 유약 조성물
KR100673791B1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 소지 조성물
KR100688874B1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 그 제조 및 사용방법
KR100387920B1 (ko)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CN101429004A (zh) 制造陶瓷混合制品的配料组合物及其应用
KR100931830B1 (ko) 동화 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