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971B1 -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c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c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971B1
KR101137971B1 KR1020100104914A KR20100104914A KR101137971B1 KR 101137971 B1 KR101137971 B1 KR 101137971B1 KR 1020100104914 A KR1020100104914 A KR 1020100104914A KR 20100104914 A KR20100104914 A KR 20100104914A KR 101137971 B1 KR101137971 B1 KR 10113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ortable terminal
server
information
lin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397A (ko
Inventor
김용한
조성석
Original Assignee
(주) 애니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애니테일 filed Critical (주) 애니테일
Publication of KR2012000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와 PC 간에 서로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택일적으로 실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PC가 접속된 서버와 실시간으로 접속되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PC로부터 멀어지는 이동 여부를 감시하는 감지부와 PC에 가까워지는 경우 그 PC의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도록 서버로 접근정보를 전송하고, 감지부를 통해 이동이 감지되면 그 PC의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시키도록 이탈정보를 전송하는 이동정보 보고부와 접근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키고, 이탈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며, 서버에 처리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PC에서 편리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C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PC IMPLEMENTING APPLICATION SELECTIVELY AND CONTROLLING SERVER OF MOBILE DEVICE AND PC AND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PC를 이용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단말기와 PC에서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권한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최근 들어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인터넷접속 등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스마트폰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은 PC에 버금가는 기능을 갖추도록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일반 PC를 비교해 보면, 스마트폰은 휴대성이라는 장점을 갖추고 있는 반면 일반 PC에 비해 화면이 작고, UI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일반 PC는 화면이 크고, UI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휴대하기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이동 중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사무실이나 집에서는 PC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스마트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일반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동 중에는 다시 스마트폰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연속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PC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와 PC 간에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PC가 접속된 서버와 실시간으로 접속되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PC로부터 멀어지는 이동 여부를 감시하는 감지부와 PC에 가까워지는 경우 그 PC의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도록 서버로 접근정보를 전송하고, 감지부를 통해 이동이 감지되면 그 PC의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시키도록 이탈정보를 전송하는 이동정보 보고부와 접근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키고, 이탈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며, 서버에 처리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는 휴대용 단말기가 접속된 서버와 실시간으로 접속되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명령을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그 처리 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비활성화명령을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하고, 서버로부터 활성화명령을 수신대기하고, 수신시 데이터 처리부를 활성화하는 권한상실 처리부와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경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전송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PC로의 접근정보를 수신하면 휴대용 단말기에는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명령을 PC에는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PC에서 멀어지는 이탈정보를 수신하면 PC에는 비활성화명령을 휴대용 단말기에는 활성화명령을 전송하는 권한제어부와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수신한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처리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PC에서 편리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시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PC 사용환경에서는 PC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어 연속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가 접근된 PC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로그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PC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접근된 PC의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접근된 PC의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접근된 PC의 마우스를 이용한 패턴 형태의 접근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접근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접근된 PC의 마우스와 결합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택일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C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100), PC(200)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3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는 서버(300)와 무선 접속이 가능한 3G(3rd generation), 4G(4th generation) 형식의 휴대폰, PDA, 스마트 폰일 수 있다. PC(200)는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로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서버(300)와 접속된다. PC(200)는 인터넷이 가능한 데스크탑, 노트북(laptop), 키오스크(kiosk),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는 실시간으로 서버(300)와 접속할 수 있다.
또한, PC(200)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다수의 컴퓨터일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는 서버(300)와 접속되며 그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다가 주변의 PC(200)방에 들어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컴퓨터를 통해서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200)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PC(200)를 통해 편리하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대상은 반드시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 간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다른 휴대용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제어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 또는 IPTV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권한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전자기기와의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적 실행이 가능하다.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에는 서버(300)가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서버(300)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는 애플의 아이폰 OS, 구글의 안드로이드, 노키아의 심비안, 삼성전자의 바다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애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영체제와 PC(200)의 운영체제가 다른 경우에는 버전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비록 단말기에 따라 버전이 다른 경우에도 실행되는 내용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지도검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다가 PC(200)로 애플리케이션 설정권한이 변경되면, 곧바로 구글 싸이트를 통해 지도를 검색할 수 있다. PC(200)의 운영체제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영체제가 다른 경우에도 각 운영체제별 애플리케이션 버전이 다르므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이동 중에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아바타가 나타나 사용자의 일정관리 등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앱 스토어 등에서 아바타의 옷을 구입할 수도 있다. PC(20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던 아바타가 그 PC(200)의 바탕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이동하게 되면, PC(200)의 바탕화면에 존재하던 아바타는 다시 휴대용 단말기(100)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통신부(101), 감지부(103), 이동정보 보고부(105), 데이터 처리부(107), 메모리(109)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01)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브로(WiBro), 와이파이(Wi-Fi) 등의 통신모듈일 수 있다. 통신부(101)는 서버(300)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01)는 데이터 처리부(107)와 이동정보 보고부(105)와 연결된다.
감지부(103)는 G센서(Gravity Sensor), 자이로센서일 수 있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직선방향으로의 단위시간 당 속도 증감비를 파악하거나 단위시간 당 휴대용 단말기(100)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03)는 이동정보 보고부(105)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가 정지 상태에서 이동을 하거나,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는 움직임을 보이면 이러한 이동정보를 이동정보 보고부(105)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의 다양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패턴인식에 활용할 수 있다.
이동정보 보고부(105)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연산모듈일 수 있다. 이동정보 보고부(105)에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PC(200)로 접근하는지, PC(200)로부터 이탈하는지를 판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이동정보 보고부(105)는 감지부(103)와 통신부(101)와 연결될 수 있다. 감지부(103)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움직임의 내용을 분석하여, PC(200)로 접근 또는 이탈 여부를 결정한다. 감지부(103)는 서버(300)에 분석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접근정보를 통신부(101)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정보 보고부(105)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상실한 이후, 일정시간 정지해 있다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동이 감지되면 이를 PC(200)로부터 이탈하는 이탈정보로 인식하고 서버(300)에 보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 상실 후 1분 동안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동여부를 판단하지 않다가, 그 이후의 일정 속도 이상의 움직임은 PC(200)로부터 멀어짐을 인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연속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정보 보고부(105)는 카메라 모듈(도시되지 않음), 음성녹음 모듈(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근하는 PC(2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음성녹음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근하는 PC(2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녹음하여 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PC(200)로의 접근정보를 이용하여, PC(200)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에 택일적인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하다.
데이터 처리부(107)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CPU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나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데이터 처리를 하기 위해 CPU의 처리속도는 1GHz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한 서버(300)로부터 인증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07)는 통신부(101)와 메모리(109)와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07)는 통신부(101)를 통해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입력받고, 휴대용 단말기(100)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200)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에 애플리케이션이 선택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7)는 메모리(109)에 데이터 처리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부(101)를 통해 서버(300)로 데이터 처리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결과로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있어서, 현재 진행 중인 데이터 처리상황이나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당시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PC(200)로 또는 그 반대의 경우로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권한이 변경된 경우에도 애플리케이션이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근된 PC(200)의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400a)를 획득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가 PC(200)의 바탕화면에 생성된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400a)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정보는 서버(300)로부터 부여한 식별자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데이터 처리한 접근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PC(200)로의 접근했음을 인식하고, 해당 PC(200)의 접속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바코드의 형태로는 단순히 숫자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는 막대형 바코드뿐만 아니라 숫자 정보와 문자 정보를 모두 저장할 수 있는 QR 코드의 형태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PC(200)의 바탕화면에 생성되거나 본체에 인쇄된 QR 코드를 촬영한다. 이를 서버(300)로 전송하게 되면, QR 코드에 저장된 정보가 서버(3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0)의 애플리케이션 권한 인증에 대한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PC(200)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410)이 설치될 수 있다. 해당 아이콘(410)을 클릭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430)가 팝업된다. 이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실행준비 단계로 서버(300)로부터 권한인증을 기다리게 된다. 휴대용 단말기(100)가 서버(300)로 접근정보를 전송하면, 서버(300)는 이를 통해 해당 PC(200)의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PC(200)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의 택일적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접근된 PC(200)에서 접속되는 웹 사이트의 로그인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접근된 PC(200)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로그인이 필요한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웹 사이트에 QR 코드 형태의 식별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된 QR 코드를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이를 서버(300)로 전송하면 해당 PC(200)로의 접근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웹사이트의 접속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해당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로 해당 웹 사이트의 QR 코드를 촬영하고, 이와 함께 해당 웹 사이트의 로그인 정보를 함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QR 코드에는 해당 웹 사이트의 URL 주소와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된 PC(200)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전송받은 서버(300)는 QR 코드에 포함된 PC(200)로의 접근을 인식하고, 해당 웹 사이트의 로그인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웹 사이트에 별도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도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서버(300)에 웹 사이트 로그인 정보를 미리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300)는 전송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웹 사이트의 QR 코드를 전송받음으로써 그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PC(200)에서 실행 중인 웹 사이트는 새로고침이 되어 로그인된 상태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가 PC(200)로부터 이탈하는 이탈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하면, 서버(300)는 PC(200)에서 로그인된 상태로 실행중인 웹 사이트를 로그아웃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그 밖에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이탈 보고가 없더라도 일정 시간 로그인된 웹 사이트의 윈도우 창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로그아웃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그인된 웹 사이트이 사용자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PC(200)에 생성되는 식별정보는 PC(200)의 바탕화면, 바탕화면의 트레이 또는 PC(2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접속화면에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PC(200)와 서버(300) 간에는 미리 세션을 주고 받는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휴대용 단말기(100)로 PC(200)의 식별정보를 촬영하여 서버(300)로 전송하면, 서버(300)는 접속된 PC(200)와 세션과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식별정보의 세션을 매칭을 시도한다. 이 경우, 매칭이 되는 PC(200)가 있으면 그 PC(2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로그인이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근된 PC(200)의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400b)를 획득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C(200)는 스피커(210)를 통해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영역의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400b)를 생성할 수 있다.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400b)는 일정한 주기동안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해당 초음파를 녹음기 모듈을 통해 이를 녹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0)의 애플리케이션 권한 인증에 대한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일정시간 동안 근접한 PC(200)의 초음파를 녹음하여 이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데이터 처리한 접근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접근정보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기(100)가 PC(200)로의 접근했음을 인식하고, 해당 PC(200)의 접속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서버(300)는 이를 통해 해당 PC(200)의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PC(200)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의 택일적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근된 PC(200)의 마우스(230)를 이용한 패턴 형태의 접근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하는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PC(200)의 마우스(230)와 동일한 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해당 PC(200)로의 접근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근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접근된 PC(200)의 마우스(230)와 결합하는 예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PC(200)의 마우스(230)에 올려진 상태로 마우스(23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감지부(103)에 의해 패턴을 인식하고, 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동시에 마우스(230)를 통해 입력된 패턴이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전송한 패턴과 PC(200)가 전송한 패턴을 매칭하여 일치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명령과 함께 해당 PC(200)의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PC(200)의 마우스(230)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패턴 형성은 반드시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서버(300)는 일정한 구역 안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입력되는 PC(200) 및 마우스(230)의 패턴 입력을 비교하여, 접근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접근정보로 판단된 경우에는 해당 PC(200)로의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0)의 애플리케이션 권한 인증에 대한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접근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PC(200)의 키보드(250)를 이용한 키 입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바탕화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410)을 클릭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430)가 팝업되어 권한 인증을 위한 번호 입력을 요구하게 되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식별번호인 전화번호, 기기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PC(200)로의 접근을 알리는 키 입력 형태의 접근정보(400d)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접근된 PC(200)의 키보드(250)를 통한 키 입력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100)에서의 키 입력을 통해 이를 전송하면, 서버(300)는 키 입력을 비교하여 접근된 PC(20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PC(200)의 키보드(250)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키 입력을 통해, 아이디/패스워드(ID/PW)를 입력함과 별도로 앞서 설명한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 제스쳐 동작에 의해 패턴 형태의 식별정보를 추가적으로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권한설정시 2중 보안이 이뤄지게 된다. 이를 통해, 서버(300)의 애플리케이션 권한 인증에 대한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200)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C(200)는 통신부(201), 데이터 처리부(203), 권한상실 처리부(205), 정보 생성부(207), 하드디스크(209)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1)는 인터넷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통신부(201)는 무선, 유선으로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서버(3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03)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03)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실행에 대해 제어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통신부(201)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하드디스크(209)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이에 대한 각종 처리결과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03)는 통신부(201)를 통해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203)는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된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애플리케이션 실행정보는 하드디스크(209)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PC(200)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에 택일적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03)는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로그인을 실행할 수 있다. 이는 PC(200)의 바탕화면 또는 PC(2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접속화면에 생성되는 식별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촬영하여 서버(300)로 전송하면, 서버(300)는 접근된 PC(200)에서 실행되는 웹 사이트 등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을 자동으로 실행하게 된다. 이 경우, 식별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정보와 함께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권한상실 처리부(205)는 통신부(201)와 데이터 처리부, 정보 생성부(207)와 연결될 수 있다. 권한상실 처리부(205)는 통신부(201)를 통해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비활성화 명령은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명령이므로, 권한상실 처리부(205)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와 접속된 서버(300)의 지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의 제어가 가능하다.
권한상실 처리부(205)는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정보 생성부(207)를 통해 PC(2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에는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이 수신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201)를 통해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수신하면, 데이터 처리부(203)를 활성화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207)는 PC(2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207)는 모니터, 스피커(210) 등을 이용하여 생성된 식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식별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코드 형태, 초음파 형태, 패턴을 형성하는 제스쳐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가 PC에 접근한 경우에는 접근정보를 이용하여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의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제어하는 서버(300)는 통신부(301), 권한 제어부(303), 데이터 처리부(305), 데이터 베이스(307)를 포함한다. 통신부(301)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각종 PC(200)와 접속할 수 있다. PC(200)와는 유무선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와는 인터넷 전화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권한제어부(303)는 통신부(301)와 데이터 처리부(305), 데이터 베이스(307)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301)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접근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권한제어부(303)는 접근정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가 특정 PC(200)로의 접근을 판단하고, 접근정보로부터 PC(200)의 접속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01)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 간에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을 각각 전송하게 된다. 권한제어부(303)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PC(200)로의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키도록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알리는 이탈정보를 수신하면, PC(200)의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키고, 휴대용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명령을 전송한다.
한편, 권한제어부(303)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PC(200)의 바탕화면 또는 PC(2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접속화면에 생성된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PC(200)와 세션 매칭을 하여 매칭이 되면, 그 PC(2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로그인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300)는 식별정보와 함께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특정 PC(200)에 접근시킨 후, 식별정보를 촬영하여 서버로 보냄으로써,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별도의 인증 없이도 자동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05)는 서버(300)의 데이터 베이스(307)에 저장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의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 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PC(200)로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나 PC(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서버(300)와의 접속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러나 서버(400)와 휴대용 단말기(100)는 항상 연결될 필요는 없으며, 접속정보, 이동정보 전송시에만 일시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데이터 처리부(305)는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PC(200) 중 어느 하나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이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담당한다. 데이터 처리 결과는 데이터 베이스(307)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05)는 실행 단말기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PC(200)로 변경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 연속적인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게 된다.
인증부(도시되지 않음)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로부터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에 각각 식별자를 보낼 수 있다. 해당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정보가 인증부로 전송되면, 인증부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근접한 PC(200)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인증정보로는 실행하고자 하는 PC(200)를 통한 아이디/패스워드 입력과 PC(200)에서 생성되는 고유의 식별정보,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0)의 애플리케이션 권한 인증에 대한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택일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100), PC(200)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300)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는 서버(300)와 접속하게 된다(1001, 1002). 먼저 서버(300)가 휴대용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부여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다(1001, 1003).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와 서버(300)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만, PC(2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다(2003).
다음으로, 휴대용 단말기(100)가 PC(200)로 접근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접근되는 PC(200)부터 PC(2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획득하게 된다(1007). 휴대용 단말기(100)에 탑재된 카메라, 녹음기 모듈을 이용하여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식별정보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데이터 처리하여 접근정보를 생성한다(1009). 생성된 접근정보는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1011). 서버(300)는 접근정보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에 동시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과 관련된 명령을 전송한다.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 명령을 전송하고, PC(200)에는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전송하게 된다(1013, 2007).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PC(200)로 실행권한이 변경되게 된다. 휴대용 단말기(1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고, PC(2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다(1015, 2009). 다음으로, 서버(300)와 PC(200)간에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관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2011).
다음으로, 휴대용 단말기(100)는 PC(200)로부터 이탈하는 이탈신호가 감지되면, 이를 서버(300)로 보고하게 된다(1017).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이탈신호가 수신되면 휴대용 단말기(100)에 다시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PC(200)에는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1019, 2013).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PC(2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 된다(1021, 2015). 이 경우,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1023).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휴대용 단말기
101 :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부
103 : 감지부
105 : 이동정보 보고부
107 :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부
109 : 메모리
200 : PC
201 : (PC의) 통신부
203 : (PC의) 데이터 처리부
205 : 권한상실 처리부
207 : 정보 생성부
209 : 하드디스크
210 : 스피커
230 : 마우스
250 : 키보드
300 : 서버
301 : (서버의) 통신부
303 : 권한 제어부
305 : (서버의) 데이터 처리부
307 : 데이터 베이스
400a :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
400b :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
400c : 패턴형태의 식별정보
400d : 키 입력 형태의 식별정보
410 : 애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430 :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Claims (22)

  1. PC가 접속된 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PC로부터 멀어지는 이동 여부를 감시하는 감지부;
    상기 PC에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PC의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서버로 접근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PC의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시키도록 이탈정보를 전송하는 이동정보 보고부; 및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가 접근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가 이탈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상기 서버에 처리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는,
    상기 PC의 바탕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를 촬영하여, 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데이터 처리한 접근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PC로의 접근을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는,
    상기 PC에서 발생되는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를 녹음하여, 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데이터 처리한 접근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PC로의 접근을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는,
    상기 PC의 마우스와 동일한 움직임의 패턴을 생성하며,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접근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PC로의 접근을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는,
    상기 PC의 키 입력 또는 마우스의 특정 아이콘 클릭에 대응하여 일정시간 내에 키 입력 또는 마우스의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며,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접근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PC로의 접근을 보고하는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는,
    상기 PC의 바탕화면 또는 상기 PC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접속화면에 생성된 식별정보를 촬영하고, 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PC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자동 로그인 권한을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7. 휴대용 단말기가 접속된 서버와 실시간으로 접속되며, 상기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명령을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그 처리 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비활성화명령을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활성화명령을 수신대기하고, 수신시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활성화하는 권한상실 처리부; 및
    상기 권한상실 처리부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비활성상태에서 상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를 바탕화면에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비활성상태에서 상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비활성상태에서 상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일정한 키 입력을 식별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비활성상태에서 상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동일한 움직임의 패턴을 식별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
  13. PC와 휴대용 단말기와 실시간으로 접속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PC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PC로의 접근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명령을 상기 PC에는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PC에서 멀어지는 이탈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PC에는 비활성화명령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활성화명령을 전송하는 권한제어부; 및
    상기 권한제어부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수신한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처리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접근정보를 수신시 이를 분석하여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제어부는,
    상기 PC의 바탕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데이터 처리한 접근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제어부는,
    상기 PC에서 발생되는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데이터 처리한 접근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PC의 마우스를 통해 입력되며,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동일한 패턴 형태의 접근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제어부는,
    상기 PC로부터 설정된 키 입력 또는 특정 아이콘의 클릭이 있은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며, 설정된 키 입력 또는 패턴 형태의 접근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PC의 바탕화면 또는 상기 PC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접속화면에 생성된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PC와 세션 매칭을 하여 매칭이 되면, 상기 PC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로그인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20.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
    상기 PC로의 접근시 접근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지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PC로부터 이탈시 이탈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의 지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방법.
  21.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접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지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지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개시하는 명령을 수신 대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에서의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방법.
  22.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C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PC로의 접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PC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개시하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PC로의 이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개시하고, 상기 PC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도록 명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00104914A 2010-06-30 2010-10-26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c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137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2949 2010-06-30
KR1020100062949 2010-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97A KR20120002397A (ko) 2012-01-05
KR101137971B1 true KR101137971B1 (ko) 2012-04-20

Family

ID=4560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914A KR101137971B1 (ko) 2010-06-30 2010-10-26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c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892B1 (ko) * 2015-11-06 2017-05-02 원준희 비콘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로그인과 출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61B1 (ko) * 2013-07-03 2014-04-21 주식회사 퍼플즈 초음파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시스템
KR101445228B1 (ko) * 2014-05-07 2014-09-29 주식회사 나인트리 휴대 단말의 자세를 이용한 유효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779A (ko) * 2005-11-28 2007-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65158A (ko) * 2007-01-08 2008-07-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090070022A (ko) * 2007-12-26 2009-07-01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인스턴트 메신저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버와 단말 장치간 접속 관리 장치및 방법, 및 그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779A (ko) * 2005-11-28 2007-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65158A (ko) * 2007-01-08 2008-07-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090070022A (ko) * 2007-12-26 2009-07-01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인스턴트 메신저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버와 단말 장치간 접속 관리 장치및 방법, 및 그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892B1 (ko) * 2015-11-06 2017-05-02 원준희 비콘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로그인과 출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97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5170B1 (en)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EP2836957B1 (en) Location-based access control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552614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339288B2 (en) User authentication for mobile devices using behavioral analysis
US112376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configuration and behavior control by proximity enabled devices
KR20200132942A (ko)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빠르게 열기 위한 방법, 및 단말
WO2015055095A1 (en)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8475304B (zh) 一种关联应用程序和生物特征的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N107465997A (zh) 蓝牙连接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5201203A (ja) 入力パスワードを検証する方法およびパスワード検証装置、並びにパスワード検証装置を含む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TW201516913A (zh) 移動終端的手勢支付控制方法
CN106372479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395289B1 (ko) 인터넷을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의 서버 인증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증장치
CN105808042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1137971B1 (ko)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c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제어방법
TW201533602A (zh) 基於動作偵測之作業啟始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CN105700810A (zh) 信息交互方法和装置
CN107231338A (zh) 网络连接方法、装置以及用于网络连接的装置
JP2017182242A (ja) 認証システム、携帯端末、情報処理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59782B1 (en) Accessibility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CN109033806A (zh) 身体信息分析装置的数据设定方法
US10936710B1 (en) Interaction based posture assessment
KR20140094990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다중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514535B1 (ko) 퍼스널 컴퓨터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20032911A (ko)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입력 영역의 속성을 조절하는 단말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