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576B1 -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576B1
KR101136576B1 KR1020090071159A KR20090071159A KR101136576B1 KR 101136576 B1 KR101136576 B1 KR 101136576B1 KR 1020090071159 A KR1020090071159 A KR 1020090071159A KR 20090071159 A KR20090071159 A KR 20090071159A KR 101136576 B1 KR101136576 B1 KR 101136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weight
composition
salt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617A (ko
Inventor
전현철
전원찬
전병균
Original Assignee
전현철
전병균
전원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철, 전병균, 전원찬 filed Critical 전현철
Priority to KR102009007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57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암염과 정제염의 높은 염화나트륨의 함량으로 불안해하는 우리와 이웃나라 및 지구촌에 염화나트륨의 함량이 낮고 미네랄이 풍부하고, 해독 방부의 기능이 일반 소금보다 월등하게 높은 새로운 기능성 소금을 조성하여 세계인의 입맛에 합당한 대중적 월드 향미를 목적으로 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는 천일염 또는 함초분, 법제 유황, 구연산, 천년 초 또는 백년초, 또는 알로에 하나 또는 2 ~ 3가지 혼합물, 채소류,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지장 수를 원료로 하는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이다.
또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좋은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 (2) 조성물 및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3) 가루 천일염을 생성하는 단계, (4) 지장 수를 생성하는 단계, (5)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6) 점액질 과육을 생성하는 단계,(7)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8)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9)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0)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1) 냉동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2) 상온 숙성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3)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14) 포장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법제(먹을 수 있도록 가공하는 제법), 천일염 또는 함초분, 구연산, 과채류농축액(과일과 채소의 농축액), 법제 유황(식이 유황)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 지장 수,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

Description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Composition The Sweet Sulfur Salt}
본 발명은 기능성 소금을 조성하는 것으로 소금은 상온의 물에 35중량%의 수용성이 있고, 수분이 증발하면 주변의 물성을 흡수하여 같이 결정체를 이루는 결집성을 가진 화합물로, 신맛?쓴맛?매운맛?단맛이 서로 혼합하여 새로운 맛을 내는 것을 우리는 짠맛이라 하는 소금으로, 소금은 생명을 이여가는 귀중한 보물로 소와 같고 금과 같다 하여 소금으로 부르는 염소와 나트륨의 화합물로 소금에는 오미가 있고, 이와 같은 오미는 사람의 오감에 작용하여 음식물의 기호성을 높이는 향미의 기능과, 생명을 유지하는 생체적인 기능과, 건강을 증진하는 면역기능과, 살균 방부의 기능과,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복합 상승의 기능을 가진 소금, 즉 천일염에 염화나트륨의 함량을 낮추고, 새로운 미네랄을 첨가하여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새로운 향미의 새로운 조성물로 새로운 용도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하는 것으로 짠맛이 줄어도 음식물의 맛을 상승케 하는 기능을 가진 소금을 조성하는 기술분야, 소금의 특수기능인 해독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 소금을 조성하는 기술분야, 소금의 특수기능인 대사촉진 기능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가진 소금을 조성하는 기술분야, 배뇨 배변의 기능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가진 소금을 조성하는 기술분야, 칼슘을 보충하고 흡수를 촉진하여 성인병을 예방하는 기능을 가진 소금을 조성하는 기술분야, 피부의 조직과 조직을 서로 결집하여 부드러운 피부를 촉진하는 기능을 가진 소금을 조성하는 기술분야, 소금의 일반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복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에 의하여 새로운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음식의 맛을 내는 조미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미용과 즐거운 삶의 위한 건강증진의 새로운 기능이 상승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에 의한 기호성을 가진 새로운 복합 조성물을 조성하여 발효식품(유황 간장, 유황 된장, 유황 고추장), 각종구이, 찌개, 나물무침, 육류(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생선류)의 조미 소금, 음식물의 향미를 개선하는 등의 용도에 따라 입자를 차별하여 분쇄하는 기술분야다.
본 발명은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단계별 기술분야는, 좋은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조성물 및 혼합생성물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가루 천일염을 생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지장 수를 생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점액질 과육을 생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혼합생성물을 생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냉동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상온 숙성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포장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분야다.
소금의 결집과 녹는 성질을 이용하는 기술, 수용액을 조성하는 기술,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 가온 냉각의 기술, 건조 기술, 분쇄기술, 선별의 기술, 포장의 기술 및 천연 유기 유황 M S M(Methyl Sulfonyl Methane)을 조성하는 기술을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을 조성하는 배경기술이다.
음식의 맛과 향의 과학적 기능과 조화에 의한 기호의 미치는 변화로 염화나트륨과 나트륨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근본 기술적 과제로 하여, 웰빙 문화에 적합한 새로운 소금 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하여 현재 우리가 직면한 염화나트륨의 문제를 돌출하면, 우리가 즐거이 먹는 라면의 수프는 정제염, 쇠고기 맛 베이스, 육수 맛 조미 베이스, 정 백 당, 볶음 양념 분, 간장 분말, 분말 된장, 양파 풍미 분, 돈 골 조미분말, 향미 증진제, 후추 추출 분말 등을 대표적인 원료로 사용하고 있고, 정제염 2 내지 4g을 넣어 향미를 보강하는 것으로 직접 투입하는 정제염 외에도 쇠고기 맛 베이스, 육수 맛 조미 베이스, 정 백 당, 볶음 양념 분, 간장분말, 분말 된장, 양파 풍미 분, 돈 골 조미분말, 향미 증진제, 후추 추출 분말 등에 M S G(L-글루탐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있고, 이 속에도 염화나트륨과 나트륨의 있다는 사실은 알고 라면을 즐기는 사람은 극소수의 사람이다.
세계보건기구의 나트륨 권장은(1968㎎) 1개의 라면을 먹으면 하루의 섭취량을 초과한다는 것을 아는 사람도 극소수로 염화나트륨 함량을 낮춘다면 성인병을 예방하여 국민 건강에 직접 기여하는 것이 된다.
우리의 식생활 속에 있는 염화나트륨 함량 및 M S G(L-글루탐산나트륨)의 함량으로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대표적인 한국음식은 칼국수로 한 그릇에 2900㎎ 이 포함돼 있고, 가락국수, 라면 2000㎎, 물 냉면 1800㎎, 된장찌개 950㎎, 참치 김치찌개 900㎎, 배추된장국 750㎎(한 그릇 기준) 등 국과 찌개 종류에 나트륨이 많이 들어있고, 우리 식생활에는 나트륨의 원인인 소금(염화나트륨)만이 아니라 M S G(L-글루탐산나트륨)로 향미를 도우는 것으로도, 문제의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다.
반찬 종류. 자반(고등어) 찜 1500㎎(한 토막), 배추김치 10조각 1000㎎/100g, 김밥 650㎎/한 줄, 멸치볶음 650㎎/15g, 돼지불고기 600㎎/등심 50g, 동치미 600㎎/한 그릇 등이 순서대로 기록했고, 패스트푸드 종류는 피자 한 조각 200g/1300㎎, 더블버거 1개 200g/900㎎, 햄 3조각 60g/ 800㎎, 롤케이크 2조각/ 500㎎의 나트륨이 함유하고 있다.
한국인의 나트륨 주요 공급원은 김치다. 한국인의 1일 나트륨 섭취량을 100%로 가정할 경우 김치를 통한 섭취가 30% 수준이었으며, 된장, 간장 등 장류가 22%이고, 소금의 직접 섭취가 17%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자료에 의하면 염화나트륨의 함량과 나트륨의 함량을 낮추는 것은 성인병을 직접 예방하는 결과로 국가가 부담해야하는 의료비의 지원을 낮추는 경제적인 효과는 더욱 크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맛의 기능과 조화를 과학적으로 연구분석(페이지 69 내지 74 맛) 하여 음식물의 기호성을 소금의 짠맛 외에 다른 맛으로 향미를 높이는 맛의 기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과제, 생명유지에 필요한 생체적인 기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과제, 건강증진과 면역기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과제, 살균 방부의 기능과, 칼슘을 보충하고 흡수를 촉진하는 기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과제,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복합 상승의 기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 짠맛이 줄어도 음식물의 맛을 상승하는 기능의 기호를 가진 소금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 소금의 특수기능인 해독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 소금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 소금의 특수기능인 대사촉진 기능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가진 소금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 배뇨 배변의 기능을 상승시키고 피로회복을 촉진하는 기능을 가진 소금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 피부의 조직과 조직의 서로 결집력을 높이고 부드러운 피부를 촉진하는 기능을 가진 소금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 칼슘의 흡수를 촉진하고, 혈액의 응고를 저지하여, 소금의 일반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복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에 의하여 새로운 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음식의 맛을 내는 조미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미용과 즐거운 삶의 위한 건강증진의 기능적 상승과 대중적 월드 향미에 의한 기호성을 가진 새로운 복합 조성물을 조성하여 발효식품(유황 간장, 유황 된장, 유황 고추장), 각종구이, 찌개, 나물무침, 육류(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생선류)의 조미 소금, 김의 향미를 개선하는 등의 용도에 따라 입자를 차별하여 분쇄선별하는 기술적 과제 등을 해결하고자 과제로 단계별 독립된 공정을 선정하여 조성물의 조성순서에 따른 단계별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독립된 기술을 아래와 같이 구분하여 설정하고 단계와 단계를 하나의 축으로 연결하여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시합니다.
본 발명은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을 조성하는 독립된 단계의 기술적 과제는, 좋은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조성물 및 혼합생성물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가루 천일염을 생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지장 수를 생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점액질 과육을 생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혼합생성물을 생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냉동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상온 숙성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포장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를 포함하는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목적에 부합하는 조성물을 조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기술적 단계를 구성하고, 과제별 목적과 방법을 공정의 단계별로 독립된 기술을 설정하고, 설정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아래와 같이 제공합니다.
제1공정은 좋은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
나트륨과 염소의 화합물인 천일염 또는 함초분을 선정하여, 한해이상 가마니에 담아 저장한 소금으로 미네랄이 풍부하고 염화나트륨의 함량이 80% 이하의 갯벌에서 채취한 천일염과 함초는 건조하여 분말을 선별하고, 사람의 생명을 유지하는 필수원소로 조직을 결집하는 접착기능과, 인슐린 호르몬의 끈을 이어주는 기능과, 배뇨 배변 촉진 기능과, 살균정화해독작용의 기능이 비교 우위의 효과가 있고, 현대 의약품의 1/4에 원료로 사용하면서 성인의 몸무게의 0.2%로 즉 140g를 차지하는 쓴맛을 가진 유황으로 미네랄을 보충하는 기능과 소금의 독성을 중화하는 해독의 기능을 가진 첨가물로 선정하고, 식용할 수 있는 식이 유황(Natural Sulfur)을 선별하고, 설탕보다 강한 단맛을 가지고 고열에도 단맛을 유지하는 특성을 가진 천연감미료인 스테비오사이드를 식이유황의 기능과 소금의 향미를 개선하는 첨가물로 선정하고, 순도 30% 이상의 칼로리가 적은 것을 선별하고, 섬유성 단백질의 일종으로 세포와 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사람 몸의 장기를 감싸는 막, 관절연골, 눈의 각막, 뼈와 피부 등에 주로 존재하는데 특히 뼈를 구성하는 칼슘 접착제로서의 기능과 주름의 원인이 되는 피부 속 진피 층을 구성하는 요소로 유황과 결합하여 기능을 상승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콜라겐을 선정하고, 탈취가 잘된 것으로 동물성 콜라겐을 선별하고, 고등동물의 물질대사에서 직접 관여하면서, 혈액응고를 억제하는 기능과, 피로회복 촉진 및 체내의 칼슘이 흡수를 촉진하고 새콤한 숙성된 신맛을 가진 구연산을 식이유황의 기능과 소금의 향미를 개선하는 첨가물로 선정하고, 검은 곰팡이를 발효하여 얻은 구연산을 선별하고, 칼슘을 다량 함유하는 토종 선인장 천년 초 또는 백년초 또는 알로에 하나 또는 천년 초, 백년초, 알로에 2 내지 3가지 혼합물을 칼슘증가와 식이 유황의 기능과 소금의 향미를 개선하는 첨가물로 선정하고, 천년 초 또는 백년초 또는 알로에의 과육을 선별하고, 철 따라 생산한 신선한 채소 류에서 후추, 겨자잎, 고추냉이, 발효 흑 마늘, 고추, 후추 또는 겨자잎 또는 고추냉이 또는 고추와 혼합한 것, 중 한가지 또는 2가지를 혼합한 채소류를 추출 농축한 농축액을 소금과 식이 유황의 기능상승과 향미를 개선하는 첨가물로 선정하고, 순도 65 내지 80%의 농축액을 선별하여 유황 성분을 흡수 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과 좋은 황토와 순도 99% 식용 알코올을 선정하고 선별하여 지구촌의 대륙과 지역과 문화와 용도에 따라 성분과 향미를 가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다.
제2공정은 조성물 및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조성물 및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로 조성물은 가루 천일염 또는 함초분 40 내지 94중량%, 구연산 혼합수용액 15 내지 1중량%,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 15 내지 1중량%,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 10 내지 1중량%,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 10 내지 1중량%, 채소류 혼합수용액 5 내지 1중량%, 콜라겐 혼합수용액 5 내지 1중량%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조성물과 상기의 조성물을 조성하기 위하여 생성하는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은 생 황토 가루 50 내지 5중량% + 정수 50 내지 95중량%를 혼합하여 지장 수를 생성물을 생성하고, 지장 수 1 내지 99중량% + 알코올 99 내지 1중량%를 혼합하여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구연산 1 내지 99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를 혼합하여 구연산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천년 초 또는 백년초 또는 알로에를 과육 1 내지 99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를 혼합하여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채소류농축액 1 내지 99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를 혼합하여 채소류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스테비오사이드 0.1 내지 10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9 내지 99중량%를 혼합하여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콜라겐 0.1 내지 99.9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9 내지 0.1중량%를 혼합하여 콜라겐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는 것과, 식이 유황 0.1 내지 99.1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1 내지 0.1중량%를 혼합하여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조성물 및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다.
삭제
제3공정은 가루 천일염을 생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하여 선별한 천일염 또는 함초분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소금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균일한 입자의 크기를 279㎛(50 메시) 내지 74㎛ =(200 메시)로 분쇄하여 가루 천일염 또는 함초분을 생성하는 단계다.
제4공정은 지장 수를 생성하는 단계,
청정지역의 햇빛이 잘 드는 황토의 표면 표토를 100㎝ 이상 제거하고 속에 있는 생 황토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3 내지 7일간 건조하여 건조 생 황토를 생성하고 건조 생 황토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볼 분쇄기로 넣고 279㎛(50 메시) 내지 140㎛(100 메시)로 분쇄하여 생 황토가루를 조성하고,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생 황토 가루 50 내지 5중량%를 넣고, 정수 50 내지 95중량%를 넣고 10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생 황토 수를 생성하고 옹기용기에 옮기여 12 내지 24시간 침전하여 위에 맑은 90%를 채취한 지장 수를 미네랄 보충과 소금의 독성을 중화하는 기능으로 조성하여 옹기용기에 담아 10℃ 이하의 저장고에 저장한 지장 수를 생성하는 단계다.
제5공정은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 혼합기로 조성한 지장 수 1 내지 99중량%, 알코올 99 내지 1중량%를 2 내지 3분간 혼합하여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다.
제6공정은 점액질 과육을 생성하는 단계,
천년 초, 백년초, 알로에 2 내지 3가지 혼합물을 천년 초 또는 백년초 또는 알로에를 구입하여 세척하고 잎 즉 가시를 제거하고 동력 3상 2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야채 절단기로 폭을 기준으로 5 내지 10㎜로 절단하여, 절단 천년 초, 백년초, 알로에 하나 또는 2 내지 3가지 혼합물을 생성하고, 동력 3상 2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파쇄 및 분쇄기(초 파기)의 출구 경을 1 내지 10㎜로 조절하고 절단 천년 초, 백년초, 알로에 하나 또는 2 내지 3가지 혼합물을 넣고 파쇄 분쇄하여 점액질의 천년 초, 백년초, 알로에 하나 또는 2 내지 3가지 혼합물로 표피의 푸른색의 층이나 푸른 선이 나타나지 않는 점액질 과육을 생성하는 단계다.
제7공정은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구연산 1 내지 99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를 넣고 2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구연산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제6공정의 점액질 과육 10 내지 9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0 내지 10중량%를 넣고 10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채소류농축액 1 내지 99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를 넣고 2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채소류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스테비오사이드 0.1 내지 1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9.9 내지 99중량%를 넣고 2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콜라겐 0.1 내지 99.9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9.9 내지 0.1중량%를 넣고 2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콜라겐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식이 유황 0.1 내지 99.1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9.1 내지 0.1중량%를 넣고 2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으로 지구촌의 5대양 6대주의 지역과 문화와 용도에 따라 성분과 향미를 가감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다.
제8공정은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구연산 혼합수용액 15 내지 1중량%,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 15 내지 1중량%,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 10 내지 1중량%,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 10 내지 1중량%, 채소류 혼합수용액 5 내지 1중량%, 콜라겐 혼합수용액 5 내지 1중량%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넣고 10 내지 40분간 혼합하여 구연산 혼합수용액,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액, 천년 초 또는 백년초 또는 알로에 또는 하나 또는 2 내지 3가지 혼합물의 과육 혼합수용액, 채소류 혼합수용액, 콜라겐 혼합수용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생성하고, 용기 또는 탱크에 넣고 30±5℃의 상온에서 1 내지 72시간 숙성발효를 하여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생성하고, 동력 3상 5마력으로 작동하는 디지털방식의 자동 유압착유기에 74㎛이하의 입자를 가진 여과 천을 깔고, 압착하여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의 이물질을 여과한 점액질 과육, 구연산, 식이 유황, 스테비오사이드, 채소류, 콜라겐이 혼합한 혼합조성물을 생성하고, 생성한 혼합조성물은 시고, 맵고, 달고, 쓴맛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향미의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다.
제9공정은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숙성발효 혼합조성물과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가루 천일염 또는 함초분을 넣고 10 내지 40분간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10공정은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이중파이프 가온 건조기(도 3)에 동력 3상 5마력 1 내지 60rpm으로 회전하는 지름이 10 내지 100㎝, 길이 100 내지 500㎝를 원칙으로 하나 지름과 비례하여 2000㎝로 하고, 온도 40 내지 65℃ 이하로 증기, 전기, 액상 집 열을 매체를 사용하여 가온한 이중파이프 통속의 수직에 가까운 스크루에 주입하여 1 내지 5분간 회전통과하면서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가온시키는 것으로, 가루 소금의 조직의 표면을 녹이는 것과 천일염 혼합물의 조직을 부드럽게 하는 가온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고, 2차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이중파이프 통속의 온도만을 105 내지 120℃로 상승시키어 가온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스크루에 주입하고, 1 내지 5분간 회전통과하면서, 온도상승으로 가루 소금의 결집력과 점액질 과육과 콜라겐의 응집력에 의한 혼합결정을 생성하여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면서 건조하는 방법과 3차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파이프 통속의 온도만을 120 내지 150℃ 이하에서 1 내지 5분간 회전통과하면서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건조하는 것으로, 목적과 용도 및 용량에 따라서 1차 또는 2차 또는 같은 방법으로 4 내지 6차까지 처리하여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온도는 150℃ 이하의 온도로 가온하여 유황과 구연산 및 콜라겐의 성분과 기능의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온도보다는 시간을 가감하고, 증기의 출구를 통제 미네랄의 손실을 방지하여 좋은 품질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11공정은 냉동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냉동 건조기(도 3) 동력 3상 5마력 1 내지 60rpm으로 회전하는 지름이 10 내지 100㎝, 길이 100 내지 500㎝를 원칙으로 하나 지름과 비례하여 2000㎝로 하고, 냉매를 사용하여 온도 영화 0 내지 15℃로 냉동한 이중파이프 통속의 수직에 가까운 스크루에 주입하여 1 내지 5분간 회전통과하면서, 냉각 냉동에 의한 표면을 경화 및 건조로 냉동 건조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냉동 온도를 영화 20℃ 이상으로 하여 혼합조성물을 동결을 방지하는 것과,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서 제10공정과 제11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연결 단일화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냉동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12공정은 상온 숙성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냉동 건조 혼합조성물을 20 내지 40℃의 온풍 건조실 다단 건조대에 1 내지 2㎝ 높이로 적재하여 5 내지 30시간 숙성 건조하여 혼합조성물의 표면의 이취를 제거하고 혼합조성물의 조직의 결속을 강하게 하는 숙성 건조로 상대습도 60% 이하를 유지하여 숙성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13공정은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상온 숙성 건조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분쇄 및 선별기에 넣고, 식이 유황,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차비 신(Chavicine), 시니그린(sinigrin), 갑사이신(capsaicin) 등의 함유성분과 목적과 용도에 따라서 라면 수프용, 통닭 조미용, 생선구이용, 불고기 조미용, 환자식(고혈압, 당뇨) 조미용, 운동 및 훈련, 작업, 등반 전후 염분 보충용, 볶은 밥 조미용, 발효식품(유황 간장, 유황 된장 유황 고추장)의 조미용, 국 또는 찌개 조미용, 어린이 식사 조미용, 미용 세안용으로 입자의 크기를 279㎛(50 메시) 내지 74㎛=(200 메시)로 구분하여 분쇄하여 선별하는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14공정은 포장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분쇄선별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분말 자동주입기로 1 내지 5,000g 또는 5 내지 10㎏씩 은박지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사각 또는 스틱 주머니 또는 지퍼 주머니와 방습 마대 용기에 방습제 한 개씩 넣고, 방습으로 포장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사용한 원료의 기능적 특성과 사람에게 미치는 영양과 조성물에 효과를 구분하여, 가. 조성물의 효과, 나. 조성물에 사용한 원료의 기능적 특성과 호환에 의한 기능의 상승을 제공하므로, 가. 의 효과를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
가. 조성물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효과는 일반소금의 피해를 줄이는 새로운 조성물로 나트륨의 함량을 낮추고 다양한 미네랄이 풍부한 새로운 기능성을 소금으로 적은 량도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는 쓴맛이 없고, 매운맛이 조화된 새콤달콤한 향미를 가지는 최초의 새로운 소금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일반 천일염보다 20 내지 25중량% 적게 넣어도 기호성이 상승하고, 법제 유황성분을 0.1 내지 0.2% 함유하는 기능성 소금으로 나트륨의 함량을 낮추는 효과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일반 천일염의 맛, 짠맛과 비교하여 완전히 다른 새로운 향미의 소금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짠맛을 바탕으로 하는 오미의 기능성 소금으로 음식 조리시 편의와 숙성의 향미를 나타나게 하는 조리의 효과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유황과 구연산과 스테비오사이드와 채소류에 의한 오랜 숙성된 새콤한 향과 새콤달콤한 향미를 나타내는 특성은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라면 수프용)을 육류 및 어류 등의 고기를 먹을 때 사용하면 유황, 후추,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의 복합혼합 기능적 특성 즉 새콤달콤한 향미로 입 속에 충분한 침을 분비하여 위산의 분비를 촉진하는 것을 느끼고, 소화를 촉진하는 효과는 본 사람은 관능검사 10명 중 8명으로 확인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발효식품용)을 생성에 뿌려 구이를 하면 생성 전체가 새콤달콤한 숙성된 향미를 나타내고 구이 때 거북한 생성구이 냄새가 줄어드는 것을 경험한 결과를 관능검사 10명 중 7명이 확인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오미를 조절하여 소금의 일반 피해 나트륨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원료가 각각 다른 오미를 가지는 결과로 본 발명의 좋은 원료의 선택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갯벌에서 채취한 천일염에 부족한 유황을 첨가하는 기능성으로 법제유황 소금으로 유황, 구연산에 의한 일반 소금의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유황과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에 의한 향미로 암염과 정제염을 사용하는 여러 나라에 수출로 외화를 획득하는 것과 최고의 기능성 소금으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효과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음식물의 기호성을 높이는 향미의 기능 즉 새콤달콤한 소금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유황에 의한 해독 및 생명을 유지하는 생체적인 기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조성한 것은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살균 방부의 기능과, 천년 초에 의하여 칼슘을 증가한 조성물을 조성하는 효과는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황토에 의한 새로운 미네랄을 함유하는 효과는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짠맛이 줄어도 음식물의 맛을 상승하는 새콤달콤함을 가지는 효과는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을 5g을 180㏄의 온수에 타서 2회 마시면 배뇨 배변이 촉진된다는 결과를 관능검사 10명 중 8명이 확인한 배뇨 배변이 촉진 기능적 효과는 봉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을 운동, 등산, 노역 전후에 마시면 피로회복이 빠른 것으로 건축 현장 근로자 10명에게 100g씩 10명에게 지급 9명이 피로회복의 기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효과는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을 발효식품(유황 간장, 유황 된장, 유황 고추장), 각종구이, 찌개, 나물무침, 육류(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생선류)의 조미 소금, 김의 향미를 개선하는 등의 다양한 용도를 가지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을 천년 초, 백년초, 알로에에 의하여 유황을 흡수 열에 기화를 방지하게 하는 기술은 유황 소금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사업성이 높은 조성물의 효과는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소금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오미를 바탕으로 한, 단맛과 새콤한 맛과 매운맛의 향미를 가지는 특성은 짠 소금의 잠재적 이미지를 탈피하는 새로운 발상에서 출발한 진보적 효과는 본 발명의 혼합과 숙성에 의하여 향미의 조화와 기능의 상승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차별의 효과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식을 조리할 때 잠재적 습관으로 사용하는 일반소금의 량보다 적은 량을 사용해도 복합된 조화에 의한 향미로 기호성은 높아지고 나트륨의 함량을 줄어드는 효과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일반소금과 차별화된 사회에 기여하는 효과다.
본 발명의 사회적인 간접적 효과는 기호를 창조하고 도우는 맛은 짠맛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단맛 또는 새콤한 맛 또는 매운맛으로 음식의 기호를 상승시키어 나트륨의 섭취를 억제하여 사회적 효과를 제공하여 고객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게 하는 효과는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도 3과 같이 파이프 속에서 결집 건조 냉동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는 특수관계로 성분의 손실을 방지하여 투입하는 원료의 미네랄을 최종 조성물 회수하는 기술은 산업화의 경제성을 나타내는 기술성으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 수프용과 발효식품용을 각각 1000g 제공하고, 일주일 동안 사용한 다음에 시중 천일염 가격을 비교하여 소금에 용도에 따라 구매의사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은 표5와 같다.
Figure 112009047355265-pat00001
상기의 관능실험은 성인남녀 15명씩 합계 30명에게 질문에 대답한 것을 종합하여 나타낸 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외관적 특성에 의한 관능 시음결과는 표6과 같다.
Figure 112009047355265-pat00002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성된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 농수산물을 가공하여 수출하는 상품의 경쟁력을 높이어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효과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나. 원료의 기능적 특성과 사람에게 미치는 영양 등.
1. 유황(Sulfur).
주기율표 제6B족에 속하는 산소족 원소. 원소기호 S, 원자번호 16, 원자량 32.066, 녹는점 112.8℃(α), 끓는점 444.7℃, 비중 2.07(α), 오래전부터 그 존재가 알려져 온 황은 고대에는 황을 태워 그 연기에 쐬어서 소독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 후 의약 또는 화약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유황은 직접 사람이 먹을 수 없는 광물질로 법제라는 과정을 통하여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우리와 친숙한 유황 오리가 여기에 속한다.
약 40년 전에 펄프 제지 공장에서 근무하는 과학자가 리그닌(lignin) 즉 산소가 함유된 복합유기물질로 셀룰로오스와 함께 목재를 이루는 주성으로 리그닌을 연구하는 중에 황의 원형체인 D M S O와 동일한 형태를 만들어 내는 것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D M S O가 유황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소나무에서 법제 된 유황이라는 것을 알고 연구를 지속하여 냄새를 탈취한 무독의 백색분말을 조성하여 이것을 천연 유기 유황(Methyl Sulfonyl Methane) M S M, 이라는 칭하는 식용유황을 조성했다.
천연 유기 유황(Natural Sulfur) 특성.
1. 유황은 질병치유의 오랜 역사가 있으며 광물질 유황은 만병을 물리친다는 천하의 명약으로 알려진 금단(金丹)의 주원료로 쓰여 왔을 만큼 그 약성이 매우 강하다.
생체건강의 초대의 적이 되는 중금속, 화공약품 각종 농약 등의 공해물질의 오염에서 해방될 수 있는 신비한 해독(解毒)작용을 가지고 있어, 이 유황이야말로 21세기의 필수 영양제라고도 한다.
2.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대체의학 병원에서는 유황을 항암제, 염증치료제, 통증완화제, 류머티스성 치료제, 우울증치료제, 피부 경화 치료제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3. 유명한 영양학자 칼 파이 퍼 박사는 유황이 생체에 필수영양소라 하였고 C.미첼 박사는 생체정화 및 해독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했다.
또한,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페니실린(Penicillin), 돌부타미드, 설파민, 페노티아진(Phenithiajine), 등에는 상당히 많은 유황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조미료, 감미료, 표백제, 비료, 염료, 농약 등에도 유황성분이 이용되고 있는 사실을 볼 때 우리 생활에 여러 면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우리 몸에도 생체원소로서 수소(H), 산소(O), 질소(N), 유황(S), 나트륨(Na) 등 14종의 원소들은 주체적인 것들로서 그중 유황은 8번째로 비율을 차지하고, 특히 뼈나 피부, 머리카락에 많이 분포되어 있어 이로 인한 결핍으로 대머리, 손톱발톱의 각질화, 피부의 노화 등이 일어나게 되는 원인 물질이기도 하다.
5. 각종 암을 유발시키는 유해물질인 활성산소로 인해 건강한 세포를 손상시켜 노화와 치명적인 암을 유발하는 독성이 강한 히드록시 레디 칼의 공격으로부터 D N A를 보호해주는 글루타티온과 세포를 활성화하고 종양을 괴멸시키는 면역세포 T N F를 증강하는 큰 역할을 이 유황성분이 한다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실험결과 그 효능을 발표하기도 했고, 뿐만 아니라 김치, 된장, 간장, 치즈, 요구르트, 등은 유황 아미노산인 메치오닌(Methionine)에 의해 발효된 결과물이다.
6. 생체의 표피층이 켈라틴(Keratin) 단백질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주성분인 유황 아미노산 시스테인(Cystine)이 맡아 피부에 누적된 유해물질을 정화 해독해주는 작용과, 또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 콜라겐(Collagen)의 기능성에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이 콜라겐 분자에 직접 관여하는 효소를 구성하는 여러 아미노산을 유황성분이 붙들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Beauty Mineral로 불릴 만큼 그 효능이 매우 크다.
7. 마늘 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황성분은 탁월한 해독작용이 있어 생선회를 먹을 때에 겨자와 함께 섭취하는 것도 음식물 중에 들어있는 독을 제거하고 살균을 위한 목적이고, 이와 같이 파와 마늘에는 다량의 유황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각종 염증제거와 살균작용을 하고 장을 자극하여 체내의 유독가스와 노폐물을 배출하고 만성적인 숙변을 제거하여 몸 안을 깨끗이 한다.
8. 정자를 살린다. 유황은 인체의 '생명의 칩'이라 할 수 있는 세포 속의 세포인 미토콘드리아에 불을 지펴 주는 에너지원이다. 정자 구조를 살펴보면, 정자의 중간 부분의 섬유 초에는 전기 코일을 감아 놓은 듯한 미토콘드리아 나선이 치밀하게 감겨 있다. 이 섬유 초 속의 미토콘드리아 나선에 불을 지펴 주는 원소가 유황이다.
만약 정자 섬유 초의 미토콘드리아가 공해 독으로 인하여 상처를 입게 되면 정자는 기형화되고, 정자의 활동력은 떨어지고, 물론 정자의 수도 감소하고, 공해 독으로 인하여 손상된 정자의 세포를 치료해 주어 죽어 가는 정자를 살리게 하고, 나아가 유황은 정자의 활동력을 증강하고, 환경 호르몬으로부터 정자를 보호한다.
9.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및 혈전 분해 작용으로 유황은 혈관 벽을 좁히는 주요인이 되는 콜레스테롤과 과산화 지질을 분해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유황은 뇌 혈전 등 성인병의 주원인이 되는 핏덩어리인 혈전을 녹이는 신비한 성질이 있다.
10. 뼈 강화 작용으로 유황을 장복하면 뼈가 튼튼해지고 골수가 충만하게 된다. 신농본초경에서는 유황은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고, 탈모를 방지한다. 라고 쓰여 있다.
신정(腎精)을 충만케 하는 유황으로 유황이 신(腎)에 작용하게 되면 신정(腎精)이 충만하게 되어 뼈가 튼튼해지고 골수가 충만하게 된다. 실제로 오리에게 유황을 6개월 이상 먹인 유황 오리의 뼈는 유황을 먹이지 않은 일반오리의 뼈보다 훨씬 단단하여 좀처럼 깨지지 않는다.
11. 염증 제거와 살균 작용으로 유황은 염증을 삭히고, 살균력이 강해 수술 환자가 복용하게 되면 통증이 완화될 뿐만 아니라 수술 자국이 덧나지 않고 속히 새살이 돋게 된다.
12. 이뇨 및 변비 억제 작용 유황은 대장(大腸)을 자극하여 체내의 유독 가스와 숙변을 빼고, 온몸의 노폐물을 배출하여 몸 안을 깨끗이 청소하는 작용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이뇨제로 유황 아미노산인 하이드로크로로티아지드(hydrochlorothiazide) 4가 쓰이고 있는 것도 그런 까닭이다. 따라서 유황은 변비, 숙변을 제거해 주고 이뇨 작용이 뛰어나다.
13. 유황은 피부병 치료제로 자주 사용되어왔다. 또한, 피부병에 걸리면 비방의 하나로 유황 온천을 찾았다. 젊음의 징표는 탄력성이다. 유황은 피부의 조직과 조직을 서로 결집(S-S)하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그래서 피부에 탁월한 탄력성을 유지시켜준다. 피부에 누적된 유해 물질을 신속히 정화, 해독시켜 준다.
또한, 세포조직의 활성화로 검버섯과 기미 등이 엷어지며 피부 미백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가 깨끗해진다. 1달 ~ 2달 사이에 확실히 다른 피부를 경험할 것이다.
14. 당뇨병을 다스리는 유황으로 인슐린 호르몬의 끈(S-S)을 이어주는 유황으로 인슐린 호르몬은 유황성분 없이 합성될 수 없다. 당뇨병 치료제톨부타미드(tolbutamide) 5의 주성분으로 들어가는 유황이다.
15. 우리 몸 안에는 해독력이 아주강한 유황 아미노산인 메탈로티오네인이 존재하고 있다. 메탈로티오네인은 포유동물의 경우 61개 ~ 62개의 많은 아미노산으로 엮어져 있는데, 군데군데 시스테인 유황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이 시스테인을 이루고 있는 일부 원소인 -SH이 여러 중금속과 이온결합 하는 특성이 있다. 결국, 메탈로티오네인 단백질은 중금속과 잘 결합하여 몸 안의 중금속의 독성을 중화시키는 한편 독성이 혈액이나 뼈에 침투되지 않도록 재빨리 오줌으로 배설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 밖에 우리 몸속에는 글루타티온(Glutathione. C10H17N306S) 유황 아미노산과 쓸개즙에 들어있는 해독작용을 하는 타우린(NH2CH2CH2SO3H)이라는 아미노산이 있다.
16. 천연 유기 유황의 작용으로 피부 미백, 부드러움, 기미, 탄력성(주름 탄력성) 및 피부 각질 제거 식물성 유황(천연 유기 유황/ Natural Sulfur)은 피부 조직의 기능성(주름 탄력성)에 깊이 개입되어있다.
17.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원소 중에는 유황이 있다. 유황의 필수아미노산인시스틴(Cystine), 시스테인(Cysteine), 메티오닌(Methionine)이 있고, 그 외 티아민(Thiamine), 비오틴(Biotin), 리포산과 같은 비타민이 일부 유황 화합물에 속한다. 이중 메티오닌은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식품으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에 속한다.
18. 의약제품의 1/4의 유황 성분으로 의학 박사 C. 미첼은 “유황 화합물의 생물학적 작용”이라는 책자에서 유황의 정화(淨化) 해독(解毒)작용이 수천 년간 알려져 왔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의약 제품의 1/4의 유황을 포함하고 있다. 라고 역설했다.
19. 피부조직(콜라겐)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는 유황은 젊음의 징표는 피부의 탄력성이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는 탄력성을 잃고 쭈글쭈글해 져 간다. 피부가 탄력성이 있느냐? 그렇지않느냐는 진피 층인 콜라겐의 기능성에 있다. 그래서 화장품 중에서도 가장 비싼 화장품이 콜라겐 기능성 화장품이다.
그럼 피부 조직에 탄력성을 주는 콜라겐(Collagen)과 유황 성분과의 관계를 알아보자. 콜라겐(Collagen) 분자는 사람의 몸속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단백질로써 3중 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어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 콜라겐 분자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콜라게 나아 제라는 효소가 있다. 이 콜라게 나아 제를 구성하는 여러 아미노산 사슬을 마치 풀처럼 끈끈하게 엮어 주는 것이 유황이다.
다시 말하면 유황은 피부의 조직과 조직을 결집(S-S)하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그래서 콜라겐 기능적 작용에 의하여 피부가 탄력성을 유지하게 된다.
피부조직(케라틴 - 표피)에 침착된 유해 물질을 해독시켜 주는 유황 예로부터 광물질 유황은 피부병 치료제로 자주 사용되어 왔다. 또한, 피부병에 걸리면 비방의 하나로 유황 온천을 찾았다. 피부는 인체의 외부와 내부 조직을 연결하는 통로로 자연 환경 조건에 따라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따라서 날로 심화하는 환경오염 속에서 피부 조직에 누적되어 가는 공해 독, 유해 물질을 해독시키는 것이 피부 건강의 선행 조건이다. 그것은 케라틴(Keratin) 단백질 구조의 주성분인 유황 아미노산 시스테인(Cystine)이 맡고 있다.
따라서 유황 성분은 피부 조직의 케라틴(Keratin)기능을 더욱 향상시켜 주어 피부에 누적된 유해 물질을 신속히 정화, 해독시켜 준다.
20. 21세기는 유황의 시대가 될 것으로 학자들은 주장하고 있고, 유황 캡슐이 항암제, 해독제, 근육통 치료제, 통증 완화제, 항우울제, 염증 치료제, 피부 외용제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특히 유황을 주성분으로 하여 개발한 콜라겐, 영양 크림, 클린저, 스킨, 보디로션, 샴푸 등 유황 화장품이 선풍적인 인기를 모으고 있다.
21. 유황은 인체 내에서 생리적 작용을 보면.
첫째, 유황은 통증 완화 작용이 강하다. 둘째, 유황은 염증을 삭히는 작용이 강하다. 셋째, 유황은 물질을 운반하는 성질이 강해 피부, 인체의 세포막 깊숙이 투과되어 약성을 발휘한다. 넷째, 유황은 혈관을 팽창시키고, 피의 흐름을 증강하는 작용이 강하다. 다섯째, 유황은 노화 방지 및 장의 연동 작용을 회복시켜 변비를 신속하게 회복시킨다. 여섯째, 유황은 결합한 형체 조직을 이루는 성분으로 콜라겐(Collagen)의 교차 결합 과정을 변화시켜 빠르게 흉터 조직을 감소시킨다.
22. S M의 발견(천연 식이 유황) -1930년 구(舊)소련 주코프박사 -1963년 제이콥 박사가 D M S O (Dimethyl Sulfoxide) 임상실험 결과를 발표함으로써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23. 유황의 종류로 광물성 유황은 화산이나 지진 또는 유황온천과 같이 지하에서 표출된 토 유황으로 담황색을 나타낸다. 동물성 유황은 흔히 웅담이라고 일컫는 곰의 쓸개(돼지의 쓸개도 마찬가지)나 우황청심환의 주성분인 소의 담즙, 사향노루의 배꼽주변에서 채취한 사향을 말한다. 식물성 유황은 그 수를 헤아릴 수가 없지만 대표적인 것이 인삼 속의 사포닌, 같은 독특한 방향을 가진 채소나 약초 소나무 등을 들 수가 있다.
24. 유황온천(硫黃溫泉)은 물 1ℓ에 유황의 성분이 1㎎ 이상을 함유하는 온천을 유황온천으로 구분하고, 법제유황을 마시거나 목욕을 하면 혈액 중에 구루타치온(Glutathion) 즉 항 산화물질의 생성을 촉진시켜 비타민의 농도가 높아져 해독 기능이 항진되고 피부를 부드럽게 된다.
※1972년 제이콥 박사와 허슐러 박사가 오래 곤 과학대학에서 12,000명에 이르는 임상실험을 거처 눈과 같이 하얗고 냄새가 전혀 없는 천연 유기(식이) 유황(Natural Sulfur/ M S M)을 개발 선진국에서는 식품으로 또는 의약계통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2. 천일염(牛金 NaCl)
pH 7 내지 9 (중성), 모양은 정육면체, 무색투명, 100g의 물에 0℃에서 35.7g, 100℃에서 39.8g 녹는다. 녹는점 800.4 ℃, 끓는점 1,400 ℃, 비중 2.16 (20 ℃), 굴절률 1.5443이다. 녹는점 이상에서는 휘발성이 높고, 기체가 되면 NaCl 분자가 존재한다. 우리의 몸속의 세포 안에는 0.71%가 들어 있고, 하루의 소요량은 10 ~ 20g 꼭 필요하다.
지금으로부터 45억 년경에 생겨난 지구는 뜨거운 용암이 흘러내리는 바위에서 가스를 내뿜고 있었다. 바위 속에 섞인 산화나트륨과 수산화나트륨은 가스 속의 수증기로 염화수소와 부딪쳐 염화나트륨이 되어 하늘로 날아가 지구가 차츰 식으면서 수증기는 비가 되어 땅에 쏟아져 내렸는데 이때 함께 녹은 소금(염화나트륨)이 빗물과 같이 흘러서 커다란 웅덩이로 모였다. 그게 바로 바다이다. 바다에는 2.8%의 소금을 함유하는 것으로 지금으로부터 약 40억 년경에 일이다.
소금은 몸에 해로운 작용도 있지만 이로운 작용이 참 많다. 함부로 쓰거나 많이 쓰면 좋지 않지만. 제대로 알고 쓰면 생황에 무척 유용하며 때론 천하의 명약이 되기도 한다. 소금은 진정한 맛의 왕초다. 소금(牛金) 속에는 시고, 쓰고, 달고, 매운맛, 다 들어있다.
짜다는 말은 그런 오미(五味)가 잘 짜여 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을 확고하게 혼합하면 짠맛이 나온다. 그러니 음식에 소금만 잘 쓰면 그 어떤 양념도 필요 없다. 또 소금은 사랑이라는 에너지로 뭉쳐져 있어서 사기, 잡균, 세균이나 미생물이 번식할 틈을 주지 않으며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함없는 성질이 있다.
소금을 불에 태우면 노란 불꽃을 내면서 분해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노란빛은 7가지 빛 중에서 사랑의 빛이라 한다. 소금은 빛이고 생명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소금의 기능적 특성은 소금은 일류의 발전과 함께 인체의 미치는 기능적 특성이 증명된 것을 간추리어 설명하고자 한다.
소금에 포함된 염화나트륨의 농도, 곧 염도(鹽度)가 낮을수록 생명체에 유익한 소금으로 맛과 품질이 좋은 소금이고,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47 ~ 50% 정도일 때에는 염도와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미네랄과 효소 성분들이 조화를 이루어 소금의 짠맛을 별로 느껴지지 않고 쓴맛도 나지 않으며 은은한 단맛이 난다.
염화 나트륨의 농도가 60%가 넘어가면 미네랄의 농도는 적어지고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지나치게 많아져서 맛은 쓰고 짜며 독성을 지닌 소금이 된다.
순수염도 곧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낮을수록 질이 좋은 소금이고 높을수록 나쁜 소금이라고 할 수 있다. 소금의 성분 중에 나트륨(Na+)은 중금속을 비롯한 오염물질을 껴안는 특성으로 강한 흡착력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좋은 소금의 조건. 1. 짠맛이 적고, 단맛이 난다. 2. 물에 넣으면 빨리 녹는다. 3. 입자가 굵고 완전한 정육면체를 이룬다. (한 면의 길이가 5㎜ 이상). 4. 발효식품에 사용하면 오래 두어도 잘 쉬어지지 않고 곰팡이가 없다. 5. 무게가 가볍고 빛깔이 희고 맑다. 6. 산소를 많이 품고 있다.
나쁜 소금의 조건. 1. 몹시 짜고 쓴맛이 난다. 2. 물에 잘 녹지 않는다. 3. 입자가 적고, 결정체가 세모, 직사각형 등 일그러지나 깨어짐. 4. 발효식품에 사용하면 쉽게 상한다. 5. 무게가 무겁고 빛깔이 불투명하고 딱하다. 6. 산소를 조금 품고 있거나 없다.
소금의 기능적 가치. 소금에서 중요한 것은 염화나트륨 곧 짠맛 성분이 아니라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수십 가지 종류의 미네랄이다.
바닷물에는 모든 생명체의 근본 생명력이 되는 물질인 미네랄과 효소들이 균일하게 녹아 있다. 그러므로 바닷물을 말려서 만드는 소금에는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온갖 미네랄과 무기물 효소들이 그대로 응축(凝縮)되어 있다. 소금을 먹는다는 것은 바닷물을 마시는 것과 같다. 사람의 양수는 바닷물과 같다.
소금은 만드는 방법에 따라 활인 영약이 될 수 있고, 살인 독이 될 수 있다. 바닷물 속에는 무서운 독극물과 중 금속류도 있기 때문이다. 소금의 염도가 낮은 소금일수록 생명체의 활성과 면역력을 높이고 생기를 완성하게 하는 죽어가는 세포를 살리는 역할을 한다. 소금은 생체의 해로운 미생물을 죽이고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산소의 공급을 도우는 일을 한다.
소금의 제조. 소금은 염전의 소금물의 온도가 16 ~ 17℃일 때에 염화나트륨 농도는 가장 낮고 미네랄 성분은 가장 높은 소금상태로 응결한다. 18℃ 이상 염전의 온도가 올라가면 바닷물 속에 있는 중금속 독소 등이 온도에 영양을 받아 소금 원소 중심으로 엉겨 붙어서 독성을 가지는 소금으로 무정형의 강한 짠맛과 쓴맛을 가지는 소금이 된다. 즉 염화나트륨은 47 ~ 50% 미네랄이 53 ~ 50%의 소금이 생체에 우수한 소금이 된다.
좋은 소금은 저온에서 제조한 천일염으로 가마니에 담아서 서늘하고 바람이 잘 드는 곳에서 1년 이상 두면 무거운 간수는 아래로 흘러나오고, 산소를 많이 품은 좋은 소금이 된다. 천일염으로 제조한 소금은 80%가 염도이고 나머지 20%가 미네랄이다.
소금이 약이 되는 이유. 소금은 몸속에 제독, 소염작용, 정혈작용, 신진대사 등의 기능 촉진 및 배설, 살균, 방부, 생신(세포의 회복), 체질개선, 항균작용과, 해독작용으로는 한약재의 부자를 소금으로 법제 사용하는 것으로 제독의 효과가 있고, 아침에 소금을 마시면 변비가 생기지 않는 것과, 나쁜 음식으로 위 속이 괴로울 때 더운 소금을 마시면 즉시 토하게 된다.
소금의 일반성질. 화학기호: NaCl (분자량 58.45), 밀도: 2.16(겉보기 1.25 ~ 1.26), 비점: 1,400℃, 빙점 : -20℃, 융점: 800.8℃, pH: 7 ~ 9 (중성), 조해성 : 상대습도(경계) 75% 이상이 되면 나타남, 경도: 2 ~ 2.2 (1-부드러움, 10-단단함), 용해도: 35.6g/ 물 100g(0℃) 35.8g/ 물 100g(20℃)(30%), 혈중 염분농도 : 140mM(0.8% NaCl).
천일염의 평가. 최근 한 연구에선 한국산 천일염은 정제염보다 혈압을 훨씬 낮은 상태로 유지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이 때문일까. 최근 전 세계적으로 천일염 붐이 일고 있다.
소금의 효능에 대해 잘 모르는 일반인도 바닷물을 증발시켜 만든 천일염이 미네랄을 많이 함유할 것이라고 추측해 일반 소금과 구별 짓는다. 천일염의 경우 포장지에 특별히 Sea Salt, 또는 Mineral Salt라는 표시를 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소금은 프랑스 계랑드(Gerande) 소금이지만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에서 채취한 천일염은 계랑드 보다 미네랄이 2.5배, 칼슘이 1.5배 높다.
지구촌에 한해 소모하는 소금의 량은 2억 톤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중의 60%가 암염이 사용되고 있고 천일염, 정제염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천일염은 우리나라를 대표로 28만 톤 프랑스 2만 톤 포르투갈 7천 톤 정도로 집계되고 있다.
호주, 멕시코에서 등의 대규모 염전에서 생산하는 천일염은 전 세계 천일염의 37%를 생산하지만 1 ~ 2년에 1회씩 트랙터 등으로 대량 채취하는 것으로 염전의 바닥이 석회질로 오랜 건조기간을 통하여 채취하는 소금으로 연도가 97 ~ 98%로 암염과 비슷하다. 우리나라 갯벌에서 채취하는 천일염은 하루 1회씩 채취하는 소금으로 미네랄이 풍부하고 함량이 높다.
3. 함초분(鹹草, 鹽草)
학명 Saliconia herbacea L(퉁퉁 마디), 분포지는 우리나라 서해안의 염전 주변에서 8 내지 9월, 꽃의 색은 황록색으로 개화하고, 9 내지 10월에 결실기하고, 열매는 길이 2밀리미터이고, 지름 15밀리미터의 까맣고 둥근 열매이고, 높이는 10 ~ 30센티미터의 한해살이풀로 채취시기는 봄, 여름, 가을, 가공법은 날로 즙을 짜거나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낸다.
함 초(鹹 草)는 우리나라 서해안 개펄에 자라는 한해살이 풀로 우리말로는 퉁퉁 마디라고 부르며, 전체 모양이 산호를 닮았다 하여 산호초라고도 한다.
함 초(鹹 草)는 육지에 자라면서도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갖가지 미네랄과 효소 성분이 농축되어 들어 있다. 바닷물에는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 요도, 인 등 수십 가지의 미량 원소와 갖가지 독소와 효소로 녹아 있는데 함 초는 인체에 유익한 미량 원소와 효소를 흡수하면서 자란다.
바닷물 1톤 속에 1그램이 들어 있는 효소는 바닷물 속의 갖가지 유기질을 분해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함 초에는 이 바닷물의 효소가 다량 농축되어 있는데 이 효소가 사람의 몸 안에 쌓인 갖가지 독소를 없애고 숙변을 분해하여 몸 밖으로 배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육지에서 생육하는 수많은 식물 중에 함 초는 아연을 가장 많이 함유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고, 아연은 생식기의 기능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남녀의 기를 증진시키고 함 초의 수많은 유익한 성분은 성인병을 예방하는 기능이 있다.
함초분의 성분으로 표 1과 같다.
Figure 112009047355265-pat00003
4.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스테비오사이드는 국화과(菊花科)의 다년생(多年生) 초본인 스테비아의 잎에 들어 있는 성분으로 설탕보다 200 ~ 300배 단맛이 더 강하고 강한 열에도 단맛을 유지하는 특성을 가진 천연감미료로 원산지는 파라과이로 파라과이에서는 스테비아를 단 풀(kaah)이라 부르고 있으며 차, 커피, 홍차 등의 감미료로 이용하고 있다.
스테비아는 파라과이, 브라질 등 남미뿐 아니라 현재 중국, 태국, 대만 등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 때는 재배한 적이 있었지만 가뭄과 장마에 취약하여 지금은 스테비오사이드 생산에 필요한 원료인 스테비아잎을 중국에서 주로 수입하고 있다.
마른 스테비아 잎에는 스테비아가 3 ~ 8% 함유되어 있으며 단맛이 설탕과 유사하다. 스테비아 건 잎이나 정제하지 않은 추출액은 이미, 이취가 강하여 상품적 가치가 낮으므로 스테비아 잎을 뜨거운 물, 에탄올, 메탄올 등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정제하여 순도 높은 제품을 만든다. 그런데 순 품은 정제과정으로 인해 비용이 높아진다.
스테비오사이드는 비만 예방 및 치료, 충치예방, 당뇨환자의 감미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에 사용할 때는 칼로리가 없으므로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아이스크림이나 빙과류를 만들 때에는 설탕을 12 ~ 13% 첨가하는 데 이때 일부를 스테비오사이드로 대체해 주면 칼로리를 줄일 뿐만 아니라 청량감도 높일 수 있다. 어묵, 생선살 소시지, 조미건어물에 값비싼 솔비톨이나 인공감미료 사카린 대신 사용할 수 있으며 청량음료나 커피 또는 홍차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 간장 등에 첨가하면 구수한 맛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테비오사이드는 당이 아미노산과 일으키는 갈변 반응이 없어서 간장과 같은 장류의 가공에 적당하다.
스테비오사이드는 지금까지의 연구 조사결과 단맛은 있으나 부작용이 있었던 인공감미료와는 달리 아직까지 부작용이 드러나지 않은 안정성이 높은 천연감미료인 것 같다.
남미 원주민들의 경우에도 수백 년간 스테비아 잎을 말려 가루로 만들어 사용하였으나 안정성을 의심할 만한 일이 없었고, 또 일본에서도 만성 독성시험을 한 결과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천연감미료인 스테비오사이드가 인공감미료와 설탕을 대신하여 사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단맛의 향미에 비하여 1g의 열량이 4칼로리로 매우 낮다.
5. 콜라겐(Collagen)
교원질(膠原質), 아교 질이라고도 하고 녹는점 돼지 콜라겐 44℃ 전후, 생선(도미) 33℃ 전후이고, 힘줄(tendon), 인대(靭帶), 진피(眞皮)의 결합 조직 층, 상아질, 연골조직 등에 있는 단백질이다.
장력(張力)이 크고 탄력이 적은 흰색의 섬유성분으로 콜라겐 섬유가 모여서 지름이 수백㎛나 되는 섬유 다발을 이룬다.
각각의 콜라겐 섬유는 더 가는 원(原) 섬유로 나누어지고 원 섬유는 또다시 더욱 가늘고 규칙적인 줄무늬가 있는 미세 원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콜라겐은 물에 잘 녹지 않는 단백질인 경질단백질(Albuminoid)에 속하며 아미노산 중 특히 글리신(glycine)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한, 단백질 가운데 유일하게 히드록시프롤린을 포함하며, 끓는 물에서 젤라틴으로 변한다.
콜라겐이라는 것은 원래 피부와 힘줄, 뼈, 연골에서 연결조직을 구성하는 단백질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콜라겐은 인간을 비롯한 동물의 체내에서 세포와 세포 사이를 메우고 있는 아주 중요한 섬유상태의 경단백질이다.
세포가 다수 집합되어 있는 부위에는 반드시 콜라겐이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피부, 뼈, 연골, 혈관 벽, 치아, 근육 등에는 콜라겐이 다량으로 존재하고 있다.
콜라겐은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콜라겐 및 그 변성 물질이 젤라틴을 섭취한 경우에는 다른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소화관 내에서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대부분 아미노산의 형태로 흡수된다.
콜라겐은 면역기능을 향상시키고, 세포의 재생작용을 촉진시켜 관절을 튼튼하게 해주며, 피부의 신진대사 활성화 및 보습유지를 통하여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뼈의 유기물 중 80%가 콜라겐이기 때문이다. 뼈는 콜라겐 섬유에 칼슘이 흡착하여 형성된다.
즉, 콜라겐 섬유가 철골과 칼슘을 콘크리트로 하여 뼈라는 구조물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철골(콜라겐 섬유)이 오래되면 콘크리트(칼슘)와의 결합력이 약해져서 건물(뼈대)이 붕괴한다. 마찬가지로, 콜라겐이 신선할 때는 칼슘 흡착률도 높지만, 콜라겐이 오래되면(노화) 흡착력이 떨어져서 뼈가 버석한 상태가 된다.
콜라겐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 중 무려 1/3을 차지하고 있으며, 몸 전체의 흐름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콜라겐이 있어 세포와 세포를 연결시켜 주며,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소가 콜라겐을 매개체로 각 세포에 전해진다.
또한, 노폐물도 콜라겐을 통해 혈관으로 운반되어 몸 밖으로 배출되는 바로 그것이다. 콜라겐을 먹으면 골밀도가 낮거나 관절이 약한 사람이 가장 먼저 그 효과를 느끼게 된다.
뼈의 유기물 중 80%가 콜라겐이기 때문이다. 뼈는 콜라겐 섬유에 칼슘이 흡착하여 형성된다. 즉, 콜라겐 섬유가 철골과 칼슘을 콘크리트로 하여 뼈라는 구조물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철골(콜라겐 섬유)이 오래되면 콘크리트(칼슘)와의 결합력이 약해져서 건물(뼈대)이 붕괴한다. 마찬가지로, 콜라겐이 신선할 때는 칼슘 흡착률도 높지만, 콜라겐이 오래되면(노화) 흡착력이 떨어져서 뼈가 버석한 상태가 된다.
나이가 들면 칼슘이 빠져나가 뼈가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칼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그 전에 콜라겐과 칼슘이 단단히 결합해야 한다는 사실 또한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렁뼈는 탄력을 유지하기 위해 수분을 많이 함유할 필요가 있는데, 그 역할을 하는 것이 이 물렁뼈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콜라겐이다. 콜라겐이 노화하면 수분을 함유하기 어렵게 되고, 물렁뼈의 마모도 빨라진다.
물렁뼈가 마모되면 딱딱한 뼈 끼리 부딪히게 되므로 뼈의 모양이 바뀌거나 통증을 느끼게 되며, 이것이 관절을 약하게 하므로 다양한 관절 증상을 유발하는데 약으로는 원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
콜라겐은 염류용액이나 에탄올에 불용성인 단백질을 모두 가리키며, 함유되어 있는 부위는 동물껍질의 콜라겐, 발톱이나 손톱, 뿔, 지느러미, 물렁뼈 등으로 동물의 외계를 보호하고 있으며, 결합조직은 근섬유를 포함하고 있거나 지방조직을 포함하고 있으며 근육과 다른 조직을 연결한 것으로 건(腱), 인대(靭帶), 근막(筋膜) 등입니다.
산, 알칼리, 효소의 작용을 받기 어려우나 장시간 가열하면 비가역적 변화를 일으켜 물에 용해(鎔解)되는 젤라틴(Gelatine)이 되어 글리신, 프롤린, 옥새프롤린 등의 아미노산 기를 가지게 된다.
몸속의 흐름을 만드는 콜라겐으로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소는 혈관을 통해 각 세포로 전해지는데, 모세혈관에서 나온 영양소는 콜라겐이 다리 역할을 해서 각 세포로 전해진다.
또한, 노폐물도 콜라겐을 통해 혈관으로 운반되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콜라겐은 몸 전체의 흐름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미용과 건강에도 꼭 필요한 물질이다.
6. 구연산(枸酸, citric acid, 시트르산).
무색의 결정성(結晶性) 유기화합물로, 카르복시산류의 일종으로 많은 동식물의 조직과 체액 속에 존재한다. 지방?단백질?탄수화물이 생리적 산화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변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화합물들 중의 하나이다.
구연산은 1784년 스웨덴의 화학자 카를 빌헬름 셜레에 의해 레몬 즙에서 최초로 분리되었으며, 공업적으로는 사탕수수나 당밀에 아스퍼길루스니게르 균으로 발효시켜 제조한다.
구연산은 당과나 청량음료의 향료, 금속연마제의 성분으로 쓰이며, 용해된 금속염의 유해 작용을 억제하여 식품이나 기타 유기물질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
화학식 C6H8O7. 많은 식물의 씨나 과즙 속에 유리상태의 산으로 함유되어 있다. 구연이란 시트론 citron의 한자명이며, 시트론을 비롯하여 레몬이나 덜 익은 감귤 등 감귤류의 과일에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서 연유한다.
영어명인 citric acid의 citric도 감귤류를 뜻하는 그리스어인 citrus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에서 결정시키면 한 분자의 결정 수를 지닌 큰 주상 결정이 생긴다.
가열하면 무수물(無水物)이 되는데, 이것은 녹는점이 153℃이다. 온도를 더 올리면 175℃에서 아코니트 산이 되고, 고온에서는 이타콘산 무수물이나 전위 생성물인 시트라콘산 무수물 및 아세톤 디카르복실산을 생성한다.
물, 에탄올에 잘 녹는다. 당류를 기질로 하여 미생물을 배양했을 때, 배양액 속에 시트르산이 축적되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시트르산 발효라 한다. 여러 배양방법이 연구되어 지금은 세계에서 생산되는 시트르산 총량의 90%가 이 발효법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시트르산 발효를 일으키는 미생물로는 보통 검정곰팡이가 사용되는데, 산성(pH 2 내지 3)에서 약 30℃, 7 내지 10일간 발효시키면 시트르산을 얻을 수 있다.
또, T C A 회로를 구성하는 한 요소로 시트르산은 고등동물의 물질대사에서 중요한 구실을 한다. 또한, 체내의 칼슘흡수를 촉진하는 작용도 알려져 있다.
용도로는 과즙, 청량음료에 첨가하거나, 의약품 배뇨(排尿)성 음료에 신맛을 내는 외에 분석시약으로도 사용된다. 또, 혈액응고에는 칼슘 이온이 필요한데, 시트르산은 칼슘 이온을 포착(捕捉)하므로 혈액응고저지제로 사용된다.
구연산의 일반 기능.
구연산의 가장 큰 역할은 피로 회복이고, 구연산이 우리 몸속의 피로물질을 씻어내는 능력은 무려 포도당의 10배에 달한다고 하고, 특히, 산성화되고 있는 현대인의 육류와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로 몸이 산성화된 것을 알칼리로 변화시키고, 구연산과 결합하면 칼슘의 흡수율이 높이는 것으로 임신 초기 많은 임산부가 너도 나도 신맛이 나는 과일을 찾는 것 역시, 칼슘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 본능적으로 구연산을 찾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구연산은 식품의 이상 발효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한 생성물과
반응해서 체외로 배설하는 역할도 겸하고 있어서 해독 효과도 있어요. 장 속의 나쁜 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장내의 살균성을 높여주어 내장운동을 부드럽게 해주기 때문에, 늘 아래 도리가 묵직한 만성 변비가 있는 분들은 구연산이 좋습니다.
7. 천년 초(土種 仙人掌 Opuntia) 또는 백년초.
학명이 Opuntia humifusa, 천년 초(千年 草)는 한국의 토종 손바닥 선인장으로 영하 40℃의 혹한과 얼음 속에서도 견디고 영상 50℃에서도 생명력을 키워나가는 지구에서 자생하는 식물 중 몇 안 되는 강인한 식물로 분류되며, 토종 선인장은 음지식물인 인삼이나 산삼과 달리 태양열과 빛을 가장 많이 흡수하며, 뿌리에서 삼 냄새가 난다고 해서 태 삼(太 蔘 관청에서 분류)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천년 초는 손바닥만 한 크기와 모양새가 있다고 하여 일명 손바닥 선인장(Opuntia humifusa)으로 불리는데 한국 특유의 토양에서만 자라는 한국 토종 선인장이다. 선인장은 대게 사막에서 나고 온몸에 가시가 돋쳐있는 모양새를 상상하게 되지만 지구상에는 4,000여 종의 선인장이 있으며 해발 4,000m 이상에서 자라는 선인장부터 영하 20℃에서 견디며 사는 다양한 선인장들이 있다.
그 중 천년 초는 봄, 여름, 가을, 겨울 4 계절이 뚜렷하고 황토와 모래가 섞인 땅에서 길러질 때 그 성분이 뛰어나다고 해 우리나라의 토종 선인장으로 불린다.
천년 초는 다년생 식물로 여름에 물을 가까이하여 성장번식하며 휴면기인 겨울에는 비닐하우스가 없는 노지에서의 영하 20℃ 혹한에도 얼어 죽지 않는 자생력을 가진다. 게다가 천년 초는 병충해에 죽지 않으므로 농약 등 제초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처음 종자 이식할 때에만 유기성 퇴비를 한번 사용할 뿐 화학 비료도 불필요하여 그야말로 자연 상태에서 수십 년 동안 그대로 재배 수확하는 친환경 유기농법에 의한 작물로 우리의 고향 농촌에 가장 적당한 토종작물이다.
천년 초에는 대표적으로 칼슘이 멸치의 7배, 식이섬유가 곡물과 채소의 각각 6배와 8배, 불포화지방산이 생선 중 가장 높은 고등어의 3배, 비타민C가 오렌지보다 무려 13배나 높은 수치를 함유하는 우리와 함께하는 토종으로 제주산 백년초와는 비교하면 육지의 토종 천년 초의 높은 수치를 새롭게 인정할 수 있다.
천년 초 토종선인장의 성분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s)가 5%로 월등히 높이 함유되어 있으며, 식이(食餌)섬유 48.5%를 함유하고, 비타민C가 240㎎/100g(2.4%)로서, 알로에 33.2㎎(0.33%)보다 무려 8배가량 높게 함유되어 있다.
무기질, 사포닌, 아미노산, 복합 다당류가 타 작물에 비해 높게 함유되어 있으며 우리 몸의 치아, 뼈 구성에 필요한 성분인 칼슘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주요 당류로서는 수크로스 68.7%, 프럭토스 18.0% 및 글루코오스 12.8%를 함유하고 있으며, 점 질(Viscosity) 다당류의 구성 성분인 만노스 0.5%가 포함되어 있다.
천년 초 토종선인장은 일반적으로 페놀성 물질과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식이섬유, 비타민C 칼슘, 무기질 및 아미노산, 복합 다당류 등으로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선인장 열매로부터 분리된 펙틴 성분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선인장(仙人掌) 열매는 적색의 베타라인(betalains) 색소(色素)를 함유(含有)하고 있는데, 이는 적색의 베타시아닌(betacyanins)과 황색의 베타 크산틴 (betaxanthins)으로 분류되며 안 토시 안의 적색 색소와 구별되는 천연색소로 알려져 있다.
천년 초 토종선인장은 대체로 그 성분 중에 점성이 강한 점 질(Viscosity)물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이들 점 질(Viscosity)물은 복합 다당제로서 혈액 내의 저밀도 지질 단백질이나 총 콜레스테롤 등의 함량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보습효과도 있어서 화장품 등에 이용되는 물질이다.
Figure 112009047355265-pat00004
Figure 112009047355265-pat00005
Figure 112009047355265-pat00006
토종 천년 초의 성분 중 후라보노이드(Flavonoid)에 기능적 효과는 성인병의 주원인이 되는 활성산소 포착 제거, 항산화 작용과 비타민C 작용 증대, 면역기능 (백혈구, 인터페론생성) 강화, 항균작용과 박테리아증식 억제, 혈액응고, 급성 간염 억제, 고혈압 및 당뇨성 백내장 등의 예방, 항염 등의 효과 등이다.
토종 천년 초의 성분 중 폴리페놀에 기능적 효과는 항산화, 항암(E G C G 폴리페놀의 종류) 작용, 항 돌연변이, 신체조직 복구 세포의 활성화, 노화방지, 심장병 억제 등이다.
천년 초는 피를 맑게 하는 작용과 해독작용이 뛰어나므로 관절염이나 당뇨가 있으신 분은 천년 초 생 줄기를 꾸준히 장복하시기를 권하며, 몸의 생명력을 높여 건강을 증진하고자 하시는 분이나 명상, 수행하시는 분의 피를 맑게 하여 맑고 밝은 정신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하는 분들에게도 천년 초의 생 줄기와 열매는 큰 효용이 될 것입니다.
천년 초 제품은 당뇨, 아토피 피부염, 순환기 장애, 각종 암, 난치병에 유효하다는 것이 많은 분들에게 알려져 있는 만큼, 치병을 위한 선약(仙藥)으로도 널리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천년 초 토종선인장은 비단 아스코르빈산의 근본일 뿐 아니라 이에 함유된 영양소는 내분비 계통에 특히 적합하다. 이는 췌장이나 간에 특히 이로운 물질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내분비샘의 원활한 기능은 적당한 혈당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수용성 섬유질 안에는 펙틴(Pectin)과 끈적끈적한 무기질 성분과 Gum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그것들은 소화기 계통에 도움을 준다. 이것들과 기타 영양학적 요소들이 내장에서 지방과 당분의 과다흡수를 방지하여 비만을 억제한다. 천년 초가 민간요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신체기관은 내분비샘과 신경 호흡기, 장 계통 기관이다.
따라서 천년 초 선인장이 목표로 하는 것은 혈당치를 조절하는 것과 분비샘, 간, 췌장의 영양학적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간과 췌장 두 기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다른 많은 건강상 이점이 생기고 있다.
천년 초 토종선인장 줄기에는 뼈와 치아 구성에 필요한 칼슘이 감, 다래, 딸기 등에 비해 무려 400배가량 들어 있어 임신 기나 갱년기, 성장기, 기능식품으로 안성맞춤이며 식욕 감퇴나 근육 경련, 과음에 복용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의 호흡기와 위염 및 위궤양에 대한 효과연구에서는 천식에 대해 현저한 이완작용을 보였고 항 위염 효과도 대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희대의 항 당뇨병 효과 연구에서는 식후 혈당치를 감소시켜 당뇨병에 의한 각종 합병증을 예방하는 차의 원료 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판정이 났다.
경성대의 항동맥경화 연구에서는 열매에서 고지혈증 개선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밝혀지는 등 그야말로 기적의 만병통치식물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다.
안전성은 서울대 천연물 과학연구소에서 임상실험 결과로 부작용에 대해 독성실험과 혈 핵 학적 시험에서 무해, 무독함으로 판정되어 심 순환계, 중추신경계, 자율신경계에 유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정성 있는 약초로 판명되었다.
천년 초 토종 선인장에 다량으로 함유한 칼슘(calcium)의 생체적 특성은 칼슘(calcium)은 주기율표 2A족에 속하는 알칼리토금속원소. 원소기호 Ca, 원자번호 20, 원자량 40.08, 녹는점 39℃, 끓는점 1480℃, 비중 1.55(20℃), 주요 산화 수는 +2, 입방 격자이다.
1808년 영국의 H. 데이비가 물로 혼합한 산화칼슘과 산화수은(Ⅱ)의 혼합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처음으로 은백색의 칼슘을 단리(單離) 하였다. 이 원소는 석회의 라틴어인 Calx에서 연유하여 칼슘으로 명명되었다.
생체와 칼슘(calcium)은 칼슘은 중요한 무기질의 하나로서 인체에 2% 정도 함유되어 있다. 골격 중에 99% 존재하며 나머지는 혈액 및 근육에 함유되어 있다. 골격 중의 칼슘은 인산염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마그네슘을 약간 포함하고 있다.
골격은 인체의 지주 적인 역할을 함과 동시에 칼슘의 저장고로서, 혈중 칼슘이 적어지면 골격 속에서 칼슘이 나와서 보급되며 또 여분의 칼슘은 골격으로 되돌아간다. 혈액 속의 칼슘은 대부분이 혈청 속에 존재하는데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혈청 칼슘의 대부분은 이온화되어 있어서 각종 효소작용 등에 관계하고 있다.
또 혈액의 응고성에 대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슘은 또 심근(心筋)의 수축작용, 근육의 흥분억제, 신경의 흥분에 대하여 진정시키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백혈구의 작용을 촉진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등 생리적으로 중요한 작용을 한다.
따라서 칼슘을 충분하게 섭취하지 않으면 뼈 속에 있는 칼슘이 혈액 안으로 대규모로 이동하고, 혈액 안으로 이동한 칼슘이 문제를 일으킨다. 뼈를 구성하는 칼슘이 과도하게 혈액으로 이동함으로 골다공증도 생기지만, 이동한 칼슘이 혈관의 중 막에 침투하여 혈관을 석 탄화시켜서 고혈압 또는 동맥경화를 가속화시키기도 하며 혈관 세포 또는 심근 세포 속으로 과도하게 유입하여 세포의 기능을 정지시켜 버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음식물 중 칼슘 섭취의 부족은 절대 혈액 중의 칼슘 수치를 낮추지 않는다. 즉 부족한 만큼의 칼슘을 뼈 속에서 녹여 내오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혈액 중의 칼슘 부족이 적당량, 필요한 만큼의 칼슘을 빌려 쓰는 것이 아니라 혈중 칼슘농도의 저하란 생명에 있어 중대한 긴급 상태이므로 갑자기 필요 이상의 많은 칼슘이 뼈 속에서 혈액 중으로 나오게 된다.
칼슘은 한국인에게 가장 부족한 영양소. 한국인의 칼슘 섭취량은 평균 500㎎ 정도로 성인 권장량 1200㎎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우유를 적게 마시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칼슘에 관해선 숱하게 많은 ‘설(說)’들이 떠돌아다닌다.
7-1 알로에(Aloe).
알로에는 백합과의 늘 푸른 여러 해 살이 풀. 잎은 칼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대롱 모양의 붉은 꽃이 겨울에서 봄까지 총상 꽃 차례로 피어납니다. 아프리카 희망봉이 원산지이고 즙을 달인 것은 약재로 쓰며 위에 좋습니다. 알로에는 현재 세계적으로 약 500여 종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중 6-7종이 약용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알로에의 종류는 이렇게 5천여 종에 이르지만 식용 및 피부 미용 효과로 쓰는 것은 크게 3가지로서 베라, 사포나리아, 아보레센스이며 백합과 중의 알로에 속에 속합니다.
1). 알로에 베라(Aloe vera)라는 말은 라틴어에서 진실을 뜻하는 말로서 고대인들이 가장 믿을 수 있는 약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일 것으로 해석됩니다. 잎이 두터우며, 길이는 50~60m이며 무게는 500g에서 1㎏가 넘는 것도 있습니다. 생명력이 강하여 뜨거운 햇볕에 뽑아 던져두어도 반년 이상 살 수 있습니다. 늦가을에서 봄 사이 긴 꽃대가 올라와 노랑 또는 주황색 꽃을 피웁니다. 줄기 밑 둥에서 새순이 돋아나 포기 번식이 잘되고 성장이 빠른 것이 특징입니다.
2). 알로에 사포나리아(Aloe saponaria) 사포나리아 이라는 이름은 인삼에 있는 성분 중 암을 억제하거나 죽인다는 [사포닌]이라는 성분이 많아 사포나리아로 불리며, 사포나리아의 뿌리를 으깨어 냄새를 맡아보면 인삼 냄새가 납니다. 원산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주와 트랜스발주 동부 지방에 분포합니다. 미국의 하와이주, 플로리다주에서 민간약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꽃은 적 등 색의 꽃을 피우며, 생 잎으로 쓰는 알로에 중 약성이 가장 순해서 알로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3). 알로에 아보레센스(Aloe arborsecens)아보레센스라는 말은 작은 나무 모양을 뜻하는 말에서 나왔습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목립(木立) 알로에 라고도 부릅니다. 원산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주와 트랜스발주의 동부와 북부 및 로디지아 등에 분포됩니다. 일본에서 민간약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알로에는 어느 것이나 60 ~ 80%의 공통적인 약성 분이 있다. 알로에는 다양한 치료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중 상처의 치유효과가 대표적이며, 그 외에 항균, 항바이러스, 항 궤양, 항알레르기, 항염증, 항종양, 작용 및 일반 대사성 질환 치료작용이 있습니다.
알로에의 효능은.
첫째, 알로에의 상처치유효과는 가장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온 효능이며, 현재에도 외부장기 및 내부 장기의 궤양 등 여러 종류의 상처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은 상처 주위의 세포, 세포주변의 기질 그리고 세포와 기질을 연결하는 매개물질이 관여하는 매우 복잡한 반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상처가 아물기 위해서는 상처 부위 세포의 재생(상처회복 과정) 및 새로운 조직의 형성을 통한 영양분의 공급(혈관 신생 과정) 및 새로운 조직의 형성을 통한 영양분의 공급(혈관 신생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즉 혈관생성의 촉진 기능이 뛰어납니다. 또한, 알로에의 탁월한 보습효과 및 멜라닌 색소형성 억제효과(알로에 내의 화이트 성분)는 피부보호 및 미용용품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둘째, 알로에는 간세포의 재생촉진 및 간암발생 억제효과가 있습니다.
셋째, 세포의 재생 및 증식유도 효과가 피부 또는 신체의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혈청의 지질과산화가 억제되어 그로 인한 질병의 발생률을 현저하게 저하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넷째, 최근 야외활동의 증가라든가 대기권의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에 대한 노출의 증가로 피부 세포의 손상 또는 피부암 발생 가능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습니다. 해수욕 등을 통해 자외선에 과다 노출되게 되면 인체의 피부면역기능에 손상이 일어나 면역능력이 정상치에 비하여 약 50% 미만으로 감소하게 되는데, 알로에의 다당류 성분이 면역능력이 신속하게 거의 정상치 수준으로 회복시켜 줍니다.
다섯째, 면역작용과 관련하여서는 알로에의 성분의 하나인 알프로젠이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여섯째, 알로에에서 추출한 프로키딘이라는 성분을 항암제인 시스플라틴의 항암효과를 전혀 저하하는 않으면서도 신장 기능 장애를 현저히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되었으며 프로키틴의 항암요법 보조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어 항암효과가 있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노회라고 부르는 건위제로 사용됩니다. 알로에에는 바르바로인 알로에 모징 알로 에닌 등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소염작용이 있으며, 특히 화상, 찰과상, 동상, 습진, 옻 등의 피부염에 뛰어난 효과를 보입니다.
목욕하면 보습작용에 의해 윤기 있는 피부를 만들 수 있으며, 극히 적은 양으로도 전신 건강과 미용에 대단히 큰 효과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습진, 무좀, 부인과의 질환이나 치질, 수족냉증에 좋은 아로인, 아로에메모딘 등 330여 가지에 이르는 우수한 유효성분이 가득한 신비의 약초 탕이라고 합니다.
8. 과채류.
8-1 후추.
후추나무는 여러 s 더r보해 살이 목본 덩굴 식물이다. 다 자라면 높이 4미터에 이르며 가지에서 덩굴이 나와 땅에 닿을 때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기로 나며 다 자란 잎은 길이가 5 ~ 10센티미터에 폭은 3 ~ 6센티미터가 된다. 꽃은 매우 작고 잎자루 옆에 여러 송이가 줄지어 피며 꽃이 지고 난 뒤 열매가 맺힌다.
후추의 열매는 지름 5㎜의 핵과로 열매 안에 한 개의 씨가 있으며 다 익으면 어두운 붉은 색을 띤다. 후추는 향신료로 쓰기 위해 다 익기 전에 수확하여 건조로 만들어진 후추는 검은빛을 띤다. 흰 후추, 붉은 후추도 모두 같은 열매로 만든 것인데, 흰 후추는 검은 후추의 껍질을 제거한 것이고 붉은 후추는 다 익은 열매를 사용한 것이다. 검은 후추와 백색 후추가 요리에 주로 쓰인다.
후추의 성분은 당질이 주체로서 약 10%의 단백질, 약 6%의 지방질을 포함한다. 흑 후추에는 철이 20.0㎎%, 매운맛 성분은 차비신(Chavicine)으로 1 ~ 3%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후추는 향신료로서 향기나 맛을 띠게 하는 이외에 드레싱에 사용하면 기름의 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도 가져온다. 또한, 후추는 그 향기가 생명임으로 밀봉 저장하고, 사용할 때마다 분쇄하여 먹는다.
약용으로는 위에 작용하여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장관에서는 쾌 장, 가스제거, 정장작용을 하고, 뇌의 발달 및 약간의 환각작용을 하고 있으나 중독 증세는 없다. 후추에서 추출한 후추기름은 리놀렌산이 많이 들어 있어 동맥경화 등 순환기계통의 질병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후추는 향신료뿐 아니라 방부의 효과도 아울러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햄과 소시지 등 가공품에는 0.2 ~ 0.5%가 꼭 쓰이고 있다. 매운 향미를 갖는 후추는 가루를 내야만 그 맛이 난다.
고기나 생선에 후추를 알맞게 사용하면 비린내가 가셔서 좋다. 그 외 효능은 아래와 같다. 후추는 한 약명 호분이라는 것으로 고기 독을 없애고 기생충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어 피부에 혈색을 돌게 하고 윤기가 나게 하며 탄력 있게 한다. 육류의 냄새를 없애고 방부 효과가 있다. 비타민C의 산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성분은 피페린 5~9%, 차 비신 6%, 정유 1 ~ 2.5% 들어 있다. 구 풍 제, 매운맛, 건위제 등으로 사용하며 식품의 향신료로서 중요시되고 있다. 신안 앞바다의 유품 중에서도 후추가 많이 들어 있었다. 후추란 인도에서 실크로드를 통하여 중국으로 들어왔으므로 호국(胡國)의 산초(山椒)를 생략한 명칭이라고 한다. 한국, 인도?인도네시아?말레이반도, 서인도제도 등지에서 재배한다.
8-2 고추냉이 [Wasabia koreana].
울릉도에서 자란다. 땅속 뿌리줄기에서 나온 잎이 길이 30㎝ 정도의 잎자루 끝에 달리며 길이와 너비가 8 ~ 10㎝ 정도이다. 꽃이 달리는 꽃줄기에서 나온 잎은 길이 2 ~ 4㎝로 뿌리줄기에 달리는 잎보다 훨씬 작다.
꽃은 5 ~ 6월에 하얀색으로 피며 열매는 길이 15 ~ 20㎜ 정도이고 약간 구부러졌다. 산규근(山葵根)은 뿌리줄기의 잔뿌리를 떼버리고 말린 것으로 한방에서 류머티즘?신경통 등의 국소에 바르며 생선중독, 국수중독도 치료한다.
십 자(배추)화 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 정도이며, 잎은 심장 모양이고 뿌리에서 떨기로 난다. 여름에 흰 꽃이 총상(總狀) 꽃차례로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장각과(長角果)를 맺는다. 땅속줄기는 양념 또는 약재로 쓴다. 시냇가에 나는데 한국, 사할린,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고추냉이(Wasabi Koreana)는 배추과의 식물, 일본 요리에서 뿌리를 갈아서 양념으로 쓴다. 일본에서 나는 같은 식물인 와사비(겨자) 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웃한 배추과의 식물은 상추, 양 고추냉이(horseradish)와 겨자 등이 있다. 매운맛은 겨자와 비슷하지만 고추에 들어 있는 캅사이신과는 또 다른데, 혀를 자극하기보다는 증기가 코로 올라오면서 자극하기 때문이다.
8-3 겨자 잎.
주로 밭에서 재배한다. 뿌리 잎은 깃 모양으로 갈라졌고 톱니가 있으나 줄기 잎은 거의 톱니가 없다. 높이는 1 ~ 2m이다. 봄에 십자 모양의 노란 꽃이 총상꽃차례[總狀花序]로 핀다. 열매는 원기둥 모양의 꼬투리로 짧은 자루가 있고 안에 갈색을 띤 노란 색의 씨가 들어 있다.
겨자와 갓의 씨를 芥子 고, 씨는 가루로 만들어 향신료로 쓰기도 하고 물에 개어 샐러드의 조미료로도 쓴다. 겨자가루를 개어서 류머티즘, 신경통, 폐렴 등에 사용하면 효과가 있다.
씨에는 배당체(倍糖體) 시니 그린 및 가수분해 효소 미로 신을 함유하고, 지방유 37% 정도를 지니고 있다. 종자를 가루로 만들어서 물을 부어 놓아두면 효소 미로 신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1% 정도의 휘발성 겨자기름이 분리되면서, 특유한 향기와 매운맛이 생긴다. 이것을 향신료(香辛料) 겨자라고 한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로 추측되고 옛날부터 재배되었으며 지금은 각처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많은 품종이 육성되었다. 고추냉이 쌍떡잎식물 양귀비 목 겨자 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Wasabia koreana 분류 겨자 과 분포지역 한국(울릉도), 일본, 사할린 섬 서식장소산골짜기 물이 흐르는 곳, 크기 잎 길이 및 나비 8 ~ 10㎝ 산골짜기 물이 흐르는 곳에서 자란다. 굵은 원기둥 모양의 땅속줄기에 잎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땅속줄기에서 나온 잎은 심장 모양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8 ~ 10㎝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게 잔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30㎝ 정도이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감싼다. 줄기에 달린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거나 심장 모양이며 길이 2 ~ 4㎝이다.
5 ~ 6월에 흰 꽃이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피는데, 꽃받침 잎은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희다. 꽃잎은 긴 타원형이고, 6개의 수술 중 4개가 길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견과로 길이 17㎜ 정도이며 7 ~ 8월에 익는다. 약간 굽었고 끝이 부리처럼 생겼다.
봄에 포기째 김치를 담가 먹는다. 한방에서는 봄에 땅속줄기의 잔뿌리를 떼어내고 말린 것을 산규근(山葵根)이라 해서 류머티즘, 신경통 등의 아픈 부위에 바른다.
생선중독?국수중독 치료에도 쓰며 향신료나 방부제?살균제로도 쓴다. 성분으로는 땅속줄기에 시니 그린이 들어 있으며, 이것이 티오글루코시다아제의 작용으로 분해되어 매운맛을 낸다.
8-4 고추 (Capsicum annuum).
가지 과(?科 S olan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 줄기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며 키가 80㎝까지 자라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는데, 잎 끝과 잎 밑이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다.
꽃은 통꽃으로 하얀색을 띠며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씩 밑을 향해 피고, 꽃부리가 5갈래로 갈라져 접시처럼 보인다. 꽃받침은 끝만 얕게 5갈래로 갈라져 있다. 수술은 5개이고 꽃 밥은 노란색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원뿔처럼 생긴 장과(漿果)로 초록색을 띠다가 붉게 익으며, 길이는 보통 5㎝ 정도이지만 이보다 길어지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고추 열매를 번 초(蕃椒) 또는 당신(唐辛)이라고 하여 열매를 달인 물에다 동상에 걸린 곳을 씻어 동상의 치료나 예방에 쓰고, 고춧가루를 신발이나 양말 안에 넣어 피가 잘 통하게 하며 신경통이나 근육통의 치료제로 쓰기도 한다.
고추는 흔히 남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옛날에는 고추와 숯을 새끼에 꼬아 대문 위에 걸어두어 그 집에서 아들을 낳았음을 알리기도 했다. 고추는 옛날부터 사람들이 써왔기 때문에 많은 품종이 만들어졌다.
고추의 매운맛은 품종마다 조금씩 다른데 캅사이신(capsaicin)이라고 하는 물질이 들어 있기 때문에 매운맛이 난다. 이 물질은 소화관의 운동을 촉진하고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가 잘 되게 하지만 고추를 너무 많이 먹으면 위산 분비가 억제된다.
원래 남아메리카에서 자라던 다년생 초이나 우리나라에서는 1년생 초로 널리 심고 있다. 언제부터 우리나라에서 심기 시작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은데, 담배와 거의 같은 시기에 일본과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고추는 따뜻한 곳을 좋아해서 16~30℃ 정도에서 잘 자라며 이보다 추운 곳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또한, 토양이 기름지고 물이 잘 빠지는 곳에서 잘 자라는데, 고추씨를 바로 밭에 뿌려서 가꾸면 늦게 익으며 열매 수도 적어지므로 온상에서 모종을 기른 다음 5월 중 밭에 옮겨 심고 가꾼다.
고추는 8월 하순부터 11월에 걸쳐 수확하고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11월부터는 포기째 뽑아서 고추를 딴다. 고추는 햇볕에 말리거나 불을 지펴 60℃보다 조금 낮은 온도가 되게 한 다음 말린다.
고추는 크게 말린 고추로 쓰는 종류들과 풋고추로 쓰는 종류 2가지로 나눈다. 말린 고추를 쓰는 종류들로는 재래종과 일본에서 만들어진 본응(本鷹),달마(達磨), 고신(高信), 웅응(熊鷹), 소팔방(小八房), 장팔방(長八房) 등의 품종들이 있으며 풋고추로 쓰는 종류들로는 일광(日光), 복견신(伏見辛), 불암(佛岩) 하우스 풋고추 등이 있다.
그 밖의 품종으로는 외국에서 들어온 피망이 있으며 열매를 먹기 위해서가 아니라 감상하기 위해서 심는 아기 고추?아우로라 고추, 노랑고추, 무늬 잎 고추, 화초 하늘 고추 등이 있다.
고추의 성분은 표4와 같다.
Figure 112009047355265-pat00007
고추의 섭취는 매운맛이 우리의 몸에서 열량의 소비를 증가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으며 고추의 비타민C는 노화를 늦춰주는 항산화효능도 있다. 고추의 매운맛 성분은 다이어트, 항산화(세포 노화방지), 항균(抗菌), 진통, 스트레스 억제, 면역증강, 가려움증 치료 효과가 있으며, 영양학적으로는 비타민A.C가 풍부하여 피부에 좋다.
특히 비타민C는 사과의 40배, 귤의 2배에 달한다. 게다가 고추의 비타민C는 캅사이신 덕분에 쉽게 산화되지 않기 때문에 조리하는 동안에도 손실이 적다. 고추에는 많은 영양성분이 함유하고 있는데 그것들은 단백질 1.3g, 탄수화물 6.4g, 칼슘 13㎎, 인 32㎎, 철 1.0㎎, 비타민 A 1151I.U. B1 0.09㎎, B2 0.20㎎, C 84㎎이 있다.
8 - 5 마늘(Garlic).
백합 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며 비늘줄기가 있는 다년생 식물. 예로부터 여러 나라에서 써왔으며, 양파 같은 냄새가 나고 찌르는 것과 같은 자극적인 맛이 있다.
미국에서 널리 쓰는 마늘은 유럽에서 이주해온 사람들이 가져온 것이다. 아시아가 원산지인 마늘은 이탈리아와 프랑스 남부에서도 야생상태로 자란다. 비늘줄기의 막질로 된 껍질이 식용으로 사용한다.
한국의 품종은 크게 남해안 근처의 따뜻한 곳에서 자라는 난지형(暖地形)과 내륙 및 고위도 지방의 추운 곳에서 자라는 한지형(寒地形)으로 나뉜다.
난지형은 8 내지 9월에 심어 다음해 5월 초에 수확하는 조생종으로 대표적인 지방 품종으로는 남해?고흥?제주?완도 등에서 심는 것들이 있다. 한지형은 9월 하순부터 10월 사이에 심어 다음해 6월 중순이나 하순에 수확하는 만생종으로 거창, 함양, 논산, 의성, 영덕, 서산, 단양, 울릉도 등에서 심는다. 한지형에는 속대가 잘 자라지 않으나 마늘이 6개씩 달리는 6쪽 마늘이 있는데, 마늘 중 품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의 일반적인 성분으로 열량 165㎉, 인 50㎎ 수분 79% 철 1.6㎎ 단백질 3.0g 지방 0.5g, 비타민B1 0.33㎎ 비타민B2 0.52㎎, 탄수화물 당질 32g 리보플라민 0.53㎎ 섬유 0.8g 니아신 0.1㎎, 회분 1.3g 아스코르브산 7㎎ 칼슘 32㎎ 폐기분 10% 등이다.
마늘은 혈액순환이나 혈관을 깨끗하게 하여 중년 이후의 발기기능을 지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 마늘에 함유된 스코르디닌이라는 물질은 음경의 해면체를 충만하게 해주는 신비한 힘이 있다. 한 실험결과 스코르디닌을 투여한 쥐는 투여하지 않은 쥐보다 수영 지속시간이 4배 가까이 길었고 정자도 현저히 증식됐다고 한다. 약용으로 쓰는 마늘은 쪽이 난 마늘보다 통마늘이 좋다.
마늘은 고대 이집트의 피라미드 비문에도 남아 있을 정도로 스태미나를 강화하는 강력한 강정제다. 최근에는 혈액순환 개선, 정력증진, 피로회복 등에 효능을 내는 의약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서구인들은 마늘의 효과는 인정하면서도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 때문에 약이나 건강식품으로 먹기를 선호한다.
마늘에 들어있는 성분은 대개 황 화합물. 이 때문에 특유의 냄새가 나고 항산화작용으로 세포노화와 암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근거는 확실하지 않으나 마늘을 갈았을 때 나오는 휘발성 황 화합물은 암 예방 효과가 있다. 또 가열했을 때 2차적으로 생성되는 아호엔 이라는 물질은 동맥경화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은 세계가 인정하는 대표적 항암식품 중 하나로, 해마다 세계 각국에서 마늘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실례로 지난 99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영양학 교수 아론플라이샤워 박사는 역학조사결과 식사 때 마늘을 많이 먹는 사람은 위암과 결장암 위험이 각각 50%와 30%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뉴질랜드의 루아쿠라 농업연구소 연구팀도 동물실험에서 마늘의 장암억제 효과를 입증했다. 또한, 러시아의 과학자들은 마늘 추출물을 사람의 종양에 이용해서 성공을 거두었으며, 수많은 동물실험을 통해 생마늘이 암의 진행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국내에서도 지난 99년 서울대 화학과 양 철학 교수팀이 마늘의 알리신(Allicin) 성분이 장암과 췌장암에 대해 항암효과를 갖는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으며, 동 대학 병리학교실 장 자준 교수도 마늘의 아릴 설파이드가 간암과 위암, 폐암의 발생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고려대 의대 비뇨기과 천준 교수도 마늘이 탁월한 전립선암 예방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춘다. 마늘의 알리 신(Allicin)은 콜레스테롤을 분해,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추고 아울러 혈관 내 혈액응고 방지 작용을 한다. 99년 독일 하리데 대학병원의 홀 거 키제베터 박사는 고혈압, 당뇨병 등 동맥경화의 원인이 있는 280명을 대상으로 한 4년간의 연구결과, 마늘가루를 하루 900㎎씩 규칙적으로 섭취한 사람은 혈중 침전물의 양이 조사기간 중 2.6% 줄어든 사실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캘리포니아의 로나린다 대학 연구팀도 마늘 추출물을 하루 1g씩 복용했을 때 나쁜 콜레스테롤(L D L)과 중성지방이 60 ~ 70% 줄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갱년기 장애를 예방한다. 마늘은 성호르몬의 분비기관을 자극, 호르몬 분비를 활발하게 하고 난소의 기능을 회복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갱년기 장애의 예방이나 그 증상의 경감에 효과가 크다. 또 피로회복이나 신경안정 작용에 효력을 발휘하는 비타민 B1의 능력을 높이는 기능도 있어 기초체력을 증강, 갱년기 특유의 피로감, 무력감, 가슴 두근거림, 불면, 식욕부진 등의 여러 증상을 제거한다. 갱년기를 맞이하여 폐경 된 여성이 마늘을 많이 먹은 결과 다시 생리가 시작되었다는 보고도 많이 나왔다.
피부노화를 억제 비만을 예방한다. 마늘을 상식하고 있는 여성의 피부는 전반적으로 윤이 나고 얼룩과 주근깨, 잔주름 등도 없다. 이것은 마늘이 가지고 있는 세포 활성화 작용이 피부(세포)의 노화를 막기 때문이다.
또 혈관을 확장해서 피의 순환을 좋게 하므로 피부의 신진대사가 촉진, 피부의 늙은 각질을 떨어뜨리고 피부의 바탕을 윤이 나게 한다. 또한, 마늘은 몸의 노폐물 배설을 촉진, 비만 예방과 다이어트에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와 같은 성분과 기능을 가진 마늘은 적당한 온습도를 가하여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숙성발효하여 고약한 향미가 사라지고 색상이 변하여 흑색의 흑 마늘이 만들어진다. 국내산 마늘의 이용하여 발효 흑 마늘의 생산하는 공급하는 회사 및 제품이 많다.
※ 참고.
시중의 라면이 함유하는 나트륨의 함량을 제시하므로 본 발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구황식품으로 사회가 필요로 한 라면이 지금까지 우리에게 준 덕과 실을 생각하고 문제를 이슈화하여 개선하여 라면의 세계화로 위한 자료로 지시한다. 시료에 의한 것으로 현재와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나트륨 함량은 표 8과 같다.
Figure 112009047355265-pat00008
본 발명의 이해를 도우기 위하여 입자 크기 환산표를 표9과 같이 제공한다.
Figure 112011063970742-pat00009

(참조: μ = ㎛)
※ 맛(Taste)
음식물을 입에 넣었을 때 느끼는 감각의 총칭.
맛의 주체를 이루는 것은 미각세포를 통해서 전달되는 자극에 의한 것이지만, 후각?촉각에 의한 감각도 넓은 뜻에서 포함된다.
그러므로 미각세포에 감지되는 맛의 성분 외에 냄새 성분, 온도, 식품이 가진 점탄성(粘彈性)도 맛의 일종으로 포함할 수 있다.
가. 맛의 종류
맛으로 느낄 수 있는 성분은 기본적인 맛과 그 이외의 맛으로 나눌 수가 있다. 기본적인 맛은 짠맛, 단맛, 신맛, 쓴맛으로 미각세포에 의해서만 감지될 수 있다.
그 이외의 맛으로는 향미(香味), 매운맛, 떫은맛, 아릿한 맛, 구수한 맛, 수렴(收斂)의 맛, 청량한 맛, 미끄러운 맛, 알칼리 맛, 금속 맛 등을 들 수 있다.
향미는 냄새를 후각이 받아들여 느끼는 맛이지만, 나머지는 일반 피부감각이 차지하는 비율이 큰 작용을 한다. 음식물의 맛있다, 맛없다, 의 판단은 이러한 맛의 감각에 심리적인 요소가 첨가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각 개인의 맛에 대한 습관, 기호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1). 짠맛,
염화나트륨(식염)을 기본으로 하는 맛으로 생리적인 기호가 강한 맛으로 함미(鹹味)라고도 한다. 체내에는 식염을 함유한 혈액 등이 있어서 거의 일정한 농도로 유지되고 있다. 이 농도의 증감에 의해 짠맛의 기호가 좌우된다.
예를 들어, 땀을 홀리는 등 염분을 많이 상실하였을 때 짠맛이 강한 음식물을 맛있다고 느끼게 된다. 또 습관에 의해 항상 짠맛이 강한 것을 먹고 있을 때는 짠맛이 강한 것이 아니면 맛있다고 느끼지 못한다.
또 여성은 생리 후기에 기호로 하는 짠맛의 농도가 약간 높아진다. 짠맛을 느낄 수 있는 역치는 식염의 경우 0.075% 정도로, 이것 이하가 되면 단맛을 느끼게 된다. 짠맛에는 다른 맛을 증강시켜서 미각으로 느끼게 하는 힘이 있는데, 이것을 대비효과라고 한다. 짠맛이 음식 맛의 기본이 되는 것은 이러한 미각에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2). 단맛.
단맛은 설탕을 비롯하여 많은 당류가 가진 맛으로 짠맛처럼 생리적 기호가 강한 맛이다. 다른 맛에는 맛있다고 느끼는 농도의 폭이 한정되어 있지만, 단맛만은 농도에 관계없이 맛있다고 느낀다.
단맛은 신맛, 쓴맛 등에 대해서 억제작용이 있다. 이러한 맛에 단맛이 더해지면 맛이 부드럽게 느껴진다. 또 단맛은 알코올 등의 강한 자극적인 맛이나 미각에 불쾌한 느낌을 주는 맛, 악취(냄새) 등에 대해서도 그것을 없애는 작용이 있다.
내장이나 냄새가 나는 생선, 육류, 잡다한 재료를 사용한 가공식품 등에 단맛을 이용하는 것은 이 작용의 응용이다. 단맛이 있는 물질은 당류뿐만이 아니라 인공 감미료를 비롯하여 천연물 중에도 다수 존재한다.
3). 신맛
식초?감귤류 등에 함유된 유기산의 대표적인 맛으로 짠맛, 단맛과 같은 생리적인 맛과는 달리, 감정에 의해 미각이 지배되는 정서적인 맛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신맛은 어떤 물질이 해리(解離)하여 수소 이온을 생성함으로써 느끼는 맛으로, 신맛의 물질은 산류(酸類)로서 널리 존재한다. 신맛은 긴장감이 있을 때 미각의 예민 도가 저하되는 한편, 긴장감이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쾌한 기분이 신맛에 의해 생겨나는 것은 그 때문이다. 또 짠맛이나 알코올 맛을 완화하는 작용도 있다. 신맛을 가진 물질에 따라 역치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예를 들면 아세트산 0.035%, 시트르산 0.063% 등이다.
4). 쓴맛.
미각 중에서 가장 친해지기 어려운 맛으로 반복의 학습효과에 의해 그 좋은 맛을 습득하는 경우가 많다. 어린이가 쓴맛에 대해 강한 거부반응을 나타내는 것은 이 때문이다.
쓴맛을 내는 물질로는 카페인, 니코틴, 퀴닌을 비롯하여 기호식품인 커피, 초콜릿, 향신료 등에 많은 종류가 존재한다. 물질의 종류로는 무기질에 마그네슘이나 칼슘 등의 염류, 유기물에 알칼로이드, 글리코시드, 담즙 산 등이 있다.
또 타서 일부 탄화하기 시작한 것도 쓴맛을 낸다. 소량의 쓴맛은 요리나 식품의 맛에 깊이를 주고, 맛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쓴맛은 단맛에 의해 그 강도가 완화된다.
4가지 기본 맛 중 쓴맛은 역치가 가장 작아서 미량으로도 느낄 수 있으며, 맛있다고 느끼는 허용 농도 폭이 작다. 그러므로 쓴맛의 물질을 사용할 때는 그 사용량에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나. 기타.
원래의 맛에 다른 자극이 첨가된 것, 점막 등에 대한 물리적인 자극 등에 의해 생기는 맛이 있다. 매운맛은 강한 점막자극에 의해 얼얼하고 뜨거운 느낌을 갖는 것이다. 매운맛의 자극으로 불쾌한 맛을 구별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냄새가 있는 음식물에는 매운 성분을 가진 향신료가 사용된다.
떫은맛은 입 속의 혀 점막의 수렴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탄닌 계의 물질에 의해 생긴다. 떫은 감 등의 맛이 대표적이다.
아린 맛은 죽순, 토란 등의 야채나 산나물에 함유되어 있는 일반적으로 떫다. 라고 표현되는 물질의 맛이다. 구수한 맛은 다시마, 가다랭이 포, 표고버섯 등을 끓여서 우려낸 국물의 맛이다.
주로 글루탐산과 핵산 계 물질에 의해 정해지는 맛이다. 천연식품 중에는 구수한 맛의 성분을 가진 것이 많다. 청량한 맛은 탄산을 함유한 음료, 박하, 신맛, 냉온 등에 의해 생기는 미각으로 산뜻한 감각을 준다.
미끄러운 맛은 유지나 유화 물 또는 콜로이드 상태의 물질을 입에 넣었을 때 느껴지는 맛으로 특유의 미끄러움을 느낄 수 있다.
알칼리 맛은 일종의 발효시킨 맛과 비슷한 맛으로 미각에서는 맛없는 느낌을 갖게 된다. 금속 맛은 이른바 쇳내 나는 맛이라 부르는 것으로 철분을 많이 함유한 물 등에서 이 맛이 난다. 이 맛이 있으면 음식물은 맛이 없어진다.
다. 후미(뒷맛).
먹은 후에 남는 맛으로 일반적으로 맛이 늦게 없어지는 맛 성분이나 혀의 점막에 붙기 쉬운 성분 등이 뒷맛으로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쓴맛이나 수렴의 맛에 이러한 것이 있다.
한편, 특수한 물질의 맛을 느끼지 못하는 미각을 가진 경우를 미맹이라 한다. 그러나 미맹은 특정한 물질에만 작용하므로 일반 음식에 존재하는 맛에 대해서는 정상이다. 미맹현상을 가진 물질은 P T C(페닐티오요오드)라 불리는 것으로, 1932년 미국의 A. L. 폭스에 의해 이 현상이 발견되었다.
라. 맛의 상호 간의 효과.
맛에는 대비, 상승, 억제라는 작용이 있다. 대비 작용은 어떤 맛에 다른 맛이 첨가되었을 때 강한 맛이 증강되어 느껴지는 것이다.
단맛, 구수한 맛 성분에 대해서 짠맛이 이 작용을 가진다. 상승작용은 같은 종류의 맛이 2종류 이상 만났을 때 맛이 아주 강하게 느껴지는 것을 말한다. 구수한 맛, 단맛의 성분 등에 있다.
억제작용은 어떤 맛이 다른 맛을 첨가하였을 때 그 맛의 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신맛, 쓴맛에 대한 단맛 등이 그것이다.
마. 온도와 맛.
맛은 온도에 의해 느껴지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 단맛은 음식물이 체온에 가까운 온도일 때 가장 강하게 느끼고, 짠맛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강하게 느낀다. 쓴맛은 체온보다 낮을 때 급속하게 증가하고, 신맛은 거의 모든 온도에서 느낌이 일정하다. 다만, 식초처럼 아세트산을 함유한 것은 온도가 높아지면 아세트산의 증발에 의해 강한 자극이 나타나서 신맛이 강하게 느껴지기 쉽다. 이처럼 4가지 기본적인 맛은 온도에 의한 감각이 각각 다르다.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提供)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라면 수프용).
제1공정은 좋은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
우리나라 라면 한 개에 들어가 있는 나트륨의 함량은 평균 2,000㎎ 들어 있는 것으로 세계 보건 기구의 일일 권장치 1968㎎이 넘은 것으로, 향미를 개선하고 나트륨함량을 낮추는 소금을 조성하여 라면 수프용 기능성 소금을 목적으로 하여 조성하는 조성물로, 짠맛과 같이 오미를 가진 기능성 소금으로 라면 1개의 염화나트륨 함량이 20 내지 30% 적은 기능성 소금을 조성하는 것으로, 좋은 원료 천일염 또는 함초분을 선정하여 선별하고, 식물성 식이 유황(Natural Sulfur)을 선정하여 선별하고, 천연감미료인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여 선별하고, 콜라겐을 선정하여 선별하고, 구연산을 선정하여 선별하고, 천년 초 선정하여 선별하고, 철 따라 생산한 신선한 채소 류에서 후추, 발효 흑 마늘, 2가지를 혼합한 채소류를 추출 농축한 농축액을 첨가물로 선정하고, 순도 65%의 농축액을 선별하여, 유황 성분을 흡수 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지구촌의 대륙과 지역과 문화와 용도에 따라 성분과 향미를 가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했다.
제2공정은 조성물 및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가루 천일염 또는 함초분 55중량%, 구연산 혼합수용액 12중량%,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 5중량%,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 10중량%,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 10중량%, 채소류 혼합수용액 5중량%, 콜라겐 혼합수용액 3중량%를 조성물을 조성하는 배합비율로 산정하는 것과, 조성물을 조성하기 위한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은 생 황토 가루 30중량%와 정수 70중량%를 혼합하여 지장 수를 생성하고, 지장 수 90중량%, 알코올 10중량%를 혼합하여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구연산 3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70중량%를 혼합하여 구연산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천년 초를 과육 5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50중량%를 혼합하여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채소류농축액 8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20중량%를 혼합하여 채소류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스테비오사이드 1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0중량%를 혼합하여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콜라겐 8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2중량%를 혼합하여 콜라겐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식이 유황 5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5중량%를 혼합하여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으로 조성물 및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을 산정했다.
삭제
제3공정은 가루 천일염을 생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하여 선별한 천일염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소금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입자의 크기를 140㎛(100 메시)로 분쇄하여 가루 천일염을 생성했다.
제4공정은 지장 수를 생성하는 단계,
청정지역의 햇빛이 잘 드는 황토의 표면의 표토를 100㎝ 이상 제거하고 속에 있는 생 황토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3일간 건조하여 건조 생 황토를 생성하고 건조 생 황토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볼 분쇄기로 넣고 140㎛로 분쇄하여 생 황토가루를 조성하고,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생 황토 가루 30중량%를 넣고, 정수 70중량%를 넣고 15분간 혼합하여 생 황토 수를 생성하고 옹기용기에 옮기여 12시간 침전하여 위에 맑은 90%를 채취한 지장 수를 미네랄 보충과 소금의 독성을 중화하는 기능으로 조성 옹기용기에 담아 10℃ 이하의 저장고에 저장한 지장 수를 생성했다.
제5공정은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 혼합기로 조성한 지장 수 90중량%, 알코올 10중량%를 2분간 혼합하여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했다.
제6공정은 점액질 과육을 생성하는 단계,
천년 초를 구입하여 세척하고 잎 즉 가시를 제거하고 동력 3상 2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야채 절단기로 폭을 기준으로 5㎜로 절단하고, 동력 3상 2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파쇄 및 분쇄기의 출구 경을 5㎜로 조절하고 절단 천년 초를 넣고, 파쇄 분쇄하여 점액질 과육을 조성했다.
제7공정은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구연산 5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50중량%를 넣고 5분간 혼합하여 구연산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제6공정의 점액질 과육 5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50중량%를 넣고 20분간 혼합하여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채소류농축액 7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30중량%를 넣고 10분간 혼합하여 채소류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스테비오사이드 1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0중량%를 넣고 5분간 혼합하여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콜라겐 1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0중량%를 넣고 5분간 혼합하여 콜라겐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식이 유황 5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5중량%를 넣고 2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으로 지구촌의 대륙과 지역과 문화와 용도에 따라 성분과 향미를 가감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각각 혼합수용액을 생성했다.
제8공정은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구연산 혼합수용액 15중량%,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 5중량%,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 7중량%,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 10중량%, 채소류 혼합수용액 5중량%, 콜라겐 혼합수용액 3중량%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넣고 30분간 혼합하여 구연산 혼합수용액,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 천년 초 과육 혼합수용액, 채소류 혼합수용액, 콜라겐 혼합수용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생성하고, 용기 또는 탱크에 넣고 30±5℃의 상온에서 10시간 숙성발효를 하여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생성하고, 동력 3상 5마력으로 작동하는 디지털방식의 자동 유압착유기에 74㎛이하의 입자를 가진 여과 천을 깔고, 압착하여,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의 이물질을 여과한 점액질 과육, 구연산, 식이 유황, 스테비오사이드, 채소류, 콜라겐이 혼합한 혼합조성물을 생성하고, 생성한 혼합조성물은 유황을 함유하면서 약간 맵고 쓴맛을 가지면서 새콤달콤한 맛의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향미의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생성했다.
제9공정은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숙성발효 혼합조성물과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가루 천일염을 넣고 20분간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했다.
제10공정은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가온 건조기(도 3)의 증기, 전기, 액상 집 열을 매체(媒體)로 동력 3상 5마력 5rpm으로 회전하는 지름이 10㎝, 길이 500㎝, 온도를 65℃ 이하로 가온한 파이프 속의 수직에 가까운 스크루에 주입하여 5분간 회전통과하면서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가온시키는 것으로, 가루 소금의 조직의 표면을 녹이는 것과 혼합물의 조직을 부드럽게 하는 가온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고, 2차 상 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이중파이프 속의 온도를 105℃로 5분간 회전통과하면서 가온 천일염 혼합조성물의 온도상승으로 천일염 혼합조성물 속에 있는 가루 소금의 결집력과 점액질 과육과 콜라겐의 응집력에 의한 혼합결정을 스스로 생성하는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면서 건조하는 방법과 3차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온도를 120℃ 이하에서 5분간 회전하면서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건조하는 것으로, 증발의 출구를 통제 미네랄의 손실을 방지하는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했다.
제11공정은 냉동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냉동 건조기(도 3) 동력 3상 5마력 5rpm으로 회전하는 지름이 10㎝, 길이 500㎝, 영화 10℃의 냉동 건조기의 파이프 통 속 수직에 가까운 스크루에 주입하여 5분간 회전하면서 통과하여 냉각 냉동에 의한 표면을 경화 및 건조로 냉동 건조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냉동 온도를 영화 20℃ 이상으로 하여 혼합조성물을 동결을 방지하는 것과,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서 제10공정과 제11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연결 단일화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냉동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했다.
제12공정은 상온 숙성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냉동 건조 혼합조성물을 30℃의 온풍 건조실 다단 건조대에 1㎝ 높이로 적재하여 15시간 숙성 건조하여 혼합조성물의 표면의 이취를 제거하고 혼합조성물의 조 직의 결속을 강하게 하는 숙성 건조로 상대습도 60% 이하를 유지하여 제9공정의 투입한 혼합조성물 15중량%의 숙성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13공정은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상온 숙성 건조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분쇄 및 선별기에 넣고, 식이 유황,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매우 맛과 흑 마늘의 향미를 함유하는 입자의 크기를 140㎛로 분쇄하여 선별하는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했다.
제14공정은 포장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분말 자동주입기로 500g씩 폴리에틸렌필름 사각주머니의 방습 용기에 방습제 한 개씩 넣고, 방습으로 포장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한 소금을 새콤달콤한 향미에 의하여 기호성 높아 라면에 사용하면 대중적 향미를 가지면서 염화나트륨 함량을 60 내지 65%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을 제조했다.
※ 상기 제조공정에 의하여 조성한 라면 수프용 기능성 소금은 염화나트륨 함량이 낮은 것과 천일염,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후추, 발효 흑 마늘, 유황, 콜라겐, 황토가 혼합된 새콤달콤한 향미를 가지는 새로운 미네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1개의 라면을 조리하는 시간은 보통 4 내지 5분으로 라면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끊이면 새콤달콤한 새로운 향미가 푹 익은 김치를 사용한 것과 같은 향미로 김치찌개 라면과 같은 대중적 향미를 가지는 것이 특징으로 일반 라면에 수프를 빼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넣고, 4분간 끊인 다음 시음한 관능 결과 10명 중 8명이 김치 라면에 설탕을 넣고 끊인 라면으로 맛이 좋다고 대답했다.
이것은 염화나트륨의 짠맛으로만 식욕을 도우는 것이 아니라 새콤달콤한 맛도 식용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사용 용도가 우리의 식생활과 깊은 관계 속에 다양함을 가지는 시대가 원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상기공정에 의하여 조성한 조성물은 소금 및 식품 독성을 해독하는 기능을 가진 법제유황성분 약 0.1 내지 0.2% 함유하고, 짠맛(염화나트륨 함량 60 내지 65%)을 근본 바탕으로 하며 후추 가루의 기능적 특성으로 소금의 방부능력과 비타민C의 산화방지 및 지방산의 산패를 지연방지하는 기능이 상승한 기능성 소금으로 고춧가루와 혼합하면 고추의 캅사이신의 향미를 더욱 뛰어나게 하는 기능으로 새콤하면서 깊은 매운맛을 바탕으로 하는 달콤함이 잘 익은 김치 국물에 단맛(설탕)을 넣고 끊인 것과 같은 향미를 가지는 것이 특징으로 라면에 넣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4 내지 5분간 끊이면 이와 같은 향미가 기능적 특성이 나타나는 기능성 소금이다.
※ 참고로 유황온천(硫黃溫泉)은 물 1ℓ에 유황성분 1㎎(약 0.1%) 이상 함유하면 유황온천이라 하고, 유황의 기능을 기대하고 온천을 즐기면서 먹고 마시고 바 르는 것은 유황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2.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발효식품용).
제1공정은 좋은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
발효식품 간장 된장 고추장에 사용하는 기능성 소금을 조성하는 것으로 목적에 합당한 좋은 원료 천일염 또는 함초분을 선정하여 선별하고, 식이 유황(Natural Sulfur)을 선정하여 선별하고, 천연감미료인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여 선별하고, 콜라겐을 선정하여 선별하고, 구연산을 선정하여 선별하고, 알로에를 선정하여 선별하고, 발효 흑 마늘을 추출 농축한 농축액을 첨가물로 선정하고, 순도 65 내지 80%의 농축액을 선별하여 유황 성분을 흡수 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했다.
제2공정은 조성물 및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가루 천일염 또는 함초분 70중량%, 구연산 혼합수용액 5중량%,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 10중량%,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 5중량%,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 6중량%, 채소류 혼합수용액 3중량%, 콜라겐 혼합수용액 1중량%를 조성물을 조성하는 배합비율로 산정하는 것과 조성물을 조성하기 위한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은 생 황토 가루 20중량%와 정수 80중량%를 혼합하여 지장 수를 생성하고, 지장 수 80중량%, 알코올 20중량%를 혼합하여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구연산 1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0중량%를 혼합하여 구연산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알로에를 과육 4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60중량%를 혼합하여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채소류농축액 1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0중량%를 혼합하여 채소류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스테비오사이드 5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5중량%를 혼합하여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콜라겐 1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9중량%를 혼합하여 콜라겐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식이 유황 2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80중량%를 혼합하여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으로 조성물 및 혼합생성물의 배합비율을 산정했다.
삭제
제3공정은 가루 천일염을 생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하여 선별한 천일염 또는 함초분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소금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입자의 크기를 279㎛로 분쇄하여 가루 천일염을 생성했다.
제4공정은 지장 수를 생성하는 단계,
청정지역의 햇빛이 잘 드는 황토의 표면의 표토를 100㎝ 이상 제거하고 속에 있는 생 황토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7일간 건조하여 건조 생 황토를 생성하고 건조 생 황토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볼 분쇄기로 넣고 279㎛로 분쇄하여 생 황토가루를 조성하고,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생 황토 가루 20중량%를 넣고, 정수 80중량%를 넣고 10분간 혼합하여 생 황토 수를 생성하고 옹기용기에 옮기여 12시간 침전하여 위에 맑은 90%를 채취한 지장 수를 미네랄 보충과 소금의 독성을 중화하는 기능으로 조성 옹기용기에 담아 10℃ 이하의 저장고에 저장한 지장 수를 생성했다.
제5공정은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 혼합기로 조성한 지장 수 80중량%, 알코올 20중량%를 3분간 혼합하여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했다.
제6공정은 점액질 과육을 생성하는 단계,
알로에를 구입하여 세척하고 잎 즉 가시를 제거하고 동력 3상 2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야채 절단기로 폭을 기준으로 10㎜로 절단하여, 절단 알로에를 생성하고, 동력 3상 2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파쇄 및 분쇄기의 출구 경을 10㎜로 조절하고, 절단 알로에를 넣고 파쇄 및 분쇄하여 점액질 과육을 조성했다.
제7공정은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구연산 1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0중량%를 넣고 5분간 혼합하여 구연산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제6공정의 점액질 과육 4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60중량%를 넣고 10분간 혼합하여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채소류농축액 1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0중량%를 넣고 10분간 혼합하여 채소류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스테비오사이드 5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5중량%를 넣고 5분간 혼합하여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콜라겐 1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99중량%를 넣고 2분간 혼합하여 콜라겐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것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식이 유황 20중량%, 알코올 혼합수용액 80중량%를 넣고 10분간 혼합하여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을 각각 생성하는 혼합수용액을 생성했다.
제8공정은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구연산 혼합수용액 15중량%, 법제 유황 혼합수용액 10중량%,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 1중량%,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 5중량%, 채소류 혼합수용액 4중량%, 콜라겐 혼합수용액 2중량%를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넣고 40분간 혼합하여 구연산 혼합수용액,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액, 알로에 혼합물의 과육 혼합수용액, 채소류 혼합수용액, 콜라겐 혼합수용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생성하고, 용기 또는 탱크에 넣고 30±5℃의 상온에서 24시간 숙성 발효를 하여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생성하고, 동력 3상 5마력으로 작동하는 디지털방식의 자동 유압착유기에 74㎛이하의 입자를 가진 여과 천을 깔고, 압착하여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의 이물질을 여과한 점액질 과육, 구연산, 식이 유황, 스테비오사이드, 채소류, 콜라겐이 혼합한 혼합조성물을 생성하고, 생성한 혼합조성물은 시고, 맵고, 달고, 쓴맛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향미의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다.
제9공정은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숙성발효 혼합조성물과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가루 천일염을 넣고 30분간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했다.
제10공정은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가온 건조기(도 3)의 증기, 전기, 액상 집 열을 매체(媒體)로 동력 3상 5마력 5rpm으로 회전하는 지름이 10㎝, 길이 500㎝, 온도를 40℃ 이하로 가온한 파이프 속의 수직에 가까운 스크루에 주입하여 5분간 회전통과하면서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가온시키는 것으로, 가루 소금의 조직의 표면을 녹이는 것과 혼합물의 조직을 부드럽게 하는 가온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고, 2차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이중파이프 속의 온도를 110℃로 5분간 회전통과하면서 가온 천일염 혼합조성물의 온도상승으로 천일염 혼합조성물 속에 있는 가루 소금의 결집력과 점액질 과육과 콜라겐의 응집력에 의한 혼합결정을 스스로 생성하는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면서 건조하는 방법과 3차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온도를 120℃ 이하에서 5분간 회전하면서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건조하는 것으 로, 증발의 출구를 통제 미네랄의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했다.
제11공정은 냉동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냉동 건조기(도 3) 동력 3상 5마력 5rpm으로 회전하는 냉동 건조기의 이중으로 된 지름이 10㎝의 파이프 통 속 수직에 가까운 스크루에 주입하여 영화 15℃로 냉동된 5m의 길이 이중 파이프 통 속에서 5분간 회전하면서 통과하여 냉각 냉동에 의한 표면을 경화 및 건조로 냉동 건조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냉동 온도를 영화 20℃ 이하로 하여 혼합조성물을 동결을 방지하는 것과,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서 제10공정과 제11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연결 단일화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냉동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했다.
제12공정은 상온 숙성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냉동 건조 혼합조성물을 40℃의 온풍 건조실 다단 건조대에 2㎝ 높이로 적재하여 30시간 숙성 건조하여 혼합조성물의 표면의 이취를 제거하고 혼합조성물의 조직의 결속을 강하게 하는 숙성 건조로 상대습도 60% 이하를 유지하여 제9공정의 투입한 혼합조성물 20중량%의 숙성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했다.
제13공정은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상온 숙성 건조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분쇄 및 선별기에 넣고, 유황,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차비 신, 발효 흑 마늘 등의 성분을 함유한 발효식품(유황 간장, 유황 된장 유황 고추장)용 소금으로 입자의 크기를 279㎛로 구분하여 분쇄하여 선별하는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했다.
제14공정은 포장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분쇄선별 혼합조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분말 자동주입기로 10㎏씩 폴리에틸렌 필름 주머니에 방습제 한 개씩 넣고, 방습으로 포장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을 제조했다.
상기의 제조공정에 의하여 조성한 발효식품용 기능성 소금은 새콤달콤한 대중적 향미를 가지는 것이 특징으로 발효식품에는 새콤달콤한 향미를 가지고 3개월 숙성 발효한 발효식품이 일반 염을 사용한 6개월 발효식품보다 더 오랜 숙성된 새콤한 향을 가지면서, 새콤달콤한 담백한 향미가 나타난다고 사용자 10명 중 9명이 대답했고, 유황, 황토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발효 흑 마늘 및 후추 속에 있는 미네랄의 기능적 특성이 복합상승하여 간장 된장 고추장을 1개월간 사용한 아토피성 피부 질환 환자 10명 중 8명이 가려움이 사라진다고 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思想)을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은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하는 해석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라면 수프용)이고, 도 2는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발효식품용)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3은 제10공정(10)의 가온 건조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11공정(11)은 냉동 건조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를 한 장의 도면에 나타낸 가온 건조 및 냉동 건조기의 평면도다.

Claims (2)

  1.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가루 천일염 또는 함초분 40 내지 94중량%, 구연산 혼합수용액 15 내지 1중량%(구연산 1 내지 99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 15 내지 1중량%(식이 유황 0.1 내지 99.1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1 내지 0.1중량%),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 10 내지 1중량%(스테비오사이드 0.1 내지 10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9 내지 99중량%),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 10 내지 1중량%(천년 초 또는 백년초 또는 알로에를 과육 1 내지 99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 채소류 혼합수용액 5 내지 1중량%(채소류농축액 1 내지 99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 콜라겐 혼합수용액 5 내지 1중량%(콜라겐 0.1 내지 99.9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9 내지 0.1중량%)를 배합비율로 하는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
  2. 하기 단계 (1) 내지 (14)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
    (1)은 좋은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로 천일염 또는 함초분의 분말을 선별하고, 식이 유황을 선별하고,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고, 콜라겐을 선정하고, 구연산을 선정하고, 토종 선인장 천년 초 또는 백년초 또는 알로에 선정하고, 후추, 겨자잎, 고추냉이, 발효 흑 마늘, 고추, 후추 또는 겨자잎 또는 고추냉이 또는 고추와 혼합한 채소류를 추출 농축한 농축액을 선정하고, 좋은 황토와 순도 99% 식용 알코올을 선정하는 단계;
    (2)는 조성물 및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로 조성물은 가루 천일염 또는 함초분 40 내지 94중량%, 구연산 혼합수용액 15 내지 1중량%,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 15 내지 1중량%,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 10 내지 1중량%,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 10 내지 1중량%, 채소류 혼합수용액 5 내지 1중량%, 콜라겐 혼합수용액 5 내지 1중량%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조성물과 조성물을 조성하기 위하여 먼저 생성하는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은 생 황토 가루 50 내지 5중량% + 정수 50 내지 95중량%를 혼합하여 지장 수를 생성물을 먼저 생성하고, 지장 수 1 내지 99중량% + 알코올 99 내지 1중량%를 혼합하여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구연산 1 내지 99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를 혼합하여 구연산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천년 초 또는 백년초 또는 알로에를 과육 1 내지 99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를 혼합하여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채소류농축액 1 내지 99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를 혼합하여 채소류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스테비오사이드 0.1 내지 10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9 내지 99중량%를 혼합하여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콜라겐 0.1 내지 99.9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9 내지 0.1중량%를 혼합하여 콜라겐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식이 유황 0.1 내지 99.1중량% + 알코올 혼합수용액 99.1 내지 0.1중량%를 혼합하여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조성물 및 혼합수용액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3)은 가루 천일염을 생성하는 단계로 (1)의 천일염 또는 함초분을 동력 250rpm의 소금분쇄기에 넣고, 크기를 279㎛ 내지 74㎛로 분쇄하여 가루 천일염 생성하는 단계;
    (4)는 지장 수를 생성하는 단계로 건조 생 황토를 동력 250rpm의 볼 분쇄기로 넣고 279㎛ 내지 140㎛로 분쇄, 생 황토가루를 조성하고, 동력 250rpm의 액상혼합기에 생 황토 가루 50 내지 5중량%를 넣고, 정수 50 내지 95중량%를 넣고 10 내지 30분간 혼합하고 용기에 옮기여 12 내지 24시간 침전하여 위에 맑은 90%를 채취 10℃ 이하의 저장고에 저장하여 지장 수를 생성하는 단계;
    (5)는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로 동력 250rpm의 액상 혼합기로 (4)의 지장 수 1 내지 99중량%, 알코올 99 내지 1중량%를 2 내지 3분간 혼합하여 알코올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6)은 점액질 과육을 생성하는 단계로 천년 초, 백년초, 알로에를 구입 세척하고, 동력 250rpm의 야채 절단기로 5 내지 10㎜로 절단하여, 생성하고, 동력 250rpm의 파쇄 및 분쇄기로 점액질 과육을 생성하는 단계;
    (7)은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로 동력 250rpm의 액상혼합기에 (1)의 구연산 1 내지 99중량%, (5)의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를 넣고 2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구연산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동력 250rpm의 액상혼합기에 (6)의 점액질 과육 10 내지 90중량%, (5)의 알코올 혼합수용액 90 내지 10중량%를 넣고 10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동력 250rpm의 액상혼합기에 (1)의 채소류농축액 1 내지 99중량%, (5)의 알코올 혼합수용액 99 내지 1중량%를 넣고 2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채소류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동력 250rpm의 액상혼합기에 (1)의 스테비오사이드 0.1 내지 10중량%, (5의 )알코올 혼합수용액 99.9 내지 99중량%를 넣고 2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동력 250rpm의 액상혼합기에 (1)의 콜라겐 0.1 내지 99.9중량%, (5)의 알코올 혼합수용액 99.9 내지 0.1중량%를 넣고 2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콜라겐 혼합수용액을 생성하고, 동력 250rpm의 액상혼합기에 (1)의 식이 유황 0.1 내지 99.1중량%, (5)의 알코올 혼합수용액 99.1 내지 0.1중량%를 넣고 2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혼합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8)은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로 (2)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7)의 구연산 혼합수용액 15 내지 1중량%, (7)의 식이 유황 혼합수용액 15 내지 1중량%, (7)의 스테비오사이드 혼합수용액 10 내지 1중량%, (6)의 점액질 과육 혼합수용액 10 내지 1중량%, (7)의 채소류 혼합수용액 5 내지 1중량%, (7)의 콜라겐 혼합수용액 5 내지 1중량%를 동력 250rpm의 액상혼합기에 넣고 10 내지 40분간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고, 용기에 넣고 30±5℃의 상온에서 1 내지 72시간 숙성 발효로 혼합조성물을 생성하고, 디지털방식의 자동 유압착유기에 74㎛이하의 여과 천을 깔고, 혼합조성물을 넣고 압착하여 숙성발효 혼합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
    (9)는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로 동력 250rpm의 액상혼합기에 (8)의 숙성발효 혼합조성물과 (2)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1)의 가루 천일염 또는 함초분을 넣고 10 내지 40분간 혼합하여 균일한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0)은 제10공정은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로 (9)의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동력 1 내지 60rpm의 도 3의 건조기에 40 내지 65℃ 이하에서 1 내지 5분간 통과하면서 가온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조성하고, 2차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105 내지 120℃로 가온 천일염 혼합조성물을 1 내지 5분간 통과하면서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고, 3차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120 내지 150℃ 이하에서 1 내지 5분간 통과하면서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1)은 냉동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로 (10)의 가온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도 3의 냉동 건조기의 온도를 영화 0 내지 15℃로 조절하여 주입, 1 내지 5분간 통과하여, 냉동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2)는 상온 숙성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로 (11)의 냉동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20 내지 40℃의 온풍 건조대에 1 내지 2㎝ 높이로 적재하여 5 내지 30시간 숙성 건조하여 숙성 건조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3)은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로 (12)의 상온 숙성 건조 혼합조성물을 동력 250rpm의 자동 분쇄 및 선별기에 넣고, 입자의 크기를 279㎛ 내지 74㎛로 구분하여 분쇄하여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4)는 포장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로 (13)의 분쇄선별 결정혼합조성물을 동력 250rpm의 분말 자동주입기로 1 내지 5,000g 또는 5 내지 10㎏씩 용도에 따른 용기에 넣고, 방습으로 포장 결정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71159A 2009-08-03 2009-08-03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36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59A KR101136576B1 (ko) 2009-08-03 2009-08-03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59A KR101136576B1 (ko) 2009-08-03 2009-08-03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17A KR20110013617A (ko) 2011-02-10
KR101136576B1 true KR101136576B1 (ko) 2012-04-23

Family

ID=4377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159A KR101136576B1 (ko) 2009-08-03 2009-08-03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5533A (zh) * 2015-12-05 2016-04-20 中盐榆林盐化有限公司 一种儿童用多钙螯合食用盐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351B1 (ko) * 2012-04-09 2014-02-21 주식회사 도미니언코리아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CN108741101A (zh) * 2018-05-25 2018-11-06 渤海大学 一种女士型海参肽口服液
KR102126725B1 (ko) * 2020-02-04 2020-06-25 허완규 냉동참치 해동용 염수 및 이를 이용한 냉동참치 숙성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208A (ko) * 2007-08-30 2009-03-04 전현철 새콤달콤한 콜라겐 마늘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208A (ko) * 2007-08-30 2009-03-04 전현철 새콤달콤한 콜라겐 마늘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5533A (zh) * 2015-12-05 2016-04-20 中盐榆林盐化有限公司 一种儿童用多钙螯合食用盐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17A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649B1 (ko) 장 청소 및 변비 해소 기능의 야채 효소 음료 조성물
KR101153596B1 (ko)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KR20090032158A (ko) 가압전이(加壓轉移)에 의한 과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136576B1 (ko)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39064B1 (ko) 달콤한 소금과 비타녹차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KR101182039B1 (ko) 천연 초와 천연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구기자 고추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50136A (ko) 대추버섯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84844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383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柑橘) 비타 침출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8876A (ko) 새콤달콤한 쿠르쿠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10080685A (ko) 비타민을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마른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22208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마늘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94284B1 (ko) 머위, 매실 및 함초를 함유하는 침출차와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침출차와 액상추출차
KR20090021410A (ko) 피로할 때 마시는 대추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18874A (ko) 고혈압 환자가 마시는 새콤달콤한 진 코 침출 및 액상 티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5225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 비타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0501A (ko) 고혈압, 비만, 당뇨병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090029470A (ko) 가압전이에 의한 새콤달콤한 천년(千年)의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213322B1 (ko) 고소하고 달콤한 유황 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415159B1 (ko) 혼합 벌꿀 제조 시스템
KR100934348B1 (ko)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84846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복분자 비타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7341A (ko) 황토 대추 잎 침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57344A (ko) 황토와 칡을 이용한 전통 종가 장류 된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063855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복숭아 비타 녹차(과일 침출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