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883B1 -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 - Google Patents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883B1
KR101132883B1 KR1020100067903A KR20100067903A KR101132883B1 KR 101132883 B1 KR101132883 B1 KR 101132883B1 KR 1020100067903 A KR1020100067903 A KR 1020100067903A KR 20100067903 A KR20100067903 A KR 20100067903A KR 101132883 B1 KR101132883 B1 KR 10113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explosion
convex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246A (ko
Inventor
윤제호
임병환
주진옥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주)대광라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주)대광라이텍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7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8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볼록렌즈형 투광부과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조사할 때에 그 빛을 더욱 확산시키고자 설치하는 투광부를 반볼록렌즈형으로 형성하여 빛의 확산성을 더욱 증대시킴으로써 조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고정형성된 발광다이오드 기판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기판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체결되어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투명부재로 형성된 투광부와; 중앙에 투광부 끼움체결공간이 형성되어 체결봉과 체결나사로써 하우징의 저면에 체결되는 투광부 체결판;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반볼록렌즈형으로 형성되되,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이 먼저 닿는 1차 굴절면은 오목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1차 굴절면을 통과한 빛이 한번 더 통과하는 2차 굴절면은 볼록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An explosion proof LED lamp with half convex lens type globe}
본 발명은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조사할 때에 그 빛을 더욱 확산시키고자 설치하는 투광부를 반볼록렌즈형으로 형성하여 빛의 확산성을 더욱 증대시킴으로써 조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구에 전류가 인가 혹은 차단될 때에는 스파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전구에 가스가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밀폐시킨 전등을 방폭등이라 한다.
상기와 같은 방폭등은 스파크로 인한 폭발 위험이 많은 가스 저장고 혹은 가스가 찰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 폭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폭등은 백열등, 형광등과 같은 등을 광원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광원을 사용하는 방폭등은 부피가 크고, 전력소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형광등을 광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부피가 매우 크고, 전력소모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폭등은 가스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이 제대로 방출되지 아니할 경우 지속되는 과열로 인해 상기와 같은 광원의 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광원을 채용한 종래의 방폭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상기와 같은 광원 대신에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채용하여 소비전력을 크게 낮춘 기술이 안출된 바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113885호, 2008.12.31.자 공개)(이하 '선행기술' 이라 약칭함)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방폭등의 광원을 발광다이오드로 사용함으로써 크기와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고 방폭등 외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에 방열판을 구비함으로써 수명을 확보하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SMPS : 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사용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이면서 보다 소형화, 슬림화함은 물론, 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대표도면을 살펴보면,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되기 전에 통과하는 글로브(500)는 얇은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된 투광판이 반원형으로 하향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은 상기와 같은 글로브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될 때에 거의 아무런 굴절이 발생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외부로 조사됨에 따라 조도가 높지 아니하고,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조사되는 면적이 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광원의 조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과정에서 통과하는 투광부를 다양한 형상으로 고안한 바 있다.
즉, 상기 투광부를, 구형 혹은 볼록렌즈형으로 형성하여 위 형태가 제공하는 빛의 확산성을 얻고자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로 형성된 투광부는, 투광부를 통과한 빛이 2차 굴절면을 통해 외부로 확산 조사된다 하더라도 광원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1차 굴절면의 형태로 인해, 빛의 대부분은 투광부에 입사되지 못하고 반사되는 경우가 많아 효율이 낮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투광부의 입사면(1차 굴절면)을 평면으로 형성함으로써 1차 굴절면에서의 빛의 반사를 최소화하면서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이 대부분 투광부에 입사되도록 한 후, 2차 굴절면을 통해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조도를 높인 기술이 안출된 바 있다.
이 때, 상기와 같이 1차 굴절면을 평면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아무런 반사없이 수직으로 그대로 입사되고, 볼록한 2차 굴절면을 통과하는 순간, 굴절각이 발생하게 되어 빛은 사방으로 퍼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 종래의 기술을 더욱 개선한 것으로,
투광부를 반볼록렌즈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1차 굴절면은 발광다이오드 기판을 기준으로 오목면으로 형성하고, 2차 굴절면은 외측으로 볼록면으로 형성하여, 종래의 기술에 비해 상기 투광부를 거친 빛의 조도가 더욱 향상됨은 물론 상기 빛이 조사되는 면적 또한 더욱 넓힐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폭등의 소비전력은 종래와 동일한 수준으로 형성하되, 상기 방폭등에 내설되는 발광다이오드 기판을 다중으로 형성함으로써, 소비전력 대비 더욱 높은 조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고정형성된 발광다이오드 기판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기판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체결되어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투명부재로 형성된 투광부와; 중앙에 투광부 끼움체결공간이 형성되어 체결봉과 체결나사로써 하우징의 저면에 체결되는 투광부 체결판;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반볼록렌즈형으로 형성되되,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이 먼저 닿는 1차 굴절면은 발광다이오드 기판을 기준으로 오목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1차 굴절면을 통과한 빛이 한번 더 통과하는 2차 굴절면은 외측으로 볼록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투광부는, 1차 굴절면을 형성하는 오목면의 곡률반경이 2차 굴절면을 형성하는 볼록면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내설되는 발광다이오드 기판은 3중으로 분산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투광부는, 1차 굴절면의 직경과, 1차 굴절면에서 2차 굴절면까지의 중앙부 두께의 비율이 1.9 : 1인 반볼록렌즈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부의 1차 굴절면은 오목면으로 형성하되, 상기 1차 굴절면의 둘레부에서 오목하게 패인 1차 굴절면의 중앙부까지의 수직높이와 1차 굴절면의 둘레부에서 2차 굴절면의 중앙부까지의 수직높이의 비율은 1:10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이 처음 닿는 1차 굴절면을 발광다이오드 기판을 기준으로 오목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1차 굴절면을 통과한 빛이 닿는 2차 굴절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면으로 형성하여, 확산되는 방향으로 이중 굴절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빛이 조사되는 면적이 더욱 확산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와 같이 빛이 조사되는 면적의 확산으로 인해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조도는 더욱 높아지게 되어 동일한 소비전력으로도 조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아울러, 상기와 같은 투광부가 설치된 구성에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발광다이오드 기판 구성을 더하게 되면, 빛이 조사되는 면적이 확산되면서, 확산된 조사면적에서의 조도는 더욱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와 같이 소비전력은 종래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한 투광부와 발광다이오드 기판의 다중 배치구조를 통해 조도 및 조사면적의 획기적 향상을 통해 전력에너지를 상대적으로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폭등의 내부 구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폭등의 투광부 상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폭등의 3중 발광다이오드 기판 체결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폭등의 체결구조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투광부의 실시예시도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과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0a)가 고정형성된 발광다이오드 기판(10)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이 내장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일측면에 체결되어 발광다이오드(10a)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투명부재로 형성된 투광부(30);로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 방폭등(A)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30)는, 반볼록렌즈형으로 형성되되, 발광다이오드(10a)에서 발생된 빛이 먼저 닿는 1차 굴절면(30a)은 발광다이오드 기판을 기준(10)으로 오목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1차 굴절면(30a)을 통과한 빛이 한번 더 통과하는 2차 굴절면(30b)은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1차 굴절면(30a)의 곡률반경은 2차 굴절면(30b)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광부(30)에 먼저 닿는 1차 굴절면(30a)을 오목면으로 형성하게 되면,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광부(30)로 고스란히 입사되면서, 1차 굴절면(30a)을 기준으로 투광부(30) 내부에서 사방으로 퍼지게 된다.
상기 1차 굴절면(30a)을 통해 사방으로 퍼지는 빛은 광원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2차 굴절면(30b)을 통과하게 되면, 1차 굴절면(30a)을 통과하면서 확산되는 방향으로 굴절된 빛은 2차 굴절면(30b)을 통과하면서 또 한번 더 확산되는 방향으로 굴절되므로, 결과적으로 이중으로 확산굴곡되어 외부로 조사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내용과 관련하여, 아래 표 1은 반볼록렌즈형으로 형성된 투광부에 있어서, 1차 굴절면(30a)을 평면으로 형성한 것과, 오목면으로 형성한 것의 빛 확산 방향을 상세하게 대조한 것이다.
Figure 112010045408815-pat00001
상기와 같이 투광부(30)를 반볼록렌즈형으로 형성하되,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이 먼저 닿은 1차 굴절면(30a)을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을 기준으로 오목면으로 형성한 것은 종래의 구성에 비해 빛을 더욱 확산시켜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인 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30와트 발광다이오드 방폭등(1차 굴절면이 평면이고 2차 굴절면은 볼록면인 반볼록렌즈형 투광부를 채용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과 본 발명에 의한 투광부(30)를 채용한 18와트 발광다이오드 방폭등(1차 굴절면은 오목면이고, 2차 굴절면은 볼록면인 반볼록렌즈형 투광부를 채용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의 조도를 아래 표 2와 같이 비교하여 보았다.
Figure 112010045408815-pat00002
상기 표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차 굴절면(30a)이 평면으로 형성된 반볼록렌즈형 투광부(30)를 채용한 30와트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은, 상기 방폭등으로부터 수직 하향의 0.9미터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조도를 측정한 결과 555Lux, 수직 하향의 1.8미터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측정한 결과 105Lux의 조도가 측정됨을 알 수 있고, 상기 수직 하향 1.8미터를 기준으로 반경 0.6미터의 면적에서는 114Lux, 반경 1.2미터의 면적에서는 65Lux의 조도가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1차 굴절면(30a)이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을 기준으로 오목면으로 형성된 반볼록렌즈형 투광부(30)를 채용한 18와트 발광다이오드 방폭등(A)은, 상기 방폭등(A)으로부터 수직 하향의 0.9미터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조도를 측정한 결과 612Lux, 수직 하향의 1.8미터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측정한 결과 169Lux가 측정됨을 알 수 있고, 상기 수직 하향 1.8미터를 기준으로 반경 0.6미터의 면적에서는 154Lux, 반경 1.2미터의 면적에서는 109Lux의 조도가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 표 2를 살펴보면, 종래의 볼록렌즈형 투광부에 비해 1차 굴절면(30a)이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을 기준으로 오목면으로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볼록렌즈형 투광부(30)는, 동일한 수직 위치에서 종래 구성에 비해 57Lux(0.9미터), 64Lux(1.8미터)가 더 높은 조도가 측정됨을 알 수 있고, 동일한 수평위치(수직 하향 1.8미터 기준)에서는 종래에 비해 40Lux(반경 0.6미터), 44Lux(반경 1.2미터)가 더 높은 조도가 측정됨을 알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표 2의 결과를 표 1의 빛의 진행방향도와 함께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투광부(30)는 광원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종래의 투광부에 비해 동일한 위치에서는 더욱 높은 조도를 제공하면서, 빛이 조사되는 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봄이 상당하다.
더구나,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투광부(30)를 종래의 투광부와 비교할 때에 사용한 방폭등은 18와트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으로서, 비교대상으로 삼은 30와트 발광다이오드 방폭등보다 12와트가 적은 방폭등으로 시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도의 수치가 더 높게 측정되고 있음을 살펴볼 때, 동일한 30와트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을 사용하여 투광부(30)로 인한 조도 차이를 시험하게 되면, 동일 위치에서 측정되는 조도는 현저하게 차이가 발생될 것임은 충분히 예상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방폭등(A)의 하우징(20)에 내설되는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을 형성하였던 종래와는 달리, 상기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을 다중으로 형성하되, 소비전력은 종래와 동일한 수준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조도를 더욱 향상시킨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방폭등은 54와트의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기판(10)으로 구성된 것이라 가정할 때,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18와트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을 하우징(20)에 일정간격으로 내설하여 총 54와트의 소비전력으로 발광되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배치구조와 조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소비전력이 54와트로 형성된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은 하우징(20) 저면의 중앙에 집중설치되며, 이러한 종래의 배치구조는 빛이 조사되는 방향이 중앙으로 집중되어 반볼록렌즈형 투광부(30)를 적용하더라도 최종적으로 빛이 확산되는 범위는 그다지 넓지 아니하다.
이에 반해, 소비전력을 종래의 54와트와 동일한 수준으로 형성하더라도 3개의 18와트 발광다이오드 기판(10)으로 하우징(20)의 저면에 형성하게 되면, 일정간격으로 분산시켜 형성하게 되고, 3중으로 분산된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은 중앙에 집중된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기판을 형성한 종래에 비해 더욱 넓은 면적으로 고른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폭등(A)의 하우징(20)에 내설되는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을 상기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분산되는 다중으로 형성하되, 상기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의 빛이 직선으로 발사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투광부(30)를 상기와 같이 1차 굴절면(30a)은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을 기준으로 오목면으로 형성하고, 2차 굴절면(30b)은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면으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기판과 반볼록렌즈형으로 형성된 투광부(30)를 가진 종래의 방폭등에 비해 조도는 더욱 밝아지고, 확산되는 면적은 더욱 넓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내용과 관련하여,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이 중앙집중식으로 내설된 54와트 발광다이오드 방폭등과 3개의 18와트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이 분산설치된 54와트 발광다이오드 방폭등(A)의 조도를 아래 표 3과 같이 비교하여 보았다.
Figure 112010045408815-pat00003
위 표 3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기판이 중앙집중식으로 설치된 54와트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의 조도를 수직 하향의 0.9미터에서 측정한 결과 1195Lux의 조도가 측정되고, 수직 하향의 1.8미터에서 측정한 결과 388Lux의 조도가 측정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수직 하향의 1.8미터를 기준으로 반경 0.6미터의 면적에서는 243Lux, 반경 1.2미터의 면적에서는 115Lux의 조도가 측정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3개의 18와트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을 분산설치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A)의 조도를 수직 하향의 0.9미터에서 측정한 결과 1446Lux의 조도가 측정되고, 수직 하향의 1.8미터에서 측정한 결과 443Lux의 조도가 측정되며, 상기 수직 하향의 1.8미터를 기준으로 반경 0.6미터의 면적에서는 375Lux, 반경 1.2미터의 면적에서는 267Lux의 조도가 측정됨을 알 수 있다.
위 표 3을 살펴보면, 종래의 중앙집중식 발광다이오드 기판이 내설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해 18와트 발광다이오드 기판이 3중으로 내설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A)은, 동일한 수직 위치에서 251Lux(0.9미터), 55Lux(1.8미터)가 더 높은 조도로 측정됨을 알 수 있고, 동일한 수평위치(수직 하향 1.8미터 기준)에서 132Lux(반경 0.6미터), 152Lux(반경 1.2미터)가 더 높은 조도로 측정됨을 알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3개의 18와트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을 분산설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A)은, 종래의 구성에 비해 더욱 높은 조도를 제공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투광부(30)의 구성과,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의 다중 설치 구성을 하나로 어우러져 형성하게 되면, 동일한 소비전력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도는 현저하게 높아짐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저면 중앙에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0a)가 고정체결된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이 내설되고, 그 외측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투광부(30)가 구비되되, 상기 투광부(30)는 이중으로 형성된 투광부 체결판(40) 중앙에 끼움체결되어져 체결봉(50)과 체결나사(60)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20)의 저면에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광부 체결판(40)의 중앙에 끼움체결되는 투광부(30)의 1차 굴절면(30a)은 직경이 70mm, 1차 굴절면(30a)의 둘레부로부터 2차 굴절면(30b)의 중앙부까지의 수직높이는 36.9mm, 즉, 1.9 : 1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1차 굴절면(30a)의 둘레부로부터 오목하게 패인 1차 굴절면(30a)의 중앙부까지의 수직높이는 3.69mm가 되도록 오목하게 형성하여, 상기 1차 굴절면(30a)의 둘레부에서 오목하게 패인 1차 굴절면(30a)의 중앙부까지의 수직높이와 1차 굴절면(30a)의 둘레부에서 2차 굴절면(30b)의 중앙부까지의 수직높이는 1 : 10의 비율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 외 구체적 구성들은 이미 공지된 내용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 외에도 발광다이오드 방폭등(A)에 본 발명의 투광부(30)와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든 채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 : 발광다이오드 방폭등
10 : 발광다이오드 기판
10a : 발광다이오드
20 : 하우징
30 : 투광부
30a : 1차 굴절면
30b : 2차 굴절면
40, 40a, 40b : 투광부 체결판
50 : 체결봉
60 : 체결나사

Claims (5)

  1.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0a)가 고정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기판(10)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이 내장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일측면에 체결되어 발광다이오드(10a)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투명부재로 형성된 투광부(30)와; 중앙에 투광부 끼움체결공간이 형성되어 체결봉(50)과 체결나사(60)로써 하우징(20)의 저면에 체결되는 투광부 체결판(40);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 방폭등(A)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저면에 체결되는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은 3중으로 분산 형성되며, 상기 투광부(30)는, 반볼록렌즈형으로 형성되되, 발광다이오드(10a)에서 발생된 빛이 먼저 닿는 1차 굴절면(30a)은 발광다이오드 기판(10)을 기준으로 오목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1차 굴절면(30a)을 통과한 빛이 한번 더 통과하는 2차 굴절면(30b)은 외측으로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1차 굴절면(30a)을 형성하는 오목면의 곡률반경이 2차 굴절면(30b)을 형성하는 볼록면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1차 굴절면(30a)의 직경과, 1차 굴절면(30a)의 둘레부에서 2차 굴절면(30b)의 중앙부까지의 수직높이의 비율이 1.9 : 1인 반볼록렌즈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1차 굴절면(30a)의 둘레부에서 오목하게 패인 1차 굴절면(30a)의 중앙부까지의 수직높이와 1차 굴절면(30a)의 둘레부에서 2차 굴절면(30b)의 중앙부까지의 수직높이의 비율은 1 : 10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67903A 2010-07-14 2010-07-14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 KR10113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903A KR101132883B1 (ko) 2010-07-14 2010-07-14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903A KR101132883B1 (ko) 2010-07-14 2010-07-14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46A KR20120007246A (ko) 2012-01-20
KR101132883B1 true KR101132883B1 (ko) 2012-04-03

Family

ID=4561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903A KR101132883B1 (ko) 2010-07-14 2010-07-14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733B1 (ko) 2012-12-04 2013-08-21 (주)대영인테리어 싱크대 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1535A (zh) * 2016-07-14 2016-10-26 潍坊歌尔光电有限公司 一种led防爆灯
CN108266667B (zh) * 2018-01-25 2021-01-19 深圳民爆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高安全等级智能led防爆灯
KR102180248B1 (ko) * 2018-04-30 2020-11-19 (주)프라우텍 엘이디 방폭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9354A (ja) 2003-10-23 2005-05-1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照明装置
KR20060106172A (ko) * 2005-04-06 200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렌즈, 이를 갖는 광학 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448868Y1 (ko) * 2009-09-22 2010-05-27 이재운 조명기구용 엘이디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9354A (ja) 2003-10-23 2005-05-1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照明装置
KR20060106172A (ko) * 2005-04-06 200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렌즈, 이를 갖는 광학 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448868Y1 (ko) * 2009-09-22 2010-05-27 이재운 조명기구용 엘이디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733B1 (ko) 2012-12-04 2013-08-21 (주)대영인테리어 싱크대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46A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2689B (zh) 燈具
US8390182B2 (en) Light emitting diode bulb
KR100982727B1 (ko) Led 조명기구
JPWO2010001604A1 (ja) 照明装置
JP2009026584A (ja) 照明装置
CN105090887B (zh) Led灯具及其光学透镜
TWI596304B (zh) 透鏡結構及使用該透鏡結構的燈具、背光模組與顯示裝置
KR101132883B1 (ko) 반볼록렌즈형 투광부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방폭등
JP2012175013A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20110023231A (ko) 봉형 엘이디조명등기구
KR100900953B1 (ko) 가로등
KR101080328B1 (ko) 광 효율이 향상된 조명용 led 램프
CN103672461B (zh) 发光二极管灯具
TW201339502A (zh) 燈具結構
WO2012035841A1 (ja) Led照明装置
KR20170064433A (ko) 벌브형 led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1080330B1 (ko) 광 확산 렌즈가 형성된 led 조명장치
KR101082355B1 (ko) 확산 및 투과율이 우수한 엘이디 조명등용 커버체
KR101511776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휘도 엘이디 작업램프
TWM423203U (en) High-brightness LED lamp structure
KR101080326B1 (ko) 광 효율이 향상된 조명용 led 램프
KR101389979B1 (ko) 엘이디 램프
CN104110619B (zh) 广配光灯罩及具有广配光灯罩的灯具
KR20130102852A (ko) 형광등형 엘이디 조명기구
KR20110085308A (ko) 발광다이오드램프용 확산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