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329B1 - 입체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329B1
KR101132329B1 KR1020100068822A KR20100068822A KR101132329B1 KR 101132329 B1 KR101132329 B1 KR 101132329B1 KR 1020100068822 A KR1020100068822 A KR 1020100068822A KR 20100068822 A KR20100068822 A KR 20100068822A KR 101132329 B1 KR101132329 B1 KR 101132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transparent substrate
lens surface
converting lay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143A (ko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 filed Critical 박철
Priority to KR1020100068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3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2차원(2D) 모드와 3차원(3D)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제공되며 일면에 렌즈면이 구비된 제1투명기판, 렌즈면을 마주하도록 제공되는 제2투명기판, 및 제1투명기판 및 제2투명기판의 사이에 충진되며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가변되는 굴절률 변환층을 포함하고, 굴절률 변환층의 굴절률 변화에 따라 렌즈면을 통과하는 빛은 선택적으로 직진 또는 굴절된다.

Description

입체영상 표시장치{STEREOSCOPIC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선택적으로 평면영상을 표시하는 2차원(2D) 모드와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3차원(3D)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입체감을 느끼는 방법으로는 사람의 눈, 즉, 좌안(左眼) 및 우안(右眼)의 양안을 이용하여 느낄 수도 있고, 좌안 또는 우안의 어느 한쪽을 이용하여 느낄 수도 있다. 이때, 사람이 좌/우 양안을 이용하여 어떤 물체를 보는 경우 좌안 및 우안의 양안이 상호 간에 떨어져 있으므로 이 양안에 들어오는 물체의 영상(image)은 약간의 차이가 있게 된다. 즉,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다른 하나씩의 영상을 보게 되는 것으로 이를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라 한다. 이 양안시차에 의해 들어오는 영상은 망막의 시세포에 기록되고 양안으로 받아들인 각도와 서로 다른 두 영상을 뇌가 합성하면서 사람은 하나의 영상을 느끼게 되며 입체감과 거리감을 느끼게 된다.
한편, 현재까지의 입체영상 시스템은 이러한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시스템과, 공간에 실제의 입체영상을 구현하여 입체영상 시스템을 실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 알려진 입체영상 표시방식으로서는, 안경을 사용하는 안경방식과 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무안경방식 등이 있다.
안경방식으로는 색안경을 사용하는 아나글리프(anaglyph)방식과, 시간분할주기에 동기되는 전자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사용하는 시분할방식, 및 편광방향이 다른 편광안경을 사용하는 편광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안경방식은 안경착용에 따른 불편함 및 위생문제가 뒤따르고, 특수안경에 대한 이물감 및 비연속 이미지를 시분할에 의해 안경에서 광학적으로 이미지를 막아주는 것으로 인해 두뇌에 무리를 줌으로써 어지러움증을 포함한 악영향 줄 우려가 있다.
무안경방식으로는 렌즈어레이를 수직으로 배열시킨 랜티큘러렌즈를 사용하는 랜티큘러(lenticular)방식과, 패러랙스배리어(parallax barrier)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 렌티큘러방식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렌티큘러렌즈가 영구 고정된 렌티큘러어레이를 이용하여 입체화상을 구현함에 따라 3D 전용으로만 활용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안시차에 의한 스테레오그라피를 통해 유도된 입체영상을 장시간 시청할 경우 관찰자는 메스꺼움이나 피로감 등을 느낄 수 있는 바, 평면영상의 2D 모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매번 렌티큘러어레이를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2차원(2D) 모드와 3차원(3D)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대한 일부 대책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2차원(2D) 모드와 3차원(3D)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를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평면 및 입체 영상 모드 전환이 용이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2차원(2D) 모드와 3차원(3D)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제공되며 일면에 렌즈면이 구비된 제1투명기판, 렌즈면을 마주하도록 제공되는 제2투명기판, 및 제1투명기판 및 제2투명기판의 사이에 충진되며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가변되는 굴절률 변환층을 포함하고, 굴절률 변환층의 굴절률 변화에 따라 렌즈면을 통과하는 빛은 선택적으로 직진 또는 굴절된다.
제1투명기판 및 제2투명기판은 PET, PC, PE 등의 합성수지 필름이나 유리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투명기판 및 제2투명기판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용도에 적합한 가독성(readability)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서 약간의 불투명한 정도를 포함하는 경우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1투명기판 및 제2투명기판은 서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제1투명기판 및 제2투명기판이 서로 동일한 굴절률을 가진다 함은, 제1투명기판 및 제2투명기판이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제1투명기판 및 제2투명기판이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굴절률을 갖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라 함은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표시장치, 전계방출표시장치, 전기발광표시장치, 브라운관 등과 같은 통상의 표시장치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개인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투명기판에 형성되는 렌즈면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투명기판의 상면에는 평면 구조(예를 들어, 삼각형 단면형상)의 렌즈면이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렌즈면이 여타 다른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렌즈면이 곡면 구조(예를 들어, 오목렌즈 형상 또는 볼록렌즈 형상)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굴절률 변환층은 고체 또는 유체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굴절률 변환층의 굴절률을 가변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굴절률 변환층은 통상의 엘씨디(LCD)에 사용되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액정을 이용한 굴절률 변환층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가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전계에 의한 전기영동(electrophoresis) 현상에 의해 굴절률 변환층의 굴절률이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액정 외에 유동성을 갖는 여타 다른 통상의 유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원이 인가되는 방식 외에도 온도, 압력 및 주파수 변화 등에 의해 굴절률 변환층의 굴절률이 선택적으로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굴절률 변환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조 및 방식은 역시 선택적으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 렌즈면에는 제1투명전극이 소정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렌즈면을 마주하는 제2투명기판의 일면에는 제2투명전극이 소정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투명전극 및 제2투명전극에 전원에 인가됨에 따라 굴절률 변환층의 굴절률이 가변될 수 있다.
굴절률 변환층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가변될 수 있으며, 굴절률 변환층의 굴절률 변화에 따라 렌즈면을 통과하는 빛은 직진 또는 굴절될 수 있다. 일 예로, 2차원 모드시에는 굴절률 변환층에 인가되는 전원이 오프(OFF)될 수 있으며,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제1투명기판, 굴절률 변환층 및 제2투명기판이 모두 동일 또는 유사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방출된 빛은 렌즈면을 통과하는 동안 굴절되지 않고 직진으로 렌즈면을 통과할 수 있으며, 그 결과 2차원(2D) 모드의 평면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3차원(3D) 모드시에는 굴절률 변환층에 인가되는 전원이 온(ON)될 수 있으며,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는 굴절률 변환층이 제1투명기판 및 제2투명기판과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방출된 빛은 렌즈면을 통과하는 동안 굴절될 수 있으며, 그 결과 3차원(3D) 모드의 입체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2차원(2D) 모드와 3차원(3D)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부품 및 요소를 교체하거나 변경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단순히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킴으로써, 유체 렌즈층의 굴절률을 가변시켜 2차원 영상 모드 또는 3차원 영상 모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드 전환을 위해 별도의 부품 및 요소를 교체하거나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산에 적합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전원을 온/오프(ON/OFF)함에 따라 영상 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모드 전환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모드 전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로서, 2차원(2D) 모드에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로서, 3차원(3D) 모드에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제1투명기판(110), 제2투명기판(220) 및 굴절률 변환층(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투명기판(110)은 소정 크기를 갖는 박막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00)의 전면에 제공된다. 상기, 제1투명기판(110)은 PET, PC, PE 등의 합성수지 필름이나 유리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투명기판(110)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용도에 적합한 가독성(readability)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서 약간의 불투명한 정도를 포함하는 경우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100)라 함은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표시장치, 전계방출표시장치, 전기발광표시장치, 브라운관 등과 같은 통상의 표시장치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0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투명기판(110)이 디스플레이부(100)의 전면에 제공된다 함은, 제1투명기판(110)이 디스플레이부(100)와 별도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장착되거나, 제1투명기판(110)이 디스플레이부(100)를 구성하는 구성부품 중 하나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투명기판(110)의 일면에는 렌즈면(212)이 형성된다. 상기 렌즈면(212)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투명기판(110)의 상면에 삼각형 단면형상의 렌즈면(212)이 규칙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렌즈면이 여타 다른 다각형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렌즈면이 오목렌즈 단면형상 또는 볼록렌즈 단면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투명기판(220)은 제1투명기판(11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박막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투명기판(110)의 렌즈면(212)을 마주하도록 제1투명기판(110)의 상부에 제공된다. 상기 제1투명기판(110)과 제2투명기판(220)의 사이에 후술할 굴절률 변환층(2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투명기판(220)은 제1투명기판(110)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제공되는 바, 상기 제1투명기판(110)에 대한 제2투명기판(220)의 이격 간격은 통상의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유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간격 유지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투명기판(220)은 PET, PC, PE 등의 합성수지 필름이나 유리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투명기판(220) 역시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용도에 적합한 가독성(readability)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서 약간의 불투명한 정도를 포함하는 경우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투명기판(220)은 제1투명기판(110)과 서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투명기판(220) 및 제1투명기판(110)이 서로 동일한 굴절률을 가진다 함은, 제1투명기판(110) 및 제2투명기판(220)이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제1투명기판(110) 및 제2투명기판(220)이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굴절률을 갖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은 제1투명기판(110) 및 제2투명기판(220)의 사이에 충진되며,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은 고체 또는 유체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률을 가변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굴절률 변환층(230)은 통상의 엘씨디(LCD)에 사용되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액정분자는 전압이 인가됨에 따른 외부 전계에 의해 분자배열이 변화될 수 있으며, 액정분자의 배열 변화에 따라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률이 선택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전계에 의한 액정분자의 분자배열 변화에 의해 굴절률 변환층의 굴절률이 가변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전계에 의한 전기영동(electrophoresis) 현상에 의해 굴절률 변환층의 굴절률이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르게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여타 다른 통상의 유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에는 통상의 전압인가수단에 의해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렌즈면(212)에는 제1투명전극(240)이 소정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렌즈면(212)을 마주하는 제2투명기판(220)의 일면에는 제2투명전극(250)이 소정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투명전극(240) 및 제2투명전극(250)에 전원에 인가됨에 따라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률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1투명전극(240) 및 제2투명전극(250)은 ITO, IZO, 탄소나노튜브(CNT) 등과 같이 통상의 투명한 도전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투명전극(240) 및 제2투명전극(25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로서, 2차원(2D) 모드에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로서, 3차원(3D) 모드에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률 변화에 따라 렌즈면(212)을 통과하는 빛은 직진 또는 굴절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2차원(2D) 모드시에는 제1투명기판(110), 굴절률 변환층(230) 및 제2투명기판(220)이 모두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렌즈면(212)을 통과하는 빛은 직진으로 통과될 수 있다. 일 예로, 2차원 모드시에는 굴절률 변환층(230)에 인가되는 전원이 오프(OFF)될 수 있으며,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제1투명기판(110), 굴절률 변환층(230) 및 제2투명기판(220)이 모두 동일 또는 유사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로부터 방출된 빛은 렌즈면(212)을 통과하는 동안 굴절되지 않고 직진으로 렌즈면(212)을 통과할 수 있으며, 그 결과 2차원(2D) 모드의 평면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3차원(3D) 모드시에는 굴절률 변환층(230)이 제1투명기판(110) 및 제2투명기판(220)과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렌즈면(212)을 통과하는 빛은 굴절될 수 있다. 일 예로, 3차원 모드시에는 굴절률 변환층(230)에 인가되는 전원이 온(ON)될 수 있으며,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는 굴절률 변환층(230)이 제1투명기판(110) 및 제2투명기판(220)과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로부터 방출된 빛은 렌즈면(212)을 통과하는 동안 굴절될 수 있으며, 그 결과 3차원(3D) 모드의 입체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투명기판의 일면에만 렌즈면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투명기판(110)의 렌즈면(212)을 마주하는 제2투명기판(220)의 일면에 가이드렌즈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투명기판(220)의 가이드렌즈면은 제1투명기판(110)의 렌즈면(212)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2투명기판의 가이드렌즈면이 제1투명기판의 렌즈면과 다른 구조 및 배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제공되는 제1투명기판 및 제2투명기판 중 디스플레이부에 인접한 제1투명기판에 렌즈면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제공되는 제1투명기판 및 제2투명기판 중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제2투명기판에 렌즈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4 및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의 전면에는 제1투명기판(110'), 굴절률 변환층(230') 및 제2투명기판(220')이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투명기판(110')을 마주하는 제2투명기판(220')의 일면에는 렌즈면(2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률이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률 변화에 따라 렌즈면(222')을 통과하는 빛이 직진 또는 굴절됨으로써, 2차원(2D) 모드의 평면영상 또는 3차원(3D) 모드의 입체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일면에 렌즈면(212")이 구비된 제1투명기판(210"), 상기 렌즈면(212")을 마주하도록 제공되는 제2투명기판(220"), 및 상기 제1투명기판(210") 및 제2투명기판(220")의 사이에 충진되며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가변되는 굴절률 변환층(230")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면(212")은 경사면(214b) 및 수직면(214a)으로 이루어진 직각삼각형 형상의 광학돌기(214)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돌기(214)는 디스플레이부의 화소(pixel)당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좌/우 화소(pixel)에 대응되는 렌즈면(212")은 직각삼각형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광학돌기(214)에 의해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굴절을 위한 경사면(214b)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제1투명기판(210")의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전력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좌/우 화소에 대응되는 렌즈면 영역은 특정 화소에 대응되는 빛만을 특정 방향으로 굴절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부는 한 화소당 대략 100㎛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제공되는데, 광학돌기가 이등변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서로 다른 특정 화소에 대응되는 빛이 통과하는 두개의 경사면이 충분한 경사각도를 가지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광학돌기의 두께(높이)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광학돌기의 두께(높이)가 커질수록 제1투명기판, 굴절률 변환층 및 제2투명기판을 포함하는 광학층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고, 광학층의 두께 증가에 비례하여 전력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직각삼각형 형상을 갖는 광학돌기(214)가 좌/우 화소(pixel)당 복수개가 배치되며 좌/우 화소에 대응되는 렌즈면(212")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면(214b)의 경사 각도를 일정 이상 유지함과 동시에 제1투명기판(210")의 두께를 매우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1투명기판(210"), 굴절률 변환층(230") 및 제2투명기판(220")을 포함하는 광학층의 전체적인 두께를 매우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각삼각형 형상의 광학돌기(214)를 갖는 광학층의 전체적인 두께(T)는 4㎛ 정도로 매우 슬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저전력으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렌즈면의 상면에 제1투명전극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투명전극(240")의 상면에 렌즈면(21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렌즈면(212")에서 제1투명전극(240")에 의한 굴절률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투명전극이 렌즈면의 상면에 형성될 경우, 렌즈면은 소정의 전기전도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3차원 모드시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률(n2)은 제1투명기판(210") 및 제2투명기판(220")의 굴절률(n1)보다 크거나 작게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투명기판(210") 및 제2투명기판(220")에 대한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률이 크거나 작음에 따라(n2>n1 또는 n2<n1) 상기 렌즈면(212")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률이 제1투명기판(210") 및 제2투명기판(220")의 굴절률보다 클 경우(n2>n1), 렌즈면(212")을 통과하는 빛은 도면상 빛이 입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굴절될 수 있다. 반대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률이 제1투명기판 및 제2투명기판의 굴절률보다 작을 경우(n2<n1), 렌즈면을 통과하는 빛은 도면상 빛이 입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굴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굴절률 변환층(230)을 형성하는 막대 형상의 액정분자가 장축에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고, 액정분자가 장축에 수직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율을 정상 굴절률(ordinary refractive index)이라 정의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액정분자가 장축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고, 액정분자가 장축에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율을 비정상 굴절률(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이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의 정상 굴절률은 제1투명기판(210) 및 제2투명기판(220)의 굴절률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의 비정상 굴절률은 제1투명기판(210) 및 제2투명기판(220)의 굴절률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이 비정상 굴절률을 가질 경우에는, 굴절률 변환층(230)과 제1투명기판(210) 간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전술한 렌즈면(212)을 통과하는 빛이 적절히 굴절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굴절률 변환층의 비정상 굴절률을 각 투명기판의 굴절률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의 정상 굴절률 및 비정상 굴절률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의 굴절률 변화는 다음 문헌 "Super High Birefringence Isothiocyanato Biphenyl-Bistolane Liquid Crystals"(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43, No. 11A, 2004, pp. 7634-7638)을 통해 인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굴절률 변환층(230)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각은 빛의 입사각도에 의거하여 통상의 스넬의 법칙(n1sinθ1 = n2sinθ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굴절률 변환층(230)의 정상 굴절률(n1=1.52), 비정상 굴절률(n2=1.74) 및 빛의 입사각(60도)을 알고, 제1투명기판(210) 및 제2투명기판(220)의 굴절률이 굴절률 변환층(230)의 정상 굴절률과 동일할 경우, 상기 스넬의 법칙을 이용(1.52*sin60 = 1.74*sinθ2)하여 렌즈면(212)을 통과하는 굴절각(θ2)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부 210 : 제1투명기판
212 : 렌즈면 220 : 제2투명기판
230 : 굴절률 변환층 240 : 제1투명전극
250 : 제2투명전극

Claims (9)

  1.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2차원(2D) 모드와 3차원(3D)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제공되며, 일면에 렌즈면이 구비된 제1투명기판;
    상기 렌즈면을 마주하도록 제공되는 제2투명기판; 및
    상기 제1투명기판 및 상기 제2투명기판의 사이에 충진되며,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가변되는 굴절률 변환층;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면은 경사면 및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직각삼각형 형상의 광학돌기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광학돌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소(pixel)당 복수개가 제공되고,
    상기 굴절률 변환층의 굴절률 변화에 따라 상기 렌즈면을 통과하는 빛은 선택적으로 직진 또는 굴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모드시 상기 렌즈면을 통과하는 빛이 직진되도록 하고, 상기 3차원 모드시 상기 렌즈면을 통과하는 빛이 굴절되도록 상기 굴절률 변환층의 굴절률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변환층은 고체 또는 유체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변환층은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제공되며, 상기 액정을 이용한 상기 굴절률 변환층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면에는 제1투명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면을 마주하는 상기 제2투명기판의 일면에는 제2투명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1투명전극 및 상기 제2투명전극에 전원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 굴절률 변환층의 굴절률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기판 및 상기 제2투명기판은 서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표시장치, 전계방출표시장치, 전기발광표시장치, 브라운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0100068822A 2010-07-16 2010-07-16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132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822A KR101132329B1 (ko) 2010-07-16 2010-07-16 입체영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822A KR101132329B1 (ko) 2010-07-16 2010-07-16 입체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43A KR20120008143A (ko) 2012-01-30
KR101132329B1 true KR101132329B1 (ko) 2012-04-05

Family

ID=4561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822A KR101132329B1 (ko) 2010-07-16 2010-07-16 입체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39307A1 (en) * 2014-06-26 2017-05-18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Center For Industry Collaboration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07B1 (ko) * 2014-11-17 2016-02-2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122A (ko) * 2005-07-07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122A (ko) * 2005-07-07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39307A1 (en) * 2014-06-26 2017-05-18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Center For Industry Collaboration Display device
US10295884B2 (en) 2014-06-26 2019-05-21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Center For Industry Collaboration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43A (ko) 201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234B1 (ko) 액정 전계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
CN102073142B (zh) 立体显示单元
KR101263697B1 (ko) 렌티큘러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CN201765418U (zh) 裸眼立体显示装置
US8582043B2 (en) 2D/3D switchable LC lens unit for use in a display device
TWI472802B (zh) 顯示裝置
JP5944616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TWI417575B (zh) 電驅動液晶透鏡及使用其之立體顯示器
US965179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9772500B2 (en) Double-layered liquid crystal lens and 3D display apparatus
US20120026161A1 (en) Stereoscopic display
CN101968595A (zh) 2d/3d切换的液晶透镜组件及显示装置
KR20140023844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3185982B (zh) 背光源装置、2d/3d切换型显示装置
KR20070082654A (ko) 입체영상 변환패널 및 이를 갖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US9030643B2 (en) Liquid crystal optical elemen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5912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wo-dimensional (2D) and three-dimensional (3D) display
CN102193204A (zh) 立体显示器及立体显示***
TWI471608B (zh) 裸眼與眼鏡可切換式立體顯示裝置
CN103226247B (zh) 一种立体显示装置及立体显示方法
CN101852923A (zh) 基于单像素液晶透镜的三维立体显示屏
TW201334510A (zh) 裸眼與眼鏡可切換式立體顯示裝置
KR101132329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20054195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0811818B1 (ko)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용 렌티큘러 액정셔터 및 이를 갖는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