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41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receiving alar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receiving al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414B1
KR101126414B1 KR1020040069159A KR20040069159A KR101126414B1 KR 101126414 B1 KR101126414 B1 KR 101126414B1 KR 1020040069159 A KR1020040069159 A KR 1020040069159A KR 20040069159 A KR20040069159 A KR 20040069159A KR 101126414 B1 KR101126414 B1 KR 101126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
alarm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20337A (en
Inventor
정우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9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414B1/en
Publication of KR20060020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3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4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동작 상태마다 설정된 착신 모드들이 저장되는 착신 모드 저장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착신 모드의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호 착신 알람 방식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호 착신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호 착신 알람을,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자동 변경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호 착신 알람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호 착신 알람으로 인해 방해받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a call reception alarm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ption mod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reception modes set for each operation state, and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changing the call reception alarm method to the call reception alarm method of the reception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coming call is detected, the incoming call alarm for notifying the user is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incoming call alarm metho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can prevent a case in which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call reception alarm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prevent a case where an operation currently perfor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turbed by the call reception alarm. have.

호 착신, 호 착신 알람 방식Call forwarding, call forwarding alarm system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RECEIVING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incoming alarm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RECEIVING ALAR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 착신 모드가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in which a call reception mode is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 착신시 자동으로 호 착신 알람 방식이 변경되는 동작의 흐름도.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utomatically changing a call reception alarm method when a call is receiv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 착신시의 알람 방식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arm method for incoming calls.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가 착신될 경우 사용자가 기 설정해 둔 알람 방식을 통해 호가 착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러한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방식에는 크게 벨 소리, 진동, 그리고 LED(LIGHT EMIT DISPLAY), 또 는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 착신시에 그 사실을 알리는 알람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알람 설정 방식은 과거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단순히 호 착신이나 호 발신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다. In general, when a call is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notifies the user that the call has been received through a preset alarm method. Alarms of such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 a ringing sound, a vibration, and an LED (LIGHT EMIT DISPLAY) or a display method on a screen.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m and use it as an alarm to inform the fact of the incoming call. In addition, such an alarm setting method has no problem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only an incoming call or a call originating function as in the pa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 착발신이라는 기본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외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예를 들어보면 현재에는 화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MP3 플레이어의 기능과 함께 대폭 향상된 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여 다수의 MP3 음악들을 저장하고 이를 감상할 수도 있는 MP3플레이어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이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TV(Television) 방송을 시청하거나,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드라마,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과 같은 동영상의 시청까지도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더욱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향후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 단말기의 기능을 포함하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However,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basi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ed call origination. For examp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image or a moving image have emerged.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function of the MP3 player and has a significantly improved capacity of the memory to store a plurality of MP3 music and can also enjoy the MP3 player combi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emerged. In addi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watching TV (Television) broadcasting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watching a video such as drama, movie, or animation through a service providing a video service are emerging.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eing developed in the form of including the function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iving terminal in the future.

그런데 이러한 새로운 기능들을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은, 사용자에게 호 착신을 알리는 호 착신 알람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거나, 현재 수행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우선 상기한 호 착신 알람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예를 들어보면, 사용자가 호 착신 알람 방식을 컬러링으로 설정하여 두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MP3 음악을 감상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호가 착신되면, 사용자는 현재 감상중인 MP3 음악으로 인해 호 착신 알람을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사용자가 설정한 컬러링 음악과 MP3 음악이 같은 음악일 경우에는, 사용자는 호가 착신되었음을 인식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현재 수행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방해하게 되는 예를 들어보면, 사용자가 호 착신 알람 모드를 진동으로 설정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호가 착신되면, 사용자가 촬영중인 화상 이미지나 동영상이, 호 착신을 알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으로 인해 심하게 화면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By the way,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new functions, a call reception alarm method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properly perform a call reception alarm function for notifying a call reception to a user, o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urrently being performed. Interference may occur. For example, if the call reception alarm func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the user may set the call reception alarm method to coloring and listen to MP3 music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user may not recognize the call reception alarm due to the MP3 music being listened to. Also, if the coloring music set by the user and the MP3 music are the same music, the user may not recognize that the call has been received. For example, when the user interferes with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call alert mode is set to vibration, and the image of the mobile terminal is taken by using a camera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mentioned. In this case,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screen image may be severely damaged due to the vib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ing of the call reception.

따라서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식은,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에게 호 착신 알람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거나, 현재 수행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방해하게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 alarm sett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ety of functions, do not properly perform the call notification alarm function to the user, or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urrently being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may b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호 착신 알람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 user from becoming aware of an incoming call alar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호 착신 알람으로 인해 방해받는 경우를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n operation currently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being disturbed by an incoming call alarm.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들에 각각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 방식들이 저장되어 있는 착신 모드 저장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현재 동작 상태에 따른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ll mode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call reception alarm scheme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re is a call recep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hange a call reception alarm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all reception alarm method according to the current operation state.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들에 대해 각각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 방식들을 설정받는 호 착신 알람 설정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착신이 있는가 여부를 체크하는 호 착신 체크 단계와, 상기 호 착신이 있을 경우, 상기 설정된 호 착신 알람 방식들 중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리는 호 착신 알람 단계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incoming alarm setting step of setting the corresponding call incoming alarm scheme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user, and a call to check whether there is a call incom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all checking alarm step of notifying the user that a call is received by a call reception alarm method corresponding to a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mong the set call reception alarm methods when the call is received; Equipp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동작 상황에 따른 착신 모드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여두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가 착신되었을 경우 해당 착신 모드 설정에 따른 호 착신 알람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호 착신을 알리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 모드들을 저장할 수 있는 착신 모드 저장부와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호 착신 알람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ts a reception mode according to each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vance, and the cal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is notified of the call reception using the call reception alarm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reception mode setting. To do tha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l mod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all mode set by the user 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utomatically changing the call reception alarm accordingly.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부(102), 키 입력부(104), 표시부(106), 베이스밴드(Baseband) 처리부(108), 코덱(CODEC: Coder-Decoder : 112)과 알람부(120), 그리고 카메라부(130)가 제어부(100)에 연결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mory unit 102, a key input unit 104, a display unit 106, a baseband processor 108, and a codec. -Decoder: 112, the alarm unit 120, and the camera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여기서 제어부(3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가 어떤 것인지를 감지하고, 현재 메모리부(102)의 착신 모드 저장부(128)로부터 상기 감지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호 착신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식별된 호 착신 모드에 따라 알람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호 착신 모드라는 것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동작 상태에 따라 각각 대응되게 설정해 놓은 호 착신 알람 방식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구비되어 화상 이미지나 동영상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부(130)가 사용되고 있는 중에, 호 착신 알람 방식들 중에서 벨소리를 선택한 경우라면, 카메라부(130)가 동작되는 동안에는 벨소리만을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설정된 호 착신 알람 방식을 호 착신 모드라고 한다. Here, the controller 300 processes voice signals and data according to protocols for telephone calls, data communications, and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controls each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etects w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ll according to the detected operating state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incoming mode storage unit 128 of the current memory unit 102 By selecting the incoming call mode, the alarm unit 12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dentified call incoming mode. Here, the call reception mode refers to call reception alarm methods that the user has set correspondingly according to each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a ringtone among call reception alarm methods while the camera unit 130 is provided with a camer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s an image image or video recording operation, the camera unit 130 During operation, only the ring tone is used to notify the user that the call has been received. As such, the call reception alarm system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each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led a call reception mode.

그리고 제어부(100)에 연결된 알람부(12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118), 진동 모터(122), 그리고 LED(Light Emit Display : 124)를 통해, 벨소리 또는 진동, 또는 LED에서 반짝이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호 착신을 알린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1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102)는 제어부(100)에서 이용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착신 모드 저장부(12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착신 모드 저장부(128)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착신 모드들이 저장되는 저장 장소로서, 호 착신이 있을 경우 상기한 제어부(100)는 이 착신 모드 저장부(128)로 접근하여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을 검색하게 된다. 이러한 착신 모드 저장부(128)를 포함하는 메모리부(1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104)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그리고 표시부(106)는 통상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여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호 착신이 있을 경우 이를 알리는 화상 정보를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한다. The alarm unit 12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through the speaker 118, the vibration motor 122, and the LED (Light Emit Display: 124) which are conn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Call the user with a flashing light from the, or LED.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02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stores various programs and data for use in the control unit 100, and includes a reception mode storage unit 12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ing. The incoming call mode storage unit 128 is a storage location for storing incoming call modes set by a user. When there is a call reception, the controller 100 approaches the incoming call mode storage unit 128 to operate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arch for the incoming call alarm corresponding to the status. The memory unit 102 including the incoming mode storage unit 128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 flash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the like. The ROM stores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00 and various reference data. The RAM provides a working memory of the controller 100, and the flash memory provides an area for storing various updatable data for storage.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04 includes various keys including numeric keys to provide the control unit 100 with a key input input by a user.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6 typically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o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s an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nd to display the image information informing of the incoming call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Display accordingly.                     

그리고 기지국과 RF신호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RF부(1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는 제어부(100)와 RF부(11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부(110)에 인가하며, RF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와 연결된 코덱(112)은 증폭부(114)를 통해 마이크(116) 및 스피커(118)와 접속되며, 마이크(116)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데이터를 제어부(100)에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122)를 통해 스피커(118)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122)는 마이크(116)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나 스피커(118)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The RF unit 110,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an RF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conver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signal, outputs the signal to the baseband processor 108, and outputs the baseband processor 108. The IF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e baseband processor 108 is a baseband analog ASIC (BBA) that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ler 100 and the RF unit 110. The baseband processor 108 converts a baseband digita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00 into an analog IF signal. The RF signal is applied to the RF unit 110, and the analog IF signal applied from the RF unit 110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of the baseband and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00. In addition, the codec 112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116 and the speaker 118 through the amplification unit 114, and performs PCM (Pulse Code Modulation) encoding on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116. Encoding is performed to output the voice data to the controller 100, and PCM decodes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controller 100 to the speaker 118 through the amplifier 122. The amplifier 122 amplifie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116 or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118, and adjusts the volume of the speaker and the gain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호 착신 알람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동작 상태에 따라 호 착신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이러한 호 착신 모드들을 설정하는 화면들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2의 (a)에서는 디스플레이된 메뉴들 중에서 사용자가 호 착신 설정 메뉴를 선택하는 화면을 보이고 있다. 도 2의 (a)에서 사용자가 '호 착신 설정'메뉴를 선택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들에 대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들에 대한 예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MP3를 감상할 때의 메뉴(MP3 감상시)와,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의 메뉴(카메라 사용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동영상 시청시),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한 동작 상태들 외의 경우에 있을 경우에 사용되는 기본 설정(기본 설정 메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데 도 2의 (b)에서는 카메라 사용시의 메뉴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가 선택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상태에서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알람 방식들에 대한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러한 메뉴의 예가 바로 도 2의 (c)에서 보이고 있는 화면이다. 도 2의 (c)에서는 진동, 벨소리, LED, 컬러링, 화면 알림 등의 호 착신 알람 방식들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LED라는 것은 호 착신이 있을 경우 진동 또는 벨소리 없이 단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LED(124)를 점등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호 착신을 알리는 알람을 말한다. 그리고 화면 알림이라는 것은 단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는 외부 LCD를 통해 사용자에게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리 는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호 착신을 알리는 호 착신 알람 방식을 말한다. 도 2의 (b)와 (c)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카메라 사용시의 호 착신 모드로서 LED를 선택하게 되면, 이 착신 모드는 착신 모드 저장부(128)에 저장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만약 사용자가 상기한 도 2의 (b)와 (c)와 같이 호 착신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카메라부(130)가 동작되고 있는 동안에 발생한 호 착신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호 착신 모드에 따라 LED(124)만이 점등되게 된다. Therefo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call reception alarm methods are u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 by the user. However, in order to do this, the user first needs to set a call reception mode according to each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creens in which a user sets these call termination mod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FIG. 2A illustrates a screen for a user to select a call forwarding setup menu from among displayed menus. When the user selects the 'call forwarding setting' menu in FIG. 2 (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respecti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shown in FIG. Display the menu for. Looking at an example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nu when the user is watching the MP3 (when watching the MP3), the menu when the camera is used (when using the camera), the us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ic setting (basic setting menu) used when watching a video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watching a video),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side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states. Among these,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 operation states. In FIG. 2B, the menu when the camera is used is selected by the user. As such, when any one operation state is sel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menu including a list of alarm methods that may be used as a call reception alarm method in a user selected operation state. An example of such a menu is the screen shown in FIG. In Figure 2 (c) shows that the call alert system, such as vibration, ringtone, LED, coloring, screen notification can be selected from the user. Here, the LED refers to an alarm informing the user of the incoming call by only lighting the LED 12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vibration or ringing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In addition, the screen notification refers to a call reception alarm method for notifying a call reception by outputting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of a call reception through an external LCD provided out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b) and (c) of FIG. 2, if the user selects the LED as the call reception mode when the camera is used, the incoming mode is stored in the reception mode storage 128.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sets the call reception mode as shown in (b) and (c) of FIG. 2, the call reception occurring while the camera unit 130 is operating is performed by the user. Only the LED 124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call termination mode set by.

상기한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호 착신 모드가 설정되면 이러한 호 착신 모드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메모리부(102)에 구비된, 착신 모드 저장부(128)에 저장되게 된다. 하기 표 1은 이러한 착신 모드 저장부(128)에 저장되어 있는 호 착신 모드들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call reception mode is set, the call reception modes are stored in the reception mode storage unit 128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mory unit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Table 1 below shows examples of call reception modes stored in the call reception mode storage unit 128.

인덱스index 동작 상태Operating status 호 착신 알람Call forwarding alarm 1One 카메라 사용시When using the camera LEDLED 22 동영상 감상시When watching a video LEDLED 33 MP3 감상시When listening to MP3 진동vibration 44 기본 설정Basic setting 벨소리 Ringtone .
.
.
.
.
.
.
.
.
.
.
.
.
.
.
.
.
.

상기한 표 1은 4개 이상의 호 착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예이다. 표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호 착신 알람 방식들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표 1에서는 상기 도 2의 예에서 보인 카메라 사용시에 LED로 호 착신 알람 방식을 설정한 호 착신 모드를 포함하여 동영상 감상시와 MP3 감상시에 각각 그에 대응하는 호 착신 알람 방식들이 설정되어 있음을 보 이고 있다. 그리고 기본 설정으로 벨소리가 선택되어 있음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호 착신 모드들이 설정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호 착신이 있을 경우,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각각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호 착신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상기한 동작 상태 이외의 동작 상태일 경우,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을 하거나, 또는 아무런 동작을 하고 있지 않는 대기 상태일 경우에는, 기본 설정으로 설정되어 있는 벨소리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서 사용자에게 호 착신이 왔음을 알리게 된다. Table 1 above is an example in which four or more call termination modes are set.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call reception alarm methods are s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able 1, call reception modes corresponding to video call and MP3 viewing are set, respectively, including a call reception mode in which a call reception alarm method is set using LEDs when the camera shown in the example of FIG. 2 is used. Is showing. It shows that the ringtone is selected by default. Therefo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call termination modes are set,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user is informed that the call is received by the corresponding call alert alarm metho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ase of an operation stat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state, that is, when the user plays a gam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when the user is in a standby state in which no operation is performed, the ring tone call alarm system set as the default setting is used. The user is notified that the call has been receiv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그 동작 상태에 따른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호 착신을 알리는 동작에 대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302단계에서 호 착신이 있는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302단계에서 호 착신이 있었다면 제어부(100)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102)의 착신 모드 저장부(128)로 접근한다. 그리고 착신 모드 저장부(128)로부터 상기한 표 1에서 보인 바와 같은 착신 모드 테이블을 로드한다. 여기서 착신 모드 테이블이라는 것은 착신 모드들이 저장되어 있는, 상기 표 1과 같은 테이블을 말한다. 그리고 착신 모드 테이블이 로드되면 제어부(100)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착신 모드 테이블로부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호 착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만약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호 착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308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을 선택한다. 그리고 31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선택된 호 착신 모드에 따른 호 착신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린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a current operation stat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forming a user of an incoming call in a call termination alarm metho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Referring to Figure 3, the control unit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there is a call in step 302. If there is a call reception in step 302,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304 to access the incoming mode storage unit 128 of the memory unit 102. Then, the incoming mode storage unit 128 loads the incoming mode table as shown in Table 1 above. Here, the called mode table refers to a table as shown in Table 1 in which called modes are stored. When the terminating mode table is loaded,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306 to check whether or not a call terminat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from the terminating mode table. If the call recep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08 to select a call reception alarm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step 312, the user receives the incoming call alarm according to the currently selected call incoming mode.

그러나 만약 306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 모드 중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착신 모드가 없을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한 도 2의 (b)에서 보인 기본 설정에 해당되는 착신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31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선택된 착신 모드에 따른 호 착신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린다. However, if there is no incom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currently set in the incoming mode set by the user in step 306,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310 to the basic setting shown in (b) of FIG. Select the incoming call mode. In step 312, the user receives a call alert according to the currently selected call mod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언제나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인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MP3의 재생을 지시하는 키를 입력하였을 경우, 제어부(100)는 MP3음악이 재생되는 것을 감지하여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MP3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임을 인지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상 이미지나 동영상을 촬영하고 있는 경우, 감지부(126)는 카메라부(130)가 현재 동작 중인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카메라가 현재 동작중인 상태임을 인지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영화, 드라마 또는 애니메이션과 같이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표시부(206)에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동작을 통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임을 인지하고 있다. 그리고 만약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TV 방송 또는 DMB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라면 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수신 동작을 감지하여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임을 인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302단계에서 호 착신이 감지되면 이러한 인 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호 착신 알람 방식을 자동으로 변경한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ways recogniz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key for instructing the playback of the MP3, the controller 100 detects that the MP3 music is being played and recognizes that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laying the MP3.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the detector 126 checks whether the camera 130 is currently operating or recognizes that the camera is currently operating. When the user is watching a video such as a movie, a drama, or an animation,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the video on the display unit 206. The state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ing the video. I recognize that. I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watching a TV broadcast or DMB broadcast, the mobile terminal detects a reception operation for receiving the broadcast data and recognizes that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state of receiving broadcast data. When the incoming call is detected in step 302, the incoming call alarm method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cogniz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호 착신 알람 방식이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것으로 자동 변경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동으로 호 착신 알람 방식이 변경되는 몇 가지 예를 들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가 대기 상태일 경우에는 컬러링으로 호 착신을 알리다가, 사용자가 MP3, 또는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벨소리로 호 착신을 알리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MP3 감상시와 동영상 시청시에 호 착신 알람 방식을 벨소리로 설정한 호 착신 모드들이 착신 모드 저장부(128)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이다. Therefo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incoming alarm method is automatically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alerting method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standby state, the call is notified by coloring, and the user may call the MP3 or the video. For example, if you are watching a call automatically ring to the incoming call. In this case, call reception modes in which the user sets a call reception alarm method as a ringtone when the user watches MP3s and videos are stored in the reception mode storage unit 128.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가 대기 상태일 경우에는 진동으로 호 착신을 알리다가, 사용자가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벨소리로 호 착신을 알리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상기한 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기본 설정에는 진동으로, 그리고 카메라 사용시에는 벨소리로 호 착신 알람 방식을 설정한 호 착신 모드가 착신 모드 저장부(126)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대기중인 상태에서 어떤 특정한 동작 상태로 전환되었을 경우, 또는 어떤 동작 상태에서 다른 동작 상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자동으로 호 착신 알람 방식이 변경되게 한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standby state, the call is notified by vibration, and when the user uses the camera, the call is automatically notified by the ring tone. In this case, too, as in the above example, the call reception mode in which the user sets the call reception alarm method as a vibration in a basic setting and as a ring tone when using a camera is stored in the reception mode storage unit 126. Therefo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from a waiting state to a certain operating state or from one operating state to another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incoming call alarm system, the incoming call alarm system is automatically changed.

즉, 본 발명은 각 동작 상태마다 설정된 착신 모드들이 저장되는 착신 모드 저장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착신 모드의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호 착신 알람 방식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호 착신이 있는 경우, 그 호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호 착신 알람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감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ption mod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reception modes set for each operation state, and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changing the call reception alarm method to the call reception alarm method of the reception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Therefore, when there is a call incoming, the call incoming alarm for notifying the call arrival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to a call incoming alarm metho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ly det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제어부와는 별개로 구비하고, 이 감지부를 이용하여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관해 사용자가 MP3를 감상하는 경우와,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그리고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만을 명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가 이러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인 동작들에 대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TV(Television)를 시청하는 경우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디지털 방송)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태, 또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상태에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hanges to the call reception alarm method accordingly. However, the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sensing unit may be used to detect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s only a case in which a user watches an MP3, a video, and a camera us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f course, the operation state of th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operations show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operatio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user watches a TV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operation state of receiving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broadcast data.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ng state, such as a user playing a gam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본 발명은 도 2의(b)에서 예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들 외에 사용자가 특정 동작 상태를 선택하여 호 착신 설정 메뉴에서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도 2의 (b)에서 보이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사용자가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서 LED를 선택하고 싶다면, 사용자가 이러한 SMS 문자 메시지 동작 상태를 도 2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선택 메뉴에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도 2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보다 훨씬 다양하고 세분화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들에 관한 메뉴를 구비하고 있고, 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상태들만 도 2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은 메뉴 화면 안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In addition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b),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to a call setup menu by selecting a specific operating stat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b), if the user wants to select the LED as a call forwarding method that can be used,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composing a text message using SMS (Short Message Service), the user may select the LED. The SMS text message operation state may be added to the operation state selection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nu on operating stat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much more diverse and subdivided than that shown in FIG.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only the operation states selected by the display unit have a function of displaying in a menu screen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 of the claims an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동작 상태마다 설정된 착신 모드들이 저장되는 착신 모드 저장부,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착신 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호 착신 알람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호 착신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호 착신 알람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감 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으로 자동으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호 착신 알람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호 착신 알람으로 인해 방해받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dete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an operatio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reception mode storage unit storing incoming call modes set for each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an operatio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changing the incoming call alarm in accordance with the incoming call mode. When there is a call reception, the call reception alarm for notifying the user is automatically changed to a call reception alarm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ly det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prevent a case in which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call reception alarm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prevent a case where an operation currently perfor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turbed by the call reception alarm. have.

Claims (10)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들에 각각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 방식들이 저장되어 있는 착신 모드 저장부와,An incoming call mode storage unit for storing call incoming alarm methods corresponding to operating stat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현재 동작 상태에 따른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장치.When there is a cal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hange the call incoming alarm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all incoming alarm method according to the current operation state An apparatus for changing a call incoming alarm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모드 저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coming call mode storage uni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장치.Device for changing the call incoming alarm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악을 재생하고 있는 동작 상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TV(Television) 방송이나 디지털 방송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동작 상태,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동작 상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장치.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laying music, an operating state in which a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ing broadcast data of a TV (Television) broadcast or a digital broadcast, and Device for changing the call incoming alarm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operating state receiving the video data from the server of the company providing the video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착신 알람 방식은, According to claim 1, The call incoming alarm method, 진동, 벨소리, LED(Light Emit Display), 컬러링,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호 착신을 알리는 메시지의 표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장치.Device for changing the incoming call alarm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ny one of vibration, ringtone, LED (Light Emit Display), coloring, and the display of the message informing the incoming call to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모드 저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coming call mode storage unit, 상기 동작 상태들과 이에 각각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 방식들을 테이블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장치.And a call reception alarm sche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ing the operation states and corresponding call reception alarm schemes in a tabl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들에 대해 각각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 방식들을 설정받는 호 착신 알람 설정 단계와,A call reception alarm setting step of receiving call reception alarm schemes corresponding to operation stat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us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착신이 있는가 여부를 체크하는 호 착신 체크 단계와,A call reception check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call recep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호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된 호 착신 알람 방식들 중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호 착신 알람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리는 호 착신 알람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방법.And when the call is received, a call incoming alarm step of notifying the user that the call is received in a call incoming alarm method corresponding to a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mong the set call incoming alarm methods. How to change the incoming call alarm sys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악을 재생하고 있는 동작 상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TV(Television) 방송이나 디지털 방송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동작 상태,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동작 상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방법.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laying music, an operating state in which a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ing broadcast data of a TV (Television) broadcast or a digital broadcast, and Method for changing the call incoming alarm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operating state receiving the video data from the server of the company providing the video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 착신 알람은, According to claim 6, The call incoming alarm, 진동, 벨소리, LED(Light Emit Display), 컬러링,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호 착신을 알리는 메시지의 표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방법.Method of changing the call reception alarm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ny one of vibration, ringtone, LED (Light Emit Display), coloring, and the display of the message informing the call to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동작하는 카메라 동작 상태일 때에 호 착신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호 착신 체크 단계와, A call reception check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call reception when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mera operating stat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호 착신 알람 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리는 알람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방법. When there is a call recep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 rece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arm notifying the user that the call is received in a manner other than the vibration call incoming alarm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 to change the alarm method.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악을 재생하는 음악 재생 상태일 때에 호 착신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호 착신 체크 단계와, A call reception check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call recep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music playback state for playing musi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컬러링 또는 벨소리를 이용하는 호 착신 알람 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리는 알람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방법. When there is a cal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arm step notifying the user that the call is received in a manner other than the call incoming alarm method using the coloring or ring t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 to change the incoming call alarm method of the terminal.
KR1020040069159A 2004-08-31 2004-08-31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receiving alarm KR1011264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159A KR101126414B1 (en) 2004-08-31 2004-08-31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receiving al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159A KR101126414B1 (en) 2004-08-31 2004-08-31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receiving al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337A KR20060020337A (en) 2006-03-06
KR101126414B1 true KR101126414B1 (en) 2012-03-28

Family

ID=3712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159A KR101126414B1 (en) 2004-08-31 2004-08-31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receiving al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4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924540A2 (en) 2009-06-16 2015-06-23 Intel Corp Camera applications on a portabl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937A (en) * 2003-08-07 2003-09-29 정재봉 Portable phone having selective call termination output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50010271A (en) * 2003-07-18 200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ratus and Method of Automatic Conversion of Receiving Signal for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81081A (en) * 2004-02-12 2005-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ieving call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271A (en) * 2003-07-18 200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ratus and Method of Automatic Conversion of Receiving Signal for Communication Device
KR20030076937A (en) * 2003-08-07 2003-09-29 정재봉 Portable phone having selective call termination output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50081081A (en) * 2004-02-12 2005-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ieving call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337A (en)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841B1 (en) Control Method of Operation Mode Switching of Television Mobile Phone
US7474889B2 (en) Informing wireless device users of incoming calls or pages in environments inhospitable for notification
US7515980B2 (en) Sound outputting apparatus and sound outputting method
US645990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received messages of portable television (TV) phone
US2009026407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volume adjusting method for audio device
US85494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 on-screen imag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upon connection of earphone
CN101523881A (en) Method for providing an alert signal
JP2012105312A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part of media
US20170054841A1 (en) Dmb terminal for enabling simultaneous dmb viewing and phone call and method therefor
JP3877137B2 (en)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06229498A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mobil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200529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call via speakerphone in a mobile device
KR20080037984A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11264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receiving alarm
US20080248816A1 (en) Information Terminal
KR100724860B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nd operation mode change method for changing operation mode by changing of display mode
JP2005110067A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call arrival control method used therefor, and its program
JP2006211435A (en) Mobile terminal
JP2007013443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KR100608771B1 (en) Receiving call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and video apparatus
JP2005151067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production method
KR10119986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pan Call of Landscape View Mode and the Method
KR10060596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television phone
JP2005223819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program
JP2007166249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