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579B1 - Method of duplicating nano pattern texture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 Google Patents

Method of duplicating nano pattern texture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579B1
KR101125579B1 KR1020090013071A KR20090013071A KR101125579B1 KR 101125579 B1 KR101125579 B1 KR 101125579B1 KR 1020090013071 A KR1020090013071 A KR 1020090013071A KR 20090013071 A KR20090013071 A KR 20090013071A KR 101125579 B1 KR101125579 B1 KR 10112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lica
metal
texture
nano
repl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3918A (en
Inventor
이경열
이경욱
Original Assignee
(주)이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모트 filed Critical (주)이모트
Priority to KR1020090013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579B1/en
Publication of KR2010009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9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5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44C3/042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producing a copy from an origin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44C3/046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using a modelling surface, e.g.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표면 질감을 복제할 대상 물체를 선택하고 표면을 전처리하고 나노 임프린팅하여 플라스틱 몰드로 복제하고 기상증착으로 금속화하고 전주 복제하여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를 제작하고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를 대면적으로 전주 복제한 다음 금속 유니트마스터 몰드로 제작하여 표면 질감을 복제한 다음, 복제된 전주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 방식으로 표면 질감을 복제함으로써, 선택된 천연 대상물의 표피를 금속물에 균일한 질감으로 복제 생산하는 효과가 있다. Disclosed is a method of replicating a nanopattern texture on an object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target object to replicate the surface texture, pre-treat the surface, nanoimprinted to replicate in a plastic mold, metallization by vapor deposition and pole replica to produce a metal module master mold and metal module master mold in large area Duplicate the surface texture by replicating the pole and then making the metal unit master mold, and then duplicating the surface texture by the press method by using the duplicated pole mold. It works.

표면복제, 임프린트, 질감, 판재성형, 표면처리, TEXTURE Surface Clone, Imprint, Texture, Plate Forming, Surface Treatment, Texture

Description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METHOD OF DUPLICATING NANO PATTERN TEXTURE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Replicating nanopatterned textures on the surface of an object {METHOD OF DUPLICATING NANO PATTERN TEXTURE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본 발명은 물체의 표면을 나노(NANO) 단위로 복제하는 것으로, 특히 복제대상 물체의 미세하고 미려한 표면을 나노 임프린팅과 전주 기술로 복제한 전주 금형을 이용하여 또 다른 복제물을 생산하기 위한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licate the surface of the object in nano (NANO) unit, in particular, the object surface for producing another replica by using the electroplating mold that replicates the fine and beautiful surface of the object to be replicated by nanoimprinting and electroplating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plicating a nanopattern texture replica.

식물, 곤충, 가죽, 광물, 나무, 섬유와 직물 등과 같이 자연계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물체의 표피 또는 표면은 일반적으로 매우 아름답고 부드러운 구조, 질감과 천연적인 색상을 나타내므로, 대량 생산되는 공업용 제품의 외관으로 장식하고자 하는 노력과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가격이 비싸고 고급화 추세인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 PDA, 노트북 등의 경우, 항상 휴대하므로 마모가 적으면서 오래 유지되는 표면을 선호하고, 또한 항상 타인에게 보여 짐으로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질감 또는 느낌의 외관을 선호한다. The epidermis or surface of objects naturally present in nature, such as plants, insects, leather, minerals, wood, fibers and fabrics, generally exhibits a very beautiful and smooth structure, texture and natural color, which is why Efforts and developments to decorate the exterior continu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high-priced and high-end mobile terminals, PDAs, and notebooks, it is always portable, so it is preferred to use a surface that is low in wear and long-lasting. Prefers.

주기 위하여서는 천연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마모가 적은 금속 재질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외관 또는 표면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자표면의 마모를 적게 하기 위하여서는 금속재질을 사용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에 복제하는 방법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It is common to use natural materials for giving, so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develop the appearance or surface that gives a soft feeling with low-wear metal material. Being In addition, a method of duplicating plastic materials is also being developed.

일반적으로 복제할 문양을 표현할 물체가 부드러운 재질인 경우 복잡하고 세밀한 표면의 복제가 용이하지만, 복제에 사용되는 금형 또는 몰드의 제작이 어렵다. 또한, 복잡하고 세밀한 문양을 생산하기 위하여 사진기술과 화학적 부식 기술에 의한 식각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다. In general, when an object to express the pattern to be replicated is a soft material, it is easy to replicate a complex and detailed surface, bu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mold or a mold used for repli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complex and detailed patterns, etching methods using photo technique and chemical corrosion technique can be used, but they are not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즉, 곤충, 식물, 가공된 가죽 및 광물, 섬유 및 직물 등의 표피와 같이 나노(NANO) 단위로 미세한 표면 형상을 반복 복제하기 위하여서는 프레스 압력의 크기로 해결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표면 처리에 의하여 원하는 색상과 문양을 표현하고 있다. In other words, it cannot be solved by the size of press pressure in order to repeatedly reproduce the minute surface shape in nano units such as insects, plants, processed leather and minerals, fibers and fabrics, etc. It expresses colors and patterns.

이러한 복제대상 물체의 미세하고 미려한 표면을 복제하기 위한 방법이 본 출원인이 출원하고 등록된 특허출원번호 10-2007-0064153호(발명의 명칭;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 방법)에 기재된 내용을 살펴보면, 표면 질감을 복제할 대상 물체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된 물체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과정, 전처리된 물체의 표면을 나노 임프린팅하여 플라스틱 몰드로 복제하는 과정, 플라스틱 몰드 표면을 기상증착으로 금속화하고 전주 복제하여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과정,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의 테두리를 절단하고 마이크로 가공하여 다수 연결하며 전주 복제하여 대면적의 금속 유니트마스터 몰드로 제작하는 과정 및 금속 유니트마스터 몰드로 전주하여 표면 질감을 복제 생산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Looking a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064153 (name of the invention; method of replicating the nanopattern texture of the object surface) filed by the applicant and registered for the method for replicating the fine and beautiful surface of the object to be replicated Process of selecting the target object to duplicate the surface texture, pretreatment of the surface of the selected object, nanoimprinting the surface of the pretreated object into a plastic mold, metallization and electroforming of the plastic mold surface by vapor deposition Process of making metal module master mold by duplicating, cutting edge of metal module master mold, making micro-machining and connecting a large number of them. It consists of the process of producing a replica.

따라서, 선택된 물체 표면의 나노패턴 질감을 나노 임프린팅에 의하여 모듈마스터 몰드로 제작하고 2 차원과 3 차원 테두리 가공 및 전주 복제에 의하여 제작된 대면적 유니트마스터 몰드를 이용하여 금속 또는 플라스틱에 동일한 질감으로 복제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된 물체의 아름답고 부드러운 질감, 구조 및 색상의 표면을 대량 복제 생산하여 공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nanopattern texture of the selected object surface is made into the module master mold by nanoimprinting, and the same texture is applied to the metal or plastic by using the large-area unit master mold produced by th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edge processing and the pole copy. In addition to the industrial use of the replica,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that can be used industrially by mass production of the surface of the beautiful smooth texture, structure and color of the selected object.

또한, 전주복제의 특징은, 전해조건에 따라 금속의 종류, 경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 광범위한 물리적 성질을 얻을 수 있고, 원형과 오차가 거의 없으며, 표면 상태를 정확히 복제하고, 복제 크기와 형상에 거의 제한이 없으며, 고순도의 금속제품을 얻을 수 있고, 한 개의 제조와 양산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이음매 없는 관이나 중공제품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결점으로는, 조작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필요한 모양이나 긁힌 자리 등의 사소한 모양까지 복제되며, 제품제조와 원형설계 등에 매우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고, 요철 및 굴곡 등이 심한 경우는 균일한 두께로 제품화하기 어려우며 가격이 비교적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e replica can be adjusted to the type of metal, hardness, etc. according to the electrolytic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obtain a wide range of physical properties, almost no circle and error, accurately reproduce the surface state, almost to the size and shape of replication There is no limit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purity metal products, can be applied to both manufacturing and mass production, and to make seamless tubes or hollow products. However, as a drawback, it takes a long time to operate, duplicates even small shapes such as unnecessary shapes and scratches, and requires very specialized knowledge in product manufacturing and circular design, and in the case of severe irregularities and bends, it has a uniform thickness. It is difficult to commercialize and the price is relatively expensive.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전주 복제된 전주 금형을 이용하여 유사 표면 질감을 낼 수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plicating a nanopattern texture copy of an object surface capable of producing a similar surface texture by using a replica pole of a pole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본 발명은 복제된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을 사용 횟수를 증대할 수 있는 적정한 성형 조건을 제시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appropriate molding condition that can increase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replicated nanopattern texture replica.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은 (a)표면 질감을 복제할 대상 물체를 선택하여 전처리하고 플라스틱몰드로 복제한 다음 전주 복제하여 금속제의 표면 질감 복제물을 생산하는 단계와 (b)상기 복제 생산된 금속제의 복제물에 크로메이트, 아노다이징, 칼라링 또는 도장 방식 중에서 선택된 방식으로 표면을 처리하여 상기 복제물을 성형하는 단계 및 (c)상기 성형 복제물을 사용하여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류로 표면 복제물을 생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plicating a nanopattern texture of an objec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ecting a target object to replicate the surface texture, preprocessing the object, duplicating it with a plastic mold, and then replicating the electric pole. Producing a surface texture replica and (b) treating the surface of the replica produced metal replica in a manner selected from chromate, anodizing, coloring or painting methods to mold the replica and (c) using the molded replica To produce a surface replica of metal or plastics.

(a)단계는 (가)표면 질감을 복제할 대상 물체를 선택하는 단계, (나)상기 선택된 물체를 배치하고 표면을 나노박막처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다)상기 전처리된 물체의 표면을 나노 임프린팅하여 플라스틱 몰드로 복제하는 단계, (라)상기 플라스틱 몰드의 표면을 기상증착으로 금속화하고 전주 복제하여 금속 모듈마스터 몰 드를 제작하는 단계 및 (마)상기 금속 모듈 마스터 몰드로 전주하여 표면 질감 복제물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tep (a) selecting a target object to replicate the surface texture, (b) placing the selected object and pre-treating the surface by nano-thinning, (c) nano-processing the surface of the pre-treated object D) imprinting and duplicating the plastic mold; (d) metallizing the surface of the plastic mold by vapor deposition and duplicating the electric pole to produce a metal module master mold; and (e) transferring the metal module master mold to the surface. It is desirable to include a step of producing a texture replica.

또한, (마)단계는 상기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의 테두리를 절단하고 마이크로 가공하여 다수 연결하며 전주 복제하여 대면적의 금속 유니트마스터 몰드로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대면적 금속 유니트마스터 몰드로 전주하여 표면 질감 복제물을 생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하면 대면적의 복제물을 생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e) is a step of cutting the edge of the metal module master mold, micro-machining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poles to make a large area of the metal unit master mold and the surface texture of the large area of the metal unit master mold Producing a copy can produce a large area copy.

(a)단계의 금속제는 니켈(Ni)로 구성되며 상기 (c)단계는 프레스(press) 또는 압연 공정에 의하여 표면 복제물을 생산하고, 프레스 공정은 성형 압력을 25kgf/㎠ 이상으로 가하여 프레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al of step (a) is made of nickel (Ni), and step (c) produces a surface replica by a press or rolling process, and the press process applies pressing by applying a molding pressure of 25 kgf / cm 2 or more. It features.

또한, 프레스 공정은 성형 압력을 25kgf/㎠ 내지 50kgf/㎠사이에서 가하여 프레스하는 것이 사용 횟수를 증대하고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sing step, pressing by applying a molding pressure between 25 kgf / cm 2 and 50 kgf / cm 2 can increase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maintain accuracy.

이러한 복제 대상 물체는 자연계에 천연적, 자연적, 가공 및 공예 등에 의하여 인공적으로 존재하는 가죽, 섬유의 직물, 식물, 나무, 광물, 곤충 등이 포함되는 모든 자연적인 것을 포함하여 선택할 수 있다. The object to be replicated may be selected to include all natural ones including leather, textile fabrics, plants, trees, minerals, insects, and the like, which are artificially present in nature by natural, natural, processing, and crafts.

(나)단계는 상기 선택된 물체의 표면을 세척 건조하고 나노 박막 처리하여 이물질 전이를 차단하여 나노 임프린팅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라)단계에서의 금속화는 상기 몰드 표면을 스프레이 분사하는 방식 또는 습식 은경화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금속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p (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f the selected object is washed and dried and the nano thin film is treated to block foreign material transition to facilitate the exfoliation of the nanoimprint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lization by any one method selected from spray spraying method or wet silver curing method.

그리고, 금속 유니트 마스터 몰드는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의 테두리를 절단 하고 문양으로 2 차원과 3 차원 가공된 절단면을 접합하여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를 접착하거나 용접하여 대면적으로 만든 상태에서 전주 복제하여 금속 유니트마스터 몰드로 변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the metal unit master mold is made by cutting the edge of the metal module master mold and joining th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processed cutting surface as a pattern, and the electric pole in the state made by bonding or welding the metal module master mold to a large area It is desirable to replicate and convert it into a metal unit master mold.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 방법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복제물의 표면 질감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횟수를 증대시키고 높은 정밀도를 갖는 복제물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ethod of replicating the nanopattern texture copy of the object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oduce the surface texture of the replica more simply, but also to increase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to produce a replica having high precis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을 갖는 금형 복제물을 제작하는 단계(S100)와 나노 질감 복제물을 이용한 금속제나 플라스틱류로 복제물을 생산하는 단계(S120) 그리고 복제된 복제물을 도장하고 코팅하여 표면처리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plicating a nanopattern texture of an objec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 replica having a nanopattern texture of an object surface (S100). And a step of producing a replica of metal or plastics using the nano-textured replica (S120) and coating and coating the replicated replica and surface treatment (S130).

단계 S100은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을 복제하는 단계로 표면 질감을 복제할 대상 물체를 선택하는 단계(S111), 선택된 물체를 배치하고 표면을 나노박막 처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S112), 전처리된 물체의 표면을 나노 임프린팅하여 플라스틱 몰드로 복제하는 단계(S113), 플라스틱 몰드의 표면을 기상증착으로 금속화하고 전주 복제하여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S114) 및 금속 모듈 마스터 몰드로 전주하여 표면 질감 복제물을 생산하는 단계(S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tep S100 is a step of duplicating the nanopattern texture of the object surface, selecting a target object to duplicate the surface texture (S111), arranging the selected object and pretreating the surface by nano-thinning the surface (S112), and preprocessing the object. Step of replicating the surface of the nano-imprinted to the plastic mold (S113), metallization of the surface of the plastic mold by vapor deposition and electric pole replication to produce a metal module master mold (S114) and transferred to the metal module master mold Producing a surface texture replica (S115).

단계 S111에서의 복제하고자 하는 대상물은 자연계에 천연적, 자연적, 가공 및 공예 등에 의하여 인공적으로 존재하는 가죽, 섬유의 직물, 식물, 나무, 광물, 곤충 등을 포함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대상물은 전처리과정을 거친다(S112). 전처리과정은 선택된 대상물의 표면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면 또는 곡면의 선택된 상태로 배열 또는 배치하며, 표면을 나노(NANO) 박리막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박리막 처리는 세척된 대상물의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임프린팅될 몰드(MOULD)의 분리가 잘 되도록 한다. The object to be replicated in step S111 may be selected including leather, textile fabrics, plants, trees, minerals, insects, etc., which are artificially present in nature by natural, natural, processing and crafts, and the selected object is pretreated. Go through the process (S112). The pretreatment process is to wash the surface of the selected objec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rrange or arrange in a selected state of a flat or curved surface, and to process the surface of the nano (NANO) release film. In particular, the release film treatment is to form a thin film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cleaned so that the mold to be imprinted (MOULD) is well separated.

단계 S111에서 전처리과정이 완료된 대상물의 표면에 PDMS 몰딩 또는 핫 엠보싱(HOT-EMBOSSING) 방식으로 나노 임프린팅(IMPRINTING)하여 임프린팅된 몰드를 제작한다(S113). In step S111, an imprinted mold is manufactured by nanoimprinting (IMPRINTING) a PDMS molding or hot embossing metho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in which the pretreatment process is completed (S113).

나노 임프린팅은, PDMS 몰딩, 핫 엠보싱을 포함하여 UV(ULTRAVIOLET) 임프린팅과 롤(ROLL) 임프린팅 방식이 더 포함되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이 적용되고, 캐스팅(CASTING) 방식이거나 인젝션(INJECTION) 방식의 기술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Nano imprinting further includes UV (ULTRAVIOLET) imprinting and ROLL imprinting methods, including PDMS molding and hot embossing, and one or more selected methods are applied, and casting or injection methods are applied. May be applied selectively.

일예로, 나노 임프린팅은, PDMS 몰딩 방식을 이용하거나,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으로 핫 엠보싱하거나, UV 임프린팅하거나, 롤 임프린팅하거나, UV 임프린팅과 롤 임프린팅을 병행하거나, 함 엠보싱과 롤 임프린팅을 병행하는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나노 임프린팅한다. For example, nano imprinting may be performed using PDMS molding, hot embossing, UV imprinting, roll imprinting with a thermoplastic polymer film, UV imprinting and roll imprinting, embossing and roll imprinting. Nanoimprinted in any one of the manner selected in parallel.

이러한 나노 임프린팅은 나노 단위의 미세한 표면 패턴 복제를 위한 몰드 제작으로, 종이 위에 도장을 찍는 개념과 유사하고, 몰드 표면에 나노 구조물(NANO STRUCTURED PATTERN)을 새기는 개념이다. 나노 임프린팅 재료는 PDMS 이외에 열가소성, 열경화성, 자외선(ULTRAVIOLET: UV) 광경화 레지스트 재료 등을 이용 할 수 있으며, 고분자 성형 공정과 기본 원리가 비슷하지만 나노 크기의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종래 기술에서 무시할 수 있거나 영향이 적었던 모세관(CAPILLARY TUBE) 현상, 전자기력(ELECTRO-MAGNETIC POWER), 분자(MOLECULE), 원자간 인력 등의 미세 물리현상을 철저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임프린팅 공정과 완전하고 명확하게 구별된다. Such nanoimprinting is a mold making for replicating fine surface patterns in nano units, similar to the concept of painting on paper, and engraving nano structure (NANO STRUCTURED PATTERN) on the mold surface. In addition to PDMS, nanoimprinting materials can use thermoplastic, thermosetting, UV (UV) photocuring resist materials, and the basic principle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polymer forming process, but can be ignored in the prior art for forming nano-sized structures. The general imprinting process and the complete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hat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consider the microphysical phenomena such as capillary tube phenomenon, electromagnetic tube (ELECTRO-MAGNETIC POWER), molecular (OLED), and interatomic attraction And clearly distinguished.

따라서 나노 임프린팅 공정을 구현하기 위하여서는 이와 같은 미세 물리현상을 고려한 재료가 개발되어야 하고, 제작되는 몰드 자체가 나노미터 단위이므로 일반적인 작업환경에서 발생하기 쉬운 수십 nm(나노미터)에서 수백 um(마이크로미터)에 이르는 미세먼지를 관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the nanoimprinting process, a material considering such a microphysical phenomena should be developed, and since the mold itself is manufactured in nanometers, it can be easily generated in tens of nm (nanometers) to hundreds of micrometers (microns).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managing fine dust up to a meter.

이와 같이 매우 정밀하게 나노 임프린팅된 몰드(MOULD)를 분리하고, 기상증착 방식으로 금속화 처리하며, 금속화 처리된 몰드를 전주 복제하여 모듈화된 소형의 모듈마스터 몰드를 다수 확보한다(S114). The nano-imprinted mold (MOULD) as described above is very precisely separated, metallized by vapor deposition, and a plurality of small modular module molds are secured by replicating the metallized mold pole (S114).

이때의 금속화 처리는 니켈(Ni)로 금속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allization treatment at this time is preferably metalized with nickel (Ni).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화학 기상증착(CVD) 방식을 적용하지만, 플라즈마 기상증착, 대기압 화학 기상증착, 물리 기상증착 방식 등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기상증착하기 전에 필요한 경우, 나노 박리막 처리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기상증착으로 형성된 금속화 몰드로부터 전주 복제 방식으로 모듈화된 소형의 모듈마스터 몰드를 다수 제작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is applied, but plasma vapor deposition, atmospheric chemical vapor deposition, physical vapor deposition, etc. may be selectively applied. If necessary prior to vapor deposition, the nano release film treatment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From the metallization mold formed by vapor deposition, a large number of small module master molds modularized by pole replication is manufactured.

몰드의 금속화에는 기상증착 방식이외에 스프레이 분사 방식 및 습식 은경화 방식이 있으며, 이러한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Metallization of the mold includes a spray spray method and a wet silver curing method in addition to the vapor deposition method, any one of these methods may be used.

이때, 복제할 대상물 표면의 나노패턴을 2 차원과 3 차원으로 스캔(SCAN)하여 소정의 문양으로 설계 및 가공 준비한다. 이러한 가공에는 일예로 식각(ETCHIN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ano-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replicated is scanned (SCAN) in two and three dimensions to design and prepare for a predetermined pattern. For example, etching may be used in such processing.

제작된 모듈마스터 몰드의 테두리를 일정하게 절단하고 상기 설계된 문양으로 테두리의 일정폭을 2 차원과 3 차원에 의한 마이크로 또는 나노 단위로 가공하며, 가공된 다수의 모듈마스터 몰드를 배열하여 접착 또는 용접으로 정밀하게 접합 또는 연결하며 전주 복제하므로 금속의 유니트마스터 몰드를 제작한다(S115). The edge of the fabricated module master mold is constantly cut and the designed pattern is processed to a certain width of the frame in micro or nano units by 2 and 3 dimensions, and the plurality of processed module master molds are arranged by bonding or welding. Since precisely bonding or connecting and replica poles to produce a unit master mold of the metal (S115).

상기 제작된 마스터 몰드가 양각이고 음각의 마스터 몰드가 필요한 경우는 전주 복제를 반복하여 확보하며, 2 차원 및 3 차원 가공은, 나노 임프린팅된 문양을 복제하여 각각 모듈화된 몰드의 테두리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하는 마이크로 또는 나노 단위의 가공 기술이다. If the fabricated master mold is embossed and the intaglio master mold is needed, repeating the entire pole is secured repeatedly. For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processing, the nano-imprinted patterns are duplicated so that the edges of the modular molds are naturally connected. It is a processing technology of micro or nano unit.

전주 복제는 전기도금으로 전기 분해의 원리를 이용하여 금속 표면에 다른 금속을 입히는 기술이며 전해 도금(ELECTRO PLATING)이라고도 한다. 즉,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을 음극으로 하고 전착하고자 하는 금속을 양극으로 하여 전착하고자 하는 금속의 이온을 함유한 전해액 속에 넣고 통전하여 전해함으로 금속이온이 표면에 전해 석출되는 기술을 이용한다. Jeonju replication is an electroplating technique that uses the principle of electrolysis to coat other metals on a metal surface, also known as electroplating. That is, a metal ion is electrolytically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to be plated as a cathode and the metal to be electrodeposited as an anode in an electrolytic solution containing ions of the metal to be electrodeposited.

이와 대응되는 기술로, 무전해 도금(ELECTROLESS PLATING) 또는 화학도금 또는 자기 촉매 도금 기술이 있다. 무전해 도금은 수용액 내에 포름알데히드나 하이드리진 같은 환원제가 금속이온이 금속분자로 환원되도록 하는 전자를 공급하고, 이 반응은 촉매표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도금제는 구리, 니켈-인, 니켈-보론의 합금 등이 사용되나 니켈을 주로 사용된다. 환원제는 다른 물질을 환원하게 하고 자신은 산화되는 물질로 수소, 탄소, 금속 나트륨, 아황산염 등이 사용된다. 무전해 도금은 전해도금에 비하여 도금층이 치밀하고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플라스틱이나 유기체 같은 다양한 원형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은 다른 일예로서 선택적으로 적용한다. Corresponding techniques include electroless plating (ELECTROLESS PLATING) or chemical plating or self-catalytic plating. In electroless plating, a reducing agent such as formaldehyde or hydride in the aqueous solution supplies electrons to reduce metal ions to metal molecules. This reaction takes place on the surface of the catalyst. The plating agent is an alloy of copper, nickel-phosphorus and nickel-boron. Etc., but nickel is mainly used. The reducing agent causes other substances to be reduced and itself is oxidized, such as hydrogen, carbon, metal sodium, sulfite, and the like. Electroless plating has the advantage that the plating layer has a dense and uniform thickness compared to the electroplating,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prototypes such as plastics and organisms, so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ively applied as another example.

상기 유니트마스터 몰드를 금형으로 하여 금속 전주 또는 플라스틱 압출 또는 사출하므로 선택된 물체의 표면 또는 표피에 표현되는 나노패턴 질감의 복제물을 생산하는 것이다(S115), Metal unit or plastic extrusion or injection using the unit master mold as a mold is to produce a replica of the nano-pattern texture represented on the surface or skin of the selected object (S115),

이후, 나노 질감 복제물을 이용한 금속제나 플라스틱류로 복제물을 생산하는 단계(S120) 그리고 복제된 복제물을 도장하고 코팅하여 표면처리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reafter, a step of producing a replica of metal or plastics using the nano-textured replica (S120) and the step of coating and coating the replicated replica and surface treatment (S130).

단계 S120에서는 복제물에 니켈(Ni)로 성형하여 전주 복제된 복제물이 금형 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가공한다.In step S120, the replica is molded with nickel (Ni) and processed so that the replica replicated can be used as a mold.

단계 S120은 가공된 복제물로 프레스(Press) 공법 또는 압연 공정에 의한 성형방법을 사용하여 복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이다. 특히 프레스 성형은 압력 또는 온도에 따라 정밀도(거칠기)가 변화게 되므로, 부위별 균일압력이 형성되도록 한다.Step S120 is a process of producing a replica using a molding method by a press method or a rolling process from the processed replica. In particular, the press molding is a precision (roughnes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r temperature, so that a uniform pressure for each part is formed.

본 발명은 단계 S110에 의하여 나노 패턴의 질감이 복제된 복제물을 이용하여 또 다른 복제물을 생산할 수 있는 성형 조건을 제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important to present the molding conditions that can produce another replica by using a replica of the texture of the nano-pattern by step S110, the press molding condi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질감 복제물을 이용한 물체 표면의 질감을 프레스 성형 조건에 따라 도시한 도면으로, 도면의 상단 그림은 본 발명의 단계 S110의 공정에 의하여 생산된 복제물의 표면을 도시한 성형 전의 전주 원본 도면(Ni-Emotex)이며, 중간 그림은 상단 그림을 300배로 확대한 표면 그림이다. 확대 도면을 참고하면 상중하 3부분에 대한 표면 거칠기가 그래프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 우측에는 거칠기의 평균(Ra)과 최대 거칠기(Rmax)가 수치화되어 있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texture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using a texture replic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s molding conditions, the upper figure of the drawing is a pole before the molding showing the surface of the replica produced by the process of step S110 of the present invention Original drawing (Ni-Emotex), middle picture is surface picture enlarged 300 times of top picture. Referring to the enlarged draw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upper and lower three parts is shown in the form of a graph, and on the right side, the average roughness Ra and the maximum roughness R max are quantified.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표면 거칠기의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9는 상단의 표는 각 성형압력에 따른 표면 거칠기의 부분별 데이타를 도시한 도면이고, 하단부는 표면 거칠기를 측정할 복제물의 표면을 9개소로 분할하여 각 부위에 대한 거칠기를 측정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First, a method of measuring surface roughn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FIG. 9 is a diagram showing data for each part of surface roughness according to each forming pressure, and a lower part shows a surface of a replica to measure surface roughness. It is shown that the roughness of each site | part is measured by dividing into nine places.

즉, 질감 복제물을 5회 성형 후 각 부위에 대한 거칠기를 측정하면 부위 1 내지 9에 대하여 각각 5.20 내지 3.90으로 표시되고 거칠기의 평균(Ra)과 최대 거칠기(Rmax)를 구할 수가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roughness of each part is measured after forming the texture replica five times, the parts 1 to 9 are represented by 5.20 to 3.90,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roughness Ra and the maximum roughness R max can be obtained.

도 2의 확대도면을 참조하면, 상단 부분의 평균 거칠기(Ra)는 6.77, 최대 거칠기(Rmax)는 28.7, 중단 부분은 평균 거칠기(Ra)는 6.11, 최대 거칠기(Rmax)는 27.9, 하단 부분은 평균 거칠기(Ra)는 6.58, 최대 거칠기(Rmax)는 28.3임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FIG. 2, th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upper part is 6.77, the maximum roughness R max is 28.7, the average roughness Ra is 6.11, the maximum roughness R max is 27.9, and the lower end is 6.77. It can be seen that the portion has an average roughness Ra of 6.58 and a maximum roughness R max of 28.3.

이러한 표면 거칠기는 복제된 복제물을 이용하여 또 다른 복제물을 생산할 경우 표면의 거칠기가 질감을 표현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성형 조건을 찾아내기 위하여 필요한 팩터이다.This surface roughness is a factor necessary to find the most suitable molding condition because the surface roughness expresses the texture when producing another replica using the replicated replica.

하단 그림은 생산된 복제물로 2회 성형을 한 후 표면을 300배로 확대한 도면으로, 육안으로도 거칠기가 동일하게 표현되고 있음을 알고 있다.The lower figure shows the surface roughly enlarged 300 times after two moldings of the produced replica, and it is known that the roughness is expressed even with the naked eye.

그러나, 도 3은 5회 성형 후 표면 거칠기를 예시한 도면으로, 상,중,하단에 걸쳐 평균 거칠기(Ra)는 각각 5.77, 6.81, 6.69이며, 최대 거칠기(Rmax)는 각각 27.7, 28.8, 28.9로 표시됨을 알 수 있다.However,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surface roughness after five moldings, and the average roughness Ra is 5.77, 6.81, and 6.69 for the upper, middle,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roughness R max is 27.7, 28.8, respectively. It can be seen that it is displayed as 28.9.

즉, 성형 횟수에 따라 표면 거칠기가 점점 낮아져 질감의 표현이 나빠짐을 알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surface roughness is gradually lowe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ldings, thereby deteriorating the expression of the texture.

이러한 성형 횟수에 따른 거칠기의 변화는 압력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The change in the roughnes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ld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pressure.

도면을 참조하여 압력의 변화에 따른 거칠기의 변화 정도를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degree of change in the roughness according to the change in pressure.

도 4는 성형 압력을 15kgf/㎠ 로 성형시 표면 거칠기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성형 압력을 20~25 kgf/㎠ 로 성형시 표면 거칠기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성형 압력을 30~40kgf/㎠ 로 성형시 표면 거칠기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성형 압력을 50~60kgf/㎠ 로 성형시 표면 거칠기를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the surface roughness when forming the molding pressure at 15kgf / ㎠, Figure 5 is a view illustrating the surface roughness when forming the molding pressure at 20 ~ 25 kgf / ㎠, Figure 6 is a molding pressure of 30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surface roughness when molding at 40 kgf / cm 2,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surface roughness when molding at 50 to 60 kgf / cm 2.

도시된 바와 같이 15kgf/㎠ 로 성형시 표면 거칠기는 표면의 상중하단에서의 평균거칠기(Ra)가 각각 3.91, 3.29, 4.72이며, 최대 거칠기(Rmax)는 각각 22.3, 19.6, 23.4로 표시되고(도 4참조), 20kgf/㎠ 로 성형시 표면 거칠기는 표면의 상중하단에서의 평균거칠기(Ra)가 각각 4.20, 3.94, 4.39이며, 최대 거칠기(Rmax)는 각각 24.2, 22.6, 20.1로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도 5 상단그림참조). 즉, 15kgf/㎠ 와 20kgf/㎠ 로 성형시는 성형전 원본의 거칠기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므로 이러한 압력으로는 동일 또는 유사한 표면 질감을 복제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the surface roughness at 15 kgf / cm 2 is 3.91, 3.29, and 4.72,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roughness (R max )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rface is represented by 22.3, 19.6, and 23.4, respectively ( 4, the average surface roughness (Ra)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rface is 4.20, 3.94, 4.39, and the maximum roughness (R max ) is 24.2, 22.6, 20.1, respectively. It can be confirmed (see the figure at the top of FIG. 5). That is, when molding at 15kgf / ㎠ and 20kgf / ㎠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roughness of the original before molding, it can be seen that the same or similar surface texture can not be reproduced by this pressure.

반면 25kgf/㎠ 로 성형시 표면의 상중하단에서의 평균거칠기(Ra)는 각각 5.30, 5.02, 5.04이며, 최대 거칠기(Rmax)는 각각 27.1, 24.4, 24.7로 표시되고(도 5하단그림참조), 30kgf/㎠ 로 성형시 표면의 상중하단에서의 평균거칠기(Ra)는 각각 5.55, 5.36, 5.11이며, 최대 거칠기(Rmax)는 각각 26.8, 24.2, 25.5로 표시되고, 40kgf/㎠ 로 성형시 표면의 상중하단에서의 평균거칠기(Ra)는 각각 5.47, 5.58, 5.26이며, 최대 거칠기(Rmax)는 각각 26.4, 27.1, 24.8로 표시되고(도 5참조), 50kgf/㎠ 로 성형시 표면의 상중하단에서의 평균거칠기(Ra)는 각각 5.44, 5.39, 5.68이며, 최대 거칠기(Rmax)는 각각 27.2, 30.8, 29.1로 표시되고 60kgf/㎠ 로 성형시 표면의 상중하단에서의 평균거칠기(Ra)는 각각 5.28, 5.56, 5.72이며, 최대 거칠기(Rmax)는 각각 24.9, 26.9, 29.6으로 표시됨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forming 25kgf / ㎠, the average roughness (Ra)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urface was 5.30, 5.02, and 5.04,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roughness (R max ) was expressed as 27.1, 24.4, and 24.7, respectively (refer to the lower figure of FIG. 5). , The average roughness (Ra)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urface when forming at 30kgf / ㎠ is 5.55, 5.36, 5.11, respectively, the maximum roughness (R max ) is represented by 26.8, 24.2, 25.5, respectively, when molding at 40kgf / ㎠ The average roughness (Ra)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urface is 5.47, 5.58, and 5.26,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roughness (R max ) is expressed as 26.4, 27.1, and 24.8, respectively (see FIG. 5). The average roughness (Ra) at the top and bottom is 5.44, 5.39, and 5.68,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roughness (R max ) is expressed as 27.2, 30.8, and 29.1, respectively. The average roughnes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urface when forming at 60kgf / ㎠ is Ra ) Are 5.28, 5.56, and 5.72,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roughness R max is 24.9, 26.9, and 29.6, respectively.

따라서, 성형 압력을 40 kgf/㎠ 이상인 경우는 거의 질감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texture when the molding pressure is 40 kgf / cm 2 or more.

보다 구체적으로 유사한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압력의 조건을 찾을 수 있도록 도 8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More specifically,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8 so as to find a condition of pressure capable of expressing a similar texture.

도 8은 성형압력과 평균 표면 거칠기와의 관게를 예시한 도면으로, X축은 압력(kgf/㎠)을 Y축은 각 압력에 따른 평균 표면 거칠기(Roughness)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고하면 복제물의 평균 표면 거칠기는 성형 압력이 15 kgf/㎠ 이하인 경우에는 급격히 나빠지다가 성형 압력이 25kgf/㎠ 근처로 다가옴에 따라 거칠기가 좋아지며 이후 큰 변동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8 is a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molding pressure and the average surface roughness, the X axis represents the pressure (kgf / ㎠)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average surface roughness (Roughness) according to each pressure.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verage surface roughness of the replica rapidly worsens when the molding pressure is 15 kgf / cm 2 or less, and as the molding pressure approaches 25kgf / cm 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no large variation thereafter.

따라서, 나노 패턴 질감을 갖는 복제물을 프레스하여 피복제물을 생산하는 경우의 적정 압력은 25kgf/㎠ 이상임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appropriate pressure in the case of producing a coating by pressing a replica having a nano-pattern texture is 25 kgf / cm 2 or more.

그러나, 성형 압력을 60kgf/㎠ 이상 가할 때는 평균 표면 거칠기는 우너본과 같이 거의 유사하게 유지되나 복제물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성형 압력의 범위는 25kgf/㎠ 내지 50kgf/㎠ 가 된다.However, when the molding pressure is applied to 60kgf / cm2 or more, the average surface roughness remains almost similar to that of the outer bone, but since the replica may be damaged, the most suitable molding pressure ranges from 25kgf / cm2 to 50kgf / cm2.

단계 130에서 생산된 복제물은 금속류나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복제물에 기상증착 또는 도장(PAINTING)으로 색상을 구현하는 착색처리하며 물 리적 및 화학적으로 보호하는 코팅(COATING) 처리하여 완성한다. 표면처리를 위하여 CHROMATE( 크로메이트)처리를 하거나 아노다이징(AnodizingProcess) 혹은 컬러링 처리할 수 있다.The replica produced in step 130 may be metals or plastics, and the finished replica is colored by physical vapor deposition or painting (PAINTING), and finished by COATING, which is physically and chemically protected. For surface treatment, it can be chromated, anodizing process or coloring.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의 테두리를 절단하고 마이크로 가공하여 다수 연결하며 전주 복제하여 대면적의 금속 유니트마스터 몰드로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대면적 금속 유니트마스터 몰드로 전주하여 표면 질감 복제물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설명하였으나, 전주 금형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금속 유니터마스터몰드를 제작하지 않고서도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로 복제물을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dges of the metal module master mold are cut, micro-processe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les, and replicated to fabricate a large-area metal unit master mold, and transferred to the large-area metal unit master mol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o include a step of producing, if the size of the electroforming mold is small,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oduce a replica with a metal module master mold without producing a metal unit master mol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plicating a nanopattern texture copy of an objec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질감 복제물을 이용한 물체 표면의 질감을 프레스 성형 조건에 따라 도시한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texture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using the texture replic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s molding conditions

도 3은 5회 성형 후 표면 거칠기를 예시한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the surface roughness after five molding,

도 4는 성형 압력을 15kgf/㎠ 로 성형시 표면 거칠기를 예시한 도면, Figure 4 illustrates the surface roughness when molding the molding pressure to 15kgf / ㎠,

도 5는 성형 압력을 20~25 kgf/㎠ 로 성형시 표면 거칠기를 예시한 도면, 5 is a view illustrating the surface roughness when forming a molding pressure of 20 ~ 25 kgf / ㎠,

도 6은 성형 압력을 30~40kgf/㎠ 로 성형시 표면 거칠기를 예시한 도면, Figure 6 illustrates the surface roughness when molding the molding pressure to 30 ~ 40kgf / ㎠,

도 7은 성형 압력을 50~60kgf/㎠ 로 성형시 표면 거칠기를 예시한 도면,7 is a view illustrating the surface roughness when forming a molding pressure of 50 ~ 60kgf / ㎠,

도 8은 성형압력과 평균 표면 거칠기와의 관게를 예시한 도면,8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lding pressure and average surface roughness,

그리고,And,

도 9는 각 성형압력에 따른 표면 거칠기의 부분별 데이타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data for each part of surface roughness according to each forming pressure.

Claims (11)

삭제delete (a)표면 질감을 복제할 대상 물체를 선택하여 전처리하고 플라스틱몰드로 복제한 다음 전주 복제하여 금속제의 표면 질감 복제물을 생산하는 단계;(a) selecting and pretreating a target object to replicate the surface texture, duplicating with a plastic mold and then pole duplicating to produce a metallic surface texture replica; (b)상기 금속제의 표면 질감 복제물을 사용하여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류로 표면 복제물을 생산하는 단계; 및(b) producing a surface replica of the metal or plastics using the surface texture replica of the metal; And (c)상기 복제 생산된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류의 복제물을 표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c) surface-treating the replica of the metal or plastics produced in the replica; 여기서, 상기 (a)단계는Here, the step (a) (가)표면 질감을 복제할 대상 물체를 선택하는 단계; (A) selecting an object to duplicate the surface texture; (나)상기 선택된 물체를 배치하고 표면을 나노박막처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B) disposing the selected object and pretreating the surface by nano thin film treatment; (다)상기 전처리된 물체의 표면을 나노 임프린팅하여 플라스틱 몰드로 복제하는 단계; (C) nanoimprinting the surface of the pretreated object and replicating it into a plastic mold; (라)상기 플라스틱 몰드의 표면을 기상증착으로 금속화하고 전주 복제하여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 및(D) metallizing the surface of the plastic mold by vapor deposition and replicating the pole to fabricate a metal module master mold; And (마)상기 금속 모듈 마스터 몰드로 전주하여 상기 금속제의 표면 질감 복제물을 생산하는 단계; (E) rolling the metal module master mold to produce a surface texture replica of the metal;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Method for replicating the nano-pattern texture copy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마)단계는Step (e) is 상기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의 테두리를 절단하고 마이크로 가공하여 다수 연결하며 전주 복제하여 대면적의 금속 유니트마스터 몰드로 제작하는 단계; 및 Cutting the edges of the metal module master mold, micro-machin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and replicating the poles to produce a large area metal unit master mold; And 상기 대면적 금속 유니트마스터 몰드로 전주하여 상기 금속제의 표면 질감 복제물을 생산하는 단계; Rolling over the large area metal unit master mold to produce a surface texture replica of the metal;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Method of replicating a nano-pattern texture copy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a)단계의 금속제는The metal of step (a) 니켈(Ni)로 구성되며 상기 (c)단계는 프레스(press) 또는 압연 공정에 의하여 표면 복제물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Nickel (Ni) and the step (c) is a method for replicating a nano-pattern textured copy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ducing a surface replica by a press (press) or rolling process.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프레스 공정은The press process 성형 압력을 25kgf/㎠ 이상으로 프레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Reproduction method of replicating the nanopattern texture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ressure of 25kgf / ㎠ or more.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프레스 공정은The press process 성형 압력을 25kgf/㎠ 내지 50kgf/㎠사이에서 프레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The method of replicating a nano-pattern textured replica of the surface of an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ressure between 25kgf / ㎠ and 50kgf / ㎠. 제 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a)단계에서의 복제 대상 물체는, The object to be replicated in the step (a), 자연계에 천연적, 자연적, 가공 및 공예 등에 의하여 인공적으로 존재하는 가죽, 섬유의 직물, 식물, 나무, 광물, 곤충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 A method of replicating a nanopattern textured replica of an object surface, comprising leather, textile fabrics, plants, trees, minerals, insects, and the like, which are artificially present in nature by natural, natural, processing and crafting.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나)단계는Step (b) is 상기 선택된 물체의 표면을 세척 건조하고 나노 박막 처리하여 이물질 전이를 차단하여 나노 임프린팅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Washing and drying the surface of the selected object and nano-thin film treatment to block the foreign material transition to facilitate the nano-patterned texture replica replica method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o facilitate the exfoliation.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라)단계에서의 금속화는, The metallization in the step (d), 상기 몰드 표면을 스프레이 분사하는 방식 또는 습식 은경화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금속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al surface is metallized in any one of a spray spray method and a wet silver hardening metho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금속 유니트 마스터 몰드는, The metal unit master mold, 상기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의 테두리를 절단하고 문양으로 2 차원과 3 차원 가공된 절단면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The method of replicating a nano-pattern textured replica of an object surface, comprising cutting the edge of the metal module master mold and joining a cut surface processed in two and three dimensions in a pattern.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금속 유니트 마스터 몰드는The metal unit master mold 상기 금속 모듈마스터 몰드를 접착하거나 용접하여 대면적으로 만든 상태에서 전주 복제하여 금속 유니트마스터 몰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표면의 나노패턴 질감 복제물 복제방법.Method of replicating the nano-pattern textured replica of the object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the metal module master mold in a state of making a large area by gluing or welding to convert to a metal unit master mold.
KR1020090013071A 2009-02-17 2009-02-17 Method of duplicating nano pattern texture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KR1011255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71A KR101125579B1 (en) 2009-02-17 2009-02-17 Method of duplicating nano pattern texture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71A KR101125579B1 (en) 2009-02-17 2009-02-17 Method of duplicating nano pattern texture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918A KR20100093918A (en) 2010-08-26
KR101125579B1 true KR101125579B1 (en) 2012-03-23

Family

ID=4275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071A KR101125579B1 (en) 2009-02-17 2009-02-17 Method of duplicating nano pattern texture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5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13B1 (en) * 2011-05-18 2013-04-04 (주)이모트 Patterned reproduction metal pan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737B1 (en) * 1999-09-09 2002-04-03 임부원 Forming method of decorative molding product
KR100874492B1 (en) * 2007-06-28 2008-12-18 (주)이모트 Method of duplicating nano pattern texture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737B1 (en) * 1999-09-09 2002-04-03 임부원 Forming method of decorative molding product
KR100874492B1 (en) * 2007-06-28 2008-12-18 (주)이모트 Method of duplicating nano pattern texture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918A (en)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492B1 (en) Method of duplicating nano pattern texture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CN101434155B (en) Method for forming texture pattern on plate
KR10094804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plate using uv pattern transfer and window plate manufactured by this
CN102712110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ster mold which is used to form a micropatterned film applied to an exterior of a household applianc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film using the master mold
TW201704037A (en) Method for producing embossing roll and embossing roll
KR100915150B1 (en) Method for forming pattern on plastic product
KR10092013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 forming products using uv pattern transfer
CN101503041B (en) Production of stencil plate as well as construction method for producing flat colored drawing pattern and three-dimensional colored drawing relief sculpture on surface of object
KR101125579B1 (en) Method of duplicating nano pattern texture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KR10096081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iml sheet using electro forming mold and uv pattern transfer and iml sheet manufactured by this
CN104210266A (en) 3D pattern printing method, base materials obtained with method and application of base materials
JP2005508269A5 (en)
Nagaraja et al. Rapid pattern transfer of biomimetic surface structures onto thermoplastic polymers
KR10099665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holey electroformed shell for patterning
KR100959907B1 (en) Surface with micro pattern for dimensional structure for method of manufacture
US20110318533A1 (en) Method of duplicating texture pattern on object's surface by nano imprinting and electroforming and patterned duplication panel using the same
KR20110075147A (en) Reproducing method of mold surface from object's surface pattern
KR100959908B1 (en) Method for dimensional metal thin film
KR100781646B1 (en) Hologram pattern manufacture method
US20210379806A1 (en) Mold for injection molding processes and molding process using the mold
CN102866579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otary drum pressing die based on dynamic nano engraving technology
KR101132340B1 (en) Electrode for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manufacturing methode of thesame
KR100996656B1 (en) Holey electroformed shell for patterning
CN101229753A (en) Plastic piece having stereopicture and visual effect as well as method for making same
KR101080446B1 (en) master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UltraVio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