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519B1 - Wiring device - Google Patents

Wi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519B1
KR101124519B1 KR1020050007013A KR20050007013A KR101124519B1 KR 101124519 B1 KR101124519 B1 KR 101124519B1 KR 1020050007013 A KR1020050007013 A KR 1020050007013A KR 20050007013 A KR20050007013 A KR 20050007013A KR 101124519 B1 KR101124519 B1 KR 101124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plate body
positio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0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42862A (en
Inventor
키미오 쿠사마
마사미 하야후네
히데카즈 노무라
마나부 야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8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5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결합이 얕게 되어도 보디와 커버가 분리되지 않고, 보디와 커버의 재료의 선택의 자유도가 높은 배선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ing mechanism in which the body and the cover are not separated even when the assembly convex portion and the assembly concave portion become shallow,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selecting the material of the body and the cover is high.

기구본체(A)는 매립형으로, 시공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보디(B)의 부착용 개구(31)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장착된다. 기구본체(A)는 후부의 보디(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립편에 형성된 조립구멍에, 커버(20)의 측면에 형성된 조립 돌기를 결합시킴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기체(1)를 구비한다. 플레이트 보디(B)는 보디(10)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유지 돌출편(18)의 후면이 접촉하도록 부착용 개구(31)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 수용편(36)과, 커버(20)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유지 볼록부(26)의 전면을 거는 걸림면을 갖는 걸림 누름편(35)을 구비한다. 즉, 보디(10)와 커버(20)를 플레이트 보디(B)로 전후에서 끼우므로, 보디(10)와 커버(20)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The instrument body A is embedded and mounted from the front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opening 31 of the plate body B fix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The mechanism main body A has a base 1 which is joined to each other by engaging an assemb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20 to an assembling hole formed in an assembling piece projecting forward from the rear body 10. The plate body B includes a catch receiving piece 36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attachment opening 31 and a cover 20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holding protrusion 18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of the body 10 contacts. It has a locking pressing piece 35 having a locking surface for hang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convex portion 26 protru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hat is, since the body 10 and the cover 20 are inserted back and forth by the plate body B, the body 10 and the cover 20 are not separated.

Description

배선기구{WIRING DEVICE}Wiring Mechanism {WIR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X-X선 단면도, (c)는 Y-Y선 단면도, (d)는 Z-Z선 단면도이다.1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n X-X line cross-sectional view, (c) is a Y-Y line cross-sectional view, and (d) is a Z-Z line cross section.

도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a),(b)는 주요부 단면도이다.2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and (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main parts.

도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기구본체를 나타내며, (a)는 분해 사시도, (b)는 사시도이다.Fig. 3 shows the mechanism body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b) is a perspective view.

도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기구본체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배면도, (d)는 하면도이다.Fig. 4 shows the mechanism body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right side view, (c) is a rear view, and (d) is a bottom view.

도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플레이트 보디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이다.Fig. 6 shows a plate body for u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front view and (b) is a rear view.

도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화장 플레이트를 분리한 정면도이다.Fig. 7 is a front view of the makeup plat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도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동작 설명도이다.9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화장 플레이트를 분리한 정면도이다.Fig. 10 is a front view of a decorative plate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도11에 나타낸 구성예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플러그를 접속한 상태의 정면도이다.Fig. 12 shows a structural example shown in Fig. 11, (a) is a front view, and (b)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plug is connected.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기체 10:보디1: gas 10: body

10a:조립편 10b:조립 구멍10a: Assembly piece 10b: Assembly hole

18:유지 돌출편 20:커버18: holding protrusion 20: cover

20a:조립 돌기 26:유지 볼록부20a: Assembly protrusion 26: Holding convex part

29:위치결정 홈 31:부착용 개구29: positioning groove 31: mounting opening

35:걸림 누름편 36:걸림 수용편 35: Hanging press 36: Hanging accommodation

37:위치결정 돌출부 37a:도입부37: Positioning protrusion 37a: Leading portion

41:노출용 개구 A:기구본체41: exposure opening A: mechanism body

B:플레이트 보디 C:화장 플레이트B: Plate body C: Cosmetic plate

본 발명은, 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mechanism.

일반적으로, 배선기구에 있어서의 기구본체의 기체(器體)는 2부재를 결합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콘센트에서는 삽입구를 형성한 전부(前部)의 커버와 후부의 보디를 결합하고, 스위치에서는 조작부를 설치한 전부의 커버와 후부의 보디를 결합한 기체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보디와 커버의 결합양식으로서는, 보디와 커버의 한 쪽의 측면에 형성된 조립 볼록부를 다른 쪽에 형성된 조립 오목부에 요철결합시키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10-326658호 공보 참조). 이러한 종류의 구성을 채용하면, 보디와 커버를 나사와 같은 고정구로 결합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의 저감이 가능하게 되고, 또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In general, the body of the mechanism main body of the wiring mechanism is composed of two members joined together. In the outlet,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body having the insertion hole are coupled together, and the switch is operated. The body which combined the whole cover and the rear body which installed this is widely employ | adopted. As a coupling style of a body and a cover, the structure which joins the uneven | corrugated convex part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one side of a body and a cover with the recessed part formed in the other side is proposed (for exampl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0-326658). Reference). By adopting this kind of configuration,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ing work becomes easi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body and the cover are joined by a fastener such as a screw.

또, 시공면에 후부를 매립하는 형태로 시공되는 매립형 배선기구에서는, 시공면에 고정되는 부착프레임에 기구본체를 부착해서 시공되며, 부착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클로나 오목부를 커버에 형성한 것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In the buried wiring mechanism, which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embedding the rear part on the construction surface, the main body is constructed by attaching the mechanism body to the attachment frame fix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Proposed.

상술한 바와 같이, 배선기구의 기구본체에 있어서는 시공면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프레임과 같은 부재에 결합하는 구성이 커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보디와 커버를 결합하고 있는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한 쪽이 파손되거나, 결합이 얕아지거나 하면, 보디와 커버가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보디와 커버에 열수축이 생기면, 결합이 얕아져 보디와 커버가 빠지기 쉬워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디와 커버의 재료로서 열수축율이 대략 같은 것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되어, 재료에 관해서 선택의 자유도가 작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chanism main body of the wiring mechanism,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a member such as an attachment frame for fixing to the construction surface is provided on the cover. If the side is broken or the coupling becomes shallow, the body and the cover may be separated. In particular, if heat shrinkage occurs in the body and the cover, the coupling may be shallow and the body and the cover may be easily pulled out. Therefore, the heat shrinkage rate should be about the same as the material of the body and the cover,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choice with respect to the material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of being small.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보디와 커버를 결합하고 있는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결합이 얕게 되어도 보디와 커버가 분리되는 일없이, 보디와 커버의 재료의 선택의 자유도가 높은 배선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situation, The objective is the freedom degree of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a body and a cover, without separating a body and a cover, even if the assembly convex part and the assembly recessed part which couple a body and a cover become shallow. Is to provide a high wiring mechanism.

청구항1의 발명은, 시공면에 후부를 매립함과 아울러 전면(前面)을 시공면으로부터 노출시킨 형태로 시공되는 기구본체와, 시공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시공면에 대해서 정위치에 고정되어 기구본체가 전방으로부터 장착되는 부착용 개구를 갖는 플레이트 보디를 갖고, 기구본체는, 후부의 보디와 전부의 커버의 한 쪽에 형성된 조립 볼록부와 다른 쪽에 형성된 조립 오목부의 요철결합에 의해 결합된 기체를 가지며, 플레이트 보디는, 보디의 외측면의 일부에 돌출하는 유지 돌출편의 후면이 접촉하도록 부착용 개구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 수용편과, 커버의 외측면의 일부에 돌출하는 유지 볼록부의 전면을 거는 걸림면을 가지며 부착용 개구의 내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요성이 부여된 걸림 누름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of claim 1 is a mechanism body which is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ear surface is embedded in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from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the mechanism is fixed in position to the constructio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struction surface. The main body has a plate body having an attachment opening to be mounted from the front, and the mechanism main body has a gas bonded by the assembling convex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body and the whole cover an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plate body includes a catch receiving piece that protrudes on the inner side of the attachment opening so that the rear face of the retain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on a part of the outer side of the body and a catching surface that hangs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convex portion protruding on a part of the outer side of the cover. And a locking pressing piece provided with flexibility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이 구성에 따르면, 플레이트 보디의 걸림 수용편과 걸림 누름편에 의해 보디와 커버를 전후 방향에서 끼우므로, 만일, 재료의 열수축에 의해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결합이 얕아지거나,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한 쪽이 파손되어 결합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있어서도 보디와 커버가 플레이트 보디에 의해 유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보디와 커버에 열수축률이 크게 다른 재료를 채용할 수 있게 되어, 재료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body and the cover are sandwich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the locking receiving piece and the locking pressing piece of the plate body, if the assembly convex portion and the assembly concave portion become shallow due to heat shrinkage of the material, the assembly convex portion and Even when one side of the assembly recess is broken and cannot be joined, the body and the cover are held by the plate bod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dopt a material having a significantly different thermal contraction rate to the body and the cover, thereby increasing the choice of materials.

청구항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of claim 2, in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body is made of a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th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ermosetting synthetic resin.

이 구성은, 배선기구가 콘센트인 경우에 특히 유효하며, 콘센트구를 형성하는 커버에는 내트래킹성이 높은 열경화성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비교적 복잡한 형 상인 보디에는 성형이 용이한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보디와 커버가 분리되는 일이 없으므로, 보디와 커버에 열수축율이 크게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디에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디에는 투명 합성수지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구성을 채용하면, 기체의 내부의 부재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판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외부전선을 쇄정(鎖錠,lock)하는 구조의 단자인 속결(速結)단자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보디에 투명 합성수지를 채용함으로써, 속결단자에의 외부전선의 접속상태를 시인할 수 있게 된다.This configuration is particularly effective when the wiring mechanism is an outlet, and a thermosetting synthetic resin having high tracking resistance can be used for the cover forming the outlet port, and a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that can be easily molded can be used for a body having a relatively complicated shape. That is, since the body and the cover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use a material having a significantly different thermal contraction rate from the body and the cover. In addition, since the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can be used for the body, it is possible to employ transparent synthetic resin for the body. By adopting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state of the member inside the substrate. For example, when a fastening terminal, which is a terminal having a structure that locks an external wire by a spring force of a leaf spring, is used,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is employed in the body to provide a fastening terminal.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connection status of external wires.

청구항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디의 전면측에 착탈가능하게 피착되어 상기 기구본체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용 개구를 갖는 화장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기체의 외측면과 플레이트 보디의 내측면의 한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가 돌출되고, 다른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에 결합해서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이고 위치결정 돌출부의 돌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기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결정 홈이 상기 방향에 있어서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에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of claim 3, in the invention of claim 1, there is provided a makeup plate having an opening for exposure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plate body and exposes the front side of the mechanism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plate body. A positioning protrusion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side, and on the other side, the positioning protrusion protrudes to restrict movement of the gas in an opening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and orthogonal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 The crystal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in the opening surface of the opening for attachment in the above direction.

이 구성에 따르면, 기구본체와 플레이트 보디의 한 쪽에 형성된 위치결정 돌출부와 다른 쪽에 형성한 위치결정 홈의 결합에 의해, 플레이트 보디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고, 위치결정 돌출부와 위치결정 홈의 결합부위에 대하여 기체가 대칭적으로 신축하기 때문에, 치수의 편차나 열수축에 의해 기체와 화장 플레이트 보디의 노출용 개구에 치수차가 생겨도, 기체와 노출용 개구의 내주가장자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치수가 같아져서, 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플레이트 보디의 부착용 개구의 내측면에 있어서, 위치결정 돌출부 또는 위치결정 홈을 형성하는 면과, 유지 돌출편 또는 유지 볼록부를 형성하는 면을 다르게 해 두면, 플레이트 보디와 기체의 결합의 깊이를 균일화할 수 있어, 기체가 충격력 등에 의해 플레이트 보디로부터 탈락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relative movement in the opening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formed in the plate body is regul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mechanism body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plate body and the position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positioning Since the gas is symmetrically stretched and contracted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positioning groove, even if a dimension difference occurs in the exposure opening of the body and the cosmetic plate body due to a dimensional deviation or heat shrinkage, the gap between the gas and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exposure opening is The dimension of the gap created is the same, and the appearance is not damaged. In addition, in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of the plate body, if the surface forming the positioning protrusion or the positioning groove is different from the surface forming the holding protrusion or the holding convex portion, the depth of engagement between the plate body and the body is increased. It can be made uniform, and the possibility that a gas falls out from a plate body by impact force etc. can be reduced.

청구항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디의 전면측에 착탈가능하게 피착되어 상기 기체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용 개구를 갖는 화장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기체의 외측면과 플레이트 보디의 내측면의 한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가 돌출되고, 다른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에 결합해서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이고 위치결정 돌출부의 돌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기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결정 홈이 상기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invention of Claim 4, in invention of Claim 1, it has a makeup plate which has an exposure opening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said plate body, and exposes the whole surface of the said base body,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aid base body and plate body A positioning protrusion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side, and on the other side, the positioning protrusion protrudes to restrict movement of the gas in an opening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and orthogonal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 A plurality of crystal grooves are formed in the direction described above.

이 구성에 따르면, 기구본체와 플레이트 보디의 한 쪽에 형성된 위치결정 돌출부와 다른 쪽에 형성된 위치결정 홈의 결합에 의해, 플레이트 보디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고, 위치결정 돌출부와 위치결정 홈의 결합부위에 대해서 기체가 신축하기 때문에, 치수의 편차나 열수축에 의해 기체와 화장 플레이트 보디의 노출용 개구에 치수차가 생겨도, 기체와 노출용 개구의 내주가장자리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져, 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즉, 플레이트 보디와 기체의 상대적인 신축을 복수 개소에서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플 레이트 보디와 기체의 신축을 규제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플레이트 보디의 부착용 개구의 내측면에 있어서, 위치결정 돌출부 또는 위치결정 홈을 형성하는 면과, 유지 돌출편 또는 유지 볼록부를 형성하는 면을 다르게 해 두면, 플레이트 보디와 기구본체의 결합의 깊이를 균일화할 수 있어, 기구본체가 충격력 등에 의해 플레이트 보디로부터 탈락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mechanism body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plate body and the position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relative movement in the opening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formed on the plate body is restricted,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is Since the body expands and contracts with respect to the joining position between the and positioning grooves, even if a dimension difference occurs in the exposure opening of the body and the cosmetic plate body due to a dimensional deviation or heat shrinkage, it is difficult to create a gap between the base and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exposure opening. It does not lose appearance. That is, since the relativ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late body and the body is regulated at plural places,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late body and the body is increased. In addition, in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of the plate body, if the surface forming the positioning protrusion or the positioning groove is different from the surface forming the holding protrusion or the holding convex portion, the depth of engagement between the plate body and the mechanism body is different. Can be made uniform, and the possibility of a mechanism body falling off from a plate body by impact force etc. can be reduced.

청구항5의 발명에서는, 청구항3 또는 청구항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와 상기 플레이트 보디 중 열수축이 작은 쪽에 위치결정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of claim 5, in the invention of claim 3 or 4, the position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ne of the base and the plate body in which heat shrinkage is smaller.

이 구성에 따르면, 위치결정 돌출부보다 위치결정 홈의 쪽이 열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열수축이 생겼을 때에는, 위치결정 돌출부에 위치결정 홈의 내주면이 밀착하도록 수축이 생겨, 위치결정 돌출부와 위치결정 홈의 결합상태가 열수축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ositioning groove has a larger thermal contraction rate than the positioning protrusion, when heat shrinkage occurs, shrinkage occurs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itioning groove closely adheres to the positioning protrusion, so that the positioning protrusion and the positioning gro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gaged state from being released by heat shrink.

청구항6의 발명에서는, 청구항3 내지 청구항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돌출부와 상기 위치결정 홈 중 적어도 한 쪽은 다른 쪽과는 폭치수가 다른 테이퍼상의 도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of claim 6, in the invention of claims 3 to 5, at least one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 and the positioning groove includes a tapered introduction portion having a width dimension different from the other.

이 구성에 따르면, 도입부를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위치결정 돌출부와 위치결정 홈의 위치맞춤이 용이해진다. 또한, 위치결정 돌출부와 위치결정 홈이 기구본체와 플레이트 보디의 상대적인 신축을 규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기구본체를 플레이트 보디의 부착용 개구에 도입할 때의 가이드로서도 기능한다. 즉, 2개의 기능을 1개소에서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별로 다른 구성을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 하면 가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forming the introduction portion, the positioning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 and the positioning groove is facilitated. In addition, the positioning protrusions and the positioning grooves function not only to regulate relativ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echanism body and the plate body, but also serve as guides when the mechanism body is introduced into the attachment opening of the plate body. That is, since two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one plac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different structure is provided for each function, processing cost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기구본체의 기체가 전후로 분할된 보디와 커버를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요철결합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면, 어떤 기능의 배선기구에나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배선기구로서 콘센트를 예시한다. 실시형태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콘센트는 1개의 기체에 형상이 다른 2개의 콘센트구를 구비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iring mechanism having any function as long as the body and the cover of which the body of the mechanism body is divided back and forth are joined by the uneven coupling of the assembled convex portion and the assembled recess. In embodiment, an electrical outlet is illustrated as a wiring mechanism. As an embodiment, an outlet described below includes two outlet ports of different shapes in one body.

도3 내지 도5에 나타내듯이, 기구본체(A)는, 벽면과 같은 시공면에 후부(도3의 하부)를 매립한 형태로 시공면에 부착되는 매립형 콘센트로서,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보디(10)와, 보디(10)의 전면에 피착되는 커버(20)를 결합해서 형성되는 직육면체상의 기체(1)를 구비한다. 보디(10)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투명 합성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한다. 또한, 커버(20)는 열경화성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내트래킹성이 우수한 유리아수지를 사용한다.3 to 5, the instrument body A is a buried receptacle attach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in a form in which a rear portion (lower portion of FIG. 3) is embedded in the construction surface such as a wall surface, and has a box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A body 10 and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ase 1 formed by combining the cover 20 adher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are provided. The body 10 uses a polycarbonate which is preferably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as a molded article of a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In addition, the cover 20 preferably uses a glass resin having excellent tracking resistance as a molded article of a thermosetting synthetic resin.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10)의 상하 양단부(도3의 우측상방을 상으로 함)에는 각각 전방을 향해서 조립편(10a)이 2장씩 돌출되고, 각 조립편(10a)에는 조립 오목부로서 기능하는 조립 구멍(10b)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커버(20)의 상하 양측면에는 조립편(10a)에 형성된 조립 구멍(10b)에 요철결합하는 조립 볼록부로서 기능하는 조립 돌기(20a)가 2개씩 돌출된다. 조립 돌기(20a)는 후면이 경사면으로, 조립편(10a)과 조립 돌기(20a)를 위치맞춤하고, 보디(10)과 커버(20)를 서로 밀착시키면, 조립 돌기(20a)에 밀려서 조립편(10a)이 휘어지고, 그 후, 조립 돌기 (20a)가 조립 구멍(10b)에 끼워넣어진다. 이렇게, 조립시에는 보디(10)와 커버(20)를 서로 밀착시킬 뿐의 간단한 작업으로 보디(10)와 커버(20)를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wo pieces of assembling pieces 10a protrude toward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10 (the upper right side of Fig. 3 is upward), and each of the assembling pieces 10a has an assembling recess. The assembling hole 10b which functions as a part is formed,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wo assembling protrusions 20a functioning as the assembling convex portions which are unevenly coupled to the assembling holes 10b formed in the assembling piece 10a are project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 surfaces of the cover 20. The assembling protrusion 20a is an inclined surface at the rear side, and the assembling piece 10a and the assembling protrusion 20a are positioned, and the body 10 and the cover 2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assembling protrusion 20a is pushed by the assembling protrusion 20a. 10a is bent, and the assembly protrusion 20a is inserted in the assembly hole 10b after that. In this way, during assembly, the body 10 and the cover 20 may be combined by a simple operation only by bringing the body 10 and the cover 20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보디(10)의 내부는, 구획벽(11)에 의해 3실로 구획되어 있다. 즉, 보디(10)의 내부에는, 중앙부에 형성된 접지극용 구획(12a)과, 보디(10)의 폭방향의 양측부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2개의 전압극용 구획(12b,12c)이 형성된다. 접지극용 구획(12a)에는 접지극용 부재(13)가 수납되고, 전압극용 구획(12b,12c)에는 전압극용 부재(14)가 수납된다.The interior of the body 10 is partitioned into three rooms by the partition wall 11. That is, inside the body 10, the ground electrode compartment 12a formed in the center part and the two voltage electrode compartments 12b formed over the substantially full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 , 12c) is formed. The ground electrode member 13 is accommodated in the ground electrode compartment 12a, and the voltage electrode member 14 is accommodated in the voltage pole compartments 12b and 12c.

접지극용 부재(13)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평(平)형 플러그 핀을 수용하는 핀수용 스프링(13a)과, 핀수용 스프링(13a)과 보디(10)의 후벽에 개구하는 전선삽입구(15)로부터 도입되는 외부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13b)를 결합한 것이며, 평형 플러그 핀을 보디(10)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수용하도록 접지극용 구획(12a)에 수납된다. 또, 전압극용 부재(14)는 평형 플러그 핀을 수용하는 핀수용 스프링(14a)과, 평형 플러그 핀과 환(丸)형 핀의 양쪽을 수용할 수 있는 핀수용 스프링(14b)과, 양 핀수용 스프링(14a,14b) 사이에 끼워져서 전선삽입구(15)로부터 도입되는 외부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14c)를 일체로 결합한 것으로서, 핀수용 스프링(14a)을 도4(b)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형태로 각 전압극용 구획(12b,12c)에 각각 수납된다.The ground electrode member 13 includes a pin water spring 13a for accommodating a flat plug pin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wire insertion hole 15 for opening on the rear wall of the pin water spring 13a and the body 10. It connects the terminal 13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electric wire introduce | transduced from it, and it is accommodated in the ground electrode compartment 12a so that a balanced plug pin may be accommodated in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voltage pole member 14 includes a pin receiving spring 14a for accommodating a flat plug pin, a pin receiving spring 14b for accommodating both a flat plug pin and an annular pin, and both pins. The pin receiving spring 14a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Fig. 4 (b) by integrally coupling a terminal 14c which is sandwiched between the receiving springs 14a and 14b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ic wire introduced from the electric wire insertion hole 15. It is housed in each of the electrode compartments 12b and 12c in such a manner as to be positioned.

핀수용 스프링(13a,14a)은 평형 플러그 핀을 수용하는 것이므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2장의 스프링편을 대향시킨 형태로 배치하고, 양 스프링편 사이에 평형 플러그 핀을 끼운다. 또한, 핀수용 스프링(14b)은 평형 플러그 핀과 환형 핀 을 수용하는 것이므로, 환형 핀을 유지하는 부위는 2장의 스프링편을 대향시킨 형태로 배치하고, 양 스프링편의 한 쪽의 측면에 1장의 스프링편을 대향시킴으로써 2장의 스프링편의 측면과 1장의 스프링편 사이에 평형 플러그 핀을 유지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핀수용 스프링(13a,14a,14b)의 구성은 주지의 것이다.Since the pin receiving springs 13a and 14a accommodate flat plug pins, two spring pieces made of leaf springs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flat plug pins are sandwiched between both spring pieces. In addition, since the pin receiving spring 14b accommodates the flat plug pin and the annular pin, the part holding the annular pin is arranged in a form in which two spring piece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one spring is provided on one side of both spring pieces. The structure which keeps a flat plug pin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wo spring pieces and one spring piece by opposing a piece is employ | adopted. The configuration of these pin receiving springs 13a, 14a, 14b is well known.

단자(13b,14c)는 전선삽입구(15)를 통해서 기체(1)의 내부에 도입된 외부전선을 판스프링의 스프링력을 사용해서 쇄정하는 속결단자로서, 도1(b),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기편(基片)(16a)의 폭방향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U자상의 쇄정편(16b)을 2장 연장 설치하고, 기편(16a)의 폭방향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각 쇄정편(16b)의 선단측의 다리편에 대향하도록 누름편(16c)을 2장 연장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쇄정편(16b)의 선단측의 다리편은 쇄정편(16b)의 기편(16a)측의 다리편과 누름편(16c) 사이에 위치한다. 단자(13b,14c)는 전선삽입구(15)를 통해서 도입되는 외부전선이 누름편(16c)의 선단측으로부터 쇄정편(16b)과 누름편(16c) 사이에 도입되도록 배치된다. 쇄정편(16b)의 선단부는, 선단에 가까운 부위일수록 누름편(16c)부근에 경사지고, 누름편(16c)에는 쇄정편(16b)의 선단과 전선삽입구(15) 사이인 중간부에 있어서, 쇄정편(16b)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형상으로 굴곡된 부위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삽입구(15)를 통해서 기체(1)의 내부에 도입된 외부전선은, 쇄정편(16b)과 누름편(16c) 사이에서 끼워짐으로써 단자(13b,14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쇄정편(16b)의 선단가장자리가 외부전선에 박히는 쇄정상태로 되어 빠짐방지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장의 기편(16a)에는 쇄정편(16b)과 누름편(16c)을 2장씩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 2개의 외부전선을 접속할 수 있다. 보디(10)를 투명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하면, 전선삽입구(15)로부터 기체(1)에 삽입된 전선이 단자(13b,14c)에 적정하게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시인할 수 있게 되어, 결선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Terminals 13b and 14c are fastening terminals for determining the external wires introduced into the body 1 through the wire insertion openings 15 using the spring force of the leaf springs, as shown in FIGS. 1 (b) and 5. As described above, two U-shaped chain saw pieces 16b are extended from one sid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base piece 16a, and each chain edge piece is provided from the other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iece 16a. It has a structure which extended two pieces of pressing pieces 16c so that it may oppose the leg piece of the front end side of 16b). The leg piece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6b is located between the leg piece on the side of the base piece 16a of the clasp crystal piece 16b and the pressing piece 16c. The terminals 13b and 14c are arranged so that external wires introduced through the wire insertion opening 15 are introduced between the clamping piece 16b and the pressing piece 16c from the front end side of the pressing piece 16c.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lamping piece 16b is inclined near the pressing piece 16c as the portion nearer the tip, and the pressing piece 16c has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clamping piece 16b and the wire insertion hole 15. The curved part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becomes convex toward the chain cutting piece 16b. Therefore, the external wire introduced into the base 1 through the wire insertion opening 1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13b and 14c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clamping piece 16b and the pressing piece 16c. In addition, the leading edge of the clamping piece (16b) is in the locked state in which the external wire is stuck, the fall prevention is mad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hain clamping piece 16b and the pressing piece 16c are provided in each of the base pieces 16a, two external wir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body 10 is a molded article made of transparent synthetic resin, it is possible to visually recognize whether the electric wire inserted into the base 1 from the electric wire insertion hole 15 is proper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13b and 14c, and the connection work is performed. Workability is improved.

각 단자(13b,14c)에 있어서의 2장의 쇄정편(16b) 사이의 부위에는 해제레버(17)가 배치된다. 해제레버(17)는 도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10)의 측벽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통과용 슬릿(10d)을 통해서 일단부가 보디(10)로부터 노출되는 레버본체(17a)를 가지며, 레버본체(17a)의 타단부에는 보디(10)의 내부에서 정위치에 지지되는 축부(17b)가 형성되고, 또한 축부(17b)의 양측면에는 1개의 단자(13b,14c)에 있어서의 2장의 쇄정편(16b)에 접촉가능한 2개의 누름부(17c)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과용 슬릿(10d)은 보디(10)의 전단가장자리에서 개방되어 있다. 외부전선을 단자(13b,14c)에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 해제레버(17)를 축부(17b)의 둘레로 회전시키면(예를 들면, 도1(b)에 있어서 우측의 해제레버(1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들어올리면), 쇄정편(16b)의 선단부가 누름부(17c)에 의해 누름편(16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힘을 받아, 외부전선의 쇄정상태가 해제되어 외부전선을 기체(1)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된다.The release lever 17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te | part between the 2 chain | strand-edge pieces 16b in each terminal 13b, 14c. As shown in Fig. 1 (d), the release lever 17 is a lever whose one end is exposed from the body 10 through an insertion through slit 10d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has a main body (17a),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17a) is formed with a shaft portion (17b) which is supported in place in the body 10, and one terminal (13b) on both sides of the shaft portion (17b) Two pressing parts 17c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two chain crystal pieces 16b in 14c) are formed. The insertion passage slit 10d is open at the front edge of the body 10. When the external wir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s 13b and 14c, the release lever 17 is rotated around the shaft portion 17b (for example, the release lever 17 on the right side in Fig. 1 (b)). Is lifted to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clasp crystal piece 16b is subjected to a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ush piece 16c by the pressing portion 17c, and the locked state of the external wire is released to the external wire.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base 1.

한편, 커버(20)에는, 상술한 각 핀수용 스프링(13a,14a,14b)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커버(20)의 표리로 관통한 삽입구(21a,22a,22b)가 형성된다. 삽입구(21a)는 도4(a)의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개구되어 있어 접지극이 되는 평형 플러그 핀이 삽입된다. 또한, 삽입구(22a)는 환형 핀과 평형 플러그 핀의 양쪽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서, 개구면이 반원형상 내지 반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2개의 삽입구(22a)는 도4(a)의 좌우방향으로 병설되어 있고, 양 삽입구(22a)의 최근접부위가 상하 방향의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이 직선상의 부위를 따라 평형 플러그 핀이 삽입된다. 평형 플러그 핀을 삽입하는 부위는 환형 핀을 삽입하는 부위보다 광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삽입구(22b)는 평형 플러그 핀이 삽입되도록 직사각형상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도4(a)에 있어서 삽입구(21a)의 하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좌우방향으로 병설된다. 양 삽입구(22b)는 하단측의 거리가 상단측의 거리보다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에는, 삽입구(22a) 및 삽입구(22b)로 이루어지는 콘센트구와, 삽입구(21a)로 이루어지는 콘센트구가 형성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ver 20, insertion ports 21a, 22a, 22b which penetrate the front and back of the cover 20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site | part corresponding to each above-mentioned pin receiving spring 13a, 14a, 14b. The insertion port 21a is opened in a rectangular shap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Fig. 4A, and a flat plug pin serving as a ground electrode is inserted therein. Moreover, the insertion opening 22a is a shape which can insert both an annular pin and a flat plug pin, and an opening surface is formed in semi-circle to semi-ellipse shape. The two insertion holes 22a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Fig. 4A, and the closest contact portions of both insertion holes 22a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lat plug pin is inserted along this straight portion. do. The portion for inserting the flat plug pin is wider than the portion for inserting the annular pin. In addition, the insertion opening 22b is opened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flat plug pin can be inserted, and is located below the insertion opening 21a in FIG. Both insertion ports 22b are inclined so that the distance at the lower end side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at the upper end side. However, in the outlet of the present embodiment, an outlet port formed of the insertion port 22a and the insertion port 22b and an outlet port formed of the insertion port 21a are formed.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콘센트구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각각 삽입구(21a,22a,22b)에 아무 것도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 삽입구(21a,22a,22b)를 폐쇄하는 덮개체(23a,23b)가 배치된다. 즉, 덮개체(23a,23b)는 콘센트구마다 설치되며, 각 콘센트구의 복수개의 삽입구(21a,22a,22b)를 콘센트구마다 일괄해서 개폐한다. 또한, 덮개체(23a,23b)는 커버(2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유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24a,24b)에 의해 콘센트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콘센트구는 평상시는 덮개체(23a,23b)에 의해 폐쇄되어 먼지 등의 이물이 콘센트구에 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각 덮개체(23a,23b)에는 콘센트구를 폐쇄하고 있을 때 삽입구(21a,22a,22b)를 향하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평형 플러그 핀 및 환형 핀을 삽입구(21a,22a,22b)에 삽입하면, 평형 플러그 핀 및 환형 핀으로부터 경사면이 받는 힘에 의해 덮개체(23a,23b)가 복귀 스프링(24a,23b)의 스프링력에 저항해서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lids 23a and 23b for closing the insertion openings 21a, 22a and 22b when nothing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s 21a, 22a and 22b, respectively, in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outlets. ) Is placed. That is, the cover bodies 23a and 23b are provided for each outlet port, and the plurality of insertion ports 21a, 22a and 22b of each outlet port are opened and closed collectively for each outlet port. The lids 23a and 23b are pressuriz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outlet port by return springs 24a and 24b made up of coil springs hel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20. The outlet port is normally It is closed by the cover bodies 23a and 23b so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do not enter the outlet. Each cover body 23a, 23b is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facing the insertion ports 21a, 22a, 22b when the outlet port is closed, so that the flat plug pin and the annular pin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s 21a, 22a, 22b. The lower body 23a, 23b is opened against the sp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s 24a, 23b by the force which the inclined surface receives from the balanced plug pin and the annular pin.

커버(20)의 내저면이며 각 단자(13b,14c)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각각 단자(13b,14c)의 기편(16a)에 접촉해서 보디(10)로부터의 단자(13b,14c)의 부상(浮上)을 방지하는 누름 리브(25)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ver 20 and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terminals 13b and 14c, the terminals 13b and 14c are lifted from the body 10 in contact with the base piece 16a of the terminals 13b and 14c, respectively. A pressing rib 25 is formed to prevent the upset.

그런데, 상술한 콘센트의 기구본체(A)를 벽면과 같은 시공면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1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공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시공면에 대해서 정위치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보디(B)와, 플레이트 보디(B)의 전면을 덮는 형태로 플레이트 보디(B)에 결합되는 화장 플레이트(C)를 사용한다. 플레이트 보디(B) 및 화장 플레이트(C)는 모두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서, 플레이트 보디(B)는 기구본체(A)를 부착하기 위해서 부착용 개구(31)을 가지며, 화장 플레이트(C)는 기구본체(A)의 전면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용 개구(41)를 갖는다. 화장 플레이트(C)의 배면에는 플레이트 보디(B)의 둘레부에 형성된 4개의 결합 구멍(30a)에 각각 삽입되는 결합 다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결합 다리의 선단부에 형성된 훅을 결합 구멍(30a)의 둘레부에 거는 것에 의해 화장 플레이트(C)가 플레이트 보디(B)에 결합된다. 또한, 플레이트 보디(B)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분리편(30b)이 연장 설치되며, 화장 플레이트(C)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분리편(30b)이 맞물리는 분리홈(40b)이 형성되어 있어, 플레이트 보디(B)에 화장 플레이트(C)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마이너스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분리편(30b)과 분리 홈(40b) 사이에 삽입해서 공구를 지레로 사용함으로써 화장 플레이트(C)를 플레이트 보디(B)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By the way, when attaching the mechanism body A of the above-mentioned outlet to a construction surface such as a wall surface, as shown in Figs. 1 and 5, the plate is fixed in position to the construction surface in the form of contacting the construction surface. The body B and the makeup plate C joined to the plate body B in the form which covers the whole surface of the plate body B are used. Both the plate body B and the makeup plate C have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the plate body B has an attachment opening 31 for attaching the mechanism body A, and the makeup plate C has an appliance body ( It has an exposure opening 41 for exposing the front surface of A). The rear surface of the makeup plate C is provided with engaging legs (not shown)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our engaging holes 30a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plate body B, and hooks formed at the distal ends of the engaging legs are connected to the engaging holes ( The makeup plate C is coupled to the plate body B by hanging on the periphery of 30a). In addition, the separating piece 30b is extended to the lower edge of the plate body B, and the separating groove 40b to which the separating piece 30b is engaged is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makeup plate C. In the state where the makeup plate C is attached to (B), the makeup plate C is plated by inserting a tool such as a negative driver between the separating piece 30b and the separating groove 40b and using the tool as a lever.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B).

기구본체(A)는 시공시에는 플레이트 보디(B)에 유지되는 것으로, 기구본체(A)를 플레이트 보디(B)와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여, 보디(10)의 좌우 양측부에는 외측면의 일부(보디(10)의 개구 가장자리의 일부로부터 외측)에 유지 돌출편(18)이 돌출되며, 커버(20)의 상하 양측면의 일부(커버(20)의 상하 양면의 중앙부)에는 유지 볼록부(26)가 돌출된다. 유지 돌출편(18)은 삽입통과용 슬릿(10d)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상하로 2분되어 있다. 커버(20)에 있어서 보디(10)의 유지 돌출편(18)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유지 돌출편(18)과 맞물리는 노치부(27)가 형성되며, 커버(20)의 양측부에 있어서 노치부(27) 이외의 부위의 후면과 유지 돌출편(18)의 후면이 면일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지 볼록부(26)의 전면은 유지 돌출편(18)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유지 볼록부(26)는 후방을 향해서 돌출치수를 작게 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instrument body A is held by the plate body B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e instrument body A is configured to engage the plate body B. A part of 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 (The holding protrusion piece 18 protrudes from a part of the opening edge of the body 10 outside, and the holding convex part 26 is a part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ver 20 (cent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20). ) Is projected. The holding protrusion 18 is divided into two parts up and down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lit 10d. The notch part 27 which engages with the holding protrusion piece 18 is formed in the site | part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protrusion piece 18 of the body 10 in the cover 20, and is provided in both sides of the cover 20. The rear surface of the site | parts other than the notch part 27 and the rear surface of the holding | maintenance protrusion piece 18 are made to coincide. More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convex part 26 is located in front of the back surface of the holding protrusion piece 18, and the holding convex part 26 is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shape which makes a protrusion dimension small toward the back.

또한, 보디(10)의 우측면의 상부에는 커버(20)와의 결합시에 커버(20)의 우측면보다 우측을 향해서 제1덮개편(19a)이 돌출되고, 제1덮개편(19a)의 기부부근에는 전방을 향해서 제2덮개편(19b)이 돌출된다. 커버(20)에 있어서 제1 및 제2덮개편(19a,19b)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제1 및 제2덮개편(19a,19b)에 맞물리는 스위치부착용 노치(28)가 형성된다. 따라서, 보디(10)에 커버(20)를 결합한 상태에서는, 스위치부착용 노치(28)는 폐쇄된다. 스위치부착용 노치(28)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right side of the body 10, the first cover piece 19a protrudes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right side of the cover 20 when the cover 20 is engaged, and the base portion of the first cover piece 19a is located near the base. The 2nd cover piece 19b protrudes toward the front. In the cover 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ver pieces 19a and 19b, a notch 28 for attaching the switch meshes with the first and second cover pieces 19a and 19b. Therefore, in the state which couple | covered the cover 20 to the body 10, the notch 28 for switch attachment is closed. The function of the notch 28 for a switch is mentioned later.

플레이트 보디(B)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부착프레임편(32)과, 양 부착프레임편(32)의 상하 각 단부사이를 각각 연속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편 (33)을 갖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이고, 각 부착프레임편(32)의 길이방향(도6의 상하방향)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긴 구멍형상의 부착용 구멍(32a)이 형성된다. 부착용 구멍(32a)은 시공면에 플레이트 보디(B)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나사를 삽입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시공면에 박스를 매립해 두고, 박스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부착나사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플레이트 보디(B)를 시공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편(33)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표리로 관통하는 탄성부여 구멍(34)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여 구멍(34)과 부착용 개구(31) 사이에 걸림 누름편(35)이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 누름편(35)은 부착용 개구(31)의 내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게 된다. 부착용 개구(31)의 좌우의 양 내측면의 적당 개소에는 걸림 수용편(36)이 돌출된다.As shown in Fig. 6, the plate body B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air of right and left attachment frame pieces 32 and a connecting piece 33 for continuously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both attachment frame pieces 32, respectively. In the center of the frame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in Fig. 6) of each of the attachment frame pieces 32, there is formed an attachment hole 32a having a vertically long hole shape. The attachment hole 32a is formed in order to insert the attachment screw for fixing the plate body B to a construction surface. For example, the plate body B can be fix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by embedding the box in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screwing the attachment screw in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box. In addition, the connecting piece 33 is formed with an elasticizing hole 34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penetrating the front and back, and a locking pressing piece 35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izing hole 34 and the attachment opening 31. do. Therefore, the locking pressing piece 35 has flexibility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31. The locking receiving piece 36 protrudes at appropriate locations on both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attachment opening 31.

플레이트 보디(B)에 기구본체(A)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기구본체(A)를 플레이트 보디(B)의 전방으로부터 부착용 개구(31)안으로 삽입한다. 보디(10)의 후부가 부착용 개구(31)에 삽입되면, 보디(10)에 설치된 유지 돌출편(18)의 후면이 걸림 수용편(36)의 전면에 접촉해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유지 볼록부(26)가 걸림 누름편(35)을 압압함으로써, 걸림 누름편(35)이 외측으로 휘어지고, 유지 볼록부(26)가 걸림 누름편(35)을 타넘으면, 걸림 누름편(35)의 후면인 걸림면에 유지 볼록부(26)의 전면이 접촉함으로써 기구본체(A)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기구본체(A)가 플레이트 보디(B)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배선기구(A)의 보디(10)와 커버(20)가 플레이트 보디(B)의 걸림 수용편(36)과 걸림 누름편(35) 사이에서 끼워지게 되므로, 조립 돌기(20a)가 어떠한 원인(재료의 열수축이나 파손 등)에 의해 조립편(10a)에 형성된 조립 구멍(10b)으로부터 분리되었다 해도, 보디(10)와 커버(20)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보디(10)와 커버(20)의 재료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또한, 플레이트 보디(B)의 부착용 개구(31)에 있어서, 걸림 수용편(36)은 좌우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걸림 누름편(35)은 상하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 수용편(36)과 걸림 누름편(35)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다소의 치수오차가 있어도, 플레이트 보디(B)가 휘어짐으로써 기구본체(A)를 플레이트 보디(B)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걸림 수용편(36)과 걸림 누름편(35)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치수오차의 허용범위가 넓어진다. 또, 플레이트 보디(B)에 화장 플레이트(C)를 장착하면, 화장 플레이트(C)의 배면에 돌출된 삽입편(40c)이 탄성부여 구멍(34)에 삽입되고, 걸림 누름편(35)의 휘어짐이 금지되어, 결과적으로 기구본체(A)의 플레이트 보디(B)에 대한 결합강도가 높아진다.In order to mount the mechanism body A on the plate body B, the mechanism body A is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opening 31 from the front of the plate body B. When the rear part of th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opening 31, the rear surface of the holding protrusion piece 18 provided in the body 10 contacts the front surface of the latch receiving piece 36, and movement to the rear side is restricted. Moreover, when the holding convex part 26 presses the latching pressing piece 35, when the holding pressing piece 35 bends outward and the holding convex part 26 crosses the latching pressing piece 35, the locking press piece will be pressed.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convex part 26 contacts the engaging surface which is the back surface of the piece 35, the movement to the front of the mechanism main body A is regulated.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mechanism body A is coupled to the plate body B, the body 10 and the cover 20 of the wiring mechanism A are engaged with the locking receiving piece 36 of the plate body B. Since the fitting piece 20a is sandwiched between the pressing pieces 35, the body 10 may be separated from the assembly hole 10b formed in the assembly piece 10a due to any cause (heat shrinkage or breakage of material, etc.). And cover 20 are not separated. As a result, the choice of the material of the body 10 and the cover 20 becomes wider. In addition, in the attachment opening 31 of the plate body B, the locking receiving piece 36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inner side surfaces, and the locking pressing piece 35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so that the locking receiving piece ( Even if there is some dimensional error in the front-rear direction between 36) and the locking pressing piece 35, the mechanism body A can be attached to the plate body B by bending the plate body B, so that the housing is accommodated. The allowable range of the dimensional erro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piece 36 and the locking pressing piece 35 is widened. Moreover, when the makeup plate C is attached to the plate body B, the insertion piece 40c which protru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akeup plate C is inserted into the elasticizing hole 34, and the locking push piece 35 The bending is prohibited, and as a result, the bonding strength of the mechanism body A to the plate body B becomes high.

그런데, 도6에 나타내듯이, 플레이트 보디(B)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31)의 내측면에 있어서 좌우의 부착용 구멍(32a)의 근방에는 위치결정 돌출부(37)가 돌출된다. 바꿔 말하면, 위치결정 돌출부(37)의 상하에 인접하는 부위에는 걸림 수용편 (36)은 형성되지 않고, 위치결정 돌출부(37)와 상하의 걸림 수용편(36)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한편, 도3,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0)의 좌우 양측면에는 위치결정 돌출부(37)에 결합하는 위치결정 홈(29)이 형성된다. 위치결정 홈(29)은 기체(1)의 상하방향의 중심위치에 형성된다. 즉, 기구본체(A)를 플레이트 보디(B)에 장착한 상태로, 부착용 개구(31)의 개구면내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대칭위치에 위치결정 돌출부(37)와 위치결정 홈(29)이 형성되게 된다. 또, 위치결정 홈(29)의 양 측부는, 보디(10)에 형성된 삽입통과용 슬릿(10d)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2분되어 있는 유지 돌출편(18) 사이의 간극에 맞물리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돌출편(18)과 노치부(27)가 맞물림과 아울러, 제1 및 제2덮개편(19a,19b)이 스위치 부착용 노치(28)에 맞물리기 때문에, 삽입통과용 슬릿(10d) 및 위치결정 홈(29)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벌어짐이 방지된다.6,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protrudes in the vicinity of the left and right attachment holes 32a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31 formed in the plate body B.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engaging receiving piece 36 is not formed in the site | part adjacent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and the recessed part is formed between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and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receiving piece 36.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3 and 4, positioning grooves 29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20 to engage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7. Figs. The positioning groove 29 is formed at the center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1. That is, with the mechanism body A mounted on the plate body B,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7 and the positioning grooves 29 are located at symmetrical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opening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31. Will be formed. In addition, both side portions of the positioning groove 29 are engaged with a gap between the holding projection pieces 18 which are divided into two parts up and down with the insertion slit 10d formed in the body 10 interposed therebetween. As described above, the holding projection 18 and the notch 27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lid pieces 19a and 19b are engaged with the notch 28 for attaching the switch. Opening of the slit 10d and the positioning groove 29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evented.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 홈(29)과 위치결정 돌출부(37)가 플레이트 보디(B)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대칭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도7과 같이, 플레이트 보디(B)에 기구본체(A)를 장착했을 때, 기체(1)의 상하방향의 신축은 위치결정 홈(29)과 위치결정 돌출부(37)가 결합되어 있는 부위를 고정위치로 해서 발생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보디(B)의 전면측에 화장 플레이트(C)를 피착할 때, 플레이트 보디(B)의 부착용 개구(31)와 화장 플레이트(C)의 노출용 개구(41)의 상하방향의 중심위치를 일치시켜 두면, 기체(1)의 상하방향의 치수가 열수축 등에 의해 변화되어도, 노출용 개구(41)의 상하 양가장자리와 기체(1)의 전면 사이에 생기는 간극은 상하에서 동일치수로 되고, 간극이 치우쳐서 생기는 경우에 비해서 외관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간극이 치우쳐서 생긴다고 하면, 상하에 형성된 유지 볼록부(26)와 걸림 누름편(35)의 한 쪽에 있어서 결합이 얕아지므로, 강한 충격력 등에 의해 배선기구(A)가 플레이트 보디(B)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생기는 것에 반해,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하의 간극이 균등하게 생기기 때문에, 유지 볼록부(26)와 걸림 누름편(35)의 결합의 깊이가 극단적으로 얕아지는 일이 없어, 충격력 등에 대해서 분리되기 어렵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ing grooves 29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7 are formed at symmetrical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late body B, so that the mechanism body A is placed on the plate body B as shown in FIG. ),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ase 1 in the up-down direction is generated by using a portion where the positioning groove 29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are engaged as a fixed position. Therefore, when attaching the makeup plate C to the front side of the plate body B, the center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attachment opening 31 of the plate body B and the exposure opening 41 of the makeup plate C is vertical. If the positions are matched, even if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base 1 is changed by heat shrinkage or the like, the gap gener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exposure opening 4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1 becomes the same dimension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As a result, the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quality can be suppres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gap is caused by bias. In addition, if the gap is caused by bias, the coupling is shallow in one side of the retaining convex portion 26 and the locking pressing piece 35 formed above and below, so that the wiring mechanism A is separated from the plate body B by a strong impact force or the like. In contrast, the gaps between the holding convex portion 26 and the locking pressing piece 35 do not become extremely shallow due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becomes difficult to be.

한편, 걸림 누름편(35)의 후면에는 유지 볼록부(26)의 양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위치결정 돌출편(38)이 돌출되고, 위치결정 돌출편(38)에 의해 걸림 누름편(35)의 좌우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즉, 한쌍의 위치결정 돌출부(38) 사이가 위치결정 홈으로서 기능하고, 유지 볼록부(26)가 위치결정 돌출부로서 기능한다. 유지 볼록부(26) 및 위치결정 돌출편(38)은 좌우방향의 대칭으로 형성되고, 좌우방향에 있어서도 기체(1)의 신축을 수반하는 좌우의 간극이 균등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cking pressing piece 35, the positioning projection pieces 38 are projected to portions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holding convex portion 26, and the locking pressing pieces 35 are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projection pieces 38. ) Is controlled to move left and right. That is, between the pair of positioning protrusions 38 functions as a positioning groove, and the holding convex portion 26 functions as a positioning protrusion. The holding convex part 26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piece 38 are formed symmetrically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left-right clearance gap which accompanies the expansion | contraction of the base body 1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equalized.

그러나, 도8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 돌출부(37)의 전부에는 전단측일수록 폭치수가 작아지는 테이퍼상의 도입부(3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입부(37a)에 의해 기구본체(A)와 플레이트 보디(B)의 위치를 맞출 수 있으므로, 위치결정 홈(29)과 위치결정 돌출부(37)의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입부(37a)는 위치결정 돌출부(37)에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결정 홈(29)과 위치결정 돌출부(37)가 기구본체(A)와 플레이트 보디(B)의 상대적인 신축을 규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기구본체(A)를 플레이트 보디(B)의 부착용 개구(31)에 도입할 때의 가이드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기능별로 다른 구성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면 가공비용이 저감된다.However, as shown in Figs. 8 and 9, all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7 are formed with a tapered inlet portion 37a whose width dimension becomes smaller as the front end side thereof. Since the position of the mechanism body A and the plate body B can be matched by this introduction part 37a, the positioning of the positioning groove 29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becomes easy. Here, the introduction portion 37a is formed in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and the positioning groove 29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regulate the relativ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echanism body A and the plate body B. In addition to the function, it also functions as a guide when the mechanism body A is introduced into the attachment opening 31 of the plate body B, so that the processing cost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different configuration is provided for each function.

위치결정 홈(29)은,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구본체(A)의 유지 볼록부(26)가 플레이트 보디(B)에 형성된 걸림 누름편(35)의 전면(도9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위치결정 돌출부(37)의 전단부에 형성된 도입부(37a)가 위치결정 홈(29)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위치결정 홈(29)의 후단은 커버(20)의 후면으 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기구본체(A)를 플레이트 보디(B)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위치결정 홈(29)과 위치결정 돌출부(37)가 임시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기구본체(A)의 플레이트 보디(B)에 대한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된다.As shown in Fig. 9, the positioning groove 29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upper surface in Fig. 9) of the holding pressing piece 35 in which the holding convex portion 26 of the mechanism body A is formed in the plate body B. As shown in Figs. In the contacted state, an introduction portion 37a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groove 29. That is, the rear end of the positioning groove 29 extends so as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 and with the positioning groove 29 in a state where the mechanism body A is in contact with the plate body B.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is adapted to be temporarily engaged. This configuration facilitates alignment of the mechanism body A with the plate body B.

상술한 구성예에서는,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플레이트 보디(B)의 좌우 각 변에 1개소씩 형성하고 있지만,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쪽에 대해서 위치결정 돌출부(37)를 복수 개소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도시예에서는, 좌측면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대칭위치의 2개소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형성하고, 우측면에도 2개소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형성하고 있다. 우측면에 있어서의 한쪽의 위치결정 돌출부(37)는 상하방향의 대칭위치인 중심위치에 형성되며, 다른 쪽의 위치결정 돌출부(37)는 하단부근이며 좌측면의 한 쪽의 위치결정 돌출부(37)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기구본체(A)에는 각 위치결정 돌출부(37)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결정 홈(26)이 형성된다. 도10의 구성예와 같이, 한 변의 복수 개소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한 변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1)의 신축을 복수 개소에서 규제하기 때문에, 기구본체(A)와 플레이트 보디(B)의 신축을 규제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복수 개소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체(1)의 신축을 규제하는 효과가 높기 때문에, 위치결정 돌출부(37)의 분포가 치우치지 않는다면 적당 개소에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기구본체(A)와 화장 플레이트(C)의 노출용 개구(41) 간극의 변화를 경감하는 효과가 얻어지지만, 한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체(1)의 신축을 규제하고자 하는 변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대칭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xample,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7 are formed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body B, but as shown in Fig. 10, a plurality of positioning protrusions 37 are provided for at least one side. It may be formed in the.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positioning protrusion part 37 is formed in two places of the symmetrical position of the up-down direction on the left side,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part 37 is formed in two places also on the right side. One positioning protrusion 37 on the right side is formed at a center position that is a symmetrical posi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other positioning protrusion 37 is near the bottom and one positioning protrusion 37 on the left side. It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positioning body 26 is formed in the mechanism main body A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ing protrusion 37. As shown in FIG. As in the configuration example of Fig. 10, since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7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n one sid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ase 1 in the direction along the one side is regula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 And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late body B becomes high.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7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places, the effect of restrict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ase 1 is high. Therefore, if the distribution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7 is not biased, it is only necessary to form them at appropriate positions. Although the effect of reducing the change of the clearance gap of the exposure opening 41 of the mechanism main body A and the makeup plate C is acquired, in order to further improve an effect, it extends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de to which the expansion | contraction of the base body 1 is to be controlled. It is preferable to form in the symmetrical position.

또, 상술한 예에서는 기구본체(A)에 위치결정 홈(29)을 형성하고, 플레이트 보디(B)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형성하고 있지만, 기구본체(A)에 위치결정 돌출부를 형성하고, 플레이트 보디(B)에 위치결정 홈을 형성해도 좋다. 기구본체(A)와 플레이트 보디(B) 중 어느 쪽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형성하는지는 기구본체(A)와 플레이트 보디(B)의 열수축률에 의해 결정하면 된다. 즉, 열수축이 작은 쪽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위치결정 홈(29)의 열수축률을 위치결정 돌출부(37)의 열수축률보다 크게 해 두는 것에 의해, 열수축이 생겼을 때에는, 위치결정 돌출부(37)에 위치결정 홈(29)의 내주면이 밀착해서, 위치결정 돌출부(37)와 위치결정 홈(29)이 한층 강고하게 결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위치결정 돌출부(37)에 도입부(37a)를 형성하고 있지만, 위치결정 홈(29)에 도입부를 형성해도 좋고, 위치결정 돌출부(37)와 위치결정 홈(29)의 양쪽에 도입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over,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although the positioning groove 29 is formed in the mechanism main body A,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is formed in the plate body B, the positioning protrusion part is formed in the mechanism main body A. As shown in FIG. The positioning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plate body B. Which of the mechanism body A and the plate body B forms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may be determined by the thermal contraction rate of the mechanism body A and the plate body B. That i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at the side where thermal contraction is small. In other words, when the thermal contraction rate of the positioning grooves 29 is made larger than the thermal contraction rate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7, when thermal contraction occur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itioning grooves 29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7. This is because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and the positioning groove 29 are more firmly engaged. In addition, although the introduction part 37a is formed in the positioning protrusion part 37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you may form an introduction part in the positioning groove 29,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part 37 and the positioning groove 29 of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 introduction section on both sides.

그런데, 상술한 콘센트의 일부의 부품을 변경함으로써, 도11에 나타내는 스위치가 부착된 콘센트를 구성할 수 있다. 도1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도5에 나타낸 보디(10)의 제1 및 제2덮개편(19a,19b) 대신에, 핸들 탑재대(19c)가 우측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핸들 탑재대(19c)에는 시소동작하는 핸들(50)이 탑재된다. 핸들(50)은 우단부에 수동조작되는 조작체(50a)를 갖고, 조작체(50a)의 좌측면에 축부(50b)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작체(50a)는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되도록 핸들 탑재대(19c)에 대해서 후면의 일부를 접촉시키고 있다. 또한, 축부(50b) 는 스위치 부착용 개구(28)에 삽입통과되고, 축부(50b)의 전면에 형성된 축돌출부(50c)를 스위치 부착용 개구(28)의 앞가장자리에 형성된 축용 노치(28a)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축돌출부(50c)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By the way, by changing a part of the above-mentioned outlet, the outlet with a switch shown in Fig. 11 can be configured.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11, instead of the 1st and 2nd cover pieces 19a and 19b of the body 10 shown in FIG. 5, the handle mounting stand 19c is extended to the right side. The handle 50 for seesawing is mounted on the handle mounting table 19c. The handle 50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has the operation body 50a which is operated manually by the right end part, and has the shaft part 50b in the left surface of the operation body 50a. The operating body 50a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re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handle mounting base 19c so as to be able to s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haft portion 50b is inserted into the switch attaching opening 28 so that the shaft protrusion 50c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50b engages with the shaft notch 28a formed at the front edge of the switch attaching opening 28.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otate around the axial protrusion 50c.

또, 도1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우측의 전압극용 구획(12c)에 수납되는 전압극용 부재(14)는 도5의 구성예에서는 2개의 핀수용 스프링(14a,14b)을 단자(14c)에 결합하고 있지만, 도11에 나타내는 구성예에서는 양 핀수용 스프링(14a,14b) 사이를 도전판(51)을 통해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전판(14c)에 있어서 핸들 탑재대(19c)의 근방부위에는 고정 접점(52)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단자(14c)에는 지지판(53)이 접속되어 있으며, 지지판(53)의 일단부에는 고정 접점(52)에 대해서 접촉이간하는 가동 접점(54)을 형성한 개폐부(55)의 일단가장자리를 접촉시키고 있다. 개폐부(55)는 고정 접점(52)에 가동 접점(54)을 접촉시키는 위치와 가동 접점(54)을 이간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일단가장자리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폐부(55)의 회동범위는 보디(10)의 내부형상에 의해 규정된다.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1, the voltage pole member 14 accommodated in the voltage pole compartment 12c on the right side couples the two pin receiving springs 14a and 14b to the terminal 14c in the configuration example of Fig. 5. However, in the structural example shown in FIG. 11, both pin water springs 14a and 14b are connected via the conductive plate 51.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fixed contact 52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handle mounting base 19c in the conductive plate 14c.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late 53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4c, and one end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55 formed with the movable contact 54 which makes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52 at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53. Is in contact. The opening-and-closing part 55 is rotatable around the said one edge between the position which makes the movable contact 54 contact the fixed contact 52, and the position which moves the movable contact 54 apart. The rotation rang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55 is defined by the internal shape of the body 10.

핸들(50)의 축부(50b)와 개폐부(55)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반전 스프링(56)이 유지되어 있으며, 핸들(50)의 요동에 따라 반전 스프링(56)이 신축하도록 되어 있다. 즉, 핸들(50)은 핸들 탑재대(19c)와의 관계로 규정되는 2위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며, 핸들(50)의 한 쪽의 위치부터 다른 쪽의 위치로 요동시키면 중간위치에 있어서 반전 스프링(56)이 최압축되고, 그 위치를 넘으면 반전 스프링(56)이 급속히 신장하여, 개폐부(55)의 위치가 반전하게 되어 있다. 이 동작은 시소스위치와 동일하다.An inversion spring 56 made of a coil spring is held between the shaft portion 50b of the handle 50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55, and the inversion spring 56 expands and contracts with the swing of the handle 50. That is, the handle 50 can swing between two positions defined in relation to the handle mount 19c, and if the handle 50 swings from one position to the other position of the handle 50, the reverse spring ( When 56 is compressed most and the position is exceeded, the reversal spring 56 expands rapidly, and the position of the opening-closing part 55 is reversed. This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seesaw switch.

상술한 구성에 의해, 핸들(50)을 요동시키는 조작을 행하면, 개폐부(55)가 회동하여 가동 접점(54)이 고정 접점(52)에 대해서 접촉이간하므로, 핀수용 스프링(14a,14b)과 단자(14c) 사이의 전기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도5에 나타낸 콘센트와 같은 커버(20)를 사용하고 있어, 스위치의 유무에 관계 없이 커버(20)를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ion of rocking the handle 50 is performed, the opening / closing part 55 rotates so that the movable contact 54 makes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52, and thus the pin receiving springs 14a and 14b. The electric circuit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14c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ame cover 20 as the outlet shown in Fig. 5 is used, and the cover 20 can be shared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witch.

도11에 나타내는 스위치부착 콘센트에 대응하는 화장 플레이트(40)는 노출용 개구(41)의 우측상부에 핸들(50)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용 노치(42)가 연속해서 형성된다. 노출용 노치(42)는 도12(a)에 나타내듯이, 직사각형상의 노출용 개구(41)와는 중복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콘센트 기체(1)의 폭치수는 접속하는 플러그의 폭치수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20)의 측쪽에 핸들(50)을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도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D)를 접속해도 플러그(D)에 중복되는 일없이 핸들(50)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makeup plate 40 corresponding to the outlet with a switch shown in Fig. 11, an exposure notch 42 for exposing the handle 50 to the upper right side of the exposure opening 41 is formed continuously. The exposure notch 42 is formed in a portion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rectangular exposure opening 41, as shown in Fig. 12A. In general, since the width dimension of the outlet base 1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plug to be connected, the handle 5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ver 2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b), even if the plug D is connected, it becomes possible to operate the handle 50 without overlapping the plug D. FIG.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플레이트 보디의 걸림 수용편과 걸림 누름편에 의해 보디와 커버를 전후방향에서 끼우기 때문에, 만일, 재료의 열수축에 의해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결합이 얕아지거나,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한 쪽이 파손되어 결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라도, 보디와 커버가 플레이트 보디에 의해 유지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 결과, 보디와 커버에 열수축률이 크게 다른 재료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재료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고 하는 이 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dy and the cover are sandwich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the locking receiving piece and the locking pressing piece of the plate body, if the assembly convex portion and the assembly concave portion become shallow due to heat shrinkage of the material, Even if one of the parts and the assembly recess is damaged and cannot be joi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ody and the cover are held in the state held by the plate bod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mploy a material having a significantly different thermal contraction rate for the body and the cover, which has the advantage of widening the choice of materials.

Claims (6)

시공면에 후부를 매립함과 아울러 전면을 시공면으로부터 노출시킨 형태로 시공되는 기구본체와, 시공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시공면에 대해서 정위치에 고정되어 기구본체가 전방으로부터 장착되는 부착용 개구를 갖는 플레이트 보디를 갖고, 기구본체는, 후부의 보디와 전부의 커버의 한 쪽에 형성된 조립 볼록부와 다른 쪽에 형성된 조립 오목부의 요철결합에 의해 결합된 기체를 가지며, 플레이트 보디는, 보디의 외측면의 일부에 돌출되는 유지 돌출편의 후면이 접촉하도록 부착용 개구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 수용편과, 커버의 외측면의 일부에 돌출되는 유지 볼록부의 전면을 거는 걸림면을 가지며 부착용 개구의 내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요성이 부여된 걸림 누름편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보디의 연결편에 탄성부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The instrument body is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ear surface is embedded in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from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the attachment opening in which the instrument body is mounted from the front side is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struction surface. It has a plate body which has a body, The mechanism body has a base body couple | bonded by the convex-concave coupling of the assembly convex part formed in the rear body and the whole cover, and the assembly concave part formed in the other side, The plate body is a It has a locking surface which protrudes in the inner surface of a mounting opening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holding protrusion which protrudes in part may be caught, and the locking surface which hangs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convex part which protrudes i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a cover, and intersects the inner surface of a mounting opening. And a locking pressing piece provided with flexibility in a direction to be provided, and an elastic imparting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iece of the plate body. Wir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The wiring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s made of a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and the cover is made of a thermosetting synthetic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디의 전면측에 착탈가능하게 피착되어 상기 기구본체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용 개구를 갖는 화장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기체의 외측면과 플레이트 보디의 내측면의 한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가 돌출되고, 다른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에 결합해서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이며 위치결정 돌출부의 돌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기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 홈이 상기 방향에 있어서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에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2. A cosmetic plate as claimed in claim 1 having a make-up plat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plate body and having an opening for exposing to expose the front side of the instrument body. The positioning projection protrudes, and on the other side is a positioning groove which is coupled to the positioning projection to regulate the movement of the gas in the opening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and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projection of the positioning projection. And a symmetrical position in the opening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디의 전면측에 착탈가능하게 피착되어 상기 기구본체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용 개구를 갖는 화장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기체의 외측면과 플레이트 보디의 내측면의 한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가 돌출되고, 다른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에 결합해서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이며 위치결정 돌출부의 돌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기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결정 홈이 상기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2. A cosmetic plate according to claim 1, having a make-up plat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plate body and having an exposure opening for exposing the front side of the instrument body, on on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body and the inner side of the plate body. The positioning projection protrudes, and on the other side is a positioning groove which is coupled to the positioning projection to regulate the movement of the gas in the opening surface of the attachment opening 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ositioning projection. And a plurality of wiring mechanisms are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와 상기 플레이트 보디 중 열수축이 작은 쪽에 위치결정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4. The wiring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positio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body and the plate body in which heat shrinkage is small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돌출부와 상기 위치결정 홈 중 적어도 한 쪽은 다른 쪽과는 폭치수가 다른 테이퍼상의 도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4. The wiring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 and the positioning groove includes a tapered introduction portion having a width dimens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side.
KR1020050007013A 2004-01-27 2005-01-26 Wiring device KR10112451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9089A JP2005218177A (en) 2004-01-27 2004-01-27 Wiring accessories
JPJP-P-2004-00019089 2004-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862A KR20060042862A (en) 2006-05-15
KR101124519B1 true KR101124519B1 (en) 2012-03-15

Family

ID=3487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013A KR101124519B1 (en) 2004-01-27 2005-01-26 Wiring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218177A (en)
KR (1) KR101124519B1 (en)
CN (1) CN100377439C (en)
TW (1) TWI27816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2938B (en) * 2014-08-07 2016-05-11 广州市新旗专利技术推广服务有限公司 Fixed wall power device expands
TWI674719B (en) * 2018-01-26 2019-10-11 帛漢股份有限公司 Package box for loading electronic parts
KR200497502Y1 (en) * 2021-11-03 2023-11-29 주식회사 베코 Multi-purpose bracket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470A (en) * 1999-06-24 2001-0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witch
JP2002010436A (en) * 2000-06-27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iring fitt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0886A (en) * 1989-08-09 1993-01-19 Lutron Electronics Co., Inc. Wallbox electric device assembly
US5434359A (en) * 1993-09-20 1995-07-18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box
JP3671605B2 (en) * 1997-05-27 2005-07-13 松下電工株式会社 Outl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470A (en) * 1999-06-24 2001-0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witch
JP2002010436A (en) * 2000-06-27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iring fit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18177A (en) 2005-08-11
TWI278160B (en) 2007-04-01
TW200531389A (en) 2005-09-16
CN1649215A (en) 2005-08-03
CN100377439C (en) 2008-03-26
KR20060042862A (en)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519B1 (en) Wiring device
JPH04245182A (en) Electric connector
JP6559723B2 (en) Lighting unit
JP6782448B2 (en) USB outlet
JP6890275B2 (en) USB outlet
JP4135509B2 (en) Tabletop
JP3721809B2 (en) Outlet with door
JP4172395B2 (en) Outlet
JP3546677B2 (en) Outlet
JP2007087893A (en) Table tap
CN112313847B (en) Cover block and distribution board
JP6837205B2 (en) USB outlet
KR102183345B1 (en) Multi-tab
JP4770630B2 (en) Outlet
JP2826190B2 (en) Retainer outlet
JP3860723B2 (en) Game machine
JP2006320148A (en) Plate for wiring fitting
JP3649017B2 (en) Terminal equipment
JP2005032595A (en) Receptacle
JP4122543B2 (en) Push switch
JP4232643B2 (en) Switch device
JP2002171634A (en) Plate for wiring fittings
KR200279074Y1 (en) Fixed Structure for Handle Assembly
RU175725U1 (en) MOBILE PHONE HOLDER
JPH0442888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