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370B1 -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370B1
KR101123370B1 KR1020100045557A KR20100045557A KR101123370B1 KR 101123370 B1 KR101123370 B1 KR 101123370B1 KR 1020100045557 A KR1020100045557 A KR 1020100045557A KR 20100045557 A KR20100045557 A KR 20100045557A KR 101123370 B1 KR101123370 B1 KR 101123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d content
module
additional information
conten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917A (ko
Inventor
장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Priority to KR102010004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370B1/ko
Priority to US13/108,121 priority patent/US20110279224A1/en
Publication of KR2011012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자와 이용자간에 객체를 기반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객체저작툴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입력받는다. 이후, 객체 및 부가정보를 연결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 및 저장하여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전술한 객체기반 콘텐츠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단말에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직접 단말상에서 편집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용이하게 저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based contents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자와 이용자간에 객체를 기반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가 개발되었으며, 현재의 콘텐츠 서비스 시장은 기존의 제공자에 의한 일방향 형태의 콘텐츠 제공만이 아닌, 시청자의 의사를 반영한 양방향 형태의 콘텐츠 제공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특히 주목받고 있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로서, 시청자가 재생중인 동영상내에 등장하는 특정장소 내지 인물 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알고자 할 때, 키보드, 리모콘 등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하면 이에 대한 장소의 명칭 및 위치, 인물의 성명 및 이력 등을 제공하는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서비스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서비스는, 먼저 제공하고자 하는 동영상에 대하여 동영상의 각 프레임상에 객체들이 위치하는 좌표를 추출 및 추적하고, 추출된 좌표로부터 사용자가 포인팅시 선택되는 영역을 정의한다. 이후, 추출된 해당 객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포함하는 부가정보, 즉 시청자가 특정 객체를 선택하였을 경우 제공되는 정보를 전술한 영역과 연결하고,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여 시청자가 특정 객체영역을 선택하면 이와 연결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동영상의 시청 중에 특정 장소, 인물 내지 상품에 대하여 부가정보를 얻고 싶을 때는, 시청자 단말을 제어하는 키보드,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객체를 선택하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서비스는 PC 또는 IPTV 와 같은 특정 플랫폼에 한정되어 제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객체기반 동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전용 저작장치가 있어야 하며 전용 객체저작툴에서 전문지식을 가진 저작자가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또한 객체기반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도 고사양의 전용 단말기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 폰 및 기타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간에 객체기반 동영상을 저작 및 이를 공유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객체저작툴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객체 및 부가정보를 연결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d)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수신단말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는 수신자에 대한 광고관련 내용을 포함하며,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 첨부파일 형태로 상기 수신단말에 배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b)는, 템플릿 제공모듈에 템플릿 샘플을 요청 및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템플릿 샘플을 상기 부가정보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정보통신망을 통해 송신단말로부터 객체기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c)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객체와 매핑된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b)와 단계(c) 사이에, (b1)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객체로 정의된 일 영역이 인물얼굴에 해당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b1) 단계에서 인물얼굴로 판단될 경우, 해당 인물의 연락처정보가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 단계에서 해당 인물의 연락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추출하여 상기 부가정보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객체로 정의된 일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객체가 홍보대상의 상품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웹 사이트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객체가 장소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장소의 명칭 및 위치를 설명하는 홍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기반 콘텐츠를 타 단말에 제공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는 입력처리모듈; 상기 입력처리모듈이 인식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매핑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는 객체저작툴; 및, 상기 입력처리모듈로부터 입력받는 식별코드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객체저작툴은, 상기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는 영역설정모듈; 및, 상기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부가정보 입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가 조작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촬영을 통해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촬영모듈;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 및 객체기반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 및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스마트 폰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가정보 입력을 위한 하나이상의 템플릿 샘플을 상기 부가정보 입력모듈에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 및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모듈;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가 인물의 얼굴이면, 이를 인식하는 얼굴인식모듈; 및, 상기 얼굴인식모듈이 인식한 인물 또는 상기 입력처리모듈이 인식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객체에 매핑된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부가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단말에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직접 단말상에서 편집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용이하게 저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한 객체기반 콘텐츠를 타 단말에 정보통신망을 통해 손쉽게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측의 사용자는 전송된 콘텐츠를 재생하여 보다 진보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의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단말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단말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단말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송신측에서 사용자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및 아이패드TM 등의 디지털 단말을 이용하여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를 송신측 단말(100)에서 객체저작툴을 이용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작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수신측 단말(2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송신 및 수신측 단말은 상기에서 열거한 예 뿐만 아니라, 콘텐츠를 제작 및 저장할 수 있고, 이를 객체저작툴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으며,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어떠한 디지털 단말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할 수 있으나, 특히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며, 데이터 통신에 특화된 스마트폰(smart phone)인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측 단말 사용자는, 자신의 송신단말(100)에 객체저작툴을 설치하고, 객체저작툴상에서 단말(100)에 저장된 하나이상의 디지털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여 객체영역을 정의하고,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입력한 후 객체영역과 부가정보를 매핑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 및 저장한다. 이후, 전화번호와 같은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정보통신망에 접속하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저장된 객체기반 콘텐츠를 전송한다.
객체기반 콘텐츠를 전송받은 수신단말(200)은 전송된 객체기반 콘텐츠를 단말의 저장공간에 저장한다. 이후 수신단말(200)의 사용자는 객체기반 콘텐츠의 전용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를 재생하고, 재생 중 등장하는 객체에 대해 부가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해당 객체를 선택하면 수신단말(200)은 객체에 매핑된 부가정보를 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각 단말간에 사용자 자신이 편집 및 저작한 객체기반 콘텐츠의 전송방법 및 장치로서, 각 단말은 본 발명에 관련된 동일한 구조 및 동일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단말구조를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는 정보통신망에 연접속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송신 또는 수신단말(100, 200)로서, 콘텐츠를 생성, 표시, 저장 및 전송하는 하드웨어 제어부(15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작하거나, 또는 객체기반 콘텐츠를 실행하는 콘텐츠 관리부(17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하드웨어 제어부(150)는 송신단말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모듈로서, 사용자의 단말조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모듈(151)과,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촬영모듈(152)과, 콘텐츠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54)과, 각종 콘텐츠 및 기타 단말구동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156)과,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수신단말(158)에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58)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모듈(151)은 사용자가 송신단말(100)에 각종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여 송신단말(100)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 버튼 형태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모듈(154)상에 덮여 표시되는 가상의 버튼을 클릭하는 터치 스크린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모듈(151)은 사용자가 복잡한 구동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매크로 값이 지정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축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촬영모듈(152)은 카메라렌즈 및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카메라 렌즈로 인입하는 촬영대상에 대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 포맷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디스플레이 모듈(154)은 송신단말(100)의 구동시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촬영모듈(152)이 현재 촬영하고 있는 피사체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모듈(156)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및 동영상 등 각종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객체저작 콘텐츠 편집시, 디스플레이 모듈(154)상에 표시된 객체의 영역을 지정하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54)은 LCD, OLED 등 소형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인터페이스 모듈(151)과 겹쳐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모듈(156)은 송신단말(100)에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 장치이다. 특히, 저장모듈(156)은 촬영모듈이 생성한 콘텐츠를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가 객체저작작업을 수행하려고 하면 객체저작툴상에 저장된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수신단말(200)에서는 전송받은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장하게 된다.
통신모듈(158)은 송신단말(100)의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수신단말(200)과 음성 통신하거나 또는 저장된 객체기반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하드웨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입력, 콘텐츠 생성, 표시, 저장 및 전송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콘텐츠 관리부(170)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콘텐츠 관리부(1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작하거나, 또는 객체기반 콘텐츠를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콘텐츠를 전송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인터페이스 모듈(151)이 입력받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콘텐츠 관리부(170)의 각 모듈을 제어하는 입력처리모듈(171)과, 입력처리모듈(171)의 제어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적 및 추출하는 영역 설정모듈(172)과, 추출된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입력받고 객체와 매핑되어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입력모듈(173)과, 부가정보 입력시 템플릿 소스를 지원하는 템플릿 제공모듈(174)을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저장모듈(156)에 저장된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모듈(175)과, 재생중인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 중, 인물얼굴영역을 감지하는 얼굴인식모듈(176)과, 사용자에 의한 객체선택 또는 얼굴인식모듈(176)에 의한 인물얼굴 감지시 이와 매핑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을 포함한다. 전술한 영역설정모듈(172) 및 부가정보 입력모듈(173)은 객체저작툴이며, 재생모듈(175), 얼굴인식모듈(176) 및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은 객체기반 동영상 전용 플레이어로서, 단말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처리모듈(171)은 사용자의 의해 인터페이스 모듈(151)이 조작되면, 이에 대응하여 각 모듈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일예로서 터치 스크린 형태의 인터페이스의 경우,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된 컨텐츠의 일부영역을 드래그하여 선택하면, 입력처리모듈(171)은 화면상에서 드래그된 영역의 좌표를 판단하고 이를 영역설정모듈(172)에 알려주어 영역설정모듈(172)이 해당 영역을 객체로 인식하도록 제어한다.
영역설정모듈(172)은 입력처리모듈(171)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에 등장하는 하나이상의 객체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 및 추적하여 객체를 정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콘텐츠가 사진인 경우, 영역설정모듈(172)은 디스플레이모듈(154)상에 현재 표시되는 사진에 사용자가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일 영역을 선택하면 이를 객체영역으로 설정한다. 또한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영역설정모듈(172)은 디스플레이모듈(154)상에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 사용자가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일 영역을 선택하면 이를 최초 객체영역으로 설정하고, 다음 프레임을 진행하여 사용자가 객체의 이동 및 퇴장을 확인하여 객체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함으로서 객체를 추적한다.
부가정보 입력모듈(173)은 추출 및 추적된 객체와 매핑되어 이후 객체선택시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의 내용을 입력받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전술한 부가정보에는 객체가 인물일 경우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및 촬영날짜 등의 정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가 상품일 경우 품명, 제조사, 사양, 구입방법 및 구입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웹 사이트 링크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가 특정 지역일 경우 지역명, 위치 및 지역홍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정보는 외부 콘텐츠 제공장치와 연동되어 콘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수신측 사용자는 객체선택 이후, 부가정보상에 콘텐츠 목록을 재 선택하여 연동된 콘텐츠를 더 제공받게 된다. 외부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는 영상, 음원 또는 영상과 음원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는 텍스트 포맷의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후에 설명하는 템플릿 제공모듈(174)이 제공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 제공모듈(174)은 단순한 텍스트 포맷이외에 다양한 폰트, 색상, 크기 및 기타 무늬를 가지는 다양한 포맷의 데이터를 부가정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템플릿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객체저작 중인 사용자는 다양한 템플릿 샘플을 선택하여 부가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이하, 콘텐츠 관리부(170)에서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객체기반 콘텐츠 재생기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재생모듈(175), 얼굴인식모듈(176) 및 부가정보 처리모듈(177)로 구성된다.
재생모듈(175)은 저장모듈(156)에 저장된 하나이상의 객체기반 콘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해당 코덱에 맞게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4)을 통해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해, 재생모듈(175)은 AVI 포맷의 동영상 파일 뿐만 아니라, MPEG, MPEG2, MPEG4, WMV, H.264 및 DIVX 등의 다양한 포맷의 동영상 파일을 디코딩할 수 있는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얼굴인식모듈(176)은 재생모듈(175)이 현재 재생하고 있는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가 인물인 경우, 인물의 얼굴임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선택없이도 이에 매핑된 부가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단말에는 다수의 인물에 대한 연락처, 이메일주소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송신 및 수신단말(100, 200)에서 해당 객체기반 콘텐츠의 재생시 등장하는 인물에 부가정보가 매핑되어 있고, 단말에 해당 인물의 연락처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에 요청하여 이를 부가정보에 포함하여 출력한다.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은 얼굴인식 모듈(176) 또는 입력처리모듈(171)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에 매핑된 부가정보를 추출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54)을 통해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는 휴대형 송수신 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작 및 전송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은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객체추출 및 추적단계(S310), 부가정보 입력단계(S320), 객체기반 콘텐츠 생성 및 저장단계(S330) 및 객체기반 콘텐츠 전송단계(S34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객체 추출 및 추적단계(S310)는, 객체저작툴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객체저작툴은 전용기기에 설치되는 객체저작툴인 아닌, 단순화된 객체추출 및 추적툴로서, 영역설정모듈 및 부가정보 입력모듈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을 포함하는 일반 콘텐츠를 선택하고, 영역정보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하여 객체 저작툴상에서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한다.
부가정보 입력단계(S320)는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객체저작툴의 부가정보 입력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텍스트 형태의 부가정보를 입력받거나, 템플릿 제공모듈이 제공하는 복수의 템플릿 중 하나를 선택하여 부가정보를 입력한다.
객체기반 콘텐츠 생성 및 저장단계(S330)는, 추출 및 추적된 객체와, 입력된 부가정보를 연결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S310 및 S320 단계를 통해 영역설정모듈 및 부가정보 입력모듈은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하고, 저장모듈에 저장한다. 따라서, 객체기반 콘텐츠는 객체가 추출 및 추적된 동영상과, 이에 연결된 부가정보를 포함한다.
객체기반 콘텐츠 전송단계(S340)는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객체기반 콘텐츠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송신측 사용자는 수신측 사용자에게 자신의 단말에 저장된 객체기반 동영상을 정보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모듈은 사용자의 식별코드 입력에 대응하여 통신모듈에 요청하고 저장모듈에 저장된 객체기반 콘텐츠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수신단말(200)에 전송한다. 전술한 정보통신망은 일반 무선전화망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식별코드는 수신단말의 전화번호이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송신측 사용자는 단말에 저장된 일반 사진, 동영상 등 개인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작하고, 이를 타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객체가 상품 또는 지역일 경우, 이에 대한 홍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받은 타 단말의 콘텐츠 이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의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신측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은,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객체기반 콘텐츠 수신단계(S410)와, 객체기반 콘텐츠 재생단계(S420)와, 객체 선택단계(S440)와, 객체와 연결된 부가정보 추출 및 표시단계(S450)를 포함한다. 또한, S420 단계 및 S440 단계 사이에, 얼굴인식단계(S430)와, 해당 인물의 연락처정보 추출단계(S433)와, 연락처정보 추가단계(S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객체기반 콘텐츠 수신단계(S4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송신단말로부터 객체기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수신단말의 통신모듈은 식별코드에 의해 접속한 송신단말로부터 객체기반 콘텐츠를 전송받는다. 전술한 정보통신망은CDMA, WCDMA 또는 3G망과 같은 무선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수신한 객체기반 콘텐츠는 저장모듈에 저장된다.
객체기반 콘텐츠 재생단계(S4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이다. 수신측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모듈을 조작하여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 중 S410 단계에서 수신한 객체기반 콘텐츠를 선택하면 수신단말 콘텐츠 관리부의 재생모듈은 해당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한다.
이후, 화면에 등장하는 객체가 특정 인물의 얼굴을 포함하는 경우, 수신단말은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기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30, S433, S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얼굴인식 단계(S430)는, 수신단말의 얼굴인식모듈이 객체기반 콘텐츠 재생 중, 화면에 등장하는 객체가 특정 인물의 얼굴임을 인식하는 단계이다.
해당인물의 연락처정보 추출단계(S433)는 얼굴인식모듈이 특정인물의 얼굴임을 판단하고 저장모듈을 참조하여 해당 인물의 연락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지 검색하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연락처정보는 해당 인물과 관련된 전화번호 및 이메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락처정보 추가단계(S437)는 해당 객체에 매핑된 부가정보에 S433단계에서 추출한 연락처정보를 추가하는 단계이다. 얼굴인식모듈은 추출된 연락처정보를 객체에 매핑된 부가정보에 추가하는 단계이다. 이때, 만약 해당 객체에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즉, Null 값인 경우에는 연락처정보를 부가정보로서 생성한다.
객체 선택단계(S440)는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수신측 사용자는 객체기반 콘텐츠 시청 중, 화면에 등장하는 객체에 대한 부가정보를 얻고자 할 때, 인터페이스 모듈을 조작하여 해당 객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입력처리모듈은 이를 인식하고 부가정보 처리모듈에 알려준다.
객체와 연결된 부가정보 추출 및 표시단계(S450)는 선택된 객체와 매핑된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입력처리모듈이 선택된 객체를 부가정보 처리모듈에 알려주면, 부가정보 처리모듈은 해당 객체와 매핑된 부가정보를 판단하고 저장모듈에 저장된 부가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한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수신측 사용자는 단말에 수신한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고, 이에 대한 부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송신 및 수신단말을 구성하는 각 모듈간 신호흐름에 따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단말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신단말의 촬영모듈(152)이 대상을 촬영하여 생성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모듈(154)에 제공하고(S611), 디스플레이모듈(154)은 이를 콘텐츠로서 표시한다. 이때, 영역설정모듈(172)은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화면상에 영역 선택을 대기한다(S612).
이후, 인터페이스 모듈(151)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고(S621), 입력처리모듈(171)은 인터페이스 모듈(151)이 입력받은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여(S622),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영역을 객체영역으로 지정한다(S622). 또한 부가정보 입력모듈(173)은 입력처리모듈(171)이 인식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부가정보를 입력받는다(S654). 이때, 템플릿 제공부(178)는 부가정보 입력부(173)에 하나이상의 템플릿 샘플을 제공할 수 있다(S625).
사용자의 조작이 종료되면, 영역설정모듈(172)은 지정한 객체영역과 입력받은 부가정보를 매핑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모듈(156)에 저장한다(S626). 이후 저장된 객체기반 콘텐츠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모듈(158)을 통해, 타 단말로 전송된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송신측 단말은 사용자가 생성한 사진 및 동영상을 이용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송신단말을 구성하는 각 모듈간 신호흐름에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단말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151)이 저장된 콘텐츠 중 재생할 콘텐츠를 선택하면(S511), 입력처리모듈(171)은 이를 인식하여(S521) 재생모듈(175)에 해당 콘텐츠를 재생할 것을 요청한다. 재생모듈(156)은 이러한 요청에 따라, 저장모듈(156)에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고(S531), 저장모듈(156)은 이를 재생모듈(175)에 제공한다(S532). 재생모듈은 해당 콘텐츠의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작업을 통해 재생을 시작하며, 디스플레이모듈(154)에 재생하는 콘텐츠를 표시할 것을 요청한다(S541). 얼굴인식모듈(176)은 디스플레이모듈(154)이 표시하는 콘텐츠상에 인물얼귤이 등장하는 지 인식하고(S551), 등장하는 경우 이를 객체로서 판단하여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에 해당 얼굴에 매핑된 부가정보를 요청한다(S552).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은 저장모듈(156)에 저장된 데이터에 매핑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에 대한 연락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고(S553),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저장모듈(156)은 해당 연락처정보를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에 제공한다.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은 디스플레이 모듈(154)에 제공받은 연락처정보를 표시할 것을 요청한다(S555).
전술한 단계에 따라, 송신측 단말은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활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수신단말을 구성하는 각 모듈간 신호흐름에 따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단말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은, 먼저 수신단말의 통신모듈(158)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객체기반 콘텐츠를 수신하면, 저장모듈(156)에 전송하여 저장한다(S711).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154)은 저장모듈(156)의 저장결과를 표시한다(S712).
이후, 인터페이스 모듈(151)은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처리모듈(171)은 이를 인식하여(S721), 재생모듈(175)에 해당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요청하고(S722), 재생모듈(175)은 적합한 디코딩작업을 통해 콘텐츠를 재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모듈(154)이 표시하도록 한다(S723).
객체기반 콘텐츠의 재생 중, 얼굴인식모듈(176)이 화면에 등장하는 객체 중, 인물의 얼굴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에 알려주면(S731),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은 그 결과에 따라 특정 인물의 얼굴일 경우, 그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의 연락처정보를 저장모듈(156)에서 검색하여 부가정보에 포함하고(S743),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전술한 부가정보를 표시한다(S745).
또한, 입력처리모듈(171)이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여 특정 객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면(S751),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은 해당 객체와 매핑된 부가정보를 저장모듈(156)에서 추출하고(S752),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추출한 부가정보를 표시한다(S753).
전술한 단계에 따라, 수신측 단말은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활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의 일예를 모식화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일단에 구비된 촬영모듈(152)을 통해 배경, 사물(b) 및 인물(a) 등을 촬영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154)을 통해 표시한다.
이후,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54)상에 구현된 터치 스크린을 손(h)으로 직접 조작하여 콘텐츠 상에 등장하는 인물(a), 또는 사물(b)에 해당하는 영역(o)을 지정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콘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이후의 프레임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인물(a) 또는 사물(b)을 지정한다. 또한, 인물의 경우 얼굴에 해당하는 영역(o)은 얼굴인식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지정 즉, 객체정의가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54)상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부가정보(i)를 입력한다. 이때, 부가정보는 템플릿 제공모듈이 제공하는 샘플 탬플릿상에 입력될 수 있다. 전술한 부가정보에는 적어도 인물(a)의 이름,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방법으로 객체기반 콘텐츠는 저작되고,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타 단말에 제공할 경우에는 해당 단말의 식별코드 즉,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콘텐츠를 첨부하는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수신단말은 해당 콘텐츠를 수신 및 저장 후, 내장된 객체기반 콘텐츠 재생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콘텐츠에 등장하는 인물의 전화번호가 부가정보로 입력된 경우에는 인물에 해당하는 객체영역인 (a)를 선택하는 것으로 전화번호가 추출되고 바로 해당 단말과 전화연결 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하나이상의 음원 및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저장하며, 사용자는 저장된 콘텐츠 목록(i)에서 하나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수신단말측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는 음원, 영상 또는 음원과 영상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형식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통한 홍보 영상물을 제공하는 일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송신측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특정 상품을 촬영하여 콘텐츠를 제작한다. 이후, 객체저작툴을 이용하여 객체를 추출 및 추출하고 부가정보 입력시 해당 상품의 명칭, 제조사, 가격 및 구입문의 사이트 등을 입력하여 수신측 단말에 전송한다.
객체기반 콘텐츠를 수신한 단말(100)은 해당 콘텐츠를 재생하고, 이를 시청하는 수신측 사용자가 해당 상품(k)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부가정보(r)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부가정보(r)의 구입문의 사이트에는 해당 사이트의 인터넷 링크주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수신측 사용자는 이를 선택하여 상품의 구입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활용 예로서, 도 13을 참조하면, 송신측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특정 숙박업소(a)를 촬영하고 이를 객체화 및 부가정보를 입력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수신측 단말에 전송한다. 이후, 수신측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수신된 객체기반 콘텐츠를 시청 중, 등장하는 업소에 예약을 원하는 경우 해당 숙박업소 즉, 객체(p)를 선택하여 부가정보(q)에 포함된 연락처를 선택하여 단말을 통해 직접 업소측과 통화하거나, 또는 링크주소(r)를 선택하여 해당 업소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예약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의 응용된 서비스로서, 특정 지역에 대한 홍보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및 광자기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송신단말 150 : 하드웨어 제어부
151 : 인터페이스모듈 152 : 촬영모듈
154 : 디스플레이모듈 156 : 저장모듈
158 : 통신모듈 170 : 콘텐츠 관리부
171 : 입력처리모듈 172 : 영역설정모듈
173 : 부가정보 입력모듈 174 : 템플릿 제공모듈
175 : 재생모듈 176 : 얼굴인식모듈
177 : 부가정보 처리모듈 200: 수신단말

Claims (16)

  1.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객체저작툴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객체 및 부가정보를 연결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d)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객체가 홍보대상의 상품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웹 사이트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수신단말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는 수신자에 대한 광고관련 내용을 포함하며,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 첨부파일 형태로 상기 수신단말에 배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템플릿 제공모듈에 템플릿 샘플을 요청 및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템플릿 샘플을 상기 부가정보에 삽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5.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정보통신망을 통해 송신단말로부터 객체기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c)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객체와 매핑된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객체가 홍보대상의 상품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웹 사이트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와 단계(c) 사이에,
    (b1)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객체로 정의된 일 영역이 인물얼굴에 해당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b1) 단계에서 인물얼굴로 판단될 경우, 해당 인물의 연락처정보가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 단계에서 해당 인물의 연락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추출하여 상기 부가정보에 삽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객체로 정의된 일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5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가 장소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장소의 명칭 및 위치를 설명하는 홍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10. 객체기반 콘텐츠를 타 단말에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는 입력처리모듈;
    상기 입력처리모듈이 인식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매핑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는 객체저작툴; 및,
    상기 입력처리모듈로부터 입력받는 식별코드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객체가 홍보대상의 상품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웹 사이트와 연동하도록 상기 객체저작툴에 의해 저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저작툴은,
    상기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는 영역설정모듈; 및,
    상기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부가정보 입력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조작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촬영을 통해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촬영모듈;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 및 객체기반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 및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스마트 폰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입력을 위한 하나이상의 템플릿 샘플을 상기 부가정보 입력모듈에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 및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모듈;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가 인물의 얼굴이면, 이를 인식하는 얼굴인식모듈; 및,
    상기 얼굴인식모듈이 인식한 인물 또는 상기 입력처리모듈이 인식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객체에 매핑된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부가정보 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KR1020100045557A 2010-05-14 2010-05-14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KR101123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557A KR101123370B1 (ko) 2010-05-14 2010-05-14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US13/108,121 US20110279224A1 (en) 2010-05-14 2011-05-16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557A KR101123370B1 (ko) 2010-05-14 2010-05-14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917A KR20110125917A (ko) 2011-11-22
KR101123370B1 true KR101123370B1 (ko) 2012-03-23

Family

ID=4539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557A KR101123370B1 (ko) 2010-05-14 2010-05-14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71B1 (ko) * 2012-02-29 2014-02-11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의 반응에 기반한 동적 콘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US9247309B2 (en) * 2013-03-14 2016-01-26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obile content corresponding to media content
US10002191B2 (en) 2013-12-31 2018-06-19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generating search results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US9456237B2 (en) 2013-12-31 2016-09-27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supplement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n-demand media content
US9491522B1 (en) 2013-12-31 2016-11-08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supplemental content relating to media content on a content interface based on state information that indicates a subsequent visit to the content interface
KR102220198B1 (ko) * 2014-06-20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27978B1 (ko) * 2016-06-17 2018-02-09 (주)잼투고 퍼포머 객체 기반의 협연 서비스 제공서버 및 제공방법
KR102638726B1 (ko) * 2021-04-05 2024-02-20 주식회사 마이카페이지 비대면 중고차 거래 중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580A (ko) * 2006-05-12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경로와 부가정보를 연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008853A (ko) * 2007-07-1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580A (ko) * 2006-05-12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경로와 부가정보를 연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008853A (ko) * 2007-07-1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917A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370B1 (ko)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US1032539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input method
KR101664754B1 (ko) 정보 취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8799300B2 (en) Bookmarking segments of content
US10684754B2 (en) Method of providing visual sound im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9977591B2 (en) Image with audio conversation system and method
JP5556911B2 (ja) コンテンツ表現を作成する、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2003157288A (ja) 情報関連付け方法、端末装置、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
TWI522823B (zh) 用於跨多種裝置之智慧型媒體展示技術
WO2018095219A1 (zh) 媒体信息处理方法和装置
US20150264308A1 (en) Highlighting Unread Messages
US20150092006A1 (en) Image with audio convers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 wearable mobile device
KR20230124714A (ko) 멀티 비디오 클립 캡처를 위한 오디오 선택
US20150264309A1 (en) Playback of Interconnected Videos
JP2013171373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0035763A (ja) ビデオゲーム装置、映像投稿装置
EP3272127B1 (en) Video-based social interaction system
US91527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media objects in a navigable environment
US202103293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efficient generation and exchange of descriptive information with media data
US8898558B2 (en) Managing multimodal annotations of an image
JP2012099901A (ja) 情報管理プログラム、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方法
KR101947553B1 (ko) 객체 기반 동영상 편집 장치 및 방법
CN116257159A (zh) 多媒体内容的分享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13568551A (zh) 图片保存方法及装置
CN113473225A (zh) 视频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