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238B1 -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238B1
KR101123238B1 KR1020110085556A KR20110085556A KR101123238B1 KR 101123238 B1 KR101123238 B1 KR 101123238B1 KR 1020110085556 A KR1020110085556 A KR 1020110085556A KR 20110085556 A KR20110085556 A KR 20110085556A KR 101123238 B1 KR101123238 B1 KR 101123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container
snow
conductor
conductors
snow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병곤
최정해
원용천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85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238B1/ko
Priority to US13/294,653 priority patent/US8555714B2/en
Priority to EP11275143.3A priority patent/EP2562566B1/en
Priority to JP2011250399A priority patent/JP5572617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 G01F23/241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for discrete levels
    • G01F23/242Mounting arrangements for 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3/0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 G01F3/24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3/26Tilting-trap 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눈이 유입되어 쌓일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수집용기, 수집용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수집용기의 바닥에 배치되어 수집용기에 쌓인 눈과 접촉되는 제1도전체, 수집용기의 측벽에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수집용기에 쌓인 눈과 접촉되는 복수의 제2도전체, 제1도전체 및 복수의 제2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 및 수집용기에 쌓인 눈을 매개로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가 통전된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now cover and snowfall using electrical conduction}
본 발명은 기상과 기후에 관한 측정장치로서, 특히 눈이 쌓인 양에 대한 적설량과 눈이 녹아서 물로 된 후의 양에 대한 강설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연산지나 흙으로 이루어진 비탈면에 강우가 내릴 경우 표토층에서는 강우의 영향으로 토사와 물이 사면의 낮은 곳으로 경사방향을 따라 흘러내린다. 이로 인해 사면 상부 또는 중부는 토층의 침식이 발생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에는 상부로부터 이동된 토사가 퇴적된다.
이와 같은 토층의 침식 및 퇴적은 자연적인 지형의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 되고, 침식이 심한 경우는 산사태 또는 사면붕괴로 전이되기도 한다. 또한 경사지로부터 유실된 토사는 소하천 등을 만날 경우 하류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일부는 하천 저부에 퇴적되어 하상고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하상고의 증가는 궁극적으로는 하천의 통수단면을 감소시켜 홍수의 잠재적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렇게 토사가 이동되는데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들 중 하나는 눈 또는 비에 의한 강우 및 강설이다. 이에 토사의 이동량과 강우량과 강설량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강수량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의 정확성을 높인 계측기가 개발되어 있지만, 눈의 적설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발이 미흡한 상태이다. 즉, 기존에는 적설량은 무게로 측정하고, 적설량의 10%에 해당하는 양을 강설량으로 환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눈에 포함된 수분의 함량, 즉 건성 적설과 습성 적설인지에 따라 수분 함량이 매우 달라 무게를 이용하여 적설량을 측정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다.
또한, 광학식이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적설량(적설높이)을 측정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나 적설량에 대한 측정이 정확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눈이 녹은 뒤의 강설량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눈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눈이 쌓인 높이에 관한 적설량을 정확하게 측정가능하며, 눈이 녹은 후의 물의 무게에 대한 강설량도 측정가능한 적설량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는, 눈이 유입되어 쌓일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수집용기; 상기 수집용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상기 수집용기의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수집용기에 쌓인 눈과 접촉되는 제1도전체; 상기 수집용기의 측벽에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수집용기에 쌓인 눈과 접촉되는 복수의 제2도전체; 상기 제1도전체 및 복수의 제2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 및
상기 수집용기에 쌓인 눈을 매개로 상기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가 통전된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2도전체는 상기 수집용기 측벽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배치 높이가 서로 다르다.
그리고, 상기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가 노출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수집용기의 내면은 전기를 통하지 않는 비전도체로 이루어지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집용기의 내면에는 고무 소재로 코팅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는 눈이 녹은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용기의 배수공을 통해 배출된 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강설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강수량계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집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공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으로 배출된 물이 하나의 배출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깔때기 형상의 집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강수량계는 티핑버켓 방식이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집용기에 쌓인 눈을 가열하여 녹일 수 있도록 상기 수집용기의 내면에 부착되는 히팅패드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집용기에 눈이 점진적으로 쌓이면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 배치된 제2도전체로부터 상부에 배치된 제2도전체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제1도전체와 통전되어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데, 마지막으로 상기 제1도전체와 통전된 것으로 감지된 제2도전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2도전체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1도전체와 통전되는 것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히팅패드가 작동되어 눈을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패드의 내부에는 전기저항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열선에는 바이메탈이 설치되어 상기 열선이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상기 열선으로 전기공급이 중단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는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 사이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통해 눈이 쌓이는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설량을 환산하여 강설량을 추정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눈을 녹여서 강설량을 강수량계에 의하여 정확하게 측정하므로써 강설량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콘트롤러에서는 적설량 및 강설량에 대한 데이터들이 저장되고, 기상청 또는 재해관리센터 등과의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재해 등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측정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집용기를 펼친 상태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측정장치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측정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측정장치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100)는 수집용기(10), 거치대(20), 제1도전체(30), 제2도전체(40), 전원(50) 및 감지센서(60)를 구비한다.
수집용기(10)는 눈이 유입되어 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집용기(10)는 대략 원통형(또는 사각기둥형)으로 형성된다. 규격은 본 장치가 설치되는 지역의 적설량과 강설량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의 수집용기(1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직경 10cm, 높이 160cm의 규격이 사용된다
후술하겠지만, 수집용기(10)의 내면은 전기를 통하지 않아야 하므로, 수집용기(10)의 내면에 비전도체인 고무(11)가 코팅된다.
그리고 수집용기(10)의 바닥에는 배수공(1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공(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용기(10) 바닥의 중앙에 하나, 그리고 원주방향을 따라 4개 배치된다. 이 배수공(12)은 수집용기(10) 내에서 눈이 녹은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공(12)은 직경 1cm의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수집용기(10)의 하부에는 집수부(13)가 형성된다. 집수부(13)는 복수의 배수공(12)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하나의 배출로(14)로 모여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좁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깔때기 형상의 최하단에는 배출로(14)가 형성된다. 배출로(14)를 통해 배출된 물은 후술할 강설량계에 의하여 그 양이 측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집용기(10)는 적설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눈이 쌓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눈이 녹아 물로 변한 양, 즉 강설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이 녹은 물을 하나로 모아서 배출시켜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한 구성의 수집용기(10)를 거치하여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용기(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수집용기(10)는 볼트, 너트 등의 공지의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거치대(20)의 상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거치대(20)의 하부에는 지면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핀(21)이 마련된다. 거치대(20)의 내부에는 강수량계(70)가 마련되는데, 강수량계(70)는 수집용기(10)의 배출로(14)의 하측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적설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1도전체(30), 제2도전체(40), 전원(50) 및 감지센서(60)를 사용한다.
제1도전체(30)는 수집용기(10)의 바닥에 설치된다. 제1도전체(30)는 전기를 통하는 전도성 소재, 본 실시예에서는 원판형의 구리로 제조된다. 수집용기(10)에 눈이 쌓이면 제1도전체(30)와 눈이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2도전체(40)는 수집용기(10)의 측벽에 설치된다. 제2도전체(40)도 제1도전체(30)와 마찬가지로 전기를 통하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바 형태의 구리로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도전체(40)는 폭 5Cm, 높이 0.2Cm의 크기로 제작되며, 수집용기(10)의 내부쪽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수집용기(10)에 쌓인 눈과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도전체(40)이 수집용기(10)의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도전체(40)는 일측벽과 타측벽에 교대로 배치된다. 즉, 도 4의 전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전체(40)는 수집용기(10)의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0.5Cm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측벽과 타측벽에 교대로 배치되므로, 전체적으로는 제2도전체(40)가 수집용기(10)의 높이방향을 따라 0.25Cm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장치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표시한 도 5를 참조하면, 제1도전체(30)와 복수의 제2도전체(40)는 병렬적으로 전원(50)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2V의 전원이 사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도전체(30)와 제2도전체(40)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단절시키는 스위치(s)가 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스위치(s)는 실제 스위치가 아니라 수집용기(10) 내부의 눈이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함이다. 즉, 제1도전체(30)와 제2도전체(40) 사이에 눈이 있으면, 눈 내부의 수분으로 인하여 제1도전체(30)와 제2도전체(40)가 통전되며, 눈이 없으면 전기적 매개체가 없으므로 제1도전체(30)와 제2도전체(40)는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즉, 수집용기(10)의 바닥으로부터 눈이 쌓인 높이까지의 사이에 배치된 제2도전체(40)들은 눈을 통해 제1도전체(30)와 통전되고, 눈이 아직 쌓이지 않은 부분에 배치된 제2도전체(40)들은 전기적 매개체가 없으므로 통전되지 않는다.
감지센서(60)는 제1도전체(30)와 제2도전체(40)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도전체(30)와 제2도전체(40) 사이의 통전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통전여부를 수집용기(10)의 콘트롤박스(17) 내에 마련된 콘트롤러(미도시)에 송신한다. 콘트롤러에서는 제1도전체(30)와 통전된 복수의 제2도전체(40)들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2도전체를 판별한다.
제2도전체의 설치 높이는 콘트롤러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콘트롤러에서는 수집용기(10) 내에 눈이 쌓인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전체(40)가 0.25Cm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눈이 쌓인 높이를 0.25Cm 간격의 높이로 측정가능하다. 보다 정밀하게 눈이 쌓인 높이를 알기 위해서는 제2도전체(40)들 사이의 간격을 더 좁히면 실현할 수 있다.
콘트롤러에서는 눈이 내리기 시작하면서부터 수집용기(10)의 하부에서부터 상부에 배치된 제2도전체(40)들까지 순차적으로 제1도전체(30)와 통전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통전이 되는 과정에서, 제1도전체(30)와 마지막으로 통전된 것으로 감지된 제2도전체(4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2도전체(40)가 새롭게 제1도전체(30)와 통전되는 것이 일정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콘트롤러에서는 눈이 더 이상 내리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적설량 측정을 완료하고, 후술할 히팅패드(82)를 가동시킨다.
콘트롤러는 감지센서(6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바탕으로, 수집용기(10)의 가장 하부에 배치된 제2도전체(40)가 제1도전체(30)와 통전된 시각, 순차적으로 제2도전체들이 통전된 시각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2도전체(40)가 제1도전체(30)와 통전된 시각 등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이 데이터들을 통해 눈이 내리기 시작한 시간, 시간대별 적설량과 최종 적설량 및 눈이 그친 시간들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설량에 대한 센싱이 종료하면 추후의 적설량 측정을 위해 수집용기(10) 내부의 눈을 배출시켜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집용기(10)의 내면에 히팅패드(82)가 부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수집용기(10)의 내면 양측에 2개 부착된다.
히팅패드(82)는 패드부재와 이 패드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이루어진다. 열선은 전류가 흐를 때 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점을 이용하는 가열도구로서, 패드부재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다만, 지그재그 형태에서 열선이 구부러지는 부분은 패드부재의 상부와 하부가 되게 하여, 열선이 패드부재의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게 하였다.
즉, 수집용기(10)에 쌓인 눈은 열선을 따라 녹게 되므로, 열선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면 눈이 녹은 물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는 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달리 전열선이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경우 횡방향을 따라 수로가 형성되므로, 종방향으로 수로가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눈이 녹은 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히팅패드(82)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수집용기(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가능하도록 휘어질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얇은 박막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열선에는 바이메탈이 설치되어, 열선이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여 열선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히팅패드(8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전체(30) 및 제2도전체(40)와 전원(50)을 공유한다.
히팅패드(82)에 의하여 눈이 녹아서 생긴 물은 배수공(12)과 배수로(14)를 통해 수집용기(10)의 하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눈이 녹은 물의 양 즉 강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배수로(14)의 하부에 강수량계(70)를 설치한다. 종래의 적설량계에서는 적설량만을 측정하고, 습기를 많이 포함하는 습성 눈의 경우 적설량의 10%를, 습기를많이 포함하지 않은 건성 눈의 경우 적설량의 3~4%를 강설량 또는 강수량으로 환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므로 정확하지 않았다.
특히 눈에 포함된 습기의 양을 판단하기 쉽지 않으며, 유인 관측소가 아닌 산간이나 오지에 위치한 무인 관측소에서는 측정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눈이 녹은 물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강수량계(70)를 설치한다.
수집용기(10)의 배수로(14)를 통해 배추된 물은 강수량계(70)로 유입되어 강설량이 정확하게 측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강수량계는 티핑 버켓(tipping bucket) 방식이 사용되지만, 다양한 형태의 강수량계가 사용될 수 있다. 강수량계는 공지의 장치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강수량계(70)도 콘트롤러와 연결되어 강설량에 대한 데이터를 콘트롤러에 전송한다.
콘트롤러는 적설량과 강설량에 대한 데이터 및 시간에 대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이러한 데이터들을 기상청 등의 센터에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간격으로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 사이의 통전 여부를 통해 눈이 쌓인 높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눈이 그친 후에는 히팅패드를 통해 눈을 녹여 강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장치로서 적설량과 강설량을 모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면 5에서 미설명한 참조번호 81은 히팅패드를 제어하기 위해 콘트롤러에 설치된 제어부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적설량 측정장치 10 ... 수집용기
20 ... 거치대 30 ... 제1도전체
40 ... 제2도전체 50 ... 전원
60 ... 감지센서 70 ... 강수량계
82 ... 히팅패드

Claims (11)

  1. 눈이 유입되어 쌓일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수집용기;
    상기 수집용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상기 수집용기의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수집용기에 쌓인 눈과 접촉되는 제1도전체;
    상기 수집용기의 측벽에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수집용기에 쌓인 눈과 접촉되는 복수의 제2도전체;
    상기 제1도전체 및 복수의 제2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 및
    상기 수집용기에 쌓인 눈을 매개로 상기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가 통전된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도전체는 상기 수집용기 측벽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배치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가 노출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수집용기의 내면은 전기를 통하지 않는 비전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의 내면에는 고무 소재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는 눈이 녹은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의 배수공을 통해 배출된 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강설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강수량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공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으로 배출된 물이 하나의 배출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깔때기 형상의 집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수량계는 티핑버켓 방식의 강수량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에 쌓인 눈을 가열하여 녹일 수 있도록 상기 수집용기의 내면에 부착되는 히팅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에 눈이 점진적으로 쌓이면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 배치된 제2도전체로부터 상부에 배치된 제2도전체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제1도전체와 통전되어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데,
    마지막으로 상기 제1도전체와 통전된 것으로 감지된 제2도전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2도전체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1도전체와 통전되는 것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히팅패드가 작동되어 눈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패드의 내부에는 전기저항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이 배치되며,
    상기 열선에는 바이메탈이 설치되어 상기 열선이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상기 열선으로 전기공급이 중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KR1020110085556A 2011-08-26 2011-08-26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 KR101123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556A KR101123238B1 (ko) 2011-08-26 2011-08-26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
US13/294,653 US8555714B2 (en) 2011-08-26 2011-11-11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now cover and snowfall using electrical conduction
EP11275143.3A EP2562566B1 (en) 2011-08-26 2011-11-16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now cover and snowfall using electrical conduction
JP2011250399A JP5572617B2 (ja) 2011-08-26 2011-11-16 電気伝導性を利用した積雪量及び降雪量測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556A KR101123238B1 (ko) 2011-08-26 2011-08-26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238B1 true KR101123238B1 (ko) 2012-03-21

Family

ID=4500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556A KR101123238B1 (ko) 2011-08-26 2011-08-26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55714B2 (ko)
EP (1) EP2562566B1 (ko)
JP (1) JP5572617B2 (ko)
KR (1) KR1011232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323B1 (ko) 2016-04-12 2017-09-12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융,적설량 관측장치
KR102289870B1 (ko) * 2021-02-16 2021-08-17 대한민국 높은 정밀도의 강수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11828907B2 (en) 2021-02-16 2023-11-28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Apparatus for measuring precipitation with high accura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9433B2 (en) 2006-06-20 2011-05-24 Rain Bird Corporation Sensor device for interrupting irrigation
US9144204B2 (en) 2006-06-20 2015-09-29 Rain Bird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a sensor-based interface device for interrupting an irrigation controller
US9606262B1 (en) * 2015-11-05 2017-03-28 Dalen Products, Inc. Rain gauge
US10684393B1 (en) * 2016-08-05 2020-06-16 Donald Sahlem Rain gauge
US10757873B2 (en) 2017-04-24 2020-09-01 Rain Bird Corporation Sensor-based interruption of an irrigation controller
US10444769B2 (en) 2017-04-24 2019-10-15 Rain Bird Corporation Sensor-based interruption of an irrigation controller
WO2019133273A1 (en) * 2017-12-29 2019-07-04 Rain Bird Corporation Weather override irrig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CN108562954A (zh) * 2018-03-26 2018-09-21 付金乐 新型翻斗称重式雨雪量测量方法及装置
CN111256941B (zh) * 2020-03-13 2021-10-01 石家庄铁道大学 风吹雪运动雪通量测量装置
KR102291198B1 (ko) * 2020-12-14 2021-08-20 주식회사 이노퀘스트 자가진단형 강우량 계측장치
DE102021106914A1 (de) 2021-03-19 2022-09-22 PatWert Patent- und Produktverwertung UG (haftungsbeschränkt) Schneelastmessung mittels einer Flugplattfor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3172A (ja) * 1992-03-27 1993-10-22 Ngk Insulators Ltd 雨雪の導電率自動測定装置
JP2003329781A (ja) 2002-05-09 2003-11-19 Yokogawa Denshikiki Co Ltd 雨量計
US20070132599A1 (en) 2005-11-19 2007-06-14 Dufaux Douglas P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recipitation
KR100999366B1 (ko) 2010-07-01 2010-12-09 (주)정한전자시스템 전기 전도도를 이용한 우설량계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5077A (ja) * 1982-03-24 1983-09-30 Kazuo Amaya 雨量計
DE3344088A1 (de) * 1983-12-06 1984-04-19 Rainer 8000 München Kuhnt Schneewarngeraet
US4583399A (en) * 1985-03-15 1986-04-22 Walsh John E Precipitation gauge
US4909070A (en) * 1987-10-12 1990-03-20 Smith Jeffery B Moisture sensor
DE3891359T1 (de) * 1988-07-27 1990-07-19 Univ Kazakhsky Einrichtung zur messung der bodenfeuchtigkeit und des wasserwertes des schnees
JPH0643261A (ja) * 1991-04-18 1994-02-18 Densei:Kk 降雪強度計
JP3219558B2 (ja) * 1993-07-16 2001-10-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極低温流体用密度計
US5886301A (en) * 1997-08-04 1999-03-23 Vitel, Inc.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weight
US6044699A (en) * 1997-12-17 2000-04-04 Belfort Instrument Company Gauge for accurately measuring precipitation
IL128056A (en) * 1999-01-14 2005-11-20 S F M Sophisticated Water Mete Liquid metering device
JP2002277299A (ja) * 2001-03-21 2002-09-25 Yokogawa Electric Corp 電磁流量計
KR100535680B1 (ko) * 2001-07-13 200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센서
US6832522B2 (en) * 2002-08-05 2004-12-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etector and system for indicating pressure change and methods of use
JP4093356B2 (ja) * 2002-10-25 2008-06-04 サンポット株式会社 降雪検知装置
US7584656B2 (en) * 2007-09-12 2009-09-08 Electrolab, Inc. Floatless rain gauge
JP2010137873A (ja) * 2008-12-09 2010-06-24 Nihon Tetra Pak Kk 液面レベル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3172A (ja) * 1992-03-27 1993-10-22 Ngk Insulators Ltd 雨雪の導電率自動測定装置
JP2003329781A (ja) 2002-05-09 2003-11-19 Yokogawa Denshikiki Co Ltd 雨量計
US20070132599A1 (en) 2005-11-19 2007-06-14 Dufaux Douglas P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recipitation
KR100999366B1 (ko) 2010-07-01 2010-12-09 (주)정한전자시스템 전기 전도도를 이용한 우설량계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323B1 (ko) 2016-04-12 2017-09-12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융,적설량 관측장치
KR102289870B1 (ko) * 2021-02-16 2021-08-17 대한민국 높은 정밀도의 강수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11828907B2 (en) 2021-02-16 2023-11-28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Apparatus for measuring precipitation with high accura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47718A1 (en) 2013-02-28
EP2562566A3 (en) 2014-02-26
JP5572617B2 (ja) 2014-08-13
EP2562566A2 (en) 2013-02-27
US8555714B2 (en) 2013-10-15
JP2013044745A (ja) 2013-03-04
EP2562566B1 (en)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238B1 (ko)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
KR100872502B1 (ko) 무게 및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CN101548161A (zh) 用于调节咖啡机的煮器中的液位的装置
GB2444552A (en) Conductive probe for sensing liquid levels in drainage systems
JP2017181054A (ja) 水位計測装置
KR101223459B1 (ko) 강수량계용 발열장치, 강수량계용 집수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강수량계
AU20122034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Loose Electrical Connection
KR100957242B1 (ko) 강우 및 강설량 계측 장치
KR101224270B1 (ko) 강수량 측정장치
KR101061294B1 (ko) 눈의 무게 측정이 가능한 적설계
JP6853739B2 (ja) 静電容量式レベル計測装置
KR101772323B1 (ko) 융,적설량 관측장치
KR102480716B1 (ko) 광섬유 격자센서를 이용한 강수량 측정장치
KR102289870B1 (ko) 높은 정밀도의 강수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200401290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ccumulations of solid material
KR100569719B1 (ko) 고 신뢰 무접점 우량측정장치
CN103336318A (zh) 一种自动测量降水量的装置及测量方法
CN209545898U (zh) 一种水文监测用雨量计防冻装置
JPH05273172A (ja) 雨雪の導電率自動測定装置
KR101270655B1 (ko) 고정식 적설판
JPH05333162A (ja) 降雪検知装置
CN108983327A (zh) 集雨筒
KR20100027619A (ko) 전기저항식 교량 수위 계측 시스템
US11828907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precipitation with high accura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15639619U (zh) 一种渗流量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