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977B1 - 직류 어댑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직류 어댑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977B1
KR101122977B1 KR1020067000758A KR20067000758A KR101122977B1 KR 101122977 B1 KR101122977 B1 KR 101122977B1 KR 1020067000758 A KR1020067000758 A KR 1020067000758A KR 20067000758 A KR20067000758 A KR 20067000758A KR 101122977 B1 KR101122977 B1 KR 101122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dapter
electrode
electrode terminal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1979A (ko
Inventor
타카유키 노구치
마스미 이오하라
유리 오쿠무라
요이치 미야지마
히데아키 아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8501A external-priority patent/JP40162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8329A external-priority patent/JP4001144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2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7Protection against reversal of polar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마련된 전지 수납부에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된 DC 어댑터로서, AC/DC 컨버터(35)와 접속됨과 함께, 전자기기(1)의 배터리 수납부(20)에 장착되고, 전자기기에 DC 전원을 공급하는 DC 어댑터(3)이다. 이 DC 어댑터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어댑터 본체(31)에, 극성이 올바르게 삽입된 때에는 배터리 수납부 내의 삽입 가이드부(57)에 가이드되고, 극성이 역으로 삽입된 때에는 배터리 수납부의 삽입단측의 측벽(58)에 배터리 수납부 내레의 삽입이 규제되는 삽입 규제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규제부는, 외주의 일부에 어댑터 본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각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DC 어댑터의 외주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삽입 규제부를 이루는 2개의 변(41a, 41b)은, 서로의 어댑터 본체상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원호의 중심각이 90°미만으로 되어 있다.
DC 어댑터, 건전지

Description

직류 어댑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자기기{DC ADAPT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전자기기에 외부로부터 직류(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DC 어댑터 및 이 DC 어댑터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2004년 5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번호2004-148501 및 2004년 1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번호2004-378329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이들의 출원은 참조함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종래, 전자기기에서,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를 전원으로 이용하는 것이 널리 제공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전자기기는,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가 마련되고, 이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된 전지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구동된다. 이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2차 전지는, 전용의 충전기에 장착됨에 의해 재충전되고, 반복하여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1차 전지로서, 단3형(單3型)의 건전지가 있다. 단3형의 건전지를 이용하는 전자기기에서는, 소비 전력이나 전지 수명을 고려하여, 2개의 전지를 수납하도록 한 배터리 수납부가 마련되는 것이 있 다.
또한, 1차 전지와 함께 2차 전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 전자기기에서는, 배터리 수납부에 단3형의 건전지와 호환성을 가지고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 2차 전지로서, 단3형의 건전지와 같은 형상으로 한 것을 이용하도록 한 것이 제공되어 있다. 2차 전지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단3형의 건전지와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단3형의 건전지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에 호환성을 가지고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단3형의 건전지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에 호환성을 가지고 수납 가능하게 된 2차 전지에 있어서, 배터리 수납부가 단3형의 건전지를 2개 수납하도록 한 것에서는, 단3형의 건전지와 같은 형상의 2차 전지를 2개 조합시킨 것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1차 전지와 함께 2차 전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 전자기기에서는, 상용의 교류 전원을 AC/DC 컨버터를 통하여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DC 어댑터를 이용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런 종류의 DC 어댑터로서, 전자기기의 1차 전지 및 2차 전지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하여 이용하도록 한 것이 있다.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하여 이용하도록 한 DC 어댑터로서, 단3형의 건전지를 2개 조합시킨 크기를 갖는 2차 전지와 거의 동일 크기를 가지며, 거의 공통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 것이 제공되어 있다. 이 DC 어댑터에는,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된 때,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에 마련된 전극이 접촉하는 배터리 수납부측의 단자에 접촉하는 전극이 마련되어 있다. DC 어댑터는,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된 때, 배터리 수납부측의 단자에 전극을 접촉시키고, 이들 단자와 전극을 통하여 DC 전원을 전자기기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DC 어댑터는, 전자기기측에 배터리 수납부를 마련하는 것만으로 족하고, 전자기기측에 AC/DC 컨버터나, DC 어댑터의 DC 잭 전용 커넥터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고, 전자기기측의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하고, 나아가서는 전자기기 자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차 전지 및 2차 전지와 호환성을 가지고 공통의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한 DC 어댑터에서는, 이 DC 어댑터에 형성되는 전극 단자도 1차 전지나 2차 전지와 마찬가지로 극성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극성을 잘못하여 배터리 수납부 내에 삽입되면 전자기기가 작동하지 않거나, 또한 동작상의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DC 어댑터의 형상을 좌우 비대칭으로 하고. 이 DC 어댑터의 형상에 대응하여 배터리 수납부를 구성함에 의해 오장착을 방지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좌우의 형상을 대칭으로 한 1차 전지나 2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를 복수 배열한 조립전지를 수납한 때, 배터리 수납부 내에 안정하게 수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DC 어댑터에 마련되는 전극에 맞닿아지는 배터리 수납부측의 단자를 1차 전지나 2차 전지용의 전극과 공통으로 하면, DC 어댑터를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전자기기 이외의 기기에 사용된 경우에, DC 어댑터의 작동 전압이 1차 전지나 1차 전지의 작동 전압과 다름에 의해, 전자기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가 장착되는 배터리 수납부에 장착 가능하게 된 DC 어댑터의 배터리 수납부에의 오삽입(誤揷入)을 방지하고, 배터리 수납부 내에 1차 전지나 2차 전지를 정확하게 위치 규제를 도모하고 안정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는 DC 어댑터 및 이 DC 어댑터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합 기기 이외의 기기에 장착된 경우에, 전자기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DC 어댑터 및 이 DC 어댑터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DC 어댑터는, AC/DC 컨버터와 접속됨과 함께, 전자기기의 배터리 수납부 내에 삽입되어 해당 전자기기에 DC 전원을 공급하는 DC 어댑터로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어댑터 본체에, DC 어댑터가 극성이 올바르게 삽입된 때에는 배터리 수납부 내의 삽입 가이드부에 가이드되고, 극성이 역으로 삽입된 때에는 배터리 수납부의 삽입단측의 측벽에 배터리 수납부내에의 삽입이 규제되는 삽입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규제부는, 외주의 일부에 어댑터 본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각형(角形)으로 돌출 형성되고, DC 어댑터의 외주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삽입 규제부를 이루는 2개의 변은, 서로의 어댑터 본체상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원호의 중심각이 90°미만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는, 원통형상의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 또는 AC/DC 컨버터와 접속되고 DC 전원을 공급하는 DC 어댑터가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한 전자기기로서, 배터리 수납부는, DC 어댑터의 외주의 일부가 각형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 규제부에 응하여 원형상의 내주벽의 일부가 각형으로 노치되고, DC 어댑터가 극성이 올바르게 삽입된 때에는 삽입 규제부와 계합함에 의해 DC 어댑터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삽입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삽입 가이드부를 이루는 2개의 변은, 서로의 배터리 수납부의 내주면상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원호의 중심각이 90°미만이고, DC어댑터가 극성이 역으로 삽입된 때에는 삽입 규제부가 배터리 수납부의 삽입단측의 측벽에 부딪쳐짐에 의해 DC 어댑터의 삽입을 규제한다.
이와 같은 DC 어댑터 및 이 DC 어댑터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의하면, DC 어댑터가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될 때에는, DC 어댑터의 삽입 규제부의 형상과 같이 형성된 삽입 가이드부에 가이드되고,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DC 어댑터는, 극성이 역으로 된 상태에서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되면, 이 삽입 규제부가 배터리 수납부 내에 형성된 측벽에 맞닿아 삽입이 금지되고,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수납부 내에 단3형의 건전지나 2차 전지가 삽입된 경우에도, 내주벽에 의해 삽입 가이드부측의 측면까지 일부 지지할 수 있고, 이들이 삽입 가이드부의 노치 방향으로 위치 규제되어 안정된 장착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에 형태로부터 한층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배터리 장치에 이용하는 니켈수소 2차 전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의 A는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의 B는 평면도, 도 5의 C는 그 저면도, 도 5의 D는 그 배면도, 도 5의 E는 그 측면도, 도 5의 F는 그 좌측면도, 도 5의 G는 그 사시도.
도 6은 배터리 수납부 및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되는 각종 전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배터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의 A, 도 8의 B 및 도 8의 C는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배터리 수납부를 폐색하는 전지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DC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DC 어댑터를 통하여 가정용 전원과 접속하는 양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의 A 및 도 12의 B는 DC 어댑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DC 어댑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배터리 수납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의 A는 배터리 수납부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의 B는 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6은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배터리 장치가 장착된 충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충전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충전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DC 어댑터 및 전자기기를 적용한 한 실시의 형태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11)를 갖는다. 이 카메라 본체부(11)에는, 전면부의 한쪽 측에 위치하여 복수의 렌즈를 수납한 렌즈 경통을 구비한 렌즈부(12)가 마련되고, 다른쪽 측에 위치하여 유저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이 그립부(1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에 의한 파지를 안정하게 행할 수 있도록, 카메라부 본체(11)의 전면측을 팽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11)에는, 그립부(13)의 상면부측에 위치하여 셔터 버튼(14)이 마련되어 있다.
이 그립부(13)의 내부에는, 건전지(4) 등의 1차 전지나 니켈수소 2차 전지(5) 등의 충전형의 배터리가 단체(單體)로 수납되거나, 또는 배터리가 복수 배열되어 일체화된 배터리 장치(2)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부(13)가 마련된 측의 저면부에는, 배터리 수납부(20)를 개폐한 전지 덮개(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배터리 수납부(20)에는, 1차 전지나 2차 전지 또는 배터리 장치(2)와 선택적으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카메라 본체부(11)의 전원 회로에 공급하는 DC 어댑터(3)가 장착된다. 따라서 이의 카메라 본체부(11)에는, 외부의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DC 잭 전용의 커넥터나 전환 회로, 나아가서는 스위치 등은 마련된 일 없이 구성되고, 카메라 자체의 소형화가 도모되어 있다. 이 배터리 수납부(20) 및 배터리 수납부(20)에 삽입되는 배터리 장치(2) 및 DC 어댑터(3)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카메라 본체부(11)의 저면부에는, 전지 덮개(15)에 이웃하여 삼각대 등이 부착되는 부착 구멍(16)이 마련되어 있다. 이 부착 구멍(16)은, 삼각대 등의 액세서리가 부착됨과 함께, 스탠드 장치에 장착된 때, 스탠드 장치의 장착부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가 계합하는 구멍이 된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11)의 저면부에는, 렌즈부(12)가 마련된 측에, 스탠드 장치와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한 잭 부(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11)의 배면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12)의 이면이 되는 영역에 표시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이 표시부(18)는, 예를 들면 대략 직사각형을 하고,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EL 디스플레이(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등의 표시 소자로 형성되어 있다. 이 표시부(18)의 상측에는, 파인더부(19)가 마련되어 있다. 이 표시부(18)에 이웃하도록 하여, 카메라 본체부(11)의 배면부에는,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1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조작부(10)는, 예를 들면, 내부 메모리에 보존 격납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키는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1)에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상세한 설정, 예를 들면 플래시의 온 오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수납부(20) 내에 수납되는 배터리 장치(2)에 관해 설명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배터리 수납부(20)에 예를 들면 단3형 건전지나, 단3형 건전지와 같은 형상의 2차 전지가 수납되고, 또한, 단3형 건전지와 같은 형상의 2차 전지를 2개 배열하여 일체화한 배터리 장치(2)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배터리 장치(2)를 구성하는 2차 전지로는, 예를 들면 니켈수소 2차 전지(21)가 이용된다. 니켈수소 2차 전지(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전지 캔(22) 내에 부극 및 정극을 구비하는 전극체와 전해액이 수납되고, 이 전지 캔(22)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정극 단자부가, 타단측에 부극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다. 전지 캔(22) 내에 수납된 전극체는, 가역적으로 수소를 흡장/방출할 수 있는 부극 활물질 및 정극 활물질을 담지한 띠 모양의 부극 재료 및 정극 재료를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권회(卷回)하고, 각각 부극 리드, 정극 리드가 도출됨에 의해, 부극 및 정극이 형성되어 있다. 전지 캔(22)은, 부극 리드가 전지 캔(22)의 저면에 용접되고, 정극 리드가 전지 캔(22)의 전지 덮개에 용접됨에 의해, 상단을 정극 단자부(22a), 하단을 부극 단자부(22b)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지 캔(22)은, 정극 단자부(22a) 및 부극 단자부(22b)를 제외하고 절연성의 시트재 등으로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 장치(2)는, 도 5의 A 내지 도 5의 G,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니켈수소 2차 전지(21)가, 전지 캔(2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극 단자부(22a)와 부극 단자부(22b)가 서로 반대로 향하도록 배설됨과 함께, 세퍼레이터(23)를 사이에 두고 접착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니켈수소 2차 전지(21)를 접착하는 세퍼레이터(23)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캔(22)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접착되는 세퍼레이트 판(24)과, 인접된 전지 캔(22) 사이에 형성 되는 한쪽의 오목부(2a)에 응하여 마련되고, 후술하는 배터리 수납부(20) 내에 형성된 레버 스위치(61)와 계합되는 계합부(25)를 갖는다. 전지 캔(22)은, 세퍼레이트 판(24)의 양측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또한, 세퍼레이트 판(24)에 접착된 2개의 전지 캔(22)은,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정극 단자부(22a)의 돌출단면(突端)과 평탄하게 형성된 부극 단자부(22b)의 단면이 각각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접착된다.
세퍼레이트 판(24)은, 측면이 전지 캔(22)에 응하여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판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길이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일단부에 걸쳐서 계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퍼레이트 판(24)의 하면은 평탄화됨에 의해, 배터리 장치(2)의 다른쪽의 오목부(2b)는 길이 방향에 걸쳐서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b)에는 배터리 수납부(2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53)가 계합된다.
배터리 장치(2)의 한쪽의 오목부(2a)에 형성된 계합부(25)는, 배터리 수납부(20)에 형성된 레버 스위치(61)에 계합됨에 의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배터리 장치(2)의 종별 식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계합부(25)는, 세퍼레이트 판(24)의 길이 방향 중간부로부터 삽입 방향 후단측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부(25)는, 삽입 방향 전단측의 단면(25a)에는, 배터리 장치(2)의 종별 식별을 행하는 식별부(26)가 형성되고, 삽입 방향 후단측의 단자면(25b)에는 후술하는 전지 덮개(15)에 형성된 지지 돌기부(28)와 대향되는 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식별부(26)는, 배터리 장치(2)의 방전 용량이나,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등의 충방전 특성 등에 따라, 도 8의 A 내지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볼록 형상, 평탄 형상, 또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식별부(26)는, 배터리 장치(2)가 배터리 수납부(20)에 삽입되면 계합부(25)의 이동 궤적상에 마련된 레버 스위치(61)에 계합된다. 이때, 식별부(26)는, 그 형상에 의해 레버 스위치(61)의 가압량 다르기 때문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이 가압량의 차이를 검출함에 의해 삽입된 배터리 장치(2)의 종별을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예를 들면, 부적합한 배터리 장치가 삽입된 경우에는 카메라 본체부(11)의 조작을 무효로 하거나, 삽입된 배터리 장치(2)가 급속 충전이 가능한 것이라면 최적의 충전 속도로 충전을 행할 수 있다.
계합부(25)의 후단면(25b)에 마련된 돌기(2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캔(22)의 단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27)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덮개(15)가 배터리 수납부(20)를 폐색함에 의해 전지 덮개(15)측에 마련된 지지 돌기부(28)가 전지 캔(22)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2a)에 면하게 됨에 의해 이 지지 돌기부(28)와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두고 대향된다. 이 상태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낙하된 경우, 낙하 충돌시에는 니켈수소 2차 전지(21)가 전지 덮개(15)에 접촉하기 전에 돌기(27)과 전지 덮개(15)의 지지 돌기부(28)가 접촉한다. 이 돌기(27)와 지지 돌기부(28)와의 접촉은 점접촉이기 때문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낙하에 의해 카메라 본체부(11)가 충격을 받아도, 면접촉으로 닿은 경우에 비하여 배터리 장치(2)에 가해지는 충격이 경감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23)과 전지 캔(22)이 어긋나거나, 박리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 다.
또한, 전지 덮개(15)에 마련된 지지 돌기부(28)는, 단체의 건전지나 2차 전지가 2개 배터리 수납부(20)에 수납된 때에는, 이들 인접하고 수납되는 건전지나 2차 전지의 사이에 삽입됨에 의해 클리어런스를 마련하고, 쇼트 등의 위험을 회피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지 덮개(15)에는 지지 돌기부(28)의 양측에 건전지나 2차 전지 또는 배터리 장치(2)의 삽입 방향 후단측의 단면에 마련된 정극 단자부(22a) 및 부극 단자부(22b)와 접촉되는 한 쌍의 덮개 전극(29, 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합부(25)는, 배터리 장치(2)가 극성을 역으로 하여 배터리 수납부(20)에 삽입된 경우, 배터리 수납부(2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53)에 맞닿아진다. 따라서 배터리 장치(2)는, 배터리 수납부(20)에의 오삽입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계합부(25)는, 배터리 장치(2)의 오목부(2a) 내에 마련되고, 전지 캔(22)의 최대 외경보다도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배터리 장치(2)는, 배터리 수납부(20)에 삽입되면 카메라 본체부(11)의 전원 회로에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 장치(2)는, 배터리 수납부(20)에 수납된 상태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상세 설명을 생략한 가정용 교류 전원과 접속된 카메라 스탠드에 얹어놓여지면, 교류 전원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공급됨에 의해 충전이 행하여진다. 또한, 배터리 장치(2)는 후술하는 충전기(70)에 장착됨에 의해서도 충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장치(2)는, 니켈수소 2차 전지(21)를 이용하는 이외에도, 리튬이온 2차 전지나 니켈카드늄 축전지, 납축전지 등, 임의의 축전지를 이용하여 구성 할 수 있다.
다음에, 배터리 수납부(20) 내에 수납됨과 함께, AC/DC 컨버터를 통하여 가정용 교류 전원과 접속됨에 의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외부의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DC 어댑터(3)에 관해 설명한다. DC 어댑터(3)는, 도 6,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 본체(31)와, 어댑터 본체(31)로부터 연장된 케이블(32)의 선단에 마련된 커넥터(33)를 가지며, 이 커넥터(33)가 AC 전원 플러그(34)를 구비한 AC/DC 컨버터(35)와 접속된다.
어댑터 본체(31)는, 배터리 수납부(20)의 각 수납부에 대응하여 제 1, 제 2의 원통부(37, 38)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접하여 마련되고, 이들 제 1, 제 2의 원통부(37, 38)의 사이에는 길이 방향에 따라 양면에 제 1, 제 2의 홈부(39, 40)가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원통부(37)에는, 배터리 수납부(20)의 제 1의 수납부(51)에 형성된 삽입 가이드부(57)에 응하여 삽입 규제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규제부(41)는, DC 어댑터(3)가 배터리 수납부(20)에 극성을 역으로 하여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의 원통부(37)의 외주의 일부를 각형으로 돌출시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규제부(41)는, 이 삽입 규제부(41)의 정점(頂点)을 통하여 이웃하는 제 1의 규제변(41a)과 제 2의 규제변(41b)을 가지며, 이 삽입 규제부(41)를 구성하는 제 1, 제 2의 규제변(41a, 41b)은,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원통부(37)의 외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약 90°의 각도를 이룬다. 또한, 제 1, 제 2의 규제변(41a, 41b)은, 제 1의 원통부(37)의 외 주상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원호의 중심각(θ1)이 90°미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의 규제변(41a)는, 제 1i의 원통부(37)의 외주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보다도 약간 제 1의 원통부(37)의 외측에 기울어져서 연장되고, 제 2의 규제변(41b)은, 제 1의 원통부(37)의 외주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들 제 1, 제 2의 규제변(41a, 41b)이 서로 90°를 이룬다. 이와 같은 제 1, 제 2의 규제변(41a, 41b)은 제 1의 원통부(37)의 외주상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원호를 상정하면, 이 원호의 중심각(θ1)이 90° 미만으로 된다. 따라서 DC 어댑터(3)는 배터리 수납부(20)의 제 1의 수납부(51)에 수납될 때에는, 제 1의 수납부(51)에 삽입 규제부(41)의 형상과 같이 형성된 삽입 가이드부(57)에 가이드되고,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DC 어댑터(3)는, 제 1의 원통부(37)와 제 2의 원통부(38)를 역으로 하여 극성이 역으로 된 상태에서 배터리 수납부(20)에 삽입되면, 이 삽입 규제부(41)가 배터리 수납부(20) 내에 형성된 당접부(58)에 맞닿아 삽입이 금지된다. 또한, 삽입 규제변(41)은,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의 규제변(41c) 및 제 4의 규제변(41d)을 함께 제 1의 원통부(37)의 외주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보다도 약간 제 1의 원통부(37)의 외측으로 기울여서 연장시키고, 서로 90°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이들 제 3, 제 4의 규제변(41c, 41d)의 제 I의 원통부(37)의 외주상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원호를 상정하면, 이 원호의 중심각(θ2)이 90°미만으로 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 삽입 규제부(4i)는, 제 1의 규제변(41a)과 제 2의 규제변(41b)과의 교점이 원호형상으로 모따기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배터리 수납부(20)에 삽입될 때, 배터리 수납부(20) 내에 형성된 삽입 가이드부(57)에 활주접촉하여도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드럽게 활주시킬 수 있고, 또한 활주에 의한 타끌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제 1의 원통부(37)는, 삽입 방향의 전단면 및 후단면에는 전극 단자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평탄화되어 있다.
제 2의 원통부(38)는, 길이 방향의 거의 중간부로부터 삽입 방향 후단면에 걸쳐서 단면 거의 반원형상으로 노치된 노치부(43)가 형성되고, 이 노치부(43)의 삽입 방향 앞측의 단면(43a)으로부터 AC/DC 컨버터(35)와 접속되는 케이블(32)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32)은, DC 어댑터(3)가 배터리 수납부(20) 내에 수납되면, 카메라 본체부(11)의 측면부에 형성된 도출 구멍(59)으로부터 카메라 본체부(11) 밖으로 도출된다. 또한 제 2의 원통부(38)의 삽입 방향 전단부에는, 배터리 수납부(20) 내에 마련된 제 2의 전극(52a)과 접촉되는 볼록형상의 제 1의 전극 단자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의 전극 단자부(44)는 정극으로 되어 있다.
제 1의 원통부(37)와 제 2의 원통부(38) 사이에 마련된 제 1의 홈부(39)는, DC 어댑터(3)가 배터리 수납부(20) 내에 수납될 때에, 배터리 수납부(2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53)가 계합되고, 부드러운 삽탈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홈부(40)에는, 배터리 수납부(20)의 계합 돌기부(54)에 마련된 제 3의 전극(62)과 접촉하는 제 2의 전극 단자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제 2의 전극 단자부(45)는, 부극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DC 어댑터(3)는, 배터리 수납부(20)의 제 1의 수납부 (51)에 마련된 제 1의 전극(51a)에 대응하여 제 1의 원통부(37)의 삽입 방향 전단부에 전극 단자부를 마련하지 않고, 제 2의 홈부(40)에 제 2의 전극 단자부(45)를 마련함에 의해, 건전지나 2차 전지 또는 배터리 장치(2)의 전극 배치에 비하여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쇼트 등의 위험이 회피되고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배터리 수납부(20)에도 제 2의 전극 단자부(45)에 대응한 위치에 제 3의 전극(62)을 마련함으로써, 배터리 수납부(20) 내의 제 2의 전극(52a) 및 제 3의 전극(62)이 도통된 경우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적합한 전용의 DC 어댑터(3)가 이용되고 있는 것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1)측에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용의 DC 어댑터(3)가 이용된 경우에만 가능한 특별한 조작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행하게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의 전극 단자부(45)는, 제 1, 제 2의 원통부(37, 38)보다도 돌출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의 전극 단자부(45)는, 제 2의 홈부(40)가 면하여져 있는 측의 제 1, 제 2의 원통부(37, 38)의 외주면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DC 어댑터(3)는, 제 2의 전극 단자부(45)에 의해 배터리 수납부(20) 내의 구성 부품 등을 손시키는 것이나, 제 2의 전극 단자부(45)의 오손(汚損), 쇼트 등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DC 어댑터(3)는, 삽입 방향 후단면에 제 1의 홈부(39)로부터 연속하는 제 3의 홈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제 3의 홈부(46)는, DC 어댑터(3)가 배터리 수납부(20)에 수납되고, 전지 덮개(15)에 의해 폐색되면, 전지 덮개(15)에 마련된 지지 돌기부(28)가 감합(勘合)한다.
이와 같은 DC 어댑터(3)는, 배터리 수납부(20)에 삽입되면, 제 2의 원통부(38)의 삽입 방향 전단부에 형성된 정극의 제 1의 전극 단자부(44)가 배터리 수납부(20) 측에 마련된 제 2의 전극(52a)과 접촉하기 전에, 제 2의 홈부(40)에 형성된 부극의 제 2의 전극 단자부(45)가 계합 돌기부(54)에 형성된 제 3의 전극(62)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부극 단자가 정극 단자보다도 먼저 접촉하기 때문에, 안정된 전력 공급을 행할 수 있다.
또한, DC 어댑터(3)는, 제 1의 원통부(37)가 삽입 방향의 전단면이 평탄화됨과 함께, 삽입 방향의 전단면에 볼록형상의 제 1의 전극 단자부(44)가 형성된 제 2의 원통부(38)나 배터리 장치(2) 또는 건전지(4)나 2차 전지(5)에 비하여 길이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수납부(20)에 삽입된 때에, 배터리 수납부(20)의 제 1의 전극(51a)에 마련된 지지 스프링(5Ib)에 의한 제 1의 원통부(37)에 대한 하중이 적어지기 때문에, DC 어댑터(3)의 수납 후의 전지 덮개(15)를 닫을 때의 스프링 압력이 작고, 전지 덮개(15)에 의한 폐색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카메라 본체부(11)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1차 전지나 2차 전지 또는 배터리 장치(2)나 DC 어댑터(3)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20)에 관해 설명한다. 이 배터리 수납부(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11)의 저면부에 형성되고, 각종 전원이 삽입되는 제 1, 제 2의 수납부(51, 52)가 바깥쪽으로 면함과 함께, 전지 덮개(15)(도 6에 있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에 의해 폐색된다. 제 1 및 제 2의 수납부(51, 52)는, 예를 들면 단3형 건전지가 각각 수납됨에 적합한 크기의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수납부(51)와 제 2의 수납부(52)는 길이 방향에 걸쳐서 연속됨과 함께, 제 1의 수납부(51)와 제 2의 수납부(52)의 사이에는, 원통체를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2개 배열된 1차 전지, 2차 전지, 배터리 장치(2) 및 DC 어댑터(3)의 원통체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2b)나 제 1의 홈부(39)에 응하여, 이들 각종 전원의 삽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부(53)와, 후술하는 레버 스위치(61) 및 제 3의 전극(62)이 형성된 계합 돌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수납부(51)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의 일부에 DC 어댑터의 삽입을 가이드함과 함께 오삽입을 방지하는 삽입 가이드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가이드부(57)는, 제 I의 수납부(51)의 내주벽의 일부가 각형으로 노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가이드부(57)는, 이 삽입 가이드부(57)의 정점을 통하여 이웃하는 제 1의 가이드 변(57a)과 제 2의 가이드 변(57b)을 구비하고, 삽입 가이드부(57)을 구성하는 제 1, 제 2의 가이드 변(57a, 57b)은, 제 1의 수납부(51)의 내주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약 90°의 각도를 이룬다. 또한, 제 I, 제 2의 가이드 변(57a, 57b)은, 제 1의 수납부(51)의 내주벽상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원호의 중심각(θ3)이 90° 미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I의 가이드 변(57a)은, 내주벽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보다도 약간 제 1의 수납부(51)의 외측에 기울여서 연장되고, 제 2의 가이드 변(57b)은, 내주벽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들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변(57a, 57b)이 서로 90°를 이룬다. 이와 같은 제 1, 제 2의 가이 드 변(57a, 57b)은, 내주벽상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원호를 상정하면, 이 원호의 중심각(θ3)이 90° 미만으르 된다. 따라서 제 1의 수납부(51)는, 삽입 가이드부(57)가 형성된 일각(一角)의 노치 각도가 90°미만으로 되기 때문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3형의 건전지나 2차 전지가 삽입된 경우에도, 내주벽에 의해 삽입 가이드부(57)측의 측면까지 일부 지지할 수 있고, 이들이 삽입 가이드부(57)의 노치 방향으로 덜커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삽입 가이드부(57)는, 제 1의 가이드 변(57a)과 제 2의 가이드 변(57b)과의 교점이 원호형상으로 모따기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DC 어댑터(3)가 삽입될 때, DC 어댑터(3)에 형성된 삽입 규제부(41)가 활주접촉하여도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드럽게 활주시킬 수 있고, 또한 활주에 의한 먼지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수납부(52)는,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내주벽의 일부가 노치됨에 의해 DC 어댑터(3)가 극성을 역으로 하여 삽입된 때에 삽입 규제부(41)가 맞닿아 DC 어댑터(3)의 삽입을 저지하는 당접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당접부(58)의 부근에는, DC 어댑터(3)로부터 연장된 코드를 카메라 본체부(11) 밖으로 유도하는 도출 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도출 구멍(59)은, 가요성을 갖는 폐색편(60)에 의해 폐색된다. 폐색편(60)은, 일단이 카메라 본체부(11)에 부착되고, DC 어댑터(3)가 삽입되면, 도 6 중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回動)됨에 의해 도출 구멍(59)을 개방하여 DC 어댑터(3)로부터 연장된 케이블(32)을 카메라 본체부 (11) 밖으로 배출시킨다.
또한,제 1의 수납부(51)는, 저면부에 제 1의 전극(51a)이, 제 2의 수납부(52)는, 저면부에 제 2의 전극(5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의 전극(51a) 및 제 2의 전극(52a)은, 배터리 장치(2), 건전지(4) 또는 2차 전지(5)가 제 1, 제 2의 수납부(51, 52)에 수납되면, 이들 각종 전원의 삽입단측의 단면에 형성된 전극 단자부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51b, 52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DC 어댑터(3)는, 제 1의 원통부(37)가, 제 2의 원통부(38)나 상기 배터리 장치(2) 또는 건전지(4)나 2차 전지(5)에 비하여 길이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전극(51a)에 마련된 지지 스프링(51b)은, 제 1의 원통부(37)에 대한 하중이 적어지기 때문에, DC 어댑터(3)의 수납 후의 전지 덮개(15)를 닫을 때의 스프링 압력이 작고, 전지 덮개(15)에 의한 폐색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들 제 1, 제 2의 수납부(51, 52)의 사이에는, 각종 전원의 삽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부(53)가 마련된다. 이 가이드 돌기부(53)는, 제 1, 제 2의 수납부(51, 52)의 이웃하는 내주벽이 연속됨에 의해 배터리 수납부(20)의 내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부(53)는, 건전지나 2차 전지라는 각종 전원이 수납될 때에, 삽탈을 가이드 함과 함께, 수납된 건전지나 1차 전지를 격리하는 격벽으로서 기능 한다. 가이드 돌기부(53)는, 배터리 장치(2)가 수납될 때에는 배터리 장치(2)의 오목부(2b)와 계합됨에 의해 삽탈을 가이드한다. 또한 가이드 돌기부 (53)는, DC 어댑터(3)가 수납될 때에 WDC 어댑터(3)의 제 1의 홈부(39)와 계합됨에 의해 삽탈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돌기부(53)는, 배터리 장치(2)가 극성을 역으로 하여 수납되어, 오목부(2a)가 계합되면, 배터리 장치(2)의 오목부(2a)에 마련된 계합부(25)가 맞닿아 배터리 수납부(20)내에 삽입을 규제하기 때문에,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부(53)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레버 스위치(61) 및 제 3의 전극(62)이 형성된 계합 돌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 돌기부(54)도, 상기 가이드 돌기부(53)와 마찬가지로 제 1, 제 2의 수납부(51, 52)의 이웃하는 내주벽이 연속됨에 의해 배터리 수납부(20)의 내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합 돌기부(54)는, 제 1, 제 2의 수납부(51, 52)의 개방단측에 레버 스위치(61) 및 제 3의 전극(62)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 스위치(61)는, 배터리 장치(2)의 계합부(25)에 맞닿아짐에 의해 계합부(25)의 단면에 형성된 식별부(26)의 형상에 따라 삽입된 배터리 장치(2)의 종별을 판별하는 것이고, 또한 제 3의 전극(62)은, DC 어댑터(3)에 마련된 제 2의 전극 단자부(45)에 접촉되는 것이다.
계합 돌기부(54)는, 배터리 수납부(20)의 개방단측의 단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15의 A 및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레버 스위치(61)와, 레버 스위치(61)에 의해 가압 조작되는 검출 스위치(64)와, 레버 스위치(61)를 개방단측으로 가세하는 가세 부재(65)가 마련되어 있다.
레버 스위치(61)는, 계합 돌기부(54) 내에 삽입되어 배터리 장치(2)의 수납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삽입부(66)와, 해당 삽입부(66)와 일체로 형성되고 삽입부 (66)의 슬라이드 양에 따라 검출 스위치(64)를 가압 조작하는 조작부(67)와, 삽입부(66)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됨에 의해 배터리 장치(2)의 계합부(25)에 가압되는 가압부(68)를 갖는다. 삽입부(66)는, 계합 돌기부(54)의 개방단측의 일단부(66a)에 가압부(6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68)는, 삽입부(66)의 일단부로부터 계합 돌기부(54)의 개방단에서 배터리 수납부(20) 내로 돌출됨에 의해, 배터리 장치(2)의 계합부(25)의 이동 영역에 면하고 있다. 따라서 레버 스위치(61)는, 배터리 장치(2)가 배터리 수납부(20) 내에 수납되면, 가압부(68)가 계합부(25)에 가압되어 계합 돌기부(54)의 안쪽으로 슬라이드된다. 삽입부(66)는, 가압부(68)가 형성된 일단부와 반대측의 타단부가, 계합 돌기부(54) 내에 배설된 가세 부재(65)에 가세됨에 의해, 항상 계합 돌기부(54)를 배터리 수용부(20)의 개방단측으로 가세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67)는, 삽입부(66)와 일체로 형성됨에 의해, 삽입부(66)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조작부(67)는, 이동 영역상에 배설된 검출 스위치(64)를 가압함에 의해 검출 스위치(64)를 조작한다.
검출 스위치(64)는,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량에 따라 배터리 장치(2)의 종별을 판별하는 검출 레버(64a)를 구비하고, 이 검출 레버(64a)가 레버 스위치(61)의 조작부(67)의 이동 영역상에 면하여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레버 스위치(61)는, 배터리 장치(2)가 배터리 수납부(20) 내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세 부재(65)에 가세됨에 의해 삽입부(66)가 계합 돌기부(54)의 개방단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있다. 이때, 삽입부(66)와 일체로 형성된 조작부(67)는, 검출 스위치(64)의 검출 레버(64a)와 맞닿지 않는 위치에 있다.
그리고, 배터리 장치(2)가 배터리 수납부(20)에 수납되면, 레버 스위치(61)는, 가압부(68)가 계합부(25)의 전단면(25a)에 형성된 식별부(26)에 가압되어 삽입부(66)가 계합 돌기부(54)의 안쪽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때, 레버 스위치(61)는, 식별부(26)의 형상에 따라 슬라이드 양이 다르다. 즉, 삽입부(66)는, 식별부(26)가 볼록 형상인 경우는 보다 계합 돌기부(54)의 안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식별부(26)가 평형 형상인 경우는 볼록 형상의 경우보다도 앞쪽까지 슬라이드하고, 식별부(26)가 오목 형상인 경우는 평형 형상의 경우보다도 더욱 앞쪽까지 슬라이드한다. 따라서 삽입부(66)의 슬라이드 양에 따라 조작부(67)의 슬라이드 양도 다르기 때문에, 조작부(67)에 가압 조작된 검출 스위치(64)도, 검출 레버(64a)의 회동량이 다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부(26)는, 배터리 장치(2)의 방전 용량이나,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등의 충방전 특성 등에 따라, 볼록 형상, 평탄 형상, 또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별부(26)의 차이에 따라 검출 레버(64a)의 회동량이 다르기 때문에, 이 회동량을 검출함에 의해 삽입된 배터리 장치(2)의 종별을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배터리 장치(2)의 종별에 따라 최적의 충전등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장치(2)가 배터리 수납부(20)로부터 취출되면, 계합부(25)에 가압되어 있던 레버?스위치(61)는 삽입부(66)가 가세 부재(65)에 의해 계합 돌기부(54)의 개방단측으로 슬라이드된다. 따라서 삽입부(66)와 함께 조작부(67)가 배터리 수납부(20)의 개방단측에 슬라이드되고, 검출 스위치(64)에의 가압이 해제된다.
이 레버 스위치(61)의 앞쪽에는, DC 어댑터(3)에 마련된 제 2의 전극 단자부(45)에 접촉되는 제 3의 전극(62)이 마련되어 있다. 제 3의 전극(62)은, 배터리 수납부(20)의 제 1의 수납부(51)와 제 2의 수납부(52)와의 사이에 마련됨에 의해, DC 어댑터(3)의 제 2의 홈부(40)에 형성된 제 2의 전극 단자부(45)의 이동 영역상에 면하여져 있다. 그리고 제 3의 전극(62)은, DC 어댑터(3)가 배터리 수납부(20) 내에 삽입되면, DC 어댑터(3)의 제 2의 원통부(38)에 형성된 제 1의 전극 단자부(44)가 제 2의 수납부(52)에 형성된 제 2의 전극(52a)와 접촉하는 것보다도 먼저, 제 2의 전극 단자부(45)와 접촉된다. 또한, 이 제 2의 전극 단자부(45)는 부극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DC 어댑터(3)는, 부극이 접촉된 후에 정극이 접촉되게 되어, DC 어댑터(3)를 통한 전력의 공급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제 2의 수납부(52)에 마련된 제 2의 전극(52a)과 제 3의 전극(62)이 도통된 경우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적합한 전용의 DC 어댑터(3)가 이용되고 있는 것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1)측에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용의 DC 어댑터(3)가 이용된 경우에만 가능한 특별한 조작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행하게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배터리 수납부(20) 내에 배터리 장치(2)가 수납된 상태에서, 가정용 교류 전원과 접속된 카메라 스탠드(도시 생략)에 얹어 놓여지면, 교류 전원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공급됨에 의해 배터리 장치(2)에 대해 충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장치(2)나 2차 전지(5)는, 이하에 나타낸 충전기(70)에 장착됨에 의해서도 충전된다.
이 충전기(70)는, 배터리 장치(2) 및 단체의 2차 전지(5)가 충전 가능한 겸용 충전기로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반원형상을 한 본체부(71)의 상면에 마련된 2개의 전지 수납부(72, 72)와, 각 전지 수납부(72, 72)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73)과, 각 전지 수납부(72, 72)의 바깥쪽측에 길이 방향에 따라 마련된 측벽(74, 74)과, 배터리 장치(2)나 2차 전지(5)에 마련된 각 전극 단자를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75)를 구비한다.
전지 수납부(72)는, 단3형 건전지와 같은 사이즈로 형성된 배터리 장치(2)의 니켈수소 2차 전지(21)나 단체의 2차 전지(5)가 수납됨에 적합한 크기를 가지며, 단면 개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지 수납부(72)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접하여 2개 형성되고, 각 전지 수납부(72, 72) 사이가 구획벽(73)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각 전지 수납부(72)는 바깥쪽측에 측벽(7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획벽(73)과 측벽(74)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것이나 전지 수납부(72)와 연속하여 원호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전지 수납부(72)에 수납된 배터리 장치(2)의 니켈수소 2차 전지(21)나 단체의 2차 전지(5)의 중심축의 위치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74)은, 구획벽(73)보다도 낮게 형성됨과 함께, 또한 본체부(71)의 측면(71a)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부(7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 수납부(72)는, 수납된 배터리 장치(2)나 2차 전지(5)의 하측면에 측벽(74)으로부터 용이하게 손가락(82)을 걸 수 있기 때문에, 떼어냄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이 전지 수납부(72)에는, 길이 방향의 양단면(72a, 72b)에 전극 지지부(75) 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 지지부(75)는, 전지 수납부(72)의 양단면(72a, 72b)을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노치한 제 1, 제 2의 노치부(77, 78)로부터, 가요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의 도전판(79, 80)이 면하여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도전판(79)은, 배터리 장치(2)나 1차 전지(5)의 정극 단자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 제 1의 도전판(79)이 면하여진 제 1의 노치부(77)는, 대략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정극 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벽(81)이 노치의 주위에 돌설되어 있다. 또한 제 2의 도전판(80)은, 배터리 장치(2)나 2차 전지(5)의 부극 단자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 제 2의 도전판(80)은 제 2의 노치부(78)의 상단부로부터 하측으로 경사됨과 함께 중간에서 하방으로 절곡됨에 의해 전지 수납부(72)측으로 뻗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전극 지지부(75)는, 니켈수소 2차 전지(21)에 형성된 정극 단자부(22a)와 부극 단자부(22b)가 서로 반대를 향하도록 배설되어 있는 배터리 장치(2)에 대응하여, 서로 인접하는 전지 수납부(72)의 제 1의 노치부(77) 및 제 1의 도전판(79)과, 제 2의 노치부(78) 및 제 2의 도전판(80)이 서로 반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극 지지부(75)는, 배터리 장치(2)나 2차 전지(5)가 전지 수납부(72)에 수납되면, 볼록 형상의 정극 단자를 제 1의 노치부(77)에 마련된 지지벽(81)에 의해 지지함과 함께, 전지 수납부(72)측으로 뻗어나와 형성된 제 2의 도전판(80)에 의해 대략 평탄 형상의 부극 단자를 지지함에 의해, 배터리 장치(2)나 2차 전지(5)를 전지 수납부(72) 내로 지지한다.
배터리 장치(2)나 2차 전지(5)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구획벽(73) 및 측벽(74)에 의해 전지 수납부(72)에의 수납이 가이드되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전지 수 납부(72) 사이에 마련된 구획벽(73)에 의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수납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장치(2)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 단자부(22a)를 제 1의 노치부(77) 및 제 1의 도전판(79)측으로 향하고, 부극 단자부(22b)를 제 2의 노치부(78) 및 제 2의 도전판(80)으로 향하면, 계합부(2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오목부(2b)가 구획벽(73)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충전기(70)는, 배터리 장치(2)가 극성을 맞추어 전지 수납부(72)에 수납됨에 의해, 구획벽(73)에 배터리 장치(2)의 오목부(2b)가 계합된다. 한편, 충전기(70)는, 배터리 장치(2)가 극성을 역으로 하여 전지 수납부(72)에 수납하려고 하면, 오목부(2a)와 구획벽(73)이 대향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오목부(2a)에 형성된 계합부(25)와 구획벽(73)이 맞닿아서 배터리 장치(2)의 수납이 규제되고, 배터리 장치(2)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70)는, 2차 전지(5)가 극성을 맞어서 전지 수납부(72)에 수납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볼록형상의 정극 단자부가 주위를 제 1의 노치부(77)에 형성된 지지벽(81)에 지지된다. 한편, 충전기(70)는, 2차 전지(5)가 극성을 역으로 하여 전지 수납부(72)에 수납하려고 하면, 볼록형상의 정극 단자부가 전지 수납부(72) 내로 뻗어나와 형성된 제 2의 도전판(80)의 경사면에 의해 상면측으로 가세되기 때문에, 2차 전지(5)의 수납이 규제되고, 2차 전지(5)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충전기(70)는, 배터리 장치(2)가 장착될 때에는, 2개의 니켈수소 2차 전 지(21)가 모두 전지 수납부(72)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83)을 구비한다. 그리고 충전기(70)는, 배터리 장치(2)가 전지 수납부(72)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배터리 장치(2)에 적합한 충전을 행하도록 제어된다. 즉, 충전기(70)는, 단체의 2차 전지(5)와, 2차 전지가 복수 세트 조합된 배터리 장치(2)의 겸용 충전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2차 전지(5)는, 제조자마다 충전 전압이나 용량 등의 충전 특성이나 품질 등이 다르게 되어 있는 한편, 배터리 장치(2)는 미리 충전 특성이 정하여저 있는 것이 많고, 품질도 안정되어 있다. 그래서, 충전기(70)는, 배터리 장치(2)가 장착된 경우에는, 이미 알고 있는 충전 특성으로부터 최적의 충전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예를 들면 급속 충전을 행할 수 있고, 유저에 있어서 사용감이 향상된다. 그래서, 배터리 장치(2)의 충전을 행하는 충전기(70)는, 배터리 장치(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인지, 또는 단체의 2차 전지(5)가 장착되어 있는 것인지를 판별함과 함께, 배터리 장치(2)의 2개의 니켈수소 2차 전지(21)가 전지 수납부(72)에 장착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83)이 마련되고, 배터리 장치(2)의 니켈수소 2차 전지(21)가 전부 장착된 경우에는 급속 충전을 행하는 등, 해당 배터리 장치(2)에 최적의 충전을 행하도록 제어된다.
이 검출 수단(83)은, 단체의 2차 전지(5)와 배터리 장치(2)의 어느 것이 전지 수납부(72)에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별함과 함께, 배터리 장치(2)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니켈수소 2차 전지(21)가 전부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충전기(70)는, 단체의 2차 전지(5)가 장착된 경우에는 전지 수납부(72)의 하나에 장착되면 충전을 시작하고, 배터리 장치(2)가 장착된 경우에는 모든 전지 수납부(72)에 장착된 때에 충전을 시작한다.
이러한 검출 수단(83)으로서는, 예를 들면, 배터리 장치(2)의 세퍼레이터(23)에 오목부(2b)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마련함과 함께, 충전기(70)의 구획벽(73)에, 해당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마련하고, 이 삽입구 내에 검출 스위치를 마련함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검출 수단(83)에 의하면, 배터리 장치(2)가, 2개의 니켈수소 2차 전지(21)의 모두가 극성을 올바르게 전지 수납부(72)에 수납되면, 오목부(2b)와 구획벽(73)이 계합됨과 함께, 세퍼레이터(23)에 형성된 돌기부가 구획벽(73)에 마련된 삽입구에 삽입되어 검출 스위치가 압하된다. 이로써, 충전기(70)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 전용의 배터리 장치(2)가 장착되고, 또한 2개의 니켈수소 2차 전지(21)가 장착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충전기(70)에 단체의 2차 전지(5)가 하나 또는 2개 장착된 경우에는, 구획벽(73)에 형성된 삽입구 내에는 돌기부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검출 스위치가 압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충전기(70)는, 단체의 2차 전지(5)가 장착된 것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수단(83)으로서는, 예를 들면 배터리 장치(2)에 IC 태그를 마련함과 함께, 충전기(70)측에 해당 IC 태그의 판독 장치를 장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IC 태그는 니켈수소 2차 전지(21)에 각각 마련하고, 또한 IC 태그의 판독 장치도 각 전지 수납부(72)에 마련한다. 이러한 검출 수단(83)에 의해서도, IC 태그를 판독함에 의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1) 전용의 배터리 장치(2)가 장착되고, 또한 2개의 니켈수소 2차 전지(21)가 모두 장착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IC 태그에 배터리 장치(2)의 충전 전압이나 용량 등의 충방전 특성 정 보를 포함시키고, 이 충방전 특성 정보를 충전기(70)측에서 판독하도록 하면, 충전기(70) 측에서 급속 충전이 가능한지의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고, 장착된 배터리 장치(2)에 최적의 충전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기(70)는, 전용의 배터리 장치(2)가 장착되면, 그 충방전 특성에 따라 급속 충전 등을 행함에 대해, 단체의 2차 전지(5)가 장착된 것이라고 판별한 경우에는, 정격 전압이나 용량 또는 품질 등이 다른 각종 2차 전지가 장착되는 것을 상정하여, 어떤 품질의 2차 전지가 장착되어도 사고가 일어나지 않는 규격의 전압이나 용량으로 충전이 행하여진다.
또한, 충전기(70)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71)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에, 가정용 교류 전원과 접속되고 AC/DC 컨버터가 마련된 전원 케이블의 종단이 연결되는 인렛(8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기(70)는, 인렛(84)을 마련하는 대신에, AC/DC 컨버터를 내장함과 함께,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정용 교류 전원과 접속되는 플러그(85)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충전기(70)의 상면에는, 전지 수납부(72)의 형성 영역 외에, 충전 시작, 충전 종료 등의 상태를 광의 점등, 소등 등에 의해 표시하는 표시부(8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70)에서는, 전지 수납부(72)를 2개로 하였지만, 3개 이상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2차 전지가 3개 이상 배열되고 구성된 배터리 장치에도 대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의 청구의 범위 및 그 주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 치환 또는 그 동등의 것을 행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는 분명하다.

Claims (12)

  1. AC/DC 컨버터와 접속됨과 함께, 전자기기의 배터리 수납부 내에 삽입되어 해당 전자기기에 DC 전원을 공급하는 DC 어댑터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어댑터 본체에, 상기 DC 어댑터가 극성이 올바르게 삽입된 때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 내의 삽입 가이드부에 가이드되고, 극성을 역으로 삽입된 때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삽입단측의 측벽에 상기 배터리 수납부내에의 삽입이 규제되는 삽입 규제부가 형성되고,
    해당 삽입 규제부는, 외주의 일부에 상기 어댑터 본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각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DC 어댑터의 상기 외주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 규제부를 이루는 2개의 변은 서로의 상기 어댑터 본체상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원호의 중심각이 90°미만이며,
    상기 어댑터 본체는, 복수의 원통체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체 사이의 오목부에는 전극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규제부의 정점은, 원호형상으로 모따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어댑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자부는, 마이너스 단자이고, 상기 어댑터 본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 내에 삽입되면, 상기 원통체의 삽입단측의 단면에 형성된 플러스 단자보다도 먼저, 상기 배터리 수납부 내에 형성된 마이너스 전극과 맞닿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어댑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자부는, 상기 복수의 원통체에 접하는 선분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어댑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규제부는, 상기 돌출 형성된 이웃하는 제 1의 면과 제 2의 면의 어느 한쪽이, 상기 어댑터 본체상의 기단부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어댑터.
  7. 원통형상의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 또는 AC/DC 컨버터와 접속되고 DC노원을 공급하는 DC 어댑터가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는, 상기 DC 어댑터의 외주의 일부가 각형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 규제부에 응하여 원형상의 내주벽의 일부가 각형으로 노치되고, 상기 DC 어댑터가 극성이 올바르게 삽입된 때에는 상기 삽입 규제부와 계합함에 의해 해당 DC 어댑터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상기 삽입 가이드부와,
    상기 배터리 수납부는, 상기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를 복수 수납하며. 또는 상기 2차 전지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나열하여 일체화된 조립전지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각 저면에 형성된 제 1의 전극과,
    상기 수납부에 응하여 복수의 원통부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원통부의 어느 하나에 제 1의 전극 단자부가 형성됨과 함께 각 원통부의 사이에 오목부가 형성된 DC 어댑터의 해당 오목부에 형성된 제 2의 전극 단자부와 접촉되는 제 2의 전극을 구비하고,
    해당 삽입 가이드부를 이루는 2개의 변은, 서로의 배터리 수납부의 내주면상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원호의 중심각이 90°미만이고,
    상기 DC 어댑터가 극성이 역으로 삽입된 때에는 상기 삽입 규제부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삽입단측의 측벽에 부딪쳐짐에 의해 해당 DC 어댑터의 삽입을 규제하며,
    상기 제 2의 전극은, 상기 수납부의 사이에 형성됨에 의해, 상기 전극 단자부의 이동 궤적상에 면하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극은 플러스 단자이고, 상기 제 2의 전극은 마이너스 단자이고, 상기 제 2의 전극은, 상기 DC 어댑터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 내에 삽입되면, 상기 제 1의 전극이 상기 원통부에 형성된 제 1의 전극 단자부와 접촉하는 것보다도 먼저 상기 제 2의 전극 단자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극 단자부는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플러스 단자이고, 해당 제 1의 전극 단자부가 형성되지 않은 원통부의 삽입단측의 단면은 상기 제 1의 전극 단자부보다도 낮은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의 마이너스 전극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평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가이드부는, 상기 각형으로 노치된 제 1의 면과 제 2의 면의 어느 한쪽이,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내주상의 기단부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정점은, 원호형상으로 모따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67000758A 2004-05-19 2005-05-17 직류 어댑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자기기 KR101122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8501 2004-05-19
JP2004148501A JP4016210B2 (ja) 2004-05-19 2004-05-19 Dcアダプター装置
JPJP-P-2004-00378329 2004-12-27
JP2004378329A JP4001144B2 (ja) 2004-12-27 2004-12-27 Dcアダプ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PCT/JP2005/008962 WO2005112241A1 (ja) 2004-05-19 2005-05-17 Dcアダプ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979A KR20070021979A (ko) 2007-02-23
KR101122977B1 true KR101122977B1 (ko) 2012-03-16

Family

ID=3539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758A KR101122977B1 (ko) 2004-05-19 2005-05-17 직류 어댑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354301B2 (ko)
EP (1) EP1748540A4 (ko)
KR (1) KR101122977B1 (ko)
HK (1) HK1091958A1 (ko)
MY (1) MY138370A (ko)
TW (1) TW200620794A (ko)
WO (1) WO2005112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977B1 (ko) * 2004-05-19 2012-03-16 소니 주식회사 직류 어댑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자기기
JP4457805B2 (ja) * 2004-08-13 2010-04-28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4736428B2 (ja) * 2004-12-28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電源ユニット
JP4264664B2 (ja) * 2006-12-06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電源プレート、及び電子機器
DE102006058867A1 (de) * 2006-12-07 2008-06-12 Aesculap Ag & Co. Kg Chirurgisches Schaltnetzteil und chirurgisches Gleichstromelektrowerkzeug
US8831257B2 (en) * 2009-02-10 2014-09-09 Chum Lee Exterior power supply for hearing aid
JP4691190B1 (ja) * 2009-12-28 2011-06-0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2011233410A (ja) * 2010-04-28 2011-11-17 Makita Corp 電気機器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アダプタ
PT2469622E (pt) * 2010-12-23 2013-09-17 Outils Wolf Ligação oscilante de pilhas
US8351302B2 (en) 2011-02-09 2013-01-08 Jeremy Laurence Fischer Power supply for clock
US9065283B2 (en) * 2011-09-08 2015-06-23 Xglow P/T, Llc Charging system
US20130104439A1 (en) * 2011-11-01 2013-05-02 Steve Hines Powering firearm accessories with a false battery
US20140167514A1 (en) * 2012-12-14 2014-06-19 Raz Impor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ing a Battery-Operable Device with an External Source of Power
US9473020B2 (en) * 2013-12-13 2016-10-18 2Nd Life Tec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battery life extender
WO2016026810A1 (en) * 2014-08-21 2016-02-2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system
KR102676844B1 (ko) * 2018-11-06 2024-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
WO2020250087A1 (en) * 2019-06-10 2020-12-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apter for battery compart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9590U (ja) * 1981-09-28 1983-04-0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用電源装置
JPS5882461U (ja) * 1981-11-27 1983-06-03 愛三工業株式会社 気化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7380A (en) * 1965-03-16 1968-10-22 Molex Products Co Electrical connector
JPS5831215B2 (ja) 1979-09-29 1983-07-05 森六株式会社 配位型高分子鉄(2)ポルフィリン錯体を有効成分としてなる酸素吸脱着剤
JPS5849590A (ja) 1981-09-19 1983-03-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制動装置
US4468439A (en) * 1981-10-15 1984-08-28 Canon Kabushiki Kaisha Battery loading device
JPS5882461A (ja) 1981-11-10 1983-05-18 Canon Inc 電池収納装置
JPH07109612B2 (ja) 1985-06-28 1995-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
JP2593701B2 (ja) 1988-08-31 1997-03-26 株式会社 タカラ 電池ボックス用アダプタ装置
JPH0418990A (ja) 1990-05-12 1992-01-23 Central Tsusho Kk 廃水処理用の接触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67191A (ja) 1991-09-05 1993-03-19 Canon Inc 画像記憶装置
JP3427900B2 (ja) 1992-01-28 2003-07-2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H06267518A (ja) 1993-03-10 1994-09-22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US5626979A (en) * 1994-04-08 1997-05-06 Sony Corporation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mploying the battery device as power source
US5631098A (en) * 1994-09-06 1997-05-20 Nikon Corporation Battery holder
US6265091B1 (en) * 1997-06-06 2001-07-2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ular electric storage battery
JPH11176404A (ja) 1997-12-08 1999-07-02 Sony Corp 二次電池及び電池収納装置
JPH11262190A (ja) 1998-03-10 1999-09-24 Canon Inc 電源システム
JP2001215585A (ja) 2000-02-02 2001-08-10 Canon Inc 電源アダプターの取り付け構造又は電源アダプターの取り付け構造を備えたカメラ
JP4087071B2 (ja) 2001-01-11 2008-05-14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のダミー電池および電子機器
KR101122977B1 (ko) * 2004-05-19 2012-03-16 소니 주식회사 직류 어댑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9590U (ja) * 1981-09-28 1983-04-0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用電源装置
JPS5882461U (ja) * 1981-11-27 1983-06-03 愛三工業株式会社 気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12241A1 (ja) 2005-11-24
US20070164703A1 (en) 2007-07-19
US7494368B2 (en) 2009-02-24
US20080176443A1 (en) 2008-07-24
TW200620794A (en) 2006-06-16
US7354301B2 (en) 2008-04-08
EP1748540A1 (en) 2007-01-31
TWI296165B (ko) 2008-04-21
EP1748540A4 (en) 2009-11-04
KR20070021979A (ko) 2007-02-23
HK1091958A1 (en) 2007-01-26
MY138370A (en) 200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977B1 (ko) 직류 어댑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자기기
US7081318B2 (en) Battery container
US5672441A (en) Battery device and driving device for battery device
US6157309A (en) Battery pack
EP1178547A2 (en) Battery discriminating method, dry battery cell pack, and electronic device
WO2006132898A2 (en) Battery with side terminal
US6271644B1 (en) Battery pack
JP4736427B2 (ja) バッテリー装置及び電子機器
JP4239968B2 (ja) 充電器
JP4001144B2 (ja) Dcアダプ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018753A (ja) 充電装置及び二次電池
CN217101104U (zh) 助听器收纳装置
KR102347998B1 (ko) 차량에 내장되는 영상 장치 및 이를 위한 이차 전지 팩
JPH11176404A (ja) 二次電池及び電池収納装置
JP4153888B2 (ja) 二次電池の充電装置
JP2008043088A (ja) 薄型充電器
JPH11312503A (ja) 電池の識別装置および電池パック
JPH06267519A (ja) 電池パックと電気機器
JP2005235676A (ja) 電池パック
JP2001006638A (ja) パック電池
JPH0943672A (ja) カメラ用外部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